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605A -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605A
KR20190137605A KR1020180063891A KR20180063891A KR20190137605A KR 20190137605 A KR20190137605 A KR 20190137605A KR 1020180063891 A KR1020180063891 A KR 1020180063891A KR 20180063891 A KR20180063891 A KR 20180063891A KR 20190137605 A KR20190137605 A KR 2019013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ape
fish
tank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태
Original Assignee
김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태 filed Critical 김민태
Priority to KR102018006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7605A/ko
Publication of KR2019013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태양광발전기와 여과건조기를 설치하여 태양광발전기로 펌프와 여과기를 구동 후 잔여전력은 판매가 가능하며, 여과건조기의 배설물은 비료로 판매하여 경제적이윤을 끌어 올릴 수 있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경재배에 한정이 되어 있으며, 농업과 양식의 특성상 재배 공간이 커야 수익율이 증가가 되어 소규모 재배 및 양식은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쿠아포닉스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펌프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태양광발전기와 여과건조기를 설치하여 태양광발전기로 펌프와 여과기를 구동 후 잔여전력은 판매가 가능하며, 여과건조기의 배설물은 비료로 판매하여 경제적이윤을 끌어 올릴 수 있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경재배에 한정이 되어 있으며, 농업과 양식의 특성상 재배 공간이 커야 수익율이 증가가 되어 소규모 재배 및 양식은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Akuapo Knicks, a system apply the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쿠아포닉스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펌프로 구성 하여서,
기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태양광발전기와 여과건조기를 설치하여 태양광발전기로 펌프와 여과기를 구동 후 잔여전력은 판매가 가능하며, 여과건조기의 배설물은 비료로 판매하여 경제적이윤을 끌어 올릴 수 있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쿠아포닉스는 물고기와 식물을 같이 키워, 공간집약적 재배가 가능하고 경제적 이윤을 올리게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쿠아포닉스는 수조, 식물베드, 펌프, 여과기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아쿠아포닉스는 수조에 물고기를 키우고, 물고기의 배설물을 식물에게 보내 물을 정화시켜 순환을 시키게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쿠아포닉스는 수경재배에 한정이 되어 있으며, 농업과 양식의 특성상 재배 공간이 커야 수익율이 증가가 되어 소규모 재배 및 양식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726034000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아쿠아포닉스가 수경재배에 한정이 되어 있으며, 농업과 양식의 특성상 재배 공간이 커야 수익율이 증가가 되어 소규모 재배 및 양식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펌프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펌프로 구성 함으로써, 기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태양광발전기와 여과건조기를 설치하여 태양광발전기로 펌프와 여과기를 구동 후 잔여전력은 판매가 가능하며, 여과건조기의 배설물은 비료로 판매하여 경제적이윤을 끌어 올릴 수 있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발명을 정면에서 본 그림
도 2: 본발명의 순환구조를 설명한 그림
즉,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1)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2)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3)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4)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5)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6)펌프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태양광 패널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3)여과 건조기는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쿠아포닉스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1)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2)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3)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4)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5)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6)펌프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수경재배에 한정이 되어 있으며, 농업과 양식의 특성상 재배 공간이 커야 수익율이 증가가 되어 소규모 재배 및 양식은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1)태양광 패널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3)여과 건조기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1: 태양광 패널, 2: 물고기 수조, 3: 여과 건조기, 4: 식물 베드, 5: 정화 수조, 6: 펌프

Claims (3)

  1. 아쿠아포닉스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한 (1)태양광 패널,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게 양액을 담을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2)물고기 수조,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한 (3)여과 건조기, 여과 건조기에서 물을 받아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받은 물을 정화수로 만들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챔버 모양으로 형성한 (4)식물 베드, 식물베드에서 정화된 물을 받을 수 있게 수조 모양으로 형성한 (5)정화 수조, 정화수조의 물을 다시 물고기 수조로 보낼 수 있게 다각형의 펌프 모양으로 형성한 (6)펌프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1)태양광 패널을 통하여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태양광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40도 가량으로 경사가 져있는 판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3)여과 건조기를 통하여 수조에서 물고기 배설물이 담긴 물아, 배설물과 물을 분리하고 배설물은 건조하여 따로 받고, 물은 식물베드로 보낼 수 있게 원통형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KR1020180063891A 2018-06-02 2018-06-02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KR20190137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891A KR20190137605A (ko) 2018-06-02 2018-06-02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891A KR20190137605A (ko) 2018-06-02 2018-06-02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605A true KR20190137605A (ko) 2019-12-11

Family

ID=6900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891A KR20190137605A (ko) 2018-06-02 2018-06-02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76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610A (ko) * 2020-02-10 2021-08-19 김혜성 수족관 물 정화 시스템
KR102347297B1 (ko) 2021-10-05 2022-01-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034B1 (ko) 2015-01-23 2017-04-1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034B1 (ko) 2015-01-23 2017-04-1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610A (ko) * 2020-02-10 2021-08-19 김혜성 수족관 물 정화 시스템
KR102347297B1 (ko) 2021-10-05 2022-01-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세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479B1 (ko) 독립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시스템
CN204518856U (zh) 一种禽畜生态循环养殖系统
KR102065453B1 (ko) 친환경 고밀도 양식 및 양액 재배 시스템
CN203942893U (zh) 一种自循环式有机蔬菜/水产种养结合的生态系统
CN104396825A (zh) 一种禽畜生态循环养殖系统及养殖方法
CN103250668A (zh) 一种结合水产养殖及无土农业种植的系统
CN104430125B (zh) 一种高效水产养殖系统和方法
KR20190137605A (ko)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N103964577A (zh) 一种室内小规模养殖水处理的藻屏系统
KR102651694B1 (ko) 에너지제로 생태순환형 농수축산 통합생산시스템
CN102839833A (zh) 楼层立体式循环水种养生态温室
CN207151630U (zh) 带光伏发电系统的跑道式循环水产养殖大棚
CN105961305A (zh) 一种渔光一体池塘循环水养殖系统
CN205511676U (zh) 一种带有空间电场的鱼菜共生系统
CN105198088A (zh) 一种景观净化钢结构树
KR20190033819A (ko) 정수 시스템이 결합 된 수경 재배 및 양어 장치
CN204305862U (zh) 一种高效水产养殖系统
KR20200135008A (ko) 수질정화식물이 식재된 구조체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CN207383288U (zh) 太阳能鱼菜共生循环系统
CN203538040U (zh) 一种鱼菜共生系统
CN102320690B (zh) 利用速生性水生植物可控式去除水体富营养化的方法
KR20140044591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복합환경 시스템
KR20140123469A (ko)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복합환경 시스템
TWM514719U (zh) 模組化之太陽能養植系統
CN206744316U (zh) 一种以蔬菜种植为主的鱼菜共生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