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182A -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182A
KR20190139182A KR1020190161979A KR20190161979A KR20190139182A KR 20190139182 A KR20190139182 A KR 20190139182A KR 1020190161979 A KR1020190161979 A KR 1020190161979A KR 20190161979 A KR20190161979 A KR 20190161979A KR 20190139182 A KR20190139182 A KR 2019013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consumption
driving
maximum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291B1 (ko
Inventor
김동구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2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7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by measures acting on the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8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controlling wind motor output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수전용량을 선정하고, 수전시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상회하면, 상회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비; 발전기와 계통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구동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부; 및 수전용량이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경우, 수전시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수전용량을 초과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수전용량을 상회하는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를 통해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전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EAK POWER CONSUMP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수전용량을 선정하고, 수전시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상회하면, 상회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풍력발전 단지의 수전용량을 낮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수요의 급증에 따라 전력 인프라의 확충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전력 수요의 증가는 전기를 사용하는 가정용 생활기기의 증가와 함께 상가, 공장용 전력 부하의 증가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전력 수요의 경우 특정 계절, 특정 시간대에 사용되는 전력 부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상시 대기전력의 부족분을 초래하고, 정전과 같은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 방지를 위해 전력 인프라를 확충하고 사용을 제한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태양광, 풍력, 파력, 지열발전, 메탄가스를 이용한 화력발전 등과 같은 대체에너지 또는 천연의 청정에너지를 이용한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자연 바람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풍력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연 바람에 의해 풍력 에너지를 얻는 풍력발전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시스템으로, 환경 친화적이고, 무한정의 자원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많은 신 재생에너지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를 대규모 병렬 연계하는 대규모 단지를 조성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전력계통에 연계하여 운영한다.
한편, 풍력발전 시스템에는 블레이드(Blade), 기어 박스(Gear Box), 발전기(Generator) 등과 같은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비(이하, '구동 장비'라 한다.)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구동 장비들은 항상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전술한, 구동 장비들이 소비하는 전력은 풍력발전 시스템이 발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풍력발전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고, 풍력발전 시스템이 발전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다.
도 1은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으로,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이로 인해, 계통으로부터 구동 장비들이 소비하는 전력을 공급받을 때, 최대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수전용량을 선정하게 된다. 이때, 수전용량을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하게 되면, 계통운영자는 풍력발전 단지의 계약된 수전용량을 고려한 계통 운영을 하게 되는 데, 낮게 선정된 수전용량으로 인해 배전선로에 과부하가 발생하므로, 최대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수전용량을 선정한다. 또한, 최근 계통의 예비력 저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계약 용량을 초과하는 소비 전력의 사용은 풍력발전 단지 운영자 및 계통 운영자 양측에 모두에게 큰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수전용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039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수전용량을 선정하고, 수전시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상회하면, 상회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는,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비; 발전기와 계통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구동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장비로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부; 및 수전용량이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경우, 수전시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수전용량을 초과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에서 공급하도록 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은, 수전용량이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경우, 수전시 주 제어부에서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초과분에 대해 보조 전력 공급부가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과정; 수전시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 이하로 되어 잉여 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과정; 및 발전시 잉여 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수전용량을 상회하는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를 통해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전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비들의 소비 전력 패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전력 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전용량은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것임을 밝힌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는, 발전기(10), 계통(20), 구동 장비(30), 보조 전력 공급부(40), 주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발전기(10)는 블레이드(미도시)에 연결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미도시)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계통(20)은 발전기(10)가 연계되는 전력 계통으로,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은 계통(20)으로 공급된다.
구동 장비(30)는 블레이드, 기어 박스, 발전기 등의 풍력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고 운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비로, 항상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동 장비(30)는 발전기(10)가 발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발전기(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고, 발전기(10)가 발전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통(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 패턴은 일정치 않다.
보조 전력 공급부(40)는 발전기(10)와 계통(20)을 연결하는 전력 라인에서 분기되어 구동 장비(30)로 전력을 공급하는 라인에 설치되며, 주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수전시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수전용량을 초과하는 초과분에 해당하는 전력을 구동 장비(30)로 공급한다. 그리고, 수전시와 발전시에 주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잉여 전력으로 충전을 수행한다.
주 제어부(50)는 수전용량이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된 경우, 수전시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제어하여 수전용량을 초과하는 초과분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40)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 제어부(50)는 수전시,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하회하는 경우, 보조 전력 공급부(4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제어하여 잉여 전력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 제어부(50)는 발전시, 발전 전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구동 장비(30)로 공급하는 중에 잉여 전력이 발생하면, 보조 전력 공급부(4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제어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전력 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전력 공급부(40)는 에너지 저장 모듈(41), 양방향 인버터(43), 컨버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 모듈(41)은 전력을 충방전한다.
양방향 인버터(43)는 에너지 저장 모듈(41)에 연결되어 에너지 저장 모듈(41)의 충방전에 따라 교류-직류 또는 직류-교류로 전력을 인버팅하는 것으로, 에너지 저장 모듈(41)의 충전시에는 발전기(1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에너지 저장 모듈(41) 측으로 인가하고, 방전시에는 에너지 저장 모듈(4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동 장비(30) 측으로 인가한다.
컨버터(45)는 에너지 저장 모듈(41)에 연결되어 에너지 저장 모듈(41)의 방전 전력을 직류-직류로 컨버팅하는 것으로, 방전시 에너지 저장 모듈(4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구동 장비(30)가 원하는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동 장비(30) 측으로 인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전기(10)에서 전력 발전을 수행하지 않아 계통(20)으로부터 전력을 수전하는 경우(S10), 계통(20)으로부터 수전한 전력을 구동 장비(30)로 공급하는 데(S12),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주 제어부(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을 상회하는 경우(S14), 상회하는 초과분(도 7의 박스 부분)에 대해서는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도 6의 점선)(S16).
반면, 수전시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이 수전용량 이하로 되어 잉여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주 제어부(50)는 보조 전력 공급부(4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충전하도록 한다(S18, S20).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전기(10)가 전력 발전을 하는 경우에는 발전기(10)에서 발전된 전력의 일부를 공급받아 이를 구동 장비(30)로 공급하는 데(S22), 구동 장비(30)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주 제어부(50)는 잉여 전력이 발생하는 경우(S24), 보조 전력 공급부(40)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완충 상태가 아니면(S26),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전력 공급부(40)를 충전하도록 한다(S28).
본 발명의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발전기, 13. 전력 변환부,
15. 트랜스포머, 20. 계통,
30. 구동 장비, 40. 보조 전력 공급부,
41. 에너지 저장 모듈, 43. 양방향 인버터,
45. 컨버터, 50. 주 제어부

Claims (5)

  1. 발전 설비들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부;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를 포함하고,
    발전기 또는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1 전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이 상기 제1 전력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전력이 상기 구동 장비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소비 전력 초과분에 대해서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가 상기 구동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이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을 초과하여 잉여 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가 상기 잉여 전력에 의해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또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비에 공급되는 전력 공급량은 상기 구동 장비의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되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3. 발전기 또는 계통으로부터 구동 장비의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은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구동 장비를 구동시키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는 보조 전력 공급부 및 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 또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되고 상기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은 전력을 제1 전력으로 정의할 때,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이 상기 구동 장비에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전력에 대한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 초과분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구동 장비에 상기 제1 전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에 대한 상기 제1 전력의 잉여 전력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에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발전 시스템.
  4.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에 있어서,
    발전 설비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비의 소비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소비 전력이 전력 공급량을 초과하면, 발전기 또는 계통의 전력에 해당하는 제1 전력이 상기 구동 장비에 공급되는 상태에서 보조 전력 공급부가 상기 구동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력 공급량이 상기 소비 전력을 초과하여 잉여 전력이 발생하면, 상기 잉여 전력에 의해 상기 보조 전력 공급부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 또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공급받는 상기 전력 공급량은 상기 구동 장비의 최대 소비 전력보다 낮게 선정되는
    최대 소비 전력 저감 방법.
KR1020190161979A 2019-12-06 2019-12-06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KR102164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979A KR102164291B1 (ko) 2019-12-06 2019-12-06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979A KR102164291B1 (ko) 2019-12-06 2019-12-06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665A Division KR102057121B1 (ko) 2013-07-05 2013-07-05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82A true KR20190139182A (ko) 2019-12-17
KR102164291B1 KR102164291B1 (ko) 2020-10-12

Family

ID=6905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979A KR102164291B1 (ko) 2019-12-06 2019-12-06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2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110A (ja) * 2004-02-06 2007-12-20 パセコ コープ. 荷巻上げ機械の改良エネルギー蓄積方法
KR20120004202A (ko) * 2010-07-06 2012-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의 대기전력 공급장치
KR101180391B1 (ko) 2012-04-19 2012-09-10 주식회사 라온테크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110A (ja) * 2004-02-06 2007-12-20 パセコ コープ. 荷巻上げ機械の改良エネルギー蓄積方法
KR20120004202A (ko) * 2010-07-06 2012-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의 대기전력 공급장치
KR101180391B1 (ko) 2012-04-19 2012-09-10 주식회사 라온테크 비상전력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상전력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291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90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wind and hydroelectric generation and pumped hydro energy storage systems
US8148844B2 (en)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alternative sources
EP3206276B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737681B1 (ko)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704963B1 (ko) 태양광-풍력 발전 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2261258B1 (ko) 양방향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전력 변환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70187188A1 (en)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microgrid
US201302345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functional power conversion employing a charging device and having reactive power control
CA256260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energy storage system to a variable energy supply system
US20110089759A1 (en) Home Power Supply System
US20130300196A1 (en) Multi-port inverter/converter system for dynamic micro-grid applications
KR102325843B1 (ko) 전력 어시스트 유닛 및 전력 어시스트 시스템
JP3243443U (ja) 火力発電高圧直掛けエネルギー貯蔵予備所内電源システム
CN105978008A (zh) 一种具有风场黑启动功能的液流电池储能系统及其工作方法
Ramachandran et al. On the black start of offshore wind power plants with diode rectifier based HVDC transmission
Hu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of smart microgrids
WO2010038667A1 (ja) ナトリウム-硫黄電池の制御方法
KR101130320B1 (ko) 풍력발전장치의 대기전력 공급장치
KR10222256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57121B1 (ko)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KR20190109017A (ko)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20160098860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JP5543355B2 (ja) 連系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5656081A (zh) 一种大容量新能源发电系统
KR102164291B1 (ko) 풍력발전 시스템의 최대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풍력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