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239A -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239A
KR20190136239A KR1020180061670A KR20180061670A KR20190136239A KR 20190136239 A KR20190136239 A KR 20190136239A KR 1020180061670 A KR1020180061670 A KR 1020180061670A KR 20180061670 A KR20180061670 A KR 20180061670A KR 20190136239 A KR20190136239 A KR 20190136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fluid
housing
power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7455B1 (en
Inventor
류성한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455B1/en
Publication of KR2019013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79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with a fluid in between, and a fluid system hav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es: a housing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fluid is accommodated or in which the fluid fl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a magnetic resonant method;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receiv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utilization equipment to which the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is provided.

Description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유체를 사이에 두고 무선전력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across a fluid.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이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전력선 대신 무선으로 가전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이 필요한 장치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gener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fers to a technology of supplying power to home appliances by wireless instead of a wired power lin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wirelessly without using a power cable to connect a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a power outlet. Therefore, relate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크게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 및 마이크로파 방식이 있다. 자기유도방식은 매우 근접한 코일 간의 자기유도결합을 이용한 기술로서, 2 개의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는 수 cm 이내이며 두 코일의 배열조건에 의해서 전송 효율이 크게 좌우된다. 자기공명방식은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서로 떨어진 두 공진기 간에 비방사형 자기장 에너지가 전달되는 기술로서, 송수전 코일 간의 거리가 1~2m 정도에서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며, 자기유도방식에 비해 비교적 두 코일의 정렬이 유연하고, 중계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충전가능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마이크로파 방식은 마이크로파와 같은 초고주파의 전자파를 안테나를 통해 방사시켜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로서, 장거리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자파에 의한 안전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Suc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are classified into magnetic induction, magnetic resonance, and microwave.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technique using magnetic induction coupling between coils in close proximity. The distance between two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is within several cm, and the transmission efficiency depends largely on the arrangement condition of the two coils.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is a technology in which non-radiative magnetic field energy is transmitted between two resonator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resonant coupl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at a distance of 1 to 2 meters between the coils of the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arrangement of the two coils is relatively flexibl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ireless charging range can be extended by using a relay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microwave method is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power by radiating an electromagnetic wave of an ultra-high frequency such as microwave through an antenna, it is possible to transmit long-range wireless power, but the safety problem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should be considered.

일반적으로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시스템 또는 유체를 저장 또는 보관하는 시스템(이하, “유체 시스템”이라 함), 예를 들면 유체 저장탱크 또는 유체 파이프는 필요에 따라 내부의 유체의 상태, 온도, 압력, 유속 또는 유량 등의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유체 시스템 내부에 센서 등을 설치할 필요성이 크지만 기밀성 약화 또는 누전 등에 의한 발화성 등의 이유로 전원 공급을 위하여 유체 시스템 내부의 센서와 외부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Generally, a system in which a fluid flows inside or a system for storing or storing a flui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uid system”), for example, a fluid storage tank or a fluid pipe, may be used as needed to determine the stat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It is highly necessary to install a sensor inside the fluid system for accurate measurement of flow rate or flow rate, but it is easy to connect the sensor inside and outside of the fluid system by wire for power supply due to weak airtightness or ignition due to short circuit. No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이용하여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수용되는 저장탱크나,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유동하는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유닛과 같은 각종 부하기기에 누전 또는 폭발의 위험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ous loads such as a storage tank in which a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is accommodated, or a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a pipe through which a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flows,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hat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pable of supplying power without the risk of leakage or explosion.

또한, 본 발명은 송전모듈과 수전모듈이 유체를 사이에 두고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power receiving module with the fluid therebetween.

나아가,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전모듈 중에 적어도 하나가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수용되는 저장탱크나,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유동하는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누전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hort circuit and an explosion whe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s is located inside a storage tank in which a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is accommodated, or a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is located inside the pip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무선전력 수전모듈을 구비하는 경우에 각 수전모듈과 연결된 부하기기에서 요구되는 전압, 요구전압의 극성 및 요구되는 전력량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경우에도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power even when at least one of a voltage, a polarity of a required voltage, and a required amount of power required by a load device connected to each power receiving module is differ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어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전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전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에서 수신된 전력이 제공되는 부하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ousing for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or flowing flui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to transmit wireless power in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with the fluid in the housing therebetween; And a load device provided with the electric power received b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또는 유체가 유동하는 파이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be a storage tank for receiving the fluid or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이 경우, 상기 부하기기는 센서유닛 또는 조명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ading mach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nsor unit and a lighting unit.

여기서, 상기 센서유닛은 온도센서, 압력센서, 유량센서 및 유속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 flow sensor and a flow rate sensor.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UWB, ZigBee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y one of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UWB, and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 및 상기 부하기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the load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fluid inside the housing.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비금속 재질의 윈도우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무선 전력을 하우징 내측으로 전송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non-metallic window,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may be mounted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window.

여기서, 상기 윈도우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indow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유동하거나 유체가 수용되는 유체 시스템의 유체를 사이에 두고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사이에 두고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유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with the fluid in the fluid system in which the fluid flows or the fluid is interposed, so tha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 the fluid interpose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system.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시스템 내부의 압력 또는 온도가 높은 경우나 높은 기밀성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무선전력 부하기기로서의 조명 또는 각종 센서들을 유체 내부 또는 유체가 개재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체 시스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폭발 또는 발화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ressure or temperature inside the fluid system is high or when high airtightness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stalling the lighting or various sensors as the wireless power load device in the fluid or the state of the fluid interposed therebetwee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irtightness of the fluid system and to reduce the risk of explosion or fire.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전모듈 중에 적어도 하나가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수용되는 저장탱크나, 고압 또는 발화성 유체 등이 유동하는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누전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and explosion when the driving tank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tank in which the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etc., or the high pressure or ignitable fluid flows can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인 유체 저장탱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storage tank, which is one embodiment of a fluid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3000)의 일예로서의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으로서의 저장탱크를 도시한다.1 shows a storage tank as a fluid system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s an example of a fluid system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유체 시스템(3000)은 저장탱크의 형태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유체가 유동하는 송유관 또는 파이프 등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는 다양한 수용기 또는 배관 형태일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luid system 3000 is illustrated in the form of a storage tan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 the form of an oil supply pipe or a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and various fluids in which fluid is received or flowed. It may be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tubing.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3000)은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2000); 상기 하우징(2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전모듈(300);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전모듈(미도시); 및,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에서 수신된 전력이 제공되는 부하기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fluid system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00 which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luid is accommodated or flow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00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not shown)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2000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with a fluid in the housing therebetween; And a load device (not shown) provided with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도 1에 도시된 유체 시스템(3000)은 고압, 고온 또는 발화성 유체가 저장된 금속 재질로 구성된 유체 저장탱크라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fluid system 3000 illustrated in FIG. 1 is a fluid storage tank made of a metal material in which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or pyrophoric fluid is stored.

상기 유체 시스템(3000)을 구성하는 하우징(2000)은 내부에 수용되는 고압 또는 발화성유체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000 constituting the fluid system 30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order to stably receive a high-pressure or pyrophoric fluid accommodated therein.

이러한 금속 재질의 하우징 내부의 유체의 온도, 압력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하우징(2000) 내부에 센서 등이 장착하거나, 육안으로 하우징 내부의 관찰을 위하여 하우징에 윈도우 등을 설치하고 내부에 조명 등이 설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In order to monitor the temperature, pressure or condition of the fluid in the metal housing, a sensor or the like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00, or a window or the lik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for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be visually observed. Suppose you need to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2000)이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2000)의 적어도 일부에 비금속 재질의 윈도우(2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거나 내부의 조명 등을 통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using 20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 non-metal window 2200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2000. This is to allow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or to observe the inside through lighting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3000)은 유체 내부 등에 무선전력 수전모듈과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에서 수신된 전력이 공급되는 부하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fluid system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a load for supplying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이 경우, 금속재질의 하우징(2000)의 적어도 일부에 윈도우(2200)를 형성하여 상기 윈도우(2200)를 비금속재질(2100), 예를 들어 내압 유리 등으로 밀폐하고, 상기 비금속재질의 외측에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을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에서 송신된 전력은 비금속재질의 윈도우(2200)를 투과하여 상기 하우징(2000)의 내부로 방사되므로 무선전력 전송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a window 2200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metal housing 2000 to seal the window 2200 with a nonmetallic material 2100, for example, a pressure resistant glass, and the outside of the nonmetallic materia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may be mounted.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non-metallic window 2200 and radiated into the housing 2000, thereby minimizing a decreas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이 경우, 상기 윈도우(2200)는 전술한 하우징(2000)의 어느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하우징(2000) 내부를 작업자 등이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0)의 측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ndow 2200 may be formed in any area of the housing 2000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formed in the side area of the housing 2000 so that an operator or the like may visually monitor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0. Can b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자기 공명 방식을 채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과 수전모듈이 소정간격 이상 이격된 경우에도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mploys a magnetic resonance method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wirelessly even 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power receiving module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이와 같은 자기 공명 방식의 경우, 송전모듈과 수전모듈의 공진 주파수는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송전모듈과 수전모듈 간에는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에너지 전달 채널이 형성된다. 즉, 송전모듈로부터 방출된 전자파는 에너지 전달 채널을 통해 수전모듈로 전송되며, 수전모듈을 통해 입력된 전자파는 수전모듈 내부에서 임피던스매칭부 또는 정류부 등의 수신회로부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전력은 무선전력 수전모듈과 연결된 부하기기로 전달되어 부하기기를 충전시키거나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resonant frequencies of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power reception module are preferably the same or almost the same. In this case, an energy transfer channel is forme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the power reception module by resonant coupling. That is, the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are transmitted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through the energy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input through the power receiving module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 power through a receiving circuit unit such as an impedance matching unit or a rectifying unit inside the power receiving module. The converted power may be transferred to a load connected wit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to charge the load or provide driving power.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미도시)에 별도의 케이블 등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의 기밀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선 전력 공급시 발생될 수 있는 누전 등의 위험도 제거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not show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able or the like, so that the risk of leakage may occur when wired power is supplied without affecting the airtight stat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윈도우(2200)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고, 부하기기로 조명 등을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윈도우를 통해 내부 공간의 상태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ndow 22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lighting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s a loading machine, the window 2200 may be visually monitored through the wind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3000)의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3000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3000)은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2000); 상기 하우징(2000)의 외측에 구비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전모듈(300);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전모듈(5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에서 수신된 전력이 제공되는 부하기기(5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fluid system 3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ncludes a housing 2000 which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or flowing a flui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00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2000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with a fluid in the housing therebetween, and the wireless It may be provided with a load device 530 is provided with the power received from the power receiving module.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은 송신회로부(320)와 송전코일(3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송신회로부(320)는 송신정류부(322)와, 고주파 변환부(324)와, 송신 임피던스매칭부(326)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may include a transmission circuit unit 320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310.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320 may include a transmission rectifying unit 322, a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324, a transmission impedance matching unit 326,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AC전원이 상기 송신정류부(322)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정류부(322)에서 DC전원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DC전원은 고주파 변환부(324)에 의해 고주파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C power is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rectifier 322 from the outside, the rectifier 322 may be converted into DC power, and the converted DC power may be converted into high frequency voltage by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324. have.

한편, 송신 임피던스매칭부(326)는 송전코일(310)과 고주파 변환부(324) 사이에 배치되어 송전코일(310)과 송신정류부(322)와 고주파 변환부(324) 등을 포함하는 송신회로부(320)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송신 임피던스매칭부(326)는 송전코일(310)의 전단에 위치하여, 송전코일(310)와 송신 임피던스매칭부(326) 전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mission impedance matching unit 326 is disposed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and the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324 and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310, a transmission rectifying unit 322, a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324, and the like. The impedance of 320 may be matched. As an example, the transmission impedance matching unit 326 may be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to match the impedances of the front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and the transmission impedance matching unit 326.

또한, 상기 송전코일(310)은 상기 변환된 전원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의 수전코일(510)과 공진결합을 하여 에너지 전달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에너지 전달 채널을 통해 전자기파 신호의 형태로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상기 송전코일(310)과 상기 수전코일(510)은 거의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지도록 매칭되어 전력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generates a magnetic field using the converted power source, forms an energy transmission channel by resonant coupling with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500, and transmits the energy. Power can be sent through the channel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signals. Preferably,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and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are match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resonant frequency to improv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코일(510)과 수신회로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회로부(520)는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 수신정류부(524)와 커패시터(526)와 다이오드(52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may include a power receiving coil 510 and a receiving circuit unit 520 as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the receiving circuit unit 520 may include a receiving impedance matching unit 522, a receiving rectifying unit 524, a capacitor 526, a diode 528,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상기 수전코일(510)은 전술한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의 송전코일(310)에서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전코일(510)을 통해 수신된 전자기파 형태의 전력은 수신회로부(520)를 통해 정류되고 컨버팅되어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전력은 무선전력 수전모듈에 연결된 부하기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receiv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310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described above. The electromagnetic wave-type power received through the faucet coil 510 may be rectified and converted by the receiving circuit unit 520 and converted, and the converted power may provide power to a load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

상기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는 수전코일(510)과 수신정류부(524) 사이에 배치되어 수전코일(510)과 수신정류부(524)의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The receiving impedance matching unit 5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and the receiving rectifying unit 524 to match the impedance of the receiving coil 510 and the receiving rectifying unit 524.

구체적으로,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는 수전코일(510)의 후단에 위치하여, 수전코일(510)과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 전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는 가변 인덕터나 가변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커패시터와 FET 스위치가 직접 연결된 회로가 병렬로 다수 연결된 병렬 어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reception impedance matching unit 522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to match impedances of the front end of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and the reception impedance matching unit 522. To this end, the receiving impedance matching unit 522 may include a variable inductor or a variable capacitor, or may include a parallel array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uits in which capacitors and FET switches are directly connected are connected in parallel.

이때, 상기의 가변 커패시터 또는 병렬 어레이는 수전코일(510)과 병렬 연결되어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variable capacitor or the parallel array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receiving coil 510 to perform impedance matching by changing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reception impedance matching unit 522.

이어서, 상기 수신정류부(524)는 상기 수신 임피던스매칭부(522)에서 전성된 DC전원을 AC전원으로 변환시키고, 커패시터(526)와 다이오드(528) 등을 거쳐 부하기기(530)로 전달된다.Subsequently, the reception rectifier 524 converts the DC power generated by the reception impedance matching unit 522 into AC power, and is transferred to the load device 530 through the capacitor 526 and the diode 528.

한편,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은 별도의 케이스(505)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5)는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하우징(2000) 외측이라도 하우징 내부의 유체를 사이에 두는 위치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parate case 505. The case 505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0. However, the case 505 may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housing 200 has a fluid therebetween even outside the housing 2000.

이때,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케이스(505)는 유체의 침투를 방지하는 수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luid is accommodated or flows inside the housing 2000 as described above, the case 505 may have a watertight structure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fluid.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은 상기 부하기기(53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하기기(530)는 상기 하우징(2000) 내측의 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 속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명소자, 예를 들면 LE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명유닛일 수 있다. 상기 부하기기(530)는 수전모듈과 별개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될 수도 있지만, 구성의 단순화 및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전술한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의 케이스(505)의 내측에 함께 설치되어 수전모듈과 일체화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may supply power to the load device 530. In this case, the load device 5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unit or at least one invention element, for example LED,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temperature, flow rate, speed of the fluid inside the housing 2000 It may be an illumination unit. The load device 53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ase separately from the power receiving module, but is installed together inside the case 505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described above for simplicity of configuration and ease of installation. It can be integrated with the power receiving module.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유닛 또는 조명유닛 등의 상기 부하기기(530)는 상기 하우징(2000)의 내부에 수용 또는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 속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ad device 530, such as a sensor unit or an illumination unit, detects at least one of pressure, temperature, flow rate, and velocity of the fluid contained or flows in the housing 2000 or illuminates the inside of the housing. Can provid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duplicated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기기(530)가 조명유닛이 아닌 센서유닛인 경우에는 센서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감지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센서유닛에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정보는 외부의 제어부 등의 수신장치(532)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load device 530 is a sensor unit instead of an illumination unit,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to the outside. Similar to the reason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o the sensor unit,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s preferably wirelessly transmitted to a receiving device 532 such as an external control unit.

이때, 상기 부하기기(530)는 무선으로 상기 감지정보를 상기 수신장치(532)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부하기기(530)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내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ad device 530 may have a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in order to wirelessly transmit the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device 532.

따라서,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과 부하기기(530)는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 또는 유체를 사이에 두고 송전모듈(300) 및 수신장치(532)와 이격되어 구비되지만, 전력 전송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 등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고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and the load device 530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and the receiving device 532 with the fluid or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20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able or the like for data transmission, and power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data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누전 위험성을 제거하며, 유체 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it can improve airtightness, eliminate the risk of leakage and help maintain and maintain the fluid system.

한편, 상기 수신장치(532)를 통해 수신된 감지정보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0)의 내부에 수용 또는 유동하는 유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device 532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tate information about the fluid contained in or flowing in the housing (2000).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기 부하기기(530)와 상기 수신장치(532)는 동종의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일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The load device 530 and the receiving device 532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ny one of Bluetooth,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and ZigBee may be appli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4에서는 전술한 부하기기(530, 540)를 복수 개, 예를 들어 2개 구비한 경우를 도시한다. 즉,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에는 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 속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부하기기(530, 530')는 상기 하우징(2000)의 내측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0)의 외부에 수신장치(532, 53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fluid system hav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load devices 530 and 540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for example, two.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the pressure, temperature, flow rate, speed, etc. of the fluid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0, the load device 530, 530 ′ is inside the housing 2000. A plurality of receivers may be provided, and receivers 532 and 532 ′ may be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00, respectively.

도 4에서 상기 외부의 수신장치(532, 532')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하나의 일체화된 수신장치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4, the external receivers 532 and 532 ′ are respectively provided, but one integrated receiver may be used.

이 경우, 상기 부하기기(532, 5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load devices 532 and 532 'is not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그러므로,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을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도 단일 무선전력 송전모듈(300)에서 전력을 송전하여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plurality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500 is provide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by transmitting power from the singl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300.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300)과 무선전력 수전모듈(5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500 have been described above,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set forth below. Could be done. Therefore, it should be seen that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수조
300 : 무선전력 송전모듈
500 : 무선전력 수전모듈
2000 : 하우징
3000 : 유체 시스템
100: tank
300: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500: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0: Housing
3000: Fluid System

Claims (9)

유체가 수용 또는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어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전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유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에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전모듈; 및,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에서 수신된 전력이 제공되는 부하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유체 시스템.
A housing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or flowing the flui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to transmit wireless power in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t least on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and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with the fluid in the housing therebetween; And,
And a load device provided with the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탱크 또는 유체가 유동하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ousing is a storage tank for receiving the fluid or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기기는 센서유닛 또는 조명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oading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nsor unit and an illumina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온도센서, 압력센서, 유량센서 및 유속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 unit i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 flow sensor and a flow rate sens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is a flui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wireless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UWB, ZigBee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ny one of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UWB,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전모듈 및 상기 부하기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유체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the load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is disposed inside the fluid in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에 비금속 재질의 윈도우가 구비되며, 상기 무선전력 송전모듈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무선 전력을 하우징 내측으로 전송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non-metallic window,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mounted to transmit the wireless power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wind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ow i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parent material.
KR1020180061670A 2018-05-30 2018-05-30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2527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70A KR102527455B1 (en) 2018-05-30 2018-05-30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70A KR102527455B1 (en) 2018-05-30 2018-05-30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39A true KR20190136239A (en) 2019-12-10
KR102527455B1 KR102527455B1 (en) 2023-04-28

Family

ID=6900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70A KR102527455B1 (en) 2018-05-30 2018-05-30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4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768A (en) * 2021-07-16 2023-01-2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sensor using double pip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9362A1 (en) * 2009-04-08 2010-10-14 Rosemount Inc. Rf cavity-based process fluid sensor
JP2014503815A (en) * 2010-12-16 2014-02-13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Wireless liquid measurement system
KR20160008088A (en) * 2014-07-10 2016-01-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apparatus for detecting deformation data of tank type structures
KR20170093485A (en)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휴택 Wireless digital fishbowl
KR20180024177A (en) * 2016-08-29 2018-03-08 박운용 Filtering water in the aquar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9362A1 (en) * 2009-04-08 2010-10-14 Rosemount Inc. Rf cavity-based process fluid sensor
JP2014503815A (en) * 2010-12-16 2014-02-13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Wireless liquid measurement system
KR20160008088A (en) * 2014-07-10 2016-01-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apparatus for detecting deformation data of tank type structures
KR20170093485A (en)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휴택 Wireless digital fishbowl
KR20180024177A (en) * 2016-08-29 2018-03-08 박운용 Filtering water in the aquar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768A (en) * 2021-07-16 2023-01-2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anaging sensor using double pi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455B1 (en)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0996B2 (en) Wireless charging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facilities on a wireless device
US1020535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EP3175531B1 (en) Adaptive and multi-transmitter wireless power for robots
CN104135309B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160241087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20170317529A1 (en) Distributed control 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032631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789195B1 (en) Resonance coupling wireless energy transfer receiver and transmistter
US20150102941A1 (en) Metering device and parts therefor
KR20080031391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ith communication
GB2457956A (en) Electromagnetic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 buried conductor
US9711972B2 (en) Auxiliary receiver coil to adjust receiver voltage and reactance
KR101805930B1 (en) Antenna Altitude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the same
KR101055448B1 (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90136239A (en) Fluid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N10857434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wireless power launching technique
KR20130035560A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11621583B2 (en) Distributed control adap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N206019815U (en) A kind of digital weighing sensor is wirelessly transferred based on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CN106471552B (en) Data transmission system
CN103748797A (en) Capacitive wireless power inside a tube-shaped structure
CN203800926U (en)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10302138B2 (en) Sensor arrangement and rolling bearing having such a sensor arrangement
KR101305657B1 (e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rnasmission method
CN108258815B (en)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radio frequency receiving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