KR20190141571A - 자전거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자전거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571A
KR20190141571A KR1020190003288A KR20190003288A KR20190141571A KR 20190141571 A KR20190141571 A KR 20190141571A KR 1020190003288 A KR1020190003288 A KR 1020190003288A KR 20190003288 A KR20190003288 A KR 20190003288A KR 20190141571 A KR20190141571 A KR 2019014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icycle
support bar
fram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400B1 (ko
Inventor
이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Priority to EP19820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08418A4/en
Priority to PCT/KR2019/004519 priority patent/WO2019240367A1/ko
Publication of KR2019014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571A/ko
Priority to KR1020200098118A priority patent/KR102467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00B1/ko
Priority to US17/120,831 priority patent/US202101622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adjustment being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user
    • A63B2022/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adjustment being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user electronically, e.g. by using a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4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enabling a lateral movement of the exercising apparatus, e.g. for simulating movement on a bicy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8Comparison to target or threshold, previous performance or not real time comparison to other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supports for the central frame of the bicycle, e.g. for the crank axle housing, seat tube or horizontal tub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A63B2069/168Force transfer through the rim of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4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display speed of moving landscape controlled by the user's perform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70Measuring or simulating ambient conditions, e.g. weather, terrain or surface conditions
    • A63B2220/76Wind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프레임 지지부가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로서, 프레임 지지부는, 자전거 프레임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1 지지 바, 베이스부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지지 바 및 제2 지지 바의 타 단부와 상기 제1 지지 바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지지 바는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를 구비하는 노면 상태를 구현하는 한편, 라이더의 유형에 따라 조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주행 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실제 라이딩 상황과 극히 유사한 다이나믹한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전거시뮬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시뮬레이터{Bicycle Simulator}
본 발명은 가상 주행을 위한 자전거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주행 경로를 가상적으로 체험하고,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자전거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트레이너 또는 자전거 롤러라는 명칭의 자전거 운동기구는, 러닝머신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내 운동용 헬스기구로서, 회전 롤러나 거치대에 안착된 자전거에 탑승한 라이더가 페달을 이용하여 회전저항력(자력 등)이 가해진 휠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하체근력의 강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자전거 운동기구는,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휠에 가해지는 회전저항력의 조절을 통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운동만으로도 라이더에게 상당히 높은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종래 자전거 운동기구는, 밀폐된 실내공간 내에서 벽면 등을 마주한 채 단순히 회전저항력이 가해진 페달링 운동만을 지속하기 때문에 실제 자전거 라이딩시의 즐거움을 라이더에게 전혀 제공하지 못함에 따른 무료함이나 싫증으로 인해 연속성 있는 페달링 운동을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 1(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77713호) 및 선행기술 2(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27306호)는 사이클 운동 기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에서는 고정축(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서로 상이한 외벽부 형상을 갖는 셋 이상의 롤러부를 교체함으로써 실제 자전거 라이딩시와 유사하게 다양한 노면 상태에 대한 주행경험을 라이더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한 흥미유발을 통해 라이더는 연속성 있는 페달링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서 제시하는 사이클 운동 기구는 셋 이상의 롤러부 자체를 전후로 회전시키며, 다양한 노면을 구현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나 유지보수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며, 노면의 변경을 위해 롤러부를 회전하게 되면, 페달링 중인 자전거 자체가 상하방향으로 크게 이동할 수밖에 없어서 자전거에 탑승한 라이더의 안전을 크게 저해하는 한편, 노면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2에서는 가상 노면을 구현할 수 있는 요철부가 롤러부를 따라 돌출함으로써 라이더에게 보다 안전한 주행경험 및 노면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에서 제시하는 사이클 운동 기구는 평탄한 가상 노면을 구현하고 있을 뿐, 경사를 구비하는 실제 주행 환경 및 라이더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주행모드를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7771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273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를 구비하는 노면 상태를 구현하는 한편, 라이더의 유형에 따라 조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주행 모드를 구현함으로써, 실제 라이딩 상황과 극히 유사한 다이나믹한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상노면 구현형 자전거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가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로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1 지지 바; 상기 베이스부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지지 바; 및 상기 제2 지지 바의 타 단부와 상기 제1 지지 바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바는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바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자전거가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전륜 지지부; 및 상기 자전거의 후륜의 2점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및 제2 후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한 상기 제1 지지 바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고, 회전된 상기 제1 지지 바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에 탑승하는 라이더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지지 바 및 상기 제2 지지 바에 마련되는 힌지 하우징; 및 상기 힌지 하우징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바의 일 단부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전자석으로 마련되어 상기 자전거 프레임이 상기 접촉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륜의 회전으로부터 주행속력을 산출하는 속도측정부; 및 상기 속도측정부에서 산출된 주행속력에 따라 라이더에게 가변적인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더에게 소정의 주행환경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행환경의 경사에 일치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바는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바와 상기 제2 지지 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한 상기 제1 지지 바의 상기 일 축 방향에 대한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에 탑승한 라이더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는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슬라이드부; 및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 간격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10cm 이상 20cm 이하의 간격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20cm 초과 40cm이하의 간격을 따라 이동하고, 제3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40cm 초과의 간격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주행 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전륜 지지부; 및 상기 자전거의 후륜의 2점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및 제2 후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전거의 전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륜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이동하며, 상기 자전거의 후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후륜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부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회전 각도는 0도 이상 20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지지 바가 프레임 지지부에 마련됨에 따라 자전거에 탑승한 라이더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다양한 노면 상태를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이나믹하고 현실감 있는 라이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이더의 유형에 따라 조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주행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라이더의 유형에 따른 운동효과의 극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무게 측정부, 제어부, 속도측정부, 송풍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각각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제어 작동되는 경우, 라이더는 더욱 사실감 있고 흥미 넘치는 가상적 라이딩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 지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부를 구비한 주행장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도 8a 내지 도 8b는 자전거의 조향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 주행 모드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들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 지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바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1)는, 자전거(10)에 탑승한 라이더(R)가 경사부를 구비하는 다양한 노면 상태를 가상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이나믹하고 현실감 있는 라이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라이더(R)의 유형에 따라 조향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주행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라이더(R)의 유형에 따른 운동효과의 극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이다.
위에서 언급한 자전거(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1)만을 위해 특별하게 제작된 것은 물론이고, 현재 다양한 제조회사에서 시판 중인 자전거(10)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전거(10)는, 자전거(10)의 몸체를 이루는 자전거프레임(11)과, 자전거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륜(14) 및 후륜(12)과, 라이더(R)의 페달링을 후륜(12)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구동계(크랭크, 체인, 변속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1)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베이스부(20), 전륜 지지부(40), 후륜 지지부(50) 및 프레임 지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0)는 지면에 고정되어 자전거(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이다. 일 예로서, 베이스부(20)는 후술하게 될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 지지부(50)가 안착될 수 있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 지지부(50)가 안착될 수 있는 임의의 지지부재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베이스부(20)에는 프레임 지지부(100)가 고정될 수 있는 지지 프레임(21)이 베이스부(20)의 양 측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다리 지지부(25)는 베이스부(20)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라이더(R)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라이더(R)가 주행을 시작하기 전, 라이더(R)가 자전거(10)에 탑승한 채 정지하여 있는 경우, 라이더(R)는 중심을 잡기 힘들 수 있다. 이때, 라이더(R)가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베이스부(20)의 양 측부에 라이더(R)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는 다리 지지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지지부(25)는 라이더(R)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륜 지지부(40)는, 자전거시뮬레이터(1) 상에 거치된 자전거(10)의 전륜(14)을 지지하며 전륜(1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거치된 자전거(1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부는 베이스부(20)와 축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후륜 지지부(50)는, 자전거시뮬레이터(1) 상에 거치된 자전거(10)의 후륜(12)을 지지하며 후륜(1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거치된 자전거(10)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양단부는 베이스부(20)와 축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지지부(50)는, 전륜(14) 및 후륜(12)과 접촉한 상태로 전륜(14) 및 후륜(1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지지부(50)의 종단면은 다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일 수 있다. 이때, 자전거(10)의 전륜(14) 및 후륜(12)은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 지지부(50)의 상부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지지부(5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4) 및 후륜(12)을 회전시키는 라이더(R)에게 이질적인 주행감이 제공되지 않으면서도 전륜(14) 및 후륜(12)의 회전에 따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의 종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륜지지부(50)는, 후륜(12)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후륜(12)의 아래쪽에서 전후로 지지하며 회전하는 2개의 후륜지지부(50), 즉 제1 후방롤러(51) 및 제2 후방롤러(5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100)는 자전거 프레임(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전거(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지지부재로서, 제1 지지 바(110), 제2 지지 바(120), 연결부(130), 회전 제어부(140), 무게 측정부(150), 이동 제한부(170) 및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바(11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 로드 형상의 지지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지지 바(110)의 일 단부는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제1-1 지지 바(111)와 제1-2 지지 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지지 바(111)와 제1-2 지지 바(112)는 분리되어 자전거프레임(11) 일측(다운튜브)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1 지지 바(111)와 제1-2 지지 바(112)의 결합에 의해 자전거프레임(11) 일측(다운튜브)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클램프(113)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바(110)의 타 단부에는 후술하게 될 제2 지지 바(120)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클램프(113)는 자전거프레임(11)의 일부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113)는 자전거 프레임(11)의 일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10)가 자전거 시뮬레이터(1)에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클램프(113)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프레임(11)의 일부가 삽입되는 말굽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클램프(113)에 마련된 접촉부(113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지지면(1131) 및 제2 지지면(11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13) 구조가 상술한 바와 같이 말굽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제1 지지부(110)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자전거 프레임(11)의 일부, 예를 들어 자전거 프레임(11)의 다운 튜브는 자전거 진입부(1133)를 통과하여 제1 지지면(1131)과 제2 지지면(113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자전거 프레임(11)의 다운 튜브는 제1 지지면(1111) 및 제2 지지면(1132)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촉부(1130)는 전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자석의 구동에 따라 자전거 프레임(11)은 접촉부(11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 바(12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 로드 형상의 지지 부재로서, 제1 지지 바(11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일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 바(120)의 일 단부는 베이스부(20)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지지바(120)의 일 단부에는 단차부 형상의 회전 슬라이드부(12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슬라이드부(123)는 후술하게 될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에 맞물려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바(120)에는 Z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장공(121), 예를 들어 4개의 장공이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장공(121) 각각에는 회전 구속부(122)가 삽입되어 Z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바(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 구속부(122)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바(120)의 타 단부에는 제1 지지 바(110)의 타 단부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제1 지지 바(110)가 일 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지지 바(120)의 타 단부와 제1 지지 바(110)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일 예로서, 연결부(130)는 제1 힌지 공(131) 및 제2 힌지 공(132)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1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힌지 샤프트(133)는 일 축(X)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바(11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일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30)를 힌지 결합으로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 바(110)가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일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를 연결하는 임의의 연결부(130)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연결부(130)에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별도의 체결부(134)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체결부(134)는 나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착탈 방식으로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를 체결하여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회전 제어부(14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회전 각도를 한정할 수 있는 각도 제한 부재이다. 일 예로서, 회전 제어부(140)의 일 단부는 제1 지지 바(110)의 말단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 제어부(140)의 타 단부는 베이스부(2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어부(140)의 타 단부는 베이스부(20)에 구비된 지지 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회전 제어부(140)는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바(110)는, 회전 제어부(140)의 탄성 한계 범위 내에서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라이더(R)의 외력에 의해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회전된 제1 지지 바(110)는 회전 제어부(140)로부터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복원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무게 측정부(150)는 자전거(10)에 탑승하는 라이더(R)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재이다. 일 예로서, 무게 측정부(150)는 자전거(10)에 탑승한 상태에서 라이더(R)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중력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전거(10)에 탑승한 상태에서 라이더(R)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서, 무게 측정부(150)는 지지 프레임(21)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 제어부(140)의 타 단부는 무게 측정부(15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속부(122)는 무게 측정부(150)에 배치된 삽입공(151)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복수 개의 장공(1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7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일 축 방향(X)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구속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 사이에는 제조 공차에 따른 소정의 이격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동 제한부(170)는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 바(110)와 제2 지지 바(12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X축 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는 제2 지지 바(120)의 일 단부에 마련된 회전 슬라이드부(123)와 맞물려 제2 지지 바(1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부재이다. 일 예로서,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는 무게 측정부(15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Y)에 수직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Z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 바(120)는 무게 측정부(150)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0)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21)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속도측정부(60)는 후륜(12)의 원주 크기 및 단위시간당 후륜(12)의 회전수로부터 주행속력을 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후륜(12)의 회전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기 위해 후륜(12)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70)는 속도측정부(60)에서 산출된 주행속력에 따라 라이더(R)에게 가변적인 바람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디스플레이장치(80)의 상단 좌우측에서 각각 라이더(R)를 지향한 상태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속도측정부(60)로부터 실시간 산출된 주행속력은 라이더(R)에 의해 선택된 자전거 대회의 코스나 특정 지역에 대한 주행정보로서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속력을 전달받은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속력에 대응하는 강도로 송풍장치(70)를 작동 제어함으로써, 라이더(R)에게 다이나믹하고 현실감 있는 라이딩 체험을 제공하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80)는 라이더(R)에게 자전거 대회의 코스 등에 대한 주행환경이나 운영체제 프로그램 등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더(R)의 전방 시야각을 모두 포괄하는 크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80) 또는 라이더(R)가 착용하는 고글형 표시장치(미도시) 등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80)가 소정의 주행환경 등을 사실적으로 현시하는 경우, 라이더(R)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행환경에 대응한 노면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자전거(10)의 경사 각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10)에 탑승한 라이더(R)는, 디스플레이장치(80)와 연동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각도를 구비하는 다양한 노면 상태를 시각은 물론 몸 전체로 체험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다이나믹하고 흥미진진한 라이딩을 실내공간에서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사부를 구비한 주행장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80)에는 제1 경사각(θ1)을 구비하는 경사 도로를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라이더(R)의 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와 같은 주행 경로는 사이클 전용 경기장에서 사용되는 벨로드롬(velodrome) 또는 산악 주행로를 구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1)에 탑승한 라이더(R)는, 디스플레이 장치(80)에 표시된 주행 상황을 인지한 후, 주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자전거(1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더(R)는 베이스부(20)와 평행한 일 평면과 제2 경사각(θ2)을 구비하도록 자전거(10)를 기울여 주행할 수 있다.
라이더(R)가 자전거(10)를 기울여 주행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의 일부가 지지된 제1 지지 바(11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일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 바(110)의 회전 각도(δ)는 제2 경사각(θ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지지 바(110)의 말단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회전 제어부(140)는 제1 지지 바(110)가 임계 회전 각도(δ) 이상, 예를 들어 60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제1 지지 바(110)의 회전 각도(δ)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 제어부(140)가 탄성 부재로 마련된 경우, 제1 지지 바(110)가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회전 제어부(140)는 신장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제어부(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지지 바(110)는 임계 회전 각도(δ)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더(R)는 보다 안전하게 자전거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라이더(R)에 의해 자전거(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외력이 자전거(10)에 인가되는 경우, 신장된 회전 제어부(140)가 단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지지 바(110)의 회전된 위치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제어부(140)를 탄성 부재로 구현하였으나, 제1 지지 바(11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다른 구속 부재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회전 제어부(140)는 제2 지지 바(120)에 대한 제1 지지 바(110)의 회전 각도(δ)를 단계적으로 구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바(110)가 제2 지지 바(120)에 대해 일 축(X)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회전함에 따라, 라이더(R)는 보다 안전하게 경사각을 구비하는 벨로드롬(velodrome) 또는 산악 주행로를 주행하는 것과 같은 다이나믹한 체험을 실내에서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7a는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구성과 실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서술의 편의성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1)는 베이스부(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드(210), 프레임 지지부(100)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드 가이드(2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슬라이드부(220),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이동 간격 조정부(230) 및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간격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간격 감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10)는 제1 방향(Y)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드 레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라이드 가이드(210)는 베이스부(20)의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21)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220)는 프레임 지지부(100)의 일 단부에 고정되어 제1 방향(Y)을 따르는 프레임 지지부(1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라이드부(220)는 슬라이드 가이드(210)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220)는 슬라이드 가이드(210)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무게 측정부(15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2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 간격 조정부(230)는 주행 모드에 따라 슬라이드부(220)가 슬라이드 가이드(21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부재이다. 일 예로서, 이동 간격 조정부(230)는 로드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 측부에 배치되는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는 슬라이드 가이드(210)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233)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는 미리 선택된 주행 모드에 따라 슬라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드부(220)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가 소정의 이동 간격을 구비하도록 이격된 경우, 해제 가능한 고정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가이드(210) 상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슬라이드부(220)가 슬라이드 가이드(210)를 따라 이동하여 발생된 이동 간격을 감지 및 추적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깊이 카메라의 일종인 ToF(Time-of-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간격 감지부(240)가 ToF(Time-of-Flight) 카메라 로 구현된 경우,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소정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241)과 상기 광원(241)에서 조사된 광이 슬라이드부(220)의 일부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광을 검출(Detection)하는 센서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간격 감지부(240)의 예시로서 ToF(Time-of-Flight) 카메라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에 따른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베이스부(20)에 대한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간격을 감지 및 추적할 수 있는 임의의 감지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베이스부(20) 또는 베이스부(20)에 고정된 장치, 예를 들어 이동 간격 조정부(23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간격 조정부(230)는 베이스부(20) 탈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간격 감지부(240)는 베이스부(20)에 대한 슬라이드부(220),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지지부(100)의 이동 범위 및 좌우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동 간격 감지부(240)에 의해 감지된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 간격 감지부(240)의 조향 방향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동 간격 감지부(240)에 의해 감지된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범위에 따라 조향 정도가 감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은 라이더(R)의 핸들 조작에 의해 전륜(14)이 회전 및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 범위를 변경 및 유지하기 위해 라이더(R)는 상체 근육을 이용하여 자전거(10)의 핸들을 회전시키거나 핸들의 위치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 라이더(R)의 유형은 어린이, 장년층 및 노년층과 같이 다양할 수 있으며, 라이더(R)의 유형에 따라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 범위를 변경 및 유지하는 능력이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10)에 탑승하는 라이더(R)의 조향 능력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라이더(R)의 안전을 위해 라이더(R)의 유형에 따라 자전거 시뮬레이터(1)에 거치된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 범위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자전거의 조향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에 탑승한 라이더(R)가 일 축 방향(X) 및 제1 방향(Y)에 수직인 제2 방향, 예를 들어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자전거(10)를 조향하는 경우, 후륜(12) 보다 전륜(14)이 먼저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바(120)의 일 단부에 마련된 회전 슬라이드부(123)는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를 따라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구속부(122)는 제2 지지 바(12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장공(121)을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범위 예를 들어, 20도를 초과하여 제2 지지 바(12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 구속부(122)가 복수 개의 장공(121)의 일 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제2 지지바(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지지 바(120)의 일 단부에 마련된 회전 슬라이드부(123)는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180)를 따라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프레임(11)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100) 또한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프레임 지지부(100)는 하부에 지지된 슬라이드부(220)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 지지부(100)는 회전 구속부(122)에 의해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0도 이상 20도 이하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륜(14)의 회전에 대응하도록 자전거 프레임(11)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100)가 회전함으로써, 전륜(14)의 회전에 따라 프레임 지지부(100)에 인가될 수 있는 상대적 위치 오차에 따른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전륜(14) 및 프레임 지지부(100)의 회전에 따라 후륜(12) 또한 회전할 수 있다. 후륜(12)이 회전함에 따라 전륜(14)과 후륜(12)이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8a에 비교하여 자전거(10)의 위치가 Y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 주행 모드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주행 모드에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방향(Y)을 따라 10cm 이상 20cm 이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는 슬라이드 가이드(210) 상에서 상술한 제1 간격(M1), 예를 들어 10cm 이상 20cm 이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에 의해 이동 범위가 구속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220)에 의해 지지된 자전거(10) 또한,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의 제1 간격(M1)에 상응하는 제1 이동 범위(T1) 내에서만 조향 및 이동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주행 모드에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방향(Y)을 따라 20cm 초과 40cm이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는 슬라이드 가이드(210) 상에서 상술한 제2 간격(M2), 예를 들어 20cm 초과 40cm이하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에 의해 이동 범위가 구속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220)에 의해 지지된 자전거(10) 또한,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의 제2 간격(M2)에 상응하는 제2 이동 범위(T2) 내에서만 조향 및 이동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제3 주행 모드에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방향(Y)을 따라 40cm 초과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는 슬라이드 가이드(210) 상에서 상술한 제3 간격(M3), 예를 들어 40cm 초과하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220)는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에 의해 이동 범위가 구속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220)에 의해 지지된 자전거(10) 또한,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의 제3 간격(M3)에 상응하는 제3 이동 범위(T3) 내에서만 조향 및 이동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의 제1 내지 제3 간격(M1-M3)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10)의 전륜(14) 및 후륜(12)이 전륜 지지부(40) 및 후륜 지지부(50)의 상부면에서 제1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이동 범위(T1-T3)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은 라이더(R)의 핸드 조작에 의해 전륜(14)이 회전 및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1) 및 제2 이동 간격 조정 장치(232)의 이격 간격(M)을 조정하여, 자전거(10)의 이동 범위(T)를 조정하는 경우, 자전거(10)의 조향 및 이동 범위를 상술한 이동 범위(T) 내로 구속할 수 있다. 이때, 라이더(R)는 입력부(97)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주행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입력부(97)에 입력된 주행 모드에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210)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220)의 이동 간격(M)을 조정하여 자전거(10)의 이동 범위(T)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라이더(R)가 자전거(10)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이거나 근력이 약한 노약자층인 경우, 제1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10)는 제1 이동 범위(T1) 내에서만 조향 및 이동되어 보다 안전하게 자전거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반면, 라이더(R)가 자전거(10)에 익숙한 중급자이거나 청소년층인 경우, 제2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10)는 제2 이동 범위(T2) 내에서만 조향 및 이동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자전거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라이더(R)가 자전거(10)에 익숙한 고급자이거나 프로 선수인 경우, 제3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10)는 제3 이동 범위(T3) 내에서 조향 및 이동되어 보다 스릴 넘치는 자전거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자전거 시뮬레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륜 지지부(40)와 제1 후방 롤러(51)를 연결하는 벨트(96)가 전륜 지지부(40)와 제1 후방 롤러(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벨트(96)는 전륜 지지부(40)와 제1 후방 롤러(51)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도록 배치되어 전륜 지지부(40) 및 제1 후방 롤러(51)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라이더(R)가 거치된 자전거(10)의 후륜(12)을 회전시켜는 경우, 후륜(12)의 회전력에 의해 제1 후방 롤러(51) 또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후방 롤러(51)의 회전력은 벨트(96) 를 통해 전륜 롤러(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륜 지지부(40)와 제1 후방 롤러(51)의 회전 속도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라이더(R)에게 안정감 있는 라이딩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벨트(96) 는 교체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해 베이스부(20)의 외측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륜 지지부(40)와 제1 후방 롤러(51) 및 제2 후방 롤러(52)는, 전륜 지지부(40) 및 제1 후방 롤러(51) 및 제2 후방 롤러(52)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베어링부(26, 27, 28)를 이용하여 별도의 회전축 없이 베이스부(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자전거 시뮬레이터
10: 자전거
11: 자전거 프레임
12: 후륜
14: 전륜
20: 베이스부
21: 지지 프레임
40: 전륜 지지부
50: 후륜 지지부
60: 속도측정부
70: 송풍장치
80: 디스플레이 장치
100: 프레임 지지부
110: 제1 지지 바
113: 클램프
120: 제2 지지 바
130: 연결부
140: 회전 제어부
150: 무게 측정부
210: 슬라이드 가이드
220: 슬라이드부
230: 이동 간격 조정부

Claims (23)

  1.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가 지지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로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1 지지 바;
    상기 베이스부에 일 단부가 고정되는 제2 지지 바; 및
    상기 제2 지지 바의 타 단부와 상기 제1 지지 바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바는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바의 회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자전거가 기울어지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전륜 지지부; 및
    상기 자전거의 후륜의 2점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및 제2 후방 롤러;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제1 후방 롤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륜 지지부 및 상기 제1 후방 롤러 중 어느 하나의 회전력을 나머지 하나에 전달하는 벨트; 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지지부, 상기 제1 후방 롤러 및 상기 제2 후방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륜 지지부와 상기 제1 후방 롤러를 연결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한 상기 제1 지지 바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고, 회전된 상기 제1 지지 바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회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에 탑승하는 라이더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지지 바 및 상기 제2 지지 바에 마련되는 힌지 하우징; 및
    상기 힌지 하우징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바의 일 단부는,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전자석으로 마련되어 상기 자전거 프레임이 상기 접촉부에 고정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제2 지지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의 회전으로부터 주행속력을 산출하는 속도측정부; 및
    상기 속도측정부에서 산출된 주행속력에 따라 라이더에게 가변적인 바람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2. 제1 항에 있어서,
    라이더에게 소정의 주행환경을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주행환경의 경사에 일치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바는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해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바와 상기 제2 지지 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 바에 대한 상기 제1 지지 바의 상기 일 축 방향에 대한 수평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전거에 탑승한 라이더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5. 거치된 자전거의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라이드 가이드;
    상기 프레임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슬라이드부; 및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조정하는 이동 간격 조정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간격을 감지하는 이동 간격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7. 제15 항에 있어서,
    제1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10cm 이상 20cm 이하의 간격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20cm 초과 40cm이하의 간격을 따라 이동하고, 제3 주행 모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40cm 초과의 간격을 따라 이동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주행 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주행 모드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간격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전륜을 지지하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전륜 지지부; 및
    상기 자전거의 후륜의 2점을 각각 지지하며, 상기 후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1 및 제2 후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전거의 전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전륜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이동하며, 상기 자전거의 후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후륜 지지부의 상부면에서 이동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 슬라이드 가이드부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 지지부를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한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회전 각도는 0도 이상 20도 이하인,
    자전거 시뮬레이터.
KR1020190003288A 2018-06-14 2019-01-10 자전거 시뮬레이터 KR10214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20308.5A EP3808418A4 (en) 2018-06-14 2019-04-15 BIKE SIMULATOR
PCT/KR2019/004519 WO2019240367A1 (ko) 2018-06-14 2019-04-15 자전거 시뮬레이터
KR1020200098118A KR102467025B1 (ko) 2018-06-14 2020-08-05 자전거 시뮬레이터
US17/120,831 US20210162291A1 (en) 2018-06-14 2020-12-14 Bicycle sim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8394 2018-06-14
KR1020180068394 2018-06-14
KR20180106047 2018-09-05
KR1020180106047 2018-09-0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118A Division KR102467025B1 (ko) 2018-06-14 2020-08-05 자전거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571A true KR20190141571A (ko) 2019-12-24
KR102147400B1 KR102147400B1 (ko) 2020-08-24

Family

ID=6900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88A KR102147400B1 (ko) 2018-06-14 2019-01-10 자전거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62291A1 (ko)
KR (1) KR102147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693A3 (en) * 2019-12-26 2021-08-05 Nautilus, Inc. Tilt-enabled bike with tilt-disabling mechanism
WO2022124824A1 (ko) * 2020-12-11 2022-06-16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자전거 시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8397B1 (en) * 2021-06-07 2022-12-19 Stichting Radboud Univ Bicycle Simulato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832A (en) * 1987-06-01 1990-09-25 Kim Sang Sup Stationary exercising bicycle apparatus
KR20100020337A (ko) * 2008-08-12 2010-02-22 최장원 헬스 자전거
KR101511677B1 (ko) * 2013-11-05 2015-04-13 유두선 하체단련을 위한 자전거 운동기구
KR20150117460A (ko) * 2014-04-10 2015-10-20 김형태 자전거를 이용한 뇌기능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1677713B1 (ko) 2015-08-06 2016-11-23 이혜린 사이클 운동 기구
KR101677440B1 (ko) * 2015-10-26 2016-11-29 이재국 자전거 운동장치
KR101827306B1 (ko) 2017-07-27 2018-02-08 이중식 가상노면 구현형 자전거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4892A2 (en) * 1999-10-06 2001-04-12 Neil Nusbaum Exercise apparatus with video effects synchronized to exercise parameters
IL175234A (en) * 2006-04-26 2010-05-31 L P T Technologies Ltd Programmable universal exercise device
KR101350337B1 (ko) * 2010-12-23 2014-01-10 최장원 운동용자전거
AU2013401453B2 (en) * 2013-09-27 2020-04-09 Sbi Media Holding Sa Bicycle trainer
CN204463303U (zh) * 2015-03-12 2015-07-08 长安大学 一种公共自行车停车系统
KR101771889B1 (ko) * 2015-08-10 2017-08-28 오병훈 자전거 대회 코스 체험이 가능한 자전거 롤러 장치
US20180072365A1 (en) * 2015-09-10 2018-03-15 Joseph Muana-Yeye Kalenga Universal Footrest for One-Legged Operation of a Stationary Bicycle
KR101715292B1 (ko) * 2016-08-10 2017-03-22 김미진 승마운동기구
CN106861181B (zh) * 2017-01-10 2024-01-26 宋宇 一种可拆装的平台式自行车运动训练器
CN109771894B (zh) * 2017-06-09 2021-01-22 深圳市掌上方舟科技有限公司 一种vr眼镜
US10695638B2 (en) * 2017-07-19 2020-06-30 Wahoo Fitness Llc Bicycle climbing and descending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832A (en) * 1987-06-01 1990-09-25 Kim Sang Sup Stationary exercising bicycle apparatus
KR20100020337A (ko) * 2008-08-12 2010-02-22 최장원 헬스 자전거
KR101511677B1 (ko) * 2013-11-05 2015-04-13 유두선 하체단련을 위한 자전거 운동기구
KR20150117460A (ko) * 2014-04-10 2015-10-20 김형태 자전거를 이용한 뇌기능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1677713B1 (ko) 2015-08-06 2016-11-23 이혜린 사이클 운동 기구
KR101677440B1 (ko) * 2015-10-26 2016-11-29 이재국 자전거 운동장치
KR101827306B1 (ko) 2017-07-27 2018-02-08 이중식 가상노면 구현형 자전거시뮬레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693A3 (en) * 2019-12-26 2021-08-05 Nautilus, Inc. Tilt-enabled bike with tilt-disabling mechanism
US11291883B2 (en) 2019-12-26 2022-04-05 Nautilus, Inc. Tilt-enabled bike with tilt-disabling mechanism
US11975236B2 (en) 2019-12-26 2024-05-07 Bowflex Inc. Tilt-enabled bike with tilt-disabling mechanism
WO2022124824A1 (ko) * 2020-12-11 2022-06-16 주식회사 리얼디자인테크 자전거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2291A1 (en) 2021-06-03
KR102147400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2291A1 (en) Bicycle simulator
US20020055422A1 (en) Stationary exercise apparatus adaptable for use with video games and including springed tilting features
ES2821702T3 (es) Entrenador de bicicletas
US9039576B2 (en)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US11684819B2 (en) Indoor bicycle training device
KR20170033780A (ko) 자전거 시뮬레이터
KR101566613B1 (ko) 자전거를 이용한 뇌기능 및 근력 강화 운동기구
EP4021787A1 (en) Indoor bicycle training device
KR102467025B1 (ko) 자전거 시뮬레이터
US10130864B2 (en) Cycling training apparatus with stationary movement
US20030091966A1 (en) Excercise/simulation device
KR101352397B1 (ko) 실내용 자전거 운동기구
KR102018511B1 (ko)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 장치
KR101826472B1 (ko) 봅슬레이 가상 체험장치
KR101662635B1 (ko) 센서가 장착된 스케이트보드 및 이를 이용한 구름보드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20254880A1 (es) Simulador de ciclismo o motociclismo para la recreación y ejercicio físico
KR101915639B1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CN106621268B (zh) 模拟滑雪设备及3d模拟滑雪仪
US20170304703A1 (en) Hockey training apparatus
TWI840600B (zh) 室內固定自行車裝置
US20240009511A1 (en) Virtual Steering Apparatus
KR20120121331A (ko) 회전판을 이용한 이동형 상하지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