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374A -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 Google Patents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374A
KR20190141374A KR1020180068050A KR20180068050A KR20190141374A KR 20190141374 A KR20190141374 A KR 20190141374A KR 1020180068050 A KR1020180068050 A KR 1020180068050A KR 20180068050 A KR20180068050 A KR 20180068050A KR 20190141374 A KR20190141374 A KR 2019014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eat
chair
pedestal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95527B1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라테크, 김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라테크
Priority to KR102018006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527B1/en
Publication of KR2019014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for a protecting pelvis, wherein an empty space is formed by a seat support part (83)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a pedestal mounting part (84), the chair is coupled to the pedestal mounting part (84) formed on the front part of a base (80) by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90a, 90b), a pedestal (50)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parts (90c) formed on the base plate (82) at both sides of the pedestal (50) in the rear portion, and the seating part (50a) of the pedestal (50) moves downward to a base plate (82) by the weight of the pelvis of a user when the buttocks of a person are raised to the seating part (50a) displayed inside the pedestal (50).

Description

골반 보호용 의자{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Pelvis Protective Chair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본 발명은 골반 보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골반이 접촉되는 좌대를 탄성적으로 구성하여 골반을 보호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vic protective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vic protective chair that protects the pelvis by elastically configuring the base that the user's pelvis is in contact with.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무실, 학교, 정부기관, 교회, 극장, 집 등 실내에서 업무나 수업, 예배, 공연, 공부 등 긴 시간동안 서 있는 것이 불편한 일상에서 편리를 위하여 누구나 아주 많이 사용하는 물건으로서, 사무 등 업무에 능률을 올려주고 의학적으로는 척추의 부담을 덜어주어 몸에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Generally, a chair is an object that is used by everyone for convenience in daily life where it is inconvenient to stand for a long time such as work, class, worship, performance, study, etc in office, school, government institution, church, theater, home, etc.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ck work and medically reducing the burden on the spine, which is beneficial to the body.

하지만, 기존의 의자들은 척추 및 꼬리뼈 보호 기능이 없어, 장시간 동안 앉아 생활하는 사람들은 꼬리뼈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보통 여성이 남성보다 2배정도 많고, 오래 않아 있어야 하는 공장 근로자, 비서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또한, 눈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는 등 꼬리뼈에 충격을 준 일이 있거나 직업이나 취미상 꼬리뼈 쪽에 계속해서 자극을 주는 경우(승마 등), 분만, 난산 등의 산과적 병력, 척추의 관절염이나 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However, existing chairs do not have protection for the spine and tailbone, so people who sit for a long time feel severe pain in the tailbone. Usually women are twice as many as men and often occur in people with occupations such as factory workers or secretaries who should not be long. Also, if you have shocked the tailbone by slipping on the snow, squeezing a hip, or if you continue to stimulate the tailbone for a job or hobby (horse riding, etc.), obstetrical history such as childbirth, oviparum, arthritis or disease of the spine, etc. This may be the cause.

이러한 원인이 있는 사람들은 꼬리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의 긴장 및 수축이 심할 때 통증이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진통제나 근육 이완제 복용 또는 꼬리뼈 주변의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를 주사, 수술을 통한 치료법이 있다. 하지만 통증의 원인이 확연하여 그에 적당한 치료를 통하여 완치되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증의 반복 재발에 따른 고통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People with this cause are known to have pain when the tension and contractions of the muscles on the tailbone are severe, and they are given pain medications, muscle relaxants, or injections of local anesthetics or steroids to relax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There is this. However, except for some cases where the cause of the pain is clear and cured through proper treatment, the daily life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pain caused by the recurrence of the pain.

이러한 통증을 가진 사람들이 편안하게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의자가 고안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고통 속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Many people suffer from the problem of having to work in pain because no chair has been devised so that people with such pain can sit comfortably and work.

특히, 최근 현대인들은 직장에서의 업무, 가정에서의 컴퓨터 작업, 공부 등으로 인해 직장 및 가정에서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오랜 시간 동안 계속해서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 척추나 골반 등의 골격계에 질환을 야기하거나 또는 골격계 외의 내부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In particular, modern people have a lot of time to sit in a chair at work and home due to work at home, computer work at home, studying. Incorrect posture of sitting on a chair for a long time may cause diseases of the skeletal system such as the spine or pelvis or internal diseases other than the skeletal system.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골반의 간격에 맞게 한 쌍의 좌대 간격을 일정한 거리로 설정하여 중심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골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골반 보호용 의자를 연구 개발하여 특허 등록을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sets a pair of base seat intervals to a certain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s using the chair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center to promote the pelvic health of the user. We have researched and developed a protective chair and registered a pat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반 보호용 의자는,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방 양단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베이스힌지(13)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고정부(60)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힌지(13)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힌지(23)가 하방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좌대받침대(20)와, 베이스(10)와 좌대받침대(20)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베이스(10)에 대하여 좌대받침대(20)를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30) 및 좌대받침대(20)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좌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1 to 3, the pelvic protective chair has at least a pair of base hinges 13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ends of the base plate 11, and a fixed portion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 Base 1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60, pedestal hinge 23 hinged to the base hinge 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pair of seat pedestal 20, the base 10 And the pedestal 2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pedestal hinge 20 is coupled to the hinge, and the pedestal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ring 30 and the pedestal base 20 to elastically maintain the pedestal base 20 relative to the base ( 50).

여기서, 베이스힌지(13)에는 힌지 결합을 위한 제1힌지결합공(13a)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부(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11a)에는 고정부(6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베이스결합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first hinge coupling hole 13a for hinge coupling is formed in the base hinge 13, and the coupling portion 11a for coupling with the fixing part 60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ase 10. The coupling portion 11a has a base coupling hole 11b for screwing with the fixing portion 60.

좌대받침대(20)에는 스프링(30)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부(21a)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좌대(50)를 결합시키기 위한 좌대결합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at pedestal 20 is formed with a spring coupling portion 21a to which one end of the spring 30 is fitted, and a seat coupling hole 21b for coupling the seat 50 to one side thereof is formed.

좌대받침대(20)의 받침대힌지(23)는 베이스(10)의 측단에 접촉되어 베이스힌지(13)의 제1힌지결합공(13a)에 힌지 결합되는 제2힌지결합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The pedestal hinge 23 of the pedestal base 2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base 10 to form a second hinge coupling hole 23a hing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hole 13a of the base hinge 13. have.

스프링(30)은 그 일측이 베이스(10)의 상측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타측은 좌대받침대(20)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만곡된 형태를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The spring 30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having a curved shape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rest 20.

이때, 베이스(1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의 단부는 상향 만곡 가공된 만곡부(35)를 더 포함하고, 만곡부(35)는 좌대(50)가 과도하게 하방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further includes an upward curved curved portion 35, the curved portion 35 is a shock generated when the base 50 is moved excessively downward It will act as a buffer.

그리고 좌대받침대(20)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의 단부는 좌대받침대(20)에 고정된다. And the end of the leaf spr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at rest 20 is fixed to the seat rest 2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는, 주요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좌대받침대(20)에 각각 베이스힌지(13)와 받침대힌지(23)를 용접으로 고정한 후, 베이스힌지(13)와 받침대힌지(23)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힌지볼트(40)를 이용하여 힌지 결합시키게 된다. Pelvic protective chai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fter the main components are fixed to the base hinge 13 and the pedestal hinge 23 to the base 10 and the pedestal 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3, In the state in which the base hinge 13 and the pedestal hinge 2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hinge bolt 40 is used for hinge coupling.

이때, 베이스힌지(13)와 받침대힌지(23)를 상호 맞물리는 과정에서 힌지볼트(40)를 체결하기 전에 스프링(30)을 베이스(10)와 좌대받침대(20) 사이에 강제로 압착하여 장착한 후에 힌지볼트(40)를 체결한다. At this time, before engaging the hinge bolt 40 in the process of engaging the base hinge 13 and the pedestal hinge 23, the spring 30 is forcibly squeez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pedestal 20 for mounting. After tightening the hinge bolt (40).

그리고 좌대받침대(20) 위에 좌대(50)를 좌대 볼트(55)로 고정시킨다. Then, the seat 50 is fixed to the seat pedestal 20 with a seat bolt 55.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 캐스터(66)가 장착된 스탠드(65)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60)에 베이스(10)를 결합시키고, 베이스(10) 또는 고정부(60)에 팔걸이(75)와 등받이(70)를 결합시킴으로써, 골반 보호용 의자가 완성된다. Then, if necessary, the base 1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60 coupled to the stand 65 on which the caster 66 is mounted, and the armrest 75 to the base 10 or the fixing part 60. By combining the back and the back 70, the pelvic protection chair is completed.

따라서 사용자가 좌대(50)에 앉으면, 도 2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사용자의 골반에 의하여 가해지는 무게에 의하여 좌대(50)가 베이스힌지(13) 및 받침대힌지(23)를 중심으로 중앙 쪽에서 하향 이동하기 때문에 골반의 양측면에서 중심쪽으로 밀어주는 힘(도 2의 화살표 참조)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골반을 보호해 주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50, the seat 50 is lowered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base hinge 13 and the pedestal hinge 23 by the weight applied by the user's pelvis shown by the two-dot chain line of FIG. Because of the movement, a force (see an arrow in FIG. 2) is pushed from both sides of the pelvis toward the center to protect the user's pelv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4918호(2006.12.06. 공고, 골반 보호용 의자)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54918 (2006.12.06. Announcement, pelvic protection chair).

그러나 이와 같은 골반 보호용 의자는 그 효과는 잘 나타나지만, 이를 형성하는 부품이 많아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조립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pelvic protective chair has a good effect, but there are a lot of parts to form a lot of manufacturing cos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lot of assembly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좌우 골반을 지탱하는 좌판을 활동가능하게 종래 구조와 동일하게 하더라도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골반 보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s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even though the seat plate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pelvis of the user to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structure To provide a pelvic protective chair.

또한,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골반의 간격에 맞게 한 쌍의 좌대 간격을 일정한 거리로 설정하여 중심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골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골반 보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s using the chai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elvis to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elvis protective chair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from the center to promote the user's pelvic health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골반 건강을 위한 탄성적인 좌대장치를 가진 골반 보호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lvic protective chair having an elastic seating device for pelvic health of those who use the chai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송요소 및 무게를 줄여, 보다 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nveying element and weight, to be more convenient to transport.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의자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쉬운 부품교체로 인해 줄어드는 부품교체비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hair to provide an economic effect due to the reduced cost of parts replacement due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easy parts replacement.

본 발명은 각 착석부(50a)를 구비하는 한 쌍의 좌대(50); 한 쪽면의 모서리 끝에 받침부(90c)가 하나씩 설치되고 반대편에 한 쌍의 좌대 지지부(83)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2), 한쪽 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와 연결되고 반대쪽 면이 상기 좌대 설치부(84)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좌대 지지부(83), 상기 좌대 지지부(83)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보다 높게 형성된 좌대 설치부(84)로 구성된 베이스(80); 상기 좌대(50)와 베이스(80)를 연결하는 제1고정핀(90a)과 제2고정핀(90b)으로 형성하되; 상기 좌대 설치부(84)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좌대 지지부(83)에 의하여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80)의 전면부에 형성된 좌대 설치부(84)에는 제1, 2고정핀(90a,90b)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후면부에서는 좌대(50)의 양측 바깥 쪽에서 베이스플레이트(82) 상에 형성된 좌우측의 받침부(90c)에 좌대(50)가 올려지고, 상기 좌대(50)의 안쪽에 표시된 착석부(50a)에 사람의 엉덩이가 올려지게 되면, 사용자의 골반에 의하여 가해지는 무게에 의하여 상기 좌대(50)의 착석부(50a)가 베이스 플레이트(82)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seat 50 having each seating portion (50a); Base plate 82 is installed one by one at the corner end of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eat support 83 on the opposite sid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82 and the other side is the seat A base 80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84 and formed of a seat support part 83 formed vertically and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part 83 and formed of a seat mounting part 84 higher than the base plate 82; A first fixing pin 90a and a second fixing pin 90b connecting the pedestal 50 and the base 80 to each other; An empty space is formed by a seat support part 83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at mounting part 84,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are formed on the seat mounting part 8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80. 90a, 9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ear portion of the pedestal 50 is rais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portion 90c formed on the base plate 82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50, the rest of the pedestal 50 When the person's hips are raised to the seating portion 50a displayed therein, the seating portion 50a of the seat 50 moves downward to the base plate 82 by the weight applied by the user's pelvis. It is a pelvis protective chai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좌대(50)는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는 탄성이 강한 합판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이다.In addition, the sea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lvic protection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a strong elastic plywood or plastic that can act as a spr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효과는 사용자의 좌우 골반을 지탱하는 좌판을 활동가능하게 종래 구조와 동일하게 하더라도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Eff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structure and easy assembly even if the seat plate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pelvis of the user to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structure.

또한,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용자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골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여 미골에 발생되는 통증을 억제하며, 항문 질환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events the pelvis of the user living in the chair sitting for a long time, to relieve the pressure on the coccyx, to suppress the pain caused by the coccyx,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anal disease.

본 발명의 골반 보호용 의자는 사용하는 사람들이 탄성적인 좌대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골반 및 꼬리뼈를 보호하고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elvic protectiv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tecting the user's pelvis and tailbone and reducing pain as the user uses the elastic sea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의자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쉬운 부품교체로 인해 줄어드는 부품교체비용으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chair provides an economic effect due to the reduced cost of parts replacement due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easy parts replacement.

도 1은 일반적인 골반 보호용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골반 보호용 의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좌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를 사용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장치의 고정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pelvic protective chair.
Figure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the general pelvic protective chair.
3 is a plan view (A) and a side view (B)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seating apparatus.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elvic protectiv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when using the pelvic protectiv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pelvis protectiv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ixed state diagram of the s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s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etc. have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를 사용했을 때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보호용 의자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장치의 고정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대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pelvic prot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when using the pelvic prot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pelvic protection chai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fixed state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본 발명의 골반 보호용 의자는 의자를 지탱하는 스탠드(65), 의자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캐스터(66),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70),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75)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앉는 자리에 좌대 장치가 설치된다.The pelvic protectiv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nd 65 supporting the chair, a caster 66 to move the chair, a backrest 70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an armrest 75 supporting the user's arm. And the seat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seat where a user sits.

도 4와 도5, 도6과 같이 상기 캐스터(66)가 장착된 스탠드(65)의 상단에 고정부(60)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60)에 고정 플레이트(62)가 설치된다.4, 5, and 6, the fixing part 6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tand 65 on which the caster 66 is mounted, and the fixing plate 62 is installed on the fixing part 60.

상기 고정부(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part 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ight adjustment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상기 고정플레이트(62)의 하방 양측단에 한 쌍의 팔걸이(75)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62) 또는 고정부(60)의 하방 후단에 등받이(7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62)에 좌대장치가 설치된다.A pair of armrests 75 are coupled to both lower ends of the fixing plate 62, and the back plate 70 is mounted at the lower rear end of the fixing plate 62 or the fixing part 60, and the fixing plate ( A seating device is installed in 62).

상기 좌대장치는 한 쌍의 좌대(50)와 베이스(80), 한 쌍의 제1고정핀(90a), 한 쌍의 제2고정핀(90b), 한 쌍의 받침부(90c)로 구성된다.The seat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seats 50 and a base 80, a pair of first fixing pins 90a, a pair of second fixing pins 90b, and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90c. .

상기 좌대(50)는 각 착석부(50a)를 구비한다.The seat 50 has each seating part 50a.

또한, 좌대(50)는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는 탄성이 강한 합판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at 50 is to use a strong plywood or plastic that can act as a spring.

상기 베이스(80)는 다단 형태로서, 저면부에 베이스 플레이트(82)와 중간에서 꺽이어 탄성공간을 형성하는 좌대 지지부(83), 그리고, 의자 전면부에서 좌대와 결합되는 좌대 설치부(84)로 구성된다.The base 80 has a multi-stage configuration, a base support portion 83 that forms an elastic space by bending in the middle with the base plate 82 in the bottom portion, and a base installation portion 84 that is coupled to the base in the front surface of the chair. It consists of.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는 한 쪽면의 모서리 끝에 받침부(90c)가 하나씩 설치되고, 반대편에 한 쌍의 좌대 지지부(83)와 연결된다. The base plate 82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90c one by one corner end of one side,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seat support portions 83 on the opposite side.

또한, 상기 한 쌍의 좌대 지지부(83)와 한 쌍의 좌대 설치부(84)의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at support portions 83 and the pair of seat installation portions 84.

상기 좌대 지지부(83)는 한 쪽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와 연결되고, 반대쪽 면이 상기 좌대 설치부(84)와 연결되며, 좌대의 탄력을 받을 수 있는 높이의 수직으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seat support portion 83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82,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at mounting portion 84, and is formed vertically at a height capable of receiving elasticity of the seat.

상기 좌대 설치부(84)는 상기 좌대 지지부(83)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보다 높게 형성되며, 전면부에서 제1, 2고정핀(90a,90b)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후면부에서는 좌대(50)의 양측 바깥 쪽에서 베이스플레이트(82) 상에 형성된 좌우측의 받침부(90c)에 좌대(50)가 올려지고, 상기 좌대(50)의 안쪽에 표시된 착석부(50a)에 사람의 엉덩이가 올려지게 되면, 상기 받침부(90c)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 탄력적으로 좌대가 휘어지면서 사람의 골반을 보호해주게 되는 것이다.The seat mounting portion 84 is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portion 83 is formed higher than the base plate 82,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second fixing pins (90a, 90b) in the front portion, The seat 50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parts 90c formed on the base plate 82 on both sides of the seat 50 outside, and the buttocks of the person 50 are seated on the seat 50a displayed inside the seat 50. If is raised, since the base portion 90c is not installed portion is to be elastically bent here to protect the pelvis of the person.

즉, 상기 베이스(80)의 전면부에 형성된 좌대 설치부(84)에는 제1, 2고정핀(90a,90b)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후면부에서는 좌대(50)의 양측 바깥 쪽에서 베이스플레이트(82) 상에 형성된 좌우측의 받침부(90c)에 좌대(50)가 올려지고, 상기 좌대(50)의 안쪽에 표시된 착석부(50a)에 사람의 엉덩이가 올려지게 되면, 사용자의 골반에 의하여 가해지는 무게에 의하여 상기 좌대(50)의 착석부(50a)가 베이스 플레이트(82)로 하향 이동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가 되는 것이다.That is, the base mounting portion 84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80 is composed of the first, second fixing pins (90a, 90b) are coupled,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plate (82) on both sides of the base (50) When the seat 50 is placed on the support 90c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uttocks of the person are raised on the seating part 50a displayed inside the seat 50, it is applied by the user's pelvis. By the weight, the seating portion 50a of the pedestal 50 becomes a pelvic protective chair that moves downward to the base plate 82.

도 5와 8과 같이 본 발명의 골반 보호용 의자를 사용했을 때와 같이, 사용자의 골반에 의하여 가해지는 무게에 의하여 상기 좌대(50)의 착석부(50a)가 베이스 플레이트(82)로 하향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골반을 보호해 준다.5 and 8, the seating portion 50a of the seat 50 is moved downward to the base plate 82 by the weight applied by the user's pelvis, as in the case of using the pelvic protection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 your pelvi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단위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hai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50: 좌대
50a: 착석부
60: 고정부
62: 고정 플레이트
65: 스탠드
66: 캐스터
70: 등받이
75: 팔걸이
80: 베이스
82: 베이스 플레이트
83: 좌대 지지부
84: 좌대 설치부
90a: 제1고정핀
90b: 제2고정핀
90c: 받침부
50: base
50a: seating area
60: fixed part
62: fixed plate
65: stand
66: caster
70: backrest
75: armrest
80: base
82: base plate
83: pedestal support
84: base mounting part
90a: first retaining pin
90b: second retaining pin
90c: base

Claims (2)

각 착석부(50a)를 구비하는 한 쌍의 좌대(50);
한 쪽면의 모서리 끝에 받침부(90c)가 하나씩 설치되고 반대편에 한 쌍의 좌대 지지부(83)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82), 한쪽 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와 연결되고 반대쪽 면이 상기 좌대 설치부(84)와 연결되며 수직으로 형성된 좌대 지지부(83), 상기 좌대 지지부(83)과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82)보다 높게 형성된 좌대 설치부(84)로 구성된 베이스(80);
상기 좌대(50)와 베이스(80)를 연결하는 제1고정핀(90a)과 제2고정핀(90b)으로 형성하되;
상기 좌대 설치부(84)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좌대 지지부(83)에 의하여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80)의 전면부에 형성된 좌대 설치부(84)에는 제1, 2고정핀(90a,90b)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후면부에서는 좌대(50)의 양측 바깥 쪽에서 베이스플레이트(82) 상에 형성된 좌우측의 받침부(90c)에 좌대(50)가 올려지고, 상기 좌대(50)의 안쪽에 표시된 착석부(50a)에 사람의 엉덩이가 올려지게 되면, 사용자의 골반에 의하여 가해지는 무게에 의하여 상기 좌대(50)의 착석부(50a)가 베이스 플레이트(82)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
A pair of seats 50 provided with each seating part 50a;
Base plate 82 is installed one by one at the corner end of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seat support 83 on the opposite sid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82 and the other side is the seat A base 80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84 and formed of a seat support part 83 formed vertically and connected to the seat support part 83 and formed of a seat mounting part 84 higher than the base plate 82;
A first fixing pin 90a and a second fixing pin 90b connecting the pedestal 50 and the base 80 to each other;
An empty space is formed by a seat support part 83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at mounting part 84, and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ns are formed on the seat mounting part 8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80. 90a, 9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ear portion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ortion 90c formed on the base plate 82 on both sides of the base 50, the base 50 is raised, When the person's hips are raised to the seating portion 50a displayed inside, the seating portion 50a of the seat 50 is moved downward to the base plate 82 by the weight applied by the user's pelvis. Pelvis protective ch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50)는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는 탄성이 강한 합판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보호용 의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50) is a pelvic protective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a strong elastic plywood or plastic that can act as a spring.
KR1020180068050A 2018-06-14 2018-06-14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KR1020955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50A KR102095527B1 (en) 2018-06-14 2018-06-14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50A KR102095527B1 (en) 2018-06-14 2018-06-14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374A true KR20190141374A (en) 2019-12-24
KR102095527B1 KR102095527B1 (en) 2020-03-31

Family

ID=6900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050A KR102095527B1 (en) 2018-06-14 2018-06-14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5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293A1 (en) * 2002-10-29 2005-08-18 Wilcox Jeffrey S. Seat suspension
KR100856576B1 (en) * 2008-01-23 2008-09-04 (주) 퍼펙트 Pelvis protection 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293A1 (en) * 2002-10-29 2005-08-18 Wilcox Jeffrey S. Seat suspension
KR100856576B1 (en) * 2008-01-23 2008-09-04 (주) 퍼펙트 Pelvis protection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527B1 (en)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918B1 (en)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US20220304470A1 (en) Functional chair
JP2021122746A5 (en)
US20150123450A1 (en) Posture Support System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6080036B2 (en) Back pain improver
KR20210071233A (en) Chair for the spine streching
KR100826365B1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capable of setting displacement angle
US9215934B2 (en) Corrective chair using slider means
KR20190141374A (en)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KR100940126B1 (en) Portable knee chair
CN110522228A (en) A kind of elasticity framework and elastic parts seat and chair with the elasticity framework
KR101502128B1 (en) Yoga Chair
US3672360A (en) Spinal area back supporter and massaging device
KR101313685B1 (en) Functional chair for elastic of seat board
KR20090048281A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capable of setting displacement angle
KR200423685Y1 (en) Backplate for chair
CN207270149U (en) A kind of adaptive adjustment ergonomics Lumbar
KR102073647B1 (en) seat board cushion of chair
JP3207492U (en) Sitting posture correction seat
KR20060109602A (en) Hip-up cushion
KR20110094501A (en) Health chair for spine reinforcement
KR101173247B1 (en) Chair for correcting used slider type
KR20200017894A (en) Spine Customized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