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720A -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720A
KR20190132720A KR1020180057576A KR20180057576A KR20190132720A KR 20190132720 A KR20190132720 A KR 20190132720A KR 1020180057576 A KR1020180057576 A KR 1020180057576A KR 20180057576 A KR20180057576 A KR 20180057576A KR 20190132720 A KR20190132720 A KR 2019013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ire
pressing
gu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6618B1 (en
Inventor
인용석
김기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618B1/en
Publication of KR2019013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7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2Need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61B5/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which includes: an electrode holding unit having an electrode insertion unit formed to accommodate an electrode; and a press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de holding unit to adjust a relative distance to the electrode insertion unit and to hold or release the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electrode insertion unit. A spring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unit so that the pressing unit can maintain the electrode to be held by compressive force. A wire is installed to be caught in the pressing unit while being compressed so that the pressing unit is away from the electrode insertion unit to enable the electrode to be in the state of being released.

Description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Electrode Fixation and Release Device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본 발명은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없이 전극의 고정 및 릴리즈를 가능하게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that enables the fixing and release of the electrode without a user manual operation.

일반적으로 의료용 모니터링 전극은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의료용 전극은 크게 진단용(Diagnostic)과 치료용(Therapeutic)으로 구분한다. 품목별로는 ECG(심전계)용, EEG(뇌전계)용, EMG(근전계)용, ERG(망막 전계)용, TENS(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기)용, Pacemaker(페이스메이커)용, Defibrillator(심장세동제거기)용 등으로 특정 의료기기와 결합(또는 단독)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 medical monitoring electrode is a device that detects a biosignal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medical electrode is largely divided into a diagnostic and a therapeutic. By item, ECG (Electroelectric System), EEG (Electroelectric System), EMG (Electroelectric Field), ERG (Retinal Field), TENS (Percutaneous Nerve Stimulator), Pacemaker (Facemaker), Defibrillator (Heart)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specific medical device (or sole) for defibrillator).

한편, 의료용 전극을 고정하는 장치로, 클램핑 볼트로 전극을 고정하는 종래의 전극 고정 장치가 있다. 종래의 전극 고정 장치의 경우, 전극 고정 장치에 삽입된 전극을 릴리즈(release)할 때, 수술자가 클램핑 볼트를 손으로 풀어야 하였으며, 이 때 전극 고정 장치의 흔들림으로 인해 조직이 손상되거나 조직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a device for fixing a medical electrode, there is a conventional electrod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electrode with a clamping bolt.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holding device, when releasing the electrod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holding device, the operator had to loosen the clamping bolt by hand, and the tissue was damaged or the position of the tissue was damaged due to the shaking of the electrode holding device. There was a problem going wrong.

따라서,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 전극의 고정 및 릴리즈 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fixing and releasing electrodes without manual manipulation of the user.

한국 등록 특허 제10-1581805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81805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수동적인 조작 없이 전극의 고정 및 릴리즈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that enables the fixing and release of the electrode without the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는 전극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극 삽입부를 구비하는 전극 고정부; 및 상기 전극 삽입부에 상대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삽입부에 수용된 전극을 고정 또는 릴리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압축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극을 고정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누름부의 일 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극 삽입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전극을 릴리즈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도록, 와이어는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에 걸림되도록 설치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de fixing portion having an electrode insertion portion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to fix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electrode inserting part so as to fix or release the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electrode inserting part, wherein the pressing part is capable of fixing the electrode by a compressive force. In order to maintain the spring, a spring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wire is installed to be caught in the pressing portion in a contracted state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electrode can be released. .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전극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상기 전극 고정부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art is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by a hinge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 고정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볼트의 볼트 머리 및 상기 누름부의 일 면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극을 고정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bol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is installed, and the spring is arranged to be compressed between the bolt head of the guide bolt and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to press the pressing part. This makes the electrode fixable.

상기 전극 고정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볼트의 일 단부가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초기압축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의 외주에 이격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릴리즈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electrode fixing part, and one end of the guide bolt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to adjust the initial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and the pressing part has a guide hol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lt. Is formed to enabl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release state.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전극 고정부는, 상기 전극 고정부의 외주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와이어를 걸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걸림부재에는, 와이어 홈의 끝단에 나란하도록 위치되어 와이어의 수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fixing part includes a wire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enables the wire to be caught to the pressing part in an upward direction. A wire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rotatably move, the wire locking member comprising: a guide hol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an end of the wire groove to guide the contraction of the wire; And a support hole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hole and supported by the wire.

상기 와이어 홈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홈의 일 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 단이 결합되는 고정 나사가 설치 가능한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rooves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respectively, and at one end of each of the wire grooves, wire fixing holes may be formed to which fixing screws to which both ends of the wire are coupled may be installed.

본 발명은, 누름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누름부가 가압됨으로써 수술자의 수동 조작 없이 바늘 형태의 전극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installed in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fix the needle-shaped electrode without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수축되어 누름부에 걸림됨으로써 누름부를 전극 삽입부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수술자의 수동 조작 없이 바늘 형태의 전극을 릴리즈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re to be contracted to be caught in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is away from the electrode insertion portion, thereby releasing the needle-shaped electrode without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수술자의 수동 조작이 필요 없기에, 전극의 릴리즈 상태에 조직의 손상 및 위치 틀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and dislocation of the tissue in the release state of the electrode.

한편, 본 발명은 가이드 볼트가 전극 고정부에 결합되는 깊이 조절에 의해 스프링의 초기 압축력을 조절함으로써 전극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adjust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electrode by adjusting the initial compressive force of the spring by the depth adjustment that the guide bolt is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도 1a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a에서 A-A'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전극 고정부 및 누름부에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념도.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A ′ in FIG. 1A;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wires are provided in the electrode fixing part and the pressing part.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direct connection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서 A-A'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A-A 'in FIG. 1A.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서술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2.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는 전극 고정부(10) 및 누름부(20)를 포함한다. Electrode fixing and releas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fixing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전극 고정부(10)는 전극 삽입부(13)를 구비하는데, 전극 삽입부(13)는 전극(5)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극 삽입부(13)는 V자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누름부(2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릴리즈된 상태에서 일정한 위치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includes an electrode insertion part 13, and the electrode insertion part 13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5. The electrode insertion part 13 has a V-shaped groove, which can be more stably fixed by the pressing part 20, and can be accommod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eleased state.

누름부(20)는 전극 삽입부(13)에 상대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 고정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5)을 고정 또는 릴리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누름부(20)의 일 면에는 스프링(23)이 설치되는데, 스프링(23)의 압축력에 의해 전극(5)이 고정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스프링(23)은 장시간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electrode inserting part 13 so as to fix or release the electrode 5. A spring 23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20, and the electrode 5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5 can be fixed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3. The spring 23 preferably has sufficient rigidity to maintain a fixed state for a long time.

또한, 전극 고정부(10) 및 누름부(20)에는 후술하는 와이어(14)가 설치되는데, 와이어(14)의 수축력에 의해 누름부(20)가 전극 삽입부(13)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릴리즈 가능한 상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wire 14 to be described later, the pressing portion 20 is released from the electrode insertion portion 13 by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wire 14 is released. It becomes possible state.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는 초기 상태에 전극(5)이 고정되는 상태에 있어 수술이나 실험이 진행되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며, 실험이나 수술이 완료 등의 시점에 구동 상태에 전극(5)이 릴리즈 가능하게 된다.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5 is fixed in an initial state, and this state is maintain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during which an operation or an experiment is progressed, and when the experiment or operation is completed, etc. In the driving state, the electrode 5 can be released.

누름부(20)는 일례로, 힌지(12)에 의해 전극 고정부(10)에 결합될 수 있어서, 전극 고정부(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pressing part 20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by the hinge 12, so that the pressing part 20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또한, 누름부(20) 및 전극 고정부(10)에는 가이드 볼트(24)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23)은 가이드 볼트(24)에 의해 압축 가능하도록, 가이드 볼트(24)의 볼트 머리(24a) 및 누름부(20)의 일 면 사이에 설치되는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20 and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bolt 24. An example in which the spring 23 is installed between the bolt head 24a of the guide bolt 24 and the one side of the pressing part 20 so as to be compressible by the guide bolt 24 is shown in FIG. 2.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누름부(20)에는 가이드 볼트(24)에 이격되는 이격공(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27)은 가이드 볼트(24)의 외주에 이격되어 누름부(20)의 이동 시에 간섭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가이드 볼트(24)의 외주 보다 기 결정된 거리 만큼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전극 고정부(10)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나사홀(18)이 형성되어 가이드 볼트(24)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1B and 2, the pressing part 20 may have a spaced hole 27 spaced apart from the guide bolt 24. The spacing hole 27 should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lt 24 so that interference or breakage does not occur when the pressing part 20 is mov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lt 24. In addition,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is formed with a screw hole 18 provided with a thread in the inner circumferen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bolt 24 may be screwed.

이로 인해, 가이드 볼트(24)의 일 단이 가이드 볼트(24)에 결합된 상태로, 누름부(20)의 상면의 스프링(23)을 가압하여 누름부(20)가 전극 고정부(10)에 설치된 전극(5)을 고정시키는 고정상태가 된다. 또한, 릴리즈 상태에서는, 와이어(14)의 수축에 의해 누름부(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격공(27)이 가이드 볼트(24)의 내주와 이격되어 있어서, 간섭없이 누름부(20)가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For this reason, in the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guide bolt 24 is coupled to the guide bolt 24, the spring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0 is pressed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20 to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10. It becomes a fixed state which fixes the electrode 5 provided in this. In addition, in the released state, when the pressing portion 20 moves upward by the contraction of the wire 14, the separation hole 27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lt 24,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0 is not interfered with. ) Will rotate and move.

가이드 볼트(24)는 나사홀(18)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정될 수 있어서, 가이드 볼트(24)의 볼트 머리(24a)가 스프링(23)을 압축하는 거리가 조절되고, 스프링(23)의 초기 압축력을 변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하는 힘이 조절되게 된다.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bolt 24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18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that the bolt head 24a of the guide bolt 24 compresses the spring 23 is adjusted, and the initial stage of the spring 23 is adjusted.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made deformable, and the fixing force is adjusted.

한편, 누름부(20)에는 가이드 볼트(24)의 볼트 머리(24a)를 수용 가능하도록 볼트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23)은 볼트 수용부(21)에서 가이드 볼트(24)의 볼트 머리(24a) 및 볼트 수용부(21)의 저면 사이에서 압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ortion 20 is formed with a bolt receiving portion 21 to accommodate the bolt head 24a of the guide bolt 24. As shown in FIG. 2, an example in which the spring 23 is installed to be compressible in the bolt receiving portion 21 between the bolt head 24a of the guide bolt 2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lt receiving portion 21 is shown. hav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별도의 제어 방법이 필요 없는 패시브(passive) 방식의 고정이 가능하며,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전극(5)을 고정시킬 수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a passive method can be fixed without a separate control method, and the electrode 5 can be fixed stably for a long time.

전극 고정부(10)는 와이어 홈(15)을 구비할 수 있는데, 와이어 홈(15)은 전극 고정부(10)의 양 단부의 외주에 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may include a wire groove 15, and the wire groove 15 is formed in one direction on outer peripheries of both ends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누름부(20)는 와이어(14)를 걸림 가능하게 하여 누름부(20)를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걸림부재(2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ressing part 20 may be provided with a wire locking member 25 to enable the wire 14 to be locked to enable the pressing part 20 to be rotatable upward.

와이어 걸림부재(25)에는 와이어 홈(15)의 끝단에 나란하도록 위치되어 와이어(14)의 수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2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걸림부재(25)에는 가이드 홀(25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홀(25b)이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locking member 25 may be formed with a guide hole 25a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end of the wire groove 15 to guide the contraction of the wire 14. In addition, a support hole 25b may be formed in the wire locking member 25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hole 25a.

와이어(14)는 가이드 홀(25a) 내에 배치되고, 와이어 걸림부재(25)의 외주의 일부를 감싸며, 지지홀(25b) 내에 배치됨으로써 와이어 걸림부재(25)에 걸림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wire 14 is disposed in the guide hole 25a, surrounds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re locking member 25, and is disposed in the support hole 25b so as to be hooked to the wire locking member 25.

일례로, 도면상에서 전극 고정부(10)의 양 측에 전극 배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와이어 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걸림부재(25)의 좌, 우측 각각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홀(25a)이 형성되고, 와이어 걸림부재(25)의 하부에 가이드 홀(25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홀(25b)이 형성되는 예가 도 1a에 도시된다. 와이어(14)는 와이어 홈(15), 가이드 홀(25a) 및 지지홀(25b)에 설치되어 있다. For example, wire grooves 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electrode arrangement direction on the drawing, and guide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re locking member 25. An example in which 25a is formed and the support hole 25b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re locking member 25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guide hole 25a is shown in FIG. 1A. The wire 14 is provided in the wire groove 15, the guide hole 25a, and the support hole 25b.

이로 인해, 와이어(14)가 수축함에 의해 누름부(20)가 전극 고정부(10)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릴리즈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누름부는 도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극(5)을 릴리즈 상태에 있게 한다.For this reason, when the wire 14 contracts, the pressing part 20 moves away from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and it becomes a state which can be released. Referring to Fig. 4, the pressing par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to put the electrode 5 in the released state.

한편, 도 1b에서, 각각의 와이어 홈(15)의 일 단에는, 와이어 고정홀(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홀(17)에는 고정 나사(17a)가 설치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 나사(17a)는 와이어(14)의 단부가 결합되게 되고, 와이어(14)가 결합된 고정 나사(17a)는 와이어 고정홀(17)에 설치됨으로써, 와이어(14)는 단부가 전극 고정부(10)에 결합되게 된다. Meanwhile, in FIG. 1B, a wire fixing hole 17 may be formed at one end of each wire groove 15, and a fixing screw 17a may be installed in the wire fixing hole 17. The fixing screw 17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14, and the fixing screw 17a to which the wire 14 is coupled is installed in the wire fixing hole 17, so that the end of the wire 14 is fixed to the electrode. To (10).

전극 고정부(10) 및 누름부(20)에 와이어(14)가 설치되어 있는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An example in which the wire 14 is provided in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and the pressing part 20 is shown in FIG. 3.

예를 들면, 와이어(14)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와이어(14) 또는 스판덱스(spandex) 와이어(14)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 14 may be a Shape memory alloy (SMA) wire 14 or spandex wire 14.

와이어(14)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4)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의 인가에 의해 와이어(14)는 수축되게 되며, 누름부(20)가 상승함에 의해 릴리즈 상태가 되게 된다. 누름부(20)가 기 결정된 거리 만큼 상승하여, 릴리즈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기 결정된 온도의 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wire 14 is formed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4, the wire 14 is contracted by the application of heat, and the pressing portion 20 is raised to be in a released state. Preferably, the pressing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20 ris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in a released state.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는 전술한 전극 고정부(10)와 누름부(20)가 장착되는 장착부(30) 및 전술한 전극 고정부(10)와 누름부(20)를 수용 가능하도록 덮는 커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mounting portion 30 on which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described above are mounted, and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10 and the pressing portion 20 described above. The cover 4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40 to enable the cover 40.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장착부(30)의 일 측에 구비된 장착면(33)에 전극 고정부(10)가 장착되는 예가 도시된다. 또한, 장착부(30)의 타 측에는 도면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를 지지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1A and 1B,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is mounted on a mounting surface 3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30 is illustra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that can support or control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조하면, 커버(40)는 전극 고정부(10)와 누름부(20)를 수용하도록 내측에 수용부(45)를 구비한다. 또한, 커버(40)의 전방에는 전극 삽입부(13)를 관통하여 돌출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을 통해서 전극(5)이 전극 삽입부(13)로 투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B, the cover 40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45 therein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fixing part 10 and the pressing part 20. In addition, a through hole 43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cover 40 to protrude through the electrode insertion part 13. The electrode 5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insertion part 13 through the through hole 43.

이하,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가 사용되는 일례에 대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ll be described.

우선, 수술 또는 실험 장치에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를 장착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될 전극의 크기나 강성에 따라서, 고정력을 조절한다. 이 때, 가이드 볼트(24)를 회전시켜서, 스프링(23)의 압축력을 조절함으로써, 고정력은 조절되게 된다. 도 1a에는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에 전극(5)이 고정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First,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urgical or experimental device. If necessary, the fixing for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r rigidity of the electrode to be used.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3 by rotating the guide bolt 24, the fixing force is adjusted. 1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de 5 is fixed to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술 또는 실험 도중, 전극(5)을 릴리즈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수술 또는 실험용 와이어(14)의 수축에 의해, 릴리즈 상태가 되며, 전극(5)은 이탈 가능하게 된다. When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electrode 5 during the surgery or the experiment, the contraction of the surgery or the experiment wire 14 causes the release state, and the electrode 5 is detachable.

다시, 스프링(23)의 압축력에 의해 전극(5)을 고정시키는 상태에 있게 되고, 전극(5)을 특정 실험 대상 위치에 삽입하여 실험을 시작한다. 실험이 완료된 후에 전극(5)을 다시 릴리즈시켜서 본 발명의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Again, the electrode 5 is in a state of being fixed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23, and the experiment is started by inserting the electrode 5 at a specific test target position. After the experiment is completed, the electrode 5 is released again, thereby deviating from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lectrode fixing and releas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10:전극 고정부 13:전극 삽입부 14:와이어 15:와이어 홈 17:와이어 고정홀 17a:고정 나사
20:누름부 23:스프링 24:가이드 볼트 24a:볼트 머리 21:볼트 수용부 25:와이어 걸림부재 25a:가이드 홀 25b:지지홀 27:이격공
30:장착부 33:장착면
40:커버 43:관통홀 45:수용부
100: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DESCRIPTION OF SYMBOLS 10 Electrode fixing part 13: Electrode insertion part 14: Wire 15: Wire groove 17: Wire fixing hole 17a: Fixing screw
20: Pressing portion 23: Spring 24: Guide bolt 24a: Bolt head 21: Bolt receiving portion 25: Wire locking member 25a: Guide hole 25b: Support hole 27: Spacer hole
30: mounting part 33: mounting surface
40: cover 43: through hole 45: receiving part

Claims (6)

전극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극 삽입부를 구비하는 전극 고정부; 및
상기 전극 삽입부에 상대 거리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전극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삽입부에 수용된 전극을 고정 또는 릴리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압축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극을 고정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누름부의 일 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전극 삽입부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상기 전극을 릴리즈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도록, 와이어는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An electrode fixing part including an electrode insertion part formed to receive an electrode; And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so as to adjust a relative distance of the electrode inserting part so as to fix or release an electrode accommodated in the electrode inserting part.
A spring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to hold the electrode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art can be fixed by a compressive force.
The wir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installed to be caught in the pressing portion in a contracted state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away from the electrode insertion portion to be in the releaseabl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전극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상기 전극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ressing part is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by a hinge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고정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이드 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볼트의 볼트 머리 및 상기 누름부의 일 면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극을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Guide bolts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electrode fixing portion,
And the spring is arranged to be compressed between the bolt head of the guide bolt and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o fix the electrode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고정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볼트의 일 단부가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초기압축력을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의 외주에 이격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 상기 릴리즈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electrode fixing part, and one end of the guide bolt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to adjust the initial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The pres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hol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lt electrode fixing and releas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ortion in the releas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고정부는, 상기 전극 고정부의 외주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홈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와이어를 걸림 가능하게 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 걸림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걸림부재에는,
와이어 홈의 끝단에 나란하도록 위치되어 와이어의 수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de fixing part has a wire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The press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wire locking member which enables the wire to be locked so that the pressing part can be rotated upward.
The wire locking member,
A guide hole positioned parallel to an end of the wire groove to guide the contraction of the wire; And
Electrode holding and relea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hole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hole to be supported by the wire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홈은 상기 전극 고정부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홈의 일 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양 단이 결합되는 고정 나사가 설치 가능한 와이어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고정 및 릴리즈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wire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electrode fixing part, respectively, and at one end of each of the wire grooves, a wire fixing hole capable of installing fixing screws to which both ends of the wire are coupled is formed. Fixed and release device.
KR1020180057576A 2018-05-21 2018-05-21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KR102076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576A KR102076618B1 (en) 2018-05-21 2018-05-21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576A KR102076618B1 (en) 2018-05-21 2018-05-21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720A true KR20190132720A (en) 2019-11-29
KR102076618B1 KR102076618B1 (en) 2020-02-12

Family

ID=6872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576A KR102076618B1 (en) 2018-05-21 2018-05-21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61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90A (en) * 1995-06-30 1997-01-17 Toyotomi Co Ltd Safety device of power source plug
US20030132744A1 (en) * 2002-01-11 2003-07-17 Nightingale Mark W. Probe head holder
KR20050094815A (en) * 2002-12-16 2005-09-28 미간 메디칼, 인코퍼레이티드 Coupling percutaneous devices to a patient
US20070193979A1 (en) * 2006-02-23 2007-08-2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DM electrode tool holder
KR20150097831A (en) * 2014-02-17 2015-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fixing an electrod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90A (en) * 1995-06-30 1997-01-17 Toyotomi Co Ltd Safety device of power source plug
US20030132744A1 (en) * 2002-01-11 2003-07-17 Nightingale Mark W. Probe head holder
KR20050094815A (en) * 2002-12-16 2005-09-28 미간 메디칼, 인코퍼레이티드 Coupling percutaneous devices to a patient
US20070193979A1 (en) * 2006-02-23 2007-08-2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DM electrode tool holder
KR20150097831A (en) * 2014-02-17 2015-08-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fixing an electrode
KR101581805B1 (en) 2014-02-17 2016-0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fixing an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618B1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2182B1 (en) Anchoring system for a brain lead
KR100324698B1 (en) Spine fixing device
US6154678A (en) Stimulation lead connector
US20020052610A1 (en) Deep organ access device and method
US8050772B1 (en) Burr hole caps and methods of use
WO2002047531A2 (en) Multi-pin clamp and rod attachment
US9877751B2 (en) Bone screw of minimally invasive fixation device for lumbar
JP2011512939A (en) Buffer type spinal screw device
JP2009512512A (en) Bottom-loading multi-axis screw assembly
JP2007307394A (en) Apparatus for spinal fixation
US20150165215A1 (en) Surgical instrument for implanting leads for baroreceptor stimulation therapy
WO2006048097A1 (en) Support for steadying a surgical tool
KR102076618B1 (en) Apparatus for hold and release of electrode
KR101001539B1 (en) Insertion instrument rod for spinal fixation and operating device for spinal fixation having thereof
KR101111666B1 (en) A apparatus of spinal surgical operation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JP2013513453A (en) Cranial nerve stimulation electrode system
WO2015137688A1 (en) Screw assembly for spinal implant
JP3929538B2 (en) Spine correction device having a vertebral body fixing device
WO2001045575A1 (en) Apparatus for transosseous osteosynthesis
CN111938793B (en) External bone fixing device
US20230157733A1 (en) Endoscopic interspinous insert
KR101253663B1 (en) Rod holder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WO2018190610A1 (en)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fixing screw head and rod
KR102271512B1 (en) Poly-axial pedicle screw devices
KR20210080415A (en) Stimulation probe assembly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