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905A - 이형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이형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905A
KR20190136905A KR1020190011197A KR20190011197A KR20190136905A KR 20190136905 A KR20190136905 A KR 20190136905A KR 1020190011197 A KR1020190011197 A KR 1020190011197A KR 20190011197 A KR20190011197 A KR 20190011197A KR 20190136905 A KR20190136905 A KR 2019013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formed
coupling
knitted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581B1 (ko
Inventor
최재영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송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송재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19001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 커플러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마디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이형철근을 수용하며,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측 편체 및 타측 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편체 또는 상기 타측 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마디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내측 편체;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내측 편체에 탈부착되는 외측 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형철근 커플러{coupler for deformed bar}
본 발명은 이형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철근의 연장 시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진성을 확보한 이형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 내에 이형철근(deformed bar)을 배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양생과정을 거쳐 축조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해 거푸집 내에 배근작업을 행한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이형철근은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거푸집의 높이 및/또는 길이에 따라 이형철근을 연장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이형철근의 연장 작업에 커플러(coupler)가 사용되고 있다.
커플러(10)는 하나의 이형철근(B)의 단부와 여기에 연장되는 이형철근(B)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키는 장치로서, 결속 후 현장에서 필요한 인장강도를 확보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케이스(1), 이형철근(B)의 단부를 지지하는 편체(2)로 구성된다.
그러나, 커플러(10)가 이상적으로 설계되는 경우라도, 이형철근(B)의 제조사마다 마디(n)의 간격이나 높이가 상이하고, 마디(n) 사이의 철근 직경도 상이하며, 이형철근(B)의 단부에는 출고를 위한 절단 시 미세한 굽힘이 발생하므로, 실제 현장에서 이형철근(B) 단부를 커플러(10)로 결합시킬 때 편체(2) 및 커플러(10)가 용이하게 결합되지 않는다.
특히, 이형철근(B)의 단부를 파지하는 편체(2)가 이형철근(B)의 단부에 이상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됨에 따라, 이형철근(B)의 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하지 못해, 커플러(10)의 결합 후 현장에서 이형철근(B)의 각 단부를 인장 시 필요한 인장강도를 만족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한, 커플러의 결합 시 이형철근(B) 단부의 상태, 마디(n)의 상태, 가공오차 등으로 인해, 커플러의 편체(2)가 이형철근(B)의 단부에 이상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도 1과 같이 편체(2)가 비틀리게 결합되기도 한다.
이 경우, 이형철근(B)의 각 단부를 인장 시 케이스(1)와 편체(2)가 접촉하는 특정 접점(a)을 따라 케이스(1)에 전단응력이 가해져 케이스(1)의 변형이 일어나 편체(2)가 케이스(1)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형철근(B)의 중심선(c)이 일직선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철근이 도 2의 (a)와 같이 일직선으로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지 않고, 도 2의 (b)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되므로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화되어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며, 지진 발생 시 진동에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거나 다양한 부위를 가공한 철근 커플러 제품은, 기본적으로 제조원가가 높아 제품 가격이 높으며, 현장에서 작업 시 작업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이러한 이형철근의 연장 시 결속 부위에서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하며 이형철근을 일직선으로 내지 수평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커플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국내에도 지진 발생으로 인한 건축물 붕괴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형철근의 연장 시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진성을 확보한 이형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 커플러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마디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이형철근을 수용하며,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측 편체 및 타측 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 편체 또는 상기 타측 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마디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내측 편체; 및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도록,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내측 편체에 탈부착되는 외측 편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 편체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편체는 내주면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편체의 호의 길이는 상기 내측 편체의 호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는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형철근의 지름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외측 편체가 상기 내측 편체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편체는 외주면에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외주면을 가로지르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양측 단부에 스토퍼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측 편체는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내주면을 가로지르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편체의 호의 길이는 상기 내측 편체의 호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외측 편체가 상기 내측 편체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형철근 커플러에 따르면, 내측 편체(221)에 외측 편체(225)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편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204)가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항상 접촉되도록 하여,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될 때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각 편체의 걸림부(204)가 모두 접촉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편체(200)가 견고하게 파지되어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일측 편체(210)의 걸림부(204)와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이형철근의 중심선(c)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동축 상에 배치되어 일직선을 형성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경우, 외측 편체(225)와 내측 편체(221)가 상대 회전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결합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서 이형철근(B)이 철근 커플러로 연장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의 단부가 기준선(l) 상에 배치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일측 편체(210)의 수용부 및 타측 편체(220)의 수용부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돌기부(209)가 형성된 일측 편체(210)의 수용부 및 타측 편체(220)의 수용부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의 단부가 기준선(l) 상에 배치될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의 수용부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돌기부가 형성된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의 수용부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 커플러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마디(n)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이형철근(B)을 수용하며, 내주면에 걸림턱(111,121)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이형철근(B)의 단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걸림턱(111,121)에 결합되는 걸림부(204)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를 포함하며,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는 이형철근(B)의 단부에 접촉되어 마디(n)를 수용하는 수용부(205)가 형성되는 내측 편체(221), 및 걸림부(204)가 걸림턱(111,121)에 접촉되도록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되는 외측 편체(225)를 포함한다.
이형철근(B)(deformed bar)은 콘크리트의 부착 강도를 향상하기 위해 원주형 철근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철근으로, 길이방향으로 리브(r)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지름방향으로 복수개의 마디(n)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형철근(B)의 각 마디(n)의 높이 또는 간격은,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인접한 마디(n)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마디(n)가 위치한 이형철근(B)의 직경도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디(n)는 리브(r)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철근(B)의 마디(n)는 리브(r)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이형철근(B)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는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이형철근(B)을 수용한다. 케이스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는, 이형철근(B)의 일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1케이스(110), 이형철근(B)의 타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2케이스(120),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를 연결하며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 결합되는 제3케이스(130)로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는 이형철근(B)의 단부를 각각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케이스는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는 이형철근(B)이 인입되는 개구부(O)가 형성된다. 개구부(O)의 직경은 이형철근(B)의 직경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는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는 제3케이스(130)에 각각 나사 결합으로 직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걸림턱(111, 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스가 제1케이스(110), 제2케이스(120) 및 제3케이스(130)로 실시되는 경우, 걸림턱(111, 121)은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다. 걸림턱(111, 121)은 케이스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턱(111, 121)은 후술하는 편체(200)의 걸림부(204)가 접촉된다.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의 내주면에는 제1테이퍼부(113, 123)가 각각 형성된다. 제1테이퍼부(113, 123)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13, 123)는 제1케이스(110) 또는 제2케이스(120)의 개구부(O)로부터 내주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테이퍼부(113, 123)에는 후술하는 제1경사면(201)이 접촉된다.
제3케이스(130)의 내주면에는 제2테이퍼부(131)가 형성된다. 제2테이퍼부(131)는 제3케이스(13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테이퍼부(131)는 후술하는 편체(200)의 제2경사면(203)에 접촉된다.
편체(200)는 이형철근(B)의 단부에 결합된다. 편체(200)는 이형철근(B)의 단부가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파지력을 제공한다. 편체(200)는 이형철근(B)의 리브(r)를 기준으로 볼 때 이형철근(B)의 일측 및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체(200)는 리브(r)를 기준으로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체(20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204)가 형성된다. 걸림부(204)는 편체(20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부(204)는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되면,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지지되어, 편체(200)가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걸림턱(111, 121)은 편체(200)의 걸림부(204)로부터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수직항력을 받으므로, 이형철근(B)의 인장 시 케이스가 이형철근(B)의 지름방향으로 벌어지지 않아 편체(200)이 이탈이 방지되어, 현장에서 원하는 인장강도를 갖게 된다.
편체(200)는 마디(n)를 수용하도록 저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수용부(205), 수용부(205)의 인접주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형철근(B)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07)를 포함한다.
수용부(205)와 접촉부(207)는 편체(200)의 저면에 형성된다. 수용부(205)와 접촉부(207)는 순차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05)는 마디(n)의 두께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205)는 마디(n)를 충분한 공간을 두어 수용하므로,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편체(200)가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에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기부(209)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09)는 편체(200)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부(209)는 저면에 마디(n)를 수용하도록 수용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편체(200)는 실시예에 따라,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에만 돌기부(209)가 형성되어,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는 마디(n)의 간격이나 배치 상태에 따라 이형철근(B)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이형철근(B)의 리브(r)를 기준으로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가 동일한 위치 또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이형철근(B) 단부의 상태, 마디(n)의 상태, 가공오차 등으로 인해, 편체(200)가 이형철근(B)의 단부에 이상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도 1과 같이 편체(2)가 비틀리게 결합되기도 한다.
이 경우, 이형철근(B)의 리브(r)를 기준으로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케이스 내에서 비틀리게 결합되므로, 도 2(b)와 같이 연장된 이형철근들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이형철근의 인장 시 이상적으로 설계된 지지부위에 편체(200)가 지지되지 않고, 케이스 내에서 다른 지지부위에 지지되어 접촉점을 형성하므로,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체(200)는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로 구성되어, 내측 편체(221)에 대한 외측 편체(225)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어 외측 편체(225)에 형성된 걸림부(204)가 항상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항상 일정하게 접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는 이형철근(B)의 단부에 접촉되어 마디(n)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내측 편체(221), 및 걸림부(204)가 걸림턱(111, 121)에 접촉되도록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되는 외측 편체(22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타측 편체(22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일측 편체(210)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내측 편체(221)는 이형철근(B)의 단부에 접촉된다. 내측 편체(221)는 상술한 것과 같이 마디(n)를 수용하는 수용부(205)가 형성되며, 이형철근(B)의 단부에 접촉되는 접촉부(207)가 형성된다.
내측 편체(221)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가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도 4(b)의 경우 내측 편체(221)의 양측 단부가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4(c)의 경우 내측 편체(221)의 양측 단부가 중앙을 기준으로 비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외측 편체(225)는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외측 편체(225)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걸림부(20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외측 편체(225)는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된다. 외측 편체(225)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편체(221)에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된다. 이 경우, 외측 편체(225)는 걸림부(204)가 걸림턱(111, 121)에 항상 접촉되도록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배치된다.
먼저, 도 4(a)를 참고하면,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가 이형철근(B)의 단부에 이상적으로 결합될 경우, 각 편체의 단부가 기준선(l)이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각 걸림부(204)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외측 편체(225)와 내측 편체(221)를 동일한 위치(정위치)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될 때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모두 접촉되어, 각 편체(200)가 케이스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디(n)의 상태에 따라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의 수용부(205)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일측 편체(210)의 걸림부(204)와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어느 하나의 걸림부(204)만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편체(225)는 걸림부(204)가 걸림턱(111, 121)에 접촉되도록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된다.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 편체(221)는 마디(n)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기준선(l)으로부터 오차 간격(e)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외측 편체(225)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측 편체(210)의 단부와 동일한 기준선(l)에 배치되어, 걸림부(204)의 위치가 일측 편체(210)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될 때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각 편체의 걸림부(204)가 모두 접촉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도 4(c)와 같이 일측 편체(210)에 돌기부(209)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내측 편체(221)는 마디(n)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기준선(l)으로부터 오차 간격(e)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외측 편체(225)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일측 편체(210)의 단부와 동일한 기준선(l)에 배치되게 한다. 이에 따라,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일측 편체(210)의 걸림부(204)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이형철근의 중심선(c)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도 2의 (a)와 같이 동축 상에 배치되어 일직선을 형성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탈부착 방식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222)이 형성되고, 외측 편체(225)는 내주면에 결합홈(222)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2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26)가 결합홈(222)에 탈부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226)가 결합되는 결합홈(222)의 형성 위치에 따라, 내측 편체(221)를 기준으로 외측 편체(225)의 전후 방향(이형철근(B)의 길이방향) 및 좌우 방향(이형철근(B)의 지름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L1)는 내측 편체(221)의 호의 길이(L2)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을 따라 이형철근(B)의 지름방향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므로,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L1)가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호의 길이(L2)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야,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 내에서 위치 변경 시, 외측 편체(225)의 측단부(225a)가 내측 편체(221)의 측단부(221a) 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만약,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L1)가 내측 편체(221)의 호의 길이(L2)와 같거나 그 이상인 경우, 외측 편체(225)가 결합되는 위치가 변경될 때 외측 편체(225)의 측단부(225a)가 내측 편체(221)보다 측단부(221a)가 더 돌출되므로, 이형철근(B)의 리브(r) 또는 일측 편체(210)의 측단부와 간섭되어 결합이 불완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L1)은 내측 편체(221)의 호의 길이(L2)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결합홈(222)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222)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결합홈(222)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소정 간격(d)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222)의 길이방향 선단부가 기설정된 소정 간격(d)만큼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배치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결합 시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d)으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측 편체(225)를 소정 간격(d)만큼 위치를 변경시켜 내측 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 결합홈(222)은 7개가 형성되고, 소정 간격(d)은 1mm 간격으로 실시되어, 외측 편체(225)가 6mm의 범위 내에서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7개의 결합홈(222) 중 중앙에 배치된 결합홈(222)이 기준홈이 될 수 있다. 기준홈에 결합돌기(226)가 결합되는 경우, 외측 편체(225)와 내측 편체(221)가 정위치에 결합된다.
편체(200)의 외주면에는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이 형성된다.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은 편체(200)의 걸림부(204)를 기준으로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경사면(201)은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 형성된 경사면을 지칭하며, 제2경사면(203)은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를 기준으로 내측 방향에 형성된 경사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은 외측 편체(2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은 걸림부(204)를 기준으로 외측 편체(225)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체(200)의 중앙부에는 오링홈(2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오링홈(202)에는 오링(3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오링홈(202)은 걸림부(204)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오링(300)은 일측 편체(210)와 타측 편체(220)가 이형철근(B)에 밀착되도록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에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오링홈(202)을 기준으로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는 도 4(c)와 같이 배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내측 편체(221)는 기준선(l)으로부터 오차 간격(e)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측 편체(225)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걸림부(204)의 위치가 일측 편체(210)의 걸림부(204)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될 때 일측 편체(210)의 걸림부(204)와 타측 편체(220)의 걸림부(204)가 케이스의 걸림턱(111, 121)에 견고하게 접촉된다.
또한, 각 편체(200)의 제1경사면(201) 및 제2경사면(203)은 이형철근(B)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일측 편체(210)에 형성된 제1경사면(201)과, 타측 편체(220)의 외측 편체(225)에 형성된 제1경사면(201)에 케이스의 제1테이퍼부(113, 123)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테이퍼부(113, 123)에 제1경사면(201)이 완전히 접촉되어 편체(200)를 가압하므로, 편체(200)가 이형철근(B)의 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제3케이스(130)는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 결합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3케이스(130)는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 나사 결합된다.
제3케이스(130)의 제2테이퍼부(131)에는 제2경사면(203)이 접촉된다. 제2경사면(203)은 제1경사면(201)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제2테이퍼부(131)에 제2경사면(203)이 완전히 접촉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제1케이스(110), 제2케이스(120) 및 제3케이스(13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2테이퍼부(131)가 제2경사면(203)을 가압한다. 이 경우, 제2테이퍼부(131)는 접촉된 편체(200)의 제2경사면(203)에 슬라이딩되어 편체(200)를 가압함에 따라, 가압된 편체(200)가 이형철근(B)의 단부를 견고하게 파지하므로, 이형철근(B)의 단부가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의 결합이 완료된 후 편체(200)가 비틀리게 결합되지 않으므로 이형철근(B)의 중심선(c)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동축 상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또는 타측 편체(220)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222)은 이형철근(B)의 지름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형성되되, 복수개의 결합홈(222)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결합홈(222)은 이형철근(B)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홈(222)은 복수개가 서로 인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결합홈(222)은 선단부가 동일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홈(222)은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가 상호 완전히 겹치지 않고, 일부만 겹치도록 형성되며, 겹치지 않은 부위는 가공되지 않고 살이 유지되어 지지부위(223)를 형성한다. 이 경우, 외측 편체(225)가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면 결합돌기(226)가 지지부위(223)에서 지지된다.
만약, 결합홈(222)이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지 않고 나란하게 배치되면, 지지부위가 얇은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편체(225)가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되면 결합돌기(226)가 얇은 지지부위를 파손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222)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지지부위(223)가 결합돌기(226)를 지지함에 따라, 이형철근(B)이 인장력을 받는 경우에도 결합홈(222)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결합홈(222)은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결합 시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외측 편체(225)를 소정 간격만큼 위치를 변경시켜 내측 편체(221)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으로,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홈(222)은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합돌기(226)는 결합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결합홈(222)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홈(222)은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22)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6)는 결합홈(22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26)는 결합홈(222)과 마찬가지로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형성하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26)는 결합홈(222) 내에 수용된다. 결합돌기(226)는 결합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226)가 결합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모두에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가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이형철근(B)의 각 단부를 인장 시 내측 편체(221)가 외측 편체(225)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26)가 결합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므로,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결합돌기(226)가 결합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되면, 내진성이 향상된다. 즉, 지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경우, 외측 편체(225)와 내측 편체(221)가 상대 회전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와 외측 편체(225)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의 구조는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되는 것으로,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점이 있는 부분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는 외주면에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외주면을 가로지르는 결합돌기(224)가 형성되고, 결합돌기(224)의 양측 단부에 스토퍼(S)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측 편체(225)는 내주면에 결합돌기(224)에 결합되고 내주면을 가로지르는 결합홈(227)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는 내측 편체(221)의 호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결합돌기(224)는 결합홈(22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된다.
먼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편체(221)는 외주면에 결합돌기(2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외측 편체(225)는 내주면에 결합홈(227)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돌기(224)는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24)는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내측 편체(221)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결합홈(227)은 결합돌기(224)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결합홈(227)은 결합돌기(224)와 마찬가지로 외측 편체(225)의 내주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외측 편체(225)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224)와 결합홈(227)의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0의 확대도에는 결합돌기(224) 및 결합홈(227)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구형, 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결합돌기(224)의 양측 단부에는 스토퍼(S)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S)는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외측 편체(225)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또한,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의 외주면 내에서 위치 변경 시, 외측 편체(225)의 측단부가 내측 편체(221)의 측단부 보다 돌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외측 편체(225)의 호의 길이는 내측 편체(221)의 호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결합돌기(224)는 결합홈(227)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일측 편체(210) 및 타측 편체(220) 모두에 내측 편체(221) 및 외측 편체(225)가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이형철근(B)의 각 단부를 인장 시 내측 편체(221)가 외측 편체(225)로부터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224)가 결합홈(227)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이형철근(B)의 길이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결합돌기(224)가 결합홈(227)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외측 편체(225)가 내측 편체(221)에 대해 슬라이딩되면, 상술한 것과 같이 내진성이 향상된다. 즉, 지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경우, 외측 편체(225)와 내측 편체(221)가 상대 회전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형철근(B)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1케이스 120 : 제2케이스
130 : 제3케이스 200 : 편체

Claims (3)

  1. 외주면에 복수개의 마디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이형철근을 수용하며, 내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디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측 편체 및 타측 편체; 및
    상기 걸림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링홈에 결합되는 오링; 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일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1케이스;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형철근의 타측 단부를 수용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제3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편체의 수용부와 상기 타측 편체의 수용부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타측 편체는,
    상기 이형철근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마디를 수용하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고, 기준선으로부터 오차 간격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 편체; 및
    상기 내측 편체에 탈부착되어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일측 편체의 단부와 동일한 기준선에 배치되는 외측 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 편체의 걸림부는 상기 일측 편체의 걸림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의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모두 접촉되는 이형철근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편체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편체는 내주면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편체의 호의 길이는 상기 내측 편체의 호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이형철근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수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한 다른 하나는 상기 이형철근의 길이방향으로 선단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형철근 커플러.
KR1020190011197A 2019-01-29 2019-01-29 이형철근 커플러 KR10208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97A KR102083581B1 (ko) 2019-01-29 2019-01-29 이형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197A KR102083581B1 (ko) 2019-01-29 2019-01-29 이형철근 커플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56A Division KR101946359B1 (ko) 2018-05-31 2018-05-31 이형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905A true KR20190136905A (ko) 2019-12-10
KR102083581B1 KR102083581B1 (ko) 2020-03-02

Family

ID=6900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197A KR102083581B1 (ko) 2019-01-29 2019-01-29 이형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5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55B1 (ko) * 2014-03-27 2014-11-04 김찬수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160052407A (ko) * 2015-11-02 2016-05-12 기언관 철근연결구
KR101770999B1 (ko) * 2017-01-18 2017-08-25 주식회사 삼전 콘크리트 건축물 고인장 철근 커플러
KR20180047130A (ko) * 2016-10-31 2018-05-10 박영훈 철근 이음 장치
KR101946359B1 (ko) * 2018-05-31 2019-02-11 최재영 이형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55B1 (ko) * 2014-03-27 2014-11-04 김찬수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160052407A (ko) * 2015-11-02 2016-05-12 기언관 철근연결구
KR20180047130A (ko) * 2016-10-31 2018-05-10 박영훈 철근 이음 장치
KR101770999B1 (ko) * 2017-01-18 2017-08-25 주식회사 삼전 콘크리트 건축물 고인장 철근 커플러
KR101946359B1 (ko) * 2018-05-31 2019-02-11 최재영 이형철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581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79B1 (ko) 철근 커플러
US20220220742A1 (en) Rebar coupler
US12044010B2 (en) Rebar movement-prevention-type one-touch coupler
EP2636810B1 (en) Reinforcement bar coupler
KR101036594B1 (ko) 철근 커플러
US9404258B2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KR101403040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371216B1 (ko)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KR102126297B1 (ko) 이형 철근 연결 금구
KR101882358B1 (ko) 마디 철근 커플러
KR102083581B1 (ko) 이형철근 커플러
KR101697517B1 (ko) 철근 연결장치
KR102076287B1 (ko) 철근연결용 기능성 커플링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946359B1 (ko) 이형철근 커플러
KR101791468B1 (ko) 원터치 방식의 철근 이음장치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2317466B1 (ko) 철근 연결구
KR102064558B1 (ko) 철근 결합 구조를 개선한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2083560B1 (ko) 이형철근 커플러
KR102317467B1 (ko) 철근 연결구
KR20200009747A (ko)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KR101945475B1 (ko) 이형철근 커플러
KR101168009B1 (ko) 철근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