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871A -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871A
KR20190139871A KR1020197030215A KR20197030215A KR20190139871A KR 20190139871 A KR20190139871 A KR 20190139871A KR 1020197030215 A KR1020197030215 A KR 1020197030215A KR 20197030215 A KR20197030215 A KR 20197030215A KR 20190139871 A KR20190139871 A KR 2019013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rame
wireless terminal
addres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877B1 (ko
Inventor
고스케 아이오
도모야 야마우라
유이치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3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한다. 통신부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송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본 기술은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에 있어서는 IEEE 802.11 규격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무선 LAN에 있어서, 어느 무선 단말기 STA_A가 다른 무선 단말기 STA_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그 무선 단말기 STA_B의 존재를 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무선 단말기 STA_B는 은닉 노드(단말기)라 칭해진다.
IEEE 802.11 규격에서는, 무선 단말기 STA_A와 은닉 노드 STA_B 사이에서 프레임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RTS(Request To Send)/CTS(Clear To Send) 플로우 제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은닉 노드가 있는 경우에 RTS/CTS 플로우 제어를 행하고 은닉 노드가 없는 경우에 RTS/CTS 플로우 제어를 행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RTS/CTS 플로우 제어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 앞으로의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프레임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이 금지되는 기간인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는, 설정한 NAV가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RTS 프레임의 송신을 억제한다. 이 NAV는, 통신 종료 시에 송신되는 CF(Contention Free)-End 프레임에 의하여 초기화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49602호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RTS/CTS 플로우 제어에 의하여 은닉 노드와의 사이의 프레임의 충돌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RTS/CTS 플로우 제어를 행한 경우에도 소정의 사례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은닉 노드가 존재하는 BSS(Basic Service Set)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CTS 프레임을 수신하여 NAV를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하자. 이 NAV가 경과하기 전에 그 BSS 외부로부터의 CF-End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면, 그 무선 단말기(202)는, 은닉 노드가 통신 중임에도 불구하고 NAV를 초기화해 버리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NAV의 초기화 후에 무선 단말기가 BSS 내로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면 은닉 노드와의 사이에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밖의 사례에 있어서도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RTS/CTS 플로우 제어에 의하더라도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지 못하는 사례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이며,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술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1 측면은,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이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속하는 네트워크인 내부 네트워크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해당하지 않는 네트워크인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이 금지되는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 또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 송신 금지 기간과 기본 송신 금지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네트워크 간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마다 개별로 설정하고, 상기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외부 네트워크마다 개별로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가 갱신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 중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새로이 접속된 단말기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절단된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한쪽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가 갱신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무선 단말기가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송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이 설정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이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에 의하여 서로 교환하여,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교환한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교환한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가 갱신된다는 작용을 초래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IEEE 802.11 규격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관리 테이블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TS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TS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F-End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초기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지 않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 송수신 후의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관리 테이블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초기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BSS마다 개별로 NAV를 설정하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3은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4는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교환하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7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 행한다.
1. 제1 실시 형태(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는 예)
2. 제2 실시 형태(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의 BSS마다 NAV를 설정하는 예)
3. 제3 실시 형태(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는 예)
4. 제4 실시 형태(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는 예)
5. 제5 실시 형태(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교환하고,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설정하는 예)
<1. 제1 실시 형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이 통신 시스템은 BSS(501 내지 503) 등의 소정 수의 BSS로 구성된다. 여기서 BSS는, 기지국과, 그 기지국에 접속된 무선 단말기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는 인프라 네트워크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BSS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네트워크의 일례이다.
BSS(501)는, 예를 들어 기지국(101)과 무선 단말기(201 내지 203)로 구성된다. BSS(502)는, 예를 들어 기지국(102)과 무선 단말기(204)로 구성되고, BSS(503)는, 예를 들어 기지국(103)과 무선 단말기(205)로 구성된다. BSS의 각각에는, BSS를 식별하기 위한 BSSID(Basic Service Set ID)가 할당된다. BSSID로서, 예를 들어 기지국의 MAC 어드레스가 이용된다. 또한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나 모기라고도 칭해진다. 무선 단말기는 자기라고도 칭해진다. 또한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의 각각은 무선국이라고도 칭해진다.
여기서 BSS(501) 등의 각각은, 기지국에 무선 단말기가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IEEE 802.11 규격에 있어서는, 무선 단말기가, 접속을 요구하는 어소시에이션 요구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이, 접속을 인정하는 어소시에이션 응답을 회신함으로써,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의 접속에 성공하면, 무선 단말기는 그 기지국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기지국도 그 무선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를 보유한다. 따라서 각각의 BSS에 있어서, 기지국은 적어도 그 BSS 내의 모든 무선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고, 무선 단말기는 적어도 기지국의 MAC 어드레스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101) 등과 무선 단말기(201) 등은, 전파 도달 범위 내이면 IEEE 802.11 규격에 따라 서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프레임을 송신하는 무선국(기지국 또는 무선 단말기)을 「송신국」이라 칭하고, 프레임을 수신하는 무선국을 「수신국」이라 칭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무선 단말기에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송신국으로 되고 무선 단말기가 수신국으로 된다.
또한 IEEE 802.11 규격에는 IEEE 802.11a나 IEEE 802.11b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상술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IEEE 802.11ax가 이용된다.
IEEE 802.11 규격에 있어서는, BSS에 있어서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기의 각각은, 매체의 상태가 비지 상태 및 아이들 상태 중 어느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 중 하나의 방식으로서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식이 있다. 이 CSMA/CA 방식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은 데이터를 송신할 때 매체의 검지를 행하여 그 상태를 판단한다. 이 검지 수순은 캐리어 센스라 칭해진다. 캐리어 센스에 있어서, 무선국은, 다른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신호 강도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매체가 비지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매체가 비지 상태가 아닌(즉,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무선 단말기는, 랜덤으로 정해진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전술한 은닉 노드가 없으면 상술한 CSMA/CA 방식에 의하여 프레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무선 단말기 사이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나, 무선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전파 도달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등에 은닉 노드가 생기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 센스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2)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하자. 또한 실선 화살표는, 캐리어 센스로 아이들 상태라고 판단한 후에 무선국이 송수신하는 신호를 나타낸다. 이 전파 상황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2)는 캐리어 센스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3), 기지국(102) 및 기지국(103)으로부터 역치를 초과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단말기(202)는 무선 단말기(201) 등으로부터 역치를 초과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에서 보아 무선 단말기(201)는 은닉 노드에 해당한다.
무선 단말기(201)와 같은 은닉 노드가 있으면, 무선국은, 그 은닉 노드의 통신에 의하여 BSS가 비지 상태임을 검지하지 못하여 프레임의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문제는 은닉 노드 문제라 칭해진다. 이 은닉 노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EEE 802.11 규격에 있어서는 RTS/CTS 플로우 제어가 이용되고 있다.
RTS/CTS 플로우 제어는, 데이터 송신에 앞서 무선국이,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고, 송신을 허가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것이면,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제어 방법이다.
여기서,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무선국을,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2)로 하고, CTS 프레임을 회신하는 무선국을, 예를 들어 기지국(101)으로 가정하여, RTS/CTS 플로우 제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반대로,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무선국이 기지국이고 CTS 프레임을 회신하는 무선국이 무선 단말기여도 된다.
먼저, 무선 단말기(202)는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앞서, 데이터 송신을 요구하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1)에 송신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1)은, 다른 무선국과 통신 중이 아니면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무선 단말기(202)에 대하여 CTS 프레임을 회신한다. 이들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 다른 무선 단말기(무선 단말기(203) 등)는,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으로서 NAV를 설정한다. 여기서 NAV를 「설정한다」는 것은, NAV가 만료되는 시간을 메모리 등의 기억부에 보유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NAV가 만료되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무선국은 데이터 송신을 억제한다.
그리고 CTS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2)는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데이터 송신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기지국(101)은 ACK(ACKnowledge)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에 회신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ACK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2)는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다른 무선국(무선 단말기(203) 등)은, NAV의 경과전이더라도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하여 NAV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NAV를 「초기화한다」는 것은, NAV의 만료 시간을 초기값으로 갱신하여 NAV를 미설정된 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CF-End 프레임에 의하여 NAV를 초기화하는 것은, NAV는, 실제의 데이터 송신 시간보다도 약간 길게 설정되는 일이 많아서 무선국에 데이터 송신 억제를 여분으로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RTS/CTS 플로우 제어에 의하여 은닉 노드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하여 충돌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이 RTS/CTS 플로우 제어를 이용하더라도 소정의 사례에서는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기지국(101)은, 자신이 파악하고 있는 BSS마다, BSSID와 BSS가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정보를 단말기 리스트 정보로서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 등에 의하여 무선 단말기에 송신하고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는 그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하며, 기지국과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이 단말기 리스트 정보의 이용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무선국의 각각에서 보아, 그 무선국 자신이 속하는 BSS를 「Intra-BSS」라 칭한다.
예를 들어 BSS(501) 내의 무선국에서 보아, BSS(501)는 Intra-BSS이고 그 이외의 BSS(502 및 503)는 외부의 BSS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201) 등은 Intra-BSS 내의 기지국의 MAC 어드레스(BSSID)를 적어도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1) 등은, 수신한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RTS 프레임이나 CTS 프레임에 따른 무선 단말기가 Intra-BSS 내의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BSS(501)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내부 네트워크의 일례이며, BSS(502 및 503)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외부 네트워크의 일례이다.
또한 기지국(101 내지 103) 3대와 무선 단말기(201 내지 205) 5대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였지만,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의 대수는 1대나 2대 등 3대 이외여도 되고, 무선 단말기의 대수도 5대 이외여도 된다.
[기지국의 구성예]
도 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10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기지국(101)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기억부(130)를 구비한다. 기지국(102) 및 (103)의 구성은 기지국(101)과 마찬가지이다.
통신부(110)는, 다른 무선국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하여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데이터 링크층 및 물리층의 신호 처리 전반이 통신부(110)에 있어서 행해진다.
제어부(120)는 기지국(101)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의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131)를 생성하여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무선 단말기(201) 등이 BSS(501)에 있어서 접속 또는 절단될 때마다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갱신 후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송신시킨다.
그리고 RTS/CTS 플로우 제어에 있어서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을 통신부(110)가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그들 프레임의 송신국 또는 수신국이 Intra-BSS 내의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에 따른 무선국이 Intra-BSS 내의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120)는 Basic NAV를 설정한다. 여기서, Basic NAV는, 만료 시간이 경과할 때, 또는 Intra-BSS 외부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의 동안,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이다. 여기서 「통신이 종료될 때」는, 예를 들어 CF-End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이다. 또한 Basic NAV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본 송신 금지 기간의 일례이다.
한편,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에 따른 무선국이 Intra-BSS 내의 단말기인 경우에 제어부(120)는 그 프레임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Intra-BSS NAV를 설정한다. 여기서 Intra-BSS NAV는, 만료 시간이 경과할 때, 또는 Intra-BSS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의 동안, 데이터 송신을 금지하는 기간이다. 여기서 「통신이 종료될 때」는, 예를 들어 CF-End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이다. 또한 Intra-BSS NAV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내부 송신 금지 기간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Basic NAV에 더해 Intra-BSS NAV를 더 설정함으로써, Intra-BSS의 내부와 외부 중 한쪽으로부터의 프레임에 의하여 NAV가 초기화되어 충돌이 생기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Intra-BSS NAV 및 Basic NAV는 개별로 설정되며, 그들 기간 내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에 데이터 송신을 억제시킨다. Intra-BSS NAV 및 Basic NAV의 양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 양쪽의 기간이 초기화된 후에 통신부(110)는 데이터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ntra-BSS NAV 및 Basic NAV의 2종류의 NAV를 설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IEEE 802.11ax 규격에 있어서 검토되어 있다. 이 IEEE 802.11ax 규격에 있어서 검토 중인 공개 정보는 이하의 URL로부터 취득가능하다.
http://mentor.ieee.org/802.11/documents
단, IEEE 802.11ax 규격은 검토 작업이 진행 중이며, 그 내용은 확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술한 공개 정보에는, 무선국이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고 그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NAV를 설정하는 수순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다.
기억부(130)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131)나 NAV 관리 테이블(132)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NAV 관리 테이블(132)에는 Intra-BSS NAV 및 Basic NAV의 각각의 기간이 기재된다.
도 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13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단말기 리스트 정보(131)는 BSS마다, BSSID와, 그 BSS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BSS(501 내지 503)의 3개의 BSS가 존재하며, BSS(501)에 무선 단말기(201 내지 203)가 접속되고, BSS(502)에 무선 단말기(204)가 접속되고, BSS(503)에 무선 단말기(205)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자. 이 경우에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는, BSS(501)의 BSSID에 대응지어 무선 단말기(201 내지 203)의 MAC 어드레스가 기재된다. 또한 BSS(502)의 BSSID에 대응지어 무선 단말기(204)의 MAC 어드레스가 기재되고, BSS(503)의 BSSID에 대응지어 무선 단말기(205)의 MAC 어드레스가 기재된다.
또한 도 3에서는, BSS(501 내지 503)의 3개의 BSS의 각각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예시하였지만, BSS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3개 이외의 개수의 BSS마다,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Intra-BSS 내의 MAC 어드레스를 반드시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 리스트 정보는 적어도 Intra-BSS 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관리 테이블(132)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NAV 관리 테이블(132)에는 Intra-BSS NAV의 만료 시간과 Basic NAV의 만료 시간이 「HH:MM:SS」 등의 시분초의 형식으로 기재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만료 시간에는 「99:99:99」이나 NULL값 등의 무효한 초기값이 기재된다.
기지국(101)은 NAV를 설정할 때,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듀레이션값을 취득하고, 현재 시각에 듀레이션값을 더한 시간을 만료 시간으로 한다. 듀레이션값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 대상으로 하는 NAV가 이미 설정 완료된 경우에 기지국(101)은, 새로이 취득한 듀레이션값을 현재 시각에 더한 최신의 시간과, 설정 완료된 만료 시간을 비교하여, 최신의 시간 쪽이 긴 경우에 한하여 그 시간에 따라 만료 시간을 갱신한다.
[무선 단말기의 구성예]
도 5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무선 단말기(201)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기억부(230)를 구비한다. 무선 단말기(202)나 무선 단말기(203) 등의 다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 단말기(201)와 마찬가지이다.
통신부(210)는, 다른 무선국과의 사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20)의 구성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의 생성 및 송신을 행하지 않는 점 이외에는 기지국(101)의 제어부(120)와 마찬가지이다.
기억부(230)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231)나 NAV 관리 테이블(232)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예]
다음으로,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는 IEEE 802.11ax 등의 규격에 준거한 것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TS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RTS 프레임은 헤더 및 FCS(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한다. 헤더는 「프레임 제어」 필드와 「듀레이션」 필드와 「수신국 어드레스」 필드와 「송신국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는, 프로토콜 버전, 프레임 타입, 모어 프래그먼트 등의 다양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듀레이션 필드는, 무선 회선을 사용할 예정 기간을 나타내는 듀레이션값을 포함하는 필드이다. 자국 앞으로가 아닌 RTS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국은 그 프레임 내의 듀레이션값을 참조하여, 현재 시각에 듀레이션값을 더한 시간을 NAV의 만료 시간으로서 보유(즉, NAV를 설정)한다.
수신국 어드레스 필드는, 수신국(즉, 수신처)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송신국 어드레스 필드는, 송신국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FCS는, 헤더와 프레임 바디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오류 검출 부호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TS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CTS 프레임은 헤더 및 FCS를 포함한다. 헤더는 「프레임 제어」 필드와 「듀레이션」 필드와 「수신국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F-End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CF-End 프레임은 헤더 및 FCS를 포함한다. 헤더는 「프레임 제어」 필드와 「듀레이션」 필드와 「수신국 어드레스」 필드와 「송신국 어드레스」 필드를 포함한다. 「송신국 어드레스」로서 BSSID 등이 이용된다.
[기지국의 동작예]
도 9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10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동작은, 예를 들어 기지국(101)이 무선 통신을 행할 때 개시된다. 기지국(101)은, 무선 단말기가 접속 또는 절단되었을 때,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전파 도달 범위 내의 무선 단말기 모두에 송신한다(스텝 S901).
그리고 기지국(101)은, 자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02).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스텝 S902: "예"), 기지국(101)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측 처리(스텝 S910)를 실행하고 스텝 S901 이후를 반복한다. 한편,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902: "아니오"), 기지국(101)은 데이터의 수신이나 NAV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수신측 처리(스텝 S920)를 실행하고 스텝 S901 이후를 반복한다.
기지국(101) 이외의 기지국(102이나 103)의 동작은 기지국(101)과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101)은, NAV 관리 테이블(132) 내에 설정된 NAV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1). 설정된 NAV가 없는 경우에(스텝 S911: "아니오"), 기지국(101)은 RTS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한다(스텝 S912). 그리고 기지국은, 일정 시간 내에 CTS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3).
일정 시간 내에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스텝 S913: "예"), 기지국(101)은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송신한다(스텝 S914). 그리고 기지국(101)은 일정 시간 내에 수신국으로부터 ACK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5).
일정 시간 내에 ACK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스텝 S915: "예"), 기지국(101)은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에 의하여 송신한다(스텝 S916).
설정된 NAV가 있는 경우(스텝 S911: "예"), 또는 일정 시간 내에 CTS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913: "아니오"), 기지국(101)은 송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915: "아니오"), 또는 스텝 S916 후에도 기지국(101)은 송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101)은 RTS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1). R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스텝 S921: "예"), 기지국(101)은 그 프레임의 헤더를 참조하여 자국 앞으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2).
RTS 프레임이 자국 앞으로인 경우에(스텝 S922: "예"), 기지국(101)은 RTS 프레임의 송신국에 CTS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923). 그리고 기지국(101)은 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 S924).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에 기지국(101)은 데이터의 송신국에 ACK 프레임을 송신하고(스텝 S925), 수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RTS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921: "아니오"), 기지국(101)은 CTS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6). CTS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926: "아니오"), 기지국(101)은 수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RTS 프레임이 자국 앞으로가 아닌 경우(스텝 S922: "아니오"), 또는 CTS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스텝 S926: "예"), 기지국(101)은 NAV를 설정하기 위한 NAV 설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930).
그리고 기지국(101)은 NAV의 만료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7). 만료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스텝 S927: "예"), 기지국(101)은 NAV를 초기화하고 수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만료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스텝 S927: "아니오"), 기지국(101)은 CF-End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8).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스텝 S928: "예"), 기지국(101)은 NAV를 초기화하기 위한 NAV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940), 수신측 처리를 종료한다.
CF-End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928: "아니오"), 기지국(101)은 스텝 S927 이후를 반복한다.
도 12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101)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판독하여 참조한다(스텝 S931). 기지국(101)은, 수신한 프레임의 수신국 어드레스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32).
수신국 어드레스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있는 경우에(스텝 S932: "예"), 기지국(101)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국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단말기가 Intra-BSS 내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33).
Intra-BSS 내의 단말기인 경우에(스텝 S933: "예"), 기지국(101)은 프레임 내의 듀레이션값에 기초하여 Intra-BSS NAV를 설정한다(스텝 S934).
수신국 어드레스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없는 경우(스텝 S932: "아니오"), 또는 Intra-BSS 내의 단말기가 아닌 경우(스텝 S933: "아니오"), 기지국(101)은 Basic NAV를 설정한다(스텝 S936). 스텝 S934 또는 S936 후에 기지국(101)은 NAV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초기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101)은 CF-End 프레임으로부터 BSSID를 취득한다(스텝 S941). 기지국(101)은, 그 BSSID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42).
BSSID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있는 경우에(스텝 S942: "예"), 기지국(101)은, 취득한 BSSID가 Intra-BSS를 가리키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43). BSSID가 Intra-BSS인 경우에(스텝 S943: "예"), 기지국(101)은 Intra-BSS NAV를 초기화한다(스텝 S944).
BSSID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없는 경우(스텝 S942: "아니오"), 또는 BSSID가 Intra-BSS가 아닌 경우(스텝 S943: "아니오"), 기지국(101)은 Basic NAV를 초기화한다(스텝 S946). 스텝 S944 또는 S946 후에 기지국(101)은 NAV 초기화 처리를 종료한다.
[무선 단말기의 동작예]
도 14는,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기(20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동작은,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1)가 기지국(101)에 접속하였을 때 개시된다. 먼저, 무선 단말기(201)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한다(스텝 S951). 스텝 S951에 있어서 2회째 이후에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는, 무선 단말기(201)는 새로이 수신한 정보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1)는 자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52).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스텝 S952: "예"), 무선 단말기(201)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측 처리(스텝 S953)를 실행하고 스텝 S951 이후를 반복한다. 한편, 데이터 송신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스텝 S952: "아니오"), 무선 단말기(201)는 데이터의 수신이나 NAV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수신측 처리(스텝 S954)를 실행하고 스텝 S951 이후를 반복한다.
무선 단말기(201)에 있어서의 스텝 S953 및 S954의 처리는 기지국측의 스텝 S910 및 S920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무선 단말기(201) 이외의 무선 단말기(202 내지 205)의 동작은 무선 단말기(201)와 마찬가지이다.
도 15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는 비교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지 않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비교예로서,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고 IEEE 802.11ax 규격의 공개 정보의 방식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상정한다. 이 비교예에서는, BSS(501)가 기지국(101)과 무선 단말기(202 및 203)로 구성되고 BSS(502)가 기지국(102) 및 무선 단말기(204)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BSS(501) 내의 무선 단말기(203)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1)에 송신한다(스텝 S960). 이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RTS 프레임 내에는, 송신국 어드레스 및 수신국 어드레스의 양쪽이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이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와 무선 단말기가 RTS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송신국 및 수신국 중 한쪽이 반드시 기지국으로 된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RTS 프레임에 따른 무선국(송신국 또는 수신국)이 Intra-BSS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의 사례에서는, RTS 프레임의 송신국이 Intra-BSS 내의 기지국(101)이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202)는 그 프레임 내의 듀레이션값에 기초하여 Intra-BSS NAV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1)은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3)에 회신한다(스텝 S961). CTS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3)는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한편, CTS 프레임의 송신 후에 기지국(102)이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4)에 송신한다(스텝 S962). 이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 RTS 프레임 내의 송신국이 속하는 BSS는 Intra-BSS 외부의 BSS(502)이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그 프레임 내의 듀레이션값에 기초하여 Basic NAV를 설정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4)는 CTS 프레임을 기지국(102)에 회신한다(스텝 S963). C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2)은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무선 단말기(204)는 ACK 프레임을 기지국(102)에 송신한다(스텝 S964). 기지국(102)은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한다(스텝 S965).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CF-End 프레임에는 BSSID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국은, CF-End 프레임에 따른 무선국이 Intra-BSS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5의 사례에서는, CF-End 프레임의 송신국이 Intra-BSS 외부의 기지국(102)이다. 이 때문에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2)는, Intra-BSS 외부의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하고 Basic NAV를 초기화한다.
Basic NAV의 초기화 후에 무선 단말기(203)의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고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01)은 ACK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3)에 송신한다(스텝 S966). 무선 단말기(203)는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한다(스텝 S967).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2)는, Intra-BSS 내의 통신이 종료된 것으로 하고 Intra-BSS NAV를 초기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wo NAV 방식에 있어서는 Intra-BSS NAV와 Basic NAV가 개별로 설정된다. 상술한 사례에서는, 스텝 S965의 기지국(102)으로부터의 CF-End 프레임에 의하여 Basic NAV가 초기화되더라도 그 시점에서 Intra-BSS NAV는 설정된 채이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3)가 데이터 송신 중에 무선 단말기(202)가 송신을 개시하여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의 방식에 의하면 프레임의 충돌을 어느 정도 회피할 수 있지만,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사례에서는 프레임의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도 16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는 비교예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BSS(501) 내의 무선 단말기(203)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1)에 송신한다(스텝 S960).
여기서, 도 15와는 달리 도 16에서는, 무선 단말기(203)로부터의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가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수신할 수 없는 원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2 및 203) 사이에 장해물이 있는 것이나, 그들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먼 것 등이 생각된다. 무선 단말기(202)에서 보아 무선 단말기(203)는 은닉 노드로 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1)은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3)에 회신한다(스텝 S961). 이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CTS 프레임은 수신국 어드레스(즉, 무선 단말기(203)의 어드레스)을 포함하지만 송신국 어드레스는 포함하지 않는다. 비교예의 무선 단말기(202)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CTS 프레임의 수신처가 Intra-BSS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이와 같을 때, IEEE 802.11ax의 공개 정보에서는 Basic NAV를 설정할 것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CTS 프레임의 수신처의 무선 단말기(203)가 Intra-BSS 내임에도 불구하고 Basic NAV를 잘못 설정해 버린다.
이 이후에 기지국(102)이 CF-End 프레임을 송신하면(스텝 S965), 무선 단말기(202)는 Basic NAV를 초기화해 버린다. Basic NAV의 초기화에 의하여 무선 단말기(202)는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966). 이 시점에서 무선 단말기(203)는 통신 중이기 때문에 프레임의 충돌이 생겨 버린다.
이 사례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긴 것은, 무선 단말기(202)가 은닉 노드로부터의 RTS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여, 스텝 S961에서 송신된 CTS 프레임에 기초하여 NAV를 잘못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CTS 프레임에 기초하여 NAV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도록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수신하여 공유하고 있다.
도 17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 송수신 후의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의 통신 시스템 구성은 도 15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BSS(501) 내의 무선 단말기(203)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1)에 송신한다(스텝 S960).
도 17에서는, 도 16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203)로부터의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가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1)은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3)에 회신한다(스텝 S961). 이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무선 단말기(203)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CTS 프레임의 수신처(즉, 무선 단말기(203))가 Intra-BSS 내의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는, Intra-BSS의 BSSID에 대응지어, 그 BSS 내의 MAC 어드레스가 기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3)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무선 단말기(203)가 Intra-BSS 내의 단말기라고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202)는 Intra-BSS NAV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2)으로부터의 CTS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 S963), 무선 단말기(202)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Basic NAV를 적절히 설정한다. 그 후에 기지국(102)이 CF-End 프레임을 송신하면(스텝 S966), 무선 단말기(202)는 Basic NAV를 초기화한다.
스텝 S961에서 Intra-BSS NAV를 적절히 설정한 것에 의하여, 스텝 S966의 CF-End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도 Intra-BSS NAV는 설정된 채의 상태이다. 이 때문에, 은닉 노드인 무선 단말기(203)가 데이터 송신 중에 무선 단말기(202)가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일이 없게 되어 프레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BSS 내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NAV를 적절히 설정하기 때문에, NAV의 오설정에 의한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201) 등은 단말기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Intra-BSS NAV 또는 Basic NAV를 설정하고 있었다. 이것에 의하여, 프레임의 충돌을 실용상 충분한 정도로 회피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프레임의 충돌이 생길 우려가 있다.
도 18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무선 단말기(202)가 BSS(501)에 접속되고, BSS(502)가 기지국(102) 및 무선 단말기(204)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BSS(503)이 기지국(103) 및 무선 단말기(205)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무선 단말기(204)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2)에 송신한다(스텝 S970). 이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2)은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4)에 회신한다(스텝 S971). 이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가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무선 단말기(202)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Basic NAV를 설정한다.
한편, 무선 단말기(205)는 RTS 프레임을 기지국(103)에 송신한다(스텝 S972). 이 R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RTS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3)은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5)에 회신한다(스텝 S973). 이 CTS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가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CTS 프레임의 듀레이션값에 현재 시각을 더한 시간이, 설정 완료된 Basic NAV의 만료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Basic NAV가 갱신된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204)의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면, 기지국(102)은 ACK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4)에 송신하고(스텝 S974), 무선 단말기(204)는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한다(스텝 S975). 스텝 S970의 때와 마찬가지로 CF-End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할 수 없다.
CF-End 프레임을 수신한 기지국(102)은 CF-End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한다(스텝 S976). 이 CF-End 프레임을 무선 단말기(202)는 수신하며, BSSID가 Intra-BSS이지 않기 때문에 Basic NAV를 초기화해 버린다.
Basic NAV의 초기화에 의하여 무선 단말기(202)는 데이터 송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스텝 S977). 이 시점에서 무선 단말기(205)는 통신 중이기 때문에 프레임의 충돌이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이 외부의 BSS가 2개 이상인 경우에 Basic NAV가 부적절하게 초기화되어 프레임의 충돌이 생기는 일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은, 외부의 BSS가 2개 이상일 때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한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9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관리 테이블(133)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지국(101)은 제1 실시 형태의 NAV 관리 테이블(132) 대신 NAV 관리 테이블(133)을 보유한다. 무선 단말기(201)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관리 테이블(133)은, Inter-BSS NAV가 더 설정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 Inter-BSS NAV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의 BSSID 중, Intra-BSS의 외부의 BSSID마다 설정되는 기간이다. 그리고 Inter-BSS NAV의 만료 시간이 경과할 때, 또는 대응하는 BSS의 통신이 종료될(CF-End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 데이터 송신이 금지된다. 또한 Inter-BSS NAV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네트워크 간 송신 금지 기간의 일례이다.
이와 같이 Intra-BSS NAV 및 Basic NAV에 더해 Inter-BSS NAV를 더 설정함으로써,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BSS가 2개 이상일 때 프레임이 충돌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NAV 관리 테이블(133)에 있어서, NAV마다, BSSID와 만료 시간이 대응지어 기재된다. 기지국(101)은 RTS 프레임이나 CTS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 그 프레임에 따른 단말기에 대응하는 NAV가 NAV 관리 테이블(133)에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기지국(101)은 NAV 관리 테이블(133)에 NAV를 추가한다.
여기서, 프레임에 따른 MAC 어드레스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의 것인 경우에는, 그 BSSID와 만료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Intra-NAV 또는 Inter-BSS NAV가 설정된다. 한편, 프레임에 따른 MAC 어드레스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무효한 값(NULL값 등)과 만료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Basic NAV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정보 내에 BSS(501 내지 503)의 각각의 BSSID가 포함되어 있고, BSS(501)가 Intra-BSS인 것으로 하자. 수신한 프레임에 따른 MAC 어드레스가 단말기 정보 리스트 내의 것이고, 그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BSS가 BSS(501)인 경우에는, Intra-BSS NAV가 설정된다.
또한 수신한 프레임에 따른 MAC 어드레스가 단말기 정보 리스트 내의 것이고, 그 MAC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BSS가 외부의 BSS(502) 또는 BSS(503)인 경우에는, Inter-BSS NAV가 설정된다. 수신한 프레임에 따른 MAC 어드레스가 단말기 정보 리스트 내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Basic NAV가 설정된다.
그리고 기지국(101)은 모든 NAV의 경과 시 또는 초기화 시 후에 데이터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Inter-NAV가 설정되어 있고 그 한쪽만이 초기화되더라도, 다른 쪽이 초기화되기까지는 데이터 송신이 금지된다.
또한 기지국(101)은 외부의 BSS에 대하여 BSSID마다 Inter-BSS NAV를 설정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접하는 외부의 BSS 수가 적은 경우나 도 18의 사례가 드문 경우 등에, 기지국(101)은 외부의 BSS에 대하여 BSSID마다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Inter-BSS NAV를 설정해도 된다.
도 20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NAV 설정 처리는, 스텝 S935를 더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수신국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단말기가 Intra-BSS 내의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스텝 S933: "아니오"), 기지국(101)은 BSSID마다 Inter-BSS NAV를 설정하고(스텝 S935), NAV 설정 처리를 종료한다.
도 21은,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NAV 초기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NAV 초기화 처리는, 스텝 S945를 더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취득한 BSSID가 Intra-BSS의 외부의 BSS를 가리키는 경우에(스텝 S943: "아니오"), 기지국(101)은 BSSID에 대응하는 Inter-BSS NAV를 초기화하고(스텝 S945), NAV 초기화 처리를 종료한다.
도 22는,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BSS마다 개별로 NAV를 설정하는 RTS/CTS 플로우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2의 통신 시스템 구성은 도 18과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2의 무선 단말기(202)는, 도 18과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204 및 205)로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102)으로부터의 CTS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 S971), 무선 단말기(202)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그 프레임의 수신처에 대응하는 BSS(502)의 BSSID를 취득한다. BSS(502)는 Intra-BSS가 아니고, 그 BSS(502)의 NAV는 이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BSS(502)에 대한 Inter-BSS NAV#2를 새로이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3)으로부터의 CTS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 S973), 무선 단말기(202)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여, 그 프레임의 수신처에 대응하는 BSS(503)의 BSSID를 취득한다. BSS(503)는 Intra-BSS가 아니고, 그 BSS(503)의 NAV는 이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BSS(503)에 대한 Inter-BSS NAV#3을 새로이 설정한다.
그 후에 기지국(102)으로부터의 CF-End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 S976), 무선 단말기(202)는 그 프레임으로부터 BSSID를 취득하여, BSSID에 대응하는 Inter-BSS#2를 초기화한다. Inter-BSS NAV#2가 초기화되더라도 Inter-BSS NAV#3은 설정된 채의 상태이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2)는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기(205)와의 사이의 프레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기는 Intra-BSS의 외부의 BSS마다 Inter-BSS NAV를 설정하기 때문에, 외부의 BSS가 2개 이상인 경우에도 NAV를 적절히 설정하여 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CTS 프레임과 같이 수신 어드레스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때도 BSSID마다 Inter-BSS NAV를 설정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1)은, 무선 단말기가 접속 또는 절단될 때마다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있었지만, 전파 상황의 변동 등에 따라 무선 단말기가 수신에 실패하여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각각이, Intra-BSS 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면, 무선국은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의 기지국(101)은 비콘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23은,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을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Intra-BSS 내의 모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을 생성하여 정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로 송신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기지국(101) 및 무선 단말기(201)가 속하는 BSS(501)와, 기지국(102) 및 무선 단말기(204)가 속하는 BSS(502)의 동작에 대하여 예시한다. 또한 BSS(503)의 동작은 BSS(501) 및 BSS(502)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01)은, BSS(501) 내의 모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1을 생성하여 송신한다(스텝 S980). 이 시점보다 전에 있어서 무선 단말기(201)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이미 수신하여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102) 및 무선 단말기(204)는, BSS(501) 내의 어드레스를 포함하지 않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비콘은, 무선국 모두가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비콘#1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1)는 비콘#1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81).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1)는 비콘#1 내의 MAC 어드레스에 의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 중 BSS(501) 내의 어드레스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비콘#1이 송신되기까지 동안에 무선 단말기가 접속 또는 절단되어 있더라도 단말기 리스트 정보는 최신의 정보로 갱신된다.
또한 비콘#1을 수신한 기지국(102)은 비콘#1에 기초하여 자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82).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BSS(501)의 BSSID와 BSS(501) 내의 MAC 어드레스를 대응지어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추가한다. 비콘#1을 수신한 무선 단말기(204)도 비콘#1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83).
다음으로, 기지국(102)이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2를 생성하여 송신한다(스텝 S984). 비콘#2를 수신한 무선 단말기(201)는 비콘#2에 기초하여 자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85). 또한 비콘#2를 수신한 기지국(101) 및 무선 단말기(204)도 비콘#2에 기초하여 자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86, S987).
이하, 마찬가지로 비콘이 정기적으로 송신되고, 그 비콘을 수신한 무선국은 자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비콘에 기초하여 갱신한다.
도 24는,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콘은 헤더, 데이터 및 FCS를 포함한다.
헤더는, 송신국이 속하는 BSS(즉, Intra-BSS)의 BSSID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는 「Element ID」 필드, 「Length」 필드 및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Element ID 필드는, 비콘 내의 정보 요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Length 필드는,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 필드는, Intra-BSS 내의 무선 단말기의 모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지국이, Intra-BSS 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을 정기적으로 송신하기 때문에, 무선국은 그 비콘에 기초하여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4. 제4 실시 형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1)은 Intra-BSS 내의 모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Intra-BSS 내의 무선 단말기 수가 증대됨에 수반하여 MAC 어드레스 수가 많아져서 비콘의 데이터 사이즈가 크게 되어 버린다. 비콘의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면, 전체의 프레임 길이의 제한 등에 의하여 모든 MAC 어드레스를 비콘에 저장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기지국(101)은, 데이터 사이즈를 억제한 비콘을 송신하는 점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25는,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비콘은,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 내에 Intra-BSS 내의 모든 MAC 어드레스 대신, 새로이 접속 또는 절단된 무선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만을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비콘은, MAC 어드레스마다 스테이터스 변화 플래그를 더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스테이터스 변화 플래그는, 대응하는 MAC 어드레스의 무선 단말기가 새로이 접속된 단말기인지 절단된 단말기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이전의 비콘 송신 시의 후에 있어서 Intra-BSS 내에 무선 단말기가 새로이 접속된 경우에 스테이터스 변화 플래그에 「1」이 설정된다. 한편, Intra-BSS로부터 무선 단말기가 절단된 경우에는 스테이터스 변화 플래그에 「0」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또는 절단된 무선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만을 비콘이 포함하기 때문에, 모든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콘의 데이터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5. 제5 실시 형태>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기지국이 송신하고 있었지만, 전파 상황에 따라서는 무선 단말기가 Intra-BSS의 외부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제5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Intra-BSS의 외부로부터의 비콘이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무선 단말기에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시키는 점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26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교환하는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하지 않고, 그 대신,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서로 유니캐스트로 교환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1)이 기지국(102)을 검출한 경우나, BSS(501) 내에 무선 단말기가 새로이 접속 또는 절단된 경우에 기지국(101)은, 자신의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를 생성하여 기지국(102)에 송신한다(스텝 S991).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102)은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고(스텝 S992), 자신의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을 생성하여 기지국(101)에 회신한다(스텝 S993).
또한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을 검출하였을 때 등에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를 송신하고 있지만, 정기적으로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을 수신한 기지국(101)은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94). 그리고 기지국(101)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1을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한다(스텝 S995). 한편, 기지국(102)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2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트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송신한다(스텝 S996).
무선 단말기(201)는 비콘#1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고(스텝 S997), 한편 무선 단말기(204)는 비콘#2에 기초하여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한다(스텝 S998).
여기서 BSS(501) 내의 비콘#1은, 인접하는 BSS(502) 내의 무선 단말기(204)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도,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의 교환에 의하여 기지국(102)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가 최신으로 되어 있고, 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2가 무선 단말기(204)에 송신되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204)는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20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27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의 구성은,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더 포함하는 점 이외에는 제3 실시 형태의 비콘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의 구성은,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의 값이 상이한 점 이외에는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와 마찬가지이다.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는, 이 플래그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인지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 정보 교환 요구인 경우에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에 「1」이 설정되고, 단말기 정보 교환 응답인 경우에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에 「0」이 설정된다.
또한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와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동일한 Element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응답 스테이터스 플래그를,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한 Element와, Element ID가 상이한 다른 Element에 저장해도 된다.
도 28은,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콘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제5 실시 형태의 비콘의 구성은,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 대신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의 비콘과 상이하다.
제5 실시 형태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는 무선 단말기마다, BSSID와, 그 BSSID에 대응하는 무선 단말기의 MAC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201)가 BSS(501)에 접속되고 무선 단말기(204)가 BSS(502)에 접속되는 것으로 하자. 이 경우에 단말기 리스트 정보는, BSS(501)의 BSSID와, 무선 단말기(201)의 MAC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세트와, BSS(502)의 BSSID와 무선 단말기(204)의 MAC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기지국은, Intra-BSS에 속하는 MAC 어드레스를 송신할 때,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와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구분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Intra-BSS에 속하는 MAC 어드레스를 송신하는 경우, Intra-BSS 내로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하고, Intra-BSS 외부로는 BSSID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Intra-BSS 내의 무선 단말기는 그 BSSID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기지국은, 단말기 리스트 정보 대신 제4 실시 형태의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끼리가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교환하고,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송신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무선 단말기는 최신의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기술을 구현화하기 위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항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 특정 사항은 각각 대응 관계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 특정 사항과, 이와 동일 명칭을 붙인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사항은 각각 대응 관계를 갖는다. 단, 본 기술은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형을 실시함으로써 구현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 수순은, 이들 일련의 수순을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해도 되고, 또한 이들 일련의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해도 된다. 이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어 CD(Compact Disc), MD(Mini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메모리 카드, 블루레이 디스크(Blu-ray(등록 상표) Dis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2)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속하는 네트워크인 내부 네트워크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해당하지 않는 네트워크인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 또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네트워크 간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마다 개별로 설정하고, 상기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5) 상기 통신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6)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 중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새로이 접속된 단말기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절단된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한쪽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7) 상기 통신부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8)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송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
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9)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에 의하여 서로 교환하여,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교환한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10)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순과,
상기 수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제어 수순
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1, 102, 103: 기지국
110, 210: 통신부
120, 220: 제어부
130, 230: 기억부
201 내지 205: 무선 단말기

Claims (10)

  1.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속하는 네트워크인 내부 네트워크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해당하지 않는 네트워크인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 또는 상기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내부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속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네트워크 간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마다 개별로 설정하고, 상기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기본 송신 금지 기간으로서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상기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무선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단말기 중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새로이 접속된 단말기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절단된 단말기 중의 적어도 한쪽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무선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8.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송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무선 단말기
    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에 의하여 서로 교환하여,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교환한 단말기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는,
    통신 시스템.
  10. 소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단말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순과,
    상기 수신된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송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하는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이 종료되기까지 데이터 통신을 금지해야 하는 기간을 설정하는 제어 수순
    을 구비하는,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97030215A 2017-04-26 2018-02-07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450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7282 2017-04-26
JP2017087282 2017-04-26
PCT/JP2018/004118 WO2018198472A1 (ja) 2017-04-26 2018-02-07 無線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71A true KR20190139871A (ko) 2019-12-18
KR102450877B1 KR102450877B1 (ko) 2022-10-05

Family

ID=6391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215A KR102450877B1 (ko) 2017-04-26 2018-02-07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84837B2 (ko)
EP (1) EP3606263A4 (ko)
KR (1) KR102450877B1 (ko)
TW (1) TWI781165B (ko)
WO (1) WO2018198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1926B2 (en) 2018-10-31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CN110267299B (zh) * 2019-07-04 2022-08-09 南京茂毓通软件科技有限公司 Wifi终端的mac地址捕获方法
US11121822B2 (en) * 2019-10-3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basic service set (BSS) and station identif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051A (ko) * 2001-05-15 2003-03-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Hcf하에서 동작하는 ieee 802.00 wlan에서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중복 네트워크 할당 벡터
JP2008219776A (ja) * 2007-03-07 2008-09-1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15149602A (ja) 2014-02-06 2015-08-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035798A1 (zh) * 2015-09-01 2017-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空间复用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4671B2 (en) * 2001-12-27 2007-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verlapping network allocation vector (ONAV) for avoiding collision in the IEEE 802.11 WLAN operating under HCF
AU2014260540B2 (en) * 2013-05-02 2016-1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nsing channel dynamically in wireless LA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285203B2 (en) 2015-08-26 2019-05-07 Newracom, Inc. Network allocation vector types and transmission opportunity types for spatial reuse
WO2017183917A1 (ko) * 2016-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이종 nav 기반 통신
KR101962150B1 (ko) * 2016-04-26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bss color 비활성화를 고려한 nav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95458A1 (ja) 2016-05-13 2017-11-1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無線局およ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051A (ko) * 2001-05-15 2003-03-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Hcf하에서 동작하는 ieee 802.00 wlan에서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중복 네트워크 할당 벡터
JP2008219776A (ja) * 2007-03-07 2008-09-1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JP2015149602A (ja) 2014-02-06 2015-08-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035798A1 (zh) * 2015-09-01 2017-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空间复用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4837B2 (en) 2021-11-23
US20200137674A1 (en) 2020-04-30
TW201842817A (zh) 2018-12-01
KR102450877B1 (ko) 2022-10-05
US20220046526A1 (en) 2022-02-10
WO2018198472A1 (ja) 2018-11-01
TWI781165B (zh) 2022-10-21
EP3606263A4 (en) 2020-03-25
EP3606263A1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8612B2 (en) Enhanced carrier sensing for multi-channel operation
KR102212170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통신의 승인, 오류 복구 및 백오프 동작
USRE49471E1 (en) Method for protecting data in a mu-mimo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RE47579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frame to hidden node in wireless LAN
US20180146469A1 (en) Nav set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device
KR101466951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멀티캐스트 송신의 충돌 억제를 위한 장치
EP29950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solving conflicts
KR102450877B1 (ko) 무선 단말기, 통신 시스템, 및 무선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0728291B1 (ko) 무선 랜 시스템의 프레임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320856A1 (en)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20070062893A (ko) 무선랜에서 매체 접근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및장치
WO2004071021A1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65264B2 (en) Communication protection method for sensing commmunication and updating or skipping updating a NAV accordingly, and apparatus therefor
CN106465427B (zh) 电子装置和方法
CN108012278B (zh) 管理基本服务集颜色的方法、接入点和站点
US2015012472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6376093B (zh) 一种避免数据碰撞的传输控制方法及装置
CN107251617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及通信系统
US20170265117A1 (en) Method for Handover Procedure Enhancement
CN110896397A (zh) 无线站的信号通知能力
WO2018082403A1 (zh) 一种无线帧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6065845A1 (zh) 邻区检测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20240172284A1 (en) Communication device
EP2947948A1 (en)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s
CN114026904A (zh) 无线通信设备及其无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