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410A - Rotation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Rotation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0410A KR20190140410A KR1020190068082A KR20190068082A KR20190140410A KR 20190140410 A KR20190140410 A KR 20190140410A KR 1020190068082 A KR1020190068082 A KR 1020190068082A KR 20190068082 A KR20190068082 A KR 20190068082A KR 20190140410 A KR20190140410 A KR 201901404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opening degree
- control device
- support member
- valve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밸브체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한 유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io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rotation of a valve body included in a flow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ame.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도중에 밸브 본체와 조작기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장치를 배치하고, 이 밸브 본체의 밸브체를 회동시키는 등에 의해,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적(유로 단면적)을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의 범위에서 변화시켜 상기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의 회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동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회동 제어 장치에는, 통상, 상기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밖에서 확인하기 위한 표시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 수단으로서, 신뢰성 및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기계적 기구를 이용하여 밸브체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표시하는 수단(이하, 「기계식 표시 수단」이라고 함)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a fluid, the flow control device which consists of a valve main body and a manipulato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piping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flow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a fluid passes is completed by rotating the valve body of this valve main body. It is common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by chang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fully closed state. For this reason, in the flow rate control apparatus,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valve body is provided, and this rotation control apparatus normally checks the operation state (open degree state) of the said valve body from the outside. Display means is provided. As a display means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pening state) of the valve body,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s detected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from the viewpoint of reliability and stability,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body (open view)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chanical display means") are widely used.
상기 기계식 표시 수단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수단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계식 표시 수단은, 그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체 구동부(40)의 케이싱(44) 측면에 배치된 지침 아암(50)과 눈금(62)을 구비하는 개방도 센서(42)로 구성되어 있고, 수용되어 있는 투명 케이스(60)에 마련된 창(58)으로부터 지침 아암(50)과 눈금(62)을 눈으로 봄으로써,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침 아암(50)은, 축 부재를 통해 케이싱(44)의 측면과 연결하여, 축(54)을 중심으로 케이싱(44)의 측면 내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52)이 지침 아암(50)에 마련되어 있고, 이 긴 구멍(52)에 수용된 핀(46)이 밸브체(34)의 축 이동에 따라 왕복동함으로써, 지침 아암(50)이 밸브체(34)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핀(46)은, 케이싱(44)의 측면에 개구하는 긴 구멍(48)을 통하여 축 막대(34A)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4)에는, 지침 아암(50)의 이동 궤적을 따라 복수의 접점(64)이 배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체(34)의 개방도 상태를 전기 신호로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garding the said mechanical display means, the display means of
또한, 상기 기계식 표시 수단에 관하는 별도의 종래 기술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표시 수단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계식 표시 수단은, 그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일측면에 배치된 손잡이(28)에 배치된 지침(28a)과, 마찬가지로 케이스(21)의 일측면에 배치된 눈금판(27)에 새겨진 눈금(27')이 협동함으로써, 체크 밸브(22)의 개방도(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8)는, 그 회전축(23)이 케이스(21)의 측면에 관통된 투시 구멍(27b)을 관통함으로써 케이스(21) 내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22)와 연결하고, 이에 의해 체크 밸브(22)를 회전축(23) 둘레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Moreover, as another prior art regarding the said mechanical display means, there exists the display means of
상기 기계식 표시 수단에 관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모든 표시 수단이 장치의 일측면에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방향에서밖에 표시 수단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즉, 표시 수단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범위가 좁다). 이 때문에, 좁은 공간 내에 다수의 배관이 병설된 공조 설비 내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배관 등에 의해 시계가 차단되고, 이에 의해, 표시 수단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없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태 하에서는, 보수 점검 등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기계식 표시 수단에 관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모든 표시 수단을 가동시키는 기구가, 장치 본체의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어, 장치와 표시 수단이 구조적으로 일체화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수단이 배치되는 위치는, 장치 제조 시에 확정하고, 이 위치를 부착 시 또는 부착 후에 변경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식 표시 수단에 있어서는, 시인성이 나쁜 설치 상태인 채로 사용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것도 문제가 된다.In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mechanical display means, since all the display means are arranged only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the display means can only be visually confirmed in a limited direction (that is, the range in which the display means can be visually confirmed narrow). For this reason, in an air-conditioning installati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pipes are provided in a narrow space, the clock is blocked by adjacent pipes or the like, whereby the display means cannot be visually confirmed, and the operating state (opening state) of the valve body is visually recognized. Things can happen that can't be done. Under such a situa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a lot of time and labor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check. Moreover, in the prior art regarding the said mechanical display means, the mechanism which moves all the display means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as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the apparatus and the display means are structurally integrated. For this reason,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display means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device, and to change this position at the time of attachment or after attachment. For this reason, in the mechanical display means which concerns on the prior art, it also becomes a problem that it must use while remaining in the installation state with poor visi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서의 상기 기계식 표시 수단이 안고 있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향에서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는 회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o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visually recognizing the operating state (opening state) of a valve body in various direction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mechanical display mean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는, 축체를 통하여 밸브체를 회동하며 이에 의해 유로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와, 각각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에 대하여 정지하는 정지 요소와 상기 축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지 요소와 협동하여 상기 밸브체의 개방도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가동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는, 복수의 방향에서 개별로 시인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including the same include an actuator for rotating a valve body through a shaft body and thereby controlling an open / closed state of a flow path, a stop element each of which stops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actuator; A plurality of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s comprised of the movable element which cooperates with the said stop element, and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of a shaft body, and allows the opening degree of the said valve body to be visually recognized, The said several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 is provided in several direction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in the position visually recognized individual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가, 상기 축체를 따라 상기 밸브체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를 향하는 제1 방향 및 이 제1 방향과 대향하는 제2 방향과, 상기 축체에 직교하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방향과, 상기 제1 내지 제4 방향에 직교하며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5 및 제6 방향에서 상기 케이스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각각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6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the said some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 is opposed to the 1st direction and this 1st direction toward the said actuator from the said valve body along the said shaft body. Visually confirming the case in a second direction, the third and four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and opposite to the shaft, and the fifth and six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and opposite to the first to fourth directions;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at least 2 area | regions among the 1st-6th area | regions contained in each orthographic projection surface at the time of doing so,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를 지지하며 또한 이것을 회동시키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you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the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which supports the said movable element and rotates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2 이상의 상기 가동 요소를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support two or more said movable ele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로부터 상기 밸브체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축체와 감합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fit with the said shaft body extended toward the valve body from the case of the said actu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상기 가동 요소를 상기 축체의 회동 중심과 상이한 축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which rotates the said movable element to the axis center differen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said shaft body.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기 가동 요소가, 상기 밸브체의 회동각 이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ed by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rotate more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said valv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상기 축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the flow control apparatus containing this,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be couple | bonded with the said shaft body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제어 장치와, 유로 내에 상기 밸브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한 밸브 본체와, 상기 회전 제어 장치와 상기 밸브 본체 사이에 개재하는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와 상기 밸브 본체의 케이스가 상기 요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Moreover, the flow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aid rotation control apparatus, the valve body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valve body in a flow path so that rotation, and the yoke interposed between the said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the said valve body, The case of the actuator with which the said rotation control apparatus is equipped, and the case of the said valve main body may be connected by the said yo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요크가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상기 한쌍의 측벽부 사이에서 상기 축체와 감합하고 있어도 좋다.Moreover, in the flow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said yoke may have a pair of side wall parts which the said yoke opposes, and the sai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may fit the said shaft body between the said pair of side wall parts.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방향에서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복수의 방향에서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좁은 공간 내에 다수의 배관이 병설된 공조 설비 내라도, 확실하게 밸브체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보수 점검 등에 요하는 시간과 노동력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flow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por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so that the operating state (opening state) of the valve body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the plurality of directions. For this reason, even in the air-conditioning installation in which many piping was provided in a narrow space, the operation state (open state) of a valve body can be confirmed reliably, and the time and labor required for maintenance inspection etc. can be reduced.
또한, 기계식 표시 수단이기 때문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정전 시라도 시인 가능한 표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a mechanical display means, it can provide the display means which is excellent in reliability and stability, and which can be visually recognized even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또한,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액츄에이터에 특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간단하고 또한 간이한 기구에 의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a some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 by a simple and simple mechanism, without giving special processing to an actu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기둥형부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직선 베벨 기어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좌측면도, (c)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하방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상방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지침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하방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직선 베벨 기어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직선 베벨 기어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배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상방 지지 부재로서,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우측면도, (c)는 그 평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with which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equipped, (a) is the front view, (b) the right side view, (c) is the top view.
7 is a front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lumnar part with which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equipped, (a) is the front view, (b) the right side view, (c) is the top view.
10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13 is a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to be.
1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on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17 is a rear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0 is a plan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to be.
It is a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with which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on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equipped, (a) is the front view, (b) is the right side view.
FIG. 23 is a straight bevel gea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lef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to be.
24 is a lower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
25 is an upper support member included in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
It is a guide member with which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volume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equipped, (a) is the front view, (b) the right side view, (c) is the top view.
2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9 is a plan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32 is a plan view of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rear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lef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38 is a plan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lower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
40 is a straight bevel gear included in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and (b) is a plan view thereof.
Fig. 41 is a straight bevel gea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rear view thereof. to be.
Fig. 42 is a top support member included in a rotation control device and a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front view thereof,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and (c) is a plan view thereof. .
43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45 is a plan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rear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left side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is a front view of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flow ra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9를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 중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과, 이들 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에 관해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의된 내용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모든 실시형태를 통하여 공통하는 구성 부품 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또한 그 설명을 생략한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9. In addition, description is specifically made about the area | region contained in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among the following descriptions, and the orthographic projection surface when visually confirming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and flow control apparatus which concern on this invention in these direc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shall comply with the content defined in 1st Embodiment. In addition, about the component parts common etc. through all the embodiments,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basically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와,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개방도 지시 표시부(40a 내지 40h)]와, 이들 개방도 지시 표시부(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침(41)[지침(41a 내지 41h). 이들 지침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가동 요소에 상당함]을 지지하며 또한 이것을 회동시키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회동 제어 장치(1A)에, 유로(21) 및 밸브체(22)가 내장된 밸브 본체(20)가 연결됨으로써, 유량 제어 장치(100A)가 구성되어 있다. 회동 제어 장치(1A)와 밸브 본체(20)는, 요크(30A)를 통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와 밸브 본체(20)의 케이스(23)가 연결되고, 또한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과 밸브 본체(20)의 밸브축(24)이 조인트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이하의 기술 중에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도 1에 나타내는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를 정투영도법에 있어서의 정면도로 나타낸 뒤에,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He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are the front view in the orthographic projection method of the
즉, 상하 방향은,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과 밸브 본체(20)의 밸브축(24)으로 구성된 축체(T)의 축심(C1)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정의하고, 도 1에 있어서 밸브 본체(20)로부터 액츄에이터(10)를 향하는 상향의 방향을 하상 방향(D1)[도 1 중의 화살표 참조. 이 하상 방향(D1)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 방향에 상당함], 도 1에 있어서 하향의 방향을 상하 방향(D2)[도 1 중의 화살표 참조. 이 상하 방향(D2)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 방향에 상당함]으로 정한다. 또한, 하상 방향(D1)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저면 영역(S1)[도 5 참조. 이 저면 영역(S1)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 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하고, 상하 방향(D2)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상면 영역(S2)[도 8 참조. 이 상면 영역(S2)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 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한다.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along the shaft center C1 of the shaft T formed of the
전후 방향은, 축심(C1)에 직교하며, 또한 밸브 본체(20)의 유로(21)의 중심을 이루는 축심(C2)과도 직교하는 축심(C3)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정의하고, 도 3에 있어서 우로부터 좌를 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D3)[도 3 중의 화살표 참조. 이 전후 방향(D3)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3 방향에 상당함], 도 3에 있어서 좌로부터 우를 향하는 방향을 후전 방향(D4)[도 3 중의 화살표 참조. 이 후전 방향(D4)을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4 방향에 상당함]으로 정한다. 또한, 전후 방향(D3)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전면 영역(S3)[도 1 참조. 이 전면 영역(S3)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3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하고, 후전 방향(D4)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배면 영역(S4)[도 2 참조. 이 배면 영역(S4)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4 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한다.The front-rear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along the axis C3 orthogonal to the axis C1 and also perpendicular to the axis C2 forming the center of the
좌우 방향은, 밸브 본체(20)의 유로(21)의 중심을 이루는 축심(C2)을 따르는 방향으로서 정의하고, 도 1에 있어서 좌로부터 우를 향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D5)[도 1 중의 화살표 참조. 이 좌우 방향(D5)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5 방향에 상당함], 도 1에 있어서 우로부터 좌를 향하는 방향을 우좌 방향(D6)[도 1 중의 화살표 참조. 이 우좌 방향(D6)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6 방향에 상당함]으로 정한다. 또한, 좌우 방향(D5)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좌측면 영역(S5)[도 3 참조. 이 좌측면 영역(S5)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5 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하고, 우좌 방향(D6)으로부터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을 우측면 영역(S6)(도 4 참조. 이 우측면 영역(S6)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6 영역에 상당함]으로 정한다.The left-right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along the axis C2 which forms the center of the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전후 방향(D3)과 대향하는 부분을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후전 방향(D4)과 대향하는 부분을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 좌우 방향(D5)과 대향하는 부분을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 우좌 방향(D6)과 대향하는 부분을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으로 각각 정의하고,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부 중, 전후 방향(D3)과 대향하는 부분을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 후전 방향(D4)과 대향하는 부분을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 좌우 방향(D5)과 대향하는 부분을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 및 우좌 방향(D6)과 대향하는 부분을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으로 각각 정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part which opposes the front-back peripheral area | region D1 and the part which opposes the front-back peripheral area D3 among the peripheral edge parts in bottom surface area S1 is shown. A portion facing the rear circumferential edge region Q2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5 is defined as a left circumferential edge region Q3 and a portion facing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D6 as the right circumferential edge region Q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he part which opposes the front-back direction D3 and the part which opposes the front-back direction D3 among the circumferential edge parts in the upper surface area S2 is rear-circumferential. The parts facing the edge region Q6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5 are defined as the left peripheral edge region Q7 and the parts facing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D6 as the right peripheral edge region Q8, respectively.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의 구성 부품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component parts of the
회동 제어 장치(1A)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10)는, 예컨대, 전동식의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며, 대략 직방체의 케이스(11) 내에,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12)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와, 이들 전달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한다. 케이스(11)의 하면으로부터는 출력축(12)이 돌출하고, 이 출력축(12)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밸브축(24)이 조인트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The
회동 제어 장치(1A)와 연결하여 유량 제어 장치(100A)를 구성하는 밸브 본체(20)는, 그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로(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로(21) 속에 정해진 축 둘레[예컨대 유로(21)의 중심축심(C2)과 직교하는 축 둘레]로 회동하는 밸브체(22)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22)는, 그 상부에 결합하는 밸브축(24)에 의해, 상기 정해진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밸브축(24)은, 그 선단부가 밸브 본체(20)의 외부로 돌출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과 조인트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과 접속한 밸브축(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축체(T)를 구성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0)가 구비하는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동은, 상기 전달 기구 및 축체(T)[출력축(12) 및 밸브축(24)]를 통하여 밸브체(22)에 전달된다. 밸브체(22)의 회동에 의해,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21)의 단면적(유로 단면적)이 완전 개방 상태(개방도 100)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개방도 0)의 범위로 변화되고, 이에 의해 유체의 유량이 조정(제어)된다. In the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와 밸브 본체(20)의 케이스(23)를 연결하는 요크(30A)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부(31)와, 이 바닥부(31)의 좌우측부에 세워서 설치된 좌우측 벽부(32A, 33A)로 형성된 정면도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는 박판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좌우측 벽부(32A, 33A)의 상단 사이에 액츄에이터(10)가 배치되고, 바닥부(31)의 하방에 밸브 본체(20)[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본체(20)의 케이스(23)]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요크(30A)의 바닥부(31)는, 밸브 본체(20)와 연결되는 부위이고, 그 대략 중앙에 밸브축(24)이 헐겁게 관통하는 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 구멍의 둘레에는, 밸브 본체(20)의 상면에 마련된 볼트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The
또한, 좌우측 벽부(32A, 33A)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위치하는 부위로서, 그 상단부 대략 중앙에,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낸 표시창(34, 35)이 개구하고 있다. 이 표시창(34, 35)은,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지침(41)[지침(41g, 41h)]을 요크(30A)의 밖으로 도출하며 또한 이것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부위로서, 이에 의해, 지침(41)[지침(41g, 41h)]이 요크(30A)의 외측을 회동하고,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으로부터 이 회동 동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좌우측 벽부(32A, 33A)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에 위치하는 개구부(36, 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6, 37)로부터,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지침(41)[지침(41e, 41f)]이 요크(30A)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이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portions adjacent to the left and
좌우측 벽부(32A, 33A)와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에 둘러싸인 요크(30A)의 내측 공간(38)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축체(T)[조인트를 통해 접속하는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 및 밸브축(24)]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가 축체(T)와 감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는, 예컨대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을 나타낸 감합부(51)와, 이 감합부(5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정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팔부(52)(52a 내지 52d)를 구비하고, 이들 부분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부품으로서 성형되어 있다.The movable
감합부(51)는, 원반형을 나타낸 원반부(51a)와, 그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대략 직방체형의 체결부(51b)를 구비하고, 이들 원반부(51a) 및 체결부(51b)에, 상하로 관통하는 감합 구멍(51c)이 개구하고 있다. 감합 구멍(51c)은, 축체(T)의 횡단면 형상(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 예컨대,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감합 구멍(51c)에 축체(T)가 감입함으로써,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는, 축체(T)와 일체로 되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을 축심(C1) 둘레로 회동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체결부(51b)에 암나사로 이루어지는 스크루 구멍(h1)이 개구하고, 여기에 수나사로 이루어지는 스크루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가 축체(T)에 고정된다.The
팔부(52)는,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D3), 후전 방향(D4), 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4개의 팔부(52a 내지 52d)[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전 방향(D4)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a), 전후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b), 우좌 방향(D6)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c) 및 좌우 방향(D5)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d)]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6C, th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형상에 맞추어, 전후의 방향[전후 방향(D3) 및 후전 방향(D4)]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a) 및 팔부(52b)의 팔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팔 길이 1)로 하고, 또한, 좌우의 방향[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52c) 및 팔부(52d)의 팔 길이를 대략 동일한 길이(팔 길이 2)로 하고, 또한 팔 길이 1을 팔 길이 2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지만, 이들 팔 길이를 전부 최장의 것(본 실시형태에서는 팔 길이 1)으로 통일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팔부(52)[팔부(52a 내지 52d)]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였을 때에, 부품의 통일화(모듈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rm part 52a and the
4개의 팔부(52a 내지 52d)는, 종단면 형상(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의 막대형을 나타내며, 자신이 지침(41a 내지 41d)으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그 저면[하상 방향(D1)으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면]에 지침(41a 내지 41d)이 각각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 또한, 팔부(52a 내지 52d)의 각각의 선단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0A)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즉, 팔부(52a 내지 52d)는, 요크(30A)의 외측까지 연신하고], 또한 예컨대 스크루나 스냅핏을 이용하여 지침(41)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해지도록,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오목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four arms 52a to 52d have a bar shape whos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is approximately square, and either functions as the guides 41a to 41d or visually confirms from the bottom face (lower direction D1). Available], the instructions 41a to 41d are fixedly installed (attached installation or engraving installation, respectively). Moreover, as shown in FIGS. 1-4, each tip part of the arm parts 52a-52d is located outside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지침(41e 내지 41h)은, 그 일단이 바늘형을 나타내고, 타단에는 팔부(52a 내지 52d)의 각 선단부에 마련된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오목부와 결합하는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지침(41e 내지 41h)은, 상기 바늘형을 나타낸 일단이 하상 방향(D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팔부(52a 내지 52d)의 선단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41e)은 팔부(52a)의 선단부, 지침(41f)은 팔부(52b)의 선단부, 지침(41g)은 팔부(52c)의 선단부, 지침(41h)은 팔부(52d)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The guides 41e to 41h each have a needle shape,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crew hole or a snap-fit convex portion engaged with a screw hole or a snap-fit recess provided in each of the distal ends of the arm portions 52a to 52d. . The guides 41e to 41h are the tip ends of the arms 52a to 52d (more specifically, the guides 41e are the tip ends of the arm 52a so that one end of the needle shape protrudes toward the lower direction D1). , The guide 41f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ip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침(41a 내지 41h)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0)로부터의 회동이 축체(T)를 통하여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에 전달되면, 각각은, 다른 8개의 영역에서, 축체(T)에 연동하면서 밸브체(22)와 동일한 회동각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즉, 지침(41a 내지 41d)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영역(S1)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 및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있어서 수평면 내를 회동하고, 지침(41e 내지 41h)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영역(S3),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있어서 축체(T)의 축심(C1)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면 내를 회동한다.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41a to 41h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rotation from the
이와 같이, 복수의 지침(41a 내지 41h)은, 하나의 부품으로서 형성된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를 매개로 함로써,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는 축체(T)[이 축체(T)는, 밸브체(22)를 회동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 부품임]를 공통의 구동원으로 하면서 서로가 일체로 되어(연동하여)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guides 41a to 41h are formed through the movable
여기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합부(51)와 팔부(52a 내지 52d)가 일체로 성형되고, 팔부(52a 내지 52d)와 지침(41e 내지 41h)이, 조립성의 관점에서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예컨대, 감합부(51)와 팔부(52a 내지 52d)를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팔부(52a 내지 52d)와 지침(41e 내지 41h)을 일체로 성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감합부(51), 팔부(52a 내지 52d) 및 지침(41e 내지 41h)의 전부를,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감합부(51), 팔부(52a 내지 52d) 및 지침(41e 내지 41h)의 전부를,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He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의 저면 및 측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41a 내지 41h)의 상기 회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2등분한 눈금(42a 내지 42h)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이 눈금(42a 내지 42h)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지 요소에 상당하는 부위임]. 눈금(42a 내지 42h)과 지침(41a 내지 41h)은, 각각 1 대 1로 대응하고, 서로가 협동함으로써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40a 내지 40h)를 구성하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41a)과 눈금(42a)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a)를 구성하고, 지침(41b)과 눈금(42b)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b)를 구성하고, 지침(41c)과 눈금(42c)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c)를 구성하고, 지침(41d)과 눈금(42d)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d)를 구성하고, 지침(41e)과 눈금(42e)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e)를 구성하고, 지침(41f)과 눈금(42f)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f)를 구성하고, 지침(41g)과 눈금(42g)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g)를 구성하고, 지침(41h)과 눈금(42h)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40h)를 구성하고 있음].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nges of the instructions 41a to 41h as shown in Figs. 1 to 5 on the case 11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case 11)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a)가,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b)가,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c)가,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d)가 각각 배치되고(도 5 참조), 또한, 전면 영역(S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e)가(도 1 참조), 배면 영역(S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f)가(도 2 참조), 좌측면 영역(S5)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g)가(도 3 참조), 우측면 영역(S6)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h)가(도 4 참조) 각각 배치되게 된다.According to 1st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as shown to FIG. 1 thru | or 5, the opening degree instruction |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따르면, 복수의 상이한 방향에서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요크(30A), 밸브 본체(20) 및 배관 등이 장해물이 되어 시인성이 저하하기 쉬운 저면 영역(S1)에 있어 서는, 전후 좌우의 4개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 및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가 각각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있어서는,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에 마련된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가 복수의 가동 요소[지침(41a 내지 41h)]를 지지하면서 축체(T)와 감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가동 요소[지침(41a 내지 41h)]가, 밸브체(22)와 연동하면서 케이스(11)의 외측을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의 가동 요소를 밸브체와 연동시켜 동작시키기 위한 기구를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에 내측 설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케이스(11)에 개구시키는 특별한 구조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존의 액츄에이터(10)에 대하여 상기 특별한 구조나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복수의 가동 요소를 지지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50)를 케이스(11)의 외측에서 축체(T)와 감합시키는 것만으로, 여러 방향에서 개별로 시인할 수 있는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개방도 지시 표시부(40a 내지 40h)]를 케이스(11)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지 요소로서의 눈금(42)의 고정 설치에 관해서는, 예컨대 액츄에이터(10)의 외표면에 이것을 부착 설치하면 충분하고, 또한, 액츄에이터(10)의 외표면 형상을 눈금 대신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0)에의 가공은 실질적으로 없는 것과 같다. 이 때문에, 구조 및 형상 등에 관해서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 기성의 액츄에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가 배치된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또한, 감합부(51) 및 팔부(52)[팔부(52a 내지 52d)]와, 필요하다면 지침(41)[지침(41e 내지 41h)]이, 스크루나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 가능하게 된 사양에 따르면, 감합부(51)만을 미리 축체(T)에 감합시켜 두고, 팔부(52)에 대해서는, 회동 제어 장치(1A)를 배관에 설치할 때에, 주위의 배관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눈으로 확인하기 쉬운 측면 영역[저면 영역(S1)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 동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 동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 전면 영역(S3),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 중 적어도 하나의 눈으로 확인하기 쉬운 영역]에 한해서 이것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여러 가지 배관 레이아웃이 상정되는 사용 환경에 있어서, 현장의 상황에 적합한 필요 최소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개방도 지시 표시부(40)를 배치하는 수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된 상기 사양에 따르면,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확인할 때의 작업자 등의 의식이 특정한 개방도 지시 표시부(40)에 집중하기 쉬워짐으로써, 높은 시인성과 함께 보기 쉬움을 겸비한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배치하는 수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된 상기 사양에 따르면, 시인성이 높은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40)를 배치하는 데 요하는 부품 개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각처에 부착하는 팔부(52)[팔부(52a 내지 52d)] 및 지침(41)[지침(41e 내지 41h)]의 형태(형상 및 소재 등)를 통일(모듈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 비용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인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based on FIGS. 7-9, the
이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는, 전술한 회동 제어 장치(1A) 및 유량 제어 장치(100A)에, 기둥형부(54)가 부가되고,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영역(S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i)가 새롭게 배치된 장치이다.In the
기둥형부(54)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전체 높이에 걸쳐 하상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54a)과, 좌우 방향(D5)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54b)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도에서 보아 대략 역 L자형 형상을 나타낸 부품으로서, 예컨대 수지제의 가는 각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상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하단에는, 예컨대 팔부(52c)의 선단부와 감합하는 볼록부(54c)가 돌출 설치되고, 이 볼록부(54c)에, 체결용의 스크루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D5)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54b)의 선단부는, 자신이 지침(41i)으로서 기능하도록 바늘형을 나타내고, 필요에 따라, 그 상면에 지침(41i)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 이 지침(41i)은, 상면 영역(S2) 내에 있고, 또한 축체(T)의 축심(C1)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 상을 회동한다.As shown to FIG. 7 and FIG. 9, the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상면 영역(S2)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에 있어서의 지침(41i)의 상기 회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2등분한 눈금(42i)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 지침(41i)과 눈금(42i)이 협동함으로써, 밸브체(22)의 개방도 상태를 표시하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40i)가 구성된다.In the upper surface area S2 of the
기둥형부(54)가 추가 설치된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따르면, 저면 영역(S1), 전면 영역(S3),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더하여, 상면 영역(S2)에도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가 배치게 되어,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비해서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한다. 게다가, 액츄에이터(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그 주위를 기둥형부(54)가 회동함으로써, 눈금(42)이 없어도, 케이스(11)의 형상이나 배관과의 위치 관계 등으로부터, 대략이지만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 효과는, 정전 등의 비상 시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다.According to the
또한, 도 7에서 나타내는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에 있어서는, 기둥형부(54)가 팔부(52c)에 부착되어 있지만, 다른 팔부(52a, 52b 및 52d)의 전부 또는 일부에 기둥형부(54)를 부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부품의 모듈화를 도모하기 위해, 팔부(52a 내지 52d)의 전부에 공통 사양(형태)의 기둥형부(54)를 부착하여도 좋고,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형상에 맞추어 수직 부분(54a) 및/또는 수평 부분(54b)의 형상을 변형시킨 상이한 사양(형태)의 기둥형부(54)[기둥형부(54I 내지 54IV)]를 각각에 부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팔부(52a 내지 52d)의 모든 선단부에 기둥형부(54)가 부착된 사양에 있어서는, 12개의 영역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가 배치되게 된다. 즉,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부(Q1)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a)가,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부(Q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b)가, 동좌측 둘레 가장자리부(Q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c)가, 동우측 둘레 가장자리부(Q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d)가,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i)가, 전면 영역(S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e)가, 배면 영역(S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f)가, 좌측면 영역(S5)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g)가, 우측면 영역(S6)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40h)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며, 또한,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과,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과, 동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40)[개방도 지시 표시부(40j 내지 40l)]가 배치되게 된다.In the specification in which th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를,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와,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 내지 140d)]와, 이들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침(141)[지침(141a 내지 141d). 이들 지침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가동 요소에 상당함]을 지지하며 또한 이것을 회동시키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15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회동 제어 장치(1B)에, 유로(21) 및 밸브체(22)를 내장하는 밸브 본체(20)가 연결됨으로써 유량 제어 장치(100B)가 구성되어 있다. 회동 제어 장치(1B)와 밸브 본체(2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연결 구조에 의해 접속(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액츄에이터(10) 및 밸브 본체(2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구성이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를 접속(연결)하는 요크(30B)의 기본 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100A)가 구비하는 요크(30A)와 동일하다. 단, 좌우측 벽부(32B, 33B)의 상단부 대략 중앙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창(34, 35)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이 점에서 요크(30A)(도 4 참조)와 상위하다.The basic form of the
좌우측 벽부(32B, 33B)와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에 둘러싸인 요크(30B)의 내측 공간(38)에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대략 중앙부에,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 및 이것과 조인트를 통해 접속하는 밸브축(24)으로 이루어지는 축체(T)가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후술하는 가동 요소 지지 부재(150)가, 축체(T)와 감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가동 요소 지지 부재(150)는, 예컨대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상을 나타낸 감합부(151)와, 이 감합부(15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전 방향(D4)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152a) 및 전후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152b)를 구비하고, 이들 부분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부품으로서 성형되어 있다.The movable
감합부(151)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부(51)와 기본적 구성을 같이 하고, 단,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팔부의 수가 상이하다. 즉, 감합부(151)는, 원반형을 나타낸 원반부(151a)와, 그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대략 직방체형의 체결부(151b)를 구비하고, 이들 원반부(151a) 및 체결부(151b)에는, 축체(T)의 횡단면 형상(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나타내는 감합 구멍(151c)이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이 감합 구멍(151c)에 축체(T)가 감입함으로써, 가동 요소 지지 부재(150)는 축체(T)와 일체로 되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을 축심(C1) 둘레로 회동한다.The
2개의 팔부(152a 및 152b)는, 종단면 형상(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의 막대형을 나타내며, 자신이 지침(141a 및 141b)으로서 기능하거나 또는 그 저면[하상 방향(D1)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면]에 각각 지침(141a 및 141b)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 또한, 팔부(152a 및 152b)는, 그 팔 길이가 대략 동일하며, 각각의 선단부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0B)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고[즉, 팔부(152a 및 152b)는, 요크(30B)의 외측까지 연신하고], 또한 지침(141c 및 141d)이 예컨대 스크루나 스냅핏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다.The two
지침(141c 및 141d)은, 가동 요소로서 기능하는 부위로서, 그 구조·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지침(41e 내지 41h)과 동일하다. 즉, 일단이 바늘형을 나타내고, 타단이 팔부(152a 및 152b)의 각 선단부에 마련된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오목부와 결합하는 스크루 구멍 또는 스냅핏용의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지침(141c 및 141d)은, 바늘형을 나타낸 일단이 하상 방향(D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팔부(152a 및 152b)의 선단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141c)은 팔부(152a)의 선단부, 지침(141d)은 팔부(152b)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침(141a 내지 141d)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0)로부터의 회동이 축체(T)를 통하여 가동 요소 지지 부재(150)에 전달되면, 각각은, 상이한 4개의 영역에서, 축체(T)에 연동하면서 밸브체(22)와 동일한 회동각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즉, 지침(141a 및 141b)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영역(S1)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있어서 수평면 내를 회동하고, 지침(141c 및 141d)은, 도 10 및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에 있어서 축체(T)의 축심(C1)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면 내를 회동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침(141a 내지 141d)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는 축체(T)를 공통의 구동원으로 하면서 서로가 일체로 되어(연동하여)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합부(151)와 팔부(152a 및 152b)가 일체로 성형되고, 팔부(152a 및 152b)와 지침(141c 및 141d)이, 조립성의 관점에서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감합부(151)와 팔부(152a 및 152b)가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팔부(152a 및 152b)와 지침(141c 및 141d)을 일체로 성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감합부(151), 팔부(152a 및 152b) 및 지침(141c 및 141d)의 전부를,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감합부(151), 팔부(152a 및 152b) 및 지침(141c 및 141d)의 전부를,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Her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의 저면 및 측면]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141a 내지 141d)의 회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4등분한 눈금(142a 내지 142d)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이 눈금(142a 내지 142d)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지 요소에 상당하는 부위임]. 눈금(142a 내지 142d)과 지침(141a 내지 141d)은 각각 1 대 1로 대응하고, 서로가 협동함으로써 밸브체(22)의 개방도 상태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 내지 140d)를 구성하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141a)과 눈금(142a)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를 구성하고, 지침(141b)과 눈금(142b)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b)를 구성하고, 지침(141c)과 눈금(142c)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c)를 구성하고, 지침(141d)와 눈금(142d)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d)를 구성하고 있음].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case 11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case 11)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 영역(S1)의 2개의 둘레 가장자리부[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 및 140b)가 배치되고(도 12 참조), 또한, 전면 영역(S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c)가(도 10 참조), 배면 영역(S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d)가(도 11 참조) 각각 배치되게 되다.According to 2nd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as shown to FIG. 10 thru | or 12, in two peripheral edge parts (front peripheral edge area Q1 and rear peripheral edge area Q2) of bottom surface area | region S1. The opening degre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따르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밸브체(22)의 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특히, 요크(30B), 밸브 본체(20) 및 배관이 장해물이 되어 시인성이 저하하기 쉬운 저면 영역(S1)에 있어서는,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 및 140b)가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따르면,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에 배치되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c 및 140d)가, 개구부(36, 37) 내에 형성되게 된다. 개구부(36 및 37)는, 액츄에이터(10)의 대략 전체폭에 걸쳐 개구하고 있고, 이 때문에, 밸브체의 회동각이 0 내지 90도인 경우라도, 가동 요소인 지침(141c 및 141d)과, 이들 지침을 지지하는 팔부(152a 및 152b)가 상기 회동각의 범위로 회동하여도, 요크(30B)의 좌우측 벽부(32B, 33B)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밸브체의 회동 범위(회동각)에 제한되는 일없이, 적용 범위가 넓은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따르면, 요크(30B)에 표시창(34, 35)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요크(30B)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0)의 출력축(12) 및 밸브 본체(20)의 밸브축(24)은 비교적 큰 토크로 회동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와 밸브 본체(20)의 케이스(23)를 연결하는 요크에는 비교적 높은 비틀림 강성이 요구된다. 표시창(34, 35)이 없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요크(30B)는, 높은 비틀림 강성을 확보하는 데 적합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액츄에이터(10)에 특별한 가공(정지 요소의 고정 설치 이외의 특별한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 및 형상 등에 관해서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 기성의 액츄에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가 배치된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합부(151), 팔부(152) 및 지침(141)을 일체 또는 별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합부(151) 및 팔부(152)[팔부(152a 및 152b)]와, 필요하다면 지침(141)[지침(141c 및 141d)]이 별체로서, 또한 스크루 또는 스냅핏을 이용하여 서로 착탈 가능한 사양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여러 가지 배관 레이아웃이 상정되는 사용 환경 속에서, 사용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필요 최소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를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높은 시인성과 보기 쉬움을 겸비한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방향에서 개별로 시인할 수 있는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배치하는 데 요하는 부품 개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각처에 부착하는 팔부(152)[팔부(152a 및 152b)]와 지침(41)[지침(141c 및 141d)]의 형태(형상 및 소재등)를 통일(모듈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 비용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portions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can be minimized to the minimum necessary, and the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둥형부(54)를 추가 설치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14는 이 변형예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를 나타낸 것이며, 팔부(152b)의 선단부에 기둥형부(54)가 예컨대 스크루나 스냅핏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기둥형부(54)의 구조·형태 및 기능 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면 영역(S1),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에 더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영역(S2)의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에, 기둥형부(54)의 수평 부분(54b)에 고정 설치된 지침(141e)과,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에 고정 설치된 눈금(142e)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e)가 배치되게 된다.Moreover, in the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B')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B')에 따르면, 보다 높은 시인성이 초래되고, 또한, 액츄에이터(10)의 전체 높이에 걸쳐 그 주위를 기둥형부(54)가 회동함으로써, 눈금(142)이 없어도, 케이스(11)의 형상이나 배관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대략이지만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이 효과는, 정전 등의 비상 시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According to the
기둥형부(54)의 부착 위치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팔부(152b)의 선단부 대신에 팔부(152a)의 선단부에 부착하여도 좋고, 팔부(152a 및 152b)의 각 선단부에 각각 부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부품의 모듈화를 도모하기 위해, 팔부(152a 및 152b)에 공통 사양의 기둥형부(54)를 부착하여도 좋고,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형상에 맞추어 수직 부분(54a) 및/또는 수평 부분(54b)의 형상을 변형시킨 상이한 사양(형태)의 기둥형부(54)[기둥형부(54I 및 54II)]를 각각 부착하여도 좋다.Abou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기둥형부(54)가 팔부(152a 및 152b)의 쌍방에 부착된 사양에 있어서는, 6개의 영역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가 배치되게 된다. 즉,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a)가,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b)가,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e)가, 전면 영역(S3)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c)가, 배면 영역(S4)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d)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며, 또한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140)[개방도 지시 표시부(140f)]가 배치되게 된다.In the specification in which the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를, 도 16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32.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C)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와,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개방도 지시 표시부(240a 내지 240f)]와, 이들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침(241)[지침(241a, 241b, 241d 및 241e). 이들 지침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가동 요소에 상당함]을 지지하며 또한 이것을 회동시키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와, 마찬가지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의 일부를 구성하는 눈금(242)[눈금(242c 및 242f). 이들 눈금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가동 요소에 상당함]을 지지하며 또한 이것을 회동시키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회동 제어 장치(1C)에, 유로(21) 및 밸브체(22)를 내장하는 밸브 본체(20)가 연결됨으로써 유량 제어 장치(100C)가 구성되어 있다. 회동 제어 장치(1C)와 밸브 본체(20)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연결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rotation control device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액츄에이터(10) 및 밸브 본체(20)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구성이기 때문에, 이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를 연결하는 요크(30C)의 기본 형태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제어 장치(100B)가 구비하는 요크(30B)와 동일하다. 단,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샤프트부(273b)가 관통하는 샤프트 관통 구멍(39)이, 좌우측 벽부(32C, 33C)의 대략 중앙에 개구하고 있는 점에서 요크(30B)와 상위하다.The basic form of the
좌우측 벽부(32C, 33C)와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에 둘러싸인 요크(30C)의 내측 공간(38)에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그 대략 중앙부에, 축체(T)가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축체(T)와 감합한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와,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방 지지 부재(275) 및 상방 지지 부재(276)]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는, 예컨대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역원뿔대형의 감합부(251)와, 이 감합부(25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후전 방향(D4)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252a) 및 전후 방향(D3)을 향하여 연장되는 팔부(252b)를 구비하고, 이들 부분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부품으로서 성형되어 있다.The first movable
팔부(252a 및 252b)는, 제1 실시형태의 팔부(52) 및 제2 실시형태의 팔부(152)와 동일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각 선단부에,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에 의해 지침(241d 및 241e)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침(241d 및 241e)의 구조·구성 및 동작 형태도, 제1 실시형태의 지침(41e 내지 41h) 및 제2 실시형태의 지침(141c 및 141d)과 동일하고, 감합하는 축체(T)와 연동하여 회동하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에 의해, 지침(241d 및 241e)이 정해진 영역[저면 영역(S1),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을 축체(T)의 축심(C1)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면을 따라 회동한다.The arms 252a and 252b have the same structures as the
감합부(251)는, 원반형을 나타낸 원반부(251a)와, 그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대략 직방체형의 체결부(251b)를 구비하고, 이들 원반부(251a) 및 체결부(251b)에는, 축체(T)의 횡단면 형상(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나타내는 감합 구멍(251c)이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이 감합 구멍(251c)에 축체(T)가 감입함으로써,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는 축체(T)와 일체로 되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을 축심(C1) 둘레로 회동한다.The
원반부(251a)의 하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가,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중심선[후술하는 축심(C5)]에 대하여 좌우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는, 마찬가지로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의 일부를 구성하는 2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도 23 참조)와 각각 한쌍으로 되어 감합함으로써, 후술하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를 구성하고 있다.Below the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는, 전술한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의 일부에 형성된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도 21 참조)와 2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도 23 참조)에 더하여, 눈금(242c 및 242f)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도 22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movable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273a)와 샤프트부(273b)를 구비하고, 샤프트부(273b)의 일단부에는, 후술하는 원반 부재(271)에 마련된 감합 구멍(271c)과 감합하는 연결부(273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73c)의 종단면 형상은, 원반 부재(271)에 마련된 감합 구멍(271c)에 대응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예컨대 종단면이 대략 정방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반 부재(271)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에 서로의 위치 결정용을 위한 한쌍의 볼록부 및 오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예컨대, 원반 부재(271)의 감합 구멍(271c)의 측면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의 측면에 이것과 결합하는 오목부를 마련하여도 좋다.The driven
또한, 연결부(273c)의 대략 중앙에는, 스크루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측면에 형성된 스크루 구멍(273d)이 개구하고 있다.Moreover, the
원반 부재(271)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부(271a)와 이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대략 직방체를 나타낸 체결부(271b)로 구성되어 있다. 원반부(271a)의 정면(평판면)에는,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10등분한 눈금(242f)이 고정 설치되고, 그 측면(원통면)에는, 마찬가지로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10등분한 눈금(242c)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271b)의 단부에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에 마련된 연결부(273c)와 감합하는 대략 직방체를 나타낸 감합 구멍(271c)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이 감합 구멍(271c)으로부터 원반부(271a)의 표면에 관통 하는 관통 구멍(271d)이 개구하고 있다.The
원반 부재(271)는, 그 감합 구멍(271c)에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가 감합하고, 또한, 원반부(271a)의 표면으로부터 삽입한 스크루(수나사)를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에 개구하는 스크루 구멍(273d)(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이것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As for the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연결한 원반 부재(271)는, 후술하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작용에 의해, 축체(T)에 연동하면서 축체(T)의 회동 중심[축심(C1)]과 직교하는 축심(C4)의 둘레를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정면(평판면) 및 측면(원통면)에 고정 설치된 눈금(242c 및 242f)도 또한, 축체(T)의 회동에 연동하여 정해진 영역[구체적으로는, 상면 영역(S2) 및 우측면 영역(S6)] 내를 회동한다.The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도 21 참조)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도 23 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가 맞물림으로써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를 구성하고 있다.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심(C1) 둘레의 회동[즉,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의 회동]을, 좌우 방향[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을 따른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심(C4) 둘레의 회동[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회동]으로 90도 변환하고, 이에 의해,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연결한 원반 부재(271)를, 축체(T)와 연동시키면서 축심(C4) 둘레로 회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linear bevel gear 272 (see FIG. 21) and the driven linear bevel gear 273 (see FIG. 23) constitute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1 by engaging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1 rotates around the axis C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vertically (that is, the rotation of the drive linear bevel gear 272),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left and right directions D5 and right and left directions D6). In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axis], which is converted to 90 degrees by rotation around the axis C4 (that is, rotation of the driven linear bevel gear 273), whereby the disk member (connected with the driven linear bevel gear 273) 271 is rotated around the shaft center C4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aft T. As shown in FIG.
또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는, 축체(T)의 회동각을, 예컨대 3배로 증폭시키도록, 기어비[이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의 이수로서 정의함]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3[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의 이수=1:3]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및 이것과 연결하는 원반 부재(271)는, 그 회동 중심인 축심(C4) 둘레로, 축체(T)의 회동각[즉, 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1 is a gear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mpletion / drive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하방 지지 부재(275) 및 상방 지지 부재(276)에 의해 상하가 협지됨으로써 축심(C4)의 둘레에 축 지지되어 있다.The driven
하방 지지 부재(275)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수용부(275a)와, 축심(C4)을 따른 우좌 방향(D6)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지지부(275b)와, 마찬가지로 축심(C4)을 따른 좌우 방향(D5)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지지부(275c)와, 고정부(275d)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4, the
기어 수용부(275a)는, 그 대략 중앙에, 축체(T)와 감합하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의 체결부(251b)]의 회동 영역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275h)이 개구하고, 그 주위에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와 맞물리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기어부(273a)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The gear
제1 지지부(275b) 및 제2 지지부(275c)는, 상방 지지 부재(276)와 함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를 협지하여 이것을 축 지지하는 부위이고, 각각의 상면에 샤프트부(273b)가 배치되는 홈(275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5e)의 종단면 형상은, 샤프트부(273b)의 하반분의 종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고, 상방 지지 부재(276)에 형성된 홈(276e)과 협동함으로써 샤프트부(273b)의 감입 구멍을 형성한다(즉, 각각 종단면 형상이 반원인 2개의 홈이 합쳐짐으로써, 종단면 형상이 원형상의 구멍을 형성함).The
제1 지지부(275b) 및 제2 지지부(275c)는, 각각 상방 지지 부재(276)와, 예컨대 스크루(수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 때문에, 스크루 삽입 구멍(275f)(측벽에 암나사를 형성하여도 좋음)이 홈(275e)과 평행한 단부면에 마련된 돌출부에 개구하고 있다. 또한, 스크루 대신에, 스냅핏을 이용하여 상방 지지 부재(276)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고정부(275d)는, 예컨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결합하는 부위로서, 제1 지지부(275b) 및 제2 지지부(275c)의 각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그 꼭대기부에 케이스(11)의 하면 또는 요크(30C)의 일단면과 접촉하는 면이 형성되고, 또한 이 접촉면의 대략 중앙에, 스크루 삽입 구멍(275g)이 개구하며, 스크루를 통해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된다. 또한, 스크루 대신에, 스냅핏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fixed
상방 지지 부재(27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 지지 부재(275)[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방 지지 부재(275)의 제1 지지부(275b) 및 제2 지지부(275c)]와 협동하여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샤프트부(273b)를 축심(C4)의 둘레에 축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샤프트부(273b)의 상반부를 덮는 홈(276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6e)은, 축심(C4)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종단면 형상은, 샤프트부(273b)의 상반분의 종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고 있다. 상방 지지 부재(27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수나사)를 이용하여 하방 지지 부재(275)와 결합한다. 이를 위한 스크루 삽입 구멍(276f)(측벽에 암나사를 형성하여도 좋음)이, 홈(275e)과 평행한 2개의 단부면(도 25에 있어서의 상하 단면)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에 마련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방 지지 부재(275) 및 상방 지지 부재(276)를 이용하여 축심(C4) 둘레에 축 지지된 2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어부(273a)가 좌우 방향(D5)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기어부(273a)가 우좌 방향(D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른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의 하방에, 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와 맞물린 상태로 배치된다. 하방 지지 부재(275)는,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된다.Two driven linear bevel gears 273 (more specifically, the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로부터는, 샤프트 관통 구멍(39)을 통하여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가 돌출하고, 이 연결부(273c)에, 상기 스크루를 이용한 방법 등에 의해, 눈금(242c 및 242f)을 구비하는 원반 부재(271)가 연결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원반 부재(271)가, 도 16 및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0C)의 우측 벽부(33C)로부터 돌출하는 연결부(273c)에 연결되어, 축체(T)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우측면 영역(S6) 내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rom the left and right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에 의해 지지된 지침(241a, 241b, 241d 및 241e)과, 눈금(242c 및 242f)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0)로부터의 회동이 축체(T)를 통하여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에 전달되면, 각각이 6개의 상이한 영역에서, 축체(T)에 연동하면서 회동 또는 요동하게 된다. 즉, 지침(241a 및 241b)은, 저면 영역(S1)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있어서 수평면 내를 회동하고(도 19 참조), 지침(241d 및 241e)은,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에 있어서 축체(T)의 축심(C1)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면 내를 회동한다(도 16 및 17 참조). 또한, 눈금(242c)은 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 근방을 요동하고(도 20 참조), 눈금(242f)은 우측면 영역(S6) 내를 회동한다(도 18 참조). 또한,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를 통하여 회동하는 눈금(242c 및 242f)은, 전술한 바와 같이, 1/3의 기어비를 갖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작용에 의해, 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이와 같이, 복수의 지침(241a, 241b, 241d 및 241e)과, 눈금(242c 및 242f)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로부터 돌출하는 축체(T)를 공통의 구동원으로 하면서,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라고 하는 부품을 통하여 서로가 일체로 되어(연동하여) 회동 또는 요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241a, 241b, 241d 및 241e)은,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를 통하여, 서로가 일체로 되어(연동하여)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고, 눈금(242c 및 242f)은,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를 통하여, 서로가 일체로 되어(연동하여) 회동 또는 요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의 저면 및 측면]에는, 도 16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241a, 241b, 241d 및 241e)의 회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0(완전 폐쇄)부터 100(완전 개방)까지를 4등분한 눈금(242a, 242b, 242d 및 242e)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눈금(242a, 242b, 242d 및 242e)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정지 요소에 상당하는 부위임]. 눈금(242a, 242b, 242d 및 242e)과 지침(241a, 241b, 241d 및 241e)은 1 대 1로 대응하고, 서로가 협동함으로써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하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a, 240b, 240d 및 240e)를 구성하고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침(241a)과 눈금(242a)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a)를 구성하고, 지침(241b)과 눈금(242b)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b)를 구성하고, 지침(241d)과 눈금(242d)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d)를 구성하고, 지침(241e)과 눈금(242e)에 의해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e)를 구성하고 있음].As shown in FIGS. 16 to 20, the case 11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case 11) of the
또한, 원반 부재(271)에 마련된 눈금(242c 및 242f)과 협동하여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 및 240f)를 구성하는 지침(241c 및 241f)이 지침 부재(260)에 마련되어 있다[지침(241c)은 눈금(242c)과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를 구성하고, 지침(241f)은 눈금(242f)과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f)를 구성함].In addition, the
이 지침 부재(260)는,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에 스크루 고정된 정지 요소로서, 예컨대 얇고 폭이 좁은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수직 단면 형상은 대략 열쇠형을 나타내고,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면(261)과, 이 접촉면(261)으로부터 외측으로 오프셋한 지침면(262)을 구비한다. 접촉면(261)에는 스크루가 삽입되는 구멍(263)이 개구하고 있다.This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C)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C)에 따르면,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a)가,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b)가 각각 배치되고(도 19 참조), 또한, 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가(도 20 참조), 전면 영역(S3)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d)가(도 16 참조), 배면 영역(S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e)가(도 17 참조), 우측면 영역(S6)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f)가(도 18 참조) 각각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밸브체(22)의 동작 상태(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저면 영역(S1)에 있어서는,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a 및 240b)가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요크(30C), 밸브 본체(20) 및 배관 등이 장해물이 되는 와중에 높은 시인성이 확보된다.According to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1C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and the
또한, 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 및 우측면 영역(S6)에 배치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 및 240f)에 있어서는, 가동 요소인 눈금(242c 및 242f)이, 축체(T)의 회동각[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함으로써, 스케일이 큰 시인성이 우수한 개방도 지시 표시부가 된다.In addition, in the opening degree
또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C)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C)에 따르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크(30B)와 마찬가지로, 요크(30C)에 표시창(34, 35)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요크(30C)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control device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low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원반 부재(271)를 좌우측면 영역(S5 및 S6)에 배치하기 위해,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샤프트부(273b)를 관통시키기 위한 샤프트 관통 구멍(39)이,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에 개구하게 된다. 그러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가 1/3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기준 원직경(피치원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샤프트부(273b)의 직경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 관통 구멍(39)의 개구 직경은 작게 억제되어, 샤프트 관통 구멍(39)이 개구하는 것에 따른 요크(30C)의 강성에의 영향은 거의 없다.In addition, in 3rd Embodiment, in order to arrange | position the
상기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에 기인한 샤프트부(273b)의 소직경화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로 구성되는 표시 유닛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늘어남으로써,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로부터 근거리의 위치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를 배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The small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C)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C)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가동 요소 지지 부재[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 또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가 복수의 가동 요소[지침(241a, 241b, 241d 및 241e) 또는 눈금(242c 및 242f)]를 지지하면서 이들을 회동시키고, 또한 이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에서 축체(T)와 감합함으로써 밸브체(22)와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특별한 가공이나 구조를 액츄에이터(10) 및 그 케이스(11)에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구조 및 형상 등에 관해서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 기성의 액츄에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가 배치된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rotation control apparatus 1C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and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 내지 도 20에서 나타낸 상기 사양 이외에, 좌측면 영역(S5)에 원반 부재(271)를 배치한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원반 부재(2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다. 따라서, 요크(30C)의 좌측 벽부(32C)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에, 스크루를 이용하여 원반 부재(271)를 연결하는 것만으로 상기 사양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원반 부재(271)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원반 부재(271)의 감합 구멍(271c)에 마련된 볼록부(또는 오목부)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에 마련된 오목부(또는 볼록부)가 감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3rd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aid specification shown in FIGS. 16-20, it can also be set as the specification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상기 사양에 따르면, 좌측면 영역(S5)과 상면 영역(S2)의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개방도 지시 표시부(240g 및 240h)]를 추가하여, 또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 및 240f) 대신에 이들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pecification, the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section 240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sections 240g and 240h) is added to the left peripheral edge region Q7 of the left surface region S5 and the upper surface region S2, or Instead of the opening degree
또한,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에, 부품의 통일화(모듈화)의 관점에서, 공통 사양의 원반 부재(271)를 각각 연결하여도 좋지만,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형상 등에 따라, 눈금의 고정 설치 위치나 반경이 상이한 별도 사양의 원반 부재를 각각 연결하여도 좋다.In addition, to the connecting portion 273c of the driven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둥형부(54)가,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250)의 팔부(252a) 및 팔부(252b)의 선단부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때, 팔부(252a) 및 팔부(252b)의 선단부에는, 기둥형부(54)를 부착하기 위한 스크루 구멍 등이 마련된다. 기둥형부(54)를 부착함으로써, 상면 영역(S2)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또는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개방도 지시 표시부(240i 및 240j)]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면 영역(S2)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 및/또는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눈금(242)이 고정 설치된다.Moreover, also in 3rd Embodiment, the
또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의 값을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예컨대,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를 1/2로 설정[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1:2로 설정]함으로써, 원반 부재(271)가 밸브체의 회동각의 2배로 회동(즉 180도의 범위에서 눈금이 회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원반 부재(271)에 있어서의 정면(평판면) 및 측면(원통면)의 상하 2등분할한 각 영역에 각각 눈금(242)을 고정 설치하고, 이들 눈금(242)이 회동(또는 요동)하는 위치에 지침(241)을 마련함으로써, 합계 4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27 내지 도 2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면 영역(S6)의 상하 2개의 영역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f-2 및 240f-3)가 배치되고, 저면 영역(S1)[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면 영역(S1)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g)가 배치되고, 상면 영역(S2)[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2)가 배치된다. 또한, 지침(241)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요크(30C) 또는 밸브 본체(20)의 케이스(23)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설치되면 좋다. 예컨대, 도 2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지침(241g)이, 요크(30C)의 하부에 부착된 지침 부재(260-2)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지침 부재(260-2)는, 지침면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지침 부재(260)와 동일의 구성을 취한다.In addition, the value of the gear ratio of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1 may be changed suitably. For example, the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를 1로 설정[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272)=1:1로 설정]한 경우에는, 측면 영역[좌측면 영역(S5) 또는 우측면 영역(S6)]의 상하 좌우로 4분할한 영역, 저면 영역(S1), 상면 영역(S2), 전면 영역(S3) 및 배면 영역(S4)의 합계 8개의 영역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gear ratio of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1 is set to 1 (that is, the number of driven linear bevel gears 273: drive
또한,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눈금(242)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2)를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하고, 지침(241)이 고정 설치된 지침 부재(260-3)를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에 연결하여 이것을 회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30 to 32, the disc member 271-2 having the
지침 부재(260-3)는, 예컨대 원반형을 나타낸 체결부와 막대형을 나타낸 2개의 팔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원반 부재(271)의 체결부(271a)와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스크루 등을 통해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2개의 팔부는, 각각의 선단부가 대략 수직으로 굴곡하고 있고, 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을 구비한다.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은, 각각 지침(241)이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260-3 is formed of, for example, a fastening portion showing a disk shape and two arm portions showing a rod shape. The fastening portion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지침(240)이 회동함으로써, 멀리에서도 이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눈금(242)을 읽지 않아도 그 위치로부터 밸브체(22)의 대략의 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저면 영역(S1) 또는 상면 영역(S2)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가 배치되도록,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를 2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 내지 도 32에 나타내는 원반 부재(271-2) 및 지침 부재(260-3)를 구비한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의 기어비가 1/2로 설정되어 있고, 저면 영역(S1)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지침(241g-2)과 눈금(242g-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g-2)가 배치되고, 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지침(241c-2)과 눈금(242c-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c-2)가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 영역(S6)의 상하 2분할한 영역에는, 지침(241f-4)과 눈금(242f-4)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f-4) 및 지침(241f-5)과 눈금(242f-5)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f-5)가 배치되어 있다. 지침 부재(260-3)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예컨대, 원반 부재(271)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감합부(251), 팔부(252) 및 지침(24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체 또는 별개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원반 부재(2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며, 이 경우, 위치 결정 용의 볼록부 및 오목부를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 및 원반 부재(271)의 감합 구멍(271c)에 마련하며 좋다.In addition, also in 3rd Embodiment, similarly to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one part or all part of the
감합부(251)와 팔부(252)[팔부(252d 및 252e)] 및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원반 부재(271)가 스크루 또는 스냅핏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한 사양에 따르면, 여러 가지 배관 레이아웃이 상정되는 사용 환경 속에서, 사용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필요 최소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240)를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높은 시인성과 보기 쉬움을 겸비한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개별로 시인할 수 있는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배치하는 데 요하는 부품 개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각처에 부착하는 팔부(252)[팔부(252d 및 252e)],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상방 지지 부재(276)와 원반 부재(271)의 형태(형상 및 소재 등)를 통일(모듈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 비용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that the
[제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를, 도 33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3 to 49.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D)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와,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 내지 340d)]와,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 요소[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눈금(342a 내지 342d)]를 지지하며 또한 이들을 회동시키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로 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회동 제어 장치(1D)에, 유로(21) 및 밸브체(22)를 내장하는 밸브 본체(20)가 연결됨으로써 유량 제어 장치(100D)가 구성되어 있다. 회동 제어 장치(1D)와 밸브 본체(20)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연결 구조에 의해 결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3, the
액츄에이터(10) 및 밸브 본체(2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를 접속(연결)하는 요크(30)도, 제3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장치(100C)가 구비하는 요크(30C)와 동일한 사양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좌우측 벽부(32C, 33C)와 액츄에이터(10)와 밸브 본체(20)에 둘러싸인 요크(30C)의 내측 공간(38)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 축체(T)가 수직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축체(T)와 감합한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와, 이들 2개의 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방 지지 부재(375) 및 상방 지지 부재(276, 376)]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는, 제3 실시형태의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와 기본적인 구성을 같이 하고,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를 구성하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도 40 참조)와, 이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도 23 참조)와, 눈금(342b 및 342d)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도 22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270)와의 상위점은,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가 가동 요소 지지 부재로부터 독립된 1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The first movable
원반 부재(271) 및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제3 실시형태의 그것과 구성을 같이 하는 공통의 부품이고, 이 중 원반 부재(271)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감합함으로써 축체(T)에 연동하여 축심(C4)의 둘레를 회동하고, 이에 의해, 표면에 고정 설치된 눈금(342b 및 342d)도 또한, 축체(T)의 회동에 연동하여 정해진 영역[구체적으로는, 상면 영역(S2) 및 우측면 영역(S6)] 내를 회동 또는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역원뿔대를 나타내며 또한 그 원뿔면에 이가 형성된 기어 부분(372a)과, 이 기어 부분(372a)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체결부(372b)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대략 중앙에는 축체(T)를 감입하기 위한 감합 구멍(372c)이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스크루를 이용하여 축체(T)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 구멍(372d)이, 체결부(372b)의 측벽에 개구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0, the driving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로 구성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는, 제3 실시형태의 회동 방향 변환 기구(M1)와 마찬가지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체(T) 둘레[축심(C1) 둘레]의 회동[즉,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회동]을 90도 변환하여, 좌우 방향[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C4) 둘레의 회동[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회동]으로 변환한다. 또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는, 축체(T)의 회동을, 예컨대 3배에 증속시키도록 기어비가 1/3로 설정[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이수=1:3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는, 그 회동 중심인 축심(C4) 둘레로, 축체(T)의 회동각[즉, 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2 composed of the drive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와 기본적 구성을 같이 하고, 회동 방향 변환 기구(M3)를 구성하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도 40 참조)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도 41 참조)와, 눈금(342b 및 342d)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와의 상위점은, 구성 요소인 종동 직선 베벨 기어의 사양이 상이한 점이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 길이가 상이함).The second movable
원반 부재(271)의 구성은, 제3 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며,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와 감합함으로써 축체(T)에 연동하여 축심(C4)의 둘레를 회동하고, 이에 의해, 표면에 고정 설치된 눈금(342a 및 342c)도 또한, 축체(T)의 회동에 연동하여 정해진 영역[구체적으로는, 상면 영역(S2) 및 전면 영역(S3)] 내를 회동 또는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기본적 구성을 같이 하며, 기어부(373a)와 샤프트부(373b)를 구비하고, 샤프트부(373b)의 일단부는, 원반 부재(271)와 감합하는 연결부(373c)를 구비한다.41, the driven
샤프트부(373b)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도 23 참조)의 샤프트부(273b)에 비해서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차이는,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에 있어서 전후 길이(깊이) 및 좌우 길이(폭)가 상이한 것에 기인한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전후 길이(깊이) 및 좌우 길이(폭)가 동일한 경우에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를 하나의 사양으로 통일할 수 있다.The shaft portion 373b is set longer than the
또한, 연결부(273c)의 종단면 형상은, 원반 부재(271)에 마련된 감합 구멍(271c)에 대응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예컨대 종단면이 대략 정방형을 나타내고 있다.Moreover,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273c has show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로 이루어지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3)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체(T) 둘레[축심(C1) 둘레]의 회동[즉,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회동]을 90도 변환하여, 축심(C3)에 평행한 전후 방향[전후 방향(D3) 및 후전 방향(D4)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C5) 둘레의 회동[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회동]으로 변환한다.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3 including the driving
또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3)에 있어서는,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와 마찬가지로, 축체(T)의 회전을, 예컨대 3배로 증속시키도록 기어비가 1/3로 설정[즉,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이수: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이수=1:3로 설정]되어 있고, 이 결과, 축심(C5) 둘레의 회동각은, 축체(T)의 회동각[즉, 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증폭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3, as in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 M2, the gear ratio is set to 1/3 so as to increase the rotation of the shaft T, for example, three times (that is, the driven linear bevel gear ( 273): the number of driving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및 373)는, 하방 지지 부재(375) 및 상방 지지 부재(376)에 의해 상하가 협지됨으로써 축심(C4 및 C5)의 둘레에 축 지지되어 있다.The driven
하방 지지 부재(375)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수용부(375a)와, 축심(C4)을 따른 전후 방향(D3) 및 후전 방향(D4)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375b) 및 제2 지지부(375c)와, 축심(C5)을 따른 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으로 연장되는 제3 지지부(375d) 및 제4 지지부(375e)와, 고정부(375f)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9, the
기어 수용부(375a)는, 그 대략 중앙에, 축체(T)와 감합하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를 구성하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의 체결부(372b)]가 회동하기 위한 관통 구멍(375g)이 개구하고, 그 주위에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와 맞물리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기어부(373a)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The gear accommodating part 375a has the drive linear bevel which comprises the 1st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50 (more specifically, the 1st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50) which fits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gear T. The through hole 375g for the fastening part 372b of the
제1 지지부(375b) 및 제2 지지부(375c)는, 상방 지지 부재(376)와 함께,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를 협지하는 부위이며, 그 상면에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샤프트부(373b)가 배치되는 홈(375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지지부(375d) 및 제4 지지부(375e)는, 상방 지지 부재(276)와 함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를 협지하는 부위이며, 그 상면에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샤프트부(273b)가 배치되는 홈(375i)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들 홈(375h 및 375i)의 종단면 형상은, 샤프트부(373b 및 273b)의 하반분의 종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고, 상방 지지 부재(376)에 형성된 홈(376a) 및 상방 지지 부재(276)에 형성된 홈(276e)과 협동함(종단면 형상이 반원인 2개의 홈이 합쳐짐)으로써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 및 273)의 샤프트부(373b 및 273b)의 감입 구멍을 형성한다.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se grooves 375h and 375i is similar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half of the
또한, 제1 지지부(375b) 및 제2 지지부(375c)는 상방 지지 부재(376)와, 제3 지지부(375d) 및 제4 지지부(375e)는 상방 지지 부재(276)와, 예컨대 스크루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 때문에, 한쌍의 스크루 삽입 구멍(375j)이 홈(375h 또는 375i)과 평행한 단부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냅핏을 이용하여 상방 지지 부재(376)와 결합하는 사양으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고정부(375f)는, 예컨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하는 부위로서, 제3 지지부(375d) 및 제4 지지부(375e)의 각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꼭대기부에 케이스(11)의 하면 또는 요크(30C)의 일단면과 접촉하는 면이 형성되며, 또한 이 접촉면의 대략 중앙에 스크루 삽입 구멍(375k)이 개구하고, 스크루에 의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된다. 또한, 스크루 대신에, 스냅핏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와 결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fixing
또한,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전후 길이(깊이)와 좌우 길이(폭)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1 지지부(375b) 및 제2 지지부(375c)와, 제3 지지부(375d) 및 제4 지지부(375e)를 동일한 길이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ont-rear length (depth) and left-right length (width) of the
상방 지지 부재(37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 지지 부재(375)와 협동하여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샤프트부(373b)를 축심(C5)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품으로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면에 샤프트부(373b)의 상반부를 덮는 홈(37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376a)은, 축심(C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종단면 형상은, 샤프트부(373b)의 상반분의 종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고 있다. 상방 지지 부재(37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를 이용하여 하방 지지 부재(375)와 결합하고 있고, 이를 위한 스크루 삽입 구멍(376b)이, 홈(376a)과 평행한 2개의 단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돌기부에 개구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방 지지 부재(376)와 상기 상방 지지 부재(276)의 사양의 차이(형태의 차이)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샤프트부(373b)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샤프트부(273b)의 길이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며,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전후 길이(깊이)와 좌우 길이(폭)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방 지지 부재를 하나의 사양으로 통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the form difference) of the specification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방 지지 부재(375)와 상방 지지 부재(376 및 276)를 이용하여 축심(C4) 및 축심(C5) 둘레에 축 지지된 2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어부(273a)가 좌우 방향(D5)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와, 기어부(273a)가 우좌 방향(D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른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및 2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어부(373a)가 전후 방향(D3)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와, 기어부(373a)가 후전 방향(D4)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른 1개의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는, 구동 직선 베벨 기어(372)와 맞물린 상태로, 도 33 내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0C)의 내측 공간(38)에 배치된다. 하방 지지 부재(37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되어 있다.Two driven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로부터는, 샤프트 관통 구멍(39)을 통하여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가 돌출하며, 요크(30C)의 개구부(36, 37)로부터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연결부(373c)가 노출되어 있다.From the left and right
이들 요크(30C)로부터 돌출하며 또는 노출되는 연결부(273c 및 373c)에,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눈금(342a 및 342c) 및 눈금(342b 및 342d)이 고정 설치된 2개의 원반 부재(271)가 연결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 33 및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30C)의 전방에 개구하는 개구부(36)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부(373c)와 요크(30C)의 우측 벽부(33C)로부터 돌출하는 연결부(273c)에 원반 부재(271)가 각각 연결되어, 축체(T)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전면 영역 내 및 우측면 영역 내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o the connecting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에 의해 지지된 눈금(342a 내지 342d)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0)로부터의 회동이 축체(T)를 통하여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에 전달되면, 각각이 4개의 다른 영역에서, 축체(T)에 연동하면서 회동 또는 요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scales 342a to 342d supported by the first movable
즉, 눈금(342a 내지 342d)은,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 및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 내를 좌우 또는 전후로 요동하고(도 38 참조), 전면 영역(S3) 및 우측면 영역(S6) 내를 회동한다(도 33 및 도 35 참조). 또한, 이들 눈금(342a 내지 342d)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 및 M3)의 기어비에 따라, 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That is, the scales 342a to 342d swing left and right around the inside of the front circumferential edge region Q5 and the right circumferential edge region Q8 in the upper surface region S2 (see FIG. 38), and the front region S3. ) And the right side area S6 are rotated (see FIGS. 33 and 35). As described above, these scales 342a to 342d are set to rotate at three times the rotation angle of the
이와 같이, 복수의 눈금(342a 내지 342d)은,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를 통하여, 축체(T)를 구동원으로 하여 서로가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눈금(342b 및 342d)은,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를 통하여, 축체(T)를 구동원으로 하여 서로가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고, 눈금(342a 및 342c)은,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를 통하여, 축체(T)를 구동원으로 하여 서로가 연동하면서 회동하는 가동 요소로서 구성되어 있다].In this manner, the plurality of scales 342a to 342d are movable to rotate while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using the shaft T as a drive source via the first movable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전면 및 우측면에는, 도 33 및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 부재(26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지침 부재(260)에는, 눈금(342a 내지 342d)과 협동하여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 내지 340d)를 구성하는 지침(341a 내지 341d)이 마련되어 있다.33 and 35, the
또한, 지침 부재(260)의 구조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D)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D)에 따르면, 도 33, 도 35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방향[상하 방향(D2), 전후 방향(D3), 우좌 방향(D6)]으로부터 이들 장치를 눈으로 확인하였을 때의 각각의 정투영면에 포함되는 영역[상면 영역(S2), 전면 영역(S3), 우측면 영역(S6)]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 내지 340d)가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밸브체(22)의 개방도 상태를 시인할 수 있다. 특히, 상면 영역(S2)에 있어서는,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 및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각각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 및 340b)가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높은 시인성이 확보된다.According to the
또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 내지 340d)에 있어서는, 모두 가동 요소인 눈금(342a 내지 342d)이, 축체(T)의 회동각[밸브체(22)의 회동각]의 3배로 회동하거나 또는 요동함으로써, 스케일이 큰 시인성이 우수한 개방도 지시 표시부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s 340a-340d, the scales 342a-342d which are all movable elements rotate 3 times the rotation angle (rotation angle of the valve body 22) of the shaft T, or is rocking | swing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n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section having excellent visibility with large scal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D)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D)에 따르면, 가동 요소를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창을 개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요크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요크(30C)에 있어서는,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개구부(36, 37)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개구부(36, 37)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지 않다(이 점이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함). 이 때문에,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구부(36, 37)가 없는, 예컨대 전후 좌우가 측벽으로 형성된 각통형의 요크 또는 원통형의 요크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통형 또는 원통형의 요크에 따르면, 모든 방향에 벽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실시형태에 비해서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또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D3), 후전 방향(D4), 좌우 방향(D5) 및 우좌 방향(D6)에 대향하는 요크의 측벽[예컨대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에,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의 샤프트부(273b, 373b)를 관통시키는 샤프트 관통 구멍(39)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샤프트 관통 구멍(39)이 개구하는 것에 따른 요크(30)의 강성에의 영향은,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유, 즉,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 및 M3)의 기어비가 1/3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샤프트부(273b, 373b)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개구 직경도 작게 억제됨으로써, 거의 없다.In addition, in 4th Embodiment, the side wall of the yoke (for example, left-
상기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 및 M3)의 기어비에 기인한 샤프트부(273b, 373b)의 소직경화는,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 및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및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로 구성되는 표시 유닛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늘어남으로써,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로부터 근거리의 위치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를 배치하는 것도 용이해진다.The small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D)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D)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동 제어 장치(1A)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100A)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가동 요소 지지 부재[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 또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가 복수의 가동 요소[눈금(342a 및 342c) 또는 눈금(342b 및 342d)]를 지지하면서 이들을 회동시키고, 또한 이 가동 요소 지지 부재가,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외측에서 축체(T)와 감합함으로써 밸브체(22)와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 액츄에이터(10)에 관통 구멍을 개구하거나 또는 동작 전달 기구를 내측 설치한다고 하는 특별한 가공이나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는 기성의 액츄에이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가 배치된 회동 제어 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3에서 나타낸 사양 이외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가동 요소 지지 부재(3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반 부재(271)]를 좌측면 영역(S5)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가동 요소 지지 부재(37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반 부재(271)]를 배면 영역(S4)에 배치한 사양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요크(30C)의 좌측 벽부(32C)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 및/또는 요크(30C)의 개구부(37)로부터 노출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373)의 연결부(373c)에,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도 22에 나타내는 원반 부재(271)를 연결하면 좋다. 원반 부재(271)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의 위치 결정은, 예컨대 원반 부재(271)의 감합 구멍(271c)에 마련된 볼록부(또는 오목부)와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의 연결부(273c, 373c)에 마련된 오목부(또는 볼록부)가 감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in 4th 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specification shown in FIG. 33, the 1st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50 (more specifically, a part of 1st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50)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2n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70 (more specifically, 2nd movable element support member 370) which arrange | positions the
이에 의해, 좌측면 영역(S5), 배면 영역(S4) 및 상면 영역(S2)의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 및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에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를 추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ning degree indicating
또한, 요크(30C)의 좌우측 벽부(32C, 33C)로부터 돌출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의 연결부(273c)에, 부품의 통일화(모듈화)의 관점에서, 도 22에 나타내는 공통 사양의 원반 부재(271)를 각각 연결하여도 좋지만,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의 형상 등에 따라 눈금의 고정 설치 위치나 반경이 상위한 별도 사양의 원반 부재를 각각 연결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disk member of the common specification shown in FIG. 22 to the connection part 273c of the driven
또한,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 및 M3)의 기어비의 값을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고, 예컨대, 회동 방향 변환 기구(M2 및 M3)의 기어비를 1/2로 설정함으로써, 원반 부재(271)가 밸브체의 회동각의 2배로 회동(즉 180도의 범위에서 눈금이 회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43 내지 도 48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면(평판면) 및 측면(원통면)을 상하 2등분할한 각 영역에 합계 4개의 눈금(242)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가, 전면 영역(S3),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즉, 합계 16개의 눈금(242)이 4개의 원반 부재(271)를 통해 마련되어 있음]. 또한, 눈금(342)이 회동 또는 요동하는 각각의 위치에, 지침(341)이 지침 부재[지침 부재(260 또는 260-2)]를 통해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침 부재(260-2)의 구조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values of the gear ratios of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s M2 and M3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by setting the gear ratios of the rotation direction conversion mechanisms M2 and M3 to 1/2. The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저면 영역(S1)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1)에 지침(341e)과 눈금(342e)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e)가,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2)에 지침(341f)과 눈금(342f)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f)가, 동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3)에 지침(341g)과 눈금(342g)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g)가, 동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4)에 지침(341h)과 눈금(342h)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h)가 각각 배치 되고(도 44 참조), 상면 영역(S2)에 있어서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5)에 지침(341a)과 눈금(342a)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a)가, 동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6)에 지침(341i)과 눈금(342i)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i)가, 동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7)에 지침(341j)과 눈금(342j)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j)가, 동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Q8)에 지침(341b)과 눈금(342b)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b)가 각각 배치되고(도 45 참조), 전면 영역(S3)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지침(341c-2)과 눈금(342c-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c-2)가, 동하방 부분에 지침(341c-3)과 눈금(342c-3)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c-3)가 각각 배치되고(도 43 참조), 배면 영역(S4)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지침(341k-1)과 눈금(342k-1)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k-1)가, 동하방 부분에 지침(341k-2)과 눈금(342k-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k-2)가 각각 배치되고(도 46 참조), 좌측면 영역(S5)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지침(341l-1)과 눈금(342l-1)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l-1)가, 동하방 부분에 지침(341l-2)과 눈금(342l-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l-2)가 각각 배치되고(도 48 참조), 우측면 영역(S6)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에 지침(341d-2)과 눈금(342d-2)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d-2)가, 동하방 부분에 지침(341d-3)과 눈금(342d-3)으로 구성된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d-3)가 각각 배치되게 된다(도 47 참조).According to the said embodiment, the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 part 340e comprised by the guide | tip 341e and the
또한,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눈금(342)이 고정 설치된 원반 부재(271-2)를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또는 요크(30C)에 고정하고, 지침(341)이 고정 설치된 지침 부재(260-3)를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에 연결하여 이것을 회동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disc member 271-2 in which the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를 도 49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와 연결하여 이것과 일체로 되어 회동하는 지침 부재(260-3)가,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저면 영역(S1), 상면 영역(S2), 전면 영역(S3), 배면 영역(S4), 좌측면 영역(S5) 및 우측면 영역(S6)에, 합계로 16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Embodiment which consists of the said structure i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guide member 260-3,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en
또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및 373)[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및 373)의 연결부(273c 및 373c)]와 원반 부재(271)를 스크루 또는 스냅핏 등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양에 따르면, 여러 가지 배관 레이아웃이 상정되는 사용 환경 속에서, 사용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필요 최소한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340)를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높은 시인성과 보기 쉬움을 겸비한 회동 제어 장치 및 유량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driven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방향에서 개별로 시인할 수 있는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를 배치하는 데 요하는 부품 개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각처에 부착하는 종동 직선 베벨 기어(273, 373) 및 원반 부재(271)와 상방 지지 부재(276, 376)의 형태(형상 및 소재 등)를 통일(모듈화)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 비용의 삭감 등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opening degree indication displays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can be minimized to a minimum and can be attached to each place. By unifying (modularizing) the shapes (shape and material, etc.) of the driven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모순이 없는 한, 서로 구성을 조합히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In addition, as long as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the said objective, a structure, etc. of the sai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structures with each other.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가동 요소로서의 지침[지침(41a 내지 41i, 141a 내지 141e, 241a, 241b, 241d, 241e)] 및 눈금(242c, 242f, 342a 내지 342d)과 정지 요소로서의 눈금[눈금(42a 내지 42i, 142a 내지 142e, 242a, 242b, 242d, 242e)] 및 지침(241c, 241f, 341a 내지 341d)을 서로 교체하여도 좋다.For exampl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instructions (instructions 41a to 41i, 141a to 141e, 241a, 241b, 241d, and 241e) and scales 242c, 242f, 342a to 342d as movable elements. The scales (scales 42a to 42i, 142a to 142e, 242a, 242b, 242d and 242e) as stop elements and the
또한,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형태 중 회동 변환 기구에 이용한 직선 베벨 기어를, 스파이럴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및 페이스 기어 등의 상이한 형태의 기어로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부품(부재)을 접속하거나 또는 연결하는 구조에 관해서는, 스크루 및 스냅핏에 더하여, 다른 기성의 접속·연결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3rd and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you may change the linear bevel gear used for the rotation conversion mechanism into gears of different forms, such as a spiral bevel gear, a zero roll bevel gear, and a face gear. In addition, regarding the structure which connects or connects a some component (member), you may use other conventional connection and connection methods in addition to a screw and a snap-fit.
또한, 상기 설명 중의 정지 요소의 고정 설치(부착 설치 또는 새김 설치 등)의 방법에 대해서는, 정지 부위인 액츄에이터(10)의 케이스(11) 및 요크(30)와 밸브 본체(20)에 대하여, 시일 등의 부착 설치나 각인 등의 새김 설치, 또한, 지침 부재(260)와 같은 별개체 부품을 부착하는 방법 등, 장치 외측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면 무엇이든 좋다.In addition, about the method of fixed installation (attachment installation or engraving installation etc.) of the above-mentioned description, the seal | sticker with respect to the
1A, 1B, 1C, 1D…회동 제어 장치, 100A, 100B, 100C, 100D…유량 제어 장치, 10…액츄에이터, 11…액츄에이터의 케이스, 12…출력축, 20…밸브 본체, 21…유로, 22…밸브체, 23…밸브 본체의 케이스, 24…밸브축, 30A, 30B, 30C…요크, 32A, 33A, 32B, 33B, 32C, 33C…요크의 좌우측 벽부, 34, 35…요크의 표시창, 36, 37…요크의 개구부, 38…요크의 내측 공간, 40, 140, 240, 340…개방도 지시 표시부, 41, 141, 241, 341…지침, 42, 142, 242, 342…눈금, 50, 150, 250, 270, 350, 370…가동 요소 지지 부재, 54…기둥형부, 271…원반 부재, 272…구동 직선 베벨 기어, 273…종동 직선 베벨 기어, 275, 375…하방 지지 부재, 276, 376…상방 지지 부재, T…축체, M1, M2, M3…회동 방향 변환 기구, D1…하상 방향, D2…상하 방향, D3…전후 방향, D4…후전 방향, D5…좌우 방향, D6…우좌 방향, S1…저면 영역, S2…상면 영역, S3…전면 영역, S4…배면 영역, S5…좌측면 영역, S6…우측면 영역, Q1…저면 영역(S1)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2…저면 영역(S1)의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3…저면 영역(S1)의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4…저면 영역(S1)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5…상면 영역(S2)의 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6…상면 영역(S2)의 후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7…상면 영역(S2)의 좌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 Q8…상면 영역(S2)의 우측 둘레 가장자리 영역.1A, 1B, 1C, 1D... Rotating control device, 100A, 100B, 100C, 100D ... Flow control device, 10.. Actuator, 11.. Actuator case, 12... Output shaft, 20..
Claims (10)
각각이 상기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에 대하여 정지하는 정지 요소와 상기 축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정지 요소와 협동하여 상기 밸브체의 개방도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가동 요소로 구성된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방도 지시 표시부는, 복수의 방향에서 개별로 시인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제어 장치.An actuator for rotating the valve body through the shaft body and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flow path;
A plurality of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sections each include a stop element that stops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actuator and a moveable element that cooperates with the stop element in cooper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to allow the opening of the valve body to be visually recognized.
Including,
And said plurality of opening degree indicating display units are disposed at positions visually recogniz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respectively.
유로 내에 상기 밸브체를 회동 가능하게 배치한 밸브 본체와,
상기 회전 제어 장치와 상기 밸브 본체 사이에 개재하는 요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액츄에이터의 케이스와 상기 밸브 본체의 케이스가 상기 요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장치.The rota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3,
A valve body in which the valve body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so as to be rotatable,
Yoke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valve body
Including,
And a case of the actuator provided in the rotation control device and the case of the valve body are connected by the y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11418A JP2019215022A (en) | 2018-06-11 | 2018-06-11 | Rotation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device |
JPJP-P-2018-111418 | 2018-06-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0410A true KR20190140410A (en) | 2019-12-19 |
KR102220098B1 KR102220098B1 (en) | 2021-02-25 |
Family
ID=6881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082A KR102220098B1 (en) | 2018-06-11 | 2019-06-10 | Rotation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devic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9215022A (en) |
KR (1) | KR102220098B1 (en) |
CN (1) | CN110578830A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71832B2 (en) | 1990-09-27 | 1999-03-17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Air conditioner |
KR200407195Y1 (en) * | 2005-11-09 | 2006-01-25 | 주식회사 은하양행 | Diplay apparatus of operating state of Electric actuater |
JP3865745B2 (en) | 2004-08-20 | 2007-01-10 |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 Water flow detecto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KR101004118B1 (en) * | 2010-04-22 | 2010-12-27 | 주식회사 삼일오토 | Actuator with indicator of valve's open-close rate |
KR20110114953A (en) * | 2010-04-14 | 2011-10-20 | (주)아름텍 | A moisture intercept device of valve |
KR20160023148A (en) * | 2014-08-21 | 2016-03-03 | 주식회사 밸칸 | Actuated Pneumatic Control Valv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77831A (en) * | 1985-04-01 | 1986-03-25 | Sun Hydraulics Corporation | Calibrated handknob assembly |
CN100552273C (en) * | 2006-04-03 | 2009-10-21 | 林德宽 | Valve with isolation seal driving opening, close device |
US7739978B2 (en) * | 2007-09-18 | 2010-06-22 | Metso Automation Usa Inc. | Rotatable shaft position indicator |
CN201141474Y (en) * | 2007-12-03 | 2008-10-29 | 天津百利二通机械有限公司 | Opening indication dial disc of electric multi-slewing valve |
US8800597B2 (en) * | 2011-04-15 | 2014-08-12 | Graco Minnesota Inc. | Fine control gas valve |
CN202182250U (en) * | 2011-09-01 | 2012-04-04 | 丹佛斯(鞍山)控制阀有限公司 | Rotary valve |
CN104121378A (en) * | 2014-07-25 | 2014-10-29 | 江苏海纳机电集团有限公司 | Manual adjustment stop valve |
CN206889820U (en) * | 2017-06-12 | 2018-01-16 | 江苏高华流体控制有限公司 | Plug valve |
-
2018
- 2018-06-11 JP JP2018111418A patent/JP2019215022A/en active Pending
-
2019
- 2019-06-10 CN CN201910496616.5A patent/CN110578830A/en active Pending
- 2019-06-10 KR KR1020190068082A patent/KR10222009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71832B2 (en) | 1990-09-27 | 1999-03-17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Air conditioner |
JP3865745B2 (en) | 2004-08-20 | 2007-01-10 | 株式会社立売堀製作所 | Water flow detecto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
KR200407195Y1 (en) * | 2005-11-09 | 2006-01-25 | 주식회사 은하양행 | Diplay apparatus of operating state of Electric actuater |
KR20110114953A (en) * | 2010-04-14 | 2011-10-20 | (주)아름텍 | A moisture intercept device of valve |
KR101004118B1 (en) * | 2010-04-22 | 2010-12-27 | 주식회사 삼일오토 | Actuator with indicator of valve's open-close rate |
KR20160023148A (en) * | 2014-08-21 | 2016-03-03 | 주식회사 밸칸 | Actuated Pneumatic Control Val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9215022A (en) | 2019-12-19 |
KR102220098B1 (en) | 2021-02-25 |
CN110578830A (en) | 2019-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27788B2 (en) | Duplex meter unit | |
EP0740097B1 (en) | Angular position indicator for remotely displaying the positions of valve elements, actuators and the like | |
KR20190140410A (en) | Rotation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device | |
US7077750B1 (en) | Multi directional input apparatus | |
JP6928769B2 (en) | Robot lumbar skeleton and robot | |
CN113167407B (en) |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CN205605634U (en) | How much synchronous pivot wares of restriction | |
CN103056867B (en) | Flexible micro-moving manipulator | |
US8256129B2 (en) | Test indicator | |
JPS6270723A (en) | Pressure gage | |
EP4442407A1 (en) | Spatial parallelogram linkage structure and miniaturized mechanical arm having same, and application of miniaturized mechanical arm | |
EP0638396B1 (en) | A rapid attachment device for a manipulator head | |
WO2022181700A1 (en) | Magnetic detection device and absolute encoder | |
WO1996041128A1 (en) | Inclination-compensating display device for a compass | |
JPH11311517A (en) | Surveying instrument | |
CN100501372C (en) | Grating driving mechanism of spectrophotometer | |
JPS6237732A (en) | 3-dimensional joy stick controller | |
JP2011090501A (en) | Lever operation device | |
US20120156081A1 (en) | Shaft Structure in a Pneumatic Actuator | |
CN215494766U (en) | Double-shaft industrial operating handle structure | |
US3430511A (en) | Linkage arrangement for instrumentation apparatus | |
CN217814908U (en) | Direct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ic actuator | |
JPH051150Y2 (en) | ||
JP7210328B2 (en) | Inspection Jig, Gauge Inspection Machine and Gauge Holding Method | |
JP2000233326A (en) | Assembling structure of gear and method of inserting plural gears in gear box having plural shaf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