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571A -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571A
KR20190130571A KR1020197026799A KR20197026799A KR20190130571A KR 20190130571 A KR20190130571 A KR 20190130571A KR 1020197026799 A KR1020197026799 A KR 1020197026799A KR 20197026799 A KR20197026799 A KR 20197026799A KR 20190130571 A KR20190130571 A KR 2019013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q
pdcch
search space
uplink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561B1 (ko
Inventor
리칭 류
쇼이찌 스즈끼
도모끼 요시무라
와따루 오우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는,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3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05558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Long Term Evolution(LTE)」,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및 「New Radio」)가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있어서 검토되고 있다. 기지국 장치를 eNodeB(evolved NodeB) 또는 gNodeB라고도 칭한다. 단말 장치를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한다. 기지국 장치가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형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단일의 기지국 장치는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3GPP에 있어서, 대기 시간의 축소의 강화(latency reduction enhancements)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시간의 축소의 해결책으로서, 레거시(1㎳)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 대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검토가 시작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능(functionality)이 제공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기능은 비동기(asynchronous) 적용(adaptive) HARQ의 특징을 갖고, 그리고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기능은 동기(synchronous) HARQ의 특징을 갖는다(비특허문헌 2). 3GPP에 있어서,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비동기 HARQ의 도입 및 HARQ RTT 타이머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그러나 처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상이한 길이인 RTT 타이머를 전환하는 수단에 대하여,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기지국 장치와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해당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 해당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해당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 해당 기지국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 및 해당 기지국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다.
(2)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다.
(3)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다.
(4)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다.
(5)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다.
(6)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는 송신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가 효율적으로 기지국 장치와 통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된 상향 링크에 대한 MAC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DL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비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DSCH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 n-j와, 상기 PDSCH가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n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비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X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X 오퍼레이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X 오퍼레이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의 송신 및 재송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의 송신 및 재송신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HICH 및 PDCCH의 수신에 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내지 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이하,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단말 장치(1)라 한다.
이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 단말 장치(1)가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술을 셀 애그리게이션 또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 칭한다.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서빙 셀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각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의 그룹의 일부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가 적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서빙 셀은 적어도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을 포함한다.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해도 된다.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 또는 복수의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셀을 포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TDD(Time Division Duplex),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라이선스 보조 액세스(LAA)가 적용된다.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복수의 서빙 셀 전부에 대하여 FDD가 적용되어도 된다.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복수의 서빙 셀 전부에 대하여 TDD가 적용되어도 된다.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복수의 서빙 셀 전부에 대하여 LAA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TDD가 적용되는 서빙 셀과 FDD가 적용되는 서빙 셀이 집약되어도 된다.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LAA 셀과 FDD가 적용되는 서빙 셀이 집약되어도 된다. 셀 애그리게이션의 경우에는, LAA 셀과 TDD가 적용되는 서빙 셀이 집약되어도 된다.
설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서빙 셀은,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과, 0 또는 0보다 많은 세컨더리 셀을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가 행해진 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개시한 셀, 또는 핸드 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이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이 확립된 시점 또는 후에 세컨더리 셀이 설정/추가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 칭한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총칭하여 컴포넌트 캐리어라 칭한다.
단말 장치(1)는,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동시에 복수의 물리 채널에서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행할 수 있다. 하나의 물리 채널은, 복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 중 하나의 서빙 셀(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송신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된 상향 링크에 대한 MAC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된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하나의 독립된 HARQ 엔티티(entity)가 존재한다. HARQ 엔티티는 복수의 HARQ 프로세스를 병행하여 관리한다. HARQ 프로세스는 HARQ 버퍼에 관련된다. 즉, HARQ 엔티티는 복수의 HARQ 버퍼에 관련된다. HARQ 프로세스는 MAC층의 데이터를 HARQ 버퍼에 스토어한다. HARQ 프로세스는 해당 MAC층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물리층에 지시한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된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마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생성되어도 된다. 트랜스포트 블록의 각각, 및 그 트랜스포트 블록의 HARQ 재송신은 하나의 서빙 셀에 맵된다. TTI를 서브프레임이라고도 칭한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되는 MAC층의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상향 링크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 「MAC PDU(Protocol Data Unit)」, 「MAC층의 데이터」, 「UL-SCH」, 「UL-SCH데이터」, 및 「상향 링크 데이터」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물리 채널 및 물리 신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로부터 기지국 장치(3)로의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이 이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UCCH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초기 송신을 위한 PUSCH(Uplink-Shared Channel: UL-SCH) 리소스를 요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스케줄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 하향 링크 데이터(Transport bloc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MAC PDU, Downlink-Shared Channel: DL-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대한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를 포함한다. HARQ-ACK는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acknowledgement)를 나타낸다. HARQ-ACK를 ACK/NACK, HARQ 피드백, HARQ 응답, 또는 HARQ 제어 정보라고도 칭한다.
스케줄링 리퀘스트는 정의 스케줄링 리퀘스트(positive scheduling request) 또는 부의 스케줄링 리퀘스트(negative scheduling request)를 포함한다. 정의 스케줄링 리퀘스트는, 초기 송신을 위한 UL-SCH 리소스를 요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부의 스케줄링 리퀘스트는, 초기 송신을 위한 UL-SCH 리소스를 요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Shared Channel: UL-S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또한 PUSCH는 상향 링크 데이터와 함께 HARQ-ACK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채널 상태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PUSCH는 HARQ-ACK 및 채널 상태 정보만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상위층(higher layer)에 있어서 신호를 교환(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을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CE를 송수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CE는 트랜스포트 블록에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 「RRC층의 정보」, 「RRC층의 신호」, 「RRC층의 파라미터」, 「RRC 메시지」 및 「RRC 정보 요소」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PUSCH는 RRC 시그널링 및 MAC CE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셀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공통의 시그널링이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은, 어느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라고도 칭함)이어도 된다. 즉, 유저 장치 스페시픽(유저 장치 고유)한 정보는, 어느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전용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RACH는,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 핸드 오버 프로시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 상향 링크 송신에 대한 동기(타이밍 조정), 및 PUSCH(UL-SCH) 리소스의 요구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상향 링크 물리 신호가 이용된다. 상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하여 사용된다.
·상향 링크 참조 신호(Uplink Reference Signal: UL RS)
기지국 장치(3)로부터 단말 장치(1)로의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이 이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은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MCH(Physical Multicast Channel)
PBCH는, 단말 장치(1)에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Broadcast Channel: BCH)을 보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CFICH는, PDCCH의 송신에 이용되는 영역(OFDM 심벌)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HICH는, 기지국 장치(3)가 수신한 상향 링크 데이터(Uplink Shared Channel: UL-SCH)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 응답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DCCH 및 EPDCCH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의적으로 「PDCCH」는 「EPDCCH」를 포함한다고 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DCI 포맷이라고도 칭한다. 하나의 PDCCH에서 송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 링크 그랜트(downlink grant) 및 HARQ 정보,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uplink grant) 및 HARQ 정보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 그랜트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downlink assig㎚ent) 또는 하향 링크 할당(downlink allocation)이라고도 칭한다.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및 상향 링크 그랜트는 하나의 PDCCH에서 함께 송신되지 않는다. 하향 링크 그랜트 및 상향 링크 그랜트는 HARQ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는, 단일의 셀 내의 단일 PDSCH의 스케줄링에 이용된다.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는, 해당 하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의 PDSCH의 스케줄링에 이용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단일의 셀 내의 단일 PUSCH의 스케줄링에 이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된 서브프레임보다 후의 서브프레임 내의 단일 PUSCH의 스케줄링에 이용되어도 된다.
HARQ 정보는, NDI(New Data Indicator) 및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와 함께 PDCCH에서 송신되는 HARQ 정보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downlink HARQ process Identifier/Identity, downlink HARQ process number)도 포함한다. 비동기(asynchronous) HARQ에 관한 상향 링크 그랜트와 함께 PDCCH에서 송신되는 HARQ 정보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uplink HARQ process Identifier/Identity, uplink HARQ process number)도 포함해도 된다. 동기(synchronous) HARQ에 관한 상향 링크 그랜트와 함께 PDCCH에서 송신되는 HARQ 정보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uplink HARQ process Identifier/Identity, uplink HARQ process number)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NDI는 초기 송신 또는 재송신을 지시한다. HARQ 엔티티는, 어느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HARQ 정보에 의하여 제공되는 NDI가, 해당 어느 HARQ 프로세스 전의 송신에 대한 NDI의 값과 비교하여 토글되어 있는 경우, 해당 HARQ 프로세스에 초기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지시한다. HARQ 엔티티는, 어느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HARQ 정보에 의하여 제공되는 NDI가, 해당 어느 HARQ 프로세스 전의 송신에 대한 NDI의 값과 비교하여 토글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HARQ 프로세스에 재송신을 트리거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HARQ 프로세스가, NDI가 토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HARQ 엔티티는, 상향 링크 그랜트, 및 HARQ 정보가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를 특정하고, 특정한 HARQ 프로세스에 상향 링크 그랜트, 및 HARQ 정보를 전달한다. HARQ 프로세스는, HARQ 엔티티로부터 받은 상향 링크 그랜트, 및 HARQ 정보를 기억(store)한다.
하나의 PDCCH에서 송신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부가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패리티 비트는,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C-RNTI, 또는 Temporary C-RNTI에서 스크램블된다. C-RNTI 및 SPS C-RNTI는, 셀 내에 있어서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Temporary C-RNTI는, 컨텐션 베이스트 랜덤 액세스 수순(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중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 단말 장치(1)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C-RNTI 및 Temporary C-RNTI는, 단일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SCH 송신 또는 PUSCH 송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SPS C-RNTI는, PDSCH 또는 PUSCH의 리소스를 주기적으로 할당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하,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부가되는 CRC 패리티 비트는 C-RNTI에 의하여 스크램블되어 있다.
PDSCH는 하향 링크 데이터(Downlink Shared Channel: DL-S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MCH는 멀티캐스트 데이터(Multicast Channel: MCH)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하향 링크의 무선 통신에서는 이하의 하향 링크 물리 신호가 이용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는 상위층으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지만, 물리층에 의하여 사용된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하향 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
동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T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 1, 5, 6에 배치된다. F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0과 5에 배치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 물리 채널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하향 링크 참조 신호는, 단말 장치(1)가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5가지 타입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이용된다.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PDSCH에 관련되는 URS(UE-specific Reference Signal)
·EPDCCH에 관련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NZP CSI-RS(Non-Zero 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ZP CSI-RS(Zero Power Cha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MBSFN RS(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하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하향 링크 신호라 칭한다. 상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상향 링크 신호라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채널 및 상향 링크 물리 채널을 총칭하여 물리 채널이라 칭한다. 하향 링크 물리 신호 및 상향 링크 물리 신호를 총칭하여 물리 신호라 칭한다.
BCH, MCH, UL-SCH 및 DL-S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이다. MAC(Medium Access Control)층에서 이용되는 채널을 트랜스포트 채널이라 칭한다. MAC층에서 이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단위를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 TB) 또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이라고도 칭한다. MAC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마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제어가 행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은, MAC층이 물리층으로 넘기는(deliver) 데이터의 단위이다. 물리층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은 코드워드에 맵되고, 코드워드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의 구조(structure)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가지 무선 프레임 구조가 서포트된다. 2가지 무선 프레임 구조는 프레임 구조 타입 1과 프레임 구조 타입 2이다. 프레임 구조 타입 1은 FDD에 적용 가능하다. 프레임 구조 타입 2는 TDD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프레임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다. 또한 타입 1 및 타입 2의 무선 프레임의 각각은 10㎳ 길이이며, 10개의 서브프레임에 의하여 정의된다. 서브프레임의 각각은 1㎳ 길이이며, 2개의 연속되는 슬롯에 의하여 정의된다. 슬롯의 각각은 0.5㎳ 길이이다. 무선 프레임 내의 i번째의 서브프레임은 (2×i)번째의 슬롯과 (2×i+1)번째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구조 타입 2에 대하여 이하의 3가지 타입의 서브프레임이 정의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하여 리저브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하여 리저브되는 서브프레임이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3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해당 3개의 필드는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이다. DwPTS, GP 및 UpPTS의 합계의 길이는 1㎳이다. DwPTS는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하여 리저브되는 필드이다. UpPTS는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하여 리저브되는 필드이다. GP는 하향 링크 송신 및 상향 링크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필드이다. 또한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DwPTS 및 GP만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되고, GP 및 UpPTS만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프레임 구조 타입 2의 무선 프레임은 적어도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및 스페셜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구조 타입 2의 무선 프레임의 구성은 UL-DL 설정(uplink-downlink configuration)에 의하여 나타난다. 단말 장치(1)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UL-DL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UL-DL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에 있어서, D는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S는 스페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심벌의 수는,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서브캐리어 간격이 15㎑인 경우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심벌의 수는 14심벌이어도 된다. 또한 해당 서브캐리어 간격이 30㎑인 경우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심벌의 수는 28심벌이어도 된다. 여기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3.75㎑, 7.5㎑, 15㎑, 30㎑, 60㎑, 120㎑, 240㎑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서브캐리어 간격을 좁게 하면 심벌 길이는 길어지고 서브캐리어 간격을 넓게 하면 심벌 길이는 짧아지는 것은 자명하다. 상향 링크 송신에 이용되는 심벌은 OFDM(CP-OFDM, Cyclic Prefix-OFDM) 심벌 또는 SC-FDMA(DFT-S-OFDM) 심벌이다. 하향 링크 송신에 이용되는 심벌은 OFDM 심벌이다. 또한 서브프레임은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을 포함해도 된다.
이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향 링크 송신(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 타이밍에 대해서는, FDD에 대하여 단말 장치(1)가 서브프레임 n-j에 있어서의 PDSCH를 검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 PDSCH에 대한 HARQ-ACK를 송신한다. 즉,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 타이밍은, PDSCH가 송신된 서브프레임보다 j 후의 서브프레임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의 송신 타이밍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의 송신 타이밍에 대해서는, FDD에 대하여 단말 장치(1)가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의 PDCCH(상향 링크 그랜트)를 검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k에 있어서, 당해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를 송신한다. 즉,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의 송신 타이밍은 상향 링크 그랜트가 검출된 서브프레임보다 k 후의 서브프레임이다.
FDD에 대하여 k와 j는 4여도 된다. 4인 k와 j를 노멀 타이밍(normal timing, 노멀 처리 시간)이라 칭해도 된다. 노멀 처리 시간의 경우,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 타이밍, 및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의 송신 타이밍은 4개의 서브프레임이다.
또한 k 및/또는 j의 값은 4보다 작은 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k 및/또는 j의 값은 3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k 및/또는 j의 값은 2여도 된다. k 및/또는 j의 값은 단말 장치(1)의 처리 능력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 4보다 작은 값인 k와 j는 단축 타이밍(reduced processing time, 단축 처리 시간)이라고도 칭해도 된다. 단축 처리 시간의 경우, PDSCH에 대한 HARQ-ACK의 송신 타이밍, 및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PUSCH의 송신 타이밍은 4개보다 적은 서브프레임이다. 즉, 단말 장치(1)의 단축 처리 능력은,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능력이다. 여기서, k 및/또는 j의 값은 사양서 등에 의하여 정의되며, 기지국 장치(3)와 단말 장치(1) 사이에 있어서 기지의 값이어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1)의 처리 능력은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케이퍼빌리티 정보)에 의하여 나타나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의 단축 능력 정보란, 노멀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능력을 서포트하는 것(또는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관련되는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여도 된다.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는, 노멀 처리 시간보다 짧은 처리 시간(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는, 기지국 장치(3)(EUTRAN)가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가 필요할 때, 접속 모드의 단말 장치(1)(즉, RRC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단말 장치(1))에 대한 수순을 개시한다.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예를 들어 단축 처리 능력)를 문의한다. 단말 장치(1)는 그 문의에 따라 단말 장치(1)의 능력 정보를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기지국 장치(3)는, 단말 장치(1)가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한 설정 정보를, 상위층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1)는,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가 설정된 것에 의하여, 그 능력에 기초하는 송수신을 행하는지, 그 능력에 기초하지 않고 송수신을 행하는지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축 처리 능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는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해도 된다. 또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해도 된다.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어느 서빙 셀에 있어서, 단축 처리 시간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여기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는 것은,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하여 송신된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의 값이 True인 것을 나타낸다.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의 값이 True로 설정되는 것은, 단축 처리 시간(예를 들어 3㎳)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상위층 시그널링에 의하여 송신된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의 값이 False인 것을 나타내도 되고, 수신된 상위층 시그널링(상위층 정보)에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도 된다.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의 값이 False로 설정되는 것은, 노멀 처리 시간(예를 들어 4㎳)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서빙 셀로 정의(규정)되어도 된다. 즉, 기지국 장치(3)는, 서빙 셀마다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을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단말 장치(1)에 송신(통지)해도 된다.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단축 처리 시간(예를 들어 3㎳)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어느 서빙 셀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을 설정하는지의 여부는 상위층(RRC)의 임의(optional)이다.
여기서, 서빙 셀은, 하향 링크에 이용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향 링크에 이용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다.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사이에 있어서 링킹(linking)이 정의되어도 된다.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동일한 링킹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양쪽에 대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 사이에 있어서의 링킹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한 서빙 셀(상향 링크 그랜트에 의하여 스케줄되는 PUSCH에서의 송신(상향 링크의 송신)이 행해지는 서빙 셀)을 식별해도 된다. 동일한 링킹의 경우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는, 캐리어 인디케이터 필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는 서빙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는, 캐리어 인디케이터 필드에 의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지 않는 다른 서빙 셀에 있어서의 송수신을 스케줄링한 경우,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단축 처리 시간(예를 들어 3㎳)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그러나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1)는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즉,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되어 있으면, 단말 장치(1)는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독립적으로 정의(규정)되어도 된다. 즉,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 각각에 대하여 규정되어도 된다. 즉, 기지국 장치(3)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마다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을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단말 장치(1)에 송신(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장치(3)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마다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을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단말 장치(1)에 송신(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느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단축 처리 시간(예를 들어 3㎳)을 이용하여 PUSCH를 송신해도 된다. 어느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PUSCH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어느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PDSCH에 대한 HARQ-ACK를 단축 처리 시간에 송신해도 된다. 어느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의 PDSCH에 대한 HARQ-ACK를 노멀 처리 시간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는, TAG(Timing Advance Group)마다로 정의(규정)되어도 된다. 기지국 장치(3)는, TAG마다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단말 장치(1)에 송신(통지)해도 된다. 동일한 TAG(Timing Advance Group)에 속하는 서빙 셀의 각각에 대하여,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에 관한 설정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느 TAG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TAG에 속하는 서빙 셀에 있어서,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어느 TAG를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TAG에 속하는 서빙 셀에 있어서,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행해도 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HARQ 프로세스는 동기 HARQ 및 비동기 HARQ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동기 HARQ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가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PUSCH(UL-SCH)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관련된다. 단말 장치(1)는 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가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를,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 및/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PUSCH(UL-SCH)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도출한다. 즉, 동기 HARQ에 있어서, HARQ 엔티티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상향 링크 그랜트가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를 특정해도 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도 5에 있어서, 사각 중의 숫자는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낸다. 동기 HARQ에 있어서, HARQ 엔티티는 HARQ 프로세스를, MAC층에 있어서의 UL-SCH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MAC층에 있어서의 UL-SCH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DCI 포맷 0을 검출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다.
도 5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MAC층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MAC층에 있어서의 UL-SCH의 데이터가 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HARQ 인디케이터가 PHICH에서 송신된다. 상향 링크 송신이 행해진 서브프레임과, 대응하는 PHI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대응은 미리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PUSCH에서 MAC층의 데이터를 송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MAC층의 데이터에 대한 HARQ 인디케이터가 PHICH에서 송신된다. 또한, 예를 들어 PHICH에서 NACK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MAC층의 데이터가 PUSCH에서 재송신된다.
이하,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비동기 HARQ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비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도 6에 있어서, 사각 중의 숫자는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낸다. 비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맵되는 PDCCH에 포함되는 경우, HARQ 엔티티는 HARQ 프로세스를 "HARQ process number" 필드로부터 도출한다. 비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맵되는 PDCCH에 포함되는 경우, HARQ 엔티티는 특정 번호의 HARQ 프로세스를 이용해도 된다. 비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가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에 포함되는 경우, HARQ 엔티티는 특정 번호의 HARQ 프로세스를 이용해도 된다. 당해 특정 번호는 0이어도 된다. 당해 특정 번호는 미리 정해진 번호여도 된다.
비동기 HARQ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에 응답하여 HARQ 인디케이터가 PHICH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즉, 비동기 HARQ에 있어서, MAC층의 데이터의 재송신은 항시 PDCCH를 통하여 스케줄된다. 도 6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MAC층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노멀 처리 시간의 경우,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MAC층의 데이터가 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단축 처리 시간의 경우,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MAC층의 데이터가 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이하,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비동기 HARQ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비동기 HARQ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도 8에 있어서, 사각 중의 숫자는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낸다. 하향 링크 비동기 HARQ에 있어서, HARQ 엔티티는 HARQ 프로세스를,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에 포함되는 "HARQ process number" 필드로부터 도출한다.
도 8에 있어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에 대응하는 PDSCH에 대한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노멀 처리 시간의 경우,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PDSCH에 대한 HARQ-ACK가 PUC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단축 처리 시간의 경우,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에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PDSCH에 대한 HARQ-ACK가 PUSCH에서 송신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HARQ 프로세스는 상태 변수 HARQ_FEEDBACK를 관리한다. HARQ 프로세스는, HARQ 엔티티가 비적응(non-adaptive) 재송신을 요구하고 있고, 상태 변수 HARQ_FEEDBACK에 NACK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따라 송신을 생성하도록 물리층에 지시한다.
동기 HARQ가 적용되는 HARQ 프로세스는, PHICH에서 수신한 HARQ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상태 변수 HARQ_FEEDBACK에 ACK 또는 NACK를 세트한다. 비동기 HARQ가 적용되는 HARQ 프로세스는, PHICH에서 수신한 HARQ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상태 변수 HARQ_FEEDBACK에 ACK 또는 NACK를 세트하지 않아도 된다.
동기 HARQ가 적용되는 HARQ 프로세스는, HARQ 엔티티에 의한 초기 송신, 또는 적응(adaptive) 재송신의 요구에 기초하여 상태 변수 HARQ_FEEDBACK에 NACK를 세트한다. 또한 비동기 HARQ가 적용되는 HARQ 프로세스는, HARQ 엔티티에 의한 초기 송신, 또는 적응(adaptive) 재송신의 요구에 기초하여 상태 변수 HARQ_FEEDBACK에 ACK를 세트한다. 또한 적응 재송신은 NDI에 의하여 지시되는 재송신이고, 비적응 재송신은 HARQ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지시되는 재송신이다. 이것에 의하여, 비동기 HARQ가 적용되는 HARQ 프로세스는 비적응 재송신을 행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DRX(Discontinuous Reception)에 대하여 설명한다.
DRX 기능(functionality)은 상위층(RRC)에 의하여 설정되어 MAC에 의하여 처리된다. DRX 기능은, 단말 장치(1)의 C-RNTI 및 SPS C-RNTI에 대한 단말 장치(1)의 PDCCH 모니터링 활동(activity)을 제어한다.
즉, DRX 기능은, 단말 장치(1)의 C-RNTI 또는 SPS C-RNTI에 의하여 스크램블된 CRC 패리티 비트가 부가된 DCI 포맷의 송신에 이용되는 PDCCH에 대한 단말 장치(1)의 모니터링 활동을 제어한다.
RRC_CONNECTED일 때 DRX가 설정되면, 단말 장치(1)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DRX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비연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단말 장치(1)는 연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이하, PDCCH의 모니터(모니터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니터하는 것은, 어느 DCI 포맷에 따라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PDCCH는 PDCCH 후보에 있어서 송신된다. 단말 장치(1)는 서빙 셀에 있어서 PDCCH 후보(candidate)의 세트를 모니터한다. PDCCH 후보의 세트를 서치 스페이스라 칭한다. 서치 스페이스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 CSS) 및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UE-specific Search Space, USS)를 적어도 포함한다.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는 적어도, 단말 장치(1)가 세트하고 있는 C-RNTI의 값으로부터 도출된다. 즉,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는 단말 장치(1)마다 개별로 도출된다. 커먼 서치 스페이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1) 사이에서 공통의 서치 스페이스이며, 미리 정해진 인덱스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CCE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DRX 오퍼레이션은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하여 공통이다.
상위층(RRC)은, 이하의 복수의 타이머와, drxStartOffset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DRX 오퍼레이션을 제어한다. drxShortCycleTimer와 shortDRX-Cycle를 설정하는지의 여부는 상위층(RRC)의 임의(optional)이다.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브로드캐스트 프로세스에 대한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를 제외하고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하나)
·drx-ULRetransmissionTimer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하나)
·longDRX-Cycle
·HARQ RTT(Round Trip Time) 타이머(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하나)
·UL HARQ RTT 타이머(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하나)
·drxShortCycleTimer
·shortDRX-Cycle
기지국 장치(3)는,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 drxShortCycleTimer, shortDRX-Cycle, 및 drxStartOffset의 값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수신한 해당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 drxShortCycleTimer, shortDRX-Cycle, 및 drxStartOffset의 값을 세트해도 된다.
longDRX-Cycle 및 shortDRX-Cycle를 총칭하여 DRX 사이클이라고도 칭한다.
onDurationTimer는, DRX 사이클의 시작부터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drx-InactivityTimer는, 단말 장치(1)에 대한 상향 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초기 송신을 지시하는 PDCCH가 맵되는 서브프레임 후의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drx-RetransmissionTimer는, 단말 장치(1)에 의하여 기대되는 하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최대의 수를 나타낸다. 모든 서빙 셀에 대하여 drx-RetransmissionTimer의 동일한 값이 적용된다.
drx-ULRetransmissionTimer는, 단말 장치(1)에 의하여 기대되는 상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최대의 수를 나타낸다. 즉,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상향 링크 그랜트(상향 링크 HARQ 재송신 그랜트)를 수신하기까지의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최대 수를 나타낸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비동기 HARQ가 적용되는 모든 서빙 셀에 대하여 drx-ULRetransmissionTimer의 동일한 값이 적용된다.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의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동기 HARQ에도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도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적용되지 않아도 된다. 단축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 단말 장치(1)의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동기 HARQ에도 적용되지 않아도 된다.
HARQ RTT 타이머(HARQ RTT Timer)는 drx-RetransmissionTimer의 스타트에 관련되며,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관리된다.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HARQ RTT 타이머는,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으로부터 해당 하향 링크 데이터의 재송신까지의 최소의 인터벌을 나타낸다. 즉,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HARQ RTT 타이머는, 단말 장치(1)에 의하여 하향 링크 HARQ 재송신이 MAC 엔티티에 기대되기 전의 서브프레임의 최소량을 나타낸다.
각 서빙 셀에 대하여, FDD의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8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된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HARQ RTT 타이머를 8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해당 서빙 셀에 HARQ RTT 타이머를 6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그러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8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6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각 서빙 셀에 대하여, TDD의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j+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며, k는 하향 링크 송신 및 해당 하향 링크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피드백 사이의 인터벌이고, UL-DL 설정 및/또는 노멀 처리 시간에 따라 특정(선택, 결정)된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HARQ RTT 타이머를 j+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여기서, j는 PDSCH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 n-j와, 해당 PDSCH가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n의 대응을 나타낸다. j의 값은 도 7로부터 부여되어도 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DSCH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 n-j와, 상기 PDSCH가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n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장치(1)는 도 7의 표에 따라 k의 값을 특정(선택, 결정)한다.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해당 서빙 셀에 HARQ RTT 타이머를 j1+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j1은, 하향 링크 송신 및 해당 하향 링크 송신에 관련되는 HARQ 피드백 사이의 인터벌이며, UL-DL 설정 및 단축 처리 시간에 따라 특정(선택, 결정)된다. 여기서, j1의 값은 j의 값과 마찬가지이거나, 또는 j의 값보다 작은 값이어도 된다. j1의 값은 사양서에서 새로운 테이블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그러나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j+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HARQRTT 타이머는 j1+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FDD 및/또는 TDD의 경우, 어느 서빙 셀에 있어서,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 타이머는, (1)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 및/또는 (2)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TDD의 경우, 어느 서빙 셀에 있어서, 하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게 대한 HARQ RTT 타이머가 부여되는 방법이 제1 방법인지 제2 방법인지는, (1) 하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 및/또는 (2)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HARQ RTT 타이머가 부여되는 제1 방법은, PDSCH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 n-j와, 해당 PDSCH가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n의 대응을 나타내는 제1 테이블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HARQ RTT 타이머가 부여되는 제2 방법은, PDSCH가 배치되는 서브프레임 n-j1과, 해당 PDSCH가 대응하는 HARQ-ACK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n의 대응을 나타내는 제2 테이블에 기초하는 것이다.
UL HARQ RTT 타이머(UL HARQ RTT Timer)는 drx-ULRetransmissionTimer의 스타트에 관련되며,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관리된다.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으로부터 해당 상향 링크 데이터의 재송신을 위한 상향 링크 그랜트(상향 링크 HARQ 재송신 그랜트)의 송신까지의 최소의 인터벌을 나타낸다. 즉,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는, 단말 장치(1)에 의하여 상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상향 링크 그랜트(상향 링크 HARQ 재송신 그랜트)가 기대되기 전의 서브프레임의 최소량(minimum amount)을 나타낸다.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마다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마다도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마다도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정의(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단축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 단말 장치(1)에 대하여, UL HARQ RTT 타이머는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정의(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각 서빙 셀에 대하여, FDD의 경우,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HARQ RTT 타이머는 4서브프레임에 세트된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UL HARQ RTT 타이머를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 해당 서빙 셀에 HARQ RTT 타이머를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그러나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수신된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상향 링크 동기 HARQ에 지시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상향 링크 비동기 HARQ에 지시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각 서빙 셀에 대하여, TDD의 경우,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HARQ RTT 타이머는 k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 된다. kULHARQRTT의 값은 UL-DL 설정 및/또는 노멀 처리 시간에 따라 특정(선택, 결정)된다. 예를 들어 kULHARQRTT의 값은 도 10의 (A)로부터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UL HARQ RTT 타이머를 k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또한 어느 서빙 셀을 위한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UL HARQ RTT 타이머를 k1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해도 된다. k1ULHARQRTT의 값은 UL-DL 설정, 및/또는 단축 처리 시간에 따라 특정(선택, 결정)된다. 예를 들어 k1ULHARQRTT의 값은 도 10의 (B)로부터 부여되어도 된다. 그러나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kULHARQRTT개 서브프레임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k1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수신된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에 기초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TDD의 경우,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상향 링크 동기 HARQ에 지시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k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상향 링크 비동기 HARQ에 지시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는 k1ULHARQRTT개 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느 서빙 셀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동기 HARQ 및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 적용되는지는, 해당 서빙 셀에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도출되어도 된다.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동기 HARQ 프로세스여도 된다.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가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여도 된다. 또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동기 HARQ 및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 적용되는지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수신된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으로부터 도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은 동기 HARQ여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은 비동기 HARQ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하여 동기 HARQ 및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 적용되는지는,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번호가 상향 링크 그랜트에 의하여 나타나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도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번호가 상향 링크 그랜트에 포함되는 필드로부터 부여되면,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은 비동기 HARQ여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번호가 상향 링크 그랜트로부터 부여되지 않으면, 해당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은 동기 HARQ여도 된다.
DRX 사이클은 온 듀레이션(On Duration)의 반복 주기를 나타낸다. 온 듀레이션의 기간 후에, 단말 장치(1)의 C-RNTI 및 SPS C-RNTI에 대한 단말 장치(1)의 PDCCH 모니터링의 비활동(inactivity)이 가능한 기간이 계속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X 사이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다. 도 9에 있어서, 온 듀레이션의 기간 P2200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EPDCCH를 모니터한다. 도 9에 있어서, 온 듀레이션의 기간 P2200 후의 기간 P2202가 비활동이 가능한 기간이다. 즉, 도 9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기간 P2202에 있어서 PDCCH/E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drxShortCycleTimer는, 단말 장치(1)가 쇼트 DRX 사이클에 따르는, 연속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drxStartOffset는, DRX 사이클이 스타트되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DRX 사이클이 설정된 경우, 액티브 타임(Active Time)은 하기 조건 (i) 내지 (l)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는 기간을 포함한다.
·조건 (i): 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 또는 mac-ContentionResolutionTimer가 러닝하고 있음
·조건 (j): 스케줄링 요구가 PUCCH에서 송신되고, 그리고 펜딩되어 있음
·조건 (k): 동기 HARQ에 대하여, 펜딩 HARQ 재송신에 대한 상향 링크 그랜트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고, 그리고 대응하는 HARQ 버퍼에 데이터가 있음
·조건 (l): 단말 장치(1)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지 않은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한 후에, 단말 장치(1)의 C-RNTI를 수반하고, 그리고 초기 송신을 지시하는 PDCCH를 줄곧 수신하고 있지 않음
타이머는, 한번 스타트하면, 타이머가 스톱되기까지 또는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 러닝하고 있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타이머는 러닝하고 있지 않다.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지 않으면, 타이머는 스타트될 가능성이 있다.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으면, 타이머가 리스타트될 가능성이 있다. 타이머는 항시 해당 타이머의 초기값으로부터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된다.
프리앰블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의 메시지(1)이며, PRACH에서 송신된다. 단말 장치(1)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지 않은 프리앰블은 컨텐션 베이스트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에 관련된다.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의 메시지(2)이며, PDSCH에서 송신된다. 기지국 장치(3)는, 수신한 프리앰블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송신한다.
컨텐션 베이스트 랜덤 액세스 프로시저를 실행 중인 단말 장치(1)는 랜덤 액세스 리스폰스를 수신한 후에 메시지(3)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1)는, 메시지(3)가 송신된 후에 메시지(4)에 관련되는 PDCCH를 모니터한다.
mac-ContentionResolutionTimer는, 메시지(3)가 송신된 후에 단말 장치(1)가 PDCCH를 모니터하는, 연속되는 서브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액티베이트된 서빙 셀에 대하여, 동일한 액티브 타임이 적용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항시 액티베이트되어 있다. 세컨더리 셀은 MAC에 의하여 액티베이트 또는 디액티베이트된다. 기지국 장치(3)는, 세컨더리 셀의 액티베이트 또는 디액티베이트를 지시하는 MAC CE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1)는, 디액티베이트된 서빙 셀에 있어서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디액티베이트된 서빙 셀에 대한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DRX 오퍼레이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RX가 설정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DRX 오퍼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또한 해당 UL HARQ RTT 타이머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에 관련되는 HARQ 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면(S1700), 단말 장치(1)는, 해당 UL HARQ RTT 타이머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UL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하고(S1702), 그리고 S1704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 단말 장치(1)는 S1704로 진행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란, 조건(S1700)을 스킵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또한 해당 HARQ RTT 타이머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리에 복호되지 않았으면(S1704), 단말 장치(1)는, 해당 HARQ RTT 타이머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하고(S1706), 그리고 S1708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 단말 장치(1)는 S1708로 진행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란, 조건(S1704)을 스킵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DRX 커맨드 MAC CE가 수신되면(S1708), 단말 장치(1)는 onDurationTimer 및 drx-InactivityTimer를 스톱하고(S1710), 그리고 S1712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 단말 장치(1)는 S1712로 진행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란, 조건(S1708)을 스킵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RX 커맨드 MAC CE가 수신되면(S1712), 단말 장치(1)는 S1714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 단말 장치(1)는 S1720으로 진행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란, 조건(S1712)을 스킵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쇼트 DRX 사이클(shortDRX-Cycle)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S1714), 단말 장치(1)는 롱 DRX 사이클을 이용하고(S1716), 그리고 S1720으로 진행된다. 쇼트 DRX 사이클(shortDRX-Cycle)이 설정되어 있으면(S1714), 단말 장치(1)는 drxShortCycle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하고, 쇼트 DRX 사이클을 이용하고(S1718), 그리고 S1720으로 진행된다.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drxShortCycleTimer가 만료되면(S1720), 단말 장치(1)는 롱 DRX 사이클을 이용하고(S1722), 그리고 도 12의 S1800으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S1720), 단말 장치(1)는 도 12의 S1800으로 진행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란, 조건(S1720)을 스킵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1) 쇼트 DRX 사이클이 이용되고, 또한 [(SFN*10)+subframe 번호]modulo(shortDRX-Cycle)=(drxStartOffset)modulo(shortDRX-Cycle)이면, 또는 (2) 롱 DRX 사이클이 이용되고, 또한 [(SFN*10)+subframe 번호]modulo(longDRX-Cycle)=drxStartOffset이면(S1800), 단말 장치(1)는 onDurationTimer를 스타트하고(S1802), 그리고 S1804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S1800), 단말 장치(1)는 S1804로 진행된다.
이하의 조건 (m) 내지 (p) 모두를 만족시키면(S1804), 단말 장치(1)는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를 모니터하고(S1806), 그리고 S1808로 진행된다.
·조건 (m): 이 서브프레임이 액티브 타임의 기간에 포함됨
·조건 (n): 이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임
·조건 (o): 이 서브프레임이 반이중 FDD 동작의 단말 장치(1)에 대한 상향 링크 송신에 필요하지 않음
·조건 (p): 이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측정 갭(measurement gap)의 일부가 아님
반이중 FDD의 서빙 셀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상향 링크의 송신과 하향 링크의 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는 없다. 단말 장치(1)는, FDD의 밴드에 있어서 반이중 FDD를 서포트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해도 된다.
측정 갭은, 단말 장치(1)가 상이한 주파수의 셀, 및/또는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의 측정을 행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다. 기지국 장치(3)는, 측정 갭의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1)에 송신한다. 단말 장치(1)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갭의 기간을 설정한다.
조건 (m) 내지 (p)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S1804), 단말 장치(1)는, 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DRX 오퍼레이션을 종료한다. 즉, 조건 (m) 내지 (p)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단말 장치(1)는, 이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의 모니터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S1804에 있어서 이용되는 조건은 조건 (m) 내지 (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1804에 있어서 조건 (m) 내지 (p)과 다른 조건을 이용해도 되고, 조건 (m) 내지 (p)의 일부를 이용해도 된다.
PDCCH를 통하여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가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상향 링크 송신을 지시하면, 또는 이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향 링크 그랜트가 비동기 HARQ 프로세스를 위하여 설정되어 있으면, 또는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의 경우, PDCCH를 통하여 수신한 상향 링크 그랜트가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상향 링크 송신을 지시하면(S1808), 단말 장치(1)는, (ⅰ)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PUSCH 송신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ⅱ) 해당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ULRetransmissionTimer를 스톱하고(S1810), 그리고 (ⅲ) 스텝 S1812로 진행된다. 그 이외의 경우(S1808), 단말 장치(1)는 S1812로 진행된다.
또한 상향 링크 그랜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는, SPS C-RNTI를 수반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에 의하여 세미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액티베이트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해도 된다.
PDCCH를 통하여 수신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하향 링크 송신을 지시하면, 또는 이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설정되어 있으면(S1812), 단말 장치(1)는, 대응하는 하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대응하는 하향 링크의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를 스톱한다(S1814). 그 이외의 경우(S1812), 단말 장치(1)는 S1816로 진행된다.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는, SPS C-RNTI를 수반하는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에 의하여 세미퍼시스턴트 스케줄링이 액티베이트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PDCCH를 통하여 수신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또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하향 링크 또는 상향 링크의 초기 송신을 지시하면(S1816), 단말 장치(1)는 drx-InactivityTimer를 스타트 또는 리스타트하고(S1818), 그리고 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DRX 오퍼레이션을 종료한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S1816), 단말 장치(1)는, 이 서브프레임에 대한 DRX 오퍼레이션을 종료한다.
또한 DRX를 설정된 단말 장치(1)는, 액티브 타임이 아닌 경우, 피리오딕 SRS를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 장치(3)는, CQI 마스킹의 셋업 또는 릴리스를 단말 장치(1)에 지시하는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1)에 송신해도 된다.
DRX가 설정되고, 또한 상위층에 의하여 CQI 마스킹(cqi-Mask)이 셋업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액티브 타임이 아닐 때 PUCCH를 통하여 CSI를 송신하지 않는다. DRX가 설정되고, 또한 상위층에 의하여 CQI 마스킹(cqi-Mask)이 셋업된 단말 장치(1)는, onDurationTimer가 러닝하고 있지 않을 때 PUCCH를 통하여 CSI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FDD의 서빙 셀에 대하여, 모든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1) 및 기지국 장치(3)는 TDD의 서빙 셀에 대하여, UL-DL 설정에 기초하여 PDCCH 서브프레임을 특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을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3)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1), 및 해당 기지국 장치(3)는, 반이중 TDD의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UL-DL 설정에 의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DwPT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으로서 지시된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서 특정(선택, 결정)한다.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을 이용하여 TDD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1)는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행할 수는 없다. 즉,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만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TDD 오퍼레이션은 반이중 TDD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빙 셀을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3)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1), 및 해당 기지국 장치(3)는, 반이중 TDD의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UL-DL 설정에 의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DwPT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으로서 지시된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서 특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프라이머리 셀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세컨더리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빙 셀을 이용하여 기지국 장치(3)와 통신하는 단말 장치(1), 및 해당 기지국 장치(3)는, 전이중 TDD의 경우에는, 관련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 링크 할당이 어느 서빙 셀에서 보내지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schedulingCellId)가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파라미터(schedulingCellId)가 설정된 세컨더리 셀을 제외하고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하는 UL-DL 설정에 의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DwPTS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으로서 지시된 서브프레임의 화집합(union)을 PDCCH 서브프레임으로서 특정한다.
또한 관련되는 상기 세컨더리 셀에 대한 하향 링크 할당이 어느 서빙 셀에서 보내지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schedulingCellId)가 어느 세컨더리 셀에 대해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파라미터(schedulingCellId)가 설정된 세컨더리 셀을 제외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향 링크 그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DCI 포맷 0은 상향 링크 그랜트이며,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하여 이용된다. DCI 포맷 0은 "Redundancy version" 필드 및 "HARQ process number"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DCI 포맷 0D는 상향 링크 그랜트이며, PUSCH의 스케줄링을 위하여 이용된다. DCI 포맷 0D는 "Redundancy version" 필드 및 "HARQ process number" 필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DCI 포맷 0D는, 단축 처리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의 PUSCH의 스케줄링에 이용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그랜트는 DCI 포맷 0 및 DCI 포맷 0D를 포함하고 있다.
서빙 셀을 위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 및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포함하는 PDCCH를 디코드해도 된다. 서빙 셀을 위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포함하는 PDCCH를 디코드하지 않아도 된다. 해당 DCI 포맷 0은 상향 링크 동기 HARQ를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서빙 셀을 위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포함하는 PDCCH를 디코드해도 되고, 또한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포함하는 PDCCH를 디코드해도 된다. 서빙 셀을 위한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빙 셀에 있어서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포함하는 PDCCH를 디코드하지 않아도 된다. 해당 DCI 포맷 0D는 상향 링크 비동기 HARQ를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해당 DCI 포맷 0D는 상향 링크 동기 HARQ를 위하여 이용되지 않는다.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번호는, DCI 포맷 0D에 포함되는 "HARQ process number" 필드에 의하여 부여된다. FDD의 경우, 단말 장치(1)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포함하는 PDCCH의 디코드에 기초하여, PDCCH를 디코드한 서브프레임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의 송신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포함하는 PDCCH의 디코드에 기초하여, PDCCH를 디코드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의 송신을 실행해도 된다.
도 15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HICH 및 PDCCH의 수신에 관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서빙 셀에는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다.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포함하는 PDCCH(1501)을 디코드하고,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 PUSCH(1502)의 송신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PUSCH의 송신(1502)에 응답하는 HARQ 인디케이터를 PHICH(1503)에서 디코드(검출)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504)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HICH 및 하나의 상향 링크 그랜트를 디코드해도 된다.
PHICH(1503)에서 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 및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DCI 포맷 0을 디코드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DCI 포맷 0D를 디코드해도 된다. 여기서, DCI 포맷 0D에 포함되는 "HARQ process number" 필드에 나타나는 HARQ 프로세스의 번호는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는 PUSCH(1502)의 재송신을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상이한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는 PUSCH(1502)의 재송신을 위하여 이용되지 않는다.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상이한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는 PUSCH의 초기 송신을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디코드한 PDCCH에 기초하여 PUSCH의 송신을 실행한다.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디코드해도 된다. 즉,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디코드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단말 장치(1)는, PHICH에서 검출한 HARQ 인디케이터, 또는 PDCCH에서 디코드한 DCI 포맷 0에 기초하여 PUSCH의 송신(1506)을 실행한다. 즉, DCI 포맷 0은 PUSCH(1502)의 재송신을 위하여 이용된다. 즉, PUSCH의 송신(1506)은 PUSCH(1502)의 재송신이다.
또한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PUSCH(1502) 재송신을 위한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즉,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디코드해도 되고,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디코드해도 된다. DCI 포맷 0 및 DCI 포맷 0D는 PUSCH(1502)의 재송신을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여기서, DCI 포맷 0D에 포함되는 "HARQ process number" 필드에 나타나는 HARQ 프로세스의 번호는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동일하다. 즉,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상이한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간주해도 된다. 즉,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단말 장치(1)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가 발생한다고 간주해도 된다.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DCI 포맷 0D를 디코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11에서 PUSCH의 송신(1505)을 실행해도 된다. 여기서, PUSCH(1505)는 PUSCH(1502)의 재송신이다. 또한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DCI 포맷 0을 디코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12에서 PUSCH의 송신(1506)을 실행해도 된다. 여기서, PUSCH(1506)은 PUSCH(1502)의 재송신이다.
또한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PHICH(1503)에서 NACK를 수신하고, 또한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상이한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DCI 포맷 0D를 디코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ⅰ) DCI 포맷 0D에 기초하는 PUSCH의 송신(1505)을 서브프레임 n+11에서 실행하고, (ⅱ) NACK에 기초하는 PUSCH의 재송신(1506)을 서브프레임 n+12에서 실행해도 된다.
또한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PUSCH(1502)의 HARQ 프로세스의 번호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의 번호를 나타내는 상향 링크 그랜트를 디코드한 경우, 단말 장치(1)는 HARQ-ACK의 피드백의 콘텐츠(ACK 또는 NACK)에 관계없이, 디코드한 상향 링크 그랜트에 기초하여 PUSCH의 송신을 실행해도 된다. 여기서, PUSCH의 송신은 PUSCH(1502)의 재송신이어도 되고, 새로운 트랜스포트 블록을 위한 PUSCH의 초기 송신이어도 된다.
RRC층의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에 있어서,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8에 있어서 PHICH를 디코드한다. 동시에 단말 장치(1)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커먼 서치 스페이스 및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DCI 포맷 0을 디코드해도 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의 송신 및 재송신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모든 타이머, 초기 송신 및 재송신은 하나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이하, 명시되지 않는 한, 도 13에 있어서, 단말 장치(1)가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이고, 또한 해당 서빙 셀에는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다. P300 및 P320은,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내고, P400은,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drx-ULRetransmissionTimer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기간 P400 동안이 액티브 타임이다.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300)를 수신한다. 도 13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300)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되었다. PDCCH(1300)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그랜트는 PUSCH의 초기 송신(1301)을 지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UL HARQ RTT Timer(P300)의 값(길이)은, PUSCH의 초기 송신(1301)을 스케줄하는 PDCCH(1300)가 송신되는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 의하여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1300)에 의한 초기 송신의 지시에 기초하여, 노멀 처리 시간(4㎳)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n에 있어서 PUSCH(1301)를 송신해도 된다.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PDCCH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PUSCH의 HARQ 프로세스는 동기 HARQ 프로세스이다. 즉,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PDCCH는, PUSCH(1301)의 HARQ가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로 나타내도 된다. 여기서,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의 경우, PUSCH의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300)가 스타트되어도 된다. PUSCH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300)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 단말 장치(1)는,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300)가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로부터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1)는, UL HARQ RTT Timer(P300)가 만료되는 서브프레임 n+4로부터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를 스타트하고, 해당 PUSCH(1301)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 PUSCH(1301)의 송신에 응답하여 HARQ 인디케이터가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의 PHICH(1303)에서 송신된다. 단말 장치(1)는, PHICH(1303)에서 NACK를 수신하고, 또한 해당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서브프레임 n+Y에 있어서,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PUSCH의 비적응(non-adaptive) 재송신(1305)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n+Y는, NACK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이다. 즉, 여기서, Y의 값은 8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PHICH(13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를 스타트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는, PHICH(1303)에서 NACK를 수신한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를 스타트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NACK를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ACK를 수신한 서브프레임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까지의 사이에서,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해도 된다. 즉, 이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는 PUSCH의 비적응 재송신의 서브프레임 전에 스톱하고, 4개의 서브프레임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PDCCH(1304)가 검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NACK에 기초하는 PUSCH의 비적응 재송신을 스톱하고, 검출된 PDCCH에 기초하여 PUSCH의 재송신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X의 값은 8보다 적은 값이다.
또한 단말 장치(1)는, PHICH(1303)에서 ACK를 수신한 경우,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를 스타트해도 된다. 그리고 단말 장치(1)는, drx-ULRetransmissionTimer(P400)이 러닝하고 있는 기간에,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1304)가 서브프레임 n+X에서 검출(디코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drx-ULRetransmissionTimer(P400)를 스톱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drx-ULRetransmissionTimer의 값은 상위층의 파라미터에 의하여 부여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drx-ULRetransmissionTimer와 동일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drx-ULRetransmissionTimer는,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drx-ULRetransmissionTimer와 달리, 새로운 상위층의 파라미터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1)는, 검출된 PDCCH(1304)에 기초하여 PUSCH(1305)를 서브프레임 n+Y에서 재송신해도 된다. PDCCH(1304)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n+X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1305)를 재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UL HARQ RTT Timer(P320)가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또한 PDCCH(1304)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n+X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1305)를 재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UL HARQ RTT Timer(P320)가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UL HARQ RTT Timer(P320)의 값(길이)은, PUSCH(1305)의 재송신을 스케줄하는 PDCCH(1304)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따라 부여되어도 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PUSCH의 송신 및 재송신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모든 타이머, 초기 송신 및 재송신은 하나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이하, 명시되지 않는 한, 도 14에 있어서, 단말 장치(1)가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이고, 또한 해당 서빙 셀에는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다. P500 및 P510은,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타이머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내고, P600은,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drx-ULRetransmissionTimer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기간 P600 동안이 액티브 타임이다.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400)를 수신한다. 도 14에 있어서, 상향 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PDCCH(1400)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되었다. PDCCH(1400)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 그랜트는 PUSCH의 초기 송신(1401)을 지시하고 있다.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상향 링크 그랜트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경우, UL HARQ RTT 타이머는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UL HARQ RTT Timer(P500)의 값(길이)은, PUSCH의 초기 송신(1401)을 스케줄하는 PDCCH(1400)가 송신되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의하여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1)는, PDCCH(1400)에 의한 초기 송신의 지시에 기초하여, 단축 처리 시간(3㎳)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 n-1에 있어서 PUSCH(1401)를 송신해도 된다.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는 PDCCH에 의하여 스케줄링되는 PUSCH의 HARQ 프로세스는 비동기 HARQ 프로세스이다. 즉,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수신된 PDCCH는, PUSCH(1401)의 HARQ가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로 나타내도 된다. PUSCH의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500)가 스타트되어도 된다. PUSCH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500)가 러닝하고 있는 기간, 단말 장치(1)는, 해당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 Timer(P500)가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2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이어서, 단말 장치(1)는, UL HARQ RTT Timer(P300)가 만료되는 서브프레임 n+2로부터 drx-ULRetransmissionTimer(P600)를 스타트하고, 해당 PUSCH(1401)의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2로부터 P600이 러닝하고 있는 기간까지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drx-ULRetransmissionTimer(P600)이 러닝하고 있는 기간에, 해당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1402)가 서브프레임 n+2에서 검출(디코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drx-ULRetransmissionTimer(P600)를 스톱해도 된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1)는, 검출된 PDCCH(1402)에 기초하여 PUSCH(1403)를 서브프레임 n+K에서 재송신해도 된다. PDCCH(1402)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노멀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n+2보다 4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1403)를 재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UL HARQ RTT Timer(P510)가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또한 PDCCH(1402)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단말 장치(1)는 단축 처리 시간을 이용하여, n+2보다 3개 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USCH(1403)를 재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UL HARQ RTT Timer(P510)가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세트)되어도 된다. 즉, UL HARQ RTT Timer(P510)의 값(길이)은, PUSCH의 재송신(1403)을 스케줄하는 PDCCH(1402)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따라 부여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Timer의 값은, PUSCH의 초기 송신을 스케줄하는 PDCCH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따라 부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있어서, P300 및 P320은 동일한 값을 갖고, 해당 값이, PUSCH의 초기 송신(1301)을 스케줄하는 PDCCH(1300)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임으로써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즉, PUSCH의 재송신(1305)을 스케줄하는 PDCCH(1304)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었다고 하더라도 P320의 값은 P300의 값과 동일하고, PUSCH의 초기 송신(1301)을 스케줄하는 PDCCH의 타입에 기초하여 4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4에 있어서, P500 및 P510은 동일한 값을 갖고, 해당 값이, PUSCH의 초기 송신(1401)을 스케줄하는 PDCCH(1400)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임으로써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즉, PUSCH의 재송신(1403)을 스케줄하는 PDCCH(1402)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되었다고 하더라도, P510의 값은 P500의 값과 동일하고, PUSCH의 초기 송신(1401)을 스케줄하는 PDCCH(1400)의 타입에 기초하여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의 경우, UL HARQ RTT Timer의 값(길이)은,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송신을 스케줄하는 PDCCH가 송신되는 서치 스페이스의 타입에 기초하지 않고, 동일한 값(예를 들어 3서브프레임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 PUSCH의 송신(1301)을 스케줄하는 PDCCH(1300)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된다고 하더라도 P300의 값은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3보다 전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즉,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3으로부터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PUSCH(1301)의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3에 있어서, 해당 대응하는 PDCCH가 검출된 경우,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의 PHICH를 수신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즉, 이 경우, 단말 장치(1)는, 서브프레임 n+4에 있어서의 HARQ-ACK의 피드백의 콘텐츠(ACK 또는 NACK)에 관계없이, 서브프레임 n+3에 있어서 디코드한 상향 링크 그랜트(PDCCH)에 기초하여 PUSCH의 송신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PUSCH의 송신(1401)을 스케줄하는 PDCCH(1400)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송신된다고 하더라도, P500의 값은 P300과 마찬가지의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의 경우, UL HARQ RTT Timer의 값(길이)은,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의 타입에 기초하지 않고, 동일한 값(예를 들어 3서브프레임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 PUSCH(1301)의 HARQ가 상향 링크 동기 HARQ 프로세스라 하더라도, P300의 값은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PUSCH(1401)의 HARQ가 상향 링크 비동기 HARQ 프로세스라 하더라도, P500의 값은 P300과 마찬가지의 3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ULRetransmissionTimer는 DRX 오퍼레이션에 구애받지 않고 새로운 RRC 파라미터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해당 RRC 파라미터는, 단말 장치(1)에 의하여 기대되는, 상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연속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최대의 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고, 또한 해당 RRC 파라미터 ULRetransmissionTimer가 설정된 경우, ULRetransmissionTimer는 DRX 오퍼레이션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되어도 된다. 즉, 단축 처리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1)는, RRC 파라미터 reducedProcessingTiming이 설정되어 있는 서빙 셀에 있어서, DRX 오퍼레이션에 구애받지 않고,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UL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나서 ULRetransmissionTimer를 스타트하고, ULRetransmissionTimer가 나타나는 기간에 있어서, 상향 링크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상향 링크 재송신을 위한 PDCCH를 모니터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는, 무선 송수신부(10) 및 상위층 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안테나부(11), RF(Radio Frequency)부(12) 및 기저 대역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유저의 조작 등에 의하여 생성된 상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를 무선 송수신부(10)에 출력한다. 상위층 처리부(14)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HARQ의 제어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복수의 HARQ 엔티티, 복수의 HARQ 프로세스 및 복수의 HARQ 버퍼를 관리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PDCCH 서브프레임을 특정(선택, 결정)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에 기초하여 DRX의 처리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에 기초하여 DRX에 관련되는 타이머를 관리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PDCCH의 모니터를 무선 송수신부(10)에 지시한다. PDCCH를 모니터하는 것은, 어느 DCI 포맷에 따라 PDCCH의 디코드를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위층 처리부(1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자 장치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RRC층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변조, 복조, 부호화, 복호화 등의 물리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기지국 장치(3)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분리, 복조, 복호하고, 복호한 정보를 상위층 처리부(14)에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0)는 데이터를 변조, 부호화함으로써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 장치(3)에 송신한다.
RF부(12)는,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직교 복조에 의하여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다운 컨버트: down covert), 불필요한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RF부(12)는, 처리를 한 아날로그 신호를 기저 대역부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부(13)는, RF부(1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로부터 CP(Cyclic Prefix)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하고, CP를 제거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로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행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추출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데이터를 역고속 푸리로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하여 SC-FDMA 심벌을 생성하고, 생성된 SC-FDMA 심벌에 CP를 부가하여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 대역부(13)는 변환한 아날로그 신호를 RF부(12)에 출력한다.
RF부(12)는 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기저 대역부(13)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반송파 주파수에 업 컨버트(up convert)하여 안테나부(11)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RF부(12)는 전력을 증폭한다. 또한 RF부(12)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RF부(12)를 송신 전력 제어부라고도 칭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3)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3)는, 무선 송수신부(30) 및 상위층 처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는, 안테나부(31), RF부(32) 및 기저 대역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 및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30)를 송신부, 수신부, 또는 물리층 처리부라고도 칭한다.
상위층 처리부(34)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층, 패킷 데이터 통합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층,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층의 처리를 행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35)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16)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에 기초하여 HARQ의 제어를 행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15)는, 상향 링크 데이터(UL-SCH)에 대한 ACK/NACK 및 HARQ 정보를 생성한다. 상향 링크 데이터(UL-SCH)에 대한 ACK/NACK 및 HARQ 정보는 PHICH 또는 PDCCH에서 단말 장치(1)에 송신된다.
상위층 처리부(34)가 구비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무선 리소스 제어층의 처리를 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물리 하향 링크 공용 채널에 배치되는 하향 링크 데이터(트랜스포트 블록), 시스템 인포메이션, RRC 메시지, MAC CE(Control Element) 등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위 노드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송수신부(30)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단말 장치(1) 각각의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의 관리를 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상위층의 신호를 통하여 단말 장치(1) 각각에 대하여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세트해도 된다. 즉,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36)는, 각종 설정 정보/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보고한다.
무선 송수신부(30)의 기능은 무선 송수신부(10)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 장치(3)가 구비하는, 부호 30 내지 부호 36이 붙여진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가 구비하는, 부호 10 내지 부호 16이 붙여진 부의 각각은 회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의 다양한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제1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이다.
(2) 본 실시 형태의 제1 양태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이다.
(3) 본 실시 형태의 제1 양태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비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이다.
(4) 본 실시 형태의 제2 양태는 단말 장치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는 송신부(10)를 구비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다.
(5) 본 실시 형태의 제2 양태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8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6서브프레임이다.
이것에 의하여 단말 장치(1)는 효율적으로 기지국 장치(3)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3) 및 단말 장치(1)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에서 취급되는 정보는 그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축적되고, 그 후, Flash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ROM이나 HDD(Hard Disk Drive)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CPU에 의하여 판독되어 수정·기입이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를 컴퓨터에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단말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3)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OS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로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3)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1)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3)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해도 되고 칩 세트로서 실현해도 된다. 단말 장치(1), 기지국 장치(3)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칩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하여 칩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LSI를 대체할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할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단말 장치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주방 기기, 청소·세탁 기기, 공조 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그 외의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 통신 기기(예를 들어 휴대 전화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LAN 장치, 또는 센서 디바이스), 집적 회로(예를 들어 통신 칩), 또는 프로그램 등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1(1A, 1B, 1C): 단말 장치
3: 기지국 장치
10: 무선 송수신부
11: 안테나부
12: RF부
13: 기저 대역부
14: 상위층 처리부
1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1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30: 무선 송수신부
31: 안테나부
32: RF부
33: 기저 대역부
34: 상위층 처리부
35: 매체 액세스 제어층 처리부
36: 무선 리소스 제어층 처리부

Claims (15)

  1.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인,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비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단말 장치.
  4.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인,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8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6서브프레임인,
    단말 장치.
  6.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인,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비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통신 방법.
  9. 단말 장치에 이용되는 통신 방법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인,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8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6서브프레임인,
    통신 방법.
  11.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USCH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PUSCH 송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1 조건 및/또는 제2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HARQ 프로세스의 타입이 동기 HARQ 또는 비동기 HARQ 중 어느 것인,
    집적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집적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4서브프레임이고, 상기 HARQ 프로세스가 비동기 HARQ였은 경우, 상기 UL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3서브프레임인,
    집적 회로.
  14. 단말 장치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이며,
    DCI 포맷을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PDCCH의 검출에 기초하여, PDSCH 수신에 대한 HARQ-ACK의 송신을 PUCCH에서 실행하는 송신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PDSCH 수신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이며, 상기 HARQ 프로세스에 대한 HARQ RTT(Round Trip Timer) 타이머의 값은 제3 조건에 적어도 기초하여 부여되고,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검출된 PDCCH의 서치 스페이스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 또는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 중 어느 것인,
    집적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FDD의 경우, 상기 PDCCH가 커먼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8서브프레임이고, 상기 PDCCH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서 검출된 경우, 상기 HARQ RTT 타이머의 값은 6서브프레임인,
    집적 회로.
KR1020197026799A 2017-03-22 2018-03-14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53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5586A JP2020080442A (ja) 2017-03-22 2017-03-22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JP-P-2017-055586 2017-03-22
PCT/JP2018/009970 WO2018173885A1 (ja) 2017-03-22 2018-03-14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571A true KR20190130571A (ko) 2019-11-22
KR102538561B1 KR102538561B1 (ko) 2023-06-01

Family

ID=6358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799A KR102538561B1 (ko) 2017-03-22 2018-03-14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82161B2 (ko)
EP (1) EP3606153A4 (ko)
JP (1) JP2020080442A (ko)
KR (1) KR102538561B1 (ko)
CN (1) CN110419238B (ko)
BR (1) BR112019019231A2 (ko)
CA (1) CA3056743A1 (ko)
WO (1) WO2018173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132A1 (ko)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사용자기기, 프로세싱 장치, 및 저장 매체, 그리고 harq-ack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06661B2 (en) 2016-01-11 2019-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ed mode DRX operations
JP2020080442A (ja) * 2017-03-22 2020-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20120142A (ja) * 2017-05-26 2020-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9030726A1 (en) * 2017-08-11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S AND RETRANSMISSIONS
US20190159238A1 (en) * 2017-11-21 2019-05-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low latency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PL3714655T3 (pl) * 2017-11-22 2023-07-10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Operacje nieciągłego odbioru pomiędzy wieloma częściami szerokości pasma
CN111527728B (zh) * 2018-01-04 2023-01-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全双工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US20220039008A1 (en) * 2018-09-24 2022-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of Power Saving Using Layer-1 Signaling
US11139927B2 (en) * 2018-10-09 2021-10-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s
US20220104176A1 (en) * 2019-02-14 2022-03-31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EP4221310A4 (en) * 2020-09-29 2023-11-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5247A1 (en) * 2014-11-10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nnection management for multiple access networks
US20190380112A1 (en) * 2016-12-06 2019-1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8597A (zh) * 2013-08-08 2015-02-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pusch的调度和harq-ack信息的传输方法
US10404443B2 (en) * 2014-05-09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HD-FDD HARQ operation
JP2018101823A (ja) * 2015-04-28 2018-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17055586A (ja) 2015-09-10 2017-03-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10581559B2 (en) * 2016-07-18 2020-03-03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0609758B2 (en) * 2016-08-12 2020-03-3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for a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and processing time
JP7201433B2 (ja) 2016-08-31 2023-01-1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09804685B (zh) * 2016-09-29 2023-09-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采用两步授权的激活时间处理
JP2020080442A (ja) * 2017-03-22 2020-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568129B2 (en) * 2017-06-15 2020-02-18 Ofinno, Llc Grant free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35247A1 (en) * 2014-11-10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nnection management for multiple access networks
US20190380112A1 (en) * 2016-12-06 2019-1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s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300 v14.1.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 -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December 2016.
"Protocol impacts of processing time reduction for legacy 1㎳ TTI", R2-1701318, Intel, 3GPP TSG RAN WG2 Meeting#97, 13th-17th February 2017.
"Work Item on shortened TTI and processing time for LTE", RP-161299, Ericsson, 3GPP TSG RAN Meeting#72, Busan, Korea, June 13-16, 2016.
3GPP R1-1611646 *
3GPP R1-161890 *
3GPP R1-1702573* *
3GPP R1-1703233 *
3GPP R1-170325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132A1 (ko)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Harq-ack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사용자기기, 프로세싱 장치, 및 저장 매체, 그리고 harq-ack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기지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80442A (ja) 2020-05-28
US20200052830A1 (en) 2020-02-13
WO2018173885A1 (ja) 2018-09-27
EP3606153A4 (en) 2021-04-21
CN110419238B (zh) 2023-03-21
BR112019019231A2 (pt) 2020-04-14
CN110419238A (zh) 2019-11-05
KR102538561B1 (ko) 2023-06-01
US11082161B2 (en) 2021-08-03
CA3056743A1 (en) 2018-09-27
EP3606153A1 (en)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561B1 (ko)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N10753489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US10904873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3379868B1 (e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6793749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854599B2 (en) Termin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dynamic TDD is applied
JP6666910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734846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967450B2 (ja)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039462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8092844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