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290A -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290A
KR20190130290A KR1020180054751A KR20180054751A KR20190130290A KR 20190130290 A KR20190130290 A KR 20190130290A KR 1020180054751 A KR1020180054751 A KR 1020180054751A KR 20180054751 A KR20180054751 A KR 20180054751A KR 20190130290 A KR20190130290 A KR 2019013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air filter
dust collecting
filter device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희
김주영
배귀남
이승복
정상빈
조유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0290A/ko
Publication of KR2019013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magne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64Impregn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의 국부적인 자기력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나노 및 마이크로 섬유는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져서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Magnetic Nanofiber Dust Collecting Air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중 존재하는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터널, 산업 공간 등, 밀폐된 시설 내부에서의 공기 질은 외부환기가 쉽지 않아 오염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 발생된 미세먼지 외에 지하철 레일에서 발생되는 중금속, 터널 내 자동자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발생되는 중금속, 용접, 절단, 그라인딩 등 다양한 산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중금속, 기타 등등 다양한 중금속 나노입자가 존재한다. 일반 미세먼지에 비하여 독성이 매우 큰 중금속 나노입자는 인체에 흡수될 시, 심혈관질환, 뇌졸중, 치매, 폐질환, 알러지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공기 질을 관리하기 위한 대표적인 저감장치로서 집진에어필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형태로서는, 폴리머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집진에어필터가 있다. 필터의 내부에서 대기 중 입자들은 충돌(Impaction), 인터셉션(Interception), 확산(Diffusion) 등과 같은 물리적인 부착 메커니즘에 의해 포집된다. 그러나, 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300nm인 나노 입자들은 이와 같은 물리적 입자 부착 메커니즘의 효율이 낮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집진에어필터의 포집 효율 향상이 요구된다. 집진에어필터의 대기 중 입자 표집 효율은 필터의 기공이 작아질수록, 밀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이 경우, 필터의 차압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입자 제거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집진에어섬유필터에 추가적인 외력을 이용하여 필터의 압력강하 없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다.
기존의 자기력(magnetic force)을 이용한 중금속 입자 제어연구로서, 금속 망에 영구자석을 결합한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조대 중금속 입자를 낮은 효율로 제거가 가능할 뿐, 비금속 미세먼지나 중금속 나노입자의 제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8-0017767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미세입자의 집진성능 뿐만 아니라 집진에어필터섬유 내부와 표면의 자성입자의 자기력을 활성화하여, 공기 중 중금속 나노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는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의 국부적인 자기력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나노 및 마이크로 섬유는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져서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는 내부와 표면에서 상기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는 상기 에어필터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에어필터의 양 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일 면에 복수 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일 면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자성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나노 섬유의 제조 및 상기 자성 입자의 함침은, 전기방사, 용융방사, 멜트 블로잉(Melt-Blowing), 건식법(Drylaid), 및 습식법(Wetlaid) 중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 입자는, FeO, Fe2O3, Fe3O4, 니켈 및 코발트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네오디움, 페라이트, 알리코 및 사마륨 코발트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전자기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성나노섬유를 이용하여 집진에어필터를 제조하고, 이를 자기장 인가장치와 결합함으로써, 집진에어필터의 압력강하 없이, 공기 중 미세입자 및 중금속 나노입자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에어필터에 함침된 자성 입자에 의해 활성화된 자기력을 이용하여 대기 중 중금속 나노입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의 기공을 줄이지 않더라도 높은 나노입자 제거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압력 강하와 높은 입자 포집 효율을 가지는 저에너지 고효율의 필터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자성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및 자성 입자가 포함된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a는 자성 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나노섬유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2b는 자성 입자가 포함된 자성나노섬유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기본적 구조 일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a 내지 4f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에 테스트 입자를 일정 시간 통과시킨 뒤 필터 장치의 각 위치 별로 입자가 포집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테스트 입자의 크기별 포집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300nm 테스트 입자에 대하여 각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포집 효율과 압력 강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300nm 테스트 입자에 대하여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품질(filter quality)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a는 하나의 자성부가 에어필터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8b는 복수의 자성부가 에어필터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9a는 긴 형태의 자성부가 복수로 이격되어 에어필터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9b는 긴 형태의 자성부가 에어필터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a는 긴 형태의 자성부가 에어필터의 양면에 배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0b는 긴 형태의 자성부가 에어필터의 양면에 배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a는 복수의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1b는 복수의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아무런 입자도 넣어주지 않은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진 컨트롤 필터와 20 wt%의 Fe3O4 나노입자를 포함한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 도 8a 내지 도 11b 참조)를 나타낸 것이다. 컨트롤 필터는 폴리머만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흰 색을 보이고,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는 함유하고 있는 Fe3O4의 검정색 때문에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빛을 보인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각 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섬유를 나타내는 TEM 사진이다. 컨트롤 필터의 섬유와 20wt% 필터의 자성나노섬유를 비교해 보았을 때 자성나노섬유의 직경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전기방사 과정에서 산화철(Fe3O4)을 넣어준 용액의 점도가 더 크기 때문에 더 큰 직경을 가지게 되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나노섬유가 더 큰 기공을 가진 집진에어필터를 형성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산화철(Fe3O4) 입자가 섬유의 안에 고르게 분포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입자들이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영향을 미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시스템의 구조의 일 예이다.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시스템은 흡입구,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 금속망 및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먼지와 중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된 공기의 흡입구 부분에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가 위치하고 그 뒤에는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금속망이 있고, 그 뒤에 자성부가 부착되어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다수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와 다수의 다양한 자성부의 배열을 통하여 이러한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f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포집 효율을 측정한 뒤 필터장치(100a)의 각 위치에 따라 포집된 입자의 분포를 SEM 사진을 통하여 나타낸 것이다. 포집효율에 대한 실험은 자성을 띠는 Fe2O3입자를 테스트 에어로졸로 사용하여, 필터 장치(100a)의 가운데 뒷면에 원통형의 네오디움 자석을 달아주어 자기력의 영향 아래 진행되었다. 각 위치별 SEM 사진을 보았을 때, 위치에 따라 큰 변화 없이 테스트 입자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석을 가운데에 달아주었는데도 위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필터 속에 도 2b에서와 같이 고르게 분산된 Fe3O4가 각 위치에서 자화됨으로써 자기력을 통하여 테스트 입자를 끌어당겨 포집한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0, 5, 10, 20 wt%의 폴리머 대비 Fe3O4 농도를 가지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포집효율을 테스트 입자의 입경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0 wt%의 컨트롤 필터에서 포집효율이 낮았던 100~300nm 크기 테스트 입자들에 대하여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자성입자 농도가 높아질수록 포집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자기력을 통하여 포집효율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준다.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시스템에서는, 미세먼지와 중금속미세입자가 필터 장치(100a)를 통과하는 동안 일반적인 물리적 메커니즘 과정에 의해 필터 장치(100a) 위에 포집되고, 이를 통해 포집되지 못한 중금속 미세입자는 자기력에 의해 흡착되어 제거된다.
도 6은 300nm 입자에 대한 각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압력강하와 포집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았듯 Fe3O4를 함유함에 따라 필터를 구성하는 자성나노섬유의 입경이 증가하여 필터의 기공이 커지기 때문에 압력 강하가 감소함을 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5에서 보았듯, 기공이 커졌음에도 자기력으로 인해 포집효율이 증가한다. 이를 통하여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를 이용하면 포집효율을 높이면서도 압력 강하를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Fe3O4 농도에 따라 포집효율, 압력강하를 통해 계산한 필터 품질(filter quality)을 나타낸다. 필터 품질은 필터의 전체 효율을 판단하는 지표로, 포집효율에 비례하고 압력강하에 반비례한다. 도 6의 결과에 따라 계산하였을 때, Fe3O4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필터 품질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자성나노입자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가 효율적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 발명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100h)는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에어필터(10)를 포함한다.
에어필터(10)를 형성하는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는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로 인해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는 나노 및 마이크로 섬유의 국부적인 자기력을 활성화시키도록 져서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 가능하게 한다. 자성 입자의 함침은, 전기방사, 용융방사, 멜트 블로잉(Melt-Blowing), 건식법(Drylaid), 및 습식법(Wetlaid) 중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는 내부와 표면에서 상기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 입자는, 산화철(FeO), 산화철(Fe2O3), 산화철(Fe3O4) 니켈 및 코발트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는 에어필터(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자성부(20a, 20b, 2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20a, 20b, 20c)는 네오디움, 페라이트, 알리코 및 사마륨 코발트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자성부(20a, 20b, 20c)는 전자기석일 수 있다.
도 8a는 하나의 자성부(20a)가 에어필터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8b는 복수의 자성부(20a)가 에어필터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a와 같이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의 중앙에 자석을 배치하거나 다수의 자석을 8b와 같이 균일하게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b)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는 필터 위 자기장이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a 및 9b에는 자성부(20b, 20c)가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된다.
도 9a는 긴 형태의 자성부(20b)가 복수로 이격되어 에어필터(10)에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c)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9b는 긴 형태의 자성부(20c)가 에어필터(10)의 가장자리에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d)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a는 긴 형태의 자성부(20b)가 에어필터(10)의 양면에 배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e)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0b는 긴 형태의 자성부(20b)가 에어필터(10)의 양면에 배치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f)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e, 100f)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자성부(20b)를 에어필터(10)의 양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1a는 복수의 에어필터(10)를 포함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g)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11b는 복수의 에어필터(10)를 포함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h)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1a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g)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1b의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h)는 단계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미세먼지와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100a)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의 국부적인 자기력을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나노 및 마이크로 섬유는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져서 미세먼지 및 중금속 나노입자를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및 마이크로 섬유는 내부와 표면에서 상기 자성 입자의 함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자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에어필터의 양 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일 면에 복수 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에어필터의 일 면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자성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의 제조 및 상기 자성 입자의 함침은,
    전기방사, 용융방사, 멜트 블로잉(Melt-Blowing), 건식법(Drylaid), 및 습식법(Wetlaid) 중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입자는,
    FeO, Fe2O3, Fe3O4, 니켈 및 코발트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네오디움, 페라이트, 알리코 및 사마륨 코발트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전자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KR1020180054751A 2018-05-14 2018-05-14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KR20190130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51A KR20190130290A (ko) 2018-05-14 2018-05-14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751A KR20190130290A (ko) 2018-05-14 2018-05-14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290A true KR20190130290A (ko) 2019-11-22

Family

ID=6873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751A KR20190130290A (ko) 2018-05-14 2018-05-14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02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67A (ko) 2016-08-11 2018-02-21 주유열 금속입자 제거용 자성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767A (ko) 2016-08-11 2018-02-21 주유열 금속입자 제거용 자성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4591B (zh) 带静电的纳米纤维介质及其制造方法
Kim et al. Electrospun magnetic nanoparticle-decorated nanofiber filter and its applications to high-efficiency air filtration
Mao Nonwoven fabric filters
EP1434014A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Huang et al. Electrospun polyvinylidene fluoride containing nanoscale graphite platelets as electret membrane and its application in air filtration under extreme environment
Sharma et al. Graphene oxide/silver nanoparticle (GO/AgNP) impregnated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for potential application in air filtration
RU2008143241A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ультрамелкие или наноразмерные порошки
CN112275045A (zh) 一种具有静电纺丝纳米纤维布的过滤装置及口罩
CN207445874U (zh) 一种除尘系统用空调机组
Yin et al. Nanofibrous filters for PM2. 5 filtration: Conception, mechanism and progress
CN205073817U (zh) 便于维护的双体插接空气净化滤芯
KR20190130290A (ko) 자성나노섬유 집진에어필터 장치
CN110960925A (zh) 一种抗静电熔喷复合抗菌纳米纤维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CN103706182A (zh) 一种球线组合型复合纤维空气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CN112275044A (zh) 一种具有静电纺丝纳米纤维布的过滤装置及口罩
Deng et al. High filtration efficiency fluffy material: Nano-fiber constructing gradient structure on recycled curved PET micro-fibers web
KR101205294B1 (ko) 공기 청정기의 헤파필터
CN107044366B (zh) 用于汽车的长寿命空气过滤器和制造该长寿命空气过滤器的方法
JPH11267236A (ja) 抗菌性帯電フィルター
Bortolassi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hepa filter media for removing nickel oxide nanoparticles from air filtration
CN215137801U (zh) 一种具有静电纺丝纳米纤维层的过滤装置及口罩
KR102157444B1 (ko) 고성능 공기정화필터용 다중층 구조 필터여재
CN209569094U (zh) 空气滤清器及包括该空气滤清器的内燃机
JP2020069456A (ja) 鉄粉除去用エアフィルタおよびその清掃方法
CN111111906A (zh) 一种收集含铁颗粒物的磁性集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