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47A - Cup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47A
KR20190140547A KR1020180066950A KR20180066950A KR20190140547A KR 20190140547 A KR20190140547 A KR 20190140547A KR 1020180066950 A KR1020180066950 A KR 1020180066950A KR 20180066950 A KR20180066950 A KR 20180066950A KR 20190140547 A KR20190140547 A KR 2019014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flap
cup hol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3599B1 (en
Inventor
박해주
여성구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599B1/en
Publication of KR2019014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which restricts the position of a flap relative a hinge accommodation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ront and a 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from a housing by excessive rotation of the flap when mounting a beverage container.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 housing (10) having a lower hinge unit on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end thereof, wherein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finished; a cover plate (20) having an upper hinge unit assemb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matched to the lower hinge unit to set a hinge accommodation unit; a flap (30) having a hinge shaft (31) installed in the hinge accommodation unit; and an elastic body (40) installed to enclose the flap (3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supply an elastic rotation force toward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flap (30). The hinge accommodation unit restricts the position of the flap (30) relative to the hinge shaft (31)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ront and a 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장치{Cup holder for vehicle}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랩의 힌지 수용부에 대한 위치를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규제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플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prevent the flap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by regulating the positions of the flap hinge portion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각종 부가장치들이 구비되는 데, 일례로 컵홀더 장치는 음료용기의 임시 수납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통상적인 컵홀더 장치는 차실내에서 센터 콘솔과 같은 내장파트에 구비된다.In genera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additional devices to assist the occupant's convenience, for example cup holder device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temporary sto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a conventional cup holder device is provided in an interior part such as a center console in a vehicle interior.

종래, 등록특허 제10-0642550호는 차량용 컵홀더를 개시하고 있는 바, 등록특허 제10-0642550호의 도 2를 참조로 하면, 컵홀더 장치는 차실내에서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공간(110)을 갖는 홀더 본체(108)와, 상기 홀더 본체(108)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108)에 삽입되는 음료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플랩(flap: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ly, Korean Patent No. 10-0642550 discloses a cup holder for a vehicle. Referring to FIG. 2 of Patent No. 10-0642550, the cup holder device includes a space 110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a vehicle interior. And a flap 112 disposed to protrude into the holder main body 108 to sup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serted into the holder main body 108.

이와 같이 홀더 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출몰되는 플랩을 갖춘 컵홀더 장치에서는 힌지지점을 설정하는 플랩의 상단부와 홀더 본체 사이에서 선회 거동이 수반되는 플랩의 전 선회 영역에서 힌지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구조적 단점이 있어 왔다.In this way, the cup holder device having a flap that emerges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lder body can reliably support the hinge portion in the entire swing area of the flap, which is accompanied by a turning behavior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lap that sets the hinge support point and the holder body. There have been no structural drawbacks.

즉, 홀더 본체에 대해 플랩의 선회 거동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플랩의 힌지축 부위가 홀더 본체의 힌지 수용부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를 통해 플랩이 홀더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불편과 함께 개선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if the flap swings excessively with respect to the holder body, the hinge shaft portion of the flap is separated from the hinge receiving portion of the holder body, thereby causing the flap to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body. Along with the inconvenience, the situation is emerging as an improvement issue.

등록특허 제10-0642550호Patent Registration No. 10-064255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랩의 힌지 수용부에 대한 위치를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구속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장착시 플랩의 과다 선회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strain the position of the hinge receiving portion of the flap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housing due to excessive turning of the flap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mounted. It is to provide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측 둘레부위에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마감되는 하부 힌지부를 갖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 힌지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하부 힌지부와의 매칭을 통해 힌지 수용부를 설정하는 상부 힌지부를 갖춘 커버 플레이트, 상기 힌지 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갖춘 플랩,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플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랩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탄력적인 선회 작용력을 제공하는 링 형상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플랩의 힌지축에 대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플랩의 힌지축은 상기 힌지 수용부를 매개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규제받을 수 있는 힌지지점을 설정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housing having a lower hinge portion of which the upper end is opened and the bottom surface is close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protrudes toward the lower hinge portion and the lower hinge portion; A cover plate having an upper hinge portion for setting the hinge receiving portion through matching of the flap, a flap having a hinge axis installed 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and installed to surround the flap outside the housing, so as to surround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lap. And a ring-shaped elastic body that provides a resilient pivoting force toward the body, where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gulate the positio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of the flap. That is, the hinge axis of the flap sets the hinge support point that can be regul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ing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하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저면부, 상기 외벽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내측부를 지지하는 내벽부, 및 상기 플랩의 선회 거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내벽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는 트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bent outward from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to form the lower hinge portion to the outer wall portion to support in the state wrapped around the outer end of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integrally formed from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hinge shaft A bottom portion that seats and supports both lower ends, an inner wall portion that is integrally bent from the bottom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outer wall portion, and supports an inner wall portion that supports both inner portions of the hinge shaft, and a swinging behavior of the flap; In order to provide a trim that is cu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por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하부면에서 상기 하부 힌지부의 저면부를 향해 하향 돌출되는 힌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자유단부에 상기 힌지축의 양측 상단 외측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향 개구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late has a hinge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hinge portion to form the upper hinge portion, the hinge plate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at the free e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ssed portion that is opened downward to suppor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부재의 하향 돌출길이가 외측에 위치한 외측부재 보다 더 길게 설정되고,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랩의 외측면에 대한 밀착 지지를 위해 부재의 폭방향 길이가 더 크게 연장되는 단면 확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plate is set to the length of the downward projection of the inner member locat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groove portion longer than the outer member located on the out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extension is provided with a greater widthwise length of the member for close support for th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플랩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체와의 조립을 위한 삽입홈부를 갖춘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음료용기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한 가압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integrally extends downward from the hinge axis and has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assembly with the elastic body, the body portion protrude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on on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ing end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상기 플랩의 선회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선회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회 제한부는 상기 플랩의 좌우 양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부, 및 상기 돌출단부의 수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ivot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degree of swing of the flap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bout the hinge axis, wherein the pivot limit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ap, and th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ating groov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end.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끼움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상기 끼움 돌기부와 결합되는 수용 구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structure for assemb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plate, wherein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ver plate, and the fitting protrusion at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receiving structure coupled with.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하우징은 외부면에 상기 탄성체의 설치를 위한 마운팅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리브는 외측면에 상기 탄성체의 수용을 위해 삽입용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mounting rib for mounting the elastic body on the outer surface, the mounting ri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inserting for receiving the elastic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하우징에 대한 플랩 힌지축의 구속을 힌지 수용부에 의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의 장착시 플랩의 과다 선회에 따른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by the hinge accommodating portion by restraining the flap hinge shaf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departure from the housing can be prevented positivel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플랩 힌지축의 양측 하단부를 하우징의 외벽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하부 힌지부의 저면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대한 플랩의 과다 선회시에도 하우징으로부터 플랩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vehicle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support both lower end portions of the flap hinge shaft through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hinge portion projecting outward from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excessive flap of the flap with respect to the housing Even when the flap is removed from the housing can be excluded at the sou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힌지 수용부를 구성하는 상부 힌지부와 하부 힌지부를 각각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부와 하우징의 상단측 둘레부위 사이의 조립부위에 마련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와 하우징 사이의 조립 과정에서 플랩의 힌지축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upper hinge portion and a lower hinge portion constituting the hinge receiving portion o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ver plate and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using, respectively, the cover plate and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realize stable support for the hinge axis of the flap simultaneousl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만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전체 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힌지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플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힌지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커버 플레이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과 B-B선 및 C-C선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ly a cover plate in the vehicle cup holder device of FIG.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portion of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ap from the housing to expla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plate from the housing to explain the hinge accommod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line BB, and line CC of FIG. 7.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센터 콘솔과 같은 차실내의 특정위치에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플레이트(20),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다수의 수량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탄력적으로 출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음료용기의 외부면을 견고하게 파지하는 다수의 플랩(30),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플랩(30)의 탄력적인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링 형상의 밴드형 탄성체(40), 및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 사이의 조립부위에서 상기 플랩(30)의 선회동작을 위해 매련되는 힌지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in a vehicle interior such as a center conso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by the cover plate 20, the housing 1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pivot in a number of quantities and elastically emerg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flaps 30 which are firmly gripped, a ring-shaped band-like elastic body 40 which enables the resilient pivoting of the flaps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It comprises a hinge receiving portion that is forged for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flap 30 i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plates 20.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수용공간에 대한 횡단면 구조는 음료용기의 수납에 적합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shape of a receiving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is configured to secure a predetermined volume contain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therein in at least one quantit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uitable for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단측 둘레부위에 상기 플랩(30)에 대한 힌지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하부 힌지부가 구비되는 바, 상기 하부 힌지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마감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lower hinge portion for setting a hinge support point for the flap 30 on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the lower hinge portion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top is opened and the bottom surface is closed.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상부에서 부분적으로 폐쇄시켜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공간만을 외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소재의 중앙부위가 부분적으로 절개되고, 절개된 부위는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공간과 부합하는 형태로 설정된다.The cover plate 20 is assembled in a structure detachabl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partially closes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housing 10 from the upper side to only the space for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outside.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exposed. To this end, the cover plate 20 is partially cut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terial, the cut portion is set in a form that matches the space for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플랩(30)에 대한 힌지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상부 힌지부를 저면부에 구비하는 바, 상기 상부 힌지부는 상기 하부 힌지부를 향해 하향 돌출되어 하부 힌지부와의 매칭을 통해 상기 힌지 수용부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ver plate 20 includes an upper hinge portion for setting a hinge support point for the flap 30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hinge portion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lower hinge portion to match with the lower hing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set the hinge receiving portion through.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탄력적으로 출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는 음료용기의 외부면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flaps 30 are individually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at appropriate interval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and the housing 10 is elastically settl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It is configured to firmly hold and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거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플랩(30)은 상기 힌지 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힌지축(31)을 상측의 양단부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하향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요약하자면, 상기 플랩(30)은 상기 힌지 수용부에 의해 설정되는 힌지지점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측이 상기 하우징(10) 내에 수반되는 음료용기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된다.To this end, the flap 30 is installed in a state capable of turning behavior through the hinge support poin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30 is provided with a hinge shaft 31 installed 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the hinge shaft 31 It consists of a structure projecting downward toward the center. In summary, the flap 30 is pivotally installed into the housing 10 via a hinge support point set by the hinge receiving portion while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included in the housing 10. It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힌지 수용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에 대한 좌우방향(X)과 전후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은 상기 힌지 수용부를 매개로 좌우방향(X)과 전후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의 위치를 각각 규제받을 수 있는 힌지지점을 설정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hinge receiving portion, the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X), front and rear direction (Y) and up and down direction (Z)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31 of the flap (30). It is configured to regulate. That is,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sets a hinge point that can be regul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Y) and the vertical direction (Z), respectively, via the hinge receiving portion. Done.

상기 탄성체(40)는 링 형상의 밴드형 탄성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플랩(3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랩(30)에 대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한 탄력적인 선회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body 40 is formed of a ring-shaped band-shaped elastic structur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flap 30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with respect to the flap 30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silient turning force towards.

도 4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세부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as follows.

상기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측 둘레부위가 동심원 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중격벽의 구조로서, 상기 하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의 양단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하는 외벽부(11), 상기 외벽부(11)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의 양단 하부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저면부(12), 및 상기 외벽부(11)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저면부(12)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의 양단 내측부를 지지하는 내벽부(1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5, the housing 10 has a double partition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spaced concentrically and is bent toward the outside at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form the lower hinge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11 supporting the outer end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is formed integrally bent from the outer wall portion 11 to support the lower ends of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1. An inner wall part which is integrally bent from the bottom part 12 at a position spac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outer wall part 11 to suppor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1. 13).

이 경우, 상기 외벽부(11)는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에 대한 크기에 맞춰 상호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면부(12)와 상기 내벽부(13)는 각각 상기 외벽부(11)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outer wall portion 11 is composed of a pair of members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the bottom portion 12 and the inner wall The portions 13 are meant to be provided separat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portion 11, respectively.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플랩(30)의 선회 거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내벽부(13)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재를 절개하는 형태의 트임부(14)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trimming portion 14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portion 13 to allow the flap 30 to swing.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임부(14)의 양측 외부면에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15)을 구비하는 바, 상기 안착홈(15)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랩(30)의 선회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recessed grooves 15 of concave shape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trimming portion 14, the seating groove 15 is the hinge shaft It is utilized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e degree of swing of the flap 30 which is mad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bout 31.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2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에 상기 탄성체(40)의 설치를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마운팅 리브(16)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리브(16)는 외측면에 상기 탄성체(40)의 수용을 위해 외부를 향해 개구된 형태의 삽입용 홈부(17)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has mounting ribs 16 protruding outward for installation of the elastic body 40 on the outer surface, as shown in Fig. 2 and 5, respectively, the mounting ribs 16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7 in the form of an opening toward the outside to accommodate the elastic body 40 on the outer side.

이 경우, 상기 마운팅 리브(16)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면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의 개소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체(40)는 다수의 마운팅 리브(16)의 삽입용 홈부(17)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면 전 둘레부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mounting ribs 16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urality of place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elastic body 40 is installed to be stably suppor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via the insertion groove 17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ribs 16.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상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하부면에서 상기 하부 힌지부의 저면부(12)를 향해 하향 돌출되는 힌지 플레이트(21)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21)는 자유단부에 상기 힌지축(31)의 양측 상단 외측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향 개구되는 요홈부(22)를 구비한다. The cover plate 20 includes a hinge plate 2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2 of the lower hinge portion to form the upper hinge portion, and the hinge plate 21 has a free end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recess 22 which is opened downward to insert and support the upper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31).

이 경우, 상기 힌지 플레이트(21)는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의 양단부위를 상부에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22)는 각각의 힌지 플레이트(21)의 하단부위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hinge plate 21 is composed of a pair of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effectively restrain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from the top, the groove portion 22 is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separately at the lower end of each hinge plate 21.

또한, 상기 힌지 플레이트(21)는 상기 요홈부(22)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부재(21a)의 하향 돌출길이가 외측에 위치한 외측부재(21b) 보다 더 길게 설정되고, 상기 내측부재(21a)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랩(30)의 외측면에 대한 밀착 지지를 위해 부재의 폭방향 길이가 더 크게 연장되는 단면 확장부(21c)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hinge plate 21 has a downward protruding length of the inner member 21a position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recess 22 and is set longer than the outer member 21b positioned out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hinge plate 21.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ember 21a is provided with a cross-sectional extension 21c in which the widthwise length of the member extends larger for close suppor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ap 30.

상기 플랩(30)은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하향 돌출되는 구조로서, 상기 힌지축(31)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체(40)와의 조립을 위한 삽입홈부(33)를 갖춘 몸체부(32)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32)는 일측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한 가압단부(34)를 구비한다.The flap 30 has a structure projecting downwardly around the hinge shaft 31, integ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inge shaft 31 and inserting an insertion groove 33 for assembly with the elastic body 40.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32, the body portion 32 is formed on one side protruding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end portion 34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

또한, 상기 플랩(30)은 상기 몸체부(32)의 좌우 양단부에서 적정의 길이로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부(35)를 구비하는 바, 상기 돌출단부(35)는 상기 하우징(10)의 트임부(14)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홈(15)과 함께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이루어지는 상기 플랩(30)의 선회정도를 제한하는 선회 제한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15)과 상기 돌출단부(35)는 좌우 한 쌍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그 수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lap 30 has a protruding end portion 35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as a proper length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body portion 32, the protruding end portion 35 of the housing 10 Slewing to limit the turning degree of the flap 30 mad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about the hinge axis 31 with the seating groove 15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imming portion 14 It is configured to play a role of restriction. In this case, the seating groove 15 and the protruding end 35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a pair of left and right quantities,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에는 이들 사이의 조립을 보다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결합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저면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끼움 돌기부(23),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상기 끼움 돌기부(23)와 결합되는 수용 구조부(18)로 구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plate 2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structure for more robust and easy to implement the assembly therebetween, the coupling structure is the cover plate ( The fitting protrusion 2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20, and the receiving structure 18 coupled to the fitting protrusion 23 at the upp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using 10.

이 경우, 상기 끼움 돌기부(2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저면부측 전 부위에 걸쳐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 구조부(18)도 역시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측 전 둘레부위에서 상기 끼움 돌기부(23)와 매칭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fitting protrusion 23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quantitie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ver the entire portion of the bottom side of the cover plate 20, and the receiving structure 18 is also an upper end of the housing 10.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quantities at a position matching the fitting protrusion 23 at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side.

특히, 상기 수용 구조부(18)의 경우에는 상기 끼움 돌기부(23)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구멍을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structure 18,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have a through hole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member for the stable coupling with the fitting projection (23).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에 대한 구속이 상기 힌지 수용부에 의한 좌우방향(X)과 전후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음료용기를 장착할 때 상기 플랩(30)의 과다 선회에 따른 하우징(10)으로부터의 이탈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traint of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is left and right by the hinge accommodating part (X). )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Y) and up and down directions (Z), respectively,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mount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excessive turning of the flap 30 It is possible to more actively prevent departure from.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 양측 하단부를 상기 하우징(10)의 외벽부(11)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하부 힌지부의 저면부(12)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플랩(30)의 과다 선회시에도 하우징(10)으로부터 플랩(30)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hi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uter wall portion 11 of the housing 10 on both lower ends of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Since it can be stably supported through the (12), even when the flap 30 to the housing 10 is excessively turned,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departure of the flap 30 from the housing 10 at the sour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상기 힌지 수용부를 구성하는 상부 힌지부와 하부 힌지부를 각각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저면부와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측 전 둘레부위 사이의 조립부위에 각각 마련함으로써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와 상기 하우징(10) 사이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플랩(30)의 힌지축(31)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upper hinge portion and the lower hinge portion constituting the hinge receiving por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cover plate 20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By providing each of the assembly portion of the cover plate 20 and the housing 10 in the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able support for the hinge shaft 31 of the flap 30 at the same tim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하우징 11-외벽부
12-저면부 13-내벽부
14-트임부 15-안착홈
16-마운팅 리브 17-삽입용 홈부
18-수용 구조부
20-커버 플레이트 21-힌지 플레이트
21a-내측부재 21b-외측부재
21c-단면 확장부 22-요홈부
23-끼움 돌기부
30-플랩 31-힌지축
32-몸체부 33-삽입홈부
34-가압단부 35-돌출단부
40-탄성체
10-housing 11-outer wall
12-base part 13-inner wall part
14-Trim 15-Receiving Groove
16-mounting rib 17-insertion groove
18-accommodating structure
20-cover plate 21-hinge plate
21a-inner member 21b-outer member
21c cross-section extension 22-groove
23-fitting protrusions
30-flap 31-hinge shaft
32-Body 33-Insertion Groove
34-Pressure end 35-Protrusion end
40-elastomer

Claims (10)

상단측 둘레부위에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마감되는 하부 힌지부를 갖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조립되고 상기 하부 힌지부와 매칭되어 힌지 수용부를 설정하는 상부 힌지부를 갖춘 커버 플레이트;
상기 힌지 수용부 내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갖춘 플랩;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플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플랩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탄력적인 선회 작용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플랩의 힌지축에 대한 좌우방향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A housing having a lower hinge portion of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bottom surface thereof is closed at an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A cover plate assemb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n upper hinge portion that matches the lower hinge portion to set a hinge receiving portion;
A flap having a hinge axis installed in the hinge receiving portion; And
An elastic body installed to surround the flap 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provide an elastic turning force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lap;
The hinge receiving portion is a vehicle cup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gulate the posi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nt and rear and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of the fl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외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외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하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하부를 안착하여 지지하는 저면부;
상기 외벽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단 내측부를 지지하는 내벽부; 및
상기 플랩의 선회 거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내벽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되는 트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n outer wall portion bent outward from an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form the lower hinge portion and supported while wrapping outer ends of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A bottom portion integrally formed from the outer wall portion to seat and support both lower ends of the hinge shaft;
An inner wall portion formed integrally bent from the bottom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radially inward from the outer wall portion to suppor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And
And a trim that is c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wall to allow turning of the fla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힌지부의 형성을 위해 하부면에서 상기 하부 힌지부의 저면부를 향해 하향 돌출되는 힌지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자유단부에 상기 힌지축의 양측 상단 외측부를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향 개구되는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ver plate has a hinge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inge portion to form the upper hinge portion, and the hinge plate is downwardly opened to support the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at free ends.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eces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 플레이트는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한 내측부재의 하향 돌출길이가 외측에 위치한 외측부재 보다 더 길게 설정되고, 상기 내측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랩의 외측면에 대한 밀착 지지를 위해 부재의 폭방향 길이가 더 크게 연장되는 단면 확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hinge plate has a downward protruding length of the inner member locat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groove portion is set longer than the outer member located out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lap.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cross-sectional extension is provided for extending the widthwise length of the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체와의 조립을 위한 삽입홈부를 갖춘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어 음료용기의 외측면과 접촉 가능한 가압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ap integrally extends downwardly from the hinge shaft and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assembling with the elastic body, and the body portion protrudes into the housing on one side and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Cup holder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pressurized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한 상기 플랩의 선회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선회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urning limiter for limiting a turning degree of the flap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bout the hinge axi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회 제한부는 상기 플랩의 좌우 양단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부, 및 상기 돌출단부의 수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urning limiting part is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otruding en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lap, and a seating groov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e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결합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pling structure for assembling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plat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물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부에서 하향 돌출되는 끼움 돌기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상기 끼움 돌기부와 결합되는 수용 구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coupling structure is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tting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cover plate, and a receiving structure coupled to the fitting projection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면에 상기 탄성체의 설치를 위한 마운팅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 리브는 외측면에 상기 탄성체의 수용을 위해 삽입용 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has a mounting rib on the outer su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astic body, the mounting ri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body.
KR1020180066950A 2018-06-11 2018-06-11 Cup holder for vehicle KR102103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50A KR102103599B1 (en) 2018-06-11 2018-06-11 Cup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50A KR102103599B1 (en) 2018-06-11 2018-06-11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47A true KR20190140547A (en) 2019-12-20
KR102103599B1 KR102103599B1 (en) 2020-04-24

Family

ID=6906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50A KR102103599B1 (en) 2018-06-11 2018-06-11 Cup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5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444U (en) 2022-06-17 2023-12-27 정종석 A cup holder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flap having a lighting function
KR20240001773A (en) 2022-06-27 2024-01-0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KR20240001772A (en) 2022-06-27 2024-01-0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Cup holder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373A (en) * 2000-03-28 2001-10-02 Mazda Motor Corp Cup holder structure of vehicle
KR100642550B1 (en) 2005-03-02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of vehicle
KR100668882B1 (en)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cup holder for vehicle
KR101807415B1 (en) * 2016-07-06 2017-1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373A (en) * 2000-03-28 2001-10-02 Mazda Motor Corp Cup holder structure of vehicle
KR100642550B1 (en) 2005-03-02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up holder of vehicle
KR100668882B1 (en) * 2005-09-30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cup holder for vehicle
KR101807415B1 (en) * 2016-07-06 2017-12-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599B1 (en)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547A (en) Cup holder for vehicle
US10875438B2 (en) Cup holder for vehicle
EP2882048B1 (en) Charging inlet device
US11648865B2 (en) Vehicle cupholder adapter for oversized beverage container
GB2553071A (en) Container holder
US20140300125A1 (en) Center console having a rotating holding unit
JP2000052837A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1918122B1 (en) Holder
KR100568709B1 (en) cup holder acceptable of various cup
KR100704575B1 (en) Hinge structure and console armrest having the shame
KR101637766B1 (en) Cup holder of vehicle
JP6022418B2 (en) Vehicle ashtray holding structure
JP2541865B2 (en) Car storage
KR100667385B1 (en) Cup holder for vehicle
JPH08238985A (en) Lid structure of console box
JP4329568B2 (en) Vehicle accessory storage device
JP6202296B2 (en) Vehicle cup holder and vehicle cup holder housing structure
JP3604531B2 (en) Cup holder
KR20240001773A (en) Cup holder for vehicle
CN217170274U (en) Close printer that lid automatic correction upper cover position covered
CN214607231U (en) Glass stand and vehicle
KR20240001772A (en) Cup holder for vehicle
JP2546705Y2 (en) Cup holder
JP2005178673A (en) Vehicular ashtray storage device
JPH0872600A (en) Cup hold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