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260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260A
KR20190131260A KR1020180055901A KR20180055901A KR20190131260A KR 20190131260 A KR20190131260 A KR 20190131260A KR 1020180055901 A KR1020180055901 A KR 1020180055901A KR 20180055901 A KR20180055901 A KR 20180055901A KR 20190131260 A KR20190131260 A KR 2019013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t air
clothes
circulation duct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1639B1 (en
Inventor
김재형
안승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639B1/en
Publication of KR2019013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260A/en
Priority to KR1020230084793A priority patent/KR202301048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which forms negative pressure inside clothes to dry and deodorize the clothes and remove wrinkles by passing hot air or mist through the clothe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mprises: a cabinet; a supply unit; a circular duct; a holding unit; and a blower fan.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Clothing Treatment Apparatus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열풍 또는 수분을 의류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과하여 의류를 리프레쉬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pable of refreshing clothes by transmitting hot air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a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clothing (laundry, drying,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etc.). A laundry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a drying apparatus for drying wet clothes, and removing or wrinkling smells in clothes It is a concept including a refresher for removing a wrinkle.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washing, drying, deodorization and wrinkle removal of clothing with a single device. However, since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es a dru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a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drum, there is a lack of deodorization or wrinkle removal of cloth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 특허(출원번호 10-2013-0150441) '의류처리장치'를 참고하면, 캐비닛 내부의 수용공간에 의류를 거치한 상태에서, 캐비닛 하부에 위치한 열풍공급장치로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를 압박하여 탈취와 동시에 구김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캐비닛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열풍 또는 수분이 공급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 의류의 탈취 및 구김이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ferring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Application No. 10-2013-0150441)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 the hot air is supplied to the hot air supply unit located in the lower cabinet while the clothing is mount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cabinet. In additio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remove the wrinkles at the same time by deodorizing by pressing the garment appeared. Such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odorization and wrinkle of the clothing can be removed without a separate device by supplying hot air or moisture in a state in which the clothing is unfolded by its own weight in the cabinet.

그러나,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열풍이 공급되어도, 열풍이 의류의 표면에만 접촉할 뿐, 내부에는 투입되기 어려워 의류의 내부까지 탈취 또는 구김제거가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even when hot air is supplied, the hot air on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clothes and is hard to be put into the clothes so that deodorization or wrinkle removal cannot be performed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또한, 의류가 거치된 수용공간에 열풍 또는 수분이 공급되어 고온 다습한 환경이 조성되더라도, 균일하게 열풍이나 수분이 공급되기 어려워 의류의 리프레쉬가 완벽하게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if hot air or moisture is supplied to the storage space where the clothes are placed,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freshing of the clothes cannot be performed perfect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supply the hot air or moisture.

또한, 의류가 수용공간에 거치되더라도, 의류가 고정되지 않아 열풍 또는 진동에 의해 움직이게 되어 의류의 리프레쉬가 완벽히 수행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clothes ar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lothes are not fixed and moved by hot air or vibration, so that the refreshing of the clothes cannot be performed perfectly.

본 발명은 의류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to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clothing.

본 발명은 상기 의류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켜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이 의류를 관통하도록 하여, 건조 및 탈취 또는 구김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dried and deodorized or wrinkle removal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garment so that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penetrates the garment.

본 발명은 의류의 외부에서 내부를 통과한 열풍을 순환하며 제습함으로서 의류의 리플레쉬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a refresh of the clothing by circulating the dehumidifying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중앙 및 측면, 상부까지 고르게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균일하게 탈취 및 구김제거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uniformly deodorized and wrinkle removal by supplying one or more of hot air or water evenly to the center, side, and top of the garment as well as the bottom.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과 수분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를 연통하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의 말단에 결합되되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거치부와, 상기 순환덕트 또는 상기 공급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관통홀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clothing is accommodated, a supply unit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moisture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provided in the cabinet A circulating duct communicating with a space and the supply unit, and a mounting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circulating duct so as to mount the garment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irculation duct; And a blowing fan provided in one of the circulation duct or the supply part to circulate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upply part, wherein the blowing fan is provided to allow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flow into the through hole and to be circulated. Provided is a garment treatment apparatus.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되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부 관통홀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부 관통홀과,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관통홀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의 전 영역으로 열풍 또는 수분이 투과되어 순환될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asten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and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art so that the garment is mounted but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and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t least one of a through hole, a lower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id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s a result, hot air or moisture may be permeat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garment.

한편, 상기 상부 관통홀은 상기 하부 관통홀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거나 개수가 더 많이 구비되도록 하여 의류가 접촉하여 상부 관통홀을 차폐하는 것을 보상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pper through hole may have a larger area or a larger number than the lower through hole to compensate for the clothing contacting and shielding the upper through hole.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상부 관통홀과 상기 하부 관통홀이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 내부로 유입된 열풍이 그대로 지지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guide vane for preventing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o prevent hot air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art.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되,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구비되는 체결링을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와 순환덕트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and may include the fastening ring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irculation duct, thereby coupling the mounting part and the circulation duct.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연통홀과 마주하는 영역과 이격되어 구비되어 하부 관통홀에만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ower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area facing the communication hole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only the lower through hole.

상기 상부 관통홀과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연통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upport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to minimize the flow resistance.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의류의 하부 영역까지 열풍 또는 수분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garment, and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plural in the support part and the extension part and is provided with hot air or moisture to a lower area of the clothes. May be exposed.

상기 연장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연통홀을 향하는 경사가 급해지도록 구비되어 연장부 전영역에 유로저항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The through-hole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inclina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hole is sharper toward the lower part, so that the flow path resistance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extension part.

상기 연장부는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관통홀의 설치가 방지되어 열풍이 의류의 가운데 부분 및 측면을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may prevent the installation of the through hole in an area facing each other, thereby inducing hot air to pass through the center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garment.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는 확장바디와, 상기 확장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수부를 포함하여 의류의 상부에서 하부 까지 이르는 전영역에 열풍과 수분을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includes an extension part which extends below the support part and is received and accommodated in the garment, wherein the extension part extends one or more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ipe. An extension body which extends from and accommodated inside the garment, and a plurality of absorbing portions penetrating the expansion body to suck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evenly expose the hot air and moisture in all area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garment Can be.

상기 확장바디는 원통형으로 구비되거나,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 내부가 최대한 펼쳐지거나 확장되도록 하여 열풍 및 수분의 노출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The expansion body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in a plate shape to expand or expand the inside of the garment as much as possible or to expand the exposed area of hot air and moisture.

상기 흡수부는 상기 확장바디의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흡수홀과, 상기 확장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홀 또는 상기 관통홀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는 흡수슬릿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의류의 상부나 하부보다 면적이 더 큰 의류의 가운데 부분 및 측면에 열풍과 수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The absorben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bsorption hole provi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and an absorption slit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body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absorption hole or the through hole. (B) Hot air and moisture may be exposed in the middle and sides of garments larger in area than the bottom.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통하여 구비되거나, 상기 열풍공급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여 열풍 또는 증기를 수용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The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duct to supply hot air to the receiving space, the hot air supply unit in communication with the hot air supply unit, 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to provide moisture to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ing a water supply to supply the hot air or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과 접촉하여 물을 증기로 변환하는 가진부를 포함하여 미스트를 공급할 수 수용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art may be supplied to a receiving space capable of supplying mist, including an excitation part in contact with water to convert water into steam.

본 발명은 의류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to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clothing.

본 발명은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이 의류를 관통함으로써 탈취 또는 구김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deodorization or wrinkle removal by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penetrates the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의 외부에서 내부를 통과한 열풍을 순환하며 제습함으로서 의류의 리플레쉬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for refreshing the clothes by circulating the dehumidifying the hot air passed through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clothes.

본 발명은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측면, 상부까지 고르게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여 균일하게 탈취 및 구김제거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uniformly deodorized and wrinkle removal by supplying one or more of hot air or moisture evenly to the bottom, side, top of the garment.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의류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의류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도4의 거치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6는 의류가 거치되는 거치부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5의 거치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clothes.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clothes.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FIG.
Figure 6 shows a last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clothes.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even if it is different embodiment, about the same and similar structure,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 is attached | subjected,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by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15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20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apparatus 100 for treating clothes 10 includes a cabinet 100 forming an appearance, a clothes accommodating part 150 provided in the cabinet, and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unit 200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or moisture to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150)로 열풍 또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to supply hot air or moisture to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상기 공급부(200)는 공기 또는 물 중 하나 이상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 또는 히트펌프 등의 각종 기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무게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거우므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무게중심을 낮추는 효과도 도출할 수 있다. 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echanical devices such as a heater or a heat pump capable of heating one or more of air or water. Therefore, since the weight is relatively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the supply part 200 is preferably disposed below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The supply unit 20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 to derive the effect of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하부에 하우징을 형성하는 기계실(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은 상기 캐비닛(1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리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에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에 열풍이나 수분을 포함하는 히트펌프 또는 수분공급부가 구비되며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room 201 forming a housing under the clothing accommodating unit 150. The machine room 201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100 to the front or the rear to facilitate repair and installation. The machine room 201 is provided with a heat pump or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hot air or moisture in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의류수용부(150)는 상의 뿐만 아니라 하의도 접히지 않고 거치되도록 높이가 너비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수용부(150)에 거치된 의류는 상기 열풍 또는 수분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may be provided with a height longer than the width so as not to be folded as well as the top. As a result, the clothes mounted on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150 may be evenly exposed to the hot air or moisture.

상기 의류수용부(150)는 상기 하부에 구비된 공급부(200)와 연통하도록 하부면(152)에 유동홀(15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급부(200)에서 생성된 열풍이 상기 유동홀(153)로 배출되거나,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공기가 상기 유동홀(153)로 흡입되어 상기 공급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may be provided with a flow hole 153 in the lower surface 152 to communicate with the supply unit 20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As a result, the hot air generated by the supply unit 200 may be discharged into the flow hole 153 or the air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unit 150 may be sucked into the flow hole 153 and supplied to the supply unit 200. have.

한편,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의류수용부(150)와 상기 공급부(200)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의류수용부(150)만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의류수용부(150)와 상기 공급부(200)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외주면을 실링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면을 실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열손실이나 열풍의 임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binet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door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thes receiving unit 150 and the supply unit 200 is coupled. The door 13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ly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and may be provided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and the supply part 200. In addition, the door 130 may be provided to se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or to seal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0 to prevent any exposure of heat loss or hot air.

한편,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상부면(151)에는 의류를 수용공간에 거치 시킬 수 있는 거치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300)는 의류를 수용공간의 상부에 매달아 하부로 늘어뜨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300)로 인해, 수용공간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배출구(153)에서 토출된 열풍은 상기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까지 고르게 접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151 of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300 for mounting the clothes in the receiving space.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to hang the clothes on the top of the receiving space to hang down. That is, due to the mounting portion 300,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improved,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53 may be evenly contacted to the upper portion as well as the lower portion of the garment.

도1은 상기 거치부(300)가 상의를 거치할 수 있는 옷걸이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긴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집게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상부면(152)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복수의 의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의류를 거치하는데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거치부(300)가 상기 상부면(15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Figure 1 shows that the mounting portion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ang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top,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ong rod to be able to mount the bottom,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tongs. .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52 so as to mount a plurality of clothes. Furthermo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unting of clothes, the mounting part 300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51.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310)와, 상기 체결부(310)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거치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는 상기 지지부(320)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 및 고정될 수 있고,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300 is a fastening portion 310 tha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150, and the support portion 32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fastening portion 310 is mounted clothes ) May be included. The clothing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320 to be accommodated and fix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may be evenly exposed to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상기 체결부(310) 및 상기 지지부(320)의 내부에 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310) 및 상기 지지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3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통홀(330)로 열풍이 흡수되거나 토출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거치부(300)에 거치된 의류가 건조되거나 및 탈취 또는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A hollow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20, and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2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t may be provided. As a result, hot air may be absorbed or discharged into the through hole 330, and the clothes mounted on the holder 300 may be dried and deodorization or wrinkles may be removed.

즉, 상기 거치부(300)에는 의류가 거치되는 것 뿐만 아니라, 열풍 또는 수분이 흐르는 통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00)에 열풍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의 내부부터 열풍에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거치부(300)에 열풍이 흡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의 외부부터 열풍이 흡수될 수 있다. That is, not only the clothe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300, but also the hot air or the passage through which moisture flows. Therefore, when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holder 300, hot air may be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garment, and when hot air is absorbed by the holder 300, hot air may be absorbed from the outside of the garment. have.

이때, 상기 거치부(300)가 열풍 또는 수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면 수용공간에 공급된 열풍이나 수분은 상기 의류를 관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풍이 외부 또는 내부에만 접촉되는 것보다 건조, 탈취, 구김제거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mounting portion 300 can form a negative pressure so that hot air or moisture can be absorbed, the hot air or moistur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may penetrate the garment. As a result, the hot air can maximize the effect of drying, deodorization, wrinkle removal than contacting only outside or inside.

이하에서는, 상기 거치부(300)가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된 열풍 또는 수분이 대부분 의류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cradle 300 forms a negative pressure so that hot air or moistur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can pass through most cloth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200)를 연통하는 순환덕트(140)와, 상기 순환덕트(140) 또는 상기 공급부(2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20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130)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면 상기 수용공간에 있는 공기는 상기 순환덕트(140)와 상기 공급부(200)를 순환하면서 의류를 건조하거나 탈취하고,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0, and includes a circulation duct 140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upply unit 200, the circulation duct 140, or the like. 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blowing fan 240 for circulating the air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upply unit 200. Thus, when the door 130 closes the accommodation spac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circulates the circulation duct 140 and the supply unit 200 to dry or deodorize clothes and remove wrinkles.

한편, 상기 공급부(200)는 기계실(20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140)와 상기 배출구(153)와 모두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덕트(230)와, 상기 공급덕트(23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210)를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ly unit 200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201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both the circulation duct 140 and the discharge port 153, and the supply duct 230 and the passing through the supply duct 230 It may be provided with a heat pump 210 for heating the air.

상기 히트펌프(210)는 상기 공급덕트(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하는 압축기(211)와, 상기 압축기(211)에서 토출된 냉매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213)와, 상기 응축기(21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압력과 온도를 낮추는 팽창밸브(241)와, 상기 팽창밸브(241)를 통과한 냉매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을 수행하는 증발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pump 2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ly duct 230, the compressor 211 for compressing and heating the refrigerant, the condenser 213 for heating the air with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1 and And an expansion valve 241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213 to lower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an evaporator 212 for cooling the air wit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41 to perform dehumidification. can do.

상기 증발기(212)는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213)보다 입구에 가깝게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140)를 통과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 다음 가열되도록 하여 고온 건조한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vaporator 212 is provided closer to the inlet than the condenser 213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moves, removes water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140 and then heats it to generate hot dry hot air. can do.

상기 열풍은 상기 배출구(153)를 통과한 뒤, 상기 의류수용부(150)에 수용된 의류의 구김과 수분을 제거한 뒤, 상기 순환덕트(140)에 유입되어 상기 공급부(20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의 리프레쉬(refresh)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공기는 응축과 가열을 반복할 수 있다. After passing through the outlet 153, the hot air removes wrinkles and moisture of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accommodating part 150, and then flows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to be regenerated in the supply part 200. . Thus, the air may repeat condensation and heating until the refresh of the garment is completed.

한편,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의류공급부(150)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수분공급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에 수분을 제공함으로써, 의류의 구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ly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supply unit 220 that can provide moisture to the clothing supply unit 150. By providing moisture to the hot air, to effectively remove wrinkles of clothing.

도2는 상기 수분공급부(220)는 상기 공급덕트(230)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공급덕트(230)와 별개로 구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분공급부(220)는 상기 공급덕트(230)가 상부에 구비된 상기 의류수용부(150)에만 연통하여 직접 상기 의류수용부(150)에 수분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 illustrates that the moisture supply unit 220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upply duct 230,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upply duct 230. That is, the moisture supply unit 220 may be provided so as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provided with the supply duct 230 to directly provide the moisture to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상기 수분공급부(220)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221)와, 상기 물탱크(2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수용부(150) 또는 상기 공급덕트(230)에 연통하는 분사덕트(222)와, 상기 분사덕트(222)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분사밸브(223)와, 상기 분사덕트(222)에 공급된 물에서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형성부(224)와, 증기형성부(224)에서 형성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20 is a water tank 221 for receiving water, and the injection duct 222 extending from the water tank 221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clothes receiving unit 150 or the supply duct 230 and , An injection valve 223 for controlling a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jection duct 222, a steam forming unit 224 generating steam from water supplied to the injection duct 222, and a steam forming unit 224. It may include an injection nozzle 225 for injecting steam formed in the.

상기 증기형성부(224)는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형성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물에 초음파 진동을 형성하여 증기를 형성하는 가진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형성부(224)에서 생성된 수분은 상기 의류수용부(150)에 직접 공급된거나, 상기 공급덕트(230)에 투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분은 상기 열풍과 함께 의류에 공급되어 상기 의류를 건조 및 탈취를 수행하고,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team forming unit 224 may be provided as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to form steam, or may be provided as an excitation unit for forming steam by forming ultrasonic vibrations in the water. Moisture generated in the steam forming unit 224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50, or may be injected into the supply duct 230. As a result, the moisture may be supplied to the garment along with the hot air to dry and deodorize the garment, and to remove wrinkles.

한편, 상기 순환덕트(14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상부면(151)에 결합 및 연통되어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배면을 지나 상기 공급부(200)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덕트(140) 상기 캐비닛(100)내부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duct 140 is coupl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upper surface 151 of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to extend through the back of the clothing receiving portion 150 to the supply unit 200. . That is, the circulation duct 1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0.

또한, 상기 순환덕트(140)는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상부면(151)이 아닌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측면의 상부영역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유동홀(153)이 상기 하부면(152)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순환덕트(140)는 상기 상부면(15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풍 또는 수분이 상기 의류수용부(150)의 전영역을 고르게 통과한 다음 상기 순환덕트(140)에 흡입되고, 열풍 또는 수분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circulation duct 140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instead of the upper surface 151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However, since the flow hole 15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52, the circulation duct 14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51. This is to prevent hot air or moisture from passing evenly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and then being sucked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and accumulating hot air or moisture.

한편, 상기 송풍팬(240)은 상기 순환덕트(140)의 공기가 의류수용부(150)로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공급부(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팬(240)은 상기 의류수용부(150)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열풍 또는 수분이 순환덕트(140)로 흡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fan 240 may operate to move to the supply unit 200, not to operate the air of the circulation duct 140 is discharged to the clothes receiving unit 150. That is, the blowing fan 240 may be provided so that hot air or moisture is absorbed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by forming a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150.

이로써, 상기 유동홀(153)에서 배출된 열풍 또는 수분은 상기 거치부(300)에 거치된 의류(L)의 하부에서 상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순환덕트(140)에 흡입될 수 있고, 상기 의류의 전체영역에 열풍 또는 수분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다. As a result, hot air or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hole 153 may be sucked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while flow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arment L mounted on the holder 300 to the circulation duct 140. Hot air or moisture can be supplied evenly to the whole area.

이때,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순환덕트(14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덕트(14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홀(153)에서 배출된 열풍 또는 수분이 상기 순환덕트(140)로 유입되기 위해, 상기 의류(L)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해야만 한다. 이로써, 상기 의류(L)는 상부 및 하부 뿐만 아니라 외부 및 내부 전 영역에 걸쳐 건조, 탈취, 구김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unting part 30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circulation duct 140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140. In this case, hot air or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hole 153 has to pass through from the outside of the clothing L to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As a result, the clothing L may be dried, deodorized, and wrinkled not only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ut also in the entire outer and inner regions.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240)은 상기 공급부(2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유동홀(153)를 향해 공급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153)에서 배출된 열풍과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의류(L)을 통과한 뒤 관통홀(330)을 통하여 상기 순환덕트(140)로 유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lowing fan 240 may operate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generated by the supply unit 200 toward the flow hole 153. At least one of the hot air and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hole 153 may pass through the clothing L and flow into the circulation duct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330.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홀(153)에서 토출된 열풍과 수분은 상기 관통홀(330)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의류의 하부, 측면, 상부를 고르게 통과하면서 상기 의류의 외부 및 내부를 전체적으로 건조, 탈취, 구김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hot air and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hole 153 evenly passes through the bottom, side, and top of the garment while being sucked into the through-hole 330 to dry and deodorize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garment as a whole. Wrinkle removal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송풍팬(240)이 상기 공급부(2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순환덕트(140)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홀(330)에서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30)에서 배출된 열풍 또는 수분은 상기 의류의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하면서 의류를 건조, 탈취, 구김제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의류를 통과한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유동홀(153)로 유입되어 상기 공급부(300)에서 재생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관통홀(330)에서 토출된 열풍 또는 수분이 모두 의류 내부로 전부 배출되어 의류에 직접적으로 열풍 또는 수분이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fan 240 may operate to move at least one of the hot air or moisture generated in the supply unit 200 to the circulation duct 140. That is, at least one of hot air or moisture may be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330. Hot air or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through hole 330 may dry, deodorize, and remove wrink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garment. At least one of the hot air or moisture passing through the clothing may be introduced into the flow hole 153 to be regenerated by the supply unit 300. In this case, all of the hot air or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through-hole 330 may be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clothes to be supplied directly to the clothes hot air or moisture.

전술한 것처럼, 상기 거치부(300)는 상기 순환덕트(1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140)는 의류수용부의 상부면(151)에 결합되는 결합덕트(141)와, 상기 결합덕트(14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안착링(14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덕트(141)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면(151)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면(151)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detachably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140. The circulation duct 140 may include a coupling duct 14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51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and a seating ring 141a extending radial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duct 141. . The coupling duct 14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151 of the clothing accommodating part, and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151.

상기 체결부(31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310)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링(141a)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체결링(311)이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1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fastening ring 311 that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seating ring 141a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astening part 310.

상기 체결링(311)은 상기 안착링(141a)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31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순환덕트(140)와 연통할 수 있는 연통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ring 311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310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ring (141a), the communication hol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140 ( 312).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체결부(310)와 상기 지지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310)는 의류가 거치되는 영역이 아니므로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지지부(3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hole 33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art 310 and the support part 320. However, since the fastening part 310 is not an area in which clothes are mounted, the through hole 33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320.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부 관통홀(331)과,The through hole 330 is the upper through hole 33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부 관통홀(332)과,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관통홀(3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lower through hole 33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side through hole 33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may be included.

상기 지지부(320)에 의류가 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동홀(153)에서 토출된 열풍이나 수분은 상기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상부, 측면 까지 모두 관통하여 상기 상부관통홀(331), 상기 하부관통홀(332), 상기 측면관통홀(3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측면을 비롯한 상부까지 골고루 열풍과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When clothes ar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320, the hot air or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hole 153 penetrates not only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but also the upper and side surfaces thereof so that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ar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320. It may be sucked into at least one of the through hole 332 and the side through hole 333. As a result, hot air and moisture may be supplied evenly to the upper part of the garment, as well as the lower part of the garment.

한편, 상기 지지부(320)의 상부면은 의류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관통홀(331)은 유로저항이 상기 측면관통홀(333)이나 상기 하부관통홀(332)보다 더 크다. 따라서, 상기 상부관통홀(331)이 다른 관통홀과 면적이나 개수가 동일하게 구비되면 열풍은 상기 의류의 측면이나 하부만 통과하여 상기 측면관통홀(333)이나 상기 하부관통홀(332)만 유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20 is in contact with the clothing, the upper through-hole 331 has a greater flow resistance than the side through-hole 333 or the lower through-hole 332. Therefore, when the upper through hole 331 is provided with the same area or number as other through holes, the hot air passes through only the side or bottom of the garment, so that only the side through hole 333 or the lower through hole 332 flows in. Can b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상부관통홀(331)은 상기 하부관통홀(332)이나 상기 측면관통홀(332) 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거나 개수가 더 많게 구비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관통홀(331)의 전체면적이 상기 하부관통홀(332)이나 상기 측면관통홀(332) 보다 더 크게 구비하여, 유로저항을 낮춤으로써 열풍이나 수분이 상기 상부 관통홀(331)로 흡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의 상부와 하부 또는 측면은 최대한 균일하게 열풍 또는 수분에 노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upper through hole 331 is provided with a larger area or a larger number than the lower through hole 332 or the side through hole 332. It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That is, since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through hole 331 is larger than the lower through hole 332 or the side through hole 332, the flow resistance is lowered so that hot air or moisture causes the upper through hole 331. May be induced to be inhaled. Thus, the top and bottom or side of the garment can be exposed to hot air or moisture as uniform as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연통홀(312)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관통홀(332)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Furthermore,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clude the lower through hole 332 under the communication hole 312.

즉, 상기 하부관통홀(332)은 상기 연통홀(312)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구비되지 않고, 상기 연통홀(312)에서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통홀(332)과 상기 연통홀(312)이 높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연통홀(312)의 음압이 상기 하부관통홀(332)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을 차단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lower through hole 332 is not provided in an area facing the communication hole 312, and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ower through hole 332 and the communication hole 312 from being positioned side by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to prevent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communication hole 312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lower through hole 332. to be.

또한, 열풍 또는 수분이 의류를 통과하여도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은 상기 지지부(320)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은 각각이 상기 연통홀(312)을 향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상기 지지부(32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의 경사는 상기 연통홀(312)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바닥면(152)을 기준으로 더 완만해 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so that hot air or moisture can flow smoothly into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even through the clothing. It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320. Specifically,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upport 320 to be inclined so as to face the communication hole 312, respectively.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may be smoother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52 as the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12.

즉,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수용공간에 공급된 열풍 또는 수분이 어느 한곳에 적체되지 않고 의류를 통과하여 순환덕트(14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through hole 3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ot air or moisture suppli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does not accumulate in any one place and flows through the clothing to enter the circulation duct 140.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열풍이나 수분을 상기 순환덕트(140)에서 발생하는 음압을 이용하여, 의류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까지 한번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이 의류를 관통하도록 하여 건조 및 탈취 또는 구김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ly hot air or moisture to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clothes at one time by using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duct 140. That i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drying and deodorization or wrinkle removal by allowing one or more of hot air or moisture to pass through the clothes.

또한, 관통홀(330)을 지지부(320)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복수개를 배치함으로서, 의류의 하부 뿐만 아니라, 측면, 상부까지 고르게 열풍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rrang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30 on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320, one or more of hot air or moisture may be supplied evenly to the side and the top of the garment.

도3은 본 발명 거치부(33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33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거치부(300)는 내부에 상기 상부 관통홀(331)과 하부 관통홀(332)을 구분하는 가이드 베인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은 상기 지지부(330)의 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 관통홀(332)이 직접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unting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de vane that separates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therein. The guide vane extends inside the support part 330 to prevent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from directly communicating.

상기 가이드 베인(370)은 상기 하부관통홀(332)의 최외각에서 상기 연통홀(312)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 중 상기 연통홀(332)에 가장 가깝게 구비된 관통홀(330) 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guide vane 370 may be provided to extend toward the communication hole 312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lower through hole 332, and specifically,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It may be provided to extend to the through-hole 330 provided closest to the communication hole 332.

이로써, 상기 상부관통홀(331)에 유입된 열풍 또는 수분(A)이 상기 하부관통홀(332)로 유출되거나, 상기 하부관통홀(332)로 유입된 열풍 또는 수분(B)이 상기 상부관통홀(33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us, hot air or moisture (A) introduc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331 flows out into the lower through hole 332, or hot air or moisture (B) introduc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332 passes through the upper through hole. Outflow to the hole 332 can be prevented.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베인(370)은 위로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관통홀(332)에 열풍이나 수분(B)이 유입되어도 상기 가이드베인(370)에 의해 원만하게 상기 연통홀(312)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하부관통홀(332)에 유입된 열풍이나 수분이 즉각적으로 상기 연통홀(312)로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 베인(370)은 아래로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guide vanes 370 are convex upward to smoothly communicate with the guide vanes 370 even when hot air or moisture B flows into the lower through holes 332. It may be directed to 312. However, unlike shown, the guide vane 370 may be provided to be convex downward so that hot air or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332 is immediately guided to the communication hole 312.

즉, 상기 가이드베인(370)은 상기 상부관통홀(331)과 상기 하부관통홀(332)을 높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거나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과 길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at is, the guide vane 370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nd length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upper through hole 331 and the lower through hole 332 from facing or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거치부(300)에 유입된 공기 중 상부 관통홀로 유입된 공기(A)와 하부 관통홀로 유입된 공기(B)가 상기 거치부(300) 내부에서 서로 충돌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풍 및 수분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Thu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air (B) introduced into the lower through hol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portion 300 inside the mounting portion 300. It is possible to keep the circulation of hot air and moisture smooth by preventing collision with each other or outflow.

도4와 도5는 본 발명 거치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 거치부(300)는 상기 지지부(32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ounting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34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part 320 to be inserted into the garment.

상기 연장부(3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330)이 추가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3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지지부(320)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부(320)의 하부에서 상기 체결부(310)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extension part 340 may be provided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320, but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about the fastening part 310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320.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연장부(340)는 의류(L)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의류의 형태를 고정하여, 의류가 열풍 또는 수분에 고르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40)는 관통홀(330)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있어 의류(L)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르게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xtension part 3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lothing L to fix the shape of the clothing so that the clothing may be evenly exposed to hot air or moisture.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3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ound pressure even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lothing (L).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관통홀(3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외측을 향하여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관통홀(330)은 상기 연장부(34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부(320)의 양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는 상기 연장부(340)의 내측에 상기 관통홀(330)이 구비되면, 공기는 의류(L)의 측면을 통과하지 않고 하부에서만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extension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 3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rovided toward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through holes 330 are not provided to face each other in the extension part 340, but are provided in directions toward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320. This is because when the through hole 330 is provided inside the extension part 340, the air may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only from the lower por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lothing L.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지지부(32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된 연장바디(341)와, 상기 연장바디(341)의 내부에 중공으로 구비되는 연장유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341)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340 may include an extension body 34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part 320 and an extension passage 342 provided in a hollow inside the extension body 341. The extension body 341 may be provided in a pipe shape to prevent the clothing from being damaged.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연장바디(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의류(L)와 접촉할 수 있는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330)을 구비하여 상기 의류(L)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최대한 균일하게 열풍 또는 수분을 통과시킬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3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0 i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clothes 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body 341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lothes L. Hot air or moisture can be passed through as uniformly as possible.

한편, 상기 연장바디(341)에 상부에 구비된 제1관통홀(334)과 상기 연장바디(341)의 하부에 구비된 제2관통홀(335)은 경사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관통홀(334)의 경사(a)는 제2관통홀(335)의 경사(b)보다 상기 연장부(3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hrough hole 334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4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335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341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inclinations. That is, the inclination a of the first through hole 334 may be larger than the inclination b of the second through hole 335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340.

이로써, 상기 제1관통홀(334)에 투입된 열풍 또는 수분(C)와, 제2관통홀(335)에 투입된 열풍 또는 수분(D)는 최대한 각도가 변경되지 않고 상기 유입홀(31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340)의 관통홀(330)은 하부로 갈수록 경사가 상기 연장부(3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더 완만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us, the hot air or moisture (C) introduc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334 and the hot air or moisture (D) introduc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35 are directed toward the inflow hole 312 without changing the angle as much as possible. I can move it. Further, the through hole 330 of the extension portion 340 may be provided with a more gentle slop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340 toward the bottom.

결과적으로, 상기 연장부(340)의 관통홀(330)은 배치된 높이에 따라 경사가 다르게 구비되어 유로저항이 서로 최대한 동일하거나 편차가 작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340) 전체에 고르게 열풍이나 수분이 흡입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hrough-hole 330 of the extension portion 340 is provided with different inclinations according to the height disposed so that the flow resistance is the same as possible or the deviation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to evenly spread the hot air throughout the extension portion 340 Moisture may be inhaled.

한편, 상기 연장바디(341)의 말단은 폐쇄되어 상기 열풍 또는 수분이 상기 관통홀(330)에만 집중적으류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의 측면을 통과하는 열풍 또는 수분은 더욱 많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extension body 341 may be closed so that the hot air or moisture can be concentrated inflow only into the through-hole 330. As a result, hot air or moisture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garment may be increased.

도6과 도7은 본 발명 거치부(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por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 거치부(300)는 상기 지지부(320)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확장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350)는 상기 지지부(320)의 하부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연결관(351)과, 상기 연결관(351)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는 확장바디(352)와, 상기 확장바디(352)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수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mounting por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tension part 350 that extends below the support part 320 and is accommodated in the garment, and the extension part 350 extends at least one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320 to the circulation duct. The connecting tube 351 communicates with, an extension body 352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tube 351 and accommodated in the garment, and sucking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extension body 352.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bsorbing portion (353).

상기 확장부(350)는 상기 의류에 수용되어 상기 의류의 측면 뿐 아니라, 정면 및 배면 등 상기 의류 내부에 전방향으로 음압을 형성하여 의류의 전방향으로 열풍 또는 수분을 통과시킬 수 있다. The expansion unit 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arment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omnidirectional direction inside the garment, such as the front and the back, as well as the side of the garment, to allow hot air or moisture to pass through the garment.

상기 확장바디(352)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의류의 전영역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최대한 확장시켜 열풍이나 수분이 고르게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expansion body 35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 contact with the entire area of the clothing, and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as shown to expand the clothing as much as possible to induce hot air or moisture to pass evenly.

도7을 참조하면, 상기 흡수부(353)는 상기 확장바디의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흡수홀(353a)과, 상기 확장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흡수슬릿(353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absorber 35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bsorption hole 353a provided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and an absorption slit 353b provid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body. It may include.

상기 흡수슬릿(353b)은 관통홀(330) 또는 흡수홀(353a) 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관통홀(330) 또는 흡수홀(353a)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흡수슬릿(353b)은 폭은 상기 관통홀(330) 또는 흡수홀(353a)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지만 너비는 상기 관통홀(330)과 상기 흡수홀(353a)의 직경보다 훨씬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슬릿(353b)은 직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확장바디(35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sorption slit 353b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through hole 330 or the absorption hole 353a.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330 or the absorption hole 353a is provid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the width of the absorption slit 353b is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30 or the absorption hole 353a. The width of the through-hole 330 and the absorption hole 353a may be muc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330 and the absorption hole 353a. In addition, the absorption slit 353b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absorption slits 353b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xtension body 352.

이로써, 상기 확장부(350)로 인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부 지지부(320)에만 관통홀(330)이 구비되어 의류의 전방이나, 후방 또는 측면의 영역 중 상부에만 집중적으로 열풍이나 수분이 투과되고, 하부 영역에는 열풍이나 수분에 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 330 only in the upper support part 320 due to the expansion part 350 so that hot air or moisture penetrates intensively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rear or side surface of the clothes. The lower reg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hot air or moisture.

상기 확장부(350)가 의류의 중앙 또는 하부까지 상기 지지부(320)에서 연장되고 관통홀(330)의 총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의 흡수부(353)를 구비하여 의류의 상부 영역 뿐만 아니라 중간 및 하부영역에 열풍이나 수분이 투과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350 extends from the support portion 320 to the center or bottom of the garment and has an absorbent portion 353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total area of the through hole 330 so that the middle portion as well as the upper region of the garment Hot air or moisture may permeate the lower region.

한편, 상기 흡수부(353)는 상기 확장바디(352)의 상부영역에도 상부홀(354)을 구비하여 의류 내부의 공기가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bsorbing part 353 may include an upper hole 354 in the upper region of the extension body 352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clothes from being accumulated.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f the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en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의류처리장치 100 캐비닛 140 순환덕트
200 공급부 210 히트펌프 220 수분공급부
300 거치부 310 체결부 320 지지부
330 관통홀 340 연장부 350 확장부
10 Clothes processing system 100 Cabinet 140 Circulation duct
200 Supply 210 Heat Pump 220 Water Supply
300 Mounting 310 Fastening 320 Support
330 Through Hole 340 Extension 350 Extension

Claims (14)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과 수분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를 연통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의 말단에 결합되되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에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관통홀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거치부;
상기 순환덕트 또는 상기 공급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급부를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급부에서 배출된 열풍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관통홀로 유입시켜 순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supply unit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ot air and moisture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 circulation duc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upply un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irculation duct is provided to be mounted to the clothes receiving space, the holding portion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irculation duct;
And a blowing fan provided in one of the circulation duct or the supply part to circulate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upply part.
The blowing fan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circulated by introducing at least one of the hot air or water discharged from the supply to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되 상기 관통홀이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부 관통홀과,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부 관통홀과,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관통홀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관통홀은 상기 하부 관통홀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거나, 개수가 더 많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 fasten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Extends from the fastening part and includes the support part through which the garment is mounted, the through hole being provided;
The through hole is
An upper through hol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 lower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t least one of the side through-hole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The upper through hole has a larger area than the lower through hole, or a number of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is provided m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상부 관통홀과 상기 하부 관통홀이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portion
Garment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vane is provided to prevent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되,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구비되는 체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연통홀과 마주하는 영역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including a coupling ring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duct,
The lower through-hole is provided with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area facing the communica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통홀과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연통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through hole and the lower through hol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hrough the support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 fasten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art to which the garment is mounted;
Furth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to the lower portion further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garment,
The through-hole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support and the exten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홀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순환덕트를 향하는 경사가 급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through-hole provided in th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toward the circulation duct is steep toward the low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서로 마주하는 영역에는 상기 관통홀의 설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extension portio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through hole is prevented in the area facing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순환덕트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나 이상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 내부에 수용되는 확장바디와,
상기 확장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A fastening part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lation duct;
A support part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art to which the garment is mounted;
An extension part extended to a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and accommodated in the garment;
The extension portion
A connection pipe extending from one or mor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An extension body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and accommodated in the garment;
And a plurality of absorbing portions penetrating the expansion body and sucking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디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ended body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바디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ended body i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상기 확장바디의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흡수홀과,
상기 확장바디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흡수홀 또는 상기 관통홀보다 면적이 더 크게 구비되는 흡수슬릿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absorption part
An absorption hole provided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body;
And at least one of an absorption slit penetrating a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body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absorption hole or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와 연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통하여 구비되거나, 상기 열풍공급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unit
A hot air supply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circulation duct to supply hot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hot air supply unit 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to supply water to the storage sp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과 접촉하여 물을 증기로 변환하는 가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isture supply unit
And a stimulator for contacting the water to convert the water into steam.
KR1020180055901A 2018-05-16 2018-05-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51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1A KR102551639B1 (en) 2018-05-16 2018-05-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30084793A KR20230104838A (en) 2018-05-16 2023-06-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901A KR102551639B1 (en) 2018-05-16 2018-05-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793A Division KR20230104838A (en) 2018-05-16 2023-06-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260A true KR20190131260A (en) 2019-11-26
KR102551639B1 KR102551639B1 (en) 2023-07-05

Family

ID=687312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901A KR102551639B1 (en) 2018-05-16 2018-05-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30084793A KR20230104838A (en) 2018-05-16 2023-06-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793A KR20230104838A (en) 2018-05-16 2023-06-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16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5126A (en) * 2021-06-01 2022-06-03 李子强 Clothes drying cabin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91A (en) * 1997-02-26 1998-09-08 Hitachi Ltd Drier and clothing drier
KR20060008506A (en)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rying machine a type of clothes chest
KR20110099913A (en)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091A (en) * 1997-02-26 1998-09-08 Hitachi Ltd Drier and clothing drier
KR20060008506A (en) * 2004-07-21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Drying machine a type of clothes chest
KR20110099913A (en)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5126A (en) * 2021-06-01 2022-06-03 李子强 Clothes drying cabinet
CN114575126B (en) * 2021-06-01 2024-04-26 李子强 Clothes drying cabi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639B1 (en) 2023-07-05
KR20230104838A (en)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273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0662364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KR101435797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JP7167179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US20210324566A1 (en) Clothing care system
KR20060077904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20029632A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23015540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3010483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5500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87524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TW201727004A (en) Dryer and washer-dryer used to dampen laundry and utilize high-speed warm air to pull laundry smooth without water droplets adhering to the door of a main body or a telescopic tube
KR102352402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4863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430458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54237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20200081116A (en)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that can remove wrinkles of clothes using shape memory alloy material
KR10136627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840195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177460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6393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124284A (e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