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22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22A
KR20190129222A KR1020180053529A KR20180053529A KR20190129222A KR 20190129222 A KR20190129222 A KR 20190129222A KR 1020180053529 A KR1020180053529 A KR 1020180053529A KR 20180053529 A KR20180053529 A KR 20180053529A KR 20190129222 A KR20190129222 A KR 20190129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roviding
identification name
providing source
identification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3833B1 (ko
Inventor
김벽선
박경재
최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33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48 priority patent/WO2019216529A1/en
Priority to EP19799398.3A priority patent/EP3759617A4/en
Priority to CN201980031260.6A priority patent/CN112189194A/zh
Priority to US16/274,427 priority patent/US11032601B2/en
Publication of KR2019012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3Query formulation using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부 및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소스에 관한 다양한 명칭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된 주변기기(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스피커, 모바일, PC 등) 또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컨텐츠 소스를 제공받는다.
종래에는 이러한 주변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컨텐츠 제공 소스)을 선택하기 위해 이러한 컨텐츠 제공 소스의 명칭을 음성으로 정확히 발화하거나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소스의 약어 또는 변경되기 전의 명칭 등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이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제공 소스의 명칭이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더라도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매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상기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에 상기 식별 명칭 또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하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별 명칭 또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하위 명칭이 포함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인포 프레임 (Infoframe)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는, 컨텐츠 제공 업자 및 컨텐츠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일 수 있다.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상기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소스의 명칭이 다양한 형태로 입력되더라도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컨텐츠 제공 소스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불럭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식별 명칭 및 다른 식별 명칭이 저장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하고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소스를 나타내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식별 명칭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이 이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 및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셋탑 박스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으로 구현되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전자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컨텐츠 제공 업자 및 컨텐츠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업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기기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스피커,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한 다양한 식별 명칭을 획득하여,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소스를 대표적인 명칭과 다른 명칭으로 입력하더라도 사용자가 의도하는 컨텐츠 제공 소스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전자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1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이 매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AAA사"의 셋탑 박스가 연결된 경우, "AAA사"의 식별 명칭(예를 들어, AAA)에 해당되는 명칭 및 로고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다른 이름인 다른 식별 명칭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식별 명칭이란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별 명칭과 의미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동일하지만, 이름이 다른 명칭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식별 명칭이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사업자 명칭인 경우, 다른 식별 명칭은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서비스 명칭, 제조사 명칭, 브랜드 명칭, 인수 합병 이전 또는 이후의 명칭, 약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명칭이 "AAA"로 사업자 명칭인 경우, "AAA"의 브랜드 명칭인 "BBB"가 다른 식별 명칭으로서 프로세서(130)에 의해 획득되어 저장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Zigbee,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wav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는 인포 프레임 (Infoframe)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인포 프레임은 소스에서 싱크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포함된 구조이며, 이러한 데이터에는 비디오 스트림, 오디오 스트림,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고유한 식별 번호, 식별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명칭은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브랜드 명칭, 서비스 명칭, 사업자 명칭, 제조사 명칭, 인수합병 이전 또는 이후의 명칭 및 로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포 프레임에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사업자 명칭, 브랜드 명칭, 제조사 명칭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130)는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나타내는 다양한 명칭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AAA"라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브랜드 명칭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특정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는 동일하지만,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식별 명칭이 이전의 식별 명칭과 상이한 경우 이를 다른 식별 명칭으로 식별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식별 정보가 "AAA"이고, 제2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식별 정보도 "AAA"로 동일하지만, 제1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포함된 명칭이 "AAA"이고, 제2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포함된 명칭이 "BBB"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BBB"를 "AAA"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인식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영상 인식 기술 등에 기초하여 영상에 포함된 명칭을 식별할 수 있다. OCR 및 영상 인식 기술 등은 종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미도시)를 통해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식별 명칭과 연관된 다른 식별 명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식별 명칭 및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는 인수, 합병, 명칭 변경, 약어 및 로고 변경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가 함께 기재된 웹 문서 등을 검색하고, 검색된 웹 문서에서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하여 전자 장치(1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AAA"라는 식별 명칭 및 "인수 또는 합병"이라는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AAA" 및 "인수 또는 합병"이 함께 기재된 웹 문서 등을 식별하고 인수 또는 합병 이후의 변경된 명칭 "BBB"를 획득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는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가 함께 기재된 웹 문서 등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문서 등에서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는 "AAA" 및 "인수 또는 합병"이 함께 기재된 웹 문서 등을 검색하여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문서 등에서 인수 또는 합병 이후의 변경된 명칭 "BBB"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단순히 식별 명칭 만을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웹 문서 등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웹 문서를 분석하여 식별 명칭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웹 클러스터링 (web clustering)에 기초하여 다른 식별 명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링이란 유사성에 기초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OCR 등에 기초하여 웹 문서 등에서 식별 명칭과 유사한 명칭에 관한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검색 결과로부터 식별 명칭과 유사한 명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서버로부터 유사한 명칭이 검색된 웹 문서 등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OCR 등에 기초하여 수신된 웹 문서 등에서 식별 명칭과 유사한 명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기존에 저장된 식별 명칭 및 상술한 동작에 의해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이 동일한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응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명칭이 "AAA"인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이 "BBB"임을 상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BBB 틀어줘" 또는 "BBB에서 501번 틀어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서 "BBB"를 식별하여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를 선택하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를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를 실행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에 포함된 채널 501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AAA"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와 동일하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의 하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위 명칭을 포함하는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포함된 방송 채널이 있는 경우, 해당 방송 채널의 명칭은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의 하위 명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의 하위 명칭이 포함되면, 프로세서(130)는 하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하위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실행하여 하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하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CC" 채널이 컨텐츠 제공 소스인 "AAA" 및 "BBB"에 포함된 경우, 즉 "OCC" 채널 명칭이 "AAA" 및 "BBB"의 하위 명칭인 경우를 상정한다. 사용자 명령에 "OCC"가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컨텐츠 제공 소스 "AAA" 및 "BBB"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사용자 명령에 하위 명칭이 포함되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에 "OCC"채널이 포함되어 "AAA" 및 "BBB"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UI가 제공되고, 사용자로부터 "AAA"를 선택받는 빈도 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BBB"보다 먼저 도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OCC"채널이 포함되면 별도의 UI를 제공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AAA" 컨텐츠 제공 소스를 실행하여 "OCC"채널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하나가 사용자로부터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선택 빈도 수에 관계없이 설정된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아닌 식별 명칭이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AAA 틀어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AAA"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를 선택하는 명령으로 인식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마이크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원격 제어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관련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음성 인식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관련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Speech to Text)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STT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화하여 변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STT 기능을 구비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인포 프레임 또는 영상 인식과 같은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초하여 기존의 로고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로고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변경된 로고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는 동일하나,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식별된 로고가 기존에 저장된 로고와 상이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변경된 로고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경된 로고에 기초하여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경 전의 로고를 제1 로고, 변경 후의 로고를 제2 로고로 상정하고, 상술한 동작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1 로고 및 제2 로고가 동일한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로고임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전에 "AAA"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제1 로고를 사용한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명칭이 "BBB"로 변경되고 제1 로고가 제2 로고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되면,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2 로고가 제1 로고의 다른 식별 명칭 임에 기초하여 "BBB"를 "AAA"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BBB"를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식별 명칭이 "BBB", "CCC" 및 "DDD"로 3개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이러한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사용되는 사용 빈도를 식별하고,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BBB", "CCC" 및 "DDD"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BBB"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DDD"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 "BBB"와 먼저 비교하고, "CCC"및 "DDD"순서로 비교하여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BBB 틀어줘" 또는 "BBB에서 501 채널 틀어줘"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BBB"와 먼저 비교하여 일치하는 다른 식별 명칭이 사용자 명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비교함으로써 프로세서(130)에서의 연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각 컨텐츠 제공 소스(200) 별로 이를 나타내는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포함된 UI 상에 각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나타내는 "AAA", "BBB", "CCC" 등의 식별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AAA"의 다른 식별 명칭인 "PPP"의 사용 빈도가 "AAA" 보다 높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상의 UI에 표시되는 "AAA"를 "PPP"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명칭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30)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으면,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새로운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식별되는 경우, 새로운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인포 프레임에 포함된 식별 정보,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외부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와 관련된 검색 결과 중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 및 다른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식별 명칭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적절한 다른 식별 명칭을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의 프로세서의 구체적인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불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부(110), 통신부(120),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인터페이스(150), 마이크(160) 및 리모컨 신호 수신부(17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CPU(13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저장부(11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140)는 동영상 컨텐츠 또는 그에 대한 요약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된 전자 장치(예를 들어,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되지 않은 셋탑 박스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으로 구현되어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를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50)는 외부 전자 장치(미도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입출력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셋탑 박스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스피커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15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함께 외부 전자 장치로 송수신하거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각각 외부 전자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오디오 신호가 함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경우, 인터페이스(150)는 HDMI, DP, RGB, DVI, 썬더볼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16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160)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원격 제어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로부터 발송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70)는 IR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방식으로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170)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통신부(120) 내의 블루투스 모듈이 리모컨 신호 수신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식별 명칭 및 다른 식별 명칭이 저장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전자 장치(100)는 TV로 구현되고, 다른 식별 명칭은 복수 개인 것으로 상정한다. 다만,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식별 명칭은 단수 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은 컨텐츠 제공 소스(200)와 전자 장치(100)가 연결 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설치 시에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 제공 소스, 제2 컨텐츠 제공 소스 및 제3 컨텐츠 제공 소스의 각 식별 명칭은 컨텐츠 제공 소스(200)와 전자 장치(100)가 연결 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설치 시에 전자 장치(10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1 컨텐츠 제공 소스, 제2 컨텐츠 제공 소스 및 제3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제1 다른 식별 명칭 및 제2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명령에 제1 컨텐츠 제공 소스의 제2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더라도 전자 장치(100)는 제2 다른 식별 명칭이 제1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것을 인식하여 제1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명칭이 포함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하고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에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510).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 결과 또는 텍스트 인식 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마이크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마이크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원격 제어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관련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음성 인식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관련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Speech to Text)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TT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화하여 변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STT 기능을 구비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인포 프레임, 영상 인식, OCR 및 외부 서버를 통한 식별 명칭 관련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20).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525).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기존에 저장된 식별 명칭 및 상술한 동작에 의해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이 동일한 소스에 대응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의 인식 결과를 저장된 식별 명칭 및 다른 식별 명칭과 비교할 수 있다(S530).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35).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S535-Y), 전자 장치(100)는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명칭이 "AAA"인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이 "BBB"임을 상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BBB 틀어줘" 또는 "BBB에서 501번 틀어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서 "BBB"를 식별하여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선택하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45).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선택하여 실행하거나,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실행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포함된 채널 501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BBB"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AAA"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와 동일하다.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아닌 식별 명칭이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S535-N), 전자 장치(100)는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과 유사한 명칭을 획득하고, 획득된 명칭이 사용자 명령의 인식 결과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S550).
여기서, 유사한 명칭이란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의 일부 명칭 또는 각 어절의 초성 또는 첫 글자를 조합한 명칭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Abc Cde Efg"인 경우, 유사한 명칭은 "Abc", "Cde", "Efg", "Abc Cde", "Abc Efg", "Cde Efg", "ACE"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유사한 명칭을 획득하는 동작을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지 않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전에 미리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유사한 명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유사한 명칭 또한 다른 식별 명칭일 수 있다.
식별 명칭 또는 다른 식별 명칭에 유사한 명칭이 사용자 명령에 포함된 경우(S550-Y), 전자 장치(100)는 유사한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이 "Abc Cde Efg"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BBB", "CCC" 및 "DDD"라는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이 "ACE 틀어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식별 명칭 및 다른 식별 명칭인 "Abc Cde Efg", "BBB", "CCC" 및 "DD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하고 이와 유사한 명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Abc Cde Efg"각 어절의 초성 또는 첫 글자에 해당되는 "A", "C"및 "D"를 조합하여 "ACE"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ACE"가 포함되어 있음을 식별하고 "ACE"에 대응되는 즉, "Abc Cde Efg"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소스를 나타내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컨텐츠 제공 기기(610) 및 컨텐츠 제공 업자(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기기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포트 등의 유선 통신 방법 또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셋탑 박스, TV, USB, 스피커, 휴대폰 등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업자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A 블루레이 플레이어", "B 셋탑 박스", "C TV", "D USB" 및 "AAA", "BBB" 및 "CCC"등의 식별 명칭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 상에 각 컨텐츠 제공 소스(200) 별로 이를 나타내는 명칭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200)가 포함된 UI 상에 각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나타내는 "AAA (630)", "BBB", "CCC" 등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AAA (630)"의 다른 식별 명칭인 "PPP"의 사용 빈도가 "AAA" 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40) 상의 UI에 표시되는 "AAA"를 "PPP (640)"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명칭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으면,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식별 명칭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다른 식별 명칭의 유형에는 긴 명칭 및 짧은 명칭, 서비스 명칭과 사업자 명칭, 인수 합병 이전 또는 이후의 명칭, 제조사 명칭, 다국어 변역 명칭이 있다. 다만, 다른 식별 명칭의 유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식별 명칭이 "Abc Cde Efg"로 복수의 어절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각 어절의 첫 글자 또는 초성을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A", "C", "E"를 조합한 "ACE"를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식별 명칭의 일부를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Abc", "Cde", "Efg", "Abc Cde", "Abc Efg", "Cde Efg"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서비스 명칭이 식별 명칭으로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서비스 명칭에 대응되는 사업자 명칭을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서비스 명칭이 "AAA"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사업자 명칭으로서 다른 식별 명칭인 "BBB"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인수 합병 이전의 명칭이 식별 명칭으로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에 기초하여 인수 합병 이후의 명칭을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수 합병 이전의 명칭이 "CCC"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인수 합병 이후의 명칭인 "DDD"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특정 언어의 명칭이 식별 명칭으로 저장된 경우, 다른 언어의 명칭을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KTV"가 특정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KKTV" 에 대응되는 한국어 "한국 방송"을 다른 식별 명칭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이 이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따르면,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810)은 컨텐츠 제공 소스 인식 모듈(820), 디스플레이 장치(830) 및 음성 인식 관련 서버(84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소스 인식 모듈(820)은 컨텐츠 제공 소스(200)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서 새로운 외부 장치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거나,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장치(100)에 설치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 인식 모듈(820)은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 소스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 제공 소스 인식 모듈(820)은 저장된 식별 명칭이 아닌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810)에 해당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저장된 식별 명칭과 동일한 컨텐츠 제공 소스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식별 명칭이 "AAA"이고,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810)이 "BBB"인 경우를 상정한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에 "BBB"가 포함된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 인식 모듈(820)은 "BBB"를 새로운 컨텐츠 제공 소스로 인식하지 않고 "AAA"와 동일한 컨텐츠 제공 소스로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AAA"와 별도로 "BBB"를 새로운 컨텐츠 제공 소스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도 6과 같이 각 컨텐츠 제공 소스를 나타내는 명칭을 디스플레이 장치(83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83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830)에 표시되는 명칭을 식별 명칭이 아닌 다른 식별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식별 명칭을 대신하여 다른 식별 명칭을 디스플레이 장치(8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가 포함된 UI 상에 각 컨텐츠 제공 소스를 나타내는 "AAA", "BBB", "CCC" 등의 식별 명칭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AAA"의 다른 식별 명칭인 "PPP"의 사용 빈도가 "AAA" 보다 높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UI 상에 표시되는 "AAA"를 "PPP"로 변경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8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140)가 구비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으면, 다른 식별 명칭이 UI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4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810)을 음성 인식 관련 서버(8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 관련 서버(840)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Speech to Text) 서버로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뿐만 아니라 변환된 텍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식별 명칭이 "AAA"이고, 획득된 다른 식별 명칭(810)이 "BBB"인 경우를 상정한다. 일 예로, 음성 인식 관련 서버(840)는 사용자 명령에 "BBB"가 포함된 경우, 음성 인식 관련 서버(840)는 "BBB"를 새로운 컨텐츠 제공 소스로 인식하지 않고 "AAA"와 동일한 컨텐츠 제공 소스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이 매핑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는,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910). 여기서, 식별 정보는 인포 프레임 (Infoframe)에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소스(200)는 컨텐츠 제공 업자 및 컨텐츠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업자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컨텐츠 제공 기기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셋탑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스피커, 휴대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920).
전자 장치는, 식별 명칭 및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식별 명칭 및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소스(200)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거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마이크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에 마이크가 구비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는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마이크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원격 제어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관련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음성 인식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관련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 (Speech to Text) 서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TT 서버는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화하여 변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STT 기능을 구비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사용자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명령은 텍스트로 입력되는 명령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매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식별 명칭이 "BBB", "CCC" 및 "DDD"로 3개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명령에 이러한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사용되는 사용 빈도를 식별하고,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 "BBB", "CCC" 및 "DDD"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은 경우, 전자 장치는 "BBB"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DDD"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된 "BBB"와 먼저 비교하고, "CCC"및 "DDD"순서로 비교하여 사용4자 명령에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이 "BBB 틀어줘" 또는 "BBB에서 501 채널 틀어줘"인 경우, 전자 장치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BBB"와 먼저 비교하여 일치하는 다른 식별 명칭이 사용자 명령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비교함으로써 전자 장치에서의 연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전자 장치 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동작은,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획득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상술한 다른 식별 명칭을 획득하는 동작을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또는 Recurrent Neural Network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저장부
120: 통신부 130: 프로세서
140: 디스플레이 150: 인터페이스
160: 마이크 170: 리모컨 신호 수신부

Claims (20)

  1.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매핑하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상기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에 상기 식별 명칭 또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하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별 명칭 또는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위 명칭에 대응되는 컨텐츠 제공 소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하위 명칭이 포함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소스 중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인포 프레임 (Infoframe)에 포함된 정보인,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는,
    컨텐츠 제공 업자 및 컨텐츠 제공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음성 명령이며,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식별 명칭의 변경과 관련된 키워드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명칭 및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제어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기설정된 로고 영역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복수 개이면,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을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매핑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다른 식별 명칭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가 상기 식별 명칭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다른 식별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의 상기 식별 명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소스에 대응되는 다른 식별 명칭으로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80053529A 2018-05-10 2018-05-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29A KR102453833B1 (ko) 2018-05-10 2018-05-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9/001648 WO2019216529A1 (en) 2018-05-10 2019-02-12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799398.3A EP3759617A4 (en) 2018-05-10 2019-02-12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CEDURE FOR IT
CN201980031260.6A CN112189194A (zh) 2018-05-10 2019-02-12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6/274,427 US11032601B2 (en) 2018-05-10 2019-02-13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29A KR102453833B1 (ko) 2018-05-10 2018-05-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22A true KR20190129222A (ko) 2019-11-20
KR102453833B1 KR102453833B1 (ko) 2022-10-14

Family

ID=6846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29A KR102453833B1 (ko) 2018-05-10 2018-05-1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32601B2 (ko)
EP (1) EP3759617A4 (ko)
KR (1) KR102453833B1 (ko)
CN (1) CN112189194A (ko)
WO (1) WO2019216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DE212014000045U1 (de) 2013-02-07 2015-09-24 Apple Inc. Sprach-Trigger für einen digitalen Assistenten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DK201770427A1 (en) 2017-05-12 2018-12-20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84B2 (en) *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2628A (en) * 1994-07-12 1997-07-2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roadcast signals and station information
US20130038795A1 (en) * 2007-03-13 2013-02-1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20130145395A1 (en) * 2011-12-06 2013-06-0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23185A1 (en) * 2012-10-3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20170006329A1 (en) * 2011-07-19 2017-01-0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9971B2 (ja) 1995-07-28 2004-10-20 マツダ株式会社 車載用地図表示装置
AU2003277587A1 (en) 2002-11-11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ech recognition dictionary creation device and speech recognition device
KR100989500B1 (ko) 2004-01-28 2010-10-22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인식 파라미터 공유 방법
CN100596135C (zh) * 2006-06-09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内容提供商优先级的系统和方法
KR101431835B1 (ko) 2008-01-03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업용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5694357B2 (ja) 2009-11-25 2015-04-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向上された画像データ/線量低減
US8607276B2 (en) * 2011-12-02 2013-12-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a keyword of a voice search reques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150189390A1 (en) * 2012-06-14 2015-07-02 Flextronics Ap, Llc Media center
US9189196B2 (en) * 2013-03-14 2015-11-17 Google Inc. Compartmentalized self registration of external devices
JP6167605B2 (ja) 2013-03-28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声認識システム
JP6092734B2 (ja) 2013-07-29 2017-03-0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機器
US10170123B2 (en) *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542395B2 (en) * 2014-08-29 2017-01-1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lternative names
US11308154B2 (en) * 2016-08-17 2022-04-19 Baidu Usa Ll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overlay content provider information on images matched with content items in response to search quer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2628A (en) * 1994-07-12 1997-07-2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broadcast signals and station information
US20130038795A1 (en) * 2007-03-13 2013-02-14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ption method
US20170006329A1 (en) * 2011-07-19 2017-01-0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45395A1 (en) * 2011-12-06 2013-06-0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123185A1 (en) * 2012-10-3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9617A4 (en) 2021-04-28
WO2019216529A1 (en) 2019-11-14
EP3759617A1 (en) 2021-01-06
CN112189194A (zh) 2021-01-05
US20190349622A1 (en) 2019-11-14
KR102453833B1 (ko) 2022-10-14
US11032601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83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14099B2 (en) Method of providing voice comman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437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US10120645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76154B2 (en) Processing natural language user inputs using context data
KR10240712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996517B2 (en) Audio input of field entries
US119615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8984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40142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5735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73634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abbreviated content n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580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5246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46888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4898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therefor
US2023035070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48334A (ko) 전자 장치, 음성 인식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