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974A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1974A KR20190131974A KR1020180057069A KR20180057069A KR20190131974A KR 20190131974 A KR20190131974 A KR 20190131974A KR 1020180057069 A KR1020180057069 A KR 1020180057069A KR 20180057069 A KR20180057069 A KR 20180057069A KR 20190131974 A KR20190131974 A KR 201901319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t belt
- sand
- support frame
- fine powder
- mois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는, 습분단면적 증대를 위해 평벨트에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를 함침하여 보습제 역할과 함습도를 높여주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평벨트의 표면에 미분의 흡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평벨트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이 스크랩퍼에 의해 잔량없이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호퍼에 의해 공급되는 모래가 철망에 의해 평벨트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모래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의 처짐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가 평벨트의 표면에 분사된 습분과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평벨트의 수분 부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미분의 흡착면적을 높임에 따라 결국에는 순도 높은 모래의 샌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큰 입자의 모래에서 작은 입자의 미분을 분리하여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벨트의 습분단면적을 넓혀서 보습제 역할과 함습도를 높여줌으로써 평벨트의 표면에 미분이 용이하게 흡착되어 분리될 수 있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석산의 천연암석을 원료로 하여 골재를 생산할 때에는 크러셔 및 콘크러셔 등의 분쇄장치로 암석을 분쇄하고, 골재 선별장치(스크린 장치)를 통과시킴으로서 이물질로부터 골재를 분리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골재 선별장치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스크린을 통해 입도 별로 골재를 분리할 수 있으나, 경사도가 일정하여 스크린의 상 방향에는 골재가 침적되어 두꺼운 층의 골재층이 형성되고, 하 방향에는 얇은 층의 골재층이 형성되는 바, 특히 상 방향에서 골재가 침적됨에 의해 상 방향 스크린의 메쉬에 토사 등 이물질이 침적되어 폐색현상(메쉬의 막힘현상)이 빈번한 바, 골재 선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등록특허공보 제10-1285361호(2013.07.05)의 골재 선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일정한 경사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되고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앞쪽 표면 상단 일측으로 공급되는 모래(B)는 낙하 하중에 의해 표면에 머물지 못하고 미끄러지고 미분(S)은 마찰력에 의해 표면에 미분층을 형성하도록 선별하는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200)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200)의 뒷쪽 표면에 미세한 습분을 골고루 분사하여 장력에 의해 미분(S)이 표면에 잘 밀착되는 미분층을 형성하는 습분분사수단(300)과, 상기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200)으로부터 선별되어 낙하되는 모래(B)와 미분(S)을 받아서 각각 분리하는 제1 및 제2 분리 컨베이어수단(400)(4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2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하단이 각각 회전가능케 지지되면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같은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210)(212)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210)(212)에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표면 상단 일측으로 공급되는 모래(B)는 표면에 머물지 못하고 낙하 하중에 의해 미끄러져 제1 분리 컨베이어수단(400)으로 낙하되고 미분(S)은 마찰력에 의해 표면에 머물면서 가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선별하는 평벨트(214)와,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상하단이 회전가능케 지지되고 우측 구동롤러(212)와 나란히 대향되면서 평벨트(214)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하여 표면으로부터 미분(S)을 제2 분리 컨베이어수단(410)으로 낙하되도록 분리하는 브러싱롤러(2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평벨트(214)는 그 표면에 공급되는 모래(B) 중에서 미분(S)이 중력 영향을 덜 받고 표면마찰력에 의해 일정한 두께의 미분층을 형성할 때 효과를 높여주도록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로 방향으로 띠모양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마찰증대면(214a)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210,212)의 회전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무한 회전되는 평벨트(214)가 순수 고무 재질이기 때문에 습분분사수단(300)의 다수의 분사노즐(316)에 의해 분사되는 습분이 평벨트(214)의 표면에 흡수 및 정체되지 못하고 표면 장력에 의해 표면을 타고 빠르게 흘러내리면서 수분 부족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미분(S)의 흡착력을 저하 및 습분단면적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결국에는 평벨트(214)의 표면에 미분(S)이 덜 흡착되는 양만큼 순도 높은 모래(B)의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평벨트(214)를 순수 부직포로 제조할 경우 미분(S)의 흡착력을 높일 수는 있으나 평벨트(214)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브러싱롤러(216)에 의해 평벨트(214)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S)을 전량 긁어낼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미분(S)의 잔량이 평벨트(214)의 표면에 박막을 형성할 경우 평벨트(214)가 되돌아올 때 박막을 형성한 미분(S)의 찌꺼기와 습분이 혼합되어 범벅이 됨으로써 미분(S)과 함께 원하지 않은 모래(B)가 흡착됨에 따라 결국에는 순도 높은 모래(B)의 선별은 물론 모래(B)의 생산량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호퍼(228)를 통해 공급된 모래(B)가 평벨트(214)의 표면으로 직접 맞닿도록 낙하되기 때문에 모래(B)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214)가 충격을 받아 처지면서 궤적을 이탈하는 조업중지는 물론 평벨트(214)가 손상 및 파손되어 수명을 단축될 뿐만 아니라 모래(B)가 분사되는 습분을 흡수하면서 낙하되므로 평벨트(214)의 표면에 수분 부족 현상을 일으켜 미분(S)의 흡착면적을 감소시키게 되고, 결국에는 평벨트(214)의 표면에 흡착되는 미분(S)의 분리 감소로 인하여 모래(B)의 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평벨트의 표면에 미분의 흡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평벨트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이 스크랩퍼에 의해 잔량없이 분리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래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의 처짐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가 평벨트의 표면에 분사된 습분과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평벨트의 수분 부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미분의 흡착면적을 높여줌에 따라 결국에는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는, 일정한 경사 각도로 기울기가 조정되는 컨베이어 지지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내측 좌우 상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서로 구동력이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에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무한 회전되는 평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정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벨트의 표면 일측을 향해 습분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가진 급수관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정면 타측에 설치되어 안쪽면이 평벨트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을 긁어주는 스크립퍼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정면 일측에 상하단이 설치되어 상부 일측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가 평벨트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일측으로 낙하되어 선별되고 미분은 통과되어 평벨트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분리하는 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수지박판층의 표면에 융착되어 습분 흡수표면적과 미분의 흡착력을 동시 높여 주도록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를 조밀하게 함침 처리된 고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수지박판층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져 여러 겹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습분흡수체는 1~3㎜의 석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알갱이 중에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급수관은 상기 평벨트의 표면과 철망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철망은 상기 호퍼의 출구와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의 정면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철망은 2~5㎜의 간격을 가진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철망의 뒷쪽에는 상기 평벨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평면적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는 습분단면적 증대를 위해 평벨트에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를 함침하여 보습제 역할과 함습도를 높여주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평벨트의 표면에 미분의 흡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평벨트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이 스크랩퍼에 의해 잔량없이 수거되도록 함으로써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는 호퍼에 의해 공급되는 모래가 철망에 의해 평벨트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낙하되어 선별되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에 모래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의 처짐 및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가 평벨트의 표면에 분사된 습분과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평벨트의 수분 부족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미분의 흡착면적을 높여줌에 따라 결국에는 순도 높은 모래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골재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컨베이어수단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와 철망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의 두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컨베이어수단들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와 철망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의 두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 컨베이어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와 철망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의 두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10)는, 일정한 경사 각도로 기울기가 조정되는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내측 좌우에 상하측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서로 구동력이 연결되어 같은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에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무한 회전되는 평벨트(40)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 일측에 상하단이 설치되어 상부 일측 호퍼(80)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B) 중에서 미분(S)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평벨트(40)의 표면 일측을 향해 습분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52)을 가진 급수관(50)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0)의 정면 타측에 설치되어 안쪽면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S)을 분리하여 낙하되도록 긁어주는 스크립퍼(60)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 일측에 상하단이 설치되어 상부 일측 호퍼(80)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B)가 평벨트(40)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일측으로 낙하되어 선별되고 미분(S)은 통과되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분리하는 철망(7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평벨트(40)는 나일론(nylon)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져 여러 겹으로 중첩되는 수지박판층(42)과, 상기 수지박판층(42)의 표면에 융착되어 습분 흡수표면적과 미분(S)의 흡착력을 동시 높여 주도록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44)를 조밀하게 함침 처리된 고무층(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습분흡수체(44)는 1~3㎜의 석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알갱이 중에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평벨트(40) 제조 시 고무층(46)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침 처리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50)과 스크립퍼(60)는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단보다 하단이 우측으로 기울어진 수직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50)은 상기 평벨트(40)의 표면 일측과 철망(7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망(70)은 상기 호퍼(80)의 출구와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호퍼(80)에서 공급되는 모래(B)는 차단하고 미분(S)은 통과되도록 2~5㎜의 간격을 가진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망(70)의 뒷쪽에는 전방측 상기 평벨트(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평면적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철판(72)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철판(72)은 상기 호퍼(80)에서 낙하되는 모래(B)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40)가 뒷쪽으로 밀리면서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벨트(40)의 이면과 근접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재 선별을 위하여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이들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에 연결된 평벨트(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평벨트(40)의 좌측단 표면 상부에 인접되게 설치된 호퍼(80)를 통해 공급되는 대량의 모래(B)가 평벨트(214)의 표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에 설치된 철망(70)의 앞쪽으로 낙하된다.
이때, 철망(70)의 앞쪽으로 낙하되는 모래(B)는 철망(70)의 크기를 통과하지 못하고 철망(7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철망(70)의 하부에 위치한 종래의 제2 분리 컨베이어수단(410) 쪽으로 분리 수거되고, 미분(S)은 철망(70)의 크기를 통과하여 평벨트(40)의 표면으로 낙하되어 흡착된다.
즉, 철망(70)과 평벨트(40)의 표면 사이에 급수관(50)이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평벨트(40)의 평면 초입부터 다수의 분사노즐(52)을 통해 습분을 분사하여 평벨트(40)의 표면을 촉촉하게 젖혀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철망(70)의 크기를 통과하지 못하고 앞쪽으로 흘러내리는 모래(B)는 평벨트(40)의 표면에 이미 분사된 수분을 머금지 않고 평벨트(40)의 하부 바깥으로 낙하되어 수거되고, 미분(S)은 모래(B)로부터 분리되어 철망(70)을 통과하면서 평벨트(40)의 표면과 습분을 매개로 흡착될 뿐만 아니라 평벨트(40)의 회전에 의해 철망(70) 쪽에서 스크립퍼(6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철망(70)은 호퍼(80)에서 미분(S)이 모래(B)와 혼재되어 낙하될 때 모래(B)가 평벨트(40)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철망(70)을 타고 앞쪽으로 흘러내리도록 모래(B)와 미분(S)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모래(B)와 미분(S)이 혼재되어 평벨트(40)의 표면에 낙하될 때 모래(B)가 평벨트(40)의 표면에 분사된 수분을 머금고 흘러내리면서 미분(S)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망(70)의 뒷쪽측 평벨트(40)의 표면에 발생되었던 수분 부족 현상을 해소하여 미분(S)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는 흡착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순도 높은 모래(B)의 생산량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철망(70)과 같은 면적으로 평벨트(40)를 사이에 두고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에 설치된 철판(72)은 호퍼(80)에서 공급되는 모래(B)의 낙하 하중에 의해 평벨트(40)가 하부로 처지거나 뒷쪽으로 밀리는 것을 받쳐줌과 동시에 철망(70)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평벨트(40)가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로부터 궤적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벨트(40)의 표면이 모래(B)의 낙하 하중에 의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벨트(40)의 표면은 1~3㎜의 석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한 종류의 알갱이로 이루어진 습분흡수체(44)가 조밀하게 함침 처리된 고무층(46)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분 흡수표면적과 미분(S)의 흡착력을 동시 높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즉, 급수관(50)의 다수의 분사노즐(52)로부터 평벨트(40)의 표면에 습분이 분사되면, 이 습분은 고무층(46)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조밀하게 함침 처리된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44)가 지니고 있는 물질 특성에 의해 빠르게 습분을 흡수하면서 평벨트(40)의 표면측 보습제 역할과 함습도 및 습분 흡수면적을 높여주기 때문에 평벨트(40)의 표면에 미분(S)의 흡착력을 높여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순도 높은 모래(B)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평벨트(40)의 표면측 고무층(46)은 습분을 매개로 미분(S)이 흡착된 후 스크립퍼(60)에 의해 긁어질 때 잔량없이 수거되도록 수거율을 높여주게 되고, 평벨트(40)의 표면측 습분흡수체(44)는 보습제 역할과 함습도를 높여줌과 동시에 미분(S)의 흡착율을 높여줌으로써 고무층(46)과 습분흡수체(44)의 단점을 서로 보완해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A : 모래 B : 미분
20 : 컨베이어 지지프레임 30 :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
40 : 평벨트 42 : 수지박판층
44 : 습분흡수체 46 : 고무층
50 : 급수관 52 : 분사노즐
60 : 스크립퍼 70 : 철망
72 : 철판 80 : 호퍼
20 : 컨베이어 지지프레임 30 :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
40 : 평벨트 42 : 수지박판층
44 : 습분흡수체 46 : 고무층
50 : 급수관 52 : 분사노즐
60 : 스크립퍼 70 : 철망
72 : 철판 80 : 호퍼
Claims (8)
- 일정한 경사 각도로 기울기가 조정되는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내측 좌우 상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서로 구동력이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구동롤러(30)에 설치되어 가로 방향으로 무한 회전되는 평벨트(40)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평벨트(40)의 표면 일측을 향해 습분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52)을 가진 급수관(50)과,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10)의 정면 타측에 설치되어 안쪽면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된 미분(S)을 긁어주는 스크립퍼(60)와,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 일측에 상하단이 설치되어 상부 일측 호퍼(80)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B)가 평벨트(40)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고 일측으로 낙하되어 선별되고 미분(S)은 통과되어 평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분리하는 철망(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벨트(40)는,
수지박판층(42)과,
상기 수지박판층(42)의 표면에 융착되어 습분 흡수표면적과 미분(S)의 흡착력을 동시 높여 주도록 알갱이 상태의 습분흡수체(44)를 조밀하게 함침 처리된 고무층(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박판층(42)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져 여러 겹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습분흡수체(44)는 1~3㎜의 석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알갱이 중에서 어느 한 종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50)은 상기 평벨트(40)의 표면과 철망(7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70)은 상기 호퍼(80)의 출구와 수직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의 정면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70)은 2~5㎜의 간격을 가진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망(70)의 뒷쪽에는 상기 평벨트(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는 평면적으로 마주보도록 상기 컨베이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는 철판(7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069A KR20190131974A (ko) | 2018-05-18 | 2018-05-18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069A KR20190131974A (ko) | 2018-05-18 | 2018-05-18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974A true KR20190131974A (ko) | 2019-11-27 |
Family
ID=6872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7069A KR20190131974A (ko) | 2018-05-18 | 2018-05-18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19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82188A (zh) * | 2021-03-25 | 2021-07-30 | 绍兴市菲尔乐管业有限公司 | 一种管材加工用管材长度分拣装置 |
CN118080328A (zh) * | 2024-04-28 | 2024-05-28 | 济南轨道城建管片制造有限公司 | 一种混凝土原料的筛选装置 |
-
2018
- 2018-05-18 KR KR1020180057069A patent/KR2019013197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82188A (zh) * | 2021-03-25 | 2021-07-30 | 绍兴市菲尔乐管业有限公司 | 一种管材加工用管材长度分拣装置 |
CN113182188B (zh) * | 2021-03-25 | 2022-07-12 | 绍兴市菲尔乐管业有限公司 | 一种管材加工用管材长度分拣装置 |
CN118080328A (zh) * | 2024-04-28 | 2024-05-28 | 济南轨道城建管片制造有限公司 | 一种混凝土原料的筛选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U1480753A3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т жел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камней, из зерна и други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 |
CN205704835U (zh) | 一种塑料颗粒的震动床筛 | |
CN201423292Y (zh) | 齿辊式破碎筛分布料筛 | |
KR20190131974A (ko)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
CN101330990B (zh) | 筛分设备 | |
CN210846722U (zh) | 一种矿石破碎筛分一体机 | |
CN206153138U (zh) | 一种固体颗粒流扩散装置 | |
CN102294324A (zh) | 一种立式细粒度筛分装置及筛分方法 | |
KR101387330B1 (ko) | 원료 선별용 스크린 장치 | |
US3438491A (en) | Convey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 |
CN114210559A (zh) | 砂石骨料生产系统 | |
KR20190131975A (ko) | 모래로부터 미분 분리장치 | |
CN210135774U (zh) | 一种烧结铺底料工艺优化及配加技术设备 | |
CN111250201B (zh) | 石灰石破碎均匀的自动化生产线 | |
CN108620233A (zh) | 一种碎石筛选装置 | |
CN114602807A (zh) | 一种微细粒物料干法分级与除尘一体化筛分设备及方法 | |
RU2405633C1 (ru) | Многоситный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 |
CN211520713U (zh) | 一种能够调节皮带松紧度的镍合金原料输送装置 | |
CN106269486A (zh) | 不同比重/颗粒大小/固液混合物料分离的仿形筛分装置 | |
CN114226215A (zh) | 一种球团分级布料系统 | |
CN112139029A (zh) | 高效组合矿石筛分机 | |
CN210585839U (zh) | 一种有机肥料筛分粉状物装置 | |
WO2020103502A1 (zh) | 一种重力式物料自筛装置 | |
CN115301536B (zh) | 一种岩土工程用散土颗粒筛分装置及筛分方法 | |
CN2427502Y (zh) | 偏析布料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