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973A -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973A
KR20190137973A KR1020197036224A KR20197036224A KR20190137973A KR 20190137973 A KR20190137973 A KR 20190137973A KR 1020197036224 A KR1020197036224 A KR 1020197036224A KR 20197036224 A KR20197036224 A KR 20197036224A KR 20190137973 A KR20190137973 A KR 2019013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base station
terminal
connection state
pag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817B1 (ko
Inventor
징 량
팡리 쉬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13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공개의 실시예는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PA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출원은 2016년 3월 31일 중국에 제출된 특허출원 No. 201610202192.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페이징 방법, 기기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페이징 DRX(비연속 수신) 메커니즘은 무선 네트워크측에서 아래와 같다. 즉 LTE(Long Term Evolution, 장기 진화)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RRC_connected(연결) 상태와 RRC-idle(아이들링) 상태를 가진다. 단말기는 RRC_connected 상태에 들어가야만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가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면, 네트워크는 단말기가 장시간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음을 모니터링한 후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의 RRC 연결을 이용하여 단말기가 RRC_idle 상태에 들어가도록 한다.
idle 상태에서 단말기의 작업은 주로 네트워크측의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전력 절감을 위해 모두 DRX 방식으로 페이징을 모니터링한다. 즉, 도 1과 같이 페이징 주기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10ms)만 수신 상태에 처하며, 상기 주기 내의 다른 시간에서는 모두 비 수신 상태이다.
페이징 프로세스는 도 2와 같이 CN(코어망) 개체가 페이징을 개시하며, 페이징 메시지(PAGING)는 먼저 MME(이동성 관리 개체)로부터 eNB(기지국)에 송신된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UE specific DRX 설정을 휴대한다. LTE 시스템에서, eNB는 상기 DRX 설정과 시스템 메시지에서 설정된 DRX 파라미터를 비교하고, 양자 중 상대적으로 짧은 DRX 주기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eNB에서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징 대상 UE(단말기)의 표시자를 휴대한다. UE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 속에 자신의 페이징 ID가 포함된 것을 발견하면 후속 절차에서 당해 페이징에 응답하여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connection 상태에 들어간다.
네트워크는 UE에 대해 이동성 관리를 진행하고 UE의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하기 위해, 대량의 시그널링을 이용한다.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기 위해, LTE R14는 Light Connection(LC,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 호칭되는 새로운 RRC 상태를 도입했다. 상태 변환 개략도는 도 3과 같다. UE가 Light Connection 상태에 있는 경우, MME는 여전히 단말기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지만, 기지국은 단말기가 RRC-Light-Connection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고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할 수 없으나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수는 있다.
관련 기술에서, 단말기는 connection과 idle 이들 2가지 상태만 가지며, 페이징 메커니즘은 idle 상태의 UE에 대해서만 설계한 것으로, light connection 상태의 UE에 이용할 수 없다. 즉, 하향링크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 기지국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UE를 어떻게 페이징할 것인지에 대해 종래에는 해결 수단이 없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본 공개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 기지국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하나의 측면은 페이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1 기지국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 단말기의 S1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S-TMSI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지국이 생성한 상기 단말기의 연결 회복 ID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페이징 ID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연결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다른 측면은 페이징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제2 기지국이 수신하되, 그 중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인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페이징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휴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설정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ID를 결합하여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징 ID 생성 모듈;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가도록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 단말기의 S1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S-TMSI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생성한 상기 단말기의 연결 회복 ID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ID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기 위한 제2 연결 확립 모듈;
하향링크 데이터를 연결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1 브로드캐스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과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은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기 위한 제2 연결 확립 모듈;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2 브로드캐스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들어가기 위한 연결 확립 개시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휴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설정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페이징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페이징 시스템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지국;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또한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기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은 페이징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페이징 시스템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지국;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 기지국;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또한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또한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기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 중의 하나의 기술적 수단은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또는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관련 기술에 따른 단말기가 idle 상태에서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2는 관련 기술에 따른 LTE 시스템의 S1 인터페이스 페이징 메시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관련 기술에 따른 상태 변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 중의 하나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 중의 하나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공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공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공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공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inter-eNB의 페이징과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보여준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공개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공개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공개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공개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공개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공개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공개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공개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비록 도면에 본 공개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냈으나, 다양한 형태로 본 공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공개가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은 본 공개를 더 투철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본 공개의 범위를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이들 도면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와 같이, 네트워크 구조는 단말기(41)와 제1 기지국(42)을 포함하고, 제1 기지국(42)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41)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5와 같이, 네트워크 구조는 단말기(41), 제1 기지국(42)과 제2 기지국(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43)은 제1 기지국(42)의 페이징 영역에 위치하며, 제1 기지국(42)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41)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기(41)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기기를 가리키며, 사용자 기기(단말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장치, 핸드헬드 장치, 랩톱 컴퓨터, 와이어리스 전화, 무선 로컬 회로(WLL) 스테이지, 모바일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 클라언트 단말기) 또는 모바일 스마트 핫 스팟, 또는 인간의 조작을 통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모바일 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는 기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지국(42)과 제2 기지국(43)은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피코 기지국(Pico Base Station), Node B(3G 모바일 기지국의 호칭), 증강형 기지국(Enhanced Node B, ENB), 중계 스테이션, 접속 포인트, RRU(Remote Radio Unit, 원격 라디오 유닛), RRH(Remote Radio Head, 리모트 라디오 헤드) 등일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조를 결합하여 도 6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방법이 도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S601: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제1 기지국이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한다.
단계 S602: 제1 기지국이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지국은 단말기의 S-TMSI(임시 신분 표시자)를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는 제1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이 생성한 단말기의 연결 회복 ID를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는 제1 기지국은 페이징 ID를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에 송신하고,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S601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가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 단말기의 S1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 후, 방법은,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는 단계; 제1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연결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제1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조를 결합하여 도 7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방법이 도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S701: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제2 기지국이 수신한다. 그 중, 페이징 메시지는 제1 기지국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이다.
단계 S702: 제2 기지국이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기지국이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는 단계; 제2 기지국이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기지국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제2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조를 결합하여 도 8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방법이 도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S801: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가 모니터링한 페이징 메시지는 제1 기지국이 송신한 것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이 송신한 것일 수도 있다.
단계 S802: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가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휴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와 상응하게 단계 S801에서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설정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기의 표시자(예를 들어 IMSI)를 결합하여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고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구조를 결합하여 도 9를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방법이 도시되었으며, 구체적인 단계는 아래와 같다.
단계 S901: eNB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연결 상태의 UE가 LC 상태로 들어가도록 설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eNB는 상기 UE의 S1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며, 이때 MME는 여전히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본다.
단계 S902: MME가 송신한 상기 UE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eNB가 수신한다.
단계 S903: eNB가 상기 UE의 페이징 ID를 생성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페이징 영역은 하나 또는 다수의 eN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eNB는 페이징 ID를 페이징 영역 중의 모든 기지국에 송신하며(X2, S1, 또는 기지국과의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할 수 있다), 전체 페이징 영역 내의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eNB는 UE의 S-TMSI를 페이징 ID로 이용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하나의 페이징 ID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징 ID의 구체적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904: LC 상태의 UE가 시스템 정보 속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에 따라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여 페이징을 모니터링한다.
단계 S905: LC 상태의 UE가 자신의 페이징을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LC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단계 S906: eNB가 UE와의 RRC 연결을 확립함과 동시에,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린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RRC 연결을 확립한 eNB는 상기 UE가 연결 상태에 들어갔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eNB(즉 페이징 ID를 생성한 eNB)에 통보하며, 후자는 UE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자에 송신한다(X2, 또는 기지국과의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신할 수 있다).
단계 S907: eNB가 하향링크 데이터를 이미 연결 상태에 들어간 UE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UE의 페이징 ID는 S-TMSI이다. 구체적으로,
eNB는 페이징 주기, 페이징 밀도 등을 포함한 light connection(LC) 상태의 UE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UE는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며, eNB는 상기 UE가 연결 상태에 들어간 경우에 상기 UE의 S-TMSI를 획득하고 줄곧 저장한다. 그후, eNB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연결 상태의 UE가 LC 상태에 들어가도록 설정하고 상기 UE의 S1 연결을 유지한다. 이때 MME는 여전히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본다. LC 상태에 들어간 UE는 시스템 정보 중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밀도에 따라, 자신의 IMSI를 결합하여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고(관련 기술 중의 연산 방식을 이용), 페이징을 모니터링한다. 이어서, 상기 UE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도착하면, MME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바로 eNB에 송신하고, eNB는 S-TMS를 상기 UE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LC 상태의 UE는 자신의 페이징을 수신한 후,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LC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eNB는 UE와의 RRC 연결을 확립함과 동시에,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린다. 그후, eNB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이미 연결 상태에 들어간 UE에 송신한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eNB는 UE의 페이징 ID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eNB는 페이징 주기, 페이징 밀도 등을 포함한 light connection(LC) 상태의 UE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UE는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연결 상태에 들어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후, eNB는 상기 UE를 위해 하나의 40bit의 연결 회복 ID를 랜덤으로 생성하며, eNB가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연결 상태의 UE가 LC 상태에 들어가도록 설정한 경우에, 상기 연결 회복 ID를 UE에 설정한다. 또한, eNB는 상기 UE의 S1 연결을 유지하고, 이때 MME는 여전히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본다. LC 상태에 들어간 UE는 시스템 정보 중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밀도에 따라, 자신의 IMSI를 결합하여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고(관련 기술 중의 연산 방식을 이용), 페이징을 모니터링한다. 이어서, 상기 UE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도착하면, MME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바로 eNB에 송신하고, eNB는 상기 UE의 연결 회복 ID를 상기 UE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LC 상태의 UE는 자신의 페이징을 수신한 후,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LC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eNB는 UE와의 RRC 연결을 확립함과 동시에,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린다. 그후, eNB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이미 연결 상태에 들어간 UE에 송신한다.
제7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inter-eNB(기지국간 스위칭을 가리킴)의 페이징과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신은 도 10과 같다. 구체적으로,
Light Connection(LC) 페이징 영역에서의 eNB는 페이징 주기, 페이징 밀도 등을 포함한 LC 상태의 UE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UE는 eNB1에서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연결 상태에 들어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후, eNB1은 상기 UE를 위해 페이징 ID를 생성하고, 제1 기지국이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연결 상태의 UE가 LC 상태에 들어가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페이징 ID를 UE에 설정한다. 또한, 제1 기지국은 상기 UE의 S1 연결을 유지하며, 이때 MME는 여전히 UE가 연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본다. LC 상태에 들어간 UE는 시스템 정보 중에 설정된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밀도에 따라, 자신의 IMSI를 결합하여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고(관련 기술 중의 연산 방식을 이용), 페이징을 모니터링한다.
이어서, 상기 UE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도착하면, MME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바로 제1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UE의 페이징 ID를 페이징 영역 중의 모든 기지국에 송신하며(X2, S1, 또는 기지국과의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할 수 있음), 전체 페이징 영역 중의 기지국(예를 들어 제2 기지국과 제3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UE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만약 현재 LC 상태의 UE가 이미 제2 기지국 하로 이동한 경우라면, 상기 UE는 제2 기지국 하에서 자신의 페이징을 수신한 후,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LC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간다. 제2 기지국은 UE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린다. 그후, 제2 기지국은 상기 UE가 이미 연결 상태에 들어갔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기지국에 통보하고, 제1 기지국은 UE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제2 기지국에 송신한다(X2, 또는 기지국과의 기타 인터페이스를 통할 수 있음). 그후, 제2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이미 연결 상태에 들어간 UE에 송신한다.
제8 실시예
도 11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기지국이 도시되었다. 상기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페이징 ID 생성 모듈(1101);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11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가도록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 단말기의 S1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 유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의 S-TMSI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생성한 상기 단말기의 연결 회복 ID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ID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기 위한 제2 연결 확립 모듈;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연결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1 브로드캐스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 12를 참고하면 도면에는 기지국이 도시되었다. 상기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제1 프로세서(1202);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수신기(120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프로세서(1202)는 또한,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기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가도록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하고;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들어간 단말기의 S1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송수신기(1201)는 또한, 상기 단말기의 S-TMSI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이 생성한 상기 단말기의 연결 회복 ID를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로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ID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페이징 영역 내의 다수의 제2 기지국은 모두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송수신기(1201)는 또한,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며; 하향링크 데이터를 연결 상태에 들어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송수신기(1201)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 중, 도 12에서 버스 설정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세서(1202)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제1 메모리(12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설정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1 송수신기(1201)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13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기지국이 도시되었다. 상기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1301)과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1302)을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1301)은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1302)은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기 위한 제2 연결 확립 모듈;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제2 브로드캐스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
도 14를 참고하면 도면에는 기지국이 도시되었다. 상기 기지국은 제2 프로세서(140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1402)는,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인 프로세스; 및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2 송수신기(1401)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송수신기(1401)는 또한,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며;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 송수신기(1401)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시스템 정보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4에서 버스 설정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프로세서(1402)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제2 메모리(14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설정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2 송수신기(1401)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2 실시예
도 15를 참고하면 도면에는 단말기가 도시되었다. 상기 단말기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모듈(1501);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연결 확립 개시 모듈(150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휴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듈은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설정된 페이징 파라미터에 따라 페이징 위치를 연산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3 실시예
도 16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단말기가 도시되었다. 상기 단말기는 제3 프로세서(160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프로세서(1602)는 제3 메모리(1603)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에 의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3 송수신기(1601)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도 16에서 버스 설정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프로세서(1602)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제3 메모리(16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설정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3 송수신기(1601)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1604)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기기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4 실시예
도 17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상기 페이징 시스템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지국(1701);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말기(170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지국(1701)은 또한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말기(1702)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것이다.
제15 실시예
도 18을 참고하면 도면에는 페이징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상기 페이징 시스템은,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페이징 ID를 생성하기 위한 제1 기지국(1801);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 기지국(1802);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을 때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말기(18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지국(1801)은 또한 상기 페이징 ID를 토대로 페이징 영역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기지국(1802)은 또한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기(1803)는 또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연결 확립 프로세스를 개시하여 라이트 커넥션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에 들어가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Light Connection 상태의 단말기의 페이징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 전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감하고 시스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공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체 명세서의 각 부분에 기재된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서로 같은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공개의 각종 실시예에서, 상기 각 프로세스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재적 로직에 따라 정해지며, 본 공개의 실시예의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호환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 A와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일반적으로 선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를 가짐을 나타낸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A와 상응한 B’는 B가 A와 관련되고, A에 의해 B를 확정할 수 있음을 나타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A를 토대로 B를 확정한다는 것은 A에 의해서만 B를 확정한다는 것이 아니고,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의해 B를 확정할 수도 있음을 나타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법과 장치가 그밖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로직 기능 상의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표시 또는 검토된 상호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그밖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공개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을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결합 형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집적 유닛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다수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PC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로 하여금 본 공개의 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방법의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이동하드디스크, 롬(Read-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광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본 공개의 선택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진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페이징 방법에 있어서,
    제2 기지국은,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임 -;
    상기 제2 기지국은,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방법.
  4. 기지국에 있어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과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이 송신한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를 페이징하기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기지국이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이 페이징 영역 내에서 송신한 것이며,
    상기 제2 페이징 메시지 송신 모듈은, 커버리지 범위의 셀 내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의 RRC 연결을 확립하고, 연결 확립 프로세스에서 휴대한 페이징 관련 NAS 메시지를 버리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와 연결을 확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에 통보하는 기지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송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지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페이징 파라미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기지국.
KR1020197036224A 2016-03-31 2017-02-24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102196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02192.3A CN107295637B (zh) 2016-03-31 2016-03-31 一种寻呼方法、设备及系统
CN201610202192.3 2016-03-31
PCT/CN2017/074732 WO2017166963A1 (zh) 2016-03-31 2017-02-24 一种寻呼方法、设备及系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792A Division KR20180125562A (ko) 2016-03-31 2017-02-24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973A true KR20190137973A (ko) 2019-12-11
KR102196817B1 KR102196817B1 (ko) 2020-12-30

Family

ID=599633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224A KR102196817B1 (ko) 2016-03-31 2017-02-24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KR1020187030792A KR20180125562A (ko) 2016-03-31 2017-02-24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792A KR20180125562A (ko) 2016-03-31 2017-02-24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27454B2 (ko)
EP (1) EP3432654B1 (ko)
JP (1) JP6732935B2 (ko)
KR (2) KR102196817B1 (ko)
CN (1) CN107295637B (ko)
TW (1) TWI647971B (ko)
WO (1) WO2017166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638B (zh) 2016-04-01 2019-08-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下行数据的传输方法、基站及终端
WO2018030259A1 (ja) * 2016-08-10 2018-02-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CN108617000B (zh) 2017-01-13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9246708B (zh) * 2017-05-09 2022-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CN110035497B (zh) * 2018-01-11 2022-02-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方法及装置
CN110035498B (zh) 2018-01-12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及其系统
CN110324893B (zh) * 2018-03-30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装置
CN111818444B (zh) * 2019-07-31 2022-02-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方法、装置及终端、网络侧设备
WO2021223239A1 (zh) * 2020-05-08 2021-11-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发送寻呼消息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676836B (zh) * 2021-08-05 2022-11-04 重庆智铸华信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0811A1 (en) * 2012-03-27 2013-10-03 Venkata Ratnakar Rao Rayavarapu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KR20150000808A (ko) * 2013-06-25 2015-01-0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페이징 부하 감소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4000433T2 (de) * 2004-07-19 2006-08-31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tragbaren Kommunikationsgerätes, und ein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US8862160B2 (en) 2006-07-14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terminals in an OFDM system for achieving both fast paging response and low power consumption by utilizing a multi-step paging process
KR101524599B1 (ko) 2007-12-17 2015-06-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시스템
CN101674649B (zh) * 2008-09-11 2012-10-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寻呼状态下数据传输的方法、系统及装置
CN101808415A (zh) * 2009-02-16 2010-08-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处理通信业务过程冲突的方法及相关装置
CN102378329B (zh) 2010-08-16 2014-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US8712459B2 (en) 2010-09-13 2014-04-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roup control method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CN102802220B (zh) * 2011-05-25 2016-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和基站
US9402147B2 (en) 2011-07-11 2016-07-26 National Taiwan University Enhanced paging mechanism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BR112014000454B1 (pt) 2011-07-29 2022-05-24 Sca Ipla Holdings Inc Terminal de comunicações móveis, e, método de operar um terminal de comunicações móveis
US9560630B2 (en) * 2011-08-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reduced overhead paging
CN102984660B (zh) * 2011-09-02 201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集群通信的寻呼方法和相关设备
JP5699881B2 (ja) * 2011-09-22 2015-04-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3067864B (zh) * 2011-10-18 2015-12-16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群组监听用户的切换方法及终端
JPWO2013161798A1 (ja) * 2012-04-27 2015-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9560628B2 (en) * 2012-06-13 2017-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for paging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14013057A1 (en) 2012-07-19 2014-01-23 Nec Europe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bearer configurations in a 3ggp access network
WO2014021770A2 (en) * 2012-08-02 2014-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ing in a core network
US8996042B1 (en) 2012-11-21 2015-03-31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a paging message between access nodes
CN103857038B (zh) * 2012-12-04 2018-02-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演进分组系统的寻呼方法与系统
US11012939B2 (en) 2014-01-08 2021-05-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lways on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60119896A1 (en) * 2014-10-22 2016-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handling of user equipment pages in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mode
EP4236496A3 (en) * 2014-12-23 2023-10-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Latency reduction in lte systems
US9736774B2 (en) * 2015-01-30 2017-08-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 wireless device to receive data in an eco state
US9686667B2 (en) * 2015-09-10 2017-06-20 T-Mobile Usa, Inc. Distributed paging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506552B2 (en) * 2016-02-05 2019-1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re network node,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0811A1 (en) * 2012-03-27 2013-10-03 Venkata Ratnakar Rao Rayavarapu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KR20150000808A (ko) * 2013-06-25 2015-01-05 에릭슨 엘지 주식회사 페이징 부하 감소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1008* *
3GPP TR23.720 v13.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2935B2 (ja) 2020-07-29
JP2019510437A (ja) 2019-04-11
KR102196817B1 (ko) 2020-12-30
EP3432654A4 (en) 2019-04-10
KR20180125562A (ko) 2018-11-23
WO2017166963A1 (zh) 2017-10-05
US10827454B2 (en) 2020-11-03
EP3432654B1 (en) 2020-10-21
TW201737752A (zh) 2017-10-16
TWI647971B (zh) 2019-01-11
CN107295637B (zh) 2019-09-17
CN107295637A (zh) 2017-10-24
US20190124620A1 (en) 2019-04-25
EP3432654A1 (en)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817B1 (ko) 페이징 방법, 기기 및 시스템
EP3537789B1 (en) Paging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EP3637940A1 (en) Path switching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WO2018014728A1 (zh) 系统信息传输方法、用户终端、网络侧设备、系统及存储媒介
US1076493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non-access stratum message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17193766A1 (zh) 一种下行数据传输的方法及设备
EP2846589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ystem
US1075767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abling matching paging occasions for a lightly connected wireless device
EP3571863B1 (en) Sc-mcch segment scheduling for femtc and enb-iot
WO2018226645A1 (en) Area update procedure(s) for radio system
US9622175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base station
CN116491218A (zh) 多sim用户装备的rrc状态与基站的同步
CN106961653B (zh) 一种实现数据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TWI763685B (zh) 數據傳輸的方法、接入網設備、終端設備和網絡實體
EP4007365A1 (en)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cell measurement
US11432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UE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device
EP414238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6177178A1 (zh) 发送、接收短传输时间间隔通信的信息的方法和装置
WO2022228446A1 (zh) 无线链路失败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2027677A1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4007536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허위 기지국 검출 방법 및 장치
CN116347565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EP4133780A1 (en) Measurement identities coordination between master node and secondary node
CN117676891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