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792A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792A
KR20190132792A KR1020180057737A KR20180057737A KR20190132792A KR 20190132792 A KR20190132792 A KR 20190132792A KR 1020180057737 A KR1020180057737 A KR 1020180057737A KR 20180057737 A KR20180057737 A KR 20180057737A KR 20190132792 A KR20190132792 A KR 2019013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filter
filter member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3648B1 (en
Inventor
양미나
이동진
김영석
최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3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B01D33/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es: a main unit having a cultivation space therein; a cultivation bed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and storing a nutrient solution therein; a nutrient solution container for storing the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a supply hose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to the cultivation bed unit; a collection hose for collect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and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to flow to the supply hose. The filter unit includes; an upper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 an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to discharge the same in a radial direction, and rotated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and a lower body disposed inside the filter member, and including an outlet for supplying the filtered nutrient solution to the supply hose, and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Plant cultivation apparatu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저장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저장실에 저장된 식물을 성장시킨다.A gener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ms a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hav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grows a plant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compartment.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459632호, "수경식물 재배장치 및 재배방법"에 관련 기술이 개시된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10-0459632, "Hydraul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cultivation method" related art is disclosed.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재배통으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설치하지만, 필터에 필터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분리해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ilter is install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ivation container,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filter must be separated and clean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iltered in the filter.

본 발명은, 재배 베드부로 공급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의 유지 관리가 편리해지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hich facilitates maintenance of a filter unit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양액통과 공급 호스의 사이에 필터부를 포함하여, 양액통에서 공급 호스로 유동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서 양액의 흐름에 의해 회동되는 필터부재는 이물질이 필터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필터링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ilter unit between the nutrient container and the supply hose, it is possible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from the nutrient container to the supply hose, by the flow of nutrient solution in the filter unit Rotating filter member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suppress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를 양액의 흐름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여, 필터부재에 다수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고, 이물 배출부를 통해 이물질을 단번에 배출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의 유지 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is rotated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ttachment of a large number of foreign matter to the filter membe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at once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ortion, so that the fil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agement is eas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로부터 이물질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briefly show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상기 본체부(10)는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내측 플레이트(11)와 외측 플레이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1)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재배실(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12)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2)의 사이에는 사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 공간에는 공기가 배치되어, 단열 공간 및 배관 등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 공간이 미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10 may form a body. The body portion 10 may include an inner plate 11 and an outer plate 12. The inner plate 11 may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The inner cultivation chamber 15 formed by the inner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inner plate 11. The outer plate 12 may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n inter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late 11 and the outer plate 12. Air is disposed in the interspace, and a space in which a heat insulation space and a pipe are disposed may be formed. Alternatively, the inner plate 11 and the outer plate 12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interspace is not formed.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재배 베드부(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cultivation bed part 2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plate 11.

식물은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에는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양액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를 커버하며 성장하는 식물이 배치되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수조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성장하는 식물은 상기 수조 커버의 개구에 배치된 상태에서 식물의 뿌리가 상기 수조의 양액에 배치되어 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수조와 상기 수조 커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재배 베드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Plants may grow in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store nutrients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 plant. The cultivation bed part 20 may include a tank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stored, and a tank cover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to cover the tank and in which the plant is grown. The growing plant may b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tank cover and the root of the plant may be disposed in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tank to absorb nutrients.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cover.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10). That is,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slid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30)와, 상기 광원부(3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35)가 배치될 수 있다.A light source unit 3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nd a cooling unit 35 for cooling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plate 11.

상기 광원부(30)와 상기 냉각부(35)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와 상기 냉각부(35)는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광원부(30)에서 광을 조사 시 상기 광원부(3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냉각부(35)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35)는 외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상기 광원부(30)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0)는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광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30)와 상기 재배실(15)의 사이에는 상기 재배실(1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the cooling unit 3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the cooling unit 35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cooled by the cooling unit 35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0. The cooling unit 35 may cool the light source unit 30 by forcibly flowing outside air. The light source unit 30 may be provided as a light source capable of generating light energy required for plant growth. In addition, the cultivation room 15 may be form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30 and the cultivation room 15.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저장된 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물받이부(25)가 배치될 수 있다.Inside the inner plate 11, a drip tray 25 for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20 may be disposed.

상기 물받이부(25)는 상기 재배 베드부(2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에는 상기 물받이부(25)로 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양액은 상기 물받이부(25)에 의해 후술할 양액통(40)으로 회수될 수 있다. The drip tray 25 may be disposed below the cultivation bed 20.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drip tray 25.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may be recovered by the drip tray 25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양액통(40)과 공조기(45)가 배치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and the air conditioner 45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plate 11.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의 내부에는 상기 양액통(40)과 상기 공조기(45)가 배치되기 위한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장실은 상기 본체부(1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전장실에는 상기 양액통(40)과 상기 공조기(45) 이외에도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 interior of the inner plate 11 may be form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for disposing the nutrient container 40 and the air conditioner 4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compartment may be disposed below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in addition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and the air conditioner 45.

상기 양액통(40)에는 양액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양액통(40)에 저장된 양액은 공급 호스(50)를 통해 다수의 재배 베드부(2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재배 베드부(20)에 저장된 양액은 회수 호스(55)를 통해 상기 양액통(40)으로 회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 호스(50)와 상기 회수 호스(55)의 일부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11)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호스(50)와 상기 회수 호스(55)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전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tored in the nutrient container 40.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container 40 may be delivered to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bed unit 20 through the supply hose 50. In addition,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recovered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through a recovery hose 55.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supply hose 50 and the recovery hose 5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plate 11 and the outer plate 12. In addition, the remaining part of the supply hose 50 and the recovery hose 55 may be dispos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상기 본체부(10)에는 다수의 펌프(65, 6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펌프(65, 66)는 상기 양액통(40)에 저장된 양액을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하거나, 상기 양액통(4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상기 양액통(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펌프(65, 66)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두 개의 펌프 중 하나의 펌프(65)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의 펌프(66)는 세척수를 상기 양액통(40)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mps (65, 66). The plurality of pumps 65 and 66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or wash water for washing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Can supply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wo pumps 65 and 66 are provided. One pump 65 of the two pumps is used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nd the other pump 66 is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Can be used as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공급 호스(50)로 공급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1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0)은 상기 양액통(40)과 연결되어 상기 양액통(40)으로부터 양액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공급 호스(50)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 호스(50)로 양액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양액통(40)과, 상기 공급 호스(50)로 양액을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6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양액통(40)에 저장된 양액은 상기 필터부(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필터링되고, 이물질이 필터링된 양액은 상기 펌프(65)에 의해 상기 공급 호스(50)로 공급된 후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main body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unit 100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supply hose 50. The filter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so that nutrient solution may be introduc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In addition, the filter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hose 50 to discharge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upply hose 5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unit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and the pump 65 for forcibly flow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upply hose 50.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is filtered foreign matte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00, the nutrient solution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hose 50 by the pump 65 The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bed portion 20.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는 공급 밸브부(60)가 포함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ly valve unit 60.

상기 공급 밸브부(60)는 상기 공급 호스(5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밸브부(60)는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양액이 공급되는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다수의 공급 밸브부(60)는 상기 다수의 재배 베드부(20)를 향해 연장되는 공급 호스(5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공급 밸브부(60) 중 일 공급 밸브부(60)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일 공급 밸브부(60)에 의해 일 재배 베드부(20)로 유동되는 양액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공급 밸브부(60) 중 타 공급 밸브부(60)를 폐쇄할 경우, 상기 타 공급 밸브부(60)에 의해 타 재배 베드부(20)로 유동되는 양액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The supply valve unit 60 may be provided to the supply hose 50. The supply valve unit 60 may adjust whether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upply valve parts 60 may be provided to supply hoses 50 extending toward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bed parts 20,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one supply valve unit 60 of the plurality of supply valve unit 60 is closed, th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flowing to the single cultivation bed unit 20 by the one supply valve unit 60 may be blocked. have. In addition, when the other supply valve unit 60 of the plurality of supply valve unit 60 is closed, th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flowing to the other cultivation bed unit 20 by the other supply valve unit 60 may be blocked. have.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에는 토출 밸브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charge valve unit 150.

상기 토출 밸브부(150)는 후술할 필터부(100)의 이물 배출부(126) 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부(150)는 상기 이물 배출부(126)에서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물 배출부(126)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필터링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 밸브부(150)가 개방 시 상기 필터부(100)의 내부에서 양액으로부터 필터링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 배출부(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밸브부(150)가 폐쇄 시 상기 이물 배출부(126)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 unit 150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of the filter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may control whether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126 to the outside.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may be understoo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oreign substanc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00 to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is opened, the foreign matter filter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inside the filter unit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is closed, foreign matters may be restrict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unit 126.

한편, 상기 양액통(40)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양액통(4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펌프(6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펌프(66)를 통해 상기 세척수를 상기 양액통(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양액통(4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양액통(4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액통(40)의 내부에 저장된 양액을 배출한 후 상기 양액통(40)의 내부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필터부(10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may include a wash water pump 66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from the outside. The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through the washing water pump 66.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may be used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nutrient container 40. After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container 40, the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nutrient container 40 to wash the inside of the filter unit 1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00)는 상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to 5, the filt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body 110 and a lower body 120. The filter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상기 하부 바디(12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하부 바디(120)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하부 바디(120)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120 may have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The lower body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torage space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lower body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space may be formed by recessing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downward.

상기 상부 바디(110)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가 결합 시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upper body 11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storage space may be defined as a spac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wh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 바디(110)에는 유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115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상기 유입부(115)는 상기 양액통(40)으로부터 상기 저장 공간으로 양액 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5)는 상기 상부 바디(1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5)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양액통(40)으로부터 유입되는 양액 또는 세척수는 상기 유입부(115)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inlet 115 may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or the wash water flows from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into the storage space. The inlet 11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body 110. The inlet 115 has a hollow therein, and the nutrient solution or wash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nutrient container 40 may pass through the inlet 115 to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00.

상기 상부 바디(110)에는 함몰부(118,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A depression 118 (see FIG. 6)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상기 함몰부(118)는 후술할 필터부재(13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8)에 상기 필터부재(13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8)는 상기 상부 바디(110)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8)는 상기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가 결합 시,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함몰부(118)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 공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The depression 118 ma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recess 118. The depression 118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10. The depression 118 may b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wh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cess 118 to rotate in the storage space.

상기 하부 바디(120)에는 하부 고정부(121)가 포함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20 may include a lower fixing part 121.

상기 하부 고정부(121)는 상기 하부 바디(120)를 상기 본체부(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21)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수단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21)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바디(120)를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fixing part 121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lower body 120 to the main body part 10. The lower fixing part 121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and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The lower fixing part 121 is disposed below the lower body 120 to allow the lower body 120 to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상기 하부 바디(120)에는 상부 결합부(122)가 포함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20 may include an upper coupling part 122.

상기 상부 결합부(122)는 상기 상부 바디(1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122)는 상기 상부 바디(110)의 저면과 서로 마주하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상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10)는 상기 상부 결합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결합부(122)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결합부(122)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 즉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10)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122)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상부 결합부(122)가 수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결합부(122)가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것은 체결수단 등의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e upper coupling part 1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body 110. The upper coupling portion 122 may be understood as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facing each othe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10. The upper body 1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art 122. The upper body 110 and the upper coupling portion 122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coupling part 122 may protrude in an outer direction, that is,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upper body 110, and grooves into which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upper coupling part 122 such that the upper body 110 and the upper coupling part 122 may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upper coupling portion 122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o secure a space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상기 하부 바디(120)에는 유출부(124)가 포함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20 may include an outlet 124.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공급 호스(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양액 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의 출구 측에는 펌프(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에서 토출되는 양액 또는 세척수는 상기 펌프(65)에 의해 상기 공급 호스(50)를 따라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50)에 양액이 유동되는 경우,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양액이 저장되어 식물을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50)에 세척수가 유동되는 경우, 상기 공급 호스(50)의 내부는 세척수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The outlet 124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hose 50. The outlet 124 may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nutrient solution or the wash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is discharged. A pump 65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outlet 124. The nutrient solution or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ion 124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unit 20 along the supply hose 50 by the pump 65. When nutrient solution flows through the supply hose 50, the nutrient solution is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20 to grow a plant. When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upply hose 50, the inside of the supply hose 50 may be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바디(120)의 저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중심축과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 바디(120)의 접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출부(124)는 후술할 필터 부재(130)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하부 바디(12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바디(120)에서 연장되는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중심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124)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하단부와 상단부 중 상기 상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outlet part 124 may be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outlet 124 may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outlet portion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body 120. In detail, the outlet part 124 may protrude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body 120 ba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outlet portion 124 may protrud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20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lower body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Alternatively, the outlet 124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lter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outlet portion 124 may extend in a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120. In addition, the outlet portions 124 extending from the lower body 120 may be spaced apart in a radi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120. In addition, the outlet 12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120.

상기 하부 바디(120)에는 이물 배출부(126)가 포함될 수 있다.The lower body 120 may include a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상기 이물 배출부(126)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배출부(126)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저면에서 외측 방향, 즉 상기 하부 바디(120)의 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물 배출부(126)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 배출부(126)의 출구 측에는 토출 밸브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부(15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이물 배출부(126)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0,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ower body 120.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may be formed inside the hollow. The discharge valve part 150 may be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Depending on whether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is open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상기 하부 바디(120)에는 가이드 리브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Guide ribs 128 may be formed on the lower body 120.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측 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는 상기 하부 바디(120)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는 후술할 필터부재(130)의 토출구(133)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에는 상기 필터부재(130)의 하부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 공간에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부(128)에 장착된 상기 필터부재(130)의 토출구(133)는 상기 이물 배출부(126)와 연통될 수 있다.The guide rib portion 128 may protrude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guide rib portion 128 may protrude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in a direction toward an inner space of the lower body 120. The guide rib portion 128 may be configured to insert the discharge port 133 of the filter member 130 to be described later.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supported by the guide rib portion 128.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guide rib portion 128. That is, the filter member 130 may rotate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33 of the filter member 130 mounted on the guide rib part 128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art 126.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부에는 필터부재(130)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30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부에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유입부(115)를 통해 축 방향으로 유입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115)로 유입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130)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양액은 반경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유출부(124)를 통해 상기 공급 호스(50)로 토출될 수 있다. The filter member 130 may rotate inside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The filter member 130 may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115. That i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into the inlet 115 is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130, and the filtered nutrient solution flows in the radial direction to supply the supply hose 50 through the outlet 124. Can be discharged.

상기 필터부재(130)는 몸체를 형성하는 필터 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30 may include a filter body 131 forming a body.

상기 필터 바디(131)는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 공간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바디(1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디(131)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바디(131)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후술할 토출구(13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 바디(131)는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ody 131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a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The filter body 13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filter body 131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filter body 131 is formed so as to reduce the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in the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port 133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lter body 13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upp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20.

상기 필터 바디(131)에는 다수의 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penings 132 may be formed in the filter body 131.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는 상기 필터 바디(131)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바디(131)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132)를 통해 상기 유입부(115)로 유입되는 양액은 상기 필터 바디(13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115)로 유입되는 양액은 상기 필터 바디(131)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를 통과 후 상기 필터 바디(131)의 외부로 유동되어 상기 유출부(124)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에는 양액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다공부(13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5)를 통해 상기 필터 바디(131)의 내부로 유입된 양액은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에 제공되는 다공부(13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34)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필터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13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inlet 115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formed in the filter body 131 may flow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131 to the outside.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into the inlet 115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131,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flows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body 131 so that the outlet portion ( 124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may be provided with a porous portion 134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from the nutrient solution.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131 through the inlet 115 may be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porous portion 134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The porous part 134 may be understood as a mesh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holes.

상기 필터부재(130)에는 토출구(133)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3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133.

상기 토출구(133)는 상기 필터 바디(131)의 내부에 저장되는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33)는 상기 필터 바디(131)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33)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 바디(131)의 내부와 상시 하부 바디(120)의 이물 배출부(126)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33)는 상기 필터 바디(1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바디(120)의 가이드 리브부(128)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33 may be understoo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stored in the filter body 131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100. The discharge hole 133 may be provided below the filter body 131. The discharge port 133 is formed to be hollow, and may connect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131 and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art 126 of the lower body 120 at all times. 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133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lter body 131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guide rib portion 128 of the lower body 120.

상기 필터부재(130)에는 회동부재(135)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30 may include a rotation member 135.

상기 회동부재(135)는 상기 필터부재(130)를 회동시키기 위한 날개차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35)는 상기 필터 바디(13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양액이 상기 유출부(124)를 향해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공간 내에서 발생되는 양액의 흐름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30)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부(115)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과한 후 상기 유출부(124)로 유동하는 양액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135)가 회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가 상기 유출부(124)로 흡입되는 양액에 의해 회동될 경우,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에서 상기 필터부재(13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0)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이물질이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에 제공되는 다공부(134)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이물질은 상기 유출부(124)로 흡입되는 양액의 유동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에서 상기 유출부(1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다공부(134)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 밸브부(150)를 개방할 경우, 상기 토출구(133)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135)가 상기 필터부(100)의 내부에서 회동하면서 상기 하부 바디(12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는 물때를 제거할 수도 있다.The rotating member 135 may be understood as a vane for rotating the filter member 130. The rotating member 135 may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131. The filter member 130 is the filter member 130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generated in the storage space while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flows toward the outlet portion 124. ) Can be rotated. That is, the rotating member 135 may be rotated by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through the inlet 115 and the filter member 130 and then flowing to the outlet 124. When the filter member 130 is rotated by the nutrient solution sucked into the outlet portion 124,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er member 130 is the filter member 130 inside the filter member 130. Can be rotated with). That is, by rotating the filter member 130, foreign substances filtered in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to the porous portions 134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In detail, the foreign matter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portion 124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member 130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sucked into the outlet portion 124 is attached to the porous portion 134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ixed. Therefore, when opening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foreign matter existing inside the filter member 1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3 can be easily discharged. 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135 may remove the scale that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20 while rotating in the filter unit 10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재배 베드부(20)에서 식물이 성장된 후, 상기 재배 베드부(20)에 저장된 양액은 회수 호스(55)를 통해 상기 양액통(40)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액통(40)으로 회수되는 양액에는 이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양액통(40)의 내부에 양액에서는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6 and 7, after the plant is grown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recovered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through a recovery hose 55. Can be. At this time, the nutrient solution recovered to the nutrient container 40 may include foreign matters. Alternatively, foreign matter may be generated in the nutrient solution inside the nutrient container 40.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00)는 상기 유입부(115)를 통해 상기 양액통(40)으로부터 이물질 등이 포함된 양액이 공급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with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a foreign matter, etc. from the nutrient container 40 through the inlet 115.

상기 유입부(115)를 통해 유입되는 양액은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5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130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양액은 상기 필터부재(130)에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부(132)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개구부(132)에는 다공부(134)가 제공되며, 상기 다공부(134)에 의해 이물질을 필터링될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130 ma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openings 132 formed in the filter member 13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openings 132 is provided with a porous portion 134, the foreign matter may be filtered by the porous portion 134.

이물질이 필터링된 양액은 상기 필터부재(130)의 외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양액은 상기 유출부(12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로 토출된 양액은 공급 호스(50)를 통해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부(124)의 출구 측에는 펌프(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65)는 상기 유출부(124)를 통해 배출되는 양액을 상기 공급 호스(50)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65)가 작동하면, 상기 유출부(124)의 입구 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의 양액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124)로 저장공간의 양액이 흡입되면, 상기 저장공간에는 상기 유출부(1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양액이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부(1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양액이 유동되며 상기 필터부재(130)의 회동부재(1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35)가 회동하면, 상기 필터부재(130)는 상기 필터부(10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The nutrient solution from which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may flow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member 130 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24.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outlet part 124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through a supply hose 50. At this time, the pump 65 may be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outlet portion 124. The pump 65 may be provided to force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ion 124 to the supply hose 50. That is, when the pump 65 is operated,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storage space may be sucked to the inlet side of the outlet 124. When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storage space is sucked into the outlet portion 124, the nutrient solution may flow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portion 124 in the storage space. At this time, the nutrient solution flow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portion 124 and may rotate the rotating member 135 of the filter member 130. When the rotating member 135 is rotated,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100.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상기 유출부(124)에 인접하게 배치된 필터부재(130)의 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0)가 회동되면, 상기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측에서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필터부재(13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er member 13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a part of the filter member 130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124. That is, when the filter member 130 is rotated, the foreign matter is continuously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filter member 1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130.

그리고, 상기 필터부(100)를 통해 양액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할 때에는, 상기 이물 배출부(126)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토출 밸브부(150)는 잠금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밸브부(150)가 잠금됨으로써, 상기 유입부(115)로 유입된 양액은 필터링 된 후, 상기 유출부(124)로 토출되어 상기 재배 베드부(20)로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foreign material is filter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filter unit 100,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may be locked. That is, since the discharge valve part 150 is locked,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inlet part 115 may be filter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let part 124 and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20.

한편, 상기 필터부재(130)에 다수의 이물질이 저장되면 상기 필터부재(130)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부(124)로 배출되는 양액의 유동량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30)에 내주면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상기 양액의 유동 저항이 발생되고, 양액의 유동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양액의 유동 저항이 발생되면, 상기 펌프(65)에는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65)의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토출 밸브부(150)의 개폐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65)의 부하를 감지하고, 상기 펌프(65)의 부하가 과부하가 되면, 상기 필터부재(130)에 다수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30)에 다수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토출 밸브부(150)를 개방하여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밸브부(150)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때, 상기 유출부(124)를 통해 상기 공급 호스(50)로 양액이 공급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급 호스(50)의 공급 밸브부(60)를 폐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 is stored in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passed through the filter member 130, the flow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to the outlet 124 may be reduced. That is, the flow resistance of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generated by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130, and the flow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reduced. When the flow resistance of the nutrient solution is generated, an overload may be generated in the pump 65, and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may be controlled by detecting a load of the pump 65. That is, the load of the pump 65 is sensed, and when the load of the pump 65 is overloaded, a plurality of foreign matters may be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130. When it is detected that a plurality of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filter member 130,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may be open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existing in the filter member 130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is opened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supply of nutrient solution to the supply hose 50 through the outlet unit 124 may be limited. For example, the supply valve part 60 of the supply hose 50 may be clos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양액통(40)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양액통(40)의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액통(40)의 일측에는 세척수 펌프(66)가 배치되어, 상기 양액통(40)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may be supplied with washing water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pump 66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nutrient solution 40,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to the nutrient solution 40.

상기 세척수가 상기 양액통(40)으로 공급될 때, 상기 양액통(40)의 내부는 양액이 비워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세척수는 상기 양액통(40)의 내부를 세척한 후 상기 필터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가 상기 필터부(100)로 공급되면, 상기 세척수는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 배출부(126)로 이동시켜, 상기 필터부재(1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 배출부(126)의 출구 측에 배치되는 토출 밸브부(15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wash water is supplied to the nutrient solution 40, the interior of the nutrient solution 40 may be in a state where the nutrient solution is empty. The wash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00 after washing the interior of the nutrient container (40).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100, the washing water moves the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er member 130 to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to clean the inside of the filter member 130. Can be. In this case,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disposed at the outlet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unit 126 may maintain an open state.

한편, 상기 필터부(100)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공급 호스(50)로 공급하여 상기 공급 호스(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50)로 세척수를 공급 시 상기 토출 밸브부(150)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부(150)가 폐쇄 시 상기 유입부(115)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필터부(100)의 저장공간을 세척한 후, 상기 유출부(124)를 통해 상기 공급 호스(50)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 호스(5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 호스(50)를 세척할 시 상기 재배 베드부(20)에는 식물의 성장이 완료된 후 비어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재배 베드부(20)를 세척한 세척수는 상기 회수 호스(55)를 통과한 후 상기 양액통(40)으로 회수되며, 상기 필터부(100)의 이물 배출부(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100 may wash the inside of the supply hose 50 b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supply hose (50). The discharge valve part 150 may be closed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hose 50. When the discharge valve unit 150 is closed,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unit 115 washes the storage space of the filter unit 100, and then the supply hose 50 through the outlet unit 124. Can be supplied to clean the inside of the supply hose (50). When the supply hose 50 is washed, the cultivation bed unit 20 may be in an empty state after the growth of the plant is completed. The washing water washing the cultivation bed part 20 is recovered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40 after passing through the recovery hose 55,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art 126 of the filter part 100. Can be.

또한, 상기 펌프(65)의 부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필터부재(130)에 다수의 이물질이 집적된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필터부재(130)에 다수의 이물질이 집적된 것을 알려, 필터부재(130)의 청소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ad change of the pump 65 can be sensed and whether a plurality of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filter member 130, the user is informed that a plurality of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filter member 130. Cleaning of the filter member 130 may be performed.

1: 식물 재배 장치 10: 본체부
15: 재배실 20: 재배 베드부
30: 광원부 35: 냉각부
40: 양액통 50: 공급 호스
55: 회수 호스 100: 필터부
110: 상부 바디 120: 하부 바디
130: 필터부재
1: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 main body
15: planting room 20: planting bed
30: light source part 35: cooling part
40: dosing container 50: supply hose
55: recovery hose 100: filter portion
110: upper body 120: lower body
130: filter member

Claims (10)

내부에 재배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재배 공간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양액이 저장되는 재배 베드부;
상기 재배 베드부로 공급될 양액이 저장되는 양액통;
상기 양액통의 양액을 상기 재배 베드부로 공급하는 공급 호스;
상기 재배 베드부로부터 상기 양액통으로 양액을 회수하는 회수 호스; 및
상기 양액통에서 배출되어 상기 공급 호스로 유동되는 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양액통으로부터 양액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는 상부 바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축 방향으로 유입된 양액을 필터링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고, 양액의 유동에 의해 회동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 호스로 필터링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유출부와,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 배출부가 구비되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 main body part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is formed;
A cultivation bed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nutrient solution stored therein;
A nutrient solution container for storing a nutrient solution to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part;
A supply hose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to the culture bed;
A recovery hose for recovering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culture bed to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er; And
It includes a filter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flows to the supply hose,
The filter unit,
An upper body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nutrient solution from the nutrient container;
A filter member which filters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rotated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And
And a lower body having the filter member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n outle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filtered by the supply hose, and a foreign body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하부 바디의 외주면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let portio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extending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저면에서 상기 이물 토출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필터 바디;
상기 다수의 개구부에 제공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공부;
상기 필터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member,
A filter body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discharge hole protruding from the bottom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ion;
A porous par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opening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양액은 상기 필터 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다공부를 통과하고, 상기 유출부를 향해 유동되는 양액의 흐름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utrien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and passes through the porous portion, and the rotation member is rotated by the flow of the nutrient solution flowing toward the outlet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에는, 상기 토출구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 바디의 저면에서 상기 하부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body,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formed with a guide rib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lower body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so that the discharge port is rotatably inser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토출구와, 상기 이물 배출부는, 상기 필터 부재의 회전 중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 상에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let, the discharge port, and the foreign object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on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lter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er body is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which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와 상기 유출부의 사이에는 양액의 유동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펌프가 더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ump for generating a flow of nutrient solution between the supply hose and the outle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배출부의 출구 측에는, 토출 밸브부가 제공되며,
상기 펌브의 부하 변화에 따라 상기 토출 밸브부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t the outlet side of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e portion, a discharge valve portion is provide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valv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ad change of the pump.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밸브부가 개방 시, 상기 필터 부재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상기 토출구를 통과한 후 상기 이물 배출부로 배출되는 식물 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discharge valve portion is opened, foreign matter present in the filter member is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KR1020180057737A 2018-05-21 2018-05-21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663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37A KR102663648B1 (en) 2018-05-21 2018-05-21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737A KR102663648B1 (en) 2018-05-21 2018-05-21 Plant cultiv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792A true KR20190132792A (en) 2019-11-29
KR102663648B1 KR102663648B1 (en) 2024-05-08

Family

ID=6872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737A KR102663648B1 (en) 2018-05-21 2018-05-21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6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026A (en) * 2019-12-16 2021-06-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Capsule for seed
CN114247211A (en) * 2022-03-02 2022-03-29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Medical sewage treatment device based on centrifugal separation is carried out flo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315U (en) * 1985-01-28 1986-08-06
KR20110112486A (en)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넷크레이브 Drain pump of watching machine with embeded drain controller
JP2013138615A (en) * 2011-12-28 2013-07-18 Kurita Water Ind Ltd Hydroponic system
KR20140078804A (en) * 2012-12-17 2014-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ultipurpose apparatus of indoor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315U (en) * 1985-01-28 1986-08-06
KR20110112486A (en) * 2010-04-07 2011-10-13 주식회사 넷크레이브 Drain pump of watching machine with embeded drain controller
JP2013138615A (en) * 2011-12-28 2013-07-18 Kurita Water Ind Ltd Hydroponic system
KR20140078804A (en) * 2012-12-17 2014-06-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Multipurpose apparatus of indoor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026A (en) * 2019-12-16 2021-06-2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Capsule for seed
CN114247211A (en) * 2022-03-02 2022-03-29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Medical sewage treatment device based on centrifugal separation is carried out floater
CN114247211B (en) * 2022-03-02 2022-05-06 山东沃华远达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Medical sewage treatment device based on centrifugal separation is carried out flo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648B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10B1 (en) Mobile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s and plants care
KR101375717B1 (en) Washing machine and pump filter thereof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US11471798B2 (en) Liquid filtration system
KR20190132792A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N105198137B (en) The pasteurization system purified using process liquid
KR101846398B1 (en) Bag filter type dust collector
KR20140058139A (en) A strainer
KR100586061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sprouts using discharged water from purifier
US11684048B2 (en) Water filter for an aquarium
US10524456B2 (en)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s and the like
KR101616225B1 (en) Sludge removal device with cleaning filter
CN217600532U (en) Rainwater collection device in landscape architecture
CN105233567A (en) Self-cleaning filter for drop irrigation water
KR20110026842A (en) A water purifier
CN105308233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condensate tank and method of condensate collecting and draining
KR100938222B1 (en) Custody apparatus for cut-flower and cut-flower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JP2011079100A (en) Filter device
KR100776711B1 (en) Sand using dirt water purifier apparatus of dirt water treatment system
KR20090056752A (en) Stackable pollen
KR20170060637A (en) Leak-proof structure for water purifying filter
KR101562614B1 (en)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05598741U (en) Chemical filtering device
CN205055620U (en) Drip irrigation water self -cleaning filter
CN218411717U (en) A open-air plant sample collection system for looking for ore depos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