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60A -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 Google Patents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60A
KR20190139460A KR1020180065934A KR20180065934A KR20190139460A KR 20190139460 A KR20190139460 A KR 20190139460A KR 1020180065934 A KR1020180065934 A KR 1020180065934A KR 20180065934 A KR20180065934 A KR 20180065934A KR 20190139460 A KR20190139460 A KR 2019013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ser
sound signal
breathing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2270B1 (en
Inventor
원용관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70B1/en
Publication of KR2019013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omprises: a body portion worn on the neck of a user; an operating portion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located between the thyroid cartilage and a clavicle of the user′s neck to detect a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outside; and fixing portions fixing the body portion to the user′s neck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over portion which fixes the operating portion as the operating portion is detached therefrom and surrounds the thyroid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 to be fixed to the front neck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located between the user′s thyroid cartilage and clavicle to collect the breathing sound signal with high sensitivity while effectively blocking ambient noise through a breathing sensor, thereby being usefully used for testing sleep breathing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apnea that may occur when the user sleeps. In addition, the electronically implemented operating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of a band form to wash the body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contaminated, thereby maintaining the body portion in a sanitary state.

Description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본 발명은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착용자)의 목에 이것을 부착한 후 사용자가 잠을 잘 때 발생하는 호흡소리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 signal of respiratory sound generated when the user sleeps after attaching it to the neck of a user (wearer).

일반적으로 코골이 및 무호흡과 같은 수면 호흡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호흡소리 신호 수집 방법으로 수면하는 공간에 호흡소리의 신호감지 장치를 설치하는 무구속 방법과 수면자의 신체에 호흡소리 신호 감지장치를 착용시키는 구속적 방법이 있다. 구속적 방법은 사용자가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된다. 이 방법은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과 호흡소리에 대한 높은 감도 및 주변 잡음 소리에 대한 차단이 수면 호흡장애 검사를 위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착용형 감지장치는 기능적으로 구조적으로 수면 중 착용감 및 호흡소리 감지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이 구성되어야 한다.In general, as a method of collecting respiratory sound signals for examining sleep respiratory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apnea, an unconstrained method of installing a respiratory sound detection device in a sleeping space and wearing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on a sleeper's body There is a binding method. The restraining method allows the user to sleep while wearing a device that detects a breathing sound signal. In this method,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fit, high sensitivity to breathing sounds and blocking of noise from surrounding noise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respiratory sound detection device for testing sleep respiratory disorder. Therefore, the wearable sensing device must be functionally constructed so that both the comfort and the sound of breathing can be satisfied.

또한 호흡신호 감지 센서부가 신체에 직접 맞닿아 착용되는 밴드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 땀과 같은 신체 분비물에 의해 밴드에 오염이 발생시 밴드를 별도로 세척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spiratory signal sensor unit is fixed to the band to be worn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is used integrally, hygiene problems may occur because the band can not be washed separately when contamination is caused by body secretions such as sweat.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483호(공개일: 2017. 07. 18.)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7-0083483 (published: 2017. 07. 18.) "Real-time sleep disorder monitoring device" is disclosed.

공개된 발명은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 단말본체와, 단말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중 호흡신호를 포함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단말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자극발생부와,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생체정보가 설정된 자극인가 조건에 해당하면 사용자에게 자극이 인가되게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로 구성된다. 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sleep disorder monitoring device, the terminal body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breathing signals during sleep of the user wearing the terminal body; The stimulus generator includes a stimulus generator configured to apply a stimulus to a user wearing a terminal body, and a termin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timulus generator to apply a stimulus to a user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nsor corresponds to a set stimulus application condition. do.

이러한 목에 착용하는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수면다원검사장치(PSG)가 가진 많은 선에 의한 착용상의 불편함 및 전문가의 절대적 관여 요구에 따른 고가의 비용과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수면 중의 실시간 감시를 통해 위급한 수면장애로부터 즉각적인 탈피를 유도할 수 있어 심각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있는 작동부에 관한 기술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al-time sleep disorder monitoring device worn on the neck, the disadvantages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by the many lines of the existing sleep polygraph (PSG) and the high cost due to the absolute involvement of the expert are requir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duce immediate escape from an emergency sleep disorder through real-time monitoring during sleep,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erious accident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ccurately detect and transmit the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is not provided because the technology for the operating unit that can detect and send out the breathing sound signal.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되는 것으로 ,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있는 작동부가 사용자(착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에 탈부착할 수 있고, 바디부의 오염시 세척을 함으로써 위생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고,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목의 피부에 밀착되어 성대를 통과하는 호흡소리를 높은 감도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바디부를 갖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nd detach the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band worn on the neck of the user (wearer) operating unit that can detect and transmit the breathing sound signal The body part is structured to ensure hygienic safety by providing cleaning in case of contamination of the body part,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fit, and to detect the breathing sound passing through the vocal cords with high sensitivity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neck. It is to provide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hav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신호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이 되며,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되고 사용자의 앞 목 앞부분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spiratory signal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nd-shaped body portion worn on the user's neck, the body portion is detachable, the operation to detect the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detected signal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art fo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body part to fasten the body part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wherein the body part is a cover located between the cartilage and the clavicle in front of the user's front neck and detachable from the opera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ealth.

또한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 될 수 있는 탈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탈부착부에 탈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ront of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operating portion, the opera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body and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detachable to the main body,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It includes a breathing sensor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clavicle, and detects the sound of breathing sound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또한 상기 본체는 전원부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출부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회로적으로 탈부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호흡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전선이 커버부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이 구비된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main body having a built-in power supply unit, a second main body in which a breathing signal sensed by the breathing sensor is received and sent out to the outside, and a send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first main body is provided. And a third bod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breath sensor is circuit-removably attached to the third body, wherein the third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breath sensor is connected, and the cover part is breathed. A cutting hole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can penetrate the cover part is provided.

또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 호흡시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상기 커버부에 부착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 detects the breathing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ing,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detection unit, when the detection unit is attached to the cover It includes a flow preventing plate for preventing the flow, the detection unit is composed of a microphone or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sound of breathing when the user breathes.

또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 방지판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커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변형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포켓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neck skin of the detection unit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ortion, the flow prevention plate can be inserted to secure the detection unit on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It includes a fixed pocket,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is detachable to the cover portion and includes a cover member that can cover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and the fixing pocket.

또한 상기 송출부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와, 상기 신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eathing sensor, a filter for removing the noise of the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ed from the breathing senso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through the filter, and the amplifier And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ignal to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the external receiving device,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to the external receiving device.

또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cartilage and the collarbone of the user detects the breathing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ing,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detection unit, the neck skin of the detection unit To increase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plate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formed in the sensing portion, and includes a flow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ensing portion.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as a microphone or a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breathing sound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탈부착될 수 있게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에 구비된 벨크로와 대응되는 벨크로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에 부착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velcro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ate part and the flow preventing part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back of the cover part, and the plate part and the flow preventing part ar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over part so that the breathing sensor is detachable. Velcro corresponding to the velcro is attached,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pocket for covering the breathing sensor attached to the cover.

또한 상기 커버 포켓은 상부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가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부착된 벨크로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 된다.In addition, the cover pocket is the upper edge portion is fixed to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Velcro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three corner portions, one side is detachable from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by the Velcro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가 상호 탈부착 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게 벨크로가 부착된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band par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ver part to fix the cover part to a user's neck, and a velcro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rear side of the band part so that the band parts can be mutually detachable. .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밴드부와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단부에는 결합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에는 상기 결합링에 결합되는 결합 후크가 구비된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ixing band part and a second fixing band par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ver part to fasten the cover part to be worn on a user's neck,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par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ng.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ok coupled to the coupling ring.

또한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 후크를 고정하며, 상기 결합 후크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부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정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된다.In addition, the back of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is fixed to the coupling hook, a padding portion for removing the foreign body by the coupling hook is provided,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can be fix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portion. It is made longer than the first band portion, and the Velcro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단과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an elastic spr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art and the band part, and an elastic spring is further includ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ver part and the first band part and the second band part.

상기 커버부의 양측 하단부에는 바디부를 목에 착용할 때 호흡 감지 센서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주름 구조의 셔링부를 더 포함한다.Both lower ends of the cover part further includes a shirring part having a pleated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respiration sensor when the body part is worn on the neck.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 잡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높은 감도로 호흡소리 신호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코골이 및 무호흡 등의 수면 호흡장애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located between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clavicle, the user can breathe by collecting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with high sensitivity while effectively blocking the ambient noise through the breathing sens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testing sleep respiratory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apnea that may occur when.

또한 전자적으로 구현되는 작동부가 밴드 형태의 바디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바디부의 오염시 세척을 통해 위생적인 상태로 바디부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ally implemented operating portion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band form, it is possible to use the body portion in a sanitary state by washing during contamination of the body portion.

호흡장애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장치에 비해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Compared with the existing device used for the respiratory disorder inspection can provide a comfortable and comfortable f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fatigue and foreign body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의 소모성 소리 또는 진동감지 센서로 구성된 호흡 감지 센서가 고가의 작동부로부터 분리되므로, 다수가 사용할 경우 호흡 감지 센서를 일회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 접촉에 의한 질병 전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breath detection sensor consisting of a low-cost consumable sound or vibration detection sensor is separated from the expensive operating portion, by using a single use of the breath detection sensor in a large number of cases can eliminate the risk of disease transmission due to skin contac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을 사용자에게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 1;
3 is a rear view of FIG.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 4.
6 is a rear view of FIG. 4.
7 is a schematic view of an oper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사용자에게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spiratory signal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mbined front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rear view of FIG. 4. Figure 7 is a schematic view of the opera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us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바디부(100), 작동부(200) 및 고정부(300-1)를 포함한다.1 to 3,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n operation part 200, and a fixing part 300-1.

바디부(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다. 그리고 바디부(100)는 작동부(200)가 탈부착되어, 작동부(200)를 고정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 부분을 감싸며, 사용자의 앞 목에 고정되는 커버부(110)를 더 포함한다.Body portion 100 is worn on the user's neck. And the body portion 100 is detachable to the operating unit 200, and to secure the operating unit 200, wraps the portion between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clavicle, and further cover part 110 is fixed to the front neck of the user Include.

실시예로 바디부(100)와 커버부(11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시 이물감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인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body part 100 and the cover part 110 may be worn on a user's neck, and may be made of a cotton material which is a material that prevents a foreign body from being worn by the user.

상기 커버부(110)의 전면에는 작동부(200)가 탈부착 될 수 있는 탈부착부(111)가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탈부착부(111)는 스냅 단추로 이루진다.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ortion 111 which can be detachable the operating unit 200. In one embodiment, the removable portion 111 is made of a snap button.

그리고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목의 굴곡진 형상에 의하여 커버부(110)가 늘어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가 구비된다.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는 커버부(110)가 사용자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 사용자의 목의 형상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다.When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sensing device is repeatedly used, the cover part 110 may be extended or deformed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neck.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cover part 110. Is provided.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user's neck when the cover 110 is wrapped around the user's neck.

상기 커버부(110)는 편안한 착용감 및 밀착을 위하여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평면도상 하부 측은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측도 마찬가지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10 is not made of the same width for a comfortable fit and close cont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in the plan view is formed in a shape that becomes wider toward the center, the upper side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커버부(110)의 양측 하단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셔링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셔링부(113)는 커버부(110) 하단부를 주름 형태로 유지하여, 커버부(110)가 사용자 목을 감싸며 고정시 사용자의 목과 커버부(110)의 밀착을 높일 수 있다.The lower side of both sides of the cov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shearing portion 113 having an elastic force. The shirring portion 113 maintains the lower end of the cover 110 in the form of a pleat,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user's neck and the cover 110 when the cover 110 is wrapped around the user's neck.

상기 작동부(200)는 바디부(100)의 커버부(110) 전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 목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The operation part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over part 110 of the body part 100, and is located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s neck, and detects a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outside. do.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200)는 본체(210), 전원부(220), 송출부(230) 및 호흡 감지 센서(240-1)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operation unit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a power supply unit 220, a transmitter 230, and a breathing sensor 240-1.

상기 본체(210)는 커버부(110)의 전면에 탈부착부(111)에 의해 탈부착된다. 이를 위해, 본체(210)의 테두리에는 커버부(110)의 탈부착부(111)의 스냅 단추와 대응되는 스냅 단추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by a detachable part 111. To this end, a snap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nap button of the detachable part 111 of the cover part 110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main body 210.

실시예로 상기 본체(210)는 제1 본체(210a), 제2 본체(210b) 및 제3 본체(21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210a)는 탈부착부(111)에 의해 커버부(110)의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원부(220)는 내장된다.In an embodiment,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first main body 210a, a second main body 210b, and a third main body 210c. The first body 210a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by a detachable part 111, and the power supply part 220 may be embedded therein.

일실시예로 전원부(220)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팩 구조를 가지며,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220 has a pack structure to prevent breakage, and may be formed of a rechargeable battery.

상기 제2 본체(210b)는 호흡 감지 센서(240-1)에서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230)가 내장된다. The second main body 210b has a built-in transmitter 230 for receiving a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breathing sensor 240-1 and sending it to the outside.

실시예로 송출부(230)와 전원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220)의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된다.In an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230 and the power supply unit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operate through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220.

상기 제3 본체(210c)는 제1 본체(210a)와 제2 본체(210b) 사이에 설치되며, 호흡 감지 센서(240-1)가 탈부착된다.The third main body 210c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210a and the second main body 210b, and the respiration sensor 240-1 is attached and detached.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3 본체(210c)는 호흡 감지 센서(240-1)가 탈부착 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함입된 반원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본체(210c)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1)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211c)가 구비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hird body 210c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annular shape recessed inwardly to minimize interference generated when the respiration sensor 240-1 is attached or detached. The third main body 210c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211c to which the respiration sensor 240-1 can be connected.

다른 실시예로 연결 단자(211c)는 호흡 감지 센서(240-1)를 송출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부(220)에서 송출부(230)로 전원이 구동 시 전원부(22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호흡 감지 센서(240-1)가 구동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211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eathing sensor 240-1 with the transmitter 230. Here, when power is driven from the power supply unit 220 to the output unit 230,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240-1 is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20.

한편, 커버부(110)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1)에 연결된 전선이 커버부(110)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112)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cutting hole 112 through which the wires connected to the breathing sensor 240-1 may pass through the cover 11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송출부(230)는 호흡 감지 센서(2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필터(231), 증폭기(232), 신호 변환기(233), 송출기(23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transmitter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iration sensor 240-1, and includes a filter 231, an amplifier 232, a signal converter 233, and a transmitter 234. .

상기 필터(231)는 호흡 감지 센서(240-1)로부터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다. 증폭기(232)는 필터(231)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증폭한다. 신호 변환기(233)는 증폭기(232)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외부 수신기기(미도시)로 송출하기 위해 신호를 변환한다. 일실시예로 신호 변환기(233)는 외부 기기로 송출 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The filter 231 removes noise of the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ed from the breathing sensor 240-1. The amplifier 232 amplifies the noise canceled signal through the filter 231. The signal converter 233 converts the signal to send an amplified signal through the amplifier 232 to an external receiver (not shown). In one embodiment, the signal converter 233 may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when transmitting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송출기(234)는 신호 변환기(233)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 수신기기는 송출기(234)에서 송출된 신호를 저장 및 분석하고 신호를 기초로 다양한 수면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234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233 to an external receiving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receiver may store and analyz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234 and perform various sleep tests based on the signal.

일실시예로 송출부(230)는 별도의 외부 기기가 이외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시켜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면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phone in addition to a separate external device,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a sleep test in real time.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호흡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본체(210)에 탈부착되며 송출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reath detection sensor 240-1 is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 and detects the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through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The respiration sensor 240-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2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unit 230.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설치되되, 감지부(241-1) 및 유동 방지판(242-1)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41-1)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The respiration sensor 240-1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unit 110, and includes a detection unit 241-1 and a flow preventing plate 242-1, and the detection unit 241-1 The user's shield touches the skin between the cartilage and the clavicle to detect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상기 감지부(241-1)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tector 241-1 may be formed of a microphone or a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a breathing sound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따라서 상기 감지부(241-1)에 의해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는 연결 단자(211c)를 통해 송출부(230)로 전달된다.Therefore,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241-1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230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11c.

상기 유동 방지판(242-1)은 감지부(241-1)에서의 정확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감지부(241-1)에서 연장형성 되며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되어 감지부(241-1)의 유동을 방지한다.The flow preventing plate 242-1 is configured for accurate detection of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in the sensing unit 241-1, and is formed in the sensing unit 241-1 and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unit 110. The flow of the detector 241-1 is prevented.

한편,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고정 포켓(1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유동 방지판(242-1)은 고정 포켓(115)에 삽입되어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됨으로써 감지부(241-1)를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cover 110 is provided with a fixed pocket 115. Therefore, the flow preventing plate 242-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ocket 115 a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10 to fix the sensing unit 241-1.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커버부(110)에 탈부착되며,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 및 고정 포켓(115)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16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part 110 to cover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and the fixing pocket 115.

일실시예로 커버재(116)는 사용자 목에 접촉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재(116)의 양측단에는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벨크로(117)가 부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member 116 may be made of a cotton material or a cushion material that can remove foreign matter when the user touches the neck. In addition, the Velcro 117 may be attached to both side ends of the cover member 116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unit 110.

상기 고정부(300-1)는 커버부(110)가 사용자의 앞 목에 착용될 때 커버부(110)를 고정시키며, 바디부(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킨다.The fixing part 300-1 fixes the cover part 110 when the cover part 110 is worn on the front neck of the user,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0 to the user of the body part 100. To the neck.

따라서 고정부(300-1)는 커버부(110)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320-1)를 포함하고, 밴드부(320-1)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320-1)가 상호 탈부착 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게 벨크로(321-1)가 각각 부착된다.Accordingly, the fixing part 300-1 includes a band part 320-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ver part 110, and the band part 320-1 is formed at one front side and the other rear side of the band part 320-1. Velcro 321-1 are attached to each other so as to be mutually detachable.

한편, 사용자 목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한바 착용의 편의성 및 밀착 향상을 위하여 밴드부(320-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와 밴드부(320-1)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310-1)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user's neck is elastic between the cover portion 110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nd portion 320-1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and portion 320-1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closeness of wearing a variety of bars A spring 310-1 may be further provid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를 설명한다.4 to 6, a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본체(210), 전원부(220) 및 송출부(23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1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210, the power supply unit 220 and the transmitter 23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Omit.

실시예로 호흡 감지 센서(240-2)는 감지부(241-2), 플레이트부(242-2), 유동 방지부(243-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41-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In an embodiment, the breath detection sensor 240-2 includes a detector 241-2, a plate part 242-2, and a flow prevention part 243-2. The sensing unit 241-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unit 110, and detects a breathing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

상기 플레이트부(242-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며, 감지부(241-2)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고정시 감지부(241-2)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110)의 변형을 방지한다.The plate part 242-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and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sensing part 241-2 so that the sensing part 241-2 is fixed between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neck skin of th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over 110.

상기 유동 방지부(243-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감지부(241-2)에서 연장 형성되며, 감지부(241-2)의 유동을 방지한다.The flow preventing part 243-2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nsing part 241-2,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sensing part 241-2.

상기 감지부(241-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되고 그 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unit 241-2 is composed of a microphone or a vibration sensor, and its operation is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플레이트부(242-2)와 유동 방지부(243-2)의 일면에는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244-2)가 부착될 수 있다.Velcro 244-2 may b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ate part 242-2 and the flow preventing part 243-2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한편,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2)가 탈부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부(242-2)와 유동 방지부(243-2)에 구비된 벨크로(244-2)와 대응되는 벨크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cover 110 and the Velcro (244-2) provided in the plate portion 242-2 and the flow prevention unit (243-2) so that the breathing sensor 240-2 is detachable and Corresponding Velcro (not shown) may be attached.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2)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부착된 호흡 감지 센서(240-2)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1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cket 120 that may cover the attached breath detection sensor 240-2 for more stable fixing of the breath detection sensor 240-2.

상기 커버 포켓(120)은 일단이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된다. 실시예로 커버 포켓(12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커버부(110)의 배면에 재봉선(122)에 의해 고정된다.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121)가 부착되어,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된 벨크로(미도시)에 의해서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된다.One end of the cover pocket 12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In an embodimen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ver pocket 12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10 by the seam 122. The Velcro 121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three corner portions, and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110 is detached by a Velcro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10.

다만, 커버 포켓(1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벨크로(121)가 부착되는 경우, 감지부(241-2)가 커버부(110) 하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감지부(241-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 모서리 중심부는 벨크로(121)가 부착되지 않는다. However, when the Velcro 121 is attached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cover pocket 120, the sensing unit 241-2 may be accommodated so that the sensing unit 241-2 protrudes below the cover unit 110. Velcro 121 is not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edge to form an opening (not shown).

일실시예로 커버 포켓(120)은 사용자의 목에 접촉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게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cket 120 may be made of a cotton material or a cushion material to remove foreign matters when the user touches the neck.

상기 고정부(300-2)는 커버부(110)의 사용자의 목앞에 착용시 커버부(110)를 고정시키고, 바디부(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2)는 제1 고정 밴드부(320a-2) 및 제2 고정 밴드부(320b-2)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300-2 fixes the cover part 110 when worn in front of the user's neck of the cover part 110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0 to connect the body part 100 to the user's neck. Fix it to To this end, the fixing part 300-2 includes a first fixing band part 320a-2 and a second fixing band part 320b-2.

상기 제1 고정 밴드부(320a-1)는 단부에 결합링(321a-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에는 결합링(321a-2)에 결합 후크(321b-2)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band portion 320a-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ng 321a-2 at an end thereof, and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320b-2 has a coupling ring 321b-2 with a coupling ring 321a-2. Can be combined.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배면에는 결합 후크(321b-2)를 고정하며, 결합 후크(321b-2)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330b-2)가 설치될 수 있다.A padding part 330b-2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nd part 320b-2 to fix the coupling hook 321b-2, an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sed by the coupling hook 321b-2. have.

일실시예로 패딩부(330b-2)는 사용자가 착용할 때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게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dding part 330b-2 may be formed of a cotton material or a cushion material to remove foreign matters when the user wears the padding part 330b-2.

또한 제2 고정 밴드부(320b-2)는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게 제1 밴드부(320a-2) 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정면에는 벨크로(340b-2)가 부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band part 320b-2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band part 320a-2 so as to surround and fix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part 320a-2, and the second fixing band part 320b-2 is fixed. Velcro (340b-2)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이에 따라 제2 고정 밴드부(320b-1)는 결합 후크(321b-2)를 통해 결합링(321a-2)에 결합된 후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하여, 제1 고정 밴드부(320a-2)와 제2 고정 밴드부(320b-1) 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fixing band 320b-1 is coupled to the coupling ring 321a-2 through the coupling hook 321b-2, and then surrounds and fixes a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320a-2.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xing band part 320a-2 and the second fixing band part 320b-1 can be increased.

또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커버부(110)의 양단과 제1 밴드부(320a-1) 및 제2 밴드부(320b-2)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310a-2)(310b-2)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elastic springs 310a-2 and 310b-2 are further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cover part 110 and the first band part 320a-1 and the second band part 320b-2. Can b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호흡 감지 센서(240-1)(240-2)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부(230)가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송출부(230)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외부 기기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수면 패턴을 검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ng apparatus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ser's neck, and the respiratory sensor 240-1 and 240-2 are disposed between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Located in, to detect the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the transmitter 230 transmits the user's breathing sound signal to the outside and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or smartphon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230 You can examine your various sleep patterns.

이상 앞에서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균등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differences relating to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equivalently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1: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100: 바디부 110: 커버부
111: 탈부착부 112: 절개홀 113: 셔링부 114: 변형 방지 플레이트 115: 고정 포켓 116: 커버재
117, 121, 321-1, 340b-2: 벨크로 120: 커버 포켓
122: 재봉선 200: 작동부 210: 본체
220: 전원부 230: 송출부 231: 필터
232: 증폭기 233: 신호 변환기 234: 송출기
240-1, 240-2: 호흡 감지 센서 300-1, 300-2: 고정부
310-1, 310b-2: 탄성 스프링 320-1: 밴드부 321a-2: 결합링
DESCRIPTION OF SYMBOLS 1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on apparatus 100: Body part 110: Cover part
111: detachable part 112: cutting hole 113: shirring part 114: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5: fixed pocket 116: cover material
117, 121, 321-1, 340b-2: Velcro 120: Cover pocket
122: sewing line 200: operating portion 210: main body
220: power supply unit 230: delivery unit 231: filter
232: amplifier 233: signal converter 234: transmitter
240-1, 240-2: Breath detection sensor 300-1, 300-2: Fixed part
310-1, 310b-2: elastic spring 320-1: band portion 321a-2: coupling ring

Claims (14)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200)와, 상기 바디부(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100)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부(300-1)(300-2)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00)에는 상기 작동부(200)가 탈부착되고, 사용자의 목 앞부분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커버부(110)를 부착하고, 상기 커버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부(2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탈부착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In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the band-shaped body portion 100 to be worn on the user's neck, the body portion 100 is attached to and detached to detect the user's respiratory sound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art 300-1 and 300-2 for connecting the body 200 to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0 and fastening the body part 100 to be worn on a user's neck.
The operation part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part 100, and the cover part 110 is attached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in front of the user's neck, and the operation part 2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Respiratory sound sign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vable portion 111) that can be detach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00)는 상기 커버부(110)의 탈부착부(111)에 탈부착되는 본체(210)와,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210)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240-1)(2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unit 20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210 detachable to the detachable portion 111 of the cover portion 110, the cover portion 110 is installed on the back, the main body 210 Detachable), and the contact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ollarbone of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eathing sensor (240-1) (240-2) for detecting a respiratory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ing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0)는 전원부(220)가 내장되는 제1 본체(210a)와,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에서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전원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출부(230)가 내장되는 제2 본체(210b)와,
상기 제1 본체(210a)와 제2 본체(210b)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가 회로적으로 탈부착되는 제3 본체(210c)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210c)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211c)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10)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커버부(110)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210 receives the first main body 210a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built and the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ed by the breathing detection sensors 240-1 and 240-2. A second main body 210b having an output unit 230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220 and which is sent out to the outside;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210a and the second main body 210b, and includes a third main body 210c to which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s 240-1 and 240-2 are detachably attached.
The third main body 210c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211c to which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s 240-1 and 240-2 are connected, and the cover 110 has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240-1. Respiration sound sign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tting hole 112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ed to (240-2) can penetrate the cover 1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241-1)와, 상기 감지부(240-1)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241-1)를 상기 커버부(110)에 부착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판(241-1)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241-1)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spiratory sensor 240-1 is a detection unit (241-1) for detecting a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breathing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user's shield cartilage and collarbon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detection unit 240-1, includes a flow preventing plate 241-1 to prevent the flow when the detection unit 241-1 to the cover unit 110,
The detection unit (241-1) is a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phone or a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a breathing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상기 감지부(241-1)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 상기 감지부(241-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 방지판(242-1)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 포켓(1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5.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of claim 4, wherein a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is provided with a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that enhances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neck skin of the sensing part 241-1 and simultaneously prevents deformation of the cover part 110. It is installed,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cket 115 for inserting the flow preventing plate 242-1 in order to fix the sensing unit 241-1 on the back of the cover portion 110 Breathing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상기 커버부(110)에 탈부착 되며, 상기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 및 상기 고정 포켓(115)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cover member 116 of claim 5, wherein the cover member 11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portion 110 and covers the deformation preventing plate 114 and the fixing pocket 115.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부(230)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240-2)로부터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231)와, 상기 필터(231)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32)와, 상기 증폭기(232)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233)와, 상기 신호 변환기(233)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 수신기기로 송출하는 송출기(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tting uni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s 240-1 and 240-2, and is detected from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s 240-1 and 240-2. A filter 231 for removing noise of a respiratory sound signal, an amplifier 232 for amplifying a signal from which the noise is removed through the filter 231, and a signal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232 to an external receiving devic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gnal converter (233) for converting the signal to transmit, and a transmitter (234) for transmitting the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signal converter (233) to an external recei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2)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241-2)와, 상기 감지부(241-2)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241-2)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110)의 변형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부(242-2)와, 상기 감지부(241-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241-2)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243-2)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241-2)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respiration sensor 240-2 detects a respiratory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in contact with the skin between the shield cartilage and the clavicle of the user. And plate portions 242-2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ensing unit 241-2 to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neck skin of the sensing unit 241-2 and simultaneous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ver unit 110. And a flow preventing part 243-2 extending from the detecting part 241-2, and preventing the flow of the detecting part 241-2.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icrophone or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breath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242-2)와 상기 유동 방지부(243-2)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244-2)가 부착 되고,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2)가 탈부착될 수 있게 상기 플레이트부(242-2)와 상기 유동 방지부(243-2)에 부착된 벨크로(244-2)와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110)에 부착된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2)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velcro 244-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late part 242-2 and the flow preventing part 243-2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Velcro 244-2 attached to the plate part 242-2 and the flow prevention part 243-2 such that the breath detection sensor 240-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0. And a velcro corresponding to the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cket (120) capable of covering the respiration detection sensor (240-2) attached to the cover unit (1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포켓(120)은 상부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121)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된 벨크로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The cover pocket 120 has an upper edge portion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10, a Velcro 121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three corner portions, and the cover portion 110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detachable from the back of the cover 110 by the Velcro provided on the 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1)는 상기 커버부(11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110)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320-1)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320-1)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320-1)가 상호 탈부착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321-1)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ortion 300-1 includes a band portion 320-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ver portion 110 to fix the cover portion 110 to the user's neck,
Respiratory sound sign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321-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band portion 320-1 is detachable to each other is attached to one side front and the other rear surface of the band portion (320-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0-2)는 상기 커버부(110)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110)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밴드부(320a-2)와 제2 고정 밴드부(320b-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단부에는 결합링(321a-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에는 상기 결합링(321a-2)에 결합되는 결합 후크(321b-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 후크(321b-2)를 고정하며, 상기 결합 후크(321b-2)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330b-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230b-2)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부(320a-2) 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정면에는 벨크로(340b-2)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The first fixing band part 320a-2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300-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ver part 110 to fasten the cover part 110 to be worn on a user's neck. ) And a second fixing band portion 320b-2,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and portion 320a-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ring 321a-2, and the second fixing band portion 320b-2 is provided. A coupling hook 321b-2 coupled to the coupling ring 321a-2 is provided, and the coupling hook 321b-2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nd part 320b-2, and the coupling hook A padding part 330b-2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s by 321b-2 is provided, and the second fixing band part 230b-2 surrounds and fixes a part of the first fixing band part 320a-2. It is made longer than the first band portion (320a-2) so that the front of the second fixed band portion (320b-2) breathing sound scen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340b-2) is attached Sensing devic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0)와 상기 밴드부(320-1)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310-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110)의 양단과 제1 밴드부(320a-2) 및 제2 밴드부(320b-2)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310a-2), (310b-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astic spring 310-1 is further provided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ortion 110 and the band portion 320-1, both ends of the cover portion 110 and the first band portion Respiratory sound sign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pring (310a-2, 310b-2) is further provided between (320a-2) and the second band portion (320b-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0)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때 호흡 감지 센서(240-1)(240-2)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셔링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cover 110, the elastic forc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breath detection sensors 240-1, 240-2 when wearing the body portion 100 to the user's neck Respiratory sound signal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shirring unit 113 having.
KR1020180065934A 2018-06-08 2018-06-08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KR102122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en) 2018-06-08 2018-06-08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en) 2018-06-08 2018-06-08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60A true KR20190139460A (en) 2019-12-18
KR102122270B1 KR102122270B1 (en) 2020-06-12

Family

ID=6905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en) 2018-06-08 2018-06-08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674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하벤 Transformable signal sensing t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32A1 (en) * 2013-04-05 2015-03-12 Intelligent Widget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flow diagnosis and restoration
WO2018044170A1 (en) * 2016-09-02 2018-03-08 Nightbalance B.V. Sleep trainer with heart rate measurement b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32A1 (en) * 2013-04-05 2015-03-12 Intelligent Widget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flow diagnosis and restoration
WO2018044170A1 (en) * 2016-09-02 2018-03-08 Nightbalance B.V. Sleep trainer with heart rate measurement b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674A (en)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하벤 Transformable signal sensing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270B1 (en)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824B1 (en) A sanitary mask
US9572517B2 (en) Baby monitoring mat based on fiber optic sensor
US20070073131A1 (en) Garment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KR20120129870A (en) Head harness and wireless eeg monitoring system
KR101778637B1 (en) Wearable device configured in clothing and baby condition notification system using it
CN103917158A (en) Headband, headgear, and electroencephalographic apparatus
WO2012058727A2 (en) Acoustic detection mask systems and/or methods
US20170035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uxism
KR102122270B1 (en) 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KR101483065B1 (en) Portable measuring apparatus of sleep data and Examination system of sleep disorders having the same
US11801171B2 (en) Defecation detection device
CN211835886U (en) Isolation mask
KR200492417Y1 (en) Mask
WO2021252478A1 (en) Respirator mask
JP6013047B2 (en) Biologic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CN214965702U (en) Electrode slice fixing sleeve used in electroencephalogram examination
KR102480227B1 (en) Wearable device for healthcare
KR200296073Y1 (en) Mask
US20230062867A1 (en) Wearable device
CN220192999U (en) A bandage and wearing equipment for wearing equipment
KR10243800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leep disorder and method performing there of
TW201724978A (en) Wea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1965797B1 (en) Baby head protection pad
TWI678165B (en) Hard hat with brain wave sensing structure
KR20230057615A (en) Posture and liftestyle feedback wrist protector that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