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93A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93A
KR20190130393A KR1020180055012A KR20180055012A KR20190130393A KR 20190130393 A KR20190130393 A KR 20190130393A KR 1020180055012 A KR1020180055012 A KR 1020180055012A KR 20180055012 A KR20180055012 A KR 20180055012A KR 20190130393 A KR20190130393 A KR 20190130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map
ocean
species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인포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393A/en
Publication of KR201901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onitoring harmful marine organisms may comprise the steps of: collecting marine harmful organism image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image information to specify a species; and compiling data of the analysis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the data to a target location on a marine map.

Description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METHO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본 발명은 해양 유해생물을 모니터링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수집한 유해생물의 영상 정보에 의거하여 해양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onitoring marine harmful organisms, and more particularly, to monitor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harmful organisms collected using a mobile terminal, monitoring of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A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일반적으로, 해양 생태환경의 원활한 관리를 위해서는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는 유해생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함과 더불어 방제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유해생물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광범위하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In general, for the smooth management of the marine ecologic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harmful organisms that disturb the habitat of the algae as much as possible, and to control the occurrence of harmful organisms in real time.

여기에서, 유해생물로는, 예컨대 수생생물, 해양식물, 적조 등을 들 수 있다.Here, examples of the harmful organisms include aquatic organisms, marine plants, red tide, and the like.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039호 "레이저를 활용한 적조 및 녹조 발생 원격 측정 방법"은 녹조나 적조 등이 발생한 수면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한 후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산란광을 분석하여 녹조와 적조 등의 발생 정도를 측정한다.As a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338039 "Telemetry of red tide and green algae generation using laser" refers to green tide and red tide by analyzing scattered light of a laser beam generated afte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surface where green algae or red tide occurs.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back is measured.

그러나,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종래 기술은 녹조와 적조 이외에 수질에 부유하는 다양한 물질에 레이저 빔의 산란광이 달라져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장비가 매우 고가여서 관리 대상의 수많은 장소에 설치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a laser beam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scattered light of the laser beam in various materials suspended in the water besides green algae and red t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to install in pla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039호(공고일: 2013. 12. 06)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38039 (Notice: 2013. 12. 06)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수집한 해양 유해생물의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해양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nitoring marine harmful organisms and a device thereof capable of monitoring the situation of harmful organisms occurring in the ocean by analyzing image information of marine harmful organisms collected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해양에서 발생한 해양 유해생물들의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생물종을 특정하여 분석한 분석 자료를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켜 제공함으로써, 해양 전역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c analysis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marine harmful organisms generated in the ocean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to monitor the distribution of harmful organisms throughout the ocean We propos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본 발명은 해양에서 발생한 유해생물들의 생물종을 특정한 후 기상 자료와 연계시켜 분석한 연계 분석 자료를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켜 제공함으로써, 기상 상태에 따른 해양 전역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distribution of harmful organisms throughout the ocean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by providing the linked analysis data analyzed by linking the biological species of the harmful organisms generated in the ocean with the meteorological data to the target position on the ocean map. We propos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arine harmful organism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llecting marine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to specify a species. A method for monitoring marine harmful organisms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collected species and mapping them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본 발명의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는, 유해생물 사진, GPS 좌표 및 영상 촬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armful creature imag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rmful creature picture, GPS coordinates and an image capturing time.

본 발명의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는, 생물종 DB에 기반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The harmful organism imag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alyzed through an image analysis algorithm based on a species DB.

본 발명은,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 생물종의 특정 이후에 기상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기상 자료와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연계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연계 분석 자료를 상기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llecting the weather data after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and the step of linkage analysis by combining the collected weather data and the specified species, and the linkage analysis data generated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pping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본 발명의 상기 기상 자료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될 수 있다.The weather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llec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rom an external weather server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은,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해양의 유해생물은, 수생생물, 해양식물, 적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marine harmful organis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of aquatic life, marine plants, red tide.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llecting marine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and specifying a speci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stored therein for allowing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arine harmful monitoring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analysis data of the collected species and mapping it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llecting marine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and specifying a speci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provided to enable a processor to perform a marine harmful monitoring method including aggregating analytical data of a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it to a target location on an ocean map.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와, 생물종 DB의 탐색을 통해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생물종 판단부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지도 맵핑부와,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해양 관측 DB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marine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the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arch for a species DB. A species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and identifies the species, a map mapping unit that aggregates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s it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and an ocean observation stor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rine harmful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DB.

본 발명은,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B management unit which extracts the marine map information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s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a remote marin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DB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trieve the marine map information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집한 기상 자료를 저장하는 기상 DB와, 수집된 상기 기상 자료와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하는 기상 연계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 맵핑부는, 상기 연계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연계 분석 자료를 상기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teorological DB for storing meteorological data collected from an external meteorological server, and a meteorological association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erform an association analysis by combining the collected meteorological data with a specific species, and the map mapping unit includes: Linkage analysis data generated through linkage analysis may be mapped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본 발명은,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DB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B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marine map information to a remote marine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DB management unit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DB manager may extrac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ed analysis data is mapp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 the extracted marine map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수집한 해양 유해생물의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해양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해양에서의 유해생물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ion of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may be monitored in real time by monitoring the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through analysis of image information of marine harmful organisms collecte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에서 발생한 유해생물들의 생물종을 특정하여 분석한 분석 자료를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켜 제공함으로써, 해양 전역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alytical data that has been identified and analyzed the species of harmful organisms generated in the ocean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distribution of harmful organisms generated throughout the ocea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에서 발생한 유해생물들의 생물종을 특정한 후 기상 자료와 연계시켜 분석한 연계 분석 자료를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켜 제공함으로써, 기상 상태에 따른 해양 전역에서의 유해생물 발생 분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linked analysis data analyzed by linking the biological species of the harmful organisms generated in the ocean with the specific meteorological data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so that throughout the ocean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The distribution of harmful organisms can be moni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 가능한 유해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집한 유해생물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유해생물 모니터링을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집한 유해생물 영상 정보에 기상 자료를 연계시켜 기상 기반으로 유해생물 모니터링을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est monitoring system to which a pest monitoring method of mar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arine biological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serving a pest monitoring through analysis of the pest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based on weather by linking meteorological data to harmful creatur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since i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an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적용 가능한 유해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계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est monitoring system to which a pest monitoring method of mar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10)은, 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북, 태블릿 PC, 넷북 등과 같은 통화 및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탑재의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사진 촬영 어플리케이션(또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관련 앱의 실행을 통해 해양의 유해생물을 촬영하면, 유해생물의 사진, GPS 좌표, 영상 촬영 시간 등을 포함하는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유해생물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10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ll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smart book, a tablet PC, a netbook,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application (or camera application) for realiz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shoots the harmful organisms of the sea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relevant app, harmful video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picture of the harmful organisms, GPS coordinates, video recording time, etc. It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to generate and transmit to the pest service server 130 through the network 120.

여기에서, 휴대 단말(110)에서 네트워크(120)로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 전송은,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transmission of harmful imag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to the network 120 may be perform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or the like.

그리고, 네트워크(120)는, 예컨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유선 인터넷 등으로 된 유선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120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of a second generation (2G) communication network, a third generation (3G) communication network, a fourth generation (4G)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ifth generation (5G)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ommunication networks. And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Internet.

다음에, 유해생물 서비스 서버(130)는, 본 발명에 따라 실현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인 것으로,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Next, the pest service server 130, which is a server that provides a marine pest monitoring service re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 for this purpose, FIG.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또한, 해양 관리 서버(140)는, 예컨대 해양수산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에 구비되어 해양의 생태환경 등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유해생물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네트워크(120)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유해 생물종의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 또는 유해 생물종과 기상 자료 및 해양 관측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140 is, for example, provided to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etc. may mean a server that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oce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nkage analysis of marine map information or harmful species with meteorological data and marine observation data to which analysis data of harmful species provided at predetermined or periodic intervals are provided from the pest service server 130 through a network 120. Linked map data can be provided with a map of the ocean map.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유해생물 정보 처리 블록(210)과 데이터베이스 블록(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of the oce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harmful organism information processing block 210 and a database block 220.

도 2를 참조하면, 유해생물 정보 처리 블록(210)은 송수신부(211), 영상 정보 수집부(212), 생물종 판단부(213), 지도 맵핑부(214), 기상 연계 분석부(215), DB 관리부(21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블록(220)은 생물종 DB(222), 지도 DB(224), 해양 관측 DB(226) 및 기상 DB(2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est information processing block 210 includes a transceiver 211,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2, a species determination unit 213, a map mapping unit 214, and a weather linkage analysis unit 215. ), A DB management unit 216, and the like, and the database block 220 may include a species DB 222, a map DB 224, an ocean observation DB 226, a weather DB 228, and the like. have.

먼저, 송수신부(211)는 휴대 단말(110)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 예컨대 유해생물의 사진, GPS 좌표, 영상 촬영 시간 등을 포함하는 유해생물 영상 정보가 수신될 때 이를 영상 정보 수집부(212)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11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harmful organisms including marine image information, for example, harmful organisms image including the picture, GPS coordinates, image capture time, etc. of harmful organisms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it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transferring it to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2.

또한, 송수신부(211)는 DB 관리부(216)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인출되어 제공되는 해양 지도 정보, 즉 유해 생물종의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 또는 유해 생물종과 기상 자료, 해양 관측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 등을 네트워크(120)를 통해 휴대 단말(110) 또는 해양 관리 서버(14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ceiver 211 is under the control of the DB management unit 216 marine map information, which is drawn out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that is, marine map information or harmful species to which the analysis data of the harmful species is mapped And a map of the ocean map information mapped with the linkage analysis data in which the meteorological data and the ocean observation data are linked and analyz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or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network 120. have.

그리고, 영상 정보 수집부(212)는 송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생물종 판단부(213)로 전달하고, 해양 관측 DB(226)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해생물은, 예컨대 수생생물, 해양식물, 적조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2 collects harmful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11,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species determination unit 213, and stores the image in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Can provide. Here, the harmful organisms may mean, for example, aquatic organisms, marine plants, red tide, and the like.

다음에, 생물종 판단부(213)는 영상 정보 수집부(212)로부터 유해생물 영상 정보가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 블록(220) 내의 생물종 DB(222)를 탐색(예컨대, 학명 검색)함으로써, 유해생물의 생물종을 특정하는 분석 자료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when the harmful species ima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2, the species determination unit 213 searches for the species DB 222 in the database block 220 (eg, scientific name search), Function to generate analytical data that identifies the species of the organism.

이때, 유해생물에 대한 생물종이 특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속(genus) 수준에서 결정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생물종 DB에 기반한 영상 분석은, 예컨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species for a harmful organism is not specified, it may be determined at the genus level. Image analysis based on such a species DB may be performed by using an image analysis algorithm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블록(220) 내의 생물종 DB(222)에는 유해생물들을 포함하는 해양 생태계의 다양한 해양생물들에 대한 종 및 속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To this end, the species DB 222 in the database block 220 stores species and genus information of various marine organisms of the marine ecosystem including harmful organisms.

그리고, 지도 맵핑부(214)는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지도 DB(224)로부터 제공되는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킴으로써,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생성되는 해양 지도 정보들은 해양 관측 DB(226)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mapping unit 214 aggregates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s it to a target location on the marine map provided from the map DB 224, thereby generating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For example, the marine map information generated here may be stored in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여기에서,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에 맵핑시키는 과정은, 예컨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it on the ocean ma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period.

다음에, 기상 연계 분석부(215)는 기상 DB(228)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자료, 해양 관측 자료와 생물종 판단부(213)를 통해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함으로써 연계 분석 자료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연계 분석 자료를 해양 관측 DB(226) 및 지도 맵핑부(214)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eteorological linkage analysis unit 215 generates a linkage analysis data by combining and analyzing the weather data provided from the weather DB 228, the marine observation data, and the specified species through the species determination unit 213. In addition, the generated linkage analysis data may be provided to the ocean observation DB 226 and the map mapping unit 214.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블록(220) 내의 기상 DB(228)에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외부의 기상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수집한 기상 자료 및 해양 관측 자료들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상 자료로서는, 예컨대 온도, 습도, 강수량, 동서방향의 바람세기, 남북방향의 바람세기, 대류세기(공기의 위/아래 움직임 세기), 해양 표층온도, 심층온도, 염도, pH, 클로로필(Chlorophyl-a) 등이 포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weather DB 228 in the database block 220 may store weather data and ocean observation data collected from an external weather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network 120. Here, as the weather data,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wind strength in the east-west direction, wind strength in the north-south direction, convective strength (the strength of the up / down air movement), ocean surface temperature, depth temperature, salinity, pH, chlorophyll (Chlorophyl-a) and the like.

따라서, 지도 맵핑부(214)는 특정된 생물종들과 기상 자료 및 해양 관측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를 지도 DB(224)로부터 제공되는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킴으로써,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p mapping unit 214 maps the linkage analysis data in which the specified species and the meteorological data and the ocean observation data are linked and analyzed to the target position on the ocean map provided from the map DB 224, thereby providing the linkage analysis data. Mapped marine map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그리고, DB 관리부(216)는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140)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110)로부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B manager 216 extracts the marine map information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ransmits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140 at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network 120.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ap is received, the marine map information may be retriev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여기에서, 해양 지도 정보는, 유해 생물종의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이거나 혹은 유해 생물종과 기상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marine map information may b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analysis data of harmful species are mapped or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linkage analysis data is linked and analyzed by connecting harmful species and meteorological data.

또한, DB 관리부(216)는 외부의 지도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주기적(기 설정된 일정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지도 정보를 지도 DB(224)에 저장하거나 혹은 업데이트하고,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주기적(기 설정된 일정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공되는 기상 자료를 기상 DB(228)에 저장하거나 혹은 업데이트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B management unit 216 stores or updates map information provided periodically (predetermined period) or aperiodically from an external map server (not shown) in the map DB 224, and from an external weather server. It may provide a function such as storing or updating weather data provided periodically (predetermined fixed period) or non-periodically in the weather DB 228.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유해생물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processes for providing a pest monitoring service using the pest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집한 유해생물 영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유해생물 모니터링을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serving a pest monitoring service through analysis of pest image data collec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정보 수집부(212)에서는 휴대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송수신부(211)를 통해 수신되는 유해생물 영상 정보, 예컨대 유해생물의 사진, GPS 좌표, 영상 촬영 시간 등을 포함하는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302). 여기에서, 유해생물은, 예컨대 수생생물, 해양식물, 적조 등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2 displays harmful creatur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11, such as a photo of a living creature, GPS coordinates, an image capturing time, and the like. Collect harmful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 (302). Here, the harmful organisms may mean, for example, aquatic organisms, marine plants, red tide, and the like.

그리고, 생물종 판단부(213)에서는 영상 정보 수집부(212)로부터 유해생물 영상 정보가 전달되면, 데이터베이스 블록(220) 내의 생물종 DB(222)를 탐색(예컨대, 학명 검색)함으로써, 유해생물의 생물종을 특정하는 분석 자료를 생성한다(단계 304). 여기에서, 유해생물에 대한 생물종이 특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속(genus) 수준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Then, when the species identification unit 213 transmits the harmful organism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2, by searching for the species species 222 in the database block 220 (eg, scientific name search), Generate analytical data identifying the species of species (step 304). Here, if a species for a noxious organism is not specified, it may be determined at the genus level.

다음에, 지도 맵핑부(214)에서는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한 후(단계 306), 지도 DB(224)로부터 제공되는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킴으로써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308). 여기에서,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에 맵핑시키는 과정은, 예컨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map mapping unit 214 aggregates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step 306), and then maps the analysis data to the marine map information by mapping the analysis data to a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provided from the map DB 224. Generate (step 308). Here,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it on the ocean ma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a predetermined period.

그리고, DB 관리부(216)에서는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B manager 216 may extrac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and transmi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the remote marin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network 120.

한편, DB 관리부(216)에서는 송수신부(211)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부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310),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송수신부(211) 및 네트워크(120)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 전송한다(단계 312).On the other hand, the DB management unit 216 monitor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arine map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via the transceiver 211 (step 310), where the monitoring result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arine map is When received,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is extracted from the ocean observation DB 226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the transceiver 211 and the network 120 (step 31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집한 유해생물 영상 정보에 기상 자료를 연계시켜 기상 기반으로 유해생물 모니터링을 서비스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proces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based on weather by linking meteorological data to harmful creatur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DB 관리부(216)에서는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주기적(기 설정된 일정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집하여 기상 DB(228)에 저장되어 있는 기상 자료, 즉 특정된 생물종들과 결합하여 연계 분석하기 위한 기상 자료를 추출하여 기상 연계 분석부(215)로 전달한다(단계 402).Referring to FIG. 4, the DB manager 216 collects the data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rom an external meteorological server and stores the meteorological data stored in the meteorological DB 228, that is, with specific species. The weather data for linkage analysis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weather linkage analysis unit 215 (step 402).

그리고, 기상 연계 분석부(215)에서는 DB 관리부(216)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자료와 생물종 판단부(213)를 통해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함으로써 연계 분석 자료를 생성한다(단계 404). 여기에서, 기상 자료는, 예컨대 온도, 습도, 강수량, 동서방향의 바람세기, 남북방향의 바람세기, 대류세기(공기의 위/아래 움직임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eorological linkage analysis unit 215 generates a linkage analysis data by combining and analyzing the weather data provided from the DB manager 216 and the specified species through the species determination unit 213 (step 404). . Here, the weather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precipitation, wind strength in the east-west direction, wind strength in the north-south direction, convection strength (the strength of air movement up and down), and the like.

다음에, 지도 맵핑부(214)에서는 특정된 생물종들과 기상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를 집계한 후(단계 406), 지도 DB(224)로부터 제공되는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킴으로써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408). 여기에서, 특정된 생물종들과 기상 자료가 연계 분석된 연계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에 맵핑시키는 과정은, 예컨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map mapping unit 214 aggregates the linkage analysis data in which the specified species and the weather data are linked and analyzed (step 406), and then maps the target locations on the ocean map provided from the map DB 224. The ocean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is generated (step 408). Here,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mapping the linked analysis data in which the specified species and the meteorological data are linked and analyzed may be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이때, DB 관리부(216)에서는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B manager 216 may extrac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ed analysis data is mapped at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226 and transmit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the remote marine management server 140 through the network 120.

또한, DB 관리부(216)에서는 송수신부(211)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부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데(단계 410), 여기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해양 관측 DB(226)로부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송수신부(211) 및 네트워크(120)를 통해 휴대 단말(110)로 전송한다(단계 412).In addition, the DB management unit 216 monitors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11 (step 410), where the transmission request of the marine map is When received,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is extracted from the ocean observation DB 226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11 and the network 120 (step 412).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bination of 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us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It will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o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computer readable or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stor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implemented process to gener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possi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not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functionality involv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change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easily see this possible. That i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 유해생물 정보 처리 블록
211 : 송수신부
212 : 영상 정보 수집부
213 : 생물종 판단부
214 : 지도 맵핑부
215 : 기상 연계 분석부
216 : DB 관리부
220 : 데이터베이스 블록
222 : 생물종 DB
224 : 지도 DB
226 : 해양 관측 DB
228 : 기상 DB
210: harmful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block
211: transceiver
212: video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3: Species Judgment Unit
214: map mapping unit
215: Meteorological link analysis unit
216: DB management unit
220: database block
222: Species DB
224: Map DB
226: Ocean Observation DB
228: weather DB

Claims (18)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Collecting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of the ocea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image information to specify a species;
Compil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them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는,
유해생물 사진, GPS 좌표 및 영상 촬영 시간을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mful living image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s of pests, GPS coordinates, and imaging time
Method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는,
생물종 DB에 기반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mful living image information,
Analyzed through image analysis algorithm based on species DB
Method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to a marine managem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종의 특정 이후에 기상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기상 자료와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연계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연계 분석 자료를 상기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llecting meteorological data after identification of said species,
Combin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biological data and specified species;
Mapping the linkage analysis data generated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to a target position on the ocean map;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자료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수집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weather data,
Collected at regular intervals from an external weather server via the network.
Method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age analysis data is mapped to a marine management server at a predetermined period;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request for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ed analysis data is mapp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의 유해생물은,
수생생물, 해양식물, 적조 중 어느 하나인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mful organisms of the ocean,
Aquatic life, marine plants, or red tide
Methods of monitoring harmful organisms in the ocean.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llecting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of the ocea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image information to specify a species;
Compil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them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stored therein for allowing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arine pest monitoring method.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llecting harmful biological image information of the ocea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Analyzing the collected harmful image information to specify a species;
Compiling the analysis data of the specified species and mapping them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processor to perform the marine harmful monitoring method comprising a.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해양의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 정보 수집부와,
생물종 DB의 탐색을 통해 수집된 상기 유해생물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생물종을 특정하는 생물종 판단부와,
특정된 생물종들의 분석 자료를 집계하여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지도 맵핑부와,
상기 분석 자료가 맵핑된 해양 지도 정보를 저장하는 해양 관측 DB
를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An im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harmful marin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ortable terminal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 species determination unit for identifying a species by analyzing the harmful creatur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arch for a species DB;
A map mapping unit that aggregates analysis data of specified species and maps them to a target location on an ocean map;
Ocean observation DB for stor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analysis data is mapped
Marine pest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DB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DB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from the ocean observation DB and transmits to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of a remote location
Marine pest monito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B management unit,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marine map information is retriev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rine pest monitoring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집한 기상 자료를 저장하는 기상 DB와,
수집된 상기 기상 자료와 특정된 생물종들을 결합하여 연계 분석하는 기상 연계 분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도 맵핑부는,
상기 연계 분석을 통해 생성되는 연계 분석 자료를 상기 해양 지도상의 대상 위치에 맵핑시키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weather DB for storing weather data collected from an external weather server;
Meteorological linkage analysis unit for linkage analysis by combining the collected weather data and the specified species
More,
The map mapping unit,
Mapping the linkage analysis data generated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to the target location on the ocean map
Marine pest monitoring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원격지의 해양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DB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DB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ed analysis data is mapp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s to the marine management server of a remote location
Marine pest monitor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DB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해양 지도의 전송 요청이 수신될 때, 상기 해양 관측 DB로부터 상기 연계 분석 자료가 맵핑된 상기 해양 지도 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해양의 유해생물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DB management unit,
When the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arine map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marine map information, to which the linked analysis data is mapped, is extracted from the marine observation DB a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Marine pest monitoring device.
KR1020180055012A 2018-05-14 2018-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KR201901303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12A KR20190130393A (en) 2018-05-14 2018-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012A KR20190130393A (en) 2018-05-14 2018-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93A true KR20190130393A (en) 2019-11-22

Family

ID=6873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012A KR20190130393A (en) 2018-05-14 2018-05-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39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8B1 (en) * 2021-06-17 2022-01-14 (주)지오시스템리서치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arine life using imaging equipment
KR20230000568A (en) * 2021-06-25 2023-01-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nderwater living thing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KR102569406B1 (en) * 2022-10-06 2023-08-22 주식회사 아쎄따 System and server for monitoring green and red tide using multi-spectral camera, and method thereof
CN117909697A (en) * 2024-03-20 2024-04-19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Ocean resourc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big data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39B1 (en) 2012-09-05 2013-12-06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ocess for remote monitoring red tide and green tide occurr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039B1 (en) 2012-09-05 2013-12-06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ocess for remote monitoring red tide and green tide occurren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98B1 (en) * 2021-06-17 2022-01-14 (주)지오시스템리서치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arine life using imaging equipment
KR20230000568A (en) * 2021-06-25 2023-01-0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Underwater living thing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KR102569406B1 (en) * 2022-10-06 2023-08-22 주식회사 아쎄따 System and server for monitoring green and red tide using multi-spectral camera, and method thereof
CN117909697A (en) * 2024-03-20 2024-04-19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Ocean resourc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big data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03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ering marine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harmful organisms
Edney et al. Applications of digital imaging and analysis in seabird monitoring and research
JP6357140B2 (en) Image judgment method
JP7300796B2 (en) Predic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growth status or pest occurrence status
JP4849797B2 (en) Fishing ground prediction device
CN106776675B (en) Plant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de Santana Martins Rodgers et al. Ecological niche models for sand fly species and predicted distribution of Lutzomyia longipalpis (Diptera: Psychodidae) and visceral leishmaniasis in Bahia s tate, Brazil
Adams Conservation by algorithm
Byrne et al. Technical workflow development for integrating drone surveys and entomological sampling to characterise aquatic larval habitats of Anopheles funestus in agricultural landscapes in Côte d’Ivoire
Rovero et al. Camera trapping for conservation
Wolfson et al. Using piecewise regression to identify biological phenomena in biotelemetry datasets
Dorfling et al. Satellite, Aerial, and Ground Sensor Fusion Experiment for Management of Elephants and Rhinos and Poaching Prevention
Ireland et al. Testing unmanned aerial systems for monitoring wildlife at night
Solpico et al. Towards a web-based decision system for Philippine lakes with UAV imaging, water quality wireless network sensing and stakeholder participation
Rawlins et al. EDDMapS: invasive plant mapping handbook. The University of Georgia
Howell et al. Estimating standing biomass of exotic macrophytes using sUAS
Massawe et al. An intelligent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 tracking system for monitoring rhinos and elephants in Tanzania national parks: A review
KR102541215B1 (en) Underwater living thing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Mulero-Pázmány The future of technology in conservation
Nyberg et al. The conservation impact of botanical drones: Documenting and collecting rare plants from vertical cliffs and other h ard‐to‐reach areas
Morrison et al. Monitoring Technologies for Animal Welfare: a review of aspirations and deployments in zoos
CN116311530A (en) Piglet abnormal behavior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Kinect camera
Field et al. Sentinels of climate change: coastal indicators of wildlife and ecosystem change in Long Island Sound
Nater Evaluating methods to predict commuting flyways of Greater mouse-eared bats (Myotis myotis)
KR20220077270A (en)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for fisher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