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108A -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108A
KR20190134108A KR1020180059306A KR20180059306A KR20190134108A KR 20190134108 A KR20190134108 A KR 20190134108A KR 1020180059306 A KR1020180059306 A KR 1020180059306A KR 20180059306 A KR20180059306 A KR 20180059306A KR 20190134108 A KR20190134108 A KR 2019013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ver
card cover
semi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455B1 (ko
Inventor
박양호
Original Assignee
박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호 filed Critical 박양호
Priority to KR102018005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45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45C13/007Hing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가 개시된다.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는, 앞쪽에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모바일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보호부가 형성되고, 뒤쪽에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수용부, 및 힌지 홀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카드 수용부를 개폐하는 카드 덮개를 포함하고, 카드 덮개는, 카드 수용부를 덮는 몸체, 및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힌지 홀에 삽입되어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수납이 가능한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전자 장치는 떨어지면 깨지기 쉽지만 수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그 가치 또한 높아, 모바일 전자 장치를 보호용 케이스로 감싸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심미적 아름다운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전자 장치에 케이스를 착용하기도 하며, 나아가 그립감 증대 또는 카드 수납 등의 기능성을 가미하기 위해 모바일 전자 장치에 케이스를 착용하기도 한다. 특히, 교통카드 결제, 신용카드 결제, 아파트 현관카드 인증 등 카드를 이용한 결제 또는 인증 방법이 확대되어 사용되면서, 카드 수납 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 장치 케이스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카드 수납 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 장치 케이스에 관한 종래 기술문헌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5397 "카드 수납이 가능한 반자동 슬라이드 휴대폰 케이스"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021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반자동 슬라이드 케이스"가 있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 및 상기 휴대폰 반자동 슬라이드 케이스는 커버(300)가 열리는 방향에 있는 손(오른 손)이 커버(300)의 진행방향을 막게 되어, 오른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그 손으로 커버(300)를 열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사용자는 1)왼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그 손으로 커버(300)를 연 후에, 오른손으로 휴대폰을 다시 잡고 왼손으로 카드를 꺼내는 방법, 2)왼손으로 휴대폰을 잡고 오른손으로 커버(300)를 연 후에, 오른손으로 휴대폰을 다시 잡고 왼손으로 카드를 꺼내는 방법으로 카드를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드 수납이 용이하게 카드 덮개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한 손으로도 모바일 전자장치를 잡고 그 손으로 카드 덮개를 밀어 열고 닫을 수 있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카드 덮개가 반자동식으로 회전되며 열리고 닫히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체 공학적 디자인과 사용자 편의성이 조합된 카드 수납이 용이한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는, 앞쪽에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보호부가 형성되고, 뒤쪽에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수용부, 및 힌지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드 수용부를 개폐하는 카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는, 상기 카드 수용부를 덮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은, 상기 카드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치 보호부를 형성하는 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카드 수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는 상기 카드 덮개가 반자동 회전하게 반자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반자동부가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덮개의 몸체에는 상기 반자동부가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자동부는, 상기 본체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카드 덮개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일측 방향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탄성 결합되고 타측 방향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카드 덮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거리가 변경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복원력의 방향은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에 의하면, 반자동부의 배치로 카드 덮개를 반자동식으로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힌지 결합부 및 반자동부의 유기적 결합관계로, 카드 덮개(200)를 반자동 회전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음으로써, 카드 덮개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한 손으로도 모바일 전자장치를 잡고 그 손으로 카드 덮개를 밀어 열고 닫을 수 있어 카드 수납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회전 공간 홈부, 힌지 결합부 및 반자동부의 유기적 결합관계로, 반자동부는 카드 덮개의 회전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더해 상부 커버부 및 하부 커버부가 상호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인체 공학적 디자인과 사용자 편의성이 조합된 카드 수납이 용이한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덮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카드 덮개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카드 덮개의 개폐에 따른 반자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드 덮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10)는 본체(100), 카드 덮개(200) 및 반자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정면에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모바일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보호부(101)가 형성될 수 있고, 배면에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수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장치 보호부(101)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탈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체(100)는 모바일 전자장치의 보호를 위한 완충형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및 핸드헬드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카드 수용부(103) 상부에 위치하여 카드 덮개(200)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105)이 형성될 수 있고, 카드 수용부(103) 하부에 위치하여 카드 덮개(200)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107)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07)는 힌지 홀(1071), 고정홈부(1073) 및 결합홀(107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1075)은 힌지 홀(1071)의 상부에 위치하며, 힌지 홀(1075) 보다 단면적 또는 지름이 크게 형성되며, 힌지 홀(1071) 및 결합홀(1075)은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부(1073)는 힌지 홀(107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에는 반자동부(300)와 결합되는 지지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9)는 카드 수용부(10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0)는 모바일 전자장치의 상하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을 감싸기 위한 테두리부(110) 및 모바일 전자장치의 배면을 덮는 커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110) 및 커버부(160)는 장치 보호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테두리부(110)는 커버부(150)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16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테두리부(110)는 좌측 테두리부(120), 우측 테두리부(130), 상측 테두리부(140), 하측 테두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60)는 상부 커버부(170), 하부 커버부(180) 및 상부 커버부(170) 및 하부 커버부(180) 사이에 장홀(1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70) 및 하부 커버부(180)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하부 커버부(180)가 상부 커버부(17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덮개(200)는 상부 커버부(17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1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사용의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가이드홈(105)은 상부 커버부(170) 및 하부 커버부(180)의 단차 간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70)는 하단 상부에서 하부 커버부(180)로 돌출된 가이드판(17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171)은 장홀(190)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장홀(190)을 가릴 수 있고, 가이드홈(105)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카드 덮개(200)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103)의 일측(178)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카드 덮개(200)의 배출을 막도록 가이드홈(103)의 타측(176)이 막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70) 후면에는 홈부(17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부(180)는 정면에 장치 보호부(101)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181)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영역(181)은 우측 테두리부(130)에 가깝게 형성될 있다. 즉 돌출 영역(181)과 좌측 테두리부(120) 사이의 간격이 돌출 영역(181)과 우측 테두리부(13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드 수용부(103)는 우측 테두리부(130)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수용부(103)는 하부 커버부(180)의 배면에 돌출 영역(18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커버부(180)의 우측에는 카드 수용부(103)와 연결된 배출 홈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수용부(103)는 좌측 테두리부(120)와 간격이 우측 테두리부(130)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출 홈부(183)를 통해 카드 수용부(103)에 수용된 카드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힌지 결합부(107)는 하부 커버부(180)의 돌출 영역(181)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9)는 하부 커버부(18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카드 수용부(10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지지부(109)는 정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하부 커버부(180)를 관통하는 나사(1091)로 형성될 수 있다.
장홀(190)은 하부 커버부(170)가 후방 방향으로 유동적으로 밀릴 수 있게 기능한다. 장홀(190)은 카드 수용부(103)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카드 덮개(200)는 본채(100)의 배면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본체(10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카드 덮개(200)는 몸체(210), 가이드 돌기(220), 힌지축부(230) 및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는 카드 덮개(200)가 닫힌 경우에 카드 수용부(100)를 덮는다. 몸체(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210)의 정면 상부 영역에는 반자동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공간 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공간 홈부(211)는 반자동부(300)가 카드 덮개(200)의 회전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 및 동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이드 돌기(220)는 몸체(210)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가이드홈(10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00)는 카드 덮개(200)가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하여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작용 및 기능을 한다. 가이드 돌기(220)는 가이드홈(103)의 개방구(178)를 통해 가이드홈(103)에 삽입 및 배출이 자유롭다. 반대로 가이드 돌기(220)는 가이드홈(103)의 차단벽(176)에 막혀 가이드 돌기(220)가 배출 홈부(183)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축부(230)는 힌지 홀(1071)에 삽입되어 본체(100)에 힌지결합된다. 힌지축부(230)는 몸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몸체(210)의 정면 하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축부(230)는 헤드(231) 및 핀축(233)을 포함할 수 있다. 핀축(233)은 힌지 홀(1071)에 삽입되어 카드 덮개(200)의 이동에 따라 힌지 홀(1071))에서 회전 운동을 한다. 헤드(231)는 고정 홈부(1073)에 안착되어 카드 덮개(200)를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기능 및 작용을 한다. 헤드(231)는 결합홀(1075)을 관통한 후, 하부로 이동하여 고정 홈부(1073)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240)는 반자동부(300)와 결합되어, 반자동부(300)의 일측을 카드 덮개(300)에 고정시킨다. 지지부(240)는 몸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회전 공간 홈부(2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240)가 회전 공간 홈부(211)에 위치함으로써, 반자동부(300)가 회전 공간 홈부(211)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카드 덮개(200)는 배면에 회전 가이드 돌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 돌기(250)는 지지부(2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40)는 나사로 형성될 수 있고, 반자동부(300)를 관통하여 회전 가이드 돌기(2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회전 가이드 돌기(250) 내부에는 지지부(240)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반자동부(300)는 일측은 본체(100)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카드 덮개(200)와 결합되어, 카드 덮개(200)가 반자동 회전하게 한다. 반자동부(300)는 본체(100)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10),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24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20), 및 제1 결합부(310) 및 제2 결합부(320)와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덮개(200)는 제1 결합부(310), 제2 결합부(320) 및 탄성부(330)의 상호작용으로 반자동 회전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10)에는 양측에 탄성부(330)와 탄성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홈(311, 313)이 형성되고, 한 쪽 끝에 본체(100)의 지지부(109)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0)에는 양측에 탄성부(330)와 탄성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홈(321, 323)이 형성되고, 한 쪽 끝에 본체카드 덮개(1200)의 지지부(109240)에 결합되는 본체카드 덮개 결합홀(32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330)는 뼈대부(340), 제1 탄성 결합부(350) 및 제2 탄성 결합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뼈대부(340)는 ‘ㄹ’형상을 가질 수 있고, 좌측대(341), 중심대(343), 우측대(345), 좌측대(341) 및 중심대(343)를 연결하는 좌측 지지대(347), 및 우측대(345) 및 중심대(343)를 연결하는 우측 지지대(349)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대(341)는 제1 결합부(310)의 가이드 홈(31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중심대(343)는 일측은 제1 결합부(310)의 가이드 홈(3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제2 결합부(320)의 가이드 홈(32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우측대(345)는 제2 결합부(320)의 가이드 홈(32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탄성 결합부(350)는 반자동부(300)가 압착되어 좌측 지지대(347)가 제1 결합부(310)로 이동되면 좌측 지지대(347)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 결합부(350)는 일측은 좌측 지지대(347)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1 결합부(310)와 결합되는 스프링(351, 353), 및 스프링(351, 353) 사이 또는 스프링(351, 353)에 배치되며 일측은 좌측 지지대(347)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1 결합부(310)로 삽입되는 지지핀(355, 357, 359)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지지대(347)가 제1 결합부(310)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핀(355)은 제1 결합부(310) 내부로 이동되고, 스프링(351, 353)은 압착될 수 있다.
제2 탄성 결합부(360)는 반자동부(300)가 압착되어 우측 지지대(349)가 제2 결합부(320)로 이동되면 우측 지지대(349)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탄성 결합부(360)는 일측은 우측 지지대(349)와 결합되고 타측은 제2 결합부(320)와 결합되는 스프링(361, 363), 및 스프링(361, 363) 사이 또는 스프링(361, 363) 내에 배치되며 일측은 우측 지지대(349)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 결합부(320)로 삽입되는 지지핀(365, 367, 369)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지지대(349)가 제2 결합부(320)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핀(365)은 제2 결합부(320) 내부로 이동되고, 스프링(361, 363)은 압착될 수 있다.
도 5는 카드 덮개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카드 덮개의 개폐에 따른 반자동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a)는 카드 덮개(200)가 카드 수용부(103)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일 때의 반자동부(3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결합부(310)의 본체 결합홀(315)에 본체(100)의 지지부(109)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결합부(320)의 가드 덮개 결합홀(325)에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3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체(100)의 지지부(109) 및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320)는 카드 덮개(200)의 회전 공간 홈부(211)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반자동부(300)는 공간 홈부(211)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자동부(300)는 카드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다.
카드 덮개(200)가 도 5의 (a)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6의 (a)와 같이 반자동부(300)는 자유 상태(원위치)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카드 덮개(200)를 밀면 카드 덮개(200)는 힌지축부(230)를 중심으로 본체(100)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여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카드 덮개(200)의 회전함에 따라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240)가 본체(100)의 지지부(109)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됨으로써, 반자동부(300)는 압착된다. 즉, 좌측 지지대(347)가 제1 결합부(310)로 밀착되고 우측 지지대(349)가 제2 결합부(320)로 밀착되는 형태로 반자동부(300)는 압착된다. 이때, 사용자가 카드 덮개(200)를 미는 것을 중지하면, 제1 탄성 결합부(350)의 스프링(351, 353) 및 제2 탄성 결합부(360)의 스프링(361, 363)의 복원력은 배출 홈부(183)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복원력으로 인해 제2 결합부(320)는 배출 홈부(183)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240)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카드 덮개(200)는 자동으로 도 5의 (a) 상태로 되돌아 가고, 반자동부(300)는 자유 상태가 된다. 이는 카드 덮개(200)가 의도치 않은 흔들림 등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의 (b)에서 카드 덮개(200)를 더 밀면, 카드 덮개(200)는 자동으로 열려 도 5의 (c) 상태가 될 수 있고, 반자동부(300)는 도 6의 (c)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5의 (b)에서 카드 덮개(200)를 더 밀면, 제1 탄성 결합부(350)의 스프링(351, 353) 및 제2 탄성 결합부(360)의 스프링(361, 363)의 복원력은 배출 홈부(183)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복원력을 인해 제2 결합부(320)는 배출 홈부(183)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반자동부(300)는 도 6의 (c)의 같은 자유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카드 덮개(200)의 지지부(240)는 도 6의 (c)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카드 덮개(200)는 자동으로 도 5의 (c)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의 (c)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드 수용부(103)에 카드를 넣거나 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배출 홈부(183)를 통해 카드 수용부(103)에 적재된 카드를 하부 커버부(180)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도 5의 (c)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출 홈부(103) 방향으로 카드 덮개(200)를 밀면, 카드 덮개(200)를 열 때와 마찬가지로 닫힐 때에도, 반자동부(300)로 인해 도 5의 (b)의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도 5의 (a) 상태가 되고, 도 5의 (b)의 상태가 되기 전에 카드 덮개(200)를 미는 것을 중지하면 자동으로 도 5의 (c)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자동부(300)의 배치로 카드 덮개(200)를 반자동식으로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특히 힌지 결합부(107) 및 반자동부(300)의 유기적 결합관계로, 카드 덮개(200)를 반자동 회전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드 덮개(200)가 열리는 방향에 위치한 손으로도 모바일 전자장치를 잡고 그 손으로 카드 덮개를 밀어 열고 닫을 수 있어, 카드 수납이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회전 공간 홈부(211), 힌지 결합부(107) 및 반자동부(300)의 유기적 결합관계로, 반자동부(300)는 회전 공간 홈부(211) 내에서 마찰 없이 카드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더해 상부 커버부(170) 및 하부 커버부(180)는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은 인체 공학적 디자인과 사용자 편의성이 조합된 카드 수납이 용이한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결합홀(1075)은 힌지 홀(1071)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홈부(1073)는 힌지 홀(1071)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230)는 결합홀(1075)을 관통한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고정 홈부(107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10 본체 100
카드 덮개 200 반자동부 300

Claims (7)

  1. 앞쪽에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보호부가 형성되고, 뒤쪽에는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수용부, 및 힌지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드 수용부를 개폐하는 카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는,
    상기 카드 수용부를 덮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홀은,
    상기 카드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치 보호부를 형성하는 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카드 수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덮개가 반자동 회전하게 반자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반자동부가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덮개의 몸체에는 상기 반자동부가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부는,
    상기 본체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카드 덮개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일측 방향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탄성 결합되고 타측 방향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카드 덮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거리가 변경되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의 방향은 상기 카드 덮개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KR1020180059306A 2018-05-24 2018-05-24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KR10209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06A KR102092455B1 (ko) 2018-05-24 2018-05-24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06A KR102092455B1 (ko) 2018-05-24 2018-05-24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08A true KR20190134108A (ko) 2019-12-04
KR102092455B1 KR102092455B1 (ko) 2020-03-23

Family

ID=6900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06A KR102092455B1 (ko) 2018-05-24 2018-05-24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747A (ko) * 2008-07-04 2010-01-13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101757399B1 (ko) * 2016-12-22 2017-07-12 홍기수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70004426U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아이스픽 카드 수납이 가능한 반자동 슬라이드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747A (ko) * 2008-07-04 2010-01-13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20170004426U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아이스픽 카드 수납이 가능한 반자동 슬라이드 휴대폰 케이스
KR101757399B1 (ko) * 2016-12-22 2017-07-12 홍기수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455B1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56B1 (ko)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20200288832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and pivot stand
KR200486580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반자동 슬라이드 케이스
US9462099B2 (en) Mobile device case
KR200489109Y1 (ko) 카드수납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US20140116895A1 (en) Electronic device case
CN204617300U (zh) 可自动排列的收纳夹
KR200478280Y1 (ko)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325902B1 (ko) 휴대용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US20080142540A1 (en) Card-holding case with a dispensing hole
KR101890522B1 (ko) 신속한 카드 인출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190134108A (ko) 모바일 전자장치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0099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440917B1 (ko) 카드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64707B1 (ko) 전면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87412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N210270695U (zh) 一种用于便携式计算机的接口防护盖板及便携式计算机
KR102109505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5397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반자동 슬라이드 휴대폰 케이스
KR20210087191A (ko) 카드수납형 핸드폰 보호케이스
TWI587993B (zh) Hand tools storage box
KR20190090649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EP1521336B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190056649A (ko) 여닫이 수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