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228A -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228A
KR20190137228A KR1020180063150A KR20180063150A KR20190137228A KR 20190137228 A KR20190137228 A KR 20190137228A KR 1020180063150 A KR1020180063150 A KR 1020180063150A KR 20180063150 A KR20180063150 A KR 20180063150A KR 20190137228 A KR20190137228 A KR 20190137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flexible battery
fac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433B1 (ko
Inventor
김주성
하진홍
이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베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베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베스트
Priority to KR102018006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433B1/ko
Priority to PCT/KR2019/006248 priority patent/WO2019231176A1/ko
Priority to CN201980025793.3A priority patent/CN112042028A/zh
Priority to JP2020553522A priority patent/JP2021517722A/ja
Priority to US17/043,324 priority patent/US11961957B2/en
Priority to EP19812547.8A priority patent/EP3767726A4/en
Publication of KR2019013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플렉서블 전지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및 전극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극 리드는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각각 접속되고,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 및 제 1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 및 제 2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제 1 활물질 층은 1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1 비대면부를 가지고,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2 비대면부를 가지고,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의 이상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FLEXIBLE BATTERY AND METHOD FOR GENERATING FLEXIBLE BATTERY}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wearable) 휴대폰 및 시계, 착복형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플렉서블 전자기기를 개발 및 상용화 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전원 공급 장치인 이차 전지의 플렉서블한 구현에 대한 요구도 동시에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환경에서는 반복적인 굽힘과 비틀림 등에 의해 외장재의 파손 및 내부 전극들의 오정렬, 이탈 등으로 인한 단락이 발생하여 발화 내지 폭발 위험성이 있을 수 있고, 전극의 에지 부분에서 리튬이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90104호 (2016.07. 29. 공개)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군의 양 말단에 위치한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를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 이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플렉서블 전지 내의 리튬 석출 및 단락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지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이 각각 하나 이상 포함된 전극군; 상기 제 1 전극 중 하나와 제 2 전극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 리드는 상기 전극군 중 하나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제 1 말단에서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 및 상기 제 1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 및 상기 제 2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 층은 상기 1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1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 에 대해 제 2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도록 전극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각각 접속되도록 한 쌍의 전극 리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군을 하우징으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 및 상기 제 1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 및 상기 제 2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 층은 상기 1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1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 에 대해 제 2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의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플렉서블 전지의 양 말단에 위치한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를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 이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외력으로 인한 플렉서블 전지의 단락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리드 연결용 탭 및 전극 병렬 연결용 탭이 동시에 구비된 전극의 형상과 적층 구조를 통해 전지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으로 인한 플렉서블 전지 내의 리튬 석출 및 내부 단락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지 사용의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의 생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군의 각 말단에 위치한 비대면부 간 최단 길이의 설계를 통해 리튬 석출의 예방 및 전지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한 플렉서블 전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플렉서블 전지는, 분리막(30)을 사이에 두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이 예를 들어 3개 이상 포함된 전극군과, 전극군 중 하나의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 및 전극군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0)은 음극에 해당하고, 제 2 전극(20)은 양극에 해당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지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리드(16, 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은 전극군의 제 1 말단(예를 들어, 도 1에서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군 중 하나의 제 1 전극(10)의 제 1 말단에 제 1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이 구비되고, 제 2 전극(20)의 제 1 말단에 제 2 전극 리드 연결용 탭(24)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을 포함하는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은 전극군 내에서 단수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이 구비된 단일 제 1 전극(10)은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군 최외곽에 배치되고, 제 2 전극 리드 연결용 탭(24)이 구비된 단일 제 2 전극(20)은 단일 제 1 전극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대면하여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지를 구성하는 전극군의 제 2 말단(예를 들어, 도 1에서 우측)에는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군 내의 제 1 전극(10)의 제 2 말단에 제 1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이 구비되고, 제 2 전극(20)의 제 2 말단에 제 2 전극 병렬 연결용 탭(22)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 및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예시된 것과 같이 위치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기술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전극군의 제 2 말단에 구비된 전극 병렬 연결용 탭들(12, 22)은 전극군을 구성하는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 각각을 동일한 극끼리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제 1 전극(10) 및 하나 이상의 제 2 전극(20)을 포함하는 전극군에서 각 제 1 전극(10)의 제 2 말단에 구비된 제 1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은 도 3의 도면부호 300과 같이, 복수의 제 1 전극(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각 제 2 전극(20)의 제 2 말단에 구비된 제 2 전극 병렬 연결용 탭(22)은 도 3의 도면부호 302과 같이, 복수의 제 2 전극(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 1 전극(10)과 복수의 제 2 전극(20)은 각 전극과 연결된 전극 병렬 연결용 탭에 의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전극군 중 어느 하나의 제 1 전극(10)과 어느 하나의 제 2 전극(20)에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 및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이 양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군에서 어느 한쪽 최외곽에 배치된 제 1 전극(10) 및 제 1 전극(10)에 인접하여 대면하는 제 2 전극(20) 각각은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 병렬 연결용 탭을 모두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군 중 어느 한쪽 최외곽에 배치된 제 1 전극(10)은 제 1 말단부에 제 1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이 구비되고, 제 2 말단부에는 제 1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최외곽에 배치된 제 1 전극(10)에 인접하여 대면하는 제 2 전극(20)은 제 1 말단에 제 2 전극 리드 연결용 탭(24)이 구비되고, 제 2 말단에는 제 2 전극 병렬 연결용 탭(22)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전극군은 제 1 말단에서 복수의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들이 서로 비결합되어 있지만, 제 2 말단에서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에 의해 동일한 전극끼리 결합되어 있다. 즉, 전극군은 제 1 말단에서 같은 전극끼리 결합되지 않아서 비고정되어 있고, 제 2 말단에서 전극 병렬 연결용 탭에 의해 같은 전극끼리 결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군을 이루는 복수의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이 제 2 말단의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을 통해 연결되므로 전극군의 제 1 전극과 제 2전극은 제 2 말단에서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를 180도 접어서 전극군의 최외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의 플렉서블 전지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전지의 제 2 말단보다 제 1 말단에서 내부 전극들의 오정렬, 이탈 등의 문제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플렉서블 전지의 제 1 말단에 위치하는 제 1 비대면부와 제 2 말단에 위치하는 제 2 비대면부의 상대적인 길이를 설계하는 방법은 제안하려고 한다.
도 4a 내지 4b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군의 구조 및 플렉서블 전지의 생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5를 함께 살펴보면, 제 1 전극(10)은 제 1 집전체(400) 및 제 1 집전체(400)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4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활물질 층(402)은 리튬 이온에 관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음극 활물질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음극 활물질로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20)은 제 2 집전체(408) 및 제 2 집전체(408)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4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활물질 층(406)은 리튬 이온에 관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NiCoO2, LiMnO2, LiMn2O4, LiFePO4, V2O5, V6O13 또는 LiNi1 -x-yCoxMyO2(0 ≤ x ≤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극 활물질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 1 전극(10)은 제 1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및 제 1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집전체(400) 및 제 1 활물질 층(402)으로 구성된 제 1 전극(10)에서, 제 1 집전체(400) 중 제 1 활물질 층(402)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을 제 1 말단에서 제 1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 2 말단에서 제 1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 2 전극(20)은 제 2 전극 리드 연결용 탭(24) 및 제 2 전극 병렬 연결용 탭(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집전체(408) 및 제 2 활물질 층(406)으로 구성된 제 2 전극(20)에서, 제 2 집전체(408) 중 제 2 활물질 층(406)이 도포되지 않는 부분을 제 1 말단에서 제 2 전극 리드 연결용 탭(24)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 2 말단에서 제 2 전극 병렬 연결용 탭(22)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활물질 층(402)은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인접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 리드 연결용 탭과 전극 병렬 연결용 탭은 각 전극의 집전체의 일부분으로서 구비되어 있으며, 각 전극의 집전체에서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지는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 및 이온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며,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는 분리막(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전지가 제 1 전극(10), 제 2 전극(20) 및 분리막(30)을 하우징하는 외장재를 포함할 경우 플렉서블 전지의 생산 공정 과정에서 외장재 내에 전해질을 주입함으로써, 제 1 전극(10), 제 2 전극(20) 및 분리막(30) 각 사이에 전해질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분리막(30)은 전해질에 해당하는 전해액에 포함된 이온을 통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 1 활물질 층(402)의 두께(T(A))는 제 2 활물질 층(406)의 두께(T(C))보다 크도록 제작되거나, 제 1 활물질 층(402)의 면적은 인접하여 대면하는 제 2 활물질 층(406)의 면적보다 크도록 제작될 수 있다.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 두께는 집전체의 종류, 두께와 제 1 활물질 층(402)과 제 2 활물질 층(406)의 N/P 비율 설계에 의해 유동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활물질 층의 두께는 활물질 및 도전재 등의 입자크기, 밀도, pH등의 재료 특성과 조성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10)의 제 1 집전체(400)의 표면에 도포된 제 1 활물질 층(402)의 면적(또는 두께)은 인접하여 대면하는 제 2 전극(20)의 제 2 집전체(408)의 표면에 도포된 제 2 활물질 층(406)의 면적(또는 두께)보다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활물질 층(402)의 두께(T(A))(또는 면적)을 제 2 활물질 층(406)의 두께(T(C))(또는 면적)보다 크게 제작함으로써 제 1 전극(10)에서의 리튬 석출을 예방하고 전지의 사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은 말단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전극 리드(16, 26)와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리드(16, 26)는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의 일부와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전극 리드(16, 26)의 일부와 전극 리드 연결용 탭(14. 24)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용착될 수 있다.
제 1 전극(10)의 제 1 활물질 층(402)은 제 1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제 1 비대면부(410)를 가지고,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제 2 비대면부(41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는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 (L(B))의 이상이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플렉서블 전지의 경우, 외부에서 굽힘 및 비틀림 등의 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진다. 이 때, 전극군의 내부보다는 상대적으로 외장재와 전극군 사이의 외부 공간에 노출된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의 가장자리 간의 정렬이 어긋나기 쉽고,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의 어긋남에 따라 리튬이 석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리튬의 석출로 인해 플렉서블의 용량 및 효율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석출된 리튬의 성장으로 인해 분리막(30)이 손상되면서, 플렉서블 전지의 내부 단락이 일어남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생성 초기) 상태에서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를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의 이상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플렉서블 전지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전지 내의 구성 요소의 이탈 문제와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 간 오정렬로 의한 단락 문제 및 리튬 석출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플렉서블 전지에서는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 간의 결합 및 결합부의 180도 접힘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전극군의 제 2 말단보다, 비고정되어 있는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내부 전극들의 오정렬, 이탈 등에 따라 플렉서블 전지의 내부 물질이 석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내부 물질이 석출되기 쉬운 제 1 말단에서의 제 1 비대면부(410)의 길이를 제 2 비대면부(412)의 길이 이상으로 설계하여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려고 한다.
도 4b과 같이, 본원 발명의 플렉서블 전지가 외력에 의해 제 1 말단과 제 2 말단이 아래를 향하도록 휘어졌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플렉서블 전지의 제 2 말단에서는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에 의해 각 전극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전지가 굴곡되더라도 제 2 비대면부(412)의 길이 수축이 발생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플렉서블 전지의 제 1 비대면부(410)는 각 전극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렉서블 전지를 굴곡시킴에 따라 제 1 비대면부(410)의 길이가 수축되게 된다. 그리고, 플렉서블 전지가 더욱 굴곡됨으로써 제 1 비대면부(410)가 점점 없어지고, 이에 따라 제 2 전극(20)의 제 2 활물질 층(406)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리튬이 석출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제 1 말단에서의 제 1 비대면부(410)의 길이를 제 2 비대면부(412)의 길이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가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보다 큰 경우, 플렉서블 전지의 전극군이 제 2 말단에서 전극 병렬 연결용 탭(12, 22)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전지가 휘어지더라도 제 2 말단에서의 내부 전극들의 오정렬, 이탈 등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되기 쉬운 전극군의 제 1 말단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설정된 제 1 비대면부(410)에 의해 제 1 말단에서의 제 2 전극(20) 또는 제 2 전극(20)의 제 2 활물질 층(406)이 제 1 전극(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값은 본원 발명의 플렉서블 전지가 굴곡됨에 따라 곡률반경에 의해 제 2 전극의 제 2 활물질 층이 제 1 전극의 제 1 활물질 층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임계 길이로서, 약 0.1mm 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튬 석출을 사전에 예방하여 플렉서블 전지의 성능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도 4b와 같이, 플레서블 전지가 일정 곡률로 휘어지는 경우, 곡률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비대면부(41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플렉서블 전지가 휘어짐에 따라 제 2 전극(20)이 제 1 전극(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비대면부(410)가 짧아지더라도 제 1 비대면부(410)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남아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술된 예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와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가 같은 경우,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 및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를 기설정된 길이값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 및 이에 대한 기설정된 길이값과 관련하여, 제 1 활물질 층(402)은 전극군의 양 측면에서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제 3 비대면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제 3 비대면부(미도시)는 전극군의 양 말단이 아닌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 간 좌우 폭에 해당한 영역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 및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는 제 3 비대면부(미도시)의 최단 길이(d,d') 이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길이값은 제 3 비대면부(미도시)의 최단 길이(d,d')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설계될 수 있다. 만약, 제 3 비대면부(미도시)의 최단 길이(d,d')가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 및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보다 크게 설계된다면, 해당 길이에 따른 면적만큼 플렉서블 전지의 용량에 있어서 손해를 보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L(A)) 및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L(B))를 제 3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d,d') 이상으로 설계함으로써 플렉서블 전지의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전지의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 간 적층 시, 전극군의 양 측면에서의 제 3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d,d')는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을 포함하도록 전극군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10)은 제 1 집전체(400) 및 제 1 집전체(400)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402)을 포함하고, 제 2 전극(20)은 제 2 집전체(408) 및 제 2 집전체(408)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4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활물질 층(402)은 제 1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제 1 비대면부(410)를 가지고,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제 2 활물질 층(406)에 대해 제 2 비대면부(412)를 가질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에 각각 접속되도록 한 쌍의 전극 리드(16, 26)을 연결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전극군을 하우징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원 발명은 제 1 비대면부(410)의 최단 길이를 제 2 비대면부(412)의 최단 길이의 이상으로 설계하는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 전극
20: 제 2 전극
30: 분리막
14, 24: 전극 리드 연결용 탭
12, 22: 전극 병렬 연결용 탭
400: 제 1 집전체
402: 제 1 활물질 층
408: 제 2 집전체

Claims (12)

  1. 플렉서블 전지로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군;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 및
    상기 전극군을 수용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 및 상기 제 1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 및 상기 제 2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 층은 상기 1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1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2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의 이상인 것인, 플렉서블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을 구성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각각을 동일한 극끼리 연결하는 전극 병렬 연결용 탭
    을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은 상기 제 2 말단에 위치하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군은 상기 제 1 말단에서 비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말단에서 상기 전극 병렬 연결용 탭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대면부는 상기 플렉서블 전지가 휘어지는 경우 짧아지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대면부는 상기 플렉서블 전지가 휘어짐으로써 짧아지더라도 기설정 임계값 이상이 남아있도록 설계되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 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활물질 층의 두께보다 큰 것인, 플렉서블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 층의 면적은 상기 제 2 활물질 층의 면적보다 큰 것인, 플렉서블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와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가 같은 경우,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 및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기설정된 길이값 이상인 것인, 플렉서블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물질 층은 상기 전극군의 양 측면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3 비대면부를 가지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 및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 3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 이상인 것인, 플렉서블 전지.
  12.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도록 전극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극군의 제 1 말단에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각각 접속되도록 한 쌍의 전극 리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군을 하우징으로 수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집전체 및 상기 제 1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1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제 2 집전체 및 상기 제 2 집전체의 표면에 형성된 제 2 활물질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활물질 층은 상기 1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1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말단의 반대편인 제 2 말단에서 상기 제 2 활물질 층에 대해 제 2 비대면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를 상기 제 2 비대면부의 최단 길이의 이상으로 설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전지 생성 방법.
KR1020180063150A 2018-06-01 2018-06-01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KR10212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50A KR102125433B1 (ko) 2018-06-01 2018-06-01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PCT/KR2019/006248 WO2019231176A1 (ko) 2018-06-01 2019-05-24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CN201980025793.3A CN112042028A (zh) 2018-06-01 2019-05-24 柔性电池和用于制造柔性电池的方法
JP2020553522A JP2021517722A (ja) 2018-06-01 2019-05-24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フレキシブル電池を生成する方法
US17/043,324 US11961957B2 (en) 2018-06-01 2019-05-24 Flexibl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battery
EP19812547.8A EP3767726A4 (en) 2018-06-01 2019-05-24 SOFT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OFT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150A KR102125433B1 (ko) 2018-06-01 2018-06-01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228A true KR20190137228A (ko) 2019-12-11
KR102125433B1 KR102125433B1 (ko) 2020-06-23

Family

ID=6869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150A KR102125433B1 (ko) 2018-06-01 2018-06-01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1957B2 (ko)
EP (1) EP3767726A4 (ko)
JP (1) JP2021517722A (ko)
KR (1) KR102125433B1 (ko)
CN (1) CN112042028A (ko)
WO (1) WO201923117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1645A1 (ja) * 2014-09-29 2016-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
KR20160090104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1789066B1 (ko) * 2017-05-25 2017-10-23 주식회사 리베스트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45B1 (ko) * 2012-09-14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이차 전지
JP2016004725A (ja) * 2014-06-18 2016-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JP2016072015A (ja) * 2014-09-29 2016-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
KR101783703B1 (ko) * 2017-03-17 2017-10-11 주식회사 리베스트 보강 탭 결합 구조 및 전극 리드 굽힘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1645A1 (ja) * 2014-09-29 2016-04-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
KR20160090104A (ko) 2015-01-21 2016-07-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1789066B1 (ko) * 2017-05-25 2017-10-23 주식회사 리베스트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7726A1 (en) 2021-01-20
KR102125433B1 (ko) 2020-06-23
JP2021517722A (ja) 2021-07-26
US20210020894A1 (en) 2021-01-21
EP3767726A4 (en) 2021-12-08
WO2019231176A1 (ko) 2019-12-05
CN112042028A (zh) 2020-12-04
US11961957B2 (en)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2868B2 (en) Curved electrode stac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1901369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terminal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nd improved safety
JP2017532715A (ja) 2つ以上のケース部材を含む角型電池セル
JP2014523629A (ja) 段差を有する電極組立体、それを含む電池セル、電池パック及びデバイス
KR101526457B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US20180083255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07009714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WO2021129273A1 (zh) 一种电池及终端设备
KR20200098405A (ko) 전고체 전지 적층체
CN114975864A (zh) 极片、电芯结构、锂电池以及电子设备
CN101627491B (zh) 电池单元
EP3614477B1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1258477A (ja) 非水電解質電池
EP2757613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3780237A1 (en) Unit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942660B2 (en) Battery pack
US20120321931A1 (en) Secondary battery
US1118988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125433B1 (ko) 플렉서블 전지 및 플렉서블 전지를 생성하는 방법
KR20170093376A (ko) 다양한 크기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는 스택 및 폴딩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US20210226258A1 (en) Solid-state battery
KR101995288B1 (ko) 전극 조립체
JP2020126787A (ja) 積層電池
KR20230100580A (ko) 전극 조립체 및 2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