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517A -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517A
KR20190137517A KR1020180063778A KR20180063778A KR20190137517A KR 20190137517 A KR20190137517 A KR 20190137517A KR 1020180063778 A KR1020180063778 A KR 1020180063778A KR 20180063778 A KR20180063778 A KR 20180063778A KR 20190137517 A KR20190137517 A KR 2019013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perspective
kn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6086B1 (en
Inventor
김상오
윤준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86B1/en
Publication of KR2019013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formed therein; a lighting unit disposed to light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a door with a see-through window dispos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nd disposed to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that is lightened by the lighting unit; a gasket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sealing cold air in the storage chamber; a sensor module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sensing push input applied to a front area of the door through a separation chang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output of the sensor modu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the cold air gener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so that the stored foods can be optimally stored.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versatil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dietary life and the high quality of product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for efficient use of user's convenience and interior space have been released. .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The refrigerator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ructure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별도의 수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 공간을 통해서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고 일부의 보조 도어 또는 홈바 도어를 개방하여 수납 공간에 접근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storage space accessible from the outside may be provided i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storage space can be accessed by opening a part of the auxiliary door or the home bar door without opening the entire refrigerator door.

따라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식품들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는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을 위해 상기 냉장고 도어 전체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frequently used foods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refrigerator door is not opened for storing food,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leakage of cold air into the outside.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근본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으면 내부의 식품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식품이 고내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는지, 도어에 제공된 별도의 수납공간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개방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만약 보조 도어 또는 홈바의 개방시 원하는 식품이 없는 경우 다시 메인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으며, 이때 냉기의 불필요한 유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n such a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inside can not be identified unless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That is, the door must be opened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desired food is stored in the interior space or in a separat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door. And if there is no desired food when opening the auxiliary door or home bar, there is an inconvenience such as opening the main door agai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unnecessary leakage of cold air.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 일부를 투명한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내의 단열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음식물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in such a case, an insulation problem in the refrigerator may occur. And when it is possible to see the inside while not using the refrigera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very good in appearance.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냉장고 외부에서 냉장고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electively view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 또는 의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투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 냉장고 내부가 투시 가능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투시를 원하지만 냉장고 내부가 투시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가 냉장고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need or will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see, a case where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viewed or when the user wants to see but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impossible to see may occur. This situation causes the user to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refrigerator.

사용자의 필요 또는 의지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사용자의 적극적인 입력을 냉장고에서 인식할 수 있다. 즉, 투시를 위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행동이나 입력을 냉장고에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를 위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need or will of the user can recognize the user's actions or active input of the user in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user's active behavior or input for viewing can be recognized in the refrigerato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effectively recognizing an input for perspective.

반면에, 투시를 위한 입력이 아닌 것을 투시를 위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오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인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input for the perspective is not the input for the perspective. That is, it can be misunderst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such misperception.

또한, 투시 입력이 매우 용이하고 직관적이며 투시 입력을 위한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re will be a need for a refrigerator having a very easy and intuitive perspective input and a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for perspective input.

한편, 이러한 냉장고의 필요성은 복수 개의 저장실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의 저장실을 투시할 수 있는 냉장고뿐만 아니라 저장실 자체를 투시할 수 있는 냉장고에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necessity of such a refrigerator may be the same in a refrigerator having a single door as well as a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In addition, the same can be said for the refrigerator that can se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door as well as the refrigerator that can see the storage compartment itself.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를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입력(이하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inimize the misunderstanding of the user's behavior or in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pective input") to view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이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input can be performed intuitively and easily,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구조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어 로직이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ructurally minimize the misrecognition of the perspective input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control logic.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투시 입력 구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perspective input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도어 전체를 투시 입력 유닛으로 이용하거나 투시 도어의 핸들을 투시 입력 유닛으로 이용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very easy to use by using the entire perspective door as a perspective input unit or the handle of the perspective door as a perspective input unit.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를 실링하는 가스켓;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에 가해지는 푸시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lighting unit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having a viewing window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view an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illuminated by the lighting unit; A gasket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sealing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detecting a push input applied to the front of the door through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ensor modul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may be provided.

상기 도어 전체가 후방으로 푸시될 수 있는 버튼일 수 있게 된다. 즉, 도어 전체가 후방으로 푸시되는 버튼으로 확장할 수 있어서, 도어 전체를 매우 직관적이고 용이한 투시 입력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entire door may be a button that can be pushed backwards. That is, the entire door can be extended to a button pushed to the rear, so that the entire door can be used as a very intuitive and easy perspective input unit.

상기 가스켓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후 길이보다 상기 푸시 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전후 길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자체가 푸시 입력에 의한 최대 이격 거리를 제한하거나 센서 모듈에 가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서 센서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The gasket may be form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push input is applied rather than the length of the front and rear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closed. Therefore, the gasket itself can limit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by the push input or can mitigate the impact on the sensor module to protect the sensor module.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가압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도어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의 후방 이동이 그대로 가압부재의 후방으로 전환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the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door; And a senso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is moved integrally with the door so that the rear movement of the door can be converted to the rear of the pressing member as it is.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돌출 길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의 전후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doo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may be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gasket in the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와 센서는 비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nsor may be provided to be in non-contact state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nd a door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to generate a door open signal, and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when the elapsed time of not receiving the door open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센서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됨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to output an on / off signal as the sensor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receive an ON signal of the sensor module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 후 설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for a set time after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유닛의 작동 도중, 상기 센서모듈의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작동을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when receiving the on signal of the sensor modul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센서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됨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to output an analog signal as the sensor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는 상기 가압부재에서 상기 센서를 가압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에 따라 달라지질 수 있다.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a change in pressure for pressing the sensor in the pressing member or a change in separation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is greater than a threshold.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와 센서는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nsor may be provided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 door is closed.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가압부재에서 상기 센서를 가압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에 따라 세기가 다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analog signal having a different intensity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for pressing the sensor by the pressing member or a change in separation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을 미수신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 when the output of the sensor module is not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control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is greater than a threshold.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루프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gasket.

상기 센서 모듈은 접점 발생 여부가 수행되는 기계식 스위치, 온과 오프 사이에서 가변되거나 가변 전압값을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 또는 변위 변화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ny one of a mechanical switch on which a contact occurs or not, a pressure switch that is variable between on and off or a variable voltage value, or a switch that outputs an analog signal according to a displacement change.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투시 도어 외에 다른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door in addition to the door. That is,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other than the see-through door may be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유닛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서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로 투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전류가 인가되면 투명해지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경우, 전류의 인가/차단 제어를 통해서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ler may perform perspective control through on / off control of the lighting unit. However, it would be possible to perform perspective control in other forms. For example, when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that becomes transparent when a current is applied, perspective control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application / blocking control of the current. In this case, the lighting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perspective switching unit.

상기 센서모듈은 사용자가 투시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투시 입력을 투시 도어의 푸시 형태로 입력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다른 형태로 투시 입력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센서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ensor module is a means for the user to perform a perspective input. In other words, it is a means for inputting the perspective input in the form of a push of the perspective door. However, perspective input may also be performed in other forms. Thus, the sensor module may be referred to as a perspective input unit.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eatures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를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행동이나 입력(이하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minimize the misunderstanding of the user's behavior or inp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pective input") to view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from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이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input may be performed intuitively and easily, and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입력에 대한 오인식을 구조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제어 로직이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ructurally minimize the misrecognition of the perspective input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imple control logic.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투시 입력 구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ee-through input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투시 도어(서브 도어) 전체를 투시 입력 유닛으로 이용하거나 투시 도어의 핸들을 투시 입력 유닛으로 이용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투시 입력 유닛을 투시 도어 후방에 위치시켜 특정 위치가 아닌 매우 광범위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투시 입력을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perspective door (sub-door) can be used as a perspective input unit or the handle of the perspective door as a perspective input unit can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the perspective input unit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perspective doo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perspective in a very wide range of locations rather than a specific lo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일반적인 버튼과 같은 특정 위치에 대한 누름이 투시 도어의 누름과 투시 도어의 밀림을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미련한 디자인이 구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버튼과 같이 작은 입력 수단을 찾고 이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 for a specific position such as a general button may be provided using a press of the perspective door and a push of the perspective door, thereby providing a refrigerator having a convenient design and a foolish desig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find a small input means such as a general button and press 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장과 무관하게 남녀노소 편리하게 투시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apable of facilitating a perspective input conveniently for men and women regardless of height of a user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메인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정면도,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노크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상기 서브 도어의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 노크 조작 전 상태와 노크 조작 후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어 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9는 도 9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of the refrigerator opene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ain door and the sub door;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main door) of the refrigerator viewed from the rear,
6 is a front view of the sub-door;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6;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knock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front of the sub-door;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 of FIG. 6.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rol logic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before knocking and a state after knocking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rol logic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control logic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2;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which specifically specify the componen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only us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pecific components may be shown or described as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s is also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is description, it i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냉장고의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50 of the refrigerator opened. 3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main door 40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1 to 3, the refrigerator 1 may have an outer shape formed by a cabinet 10 that forms a storage space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abinet 10 may be partitioned up and down by a barri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12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a freezing chamber 13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0. Can be.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식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냉장실 도어(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door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a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by rotatio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3 by sliding.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drawn out in a drawer type, and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3 by drawing in and out.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is shiel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Of course, on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서랍 형태가 아닌 냉장실 도어(20)와 마찬가지로 스윙 형태의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은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두 개의 냉동실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에서 냉동실이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스윙 형태의 냉동실 도어가 한쌍 구비된 냉장고를 프렌치 타입 냉장고라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may be provided as a swing-type door lik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that is not a drawer. 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may b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two freezer compartment doors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refrigeration refrigerators, a refrigerator having left and right freezers each having a swing-type freezer door may be referred to as a French typ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storage members such as shelves, drawers, or baskets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the freezing chamber 13. If necessary, the storage member may be withdrawn in and ou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and the food can be stored and stored by the withdrawal.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form an overall appearanc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nser 22 for taking out water or ice as needed.

한편, 한 쌍의 냉장실 도어(20) 중 우측(도 1에서 볼 때)의 냉장실 도어(20)는 이중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40)와, 상기 메인 도어(40) 또는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50)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n the right side (see FIG. 1) of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2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double manner. In detail,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located on the right side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main door 40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the main door 40 or the cabinet 10, and the main door 40. It may be configured as a sub-door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403 formed in the).

상기 메인 도어(40)는 어퍼 힌지(401) 및 로어 힌지(402)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main door 4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10 by an upper hinge 401 and a lower hinge 402 to open and close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비롯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43)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 도어(50)만 개방하고 상기 메인 도어(4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둘레 일부를 제외한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A door basket 43 may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40 includ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403. Therefore, even if the user opens only the sub door 50 and does not open the main door 40, the user can access the door basket 43 through the opening 403.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opening 403 may occupy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except for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door 40.

상기 도어 바스켓(43)은 제1도어 바스켓(431)만 포함하여도 무방하나, 수납공간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도어 바스켓(431) 하측에 위치한 제2도어 바스켓(43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 바스켓(433)의 하측에 위치한 제3도어 바스켓(435)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door basket 43 may include only the first door basket 431, but further includes a second door basket 433 positioned below the first door basket 431 as necessary to secure a storage space. The second door basket 433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oor basket 435 located below the second door basket 433.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통해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40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sub door 5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03. Therefore, the opening 403 can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sub door 50.

상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ub door 50 may have a size equal to that of the main door 40 to shield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상기 서브 도어(50)는 중앙에는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형성된 패널 어셈블리(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50)는 씨스루 도어(see-through door) 내지는 투시 도어라 불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투시창이라 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투시창은 항상 투시할 수 있는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투시할 수 있는 상태(투시 활성화 상태)와 투시할 수 없는 상태(투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상 시에는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더이상 투시를 수행하지 않으려고 투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ub door 50 has a panel assembly 54 formed at the center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Therefore, the inside of the opening 403 can be viewed even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The sub door 50 may be referred to as a see-through door or a see-through door. Thus, the panel assembly 54 may be referred to as a see-through window.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e-through window is not always provided in a viewable state, but may be provided to be switched to a viewable state (perspective activation state) and a non-viewable state (perspective deactivation state) as necessary. In general, when the user performs a perspective input in the perspective deactivated state, it may be provided to switch to the activated state. In addition, when the user performs a perspective input so that the user no longer performs perspective in the activated state, it may be provided to switch to an inactive state.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상기 메인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부(4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nce the sub door 5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40, the sub door 50 rotates independently while the main door 40 is clos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03.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핸들(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23)은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서로 인접한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우측에 위치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핸들(23)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handle 2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The handle 23 may be formed at each end of the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20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handle 23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located on the right sid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b-door 50.

상기 핸들(23)은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접촉하는 상부와 하부보다, 중앙 부위가 상기 냉장실 도어(2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핸들(23)은 아치 형상으로, 중앙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냉장실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23 may be disposed such that a central portion of the handle 23 is farther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0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ontact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20. In one example, the handle 23 has an arch shape, the center of the handle 23 may be coupled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20.

상기 서브 도어(50)에는 조작 버튼(231)에 의해 동작되는 록킹유닛(2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23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구속부재(404)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The sub door 5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unit 232 operated by the operation button 231, and the locking unit 232 may protrude to the rear of the sub door 50, and It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nd decoupled from the restraining member 404.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23)을 잡고 메인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고 이때, 서브 도어(50)는 메인 도어(4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핸들(23)을 잡고 조잡 버튼(231)을 누른 상태에서 핸들(23)을 당기면, 메인 도어(40)는 고정되고 서브 도어(50)만 개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may open the main door 40 by holding the handle 23, and the sub door 5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main door 40. In add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23 while holding the handle 23 and pressing the coarse button 231, the main door 40 may be fixed and only the sub door 50 may be open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포개지는 형태의 냉장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메인 도어(40)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같게 된다. 물론,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의 전면에 일부가 포개지는 형태의 냉장고일 수도 있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sub door 50 may be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having a form overlapped with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Therefore,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ub door 5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ze of the main door 40. Of course, the sub-door 50 may be a refrigerator in which a portion of the sub-door 50 is superimposed on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그러나, 이와 달리 서브 도어(50)가 메인 도어(40) 내부로 삽입되어 닫히는 형태로 냉장고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크기는 메인 도어(40)의 크기보다 작게 된다. 다시 말하면, 메인 도어(40)가 서브 도어(50)의 도어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에서는 메인 도어(4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과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이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is, the sub door 5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door 40 to close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ub door 5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ain door 40. In other words, the main door 40 may form a door frame of the sub door 50. In this type of refrigerator, a handle for opening the main door 40 and a handle for opening the sub door 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어느 경우나 서브 도어(50)는 투시 도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투시 활성화되는 도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투시 입력 내지는 투시 활성화 입력에 의해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투시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In any case, the sub door 50 may be formed as a perspective door, and preferably formed as a door selectively activated as requir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erspective door in which perspective activation is performed by a perspective input or a perspective activation input.

투시 활성화는 도어를 통해서 내부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내부를 볼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경우 도어를 통해서 도어 후방의 저장실을 냉장고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Perspective activation means that the interior is not visible through the door and the state is visible. Thus, when perspective activation is performed in the refrigerator, the storage compartment behind the door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door.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main door and a sub door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힌지(401)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메인 도어(40)가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hinge 401 is fixedly mounted to the cabinet 10 so that the main door 4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abinet 10, and the sub upper hinge 51 The sub door 5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door 40.

이때,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은 일측이 개구된 단면을 가지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면 구조는 보다 확장된 상기 힌지축(511) 내부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아래에서 설명할 노크 감지장치나 도어 라이팅 유닛)과 연결된 전선이나 신호선(L)들은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11)을 통해 상기 서브 도어(50) 외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캐비닛(10) 상의 메인 제어부(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hinge shaft 511 of the sub upper hinge 51 may be formed in a tube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of which one side is opened. Such a cross-sectional structure provides a space inside the hinge shaft 511 which is more expanded. Accordingly, the wires or signal lines L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knock sensing device or door lighting unit to be described below) provided in the sub door 50 are connected through the hinge shaft 511 of the sub upper hinge 51. It is guided out of the sub door 50 to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2 on the cabinet 10.

상기 어퍼 힌지(401)와 서브 어퍼 힌지(51)는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와 서브 힌지 커버(53)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선(L)이 상기 서브 힌지 커버(53)를 지나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을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upper hinge 401 and the sub upper hinge 51 are shielded by the main hinge cover 45 and the sub hinge cover 53. The main hinge cover 45 and the sub hinge cover 53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wire (L) gu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 upper hinge 51 is passed through the sub hinge cover 53 It may be guided to the main controller 2 side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main hinge cover 45.

아울러, 상기 메인 힌지 커버(45)의 내측에는 상기 서브 도어(50) 측의 전장 부품을 컨트롤하기 위한 별도의 피시비가 수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PCB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hinge cover 45 to control electrical components on the side of the sub door 50.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로어 힌지(40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의 하단에는 상기 서브 도어(5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된다.Meanwhile, a lower hinge 402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ain door 40 is mounted at on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A sub lower hinge 52 for supporting the sub door 50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door 4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냉장실 도어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viewed from the rear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납 케이스(41)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시 상기 개구부(403)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ase 41 may be opene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case 4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opening 403. Accordingly, the opening 403 may be exposed when the sub door 50 is opened, and may access the door basket 43 inside the storage case 41 through the opening 403.

그리고, 상기 수납 케이스(41)의 배면에는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 도어(4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도어(42)를 개방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43)으로 접근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ase 41 may be provided with a case door 42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herefore, the case door 42 may be opened to access the door basket 43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40 is opened.

상기 수납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 도어(42)에는 고내의 냉기가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개구(432)와 도어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케이스(41)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A case opening 432 and a door opening 421 may be formed in the storage case 41 and the case door 42 to allow cold air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case 41 to flow into the storage case 41. Therefo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ase 41 may b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서브 도어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the sub-door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개구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54)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58)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56)와 로어 캡데코(57)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b-door 5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 plate 55 forming the appearance, the panel assembly 54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out plate 55 and the out plate 55. The door liner 58 may be mounted, and an upper cap deco 56 and a lower cap deco 57 forming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 door 50 may be included.

상기 아웃 플레이트(5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외관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중앙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형성되는 패널 장착구(551)가 형성된다. The out plate 55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material by forming a front exterior and a part of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door 50. In addition, a panel mounting hole 551 in which the panel assembly 54 is form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 plate 55.

상기 패널 장착구(55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03) 내측을 투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개구부(403)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anel mounting hole 551 is a space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opening 403 of the main door 40 and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ize of the opening 403.

그리고,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플레이트 절곡부(552)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는 아래에서 설명할 서포트 프레임(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며, 상기 플레이트 절곡부(552)에는 일정간격으로 개구된 플레이트 홀(5521)이 연속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ate bent portion 552 bent vertically in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mounting hole 551 is formed. The plate bent portion 552 is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60 to be described below, the plate bent portion 552 may be formed in the plate hole 5551 which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ontinuously.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의 전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전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anel assembly 54 is formed to shield the panel mounting hole 55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assembly 54 is the front surface of the out plate 55 while the panel assembly 54 is mounted. It may be formed coplanar with.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투명하게 보일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40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온 되는 것을 투시 활성화라 할 수 있고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오프 되는 것을 투시 비활성화라 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투시 비활성화가 유지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anel assembly 54 may be selectively transparent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door lighting unit 49,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see the inside of the opening 403. Thus, turning on the door lighting unit 49 can be referred to as perspective activation and turning off the door lighting unit 49 can be referred to as perspective deactivation. It will be desirable to maintain perspective deactivation in normal times.

한편, 상기 전면 패널(541)의 가장자리에는 빛의 투과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베젤(5411)이 구비되며, 상기 베젤(5411)은 상기 단열 패널(542)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bezel 5411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front panel 541 so that light cannot be transmitted, and the bezel 5411 may be configured to extend outwardly than the heat insulation panel 542. have.

따라서, 상기 베젤(5411)이 형성되는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 도 8참조)이 위치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60)과 간봉(543)이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frame 60 and the stem bar 543 (see FIG. 8) ar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541 in which the bezel 5411 is formed, and the support frame 60 and the stem bar 543 are disposed. The front panel 541 is not exposed to the front.

상기 어퍼 캡데코(56)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56)의 일단에는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 장착부(501)에는 상기 어퍼 힌지(401)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어퍼 보스(5012)가 장착될 수 있다.The upper cap deco 56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 plate 55 and the door liner 58. In addition, the sub upper hinge mounting portion 5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cap deco 56, and the upper boss into which the hinge shaft 523 of the upper hinge 401 is inserted into the sub upper hinge mounting portion 501. 5012 may be mounted.

상기 로어 캡데코(57)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도어 라이너(58) 하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57)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가 장착되는 위치에 힌지 플레이트(571)가 장착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571)에는 상기 서브 로어 힌지(52)의 힌지축(523)이 삽입되는 로어 보스(572)가 장착될 수 있다.The lower cap deco 57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is coupled to the out plate 55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liner 58. A hinge plate 571 is mounted at the lower cap deco 57 at a position where the sub lower hinge 52 is mounted, and a hinge axis 523 of the sub lower hinge 52 is mounted at the hinge plate 571. The lower boss 572 may be mounted.

상기 도어 라이너(58)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배치되는 영역에 라이너 개구(58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라이너 홈(582)이 상기 라이너 개구(581)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너 홈(582)은 상기 서브 도어(50)의 배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서브 가스켓(591, 도 8 참조)이 장착될 수 있다.The door liner 58 forms a rear surface of the sub door 50, and a liner opening 581 may b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panel assembly 54 is disposed. In addition, a liner groove 582 may be formed along the liner opening 581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door liner 58 around the door liner 58. A sub-gasket 591 (see FIG. 8) may be mounted to be recess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50 to seal between the sub-door 50 and the main door 40.

따라서, 도어 내측의 저장 공간 내부의 빛이 메인 도어의 개구부(403), 라이너 개구(581) 그리고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도어 외부에서 도어 내측의 저장 공간을 볼 수 있다.Accordingly, light insid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door passes through the opening 403, the liner opening 581 and the panel assembly 54 of the main door. Through this,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door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일측에는 상기 록킹유닛(2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노크 감지장치(82)가 장착될 수도 있다.The locking unit 232 may be mounted at one side of the door liner 58, and a knock detection device 82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be mounted.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의 배면에는 상기 패널 장착구(5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아웃 플레이트(55)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고정하기 위한 서포트 프레임(60)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60)은 어퍼 프레임(61)과 로어 프레임(63)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back plate of the out plate 55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60 for fixing the out plate 55 and the panel assembly 54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nel mounting hole 551. The support frame 6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n upper frame 61, a lower frame 63, and a pair of side frames 62.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메인 도어(40)에 장착되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43)이 배치되는 부분을 밝힐 수 있으며, 고내측이 고외측보다 더 밝게 보이도록 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illuminate a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door baskets 43 mounted on the main door 40 are disposed, and the high inner side may look brighter than the high outer side so that the panel assembly 54 may be bright. To make it look transparent.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에 장착되는 램프 케이스(491)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내부에 수용되며 다수의 엘이디(4921)가 배치되는 램프 피시비(492)와, 상기 램프 케이스(49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개구로 노출되는 램프 커버(4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8, the door lighting unit 49 includes a lamp case 491 mounted to the door liner 58, and the lamp case 49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amp PCB 492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plurality of LEDs 4921 are disposed, and a lamp cover 493 which is exposed to the opening and shields the opened lower surface of the lamp case 491. have.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라이너 개구(581)의 상단에 형성되는 라이팅 유닛 장착부(583)에 장착될 수 있다.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mounted to a lighting unit mounting unit 583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iner opening 581 of the door liner 58.

상기 램프 커버(493)는 내부에 상기 램프 피시비(49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4912)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4912)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에서 조사되는 빛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면(4913)을 통해 반사되어 상기 램프 케이스(491)로 향하도록 한다. The lamp cover 493 includes a recess 4912 that forms a recessed space to accommodate the lamp PCB 492 therein. The recess 4912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PCB 492 through the round surface 4913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be directed toward the lamp case 491.

그리고, 램프 피시비 장착부(4914)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피시비(492)와 연결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전선 출입구(49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출입구(4915)는 상기 서브 도어(50)의 내측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어퍼 힌지(51)의 힌지축(523)을 통해 출입될 수 있다.And, one side of the lamp PCB mounting unit 4914 may be formed with a wire entrance (4915) through which the wire (L) connected to the lamp PCB 492 is entered. The wire entrance 4915 may be guid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sub door 50, and may enter and exit through a hinge shaft 523 of the sub upper hinge 51.

한편, 서브 도어(50)를 통해 투시할 수 있는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41)의 내부 영역 내지는 메인 도어의 개구부(403) 인근에 구비되는 바스켓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에 대응되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rea that can be viewed through the sub-door 50 may be referred to as a basket area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storage case 41 or near the opening 403 of the main door as described above. 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located corresponding to this area.

그러나,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구비된다. 즉, 메인 도어를 통해 개폐되는 저장실 내부에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함께 저장실 라이팅 유닛이 온 됨으로써 투시 밝기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과 바스켓 영역을 일정 부분 가로막는 수납 케이스 도어(42, 도 5 참조)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generally, a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is provided inside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hat is,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is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main door. Therefore, the perspective brightness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urning on the storage unit writing unit together with the door lighting unit 49. In this case, the storage case door 42 (see FIG. 5) which partially block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basket area may be omitted.

물론, 저장실 라이팅 유닛을 통해서 충분한 투시 밝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omit the door lighting unit 49 when sufficient perspective brightness is provided through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과 도어 라이팅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 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n at least one of the storage unit lighting unit and the door lighting unit.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패널 어셈블리(54)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는 전면 패널(541)과 상기 전면 패널(54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542)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를 지지하는 간봉(5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6, an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the panel assembly 54 has a front panel 541 and a rear of the front panel 54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insulation panel 542 disposed in the and the front bar 541 and the ganbong 543 supporting the insulation panel 542 and the plurality of insulation panels 542.

상기 간봉(543)은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을 서로 이격시키게 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며, 그 사이가 밀봉될 수 있도록 한다.The bar 543 separates the front panel 541 and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542 from each other, and allows the front panel 541 and the thermal insulation panel 54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be sealed therebetween. .

상기 간봉(543)은 복수의 상기 단열 패널(542)의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541)과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S) 및 복수의 단열 패널(542) 사이의 밀폐된 공간(S)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The liver rod 543 may also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panels 542, and if necessary, a sealed space S and a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panels between the front panel 541 and the heat insulating panel 542. An inert gas such as argon gas for thermal insulation may be filled between the enclosed spaces S between the 542.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541)의 좌우 폭은 단열 패널(542)의 좌우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단열 패널(542)의 좌우 폭은 라이너 개구(581)의 좌우폭 보다 클 수 있다. 투시 활성화가 되는 경우 외부에서 상기 라이너 개구(581) 내측 영역(저장실 투시 영역)뿐만 아니라 간봉(543)까지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봉이 외부에서 투시되지 않도록 전편 패널(541)의 테두리 부분에 베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젤(5411)은 전면패널(541)에 인쇄된 인쇄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필름 코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젤 부분에 후술하는 노크 감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노크 감지장치는 간봉(543)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541)의 밀착이 유지되기 위해서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 사이에 인쇄층이나 코팅층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와 전면 패널(541)이 밀착된 부분을 제외하고 베젤 부분에 인쇄층이나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ront panel 541 may b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nsulation panel 542.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nsulation panel 542 may b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iner opening 581. When perspective activation is enabled, the interior of the liner opening 581 (reservoir perspective area) as well as the liver rod 543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 bezel may be 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front panel 541 so that the liver is not viewed from the outside. The bezel 5411 may be formed of a printed layer printed on the front panel 541, and may be formed by an opaque film coating. In addition, a knock detection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at the bezel portion of the front panel 541. The knock detection device may be located outside the liver rod 543. In order to maintain close contact between the knock detection device and the front panel 541, a printing layer or a coating layer may be excluded between the knock detection device and the front panel. Therefor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knock detection device and the front panel 54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inting layer or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bezel portion.

한편, 상기 베젤(5411) 부분에는 히터(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9)는 열선 형태로 형성되며 패널 어셈블리(54)의 테두리 부분을 둘러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전면 패널(541)의 베젤 부분에는 단열 패널(542)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히터(59)를 통해서 베젤 부분 전방에서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zel 5411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59). The heater 59 may be formed in a hot wir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surrounding the edge portion of the panel assembly 54 (see FIG. 7). Since the heat insulation panel 542 is not provided at the bezel portion of the front panel 541, condensation may be prevented from the front of the bezel portion through the heater 59.

상기 전면 패널(541)의 상하폭은 단열 패널(542)의 상하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전면 패널(541)은 단열 패널보다 상부 및/또는 하부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부분은 상부와 하부 베젤을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front panel 541 may be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heat insulation panel 542. That is, the front panel 541 may be formed to extend further up and / or lower than the heat insulation panel. This extending portion may form the upper and lower bezels.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노크 감지장치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서브 도어(50)의 아웃 플레이트(55)와 패널 어셈블리(54)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knock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10, the out plate 55 and the panel assembly 54 of the sub door 50 are omitt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삽입될 수 있는 센서 개구(584)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 개구(584)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외측에서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sensor opening 584 is formed below the door liner 58 into which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can be inserted, and the sensor opening 584 is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 Can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from the outside.

상기 도어 라이너(58)의 하부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배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노크 감지장치(82)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케이스(587)가 장착될 수 있다.An accommodating part case 587 may be mounted under the door liner 58 to exte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assembly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is accommodated.

상기 수용부 케이스(587)에는 노크 감지장치(82)의 전단이 삽입되는 감지장치 삽입부(58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 삽입부(5872)의 전면은 삽입부 홀(5873)이 개구되어 내측에 삽입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그 전면이 상기 전면 패널(541)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The accommodating part case 587 may include a sensing device inserting part 5872 in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knock sensing device 82 is inserte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device inserting part 5872 has an insertion part hole 5873.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opene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may have a front surface thereof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541.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58)에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의 노크 감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되는 인서트 커버(58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 커버(585)는 상기 센서 개구(584)를 차폐하는 커버부(5851)와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가 장착된 피시비 삽입부(5852)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liner 58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 cover 585 on which a sensor device 83 for processing the knock detection signal of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is mounted, and the insert cover 585 is provided. The cover portion 5851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sensor opening 584 and the PCB insertion portion 5852 may be equipped with the sensor device 83.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사용자가 패널 어셈블리(54) 전면을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두드리는 것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판단하면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노크 온 신호는 냉장고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이러한 제어부를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라 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83 may allow a user to determine that the knock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assembly 54 is a normal knock input. More specifically, tapping a plurality of tim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may be determined as a normal knock input. Judging by the normal knock input will generate a knock on signal. The knock 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Such a controller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controller of the refrigerator.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감지장치 피시비(83)는 하나의 노크 모듈(8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노크 감지장치에서 감지한 노크 입력을 메인 제어부(2)가 아닌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장치 피시비는 노크모듈 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The knock sensing device 82 and the sensing device PCB 83 may form one knock module 80.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knock input sensed by the knock sensing device is a normal knock input by the sensing device PCB 83 instead of the main controller 2. Accordingly, the sensing device PCB may be referred to as a knock module microcomputer.

따라서, 노크 감지장치(82)에서 감지된 입력 신호들이 메인 제어부(2)로 전달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을 통해서 노크 온 신호를 받고 투시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으로 족할 수 있다. 이러한 노크 모듈의 구성 및 제어 특성에 대해서 도 12를 통해서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Therefore, the input signals sensed by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do not need to be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2.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2 may be sufficient to receive a knock on signal through the knock module 80 and control perspective activation. The configuration and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knock modul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0에서는 전면패널(541)이 단열패널보다 하부로 더욱 연장된 부분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서브 도어(50)의 하부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달리 노크 감지장치(82)는 전면패널(541)이 단열패널보다 상부로 더욱 연장된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 도어(50)의 상부에 노크 감지장치(82)가 구비될 것이다. In FIG. 10, an example in which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panel 541 extends further below the insulation panel is illustrated. That is, an example in which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is provided below the sub door 50 is illustrated. However, unlike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the front panel 541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top panel 541 further extends upward. In this case,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door 50.

도 6의C-C' 단면도인 도 11를 참조하여 노크 감지장치(82)의 구성 및 장착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노크 온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 모듈(821)과, 상기 마이크 모듈(821)이 수용되는 홀더(823) 그리고 상기 홀더(823) 및 마이크 모듈(821)을 상기 전면 패널(541)측으로 가압 밀착시키는 탄성부재(824)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24) 및 상기 홀더(8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includes a microphone module 821 for detecting a knock-on signal, a holder 823 in which the microphone module 821 is accommodated, and the holder 823 and the microphone module 821 on the front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82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541 and a support member 825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824 and the holder 823.

상기 마이크 모듈(821)은 음파를 직접 센싱하는 마이크(8211)와 상기 마이크(8211)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8212)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8211)는 음파의 직접적인 센싱을 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모듈(8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The microphone module 821 includes a microphone 8211 for directly sensing sound waves and a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8212 for accommodating the microphone 8211. The microphone 8211 may directly sense sound waves,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ixedly mounted in the microphone module 821.

전면패널에 가해지는 노크 입력을 마이크 모듈(821)이 감지하며, 감지된 노크 입력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판단하게 된다.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 경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메인 제어부(2)에 노크 온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2)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면 투시 활성화를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시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에서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면 투시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The microphone module 821 detects a knock input applied to the front panel, and the sensor device 83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knock input is a normal knock input. In the case of a normal knock input, the sensing device PCB 83 transmits a knock on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2.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main control unit 2 receives the knock on signal, perspective activation is performed. In one example,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n the door lighting unit 49. In addition, when the main control unit 2 receives the knock-on signal in the perspective activation state, the perspective control may be perform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투시 활성화/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냉장고의 노크 조작 전 후 상태의 사시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of control signals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perspective activation / perspective deactivation control of the refrigerator.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before and after knock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어부(2) 외에 기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나 통신을 위한 마이컴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감지장치 피씨비 또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마이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를 냉장고의 메인 제어부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controller 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microcomputer that performs other processes in addition to the controller 2. For example, a microcomputer for display or communica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 above-described sensing device PC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icrocomputer that performs a process. Therefore, the controller 2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controller of the refrigerator.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21)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20) 또는 메인 도어(4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40)에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할 수도 있다.The main controller 2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switch 21. The door switch 21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r the main door 40, and is provided in the main door 40 to provide the sub door 50. You can also detect the opening of.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연결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개방 시 또는 노크 온 신호의 입력 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와 연결된 상기 감지 장치 피시비(83)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2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lighting unit 49 to be turned on when the sub door 50 is opened or when a knock on signal is input. The main controller 2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device PCB 83 connected to the knock sensing device 82.

한편, 상기 냉장고(1)는 별도의 조작이 없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가 불투명한 상태로 거울면과 같은 상태 내지는 블랙패널면과 같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내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투시 비활성화 상태가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1 may be in the same state as the mirror surface or the black panel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panel assembly 54 is opaque, as shown in FIG. In such a state, fluoroscopy is impossible. That is, it may be in a perspective inactive state.

그리고,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는 활성화된 상태로 언제든지 사용자의 투시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10). In the perspective deactivated state,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user's perspective input is available at any time in an activated state (S110).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고내의 식품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는 노크 온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는 노크 온 조작이 유효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In the perspective deactivated state, in order to check the food storage state in the refrigerator, the user may perform a knock on operation of knocking the front of the sub-door 50, that is, the front panel 541,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A knock input of the user is sensed by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and the detection device PCB 83 determines whether the knock on operation is a valid operatio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ormal knock input (S120).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전면 패널(541)을 두드리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파장이 동일 매질인 상기 전면 패널(54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전면 패널(541)과 밀착된 마이크(8211)에서 음파를 수신하게 된다.In detail, when the user taps the front panel 541, the wavelength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at this time is moved along the front panel 541, which is the same medium, and the sound wave is emitted from the microphone 8211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541. Will be received.

수신된 음파는 필터와 증폭기를 지나면서 필터링 및 증폭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집 분석된 신호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e received sound wave may be filtered and amplified through the filter and the amplifier,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device 83. The sensing device PCB 83 determines whether the knock input is a normal knock input as a collected and analyzed signal to detect the knock signal.

고내 또는 고외측의 소음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경우 노크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와 그 특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노크 신호의 특성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In the case of sound waves generated by noise or impact inside or outside the air,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sound waves generated by knocking and the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sensing device PCB 83 determines whether the user knocks through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knock signal.

물론, 특정한 상황에서 노크 신호와 유사한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조작 미숙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541)에 노크와 유사한 충격이 발생될 수도 있고, 외부 소음이 노크 신호의 파장과 유사한 신호로 인식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a signal similar to the knock signal may be generated in a specific situation, and a knock-like shock may be generated on the front panel 541 by a user's carelessness or inexperienced operation, and external noise may be similar to the wavelength of the knock signal. It may be recognized as a signal.

이러한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는 상기 노크 신호가 설정된 패턴에 의해 연속적으로 발생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패턴이 설정시간 내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misunderstanding in such a special situation, the sensing device PCB 83 may check whether the knock signal is continuously generated by the set pattern, and determine whether such a pattern is made within the set time.

예를 들어, 유효한 노크 온 신호로 감지되기 위해서는 노크로 인식되는 신호가 1초 이내에 두번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 일반적인 사용자의 노크 패턴을 분석하여 본 결과 연속 2회 노크를 실시하고 그 시간 간격은 1초 이내에 해당하므로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 특수 상황에서의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유효 노크 온 신호로 판단되기 위한 노크 신호의 횟수와 설정시간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be detected as a valid knock on signal, a signal recognized as knock may be set to be generated twice within 1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ck pattern of a general user, two consecutive knocks are performed, and the time interval is within 1 second. Therefore, when se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understanding in special situations and to accurately recognize the knock operation of the user. You can do it. Of course, the number and setting time of the knock signal to be determined as the effective knock on signal may be variously changed.

상기 노크 감지장치(82)를 통해 유효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별도의 제어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즉 투시 비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에서 유효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이상 이에 따라 투시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ffective knock on signal is not generated through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the main controller 2 does not perform a separate control operation. That is, the perspective deactivation state is maintained.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2 does not perform the control related to the perspective unless the knock module 80 receives the valid knock on signal.

한편, 유효 노크 입력이 감지되어 상기 감지장치 피시비(83)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2)로 유효 노크 온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2)는 정상적인 투시와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투시 활성화 제어 내지는 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는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키게 된다. 그리고,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 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id knock input is sensed and transmits the effective knock on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PCB 83 to the main control unit 2, the main control unit 2 performs the control related to the normal perspective. That is, perspective activation control or perspective deactivation control is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perspective inactive state, the control unit 2 turns on the door lighting unit 49. In addition, in the perspective activation state, the control unit 2 turns off the door lighting unit 49.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켜지게 되면 상기 개구부(403)의 내측이 밝아지게 되고, 상기 고내측의 빛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54)를 통과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면 패널(541)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541)은 투명하게 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된다(S130).When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the inside of the opening 403 becomes bright, and the light inside the high light passes through the panel assembly 54. In particular, while passing through the front panel 541, the front panel 541 is transparent, as shown in Figure 14 it is possible to see the inside (S130).

상기 서브 도어(50)가 투명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40) 내부의 수납공간 또는 고내 공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거나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When the sub door 50 becomes transparent, the user can check the storage space or the interior space inside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is opened or necessary work for storing food. .

점등된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초 동안 점등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고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t door lighting unit 49 maintains the lit state for a set time, for example, 10 seconds, so that the user can sufficiently check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하여(S140), 설정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오프 시키게 된다(S16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while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S140), and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ff (S160).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의 노크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내를 확인하기 위해 노크 온 조작을 하여 고내를 확인한 후, 설정시간이 지나기 전에 도어 라이팅 유닛(49)를 오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knock input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et time elapses while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That is, after the user checks the height by performing a knock-on operation to check the height, 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turned off before the set time elapses.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5초 이내에 사용자가 고내의 수납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50)가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자 한다면, 다시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 즉 상기 전면 패널(541)을 노크 조작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make the sub door 50 in an opaque state within 5 seconds after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and the user confirms the storage state in the refrigerator, the sub door 50 again.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541 is knock operation.

이때의 노크 조작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S150)되면,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오프 될 수 있다(S160). 물론, 이때의 노크 조작의 유효성 판단은 상기 S120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른 노크 입력 패턴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knock operation is valid at this time (S150), 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turned off before the set time elapses (S160). Of course, the validity determination of the knock operation at this time may be set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120, or may be set to another knock input pattern as necessary.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 되거나 유효 노크 온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오프될 수 있다.When the set time elapses after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or when a valid knock on signal is input, 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turned off.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투시 활성화/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는 도어 라이팅 유닛(49)과 같은 조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2 receives the knock on signal and performs perspective activation / perspective deactivation control based on the knock on signal. Such control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lighting device such as the door lighting unit 49.

상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되면 고내측은 어두워지게 되고, 고 외측이 밝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외측의 빛이 전면 패널(541)에서 반사되어 상기 서브 도어(50)의 전면은 거울과 같은 상태로 내부의 투시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50)는 새로운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160).When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ff, the inside of the high place becomes dark, and the high outside becomes a bright state. In such a state, the high outsid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front panel 541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ub door 50 is in a state such as a mirror that is impossible to see inside. Therefore, the sub-door 50 is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until a new operation is input (S16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ature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ncluded unless they are contradictory or exclusive.

전술한 노크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전면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음파 내지는 진동으로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 소음이나 외부 충격이 냉장고에 전달될 수 있으며, 냉장고 자체에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크 감지장치는 입력된 정상 노크 입력뿐만 아니라 비정상 입력을 감지하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aforementioned knock detection device is provided to detect a knock input of a user. That is, the user's knock input to the front panel is detected by sound waves or vibrations. However, external noise or external shock may be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and vibration or shock may occur in the refrigerator itself. Therefore, the knock detection device detects not only the normal knock input but also an abnormal input and determines whether the knock is normal.

그러나,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외부 입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오인식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 활성화가 불필요한 상태거나 투시 활성화가 배제되어야 하는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히 불필요하게 노크 입력을 수신하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도 수행된다. However, an external input similar or identical to a normal knock input may be generated, in which case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unnecessarily by misrecognition. In addition, perspective activation may occur in a state in which perspective activation is unnecessary or in a state in which perspective activation should be excluded. In this case, a process of receiving a knock input unnecessarily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knock input is normal is also performed.

노크 입력은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도어 후방의 저장실 내부를 보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투시 활성화 제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만약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 제어가 어떠한 이유로 수행되는 경우, 이는 에너지 낭비 및 사용자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knock input may be performed to look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behind the door without opening the door provided with the see-through window. Therefore, perspective activation control is unnecessary when the door provided with the see-through window is opened. If the perspective activation control is performed for some reason with the door provided with the see-through window open, this may cause waste of energy and confusion of the user. In this embodiment,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ay be provided to solve such a problem.

한편,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다른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힐 때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서랍 형태의 냉동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충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음파 내지 진동으로 상기 노크 감지장치(82)에서 수신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impact may occur when not only a door provided with a see-through window but also another door of a refrigerator is opened and then closed. In particular, an impact may occur when the drawer-shaped freezer door is closed. Such a shock may be received by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by sound waves or vibrations.

복수의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사용자라 하더라도 도어를 닫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닫힘에 의해서 발생되는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users close the door can be said to be a variety of forms. And even the same user may have a variety of forms of closing the door. Thus, the impact generated by the door closing may be similar to a normal knock input. Therefore, a problem of misrecognizing an abnormal input as a normal knock input may occur.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닫았을 때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에서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거나 제품 고장 내지는 이상을 의심하게 되어 제품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투시 활성화도 불필요한 투시 활성화이므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본 실시예는 도어의 개방과 관련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loses the freezer door,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door provided with the viewing window. In this case, the user may think that the refrigerator is not smart or suspect a product failure or abnormality, thereby lowering product reliability. Of course, such perspective activation is also unnecessary perspective activation, resulting in waste of energy.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solving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도 본 실시예에 동일 또는 유사한 제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for the same featur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also include the same or similar control configuration in this embodiment.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로부터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된다. 노크 온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 라이팅 유닛(49) 및/또는 투시되는 도어의 후방의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시켜 투시 활성화를 수행한다. The main controller 2 is provided to receive the knock on signal from the knock module 80. When the knock on signal is received, the door lighting unit 49 and / or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behind the seeing door are turned on to perform perspective activation.

투시창이 구비된 도어(투시창 도어)가 냉장실(냉동실) 도어인 경우, 사용자는 냉장실(냉동실) 도어에 노크 입력을 한다. 이러한 형태는 단일 도어를 갖는 냉장고 내지는 냉동고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생략될 수 있으며 냉장실(냉동실) 내부의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됨으로써 투시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door (view window door) provided with the see-through window is a refrigerator compartment (freezer compartment) door, the user inputs a knock input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freezer compartment) door. This form may be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or freezer having a single door. In this case, the door writing unit 49 may be omitted and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turning on the storage compartment writing unit 49a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reezer).

메인 제어부(2)는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를 통해서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 시킨다. 이때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의 온은 투시 활성화와 무관하다. The main control unit 2 may know that the viewing window door is open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door switch 21a. When the viewing window door is opened, the main control unit 2 turns on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ell. At this time, the on of the storage unit lighting unit 49a is independent of perspective activation.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투시창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하여 불필요하게 투시 비활성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In this state, however, perspective de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an abnormal knock input. In other words,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may be turned off even when the viewing window door is open. That is, the perspective deactiva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by misrecognizing an abnormal input as a normal input. In this case, the user may suspect a breakdow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use becomes very inconvenient.

아울러, 투시창 도어가 개방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ith the sight window door open and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turned on, the user can intentionally make a normal knock input.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unit lighting unit 49a is turned off, the user may think that the refrigerator is not smart.

한편, 사용자가 투시창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ns the see-through window door and closes it har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erception activation is performed is misidentified as a normal knock inpu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 및 투시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spective activation and perspective deactivation not only be associated with the knock module 80 and the main control unit 2 but also with the viewing window door switch 21a.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도어는 냉장실 도어 내지는 냉동실 도어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냉장실의 메인 도어(40)에 구비된 서브 도어(50)가 투시창 도어일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는 서브 도어 스위치라 할 수 있으며, 메인 도어 스위치(21b)는 메인 도어 후방의 저장실에 구비되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은 메인 도어 라이팅 유닛이라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ewing window door may be a sub door provided in the main door, which i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r a freezing compartment door. For example, the sub-door 50 provided in the main door 40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shown in FIG. 1 may be a viewing window door. In this case, the viewing window door switch 21a may be referred to as a sub-door switch, and the main door switch 21b may be referred to as a storage compartment writing unit 49a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behind the main door. Of course, in this case, the door lighting unit 49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door lighting unit.

메인 제어부(2)는 메인 도어 스위치(21b)를 통해서 메인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메인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을 온 시킨다. 이때는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의 온은 투시 활성화 제어와 무관하다. The main controller 2 can know that the main door is opened through the main door switch 21b. When the main door is opened, the main controller 2 turns on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ell. At this time, the 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writing unit 49a is independent of the perspective activation control.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물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투시 활성화에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투시 밝기를 더욱 키우기 위해서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온되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this state, however, perspective de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an abnormal knock input. In other words, the storage compartment lighting unit 49a may be turned off even though the main door is open. Of course, the reservoir writing unit 49a may not be used for perspective activation. However, when the storage lighting unit 49a is turned on to further increase the perspective brightness, the storage lighting unit 49a may be suddenly turned off while the user is looking inside the storage chamber. That is, abnormal input may be mistaken for normal input. In this case, the user may suspect a breakdow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use becomes very inconvenient. That is, the same problem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메인 도어가 개방되고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브 도어에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실 라이팅 유닛(49a)이 오프되거나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온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main door is opened and the storage unit lighting unit 49a is turned on, the user can intentionally make a normal knock input to the sub door.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unit lighting unit 49a is turned off or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the user may think that the refrigerator is not smart.

한편, 사용자가 메인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main door har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erspective activation is performed is misidentified as a normal knock inpu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 도어가 구비된 메인 도어의 메인 도어 스위치(21b)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activation and the viewing window deactivation are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knock module 80 and the main control unit 2 but also with the main door switch 21b of the main door provided with the viewing door.

메인 제어부(2)는 투시창 도어 스위치(21a)를 통해서 서브 도어(40)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브 도어가 개방되면, 메인 제어부(2)는 사용자가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저장 영역 내부를 잘 볼 수 있도록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킨다. 이때는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은 투시창 활성화 제와 무관하다. The main controller 2 can know that the sub-door 40 is opened through the see-through door switch 21a. When the sub door is opened, the main controller 2 turns on the door writing unit 49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storage area provided in the main door. At this time, the on of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independent of the viewing window activator.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노크 입력에 의해서 투시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브 도어를 열어서 메인 도어의 저장 영역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될 수 있다. 즉, 비정상적인 입력을 정상적인 입력으로 오인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this state, however, perspective deactivation may be performed by an abnormal knock input. In other words, the door lighting unit 49 can be turned off even though the sub door is in the open state. That is, the door writing unit 49 may be turned off suddenly while the user opens the sub door to look at the storage area of the main door. That is, abnormal input may be mistaken for normal input. In this case, the user may suspect a breakdown of the refrigerator, and the use becomes very inconvenient. That is, the same problem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서브 도어(50)가 개방되고 도어 라이팅 유닛(49)가 온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서브 도어에 정상적인 노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이 오프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냉장고가 똑똑하지 못하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sub door 50 is opened and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n, the user can intentionally make a normal knock input to the sub door. In this case, when the door lighting unit 49 is turned off, the user may think that the refrigerator is not smart.

한편, 사용자가 서브 도어를 개방하고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되어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ubdoor har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luoroscopy activation is performed by mistaken as a normal knock inpu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투시창 도어 스위치(21b)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activation and the viewing window deactivation are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knock module 80 and the main control unit 2 but also with the viewing window door switch 21b.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도어는 냉장실 도어 내지는 냉동실 도어인 메인 도어에 구비되는 서브 도어일 수 있다. 물론, 투시창 도어는 메인 도어 자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냉동실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투시창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냉동실 도어라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ewing window door may be a sub door provided in the main door, which i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r a freezing compartment door. Of course, the viewing window door may be the main door itself. And, it may include individual doors as well as the main door and the sub-door.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shown in FIG. 1. For convenience, a door unrelated to the sight glass door is called a freezer door.

메인 제어부(2)는 냉동실 도어 스위치(21c)를 통해서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냉동실 도어는 투시창 도어와 무관하며 투시 활성화를 위한 라이팅 유닛들(49, 49a)와도 무관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개방하고 닫기까지는 사용자의 시선은 냉동실을 향하게 된다. The main controller 2 can know that the freezer door is opened through the freezer door switch 21c. The freezer door is independent of the viewing window door and also of the lighting units 49 and 49a for activating the perspective. Then, the user's eyes are directed toward the freezer until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freezer door.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세게 닫는 경우 정상적인 노크 입력으로 오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f the user closes the freezer door hard, it can be mistaken for a normal knock input. In this case, perspective activation is performed unnecessarily, in which case, the user may suspect a breakdown of the refrigerator, and use becomes very inconvenient. That is, the same problem may occur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투시창 활성화 및 투시창 비활성화가 노크 모듈(80)과 메인 제어부(2)에만 연관된 것이 아니라 냉동실 도어 스위치(21c)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투시 도어와 무관한 다른 도어의 도어 스위치(21)와도 연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activation and the viewing window deactivation are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knock module 80 and the main control unit 2 but also with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switch 21c.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lso be associated with the door switch 21 of the other door irrelevant to the see-through doo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도어 내지는 복수 개의 도어를 갖고 투시창이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투시 활성화 및 투시 비활성화를 도어 스위치와 연관되어 제어함으로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즉,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에서 메인 제어부(2)가 노크 모듈(80)뿐만 아니라 도어 스위치들(21a, 21b, 21c)와 연계되어 투시 제어를 수행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refrigerator having one door or a plurality of doors and a viewing window, the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s by controlling perspective activation and perspective deactivation in association with a door switch. It provides a way. That is, in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he main controller 2 provides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main controller 2 performs perspective control in connection with the door switches 21a, 21b, and 21c as well as the knock module 80.

도 16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투시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오인식 및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투시 제어와 관련된 비상식적인 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와 관련된 오인식, 오작동 그리고 비상식적인 작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 내지는 도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forms of misperception and malfunction associated with perspective control may occur when the door is opened. In addition, an emergency operation related to clairvoyance control may occur while the door is open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misunderstanding, malfunction and emergency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door. That is, this object can be achieved by using a door sensor or a door switch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

노크 입력의 수신,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 판단, 노크 신호 발생 및 노크 신호 수신은 투시 활성화를 위한 일련의 절차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거나 수행을 차단하는 경우 투시 활성화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투시 활성화에서 투시 비활성화로 전환하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Receiving the knock input, determining whether the knock input is normal, generating the knock signal, and receiving the knock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series of procedures for activating perspective. Perspective activation is not performed if one does not perform or blocks the execution of one of these series of procedures. Of course, this series of procedures can be performed to switch from perspective activation to perspective inactivation.

본 실시예에서 투시 활성화 또는 투시 활성화의 전환은 도어가 닫힘을 전제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 여부를 도어 스위치 등을 통해서 판단하고(S201)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노크 모듈 활성화(S21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노크 모듈 활성화는 전술한 일련의 절차를 모두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어 개방 여부는 도어 스위치에서 도어 개방 시 발생시키는 도어개방신호를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of the perspective activation or the perspective activ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the door is close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a door switch or the like (S201), and when the door is not opened, knock module activation (S210) is preferably performed. In other words, activation of the knock module means performing all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dures. Here, whether the door is open may be determined through a door open signal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door switch.

그리고,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모듈 비활성화를 수행(S205)하여 상기 일련의 절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크 모듈 비활성화의 일례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knock module may be deactivated (S205) so as no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series of procedures. Examples of knock module deactivation may be as follows.

일례로,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모듈(8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크 입력 수신 자체가 수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노크 모듈에서 정상적인 노크 입력 여부를 판단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노크 온 신호의 발생도 수행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the main controller 2 may block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knock module 80. In this case, the knock input reception itself is not performed. In addition, the knock module does not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normal knock input, and thus the knock on signal is not generated.

일례로, 노크 감지장치(82)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즉, 감지장치 피씨비(83) 또는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knock detection device 82 may be blocked. That is, the current may be interrupted through the sensor device 83 or the main control unit 2.

일례로, 감지장치 피씨비(83)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감지장치(8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무시하거나 노크 입력 판단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씨비(83)는 상기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sensing device PCB 83,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knock detecting device 82 may be ignored or the knock input determination may not be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sensing device PC 83 can know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

일례로, 감지장치 피씨비(83)에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 피씨비(83)는 상기 메인 제어부(2)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sensing device PC 83, it is possible not to generate a knock on signal. This is because the sensing device PC 83 can know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2.

일례로,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로부터 노크 신호의 수신을 차단하거나 수신되는 노크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in controller 2 may block reception of the knock signal from the knock module 80 or ignore the received knock signal.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 투시 제어와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2 may fundamentally block a problem that may occur in connection with perspective control when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여기서, 도어 스위치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거나 모든 스위치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도어(40), 서브 도어(50) 등이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매우 동떨어진 경우, 이들 도어 스위치와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는 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냉동실 도어(30)가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혼동될 수 있는 경우, 냉동실 도어 스위치만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와 관련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door switch may be applied only to any one of the switch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or may be applied to all switches. For example, when the impact when the main door 40, the sub-door 50, etc. are closed is very far from the normal knock input, the door switch and the knock module may be activ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act when the freezer door 30 is closed may be confused with the normal knock input, only the freezer door switch may be related to whether the knock module is activ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도어 스위치 내지는 도어 센서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오인식 및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spite of using a door switch or a door sensor which is general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recognition and malfunction from occurring.

냉장고의 경우 도어의 개방 빈도 높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노크 모듈 활성화를 비활성화로 전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노크 감지장치(81)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거나 노크 모듈(80)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크 모듈(80)은 항상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특별한 사정이란, 별도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서 투시 기능 자체를 오프 시키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refrigerators, the doors are opened frequently. Thus, it may not be desirable to switch knock module activation to inactive every time the door is opened. In particular, it may be undesirable to cut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knock sensing device 81 or to cut off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knock module 80 each time the door is opened.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operate the knock module 80 at all times unless the refrigerator is powered off or there is no special situation. Here, the special circumstances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perspective function itself is turned off through a separate user input means.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과 관련하여 오인식 및 오작동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eve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of misrecognition and malfunction may occur with respect to the opening of the door.

이하에서는 도 17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를 복합적으로 구현할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노크 모듈 활성화를 전제로 할 수 있다. This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6 are combined. In this embodiment, the knock module may be basically activated.

노크 모듈 활성화 상태(S310)에서 유효 노크 온 신호가 감지(S320)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는 노크 모듈(80)을 통해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노크 모듈 활성화 상태에서, 노크 모듈(80)은 노크 입력을 감지하고, 노크 입력 여부인지 판단하고, 노크 온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In the knock module activation state S310, a valid knock on signal may be detected (S320). That is, the main controller 2 may receive the knock on signal through the knock module 80. In other words, in the knock module activation state, the knock module 80 detects the knock input, determines whether the knock is input,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for generating a knock on signal.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에 노크 온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곧바로 투시 활성화 내지는 투시 전환이 수행되지 않고,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5)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제어부(2)에서 노크 온 신호를 수신한 후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knock-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2, it is preferable that perspective activation or perspective switching is not immediately performed, and the step S325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is preferably performed. That is, the main controller 2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after receiving the knock on signal.

도어가 개방된 경우, 메인 제어부(2)는 수신된 노크 온 신호를 무시(S326)하게 된다. 즉, 제어 로직에서 노크 온 신호의 수신을 무시하게 된다. 이는 전기적 스위칭 내지는 기계적 스위칭과는 다른 제어 알고리즘 영역으로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main controller 2 ignores the received knock on signal (S326). In other words, the control logic ignores the reception of the knock on signal. This can be done very easily with areas of control algorithms other than electrical or mechanical switching.

노크 온 신호를 무시하는 경우, 노크 온 신호의 수신 여부와 관련된 후속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게 된다. 즉, 노크 온 신호를 기반으로 한 투시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을 온 시키거나 도어 라이팅 유닛(49)를 오프 시키는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 제어는 노크 온 신호 여부와 무관하게 도어 스위치에 의한 도어 개폐 여부에 오로지 의존하게 될 것이다. If the knock on signal is ignored, no further action is taken regarding the receipt of the knock on signal. That is, the perspective control based on the knock on signal is not performed. In one example, no further action is taken to turn on the door lighting unit 49 or to turn off the door lighting unit 49. Therefore, in this case, the on / off control of the door lighting unit 49 will depend only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y the door switch regardless of whether the knock on signal is present.

노크 온 신호가 발생하고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노크 온 신호가 도어 닫힘에 의해서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27)할 수 있다. 즉, 도어의 닫힘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된 경우, 마찬가지로 노크 온 신호를 무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knock 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door is clos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knock 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door closing (S327). That is, when the knock 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door closing, it is necessary to ignore the knock on signal as well.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알 수 있다. 물론, 메인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이 지속된 시간 및/또는 도어의 닫힘이 지속된 시간 또한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도어가 닫혀있는 경우, 도어가 닫힌 후 설정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고 노크 입력을 수행하는 데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어의 닫힘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기 위해서도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The main controller 2 may know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switch. Of course, the main control unit 2 may also know the time that the door is opened and / or the time that the door is closed through the door switch. By using this, when the door is clos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door is closed. It takes a certain time for the user to close the door and perform the knock input. In addition, a certain time is required to alleviate the impact caused by the closing of the door.

이러한 일정 시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설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은 대략 1초 내외 일 수 있다. 너무 짧은 경우, 도어의 닫힘 충격을 노크 온 신호로 인식하고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너무 긴 경우,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노크 입력을 하여 노크 온 신호가 발생되었는데 이를 무시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se predetermined times. The set time may be about 1 second. If too short, the closing shock of the door can be recognized as a knock on signal and reflected. If it is too long, the user normally inputs the knock and generates a knock on signal, which can be ignored.

도어가 닫힌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여 투시 제어를 수행(S330)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라이팅 유닛(49)의 온/오프 제어 조건으로서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게 된다. 투시 활성화 상태에서는 투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투시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투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door is closed, perspective control may be performed by reflecting the knock on signal (S330). In one example, the knock on signal is reflected as an on / off control condition of the door lighting unit 49. In perspective active state, the device is switched to perspective inactive state, and in perspective inactive state, it is switched to perspective enabled state.

그리고, 투시 활성화가 된 상태에서 투시 활성화 시작 시간으로부터 설정시간 경과(S340)인 경우 투시 비활성화로 전환(S360)하게 된다. Then,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S340) from the perspective activation start time in the perspective activation state is switched to the perspective deactivation (S360).

본 실시예에서 도어의 개폐 여부는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는 도어가 개방됨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는 도어 스위치 또는 도어 센서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can be detected through a door switch or a door sensor. The door switch or door sensor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generates a door open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2. Therefore, the controller 2 can know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or the door sensor.

여기서, 도어 스위치는 도 15를 통해 설명한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되거나, 일부 스위치들에 적용하거나, 모든 스위치들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인 도어(40), 서브 도어(50) 등이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매우 동떨어진 경우, 이들 도어 스위치와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는 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냉동실 도어(30)가 닫힐 때의 충격이 정상적인 노크 입력과 혼동될 수 있는 경우, 냉동실 도어 스위치만 노크 모듈 활성화 여부와 관련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door switch may be applied only to any one of the switch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to some switches, or to all switches. For example, when the impact when the main door 40, the sub-door 50, etc. are closed is very far from the normal knock input, the door switch and the knock module may be activ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act when the freezer door 30 is closed may be confused with the normal knock input, only the freezer door switch may be related to whether the knock module is activated.

상기 S325 단계에서의 도어 조건과 S327 단계에서의 도어 조건은 갖거나 다를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어가 구비되는 경우 도어 조건이 중복될 수 있다. 즉, 어느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와 어느 도어가 닫힘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에 대한 것이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The door condition in step S325 and the door condition in step S327 may be different or different. When a plurality of doors are provided, door conditions may overlap. That is, which doors are opened and which doors are set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S327 단계에서는 모든 도어들에 대해서 도어 닫힘이 오인식 유발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S327 단계에서는 도어는 모든 도어일 수 있다. 물론, S327 단계에서 특정 도어의 경우에만 오인식 유발 우려가 있는 경우, 특정 도어의 닫힘 경과 시간만 판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 도어는 냉동실 도어(30)일 수 있다. 특히 서랍형 도어인 경우 냉동실 영역 자체가 이동되어 닫힘으로 상대적으로 큰 충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step S327 there may be a fear that the door closure causes misrecognition for all the doors. Therefore, in step S327, the door may be all doors. Of course, if there is a fear of misrecognition only in the case of a specific door in step S327, only the elapsed time of closing the specific door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specific door may be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rawer type door, the freezer compartment itself is moved and closed because a relatively large impact may occur.

S325 단계에서의 도어도 모든 도어일 수 있다. 즉, 투시 도어, 투시 도어와 연관된 도어 그리고 투시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투시 도어와 무관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도어와 연관된 저장실에 관심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노크 온 신호가 반영될 필요가 없다. The door in step S325 may also be all doors. That is, it may include both a perspective door, a door associated with the perspective door, and a door independent of the perspective door. When opening a door that is independent of the see-through door, the user is not interes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ssociated with the other door. Therefore, the knock on signal need not be reflected in this state.

그러나,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저장 영역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S325 단계에서의 도어는 투시 도어 또는 투시 도어와 연관된 도어(투시 도어가 서브 도어일 때의 메인 도어)임이 바람직하다. 투시 도어 또는 투시 도어와 관련된 도어(투시 도어가 서브 도어일 때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경우, 노크 온 신호를 반영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오히려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since the user may be interested in a plurality of storage areas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in step S325 is a door associated with the perspective door or the door (the main door when the perspective door is a sub-door). This is because when the perspective door or the door associated with the perspective door (the main door when the perspective door is a sub-door) is opened and the knock on signal is reflecte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using to the user.

전술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투시 입력이 노크에 의해서 수행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related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s perspective input is performed by knock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노크 입력을 진동이나 음파를 통해서 감지해야 하므로 노크모듈 구조가 복잡하며, 오인식 방지를 위한 제어로직이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knock input has to be sensed through vibration or sound waves, the knock modul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control logic for preventing false recognition is complicated.

이하에서는 투시 입력이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투시 입력 유닛이 매우 간단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erspective input is very simple and intuitive and the perspective input unit is very simple.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냉장고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만, 투시 입력 유닛 및 이의 장착과 관련된 구조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basic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refrigerato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perspective input unit and its mounting may be different.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과 도 19는 각각 도 2와 도 9와 대응될 수 있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18 and 19 may correspond to FIGS. 2 and 9,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도어(50)은 투시창(패널 어셈블리,54)를 갖는 도어이며, 투시창(54)를 통해서 메인 도어(40)에 구비되는 도어 저장실 영역 즉 도어 바스켓(43)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주 이용하는 음료수 등과 같은 저장물이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 서브 도어(50)를 개방하지 않고 파악할 수 있다. As shown, the sub-door 50 is a door having a see-through window (panel assembly 54), through which the door storage compartment area, that is, the door basket 43, provided in the main door 40 can be seen. . Accordingly, the user can determine where the storage items such as the frequently used beverages are located without opening the sub door 50.

상기 서브 도어(50)를 열면 상기 도어 바스켓(43)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메인 도어(40)에 형성된 개구부(403)을 통해서 도어 바스켓(43) 내의 음식물 등을 꺼낼 수 있다. 즉, 서브 도어(50)를 열기 전에 이미 원하는 저장물이 위치를 파악하였으므로, 서브 도어(50)를 열고 곧바로 원하는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When the sub door 50 is opened, the door basket 43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user may take out food or the like in the door basket 43 through the opening 403 formed in the main door 40. That is, since the desired storage has already been identified before opening the sub door 50, the desired storage may be immediately opened after opening the sub door 50.

상기 개구부(403)를 통해서 외부로 냉기가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403)의 둘레와 상기 서브 도어(50) 사이에는 가스켓(591)이 구비될 수 있다. Cold air may leak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403. Therefore, a gasket 59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403 and the sub door 50.

상기 가스켓(591)은 실리콘 내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냉기의 누설을 차단하며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 충격을 완화한다. 즉,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갭(G)을 밀봉 기능 및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한다. The gasket 591 is made of silicon or rubber to block leakage of cold air and to mitigate shock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That is, the gap G between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performs a sealing function and a shock mitigation function.

상기 가스켓(591)은 폐루프 형태를 가지며, 폐루프 내부로부터 폐루프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gasket 591 has a closed loop shape and prevents cold air from leaking from the inside of the closed loop to the outside of the closed loop.

또한, 가스켓(591)은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자성에 의해서 밀폐 기능이 유지되며, 이로 인해서 서브 도어(5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소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gasket 591 is formed to have a magnetic property to maintain a sealing function by the magnetic, and thus, to open the sub door 50,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이러한 이유로, 상기 가스켓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두께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가스켓의 두께(전후 폭)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서브 도어(50)를 당기는 경우 가스켓의 두께는 탄성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서브 도어(50)를 미는 경우 가스켓의 두께는 탄성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도어(50)가 닫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도 가스켓의 두께는 탄성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는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갭(G)도 마찬가지로 가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For this reason, the gaske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formed to vary in thickness. That is, as shown in FIG. 19, the thickness (front and rear width) of the gasket is kept constant in the state where the sub door is closed. However, when pulling the sub door 50, the thickness of the gasket may be increased elastically, and when pushing the sub door 50, the thickness of the gasket may be reduced elastically. Therefore, even when the sub-door 50 is kept closed, the thickness of the gasket may change elastically, which means that the gap G between the main door 40 and the sub-door 50 may also be changed. it means.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가스켓의 성질 및 위치에 주목하여 사용자의 투시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70)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센서 모듈(70)은 투시 입력 유닛의 일실시예로, 전술한 노크모듈(80)과는 다른 형태의 투시 입력 유닛이라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nsor module 70 for detecting the user's perspective input by paying attention to the nature and location of the gasket. The sensor module 70 is an embodiment of the perspective input unit,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erspective input unit different from the knock module 80 described above.

상기 센서 모듈(70)은 서브 도어(5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70)은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 사이의 이격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7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b door 50. In detail, the sensor module 7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to detect a change in separation therebetween.

서브 도어(50)에 투시창(54)이 구비되므로, 투시 입력은 투시창(54)을 밀거나 서브 도어(50)를 미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스켓(591)의 특성에 의해서 서브 도어(50)가 어느 정도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변화를 통하여 센서 모듈(70)은 투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Since the see-through window 54 is provided in the sub-door 50, the see-through input may be performed by pushing the see-through window 54 or pushing the sub-door 5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sket 591, the sub door 50 can be moved to the rear to some extent. Through this separation change, the sensor module 70 may detect a perspective input.

상기 센서 모듈(70)에 가해지는 투시 입력은 푸시 입력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센서 모듈(70)은 투시 입력과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투시온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메인 제어부(제어부, 2)는 이러한 센서 모듈(70)의 출력을 수신하여 라이팅 유닛과 같은 투시 전환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The perspective input applied to the sensor module 70 may be referred to as a push input. By sensing the push input, the sensor module 70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e-through input. That is, it generates a see-through signal. The main controller (control unit) 2 receives the output of the sensor module 70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perspective switching unit such as a lighting unit.

사용자는, 서브 도어(23)의 개방을 위해서, 핸들(23)을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서브 도어(23)의 핸들에 힘을 가하는 것 자체가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냉장고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의지가 가장 먼저 반영되는 구성이 냉장고의 핸들이라 할 수 있다. The user pulls the handle 23 to open the sub door 23. Therefore,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of the sub door 23 may be an expression of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actively use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handle of which the user's will is first refl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handle of the refrigerator.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센서 모듈(70)은 핸들(2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23)을 미는 것으로 서브 도어(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를 투시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들(23) 전체를 투시 입력 유닛의 일부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면패널(541) 전체를 투시 입력 유닛의 일부로 확장한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intuition, the sensor module 70 is preferably located behind the handle 23. That is, by pushing the handle 23, the sub-door 50 is moved to the rear, it can be detected as a perspective input. Thus, the entire handle 23 can be extended as part of the see-through input uni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entire front panel 541 is extended as part of the perspective input unit.

아울러, 핸들(23)은 서브 도어(23)의 회전축(서브 힌지)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23) 후방에서 서브 도어(23)를 미는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이격 간격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도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handle 23 is locat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distant from the rotation axis (sub hinge) of the sub door 23.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paration interval very effectively when pushing the sub door 23 behind the handle 23.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70)은 서브 도어(50)의 후면에 구비되는 가압부재(72)와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72)를 통해 가압되는 센서(71)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sensor module 7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member 40 and the pressing member 72 provided on the rear of the sub-door 50, the sensor 71 is pressed through the pressing member 72 ).

상기 가압부재(72)는 상기 도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가압 돌기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72)의 돌출 길이는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의 전후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브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의 갭(50)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72)의 돌출 길이가 크면 외부 충격에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푸시 입력에 의한 서브 도어(50)의 후방 이동은 회전 각도가 작지만 엄밀하게는 회전 이동이다. 따라서, 가압부재(72)의 돌출 길이가 길게 되면 회전 이동에 의해서 편차가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The pressing member 72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door. Therefore, this can be called a pressing protrus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7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gasket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 door 50 is clos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door 50 is smaller than the gap 50 in the closed state. This is because if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72 is large, the external shock may be easily damaged. Then, the rear movement of the sub door 50 by the push input is a rotational movement although the rotational angle is small. Therefore, wh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72 is long, a deviation occurs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which is undesirable.

이러한 이유로, 상기 센서(71)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의 돌출 길이도 상기 갭(50)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72)와 센서(71)의 접점은 상기 갭(G) 내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서브 도어(50)에 푸시 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접점 또한 상기 갭(G) 내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For this reason, the sensor 71 is preferably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nsor is also preferably smaller than the gap 50. Therefore,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member 72 and the sensor 71 is preferably performed in the gap (G).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 contact in a state in which a push input is applied to the sub door 50 is also performed in the gap G.

그러나, 센서(71) 자체가 냉장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71)는 메인 도어(40)의 전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위치되고, 이에 따라 가압부재(72)가 더욱 돌출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을 것이다.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sensor 71 itself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e sensor 71 is located in a recessed shape in the front of the main door 40, whereby the pressing member 72 is further protruded Nothing will be ruled out.

상기 서브 도어(50)에 푸시 입력이 가해질 때, 서브 도어(50)의 후방 이격 거리, 즉 줄어드는 갭의 길이를 가스켓의 성질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푸시 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갭(G) 길이보다는 푸시 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갭(G) 길이가 당연히 작아지게 된다. 그러나, 서브 도어(50)가 매우 세게 닫는 경우 푸시 입력이 가해진 것과 동일한 갭(G) 길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도어(50)가 닫히는 것을 푸시 입력으로 오인식할 수 있게 된다. When a push input is applied to the sub door 50,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ar separation distance of the sub door 50, that is, the length of the gap, by using the gasket property. The length of the gap G in the state in which the push input is applied become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gap G in the state in which the push input is not applied. However, if the sub door 50 closes very tightly, the same gap G length as the push input is applied may occur. In this case, the closing of the sub door 50 can be mistaken for a push input.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상기 가압부재(72)와 센서(71)는 비접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접촉 배치에 의해서 도어가 닫히는 것을 푸시 입력으로 오인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door is closed, the pressing member 72 and the sensor 71 are preferably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non-contact arrangemen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door from being misidentified as a push input.

이 경우, 상기 센서 모듈(70)은 상기 센서(71)가 상기 센서(72)와 접촉됨에 따라 투시온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비접촉 상태에서 푸시 입력에 의해서 접촉 상태가 되면 투시 입력으로 감지하여 투시온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메인 제어부는 투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투시 활성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투시 입력 신호는 신호선(73)을 통해서 제어부(2)로 전달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70 may be provided to output a perspective signal as the sensor 71 contacts the sensor 72. That is, when the contact state by the push input in the non-contact state,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perspective input to output a perspective signal. The main controller receives the perspective input signal to perform perspective activation control. The perspectiv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 through the signal line 73.

여기서, 상기 센서 모듈의 접촉/비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매우 단순하다. 즉 온/오프와 같이 매우 단순하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투시 입력인지 여부를 알고리즘을 통해서 판단하는 복잡한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매우 간단하고 단순한 형태의 센서(71)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모듈은 별도의 마이컴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Her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 non-contact of the sensor module is very simple. That is very simple, like on / off. Therefore, a complicated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a normal perspective input through an algorithm can be omitted. In addition, a very simple and simple form of the sensor 71 can be applied.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may not include a processor such as a separate microcomputer.

한편, 이러한 형태의 센서 모듈(70)의 경우에도 비정상적인 입력을 투시 입력으로 오인할 여지가 있다. 사용자가 서브 도어(50)에 살짝 기대거나 이동 중 서브 도어와 부딪히는 경우를 투시 입력으로 오인할 여지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type of sensor module 70, there is room for mistaken abnormal input as a see-through input.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taken as a perspective input when the user leans slightly on the sub-door 50 or collides with the sub-door while moving.

따라서, 센서 모듈(70)은 온/오프와 같은 신호가 아닌 아날로그 신호(연속적으로 진폭이 가변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72)가 센서(71)에 접촉됨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는 상기 가압부재(72)에서 센서(71)를 가압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50)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refore, the sensor module 70 may be provided to output an analog signal (a signal whose amplitude is continuously changed) rather than a signal such as on / off. That is, as the pressing member 72 contacts the sensor 71, an analog signal may be output.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a change in pressure for pressing the sensor 71 in the pressing member 72 or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door 40 and the sub door 50.

제어부(2)는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정상적인 투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 may receive the analog signal and determine that it is a normal perspective input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센서 가압부재(72)와 센서(71)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푸시 입력이 가해지면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가 커지게 되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정상적인 투시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When using the analog signal, the sensor pressing member 72 and the sensor 71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in the closed state. When the push input is applied while the door is closed, the strength of the analog signal increases, and when it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i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perspective input.

상기 가압부재(72)와 센서(71)의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소정 세기 이상을 갖는 아날로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 모듈(70)을 도어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5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어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배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센서 모듈을 통해서 투시 입력 여부 그리고 도어 개방 여부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While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member 72 and the sensor 71 is maintained, an analog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may be generated. By using this, the sensor module 70 may be utilized as a door sensor. That is, it may be excluded that a separate door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sub door 50 is opened or closed. In this case, through one sensor modul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etect whether the perspective input and the door open.

상기 센서(71)가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센서 모듈(70)은 정상적인 투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 마이컴을 별도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노크모듈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투시 입력으로 판단되면 투시온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투시온신호는 제어부(2)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2)는 투시온신호에 기반하여 투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ensor 71 receives an analog signal, the sensor module 70 preferably includes a module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ensor 70 is a normal perspective input. That is, as in the knock modu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icrocomputer that generates a clairvoyance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clairvoyance input. In this case, the see-throug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 and the control unit 2 may perform perspective control based on the see-ion signal.

본 실시예에서도 센서 모듈(70)과 별도로 서브 도어(5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개폐에 따른 오인식 및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서브 도어(50)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센서 모듈(70)이 정상적인 투시 입력으로 오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센서 모듈(70)의 구조 및 위치 상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70)에서 오인식이 발생될 여지가 작다. 왜냐하면, 서브 도어(5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압부재(72)와 센서(71)가 접촉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embodiment, a door sensor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sub door 50 separately from the sensor module 70. In addition, misrecognition and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particular,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sub door 50 is closed may be misidentified by the sensor module 70 as a normal perspective input. However,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 door 50 is opened due to the structure and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70, there is little room for misrecognition in the sensor module 70. This is because the case where the pressing member 72 and the sensor 71 are in contact with the sub door 50 in the open state will not occur.

따라서, 본 실시예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도어 닫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로직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2)는 정상적인 투시 입력으로 판단한 경우, 서브 도어(50)의 도어 센서(21a, 도 15참조)에서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trol logic for preventing misrecognition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door closing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applied. That is, the controller 2 may check the elapsed time of not receiving the door open signal by the door sensor 21a (see FIG. 15) of the sub-door 50 when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perspective input.

미수신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일례로 1초)보다 큰 경우, 투시 활성화 변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미수신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내인 경우, 투시 입력이 서브 도어(50)의 닫힘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투시 활성화 변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미출력할 수 있다. If the unreceived elapsed tim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second),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perspective activation is output. When the elapsed reception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pective input is due to the closing of the sub-door 50, and thus th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perspective activation may not be output.

따라서, 도어 닫힘에 의한 투시 입력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6을 통해서 설명된 투시 입력 유닛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수행하거나, 도 17을 통해서 설명된 바와 투시온신호발생 시 도어개방신호와 연계되어 투시온신호를 선택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erroneous recognition of the perspective input due to the closing of the door, the perspective input unit activation and deactivation described through FIG. 16 is performed, o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be possible to selectively reflect the Zion signal.

한편, 상기 센서모듈(70)은 가스켓의 탄성을 이용하므로, 가스켓(591) 인근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591)의 폐루프 내측은 냉기 영역 폐루프 외측 영역은 외기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폐루프 내측 영역은 이슬 맺힘의 우려가 있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nsor module 70 uses the elasticity of the gasket, it is preferably located near the gasket 591. The closed loop inner side of the gasket 591 may be referred to as a cold air region closed loop outer region. In addition, the closed loop inner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a region where dew condensation may occur.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70)은 상기 가스켓의 폐루프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ensor module 70 is preferably provided outside the closed loop of the gasket.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도어(50)에 투시창(52)이 구비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메인 도어(40) 자체에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 도어(50)가 구비되지 않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에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mbodiment in which the viewing window 52 is provided in the sub door 50 has been described. However, a viewing window may be formed in the main door 40 itself. That is, a viewing window may be form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door in which the sub door 50 is not provided.

이 경우, 센서모듈(70)은 캐비닛(10)의 전면과 도어(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캐비닛(10)과 도어(40) 사이에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동일한 형태로 센서모듈(70)을 장착하고 이를 통하여 투시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7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ront of the cabinet 10 and the door 40. Similarly, a gaske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0 and the door 4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ensor module 70 in the same form as described above and to sense the perspective input through it.

상기 센서모듈(70)은 서브 도어(50)의 후방에 위치되어 마치 서브 도어(50) 전체를 푸시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센서모듈(70)이 서브 도어(50)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서브 도어(50) 자체 내지는 핸들을 푸시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The sensor module 7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b door 50 so that the entire sub door 50 can be used as a push button. That is, the sensor module 7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b door 50, and the sub door 50 itself or the handle may be used as a push button.

따라서, 일반적인 푸시 버튼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입력 수단이 서브 도어(50) 전면에 위치하는 것과 달리 매우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미려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 relatively small input means such as a general push butt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sub-door 50 is very convenient to use. And beautiful design can be implemented.

특히, 사용자의 신장 사이즈와 무관하게 모든 사용자가 용이하게 투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투시 입력 수단을 찾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투시 입력에 손가락을 이동시켜 눌러야 하는 수고 또한 덜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투시 입력 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In particular, regardless of the user's height size, all users can easily perform perspective inpu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of finding the perspective input means, and to reduce the effort of pressing and moving a finger on the perspective input, thereby implementing a highly effective perspective input means.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라이팅 유닛은 투시 전환 유닛의 일례이며, 노크모듈과 센서모듈은 투시 입력 유닛의 일례이며, 노크온신호는 투시온신호의 일례일 수 있다. 따라서, 투시 전환 유닛과 투시 입력 유닛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lighting unit is an example of the perspective switching unit, the knock module and the sensor module are an example of the perspective input unit, and the knock-on signal may be an example of the perspective signal. Thus, the perspective switching unit and the perspective input uni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통해서, 사용이 편리하고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easy to use and can improve reliability.

10 : 캐비닛 20 : 냉장실 도어
30 : 냉동실 도어 40 : 메인 도어
50 : 서브 도어(투시 도어) 70 : 센서 모듈(투시 입력 유닛)
80 : 노크 모듈(투시 입력 유닛)
10 cabinet 20 cold storage door
30: freezer door 40: main door
50: sub-door (perspective door) 70: sensor module (perspective input unit)
80: knock module (perspective input unit)

Claims (20)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 내부를 밝히도록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라이팅 유닛에 의해 밝아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시창을 갖는 도어;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 내의 냉기를 실링하는 가스켓;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에 가해지는 푸시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lighting unit provided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oor having a viewing window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configured to view an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illuminated by the lighting unit;
A gasket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sealing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module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detecting a push input applied to the front of the door through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n output of the sensor modul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전후 길이보다 상기 푸시 입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전후 길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gaske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length in the state in which the push input is applied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in the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가압부재;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통해 가압되는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module,
A pressing membe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door; And
And a sensor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pressed by the press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돌출 길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의 전후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door,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ess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gasket in the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와 센서는 비접촉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the pressure member and the sens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oor is clos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개방신호의 미수신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t includes a door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to generate a door ope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ontrol signal when the elapsed reception time of the door open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센서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됨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provided to output an on / off signal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모듈의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on signal of the sensor module,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유닛은 상기 제어신호의 수신 후 설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lighting unit is controlled to operate for a set time after reception of the control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이팅 유닛의 작동 도중, 상기 센서모듈의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라이팅 유닛의 작동을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when receiving the on signal of the sensor module, the refrigerator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센서가 상기 가압부재와 접촉됨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nso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to output an analog signal as the sensor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는 상기 가압부재에서 상기 센서를 가압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rength of the analog signal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epending on the change in the pressure to press the sensor in the pressing member or the separation chang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와 센서는 접촉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door is clos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가압부재에서 상기 센서를 가압하는 압력의 변화 또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이격 변화에 따라 세기가 다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ns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analog signal having a different intensity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for pressing the sensor by the pressing member or a change in separation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을 미수신하는 경우,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in the case of not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enso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the opening of the do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when the intensity of the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가스켓이 형성하는 폐루프의 외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The sensor modul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losed loop formed by the gasket.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접점 발생 여부가 수행되는 기계식 스위치, 온과 오프 사이에서 가변되거나 가변 전압값을 출력하는 압력 스위치, 또는 변위 변화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ny one of a mechanical switch performing contact or not, a pressure switch outputting a variable voltage value between on and off, or a switch outputting an analog signal according to a displacement change. Refrigerator.
제 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도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In addition to the door, at least one second door comprising a refrigerator.

KR1020180063778A 2018-06-01 2018-06-01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1260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8A KR102126086B1 (en) 2018-06-01 2018-06-01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78A KR102126086B1 (en) 2018-06-01 2018-06-01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17A true KR20190137517A (en) 2019-12-11
KR102126086B1 KR102126086B1 (en) 2020-06-23

Family

ID=6900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78A KR102126086B1 (en) 2018-06-01 2018-06-01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8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47U (en) * 1996-11-23 1998-08-05 김광호 Refrigerator
KR19990030999U (en)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Refrigerator
KR200297199Y1 (en) * 2002-09-19 2002-12-11 대우전자주식회사 A opening apparatus of a refrigerator door
KR20060082939A (en) * 2005-01-13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60115838A (en) * 2005-05-0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bar of refrigerator
KR20100085251A (en)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switch for efrigerator
KR20170082094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and control mer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47U (en) * 1996-11-23 1998-08-05 김광호 Refrigerator
KR19990030999U (en)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Refrigerator
KR200297199Y1 (en) * 2002-09-19 2002-12-11 대우전자주식회사 A opening apparatus of a refrigerator door
KR20060082939A (en) * 2005-01-13 200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60115838A (en) * 2005-05-0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bar of refrigerator
KR20100085251A (en)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switch for efrigerator
KR20170082094A (en)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irgerator and control mer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86B1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64B1 (en) Refrigerator
US10641546B2 (en) Refrigerator
KR20190137518A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623105B1 (en) Refirgerator
KR20170082094A (en) Refirgerator and control merthod thereof
KR102071664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012462B1 (en) Refrigerator
KR20240072973A (en)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KR102067743B1 (en) Refrigerator
KR102150075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096957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00009107A (en) Refirgerator
KR102126086B1 (en)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90137473A (en) Refrigerator
KR102167549B1 (en) Refrigerator
KR102206063B1 (en) Refrigerator
KR102187339B1 (en) Refrigerator
KR102087685B1 (en) Refrigerator
US20240125539A1 (en) Refrigerator
KR2019013747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