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020A -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020A
KR20190134020A KR1020180059145A KR20180059145A KR20190134020A KR 20190134020 A KR20190134020 A KR 20190134020A KR 1020180059145 A KR1020180059145 A KR 1020180059145A KR 20180059145 A KR20180059145 A KR 20180059145A KR 20190134020 A KR20190134020 A KR 20190134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leakage current
main bod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모
김무성
김선찬
김민석
김인웅
정우성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020A/ko
Publication of KR2019013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31/02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메인홀 내에 메인단자가 형성된 단위 본체와, 단위 본체의 일 측면에 단위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으로 인입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수용홈 내에 형성된 수용접속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메인 단자에 공급할 수 있게 전력공급선을 통해 수용접속단자가 메인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된 소켓부와, 단위 본체의 소켓부의 타 측면에 타 소켓부가 진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커플링홈 내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연장되어 타 단위 본체의 단자수용홈에 진입되어 타 단위 본체의 수용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복수개의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어 전력공급선과 결선된 플러그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의하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돌출되게 노출되는 단자가 없어 안전사고 또는 단락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electric socket}
본 발명은 결합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에 의해 멀티탭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개인화된 전자기기의 보급이 증가되는 반면, 집안이나 실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전기콘센트의 개수는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전자기기의 활용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멀티탭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를 하나의 고정 전기콘센트에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497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멀티탭은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게 형성된 커넥터가 복수개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하나의 커넥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환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10465호에는 레고형식으로 상호 분리 및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스마트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멀티탭은 플러그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복수 개를 상호 레고 형태로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단자에 의해 감전과 같은 안전사고 또는 단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호 조립에 의해 멀티탭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사고 또는 단락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메인홀 내에 메인단자가 형성된 단위 본체와; 상기 단위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단위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으로 인입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수용홈 내에 형성된 수용접속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상기 메인 단자에 공급할 수 있게 전력공급선을 통해 상기 수용접속단자가 상기 메인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된 소켓부와; 상기 단위 본체의 상기 소켓부의 타 측면에 타 소켓부가 진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커플링홈 내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연장되어 타 단위 본체의 단자수용홈에 진입되어 타 단위 본체의 수용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복수개의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선과 결선된 플러그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전력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외부에 공급할 수 있게 상기 단위 본체에 형성된 USB단자;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위 본체에는 타 단위 본체와 결합력을 높이도록 마련된 영구자석과; 타 단위 본체의 영구자석에 감응하는 자력감응소재로 상기 단위 본체에 형성된 자력감응브라켓;을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단자를 통해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에 대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누설전류검출부와; 상기 누설전류검출부에 제어되어 누설전류 발생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누설전류검출부는 상기 영구자석에 다수회 권회된 권회부분과, 상기 권회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단자들을 에워싸게 배치된 센싱부분을 갖는 커런트 코일부와; 상기 커런트 코일부의 양단을 통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누설전류 발생정보가 표시되게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의하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돌출되게 노출되는 단자가 없어 안전사고 또는 단락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들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의 전력공급계통에 대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들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들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의 전력공급계통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100)는 단위본체(110), 소켓부(120), 플러그부(130), 안전커버(140)를 구비한다.
단위 본체(110)는 내부공간을 갖게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위 본체(110)의 상면에는 원형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원형홈(115) 내에 외부 전기기기의 플러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메인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본체(110)의 메인홀(112) 내에는 외부 전기기기로부터 인출된 플러그에 접속될 수 있게 메인단자(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본체(110)의 원형홈 내에는 접지단자(114)가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단위 본체(110)의 상면에는 비사용시 메인홀(112)을 외부에 대해 차폐시키는 안전커버(140)를 결합할 수 있게 원형홈(115)에서 이격된 위치상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에 상호 나란하게 띠형태로 직선상으로 연장된 끼움결합바(117)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결합바(117)는 안전커버(140)의 저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끼움홈(142)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면 된다.
일 예로서, 끼움결합바(117)는 단면이 반원길이보다 더 긴 호형으로 형성되고, 끼움홈(152)도 끼움결합바(117)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켓부(120)는 단위 본체(110)의 상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 측면에 단위 본체(1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으로 인입된 3개의 단자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수용홈(122) 내에는 수용접속단자(124)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수용접속단자(124) 중 하나는 접지단자(114)와 접지선(118)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2개의 수용접속단자(124)는 메인단자(113)와 전력공급선(119)(119)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소켓부(120)의 형상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러그부(130)는 단위 본체(110)의 소켓부(120) 반대편이 되는 타 측면에 타 소켓부(120)가 진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커플링홈(132) 및 커플링홈(132)에 형성된 플러그 단자(134)를 구비한다.
플러그부(130)는 커플링홈(132) 내에 단위 본체(110)의 타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커플링홈(132)의 내측벽면에서 개방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 단위 본체(110)의 단자수용홈(122)에 진입되어 타 단위 본체(110)의 수용접속단자(124)와 각각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3개의 플러그 단자(134)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커버(140)는 단위본체(1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홈(142)을 통해 단위본체(110)의 끼움결합바(117)에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콘센트(100)는 일단에 플러그와 타단에 소켓을 갖는 전원 인입케이블(10)을 통해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130)와 플러그부(140)를 통해 상호 직렬로 개수의 제한 없이 단위본체(110)들을 직렬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직류변환부(150)는 단위 본체(110) 내에 마련되며 전력공급선(119)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USB단자(161)는 직류변환부(15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외부에 공급할 수 있게 단위 본체(110)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171)은 단위 본체(110)들 상호 간이 직렬결합될 때 타 단위 본체(110)와의 결합력을 높이도록 단위 본체(110) 내에 마련되어 있다.
영구자석(171)은 소켓부(120)가 형성된 일측면 또는 플러그부(130)가 형성된 타측면에 근접되는 위치의 단위 본체(110)에 내장되게 설치되면 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자력감응 브라켓(173)은 단위 본체(110)의 영구자석(171)이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반대편의 측면에 배치되어 타 단위 본체(110)의 영구자석(171)에 감응하여 상호 자력결합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자력감응 브라켓(173)은 자력감응소재 예를들면 철판으로 단위 본체(110)내에 매립되게 형성되면 된다.
누설전류검출부(180)는 메인단자(113)를 통해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에 대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표시부(185)를 통해 표시되게 처리한다.
누설전류검출부(180)는 자력결합을 위해 적용된 영구자석(171)을 통해 유기전력 검출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누설전류 검출부(180)는 커런트 코일부(182)와, 처리부(183)로 되어 있다.
커런트 코일부(182)는 영구자석(171)에 다수회 권회된 권회부분(182a)과, 권회부분(182a)의 양단에서 메인단자(113)들을 모두 에워싸는 루프를 갖게 배치된 센싱부분(18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처리부(183)는 커런트 코일부(182)의 센싱부분(182b)의 양단을 통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85)에 누설전류 발생정보가 표시되게 처리한다.
처리부(183)는 직류변환부(150)에서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가동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185)는 누설전류검출부에 제어되어 누설전류 발생여부를 표시한다.
표시부(185)는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칩(185a)과,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칩(185b)이 일체로 패키징된 것이 적용되어, 누설전류 발생시에는 적색으로 발광하고, 누설전류 비발생시에는 녹색으로 발광되게 처리부(183)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에 의하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돌출되게 노출되는 단자가 없어 안전사고 또는 단락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결합력 강화를 위해 적용한 영구자석을 전류측정에 활용할 수 있어 자원활용 효율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단위본체 120: 소켓부
130: 플러그부 140: 안전커버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전기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메인홀 내에 메인단자가 형성된 단위 본체와;
    상기 단위 본체의 일 측면에 상기 단위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측으로 인입된 복수 개의 단자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수용홈 내에 형성된 수용접속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상기 메인 단자에 공급할 수 있게 전력공급선을 통해 상기 수용접속단자가 상기 메인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된 소켓부와;
    상기 단위 본체의 상기 소켓부의 타 측면에 타 소켓부가 진입될 수 있게 내측으로 인입된 커플링홈 내에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연장되어 타 단위 본체의 단자수용홈에 진입되어 타 단위 본체의 수용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복수개의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전력공급선과 결선된 플러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전력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외부에 공급할 수 있게 상기 단위 본체에 형성된 USB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본체에는 타 단위 본체와 결합력을 높이도록 마련된 영구자석과;
    타 단위 본체의 영구자석에 감응하는 자력감응소재로 상기 단위 본체에 형성된 자력감응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자를 통해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력에 대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누설전류검출부와;
    상기 누설전류검출부에 제어되어 누설전류 발생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검출부는
    상기 영구자석에 다수회 권회된 권회부분과, 상기 권회부분의 양단에서 상기 메인단자들을 에워싸게 배치된 센싱부분을 갖는 커런트 코일부와;
    상기 커런트 코일부의 양단을 통해 누설전류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누설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에 누설전류 발생정보가 표시되게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
KR1020180059145A 2018-05-24 2018-05-24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KR20190134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45A KR20190134020A (ko) 2018-05-24 2018-05-24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145A KR20190134020A (ko) 2018-05-24 2018-05-24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20A true KR20190134020A (ko) 2019-12-04

Family

ID=6900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145A KR20190134020A (ko) 2018-05-24 2018-05-24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0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401A (ko) 2021-01-29 2022-08-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직방향 암수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분리 및 합체가 용이한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401A (ko) 2021-01-29 2022-08-0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수직방향 암수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분리 및 합체가 용이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1240B2 (en) Pinless power coupling
US9124097B2 (en) Polarity correcting device
US9463564B2 (en) Electrical power cord with supplemental socket
CN106129755A (zh) 一种电力转接器
KR20150069952A (ko)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US20160134127A1 (en) Wireless power system
KR20190134020A (ko) 멀티 결합 지원형 전기 콘센트
US20170163045A1 (en) Combination receptacle and wireless po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7093373B2 (ja) 電力の非接触伝送用アダプタセンブリ
US20130271115A1 (en) Power supply efficiency measurement device
US6270370B1 (en)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CN103489582B (zh) 电磁感应插头插座用的插座磁芯结构
TWI636629B (zh) Extension cord socket with wireless charging
US20130303024A1 (en) Safety Electrical Interconnect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CN203456241U (zh) 电磁感应插头插座用的插座磁芯结构
JP6100537B2 (ja) 端子台装置と端子台装置を備える電気機器
KR101428511B1 (ko) 접속 콘센트
CN210323405U (zh) 感应开关
CN211017625U (zh) 一种电源插座
CN113823962A (zh) 一种多应用场景无线供电插座
KR101526725B1 (ko) 무선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전력 공급 장치
CN2209393Y (zh) 漏电报警化接头
CN115498899A (zh) 电源适配器及充电设备
CN110783779A (zh) 一种电源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