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83A -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83A
KR20190129183A KR1020180053448A KR20180053448A KR20190129183A KR 20190129183 A KR20190129183 A KR 20190129183A KR 1020180053448 A KR1020180053448 A KR 1020180053448A KR 20180053448 A KR20180053448 A KR 20180053448A KR 20190129183 A KR20190129183 A KR 2019012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hose
refrigerator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173B1 (ko
Inventor
김하은
김나은
Original Assignee
김하은
김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은, 김나은 filed Critical 김하은
Priority to KR10201800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1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동고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에 물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에 보조 냉동실 도어를 설치함과 더불어 보조 냉동실 도어 안쪽에 물통 등 급수시설을 구비하여, 보조 냉동실 도어 오픈 상태에서 물통에 물을 채운 후에 보조 냉동실 도어를 닫으면 얼음용기에 자동으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급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쉬우며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배관에 남아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관 막힘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등 기능성 및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ice maker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용(製氷用)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동고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에 물을 자동으로 채워주는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서로 구획되어 있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식품을 저온 저장하고 물을 얼려주는 냉장고의 기본적인 기능을 갖춘 일반 냉장고 뿐만 아니라, 냉장실, 냉동실, 디스펜스 및 제빙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 냉장고의 수요가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일반 냉장고에서 얼음을 얼리기 위해 얼음용기에 물을 채우는 방법은 냉동실의 도어를 열고 얼음용기에 직접 물을 붓거나, 얼음용기를 꺼내서 물을 채운 후에 다시 넣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냉동실 도어를 열 때 냉기가 빠져나가면서 에너지 낭비가 심하고, 얼음용기에 물을 부을 때 주변에 물을 흘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 등 위생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복합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의 내부에 별도의 제빙기를 구비하고, 냉동실의 냉기를 이용함과 더불어 급수호스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용기에서 얼음을 얼릴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54939호에는『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구조』는 외부 급수원(10)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은 솔레노이드밸브(12)에 의해 냉장고 내부에 제공된 물통(13)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물통(13)의 배출측을 디스펜서와 자동 제빙기(17)로 연결되는 급수 파이프(14)에 연결하고, 상기 급수 파이프(14)에 솔레노이드밸브(15)가 제공되어 물통의 냉각된 물을 냉동실과 냉장실의 격벽(19)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솔레노이드밸브(15)에 연결된 급수파이프(18)를 통해 자동 제빙기(17)로 공급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구조』는 별도의 제빙기, 디스펜서, 배관 등을 갖추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등 구조적인 측면 및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배관 내에 남아 있는 잔수(殘水)가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 결빙되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배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5493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49234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에 보조 냉동실 도어를 설치함과 더불어 보조 냉동실 도어 안쪽에 물통 등 급수시설을 구비하여, 보조 냉동실 도어 오픈 상태에서 물통에 물을 채운 후에 보조 냉동실 도어를 닫으면 얼음용기에 자동으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급수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쉬우며 사용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배관에 남아 있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관 막힘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등 기능성 및 사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냉동실 도어와,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단부에 연통됨과 더불어 지지되면서 아래로 연장 설치되고 냉동실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에 물을 채워주는 급수용 호스와, 상기 물통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급수용 호스측과 연결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호스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보조 냉동실 도어을 열고 물통에 물은 채운 다음, 보조 냉동실 도어를 닫으면 물통의 물이 급수용 호스를 통해 아래로 흐르면서 얼음용기에 채워지도록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호스 개폐장치는 보조 냉동실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ON/OFF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호스 개폐장치는 물통의 배출구 내에 위치되어 스프링 탄력을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배출구를 개폐하는 플런저와, 보조 냉동실 도어측에 지지되는 동시에 급수용 호스와 연결되면서 상단의 구면부를 통해 플런저와 접촉하면서 플런저를 상대적으로 위로 동작시켜주는 플런저 작동기를 포함하는 접촉식 개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급수용 호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받아 동작하면서 급스용 호스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급수용 호스에 남아 있는 잔수를 제거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 호스는 물의 흐름방향을 수회 전환시키기 위해 물통측으로 향하는 메인 수직관과, 상기 메인 수직관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서브 수직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음용기에 물을 채울 때 물의 흐름이 수차례 꺽이면서 물이 얼음용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장고의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냉동실 도어를 열어 물통에 물을 채우고 보조 냉동실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물통의 물이 얼음용기에 채워지도록 하는 새로운 급수장치를 적용함으로써, 얼음용기를 밖으로 꺼내지 않고도 자동으로 물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냉동실 도어 전체를 열지 않고도 얼음용기에 물을 채울 수 있기 때문에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등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 점유율도 낮으며 부품수 또한 적기 때문에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취급이나 관리, 청소 등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셋째, 물 공급을 위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브레이터(소형 진동모터)의 작동을 통해 배관에 남아 있는 잔수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배관이 결빙되어 막히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에서 호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에서 호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에서 호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냉동실 도어를 열고 닫거나, 또는 얼음용기를 밖으로 꺼내고 다시 집어넣거나 하지 않고도 얼음용기에 물을 손쉽게 채울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냉장고(10)의 냉동실 도어(11)에 설치되는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는 냉동실 도어(11)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면서 냉동실 도어(11)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도어이다.
이러한 보조 냉동실 도어(12)는 상단부의 손잡이(21)를 가지면서 하단부의 힌지부(22)를 이용하여 냉장고 앞쪽으로 일정각도 젖혀지는 구조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13)을 포함한다.
상기 물통(13)은 마개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통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바닥에 해당하는 저면부에는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물통(13)의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통(13)은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각형이나 원형 틀 구조의 케이스(23) 내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물통(13)은 세척 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위아래로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13)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눈금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물, 예를 들면 얼음용기(15)의 용적에 상응하는 용량의 물을 정확하게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물통(13)에 들어 있는 물을 얼음용기(15)쪽으로 흘려서 보내주는 수단으로 급수용 호스(16)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물통(13)의 하단부, 예를 들면 물통(13)의 배출구(19)에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물통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급수용 호스(16)의 하단부는 냉동실(14)에 놓여져 있는 얼음용기(15)의 바로 윗쪽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통(13)의 배출구(19)를 빠져나온 물은 급수용 호스(16)를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려온 후에 얼음용기(15)에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급수용 호스(16)의 설치구조에 대한 일 예로서,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상단부를 통해 물통(13)의 배출구(19)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후술하는 호스 개폐장치(17),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17a)의 배출측에 체결 구조로 연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17a)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물의 흐름방향을 수회 전환시켜서 물의 유속을 약하게 하는 방식으로 얼음용기(15)에 채워지는 물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메인 수직관(16a), 수평관(16b) 및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메인 수직관(16a)의 상단부는 솔레노이드 밸브(17a)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평관(16b)은 메인 수직관(16a)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은 수평관(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상단부를 통해 수평관(16b)에 연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통(13)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흘러나오는 물은 급수용 호스(16)의 메인 수직관(16a), 수평관(16b) 및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을 차례로 경유하는 동안에 적어도 2차례 방향이 꺽이게 되면서 유속이 저하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얼음용기(15)에 물이 채워질 때 얼음용기(15) 밖으로 물이 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을 이용하여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얼음용기(15)에 신속하게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급수용 호스(16)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호스 개폐장치(17)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 개폐장치(17)는 물통(13)측과 급수용 호스(16)측 사이에 개재되어 물통(13)에서 급수용 호스(16)로 보내지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호스 개폐장치(17)는 솔레노이드 밸브(17a)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때의 솔레노이드 밸브(17a)의 흡입측은 물통(13)에 있는 배출구(19)측에 체결 구조로 연결되는 동시에 배출측은 급수용 호스(16)의 상단부측에 체결 구조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a)는 냉동실 도어(11)의 일측, 예를 들면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설치를 위해 형성한 개구부(24)의 가장자리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8)의 신호에 따라 ON/OFF 동작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열림 시, 스위치(18)는 OFF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7a) 또한 OFF 동작되면서 닫히게 되므로서, 급수용 호스(16)측으로 보내지는 물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물통(13)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 보조 냉동실 도어(12)을 열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물을 보충하는 동안에는 물통(13)의 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닫힘 시, 보조 냉동실 도어(12)가 스위치(18)를 누르게 되고, 계속해서 스위치(18)는 ON 상태가 됨과 동시에 이때의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러(미도시)의 출력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ON 동작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열리게 되므로서, 물통(13)의 물이 급수용 호스(16)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물통(13)에 물은 채운 후에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게 되면, 곧바로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므로 급수용 호스(16)를 통해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급수용 호스(16)에 남아 있는 잔수의 빙결에 의해 급수용 호스(16)가 막히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바이브레이터(2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0)는 박형의 원형 형태로 되어 있는 일종의 소형 진동모터로서, 컨트롤러측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20)는 급수용 호스(16)의 일측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 클램프(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 등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통(13) 속의 물이 얼음용기(15)에 전량 채워진 후, 타이머(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에 의해 기 설정해놓은 시간, 예를 들면 1초 내지 10초 정도의 시간 동안 바이브레이터(20)가 작동되면서 급수용 호스(16)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급수용 호스(16)의 내부에 남아 있는 잔수가 호스 떨림에 의해 아래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잔수 빙결에 의해 급수용 호스(16)가 막히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의 바이브레이터 출력 제어 관련하여, 물통의 물이 다 빠져나가 얼음용기에 전량 채워지는 시점을 계산하여 타이머를 작동 개시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0)의 냉동실(14)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먼저, 냉동실 도어(11)에 있는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연다.
다음,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물통(13)의 뚜껑을 연 후에 물통(13) 속에 물을 일정량 채운다.
이때, 물통(13)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을 확인해가면서 얼음용기(15)의 용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을 물통(13)에 채운다.
이렇게 물통(13)에 물을 채우고 있는 동안에는 호스 개폐장치(17), 즉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닫혀 있기 때문에 물이 급수용 호스(16) 쪽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물통(13)에 정량의 물을 채운 후에 뚜껑을 닫고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는다.
다음,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으면 스위치(18)가 눌려지면서 이때의 스위치 ON 신호에 의해 호스 개폐장치(17), 즉 솔레노이드 밸브(17a)가 ON 동작되어 열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물통(13)의 배출구(19)를 빠져나온 물은 급수용 호스(16)를 경유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얼음용기(15)에 채워진다.
다음, 상기 물통(13)에 들어 있던 물이 다 빠져나와 얼음용기(15)에 꽉 채워지게 되면,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에 의해 바이브레이터(20)가 작동하면서 급수용 호스(16)에 일정시간 동안 진동을 가하게 되고, 그 결과 급수용 호스(16)의 내부에 남아 있던 잔수가 전부 호스 하단을 통해 배출되며, 이후 바이브레이터(20)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용기(15)에 채워진 물은 냉동실(14)의 냉기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빙결되고, 결국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얼음용기(15)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해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울 때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열고 물통(13)에 물을 채운 다음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기만 하면, 물이 얼음용기(15)에 자동으로 채워지면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워서 얼음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에서 호스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접촉식 개폐기(17b)로 이루어지는 호스 개폐장치(17)를 채택한 제빙용 급수장치의 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냉장고(10)의 냉동실 도어(11)에 설치되는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는 냉동실 도어(11)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면서 냉동실 도어(11)의 전면 상단부에 설치되는 도어이다.
이러한 보조 냉동실 도어(12)는 상단부의 손잡이(21)를 가지면서 하단부의 힌지부(22)를 이용하여 냉장고 앞쪽으로 일정각도 젖혀지는 구조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13)을 포함한다.
상기 물통(13)은 마개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통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바닥에 해당하는 저면부에는 배출구(19)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물통(13)의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통(13)은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사각형이나 원형 틀 구조의 케이스(23) 내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물통(13)은 세척 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위아래로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13)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때의 눈금을 이용하여 적정량의 물, 예를 들면 얼음용기(15)의 용적에 상응하는 용량의 물을 정확하게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물통(13)에 들어 있는 물을 얼음용기(15)쪽으로 흘려서 보내주는 수단으로 급수용 호스(16)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물통(13)의 하단부, 예를 들면 물통(13)의 배출구(19)에 연통되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물통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이렇게 연장되는 급수용 호스(16)의 하단부는 냉동실(14)에 놓여져 있는 얼음용기(15)의 바로 윗쪽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통(13)의 배출구(19)를 빠져나온 물은 급수용 호스(16)를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려온 후에 얼음용기(15)에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급수용 호스(16)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예로서,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상단부를 통해 호스 개폐장치(17), 예를 들면 접촉식 개폐기(17b)의 플런저 작동기(17b-3)에 끼움 구조로 연결되어 플런저 작동기(17b-3)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물의 흐름방향을 수회 전환시켜서 물의 유속을 약하게 하는 방식으로 얼음용기(15)에 채워지는 물이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메인 수직관(16a), 수평관(16b) 및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메인 수직관(16a)의 상단부는 플런저 작동기(17b-3)측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평관(16b)은 메인 수직관(16a)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은 수평관(1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수직 자세를 취하면서 상단부를 통해 수평관(16b)에 연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통(13)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흘러나오는 물은 급수용 호스(16)의 메인 수직관(16a), 수평관(16b) 및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을 차례로 경유하는 동안에 적어도 2차례 방향이 꺽이게 되면서 유속이 저하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얼음용기(15)에 물이 채워질 때 얼음용기(15) 밖으로 물이 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을 이용하여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얼음용기(15)에 신속하게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급수용 호스(16)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호스 개폐장치(17)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 개폐장치(17)는 물통(13)측과 급수용 호스(16)측 사이에 개재되어 물통(13)에서 급수용 호스(16)로 보내지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호스 개폐장치(17)는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작동되는 접촉식 개폐기(17b)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식 개폐기(17b)는 상하 동작하면서 물통(13)의 배출구(19)를 개폐하는 플런저(17b-1), 플런저(17b-1)를 닫힘 상태로 복원시켜주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b-4), 플전저(17b-1)와 접촉하면서 플런저(17b-1)가 위로 밀려서 올라가도록 해주는 플런저 작동기(17b-3)를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17b-1)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 돌출되어 있는 형태의 리브(17b-7)를 가지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7b-1)의 상단에는 물통(13)의 내부에 위치되어 물통 바닥면에 걸쳐지는 고무재질의 패킹(17b-5)이 장착되는 동시에 하단에는 저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으면서 플런저 작동기(17b-3)에 있는 구면부(17b-2)와 접촉하는 하단의 접촉판(17b-6)이 형성된다.
이러한 플런저(17b-1)는 물통(13)의 배출구(19) 내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며, 플런저(17b-1)의 하한 위치에서는 배출구(19)가 닫힌 상태가 되고, 플런저(17b-1)가 하한 위치보다 약간 위로 올라간 위치, 즉 패킹(17b-5)이 물통 바닥면에서 떨어진 위치에서는 배출구(19)가 열린 상태가 된다.
상기 스프링(17b-4)은 플런저(17b-1)의 주위에 동심원 상으로 끼워지면서 상단은 물통(13)의 배출구(19)의 하단에, 하단은 접촉단(17b-6)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플런저(17b-1)를 항상 아래쪽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런저 작동기(17b-3)은 상단부 중심의 구면부(17b-2)와 이 구면부(17b-2)의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홀(17b-8)을 가지는 동시에 저면 중심부의 배출홀(17b-9)을 가지는 원통형의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플런저 작동기(17b-3)는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대(17b-10)를 이용하여 냉동실 도어(11)의 안쪽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플런저 작동기(17b-3)의 중심과 보조 냉동실 도어(11)의 닫힘 상태에서 수직자세를 취하는 플런저(17b-1)의 중심은 동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 작동기(17b-3)의 배출홀(17b-9)에는 급수용 호스(16)의 상단부, 예를 들면 메인 수직관(16a)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열림 시, 스프링(17b-4)의 힘에 의해 플런저(17b-1)가 하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물통(13)의 배출구(17)를 막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물통(13)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 보조 냉동실 도어(12)을 열게 되면, 접촉식 개폐기(17b)의 플런저(17b-1)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물을 보충하는 동안에는 물통(13)의 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닫힘 시, 플런저(17b-1)의 접촉판(17b-6)이 플런저 작동기(17b-3)에 있는 구면부(17b-2)에 의해 눌려지면서 플런저(17b-1)가 위로 올라가게 되고, 결국 물통(13)의 배출구(17)가 열려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물통(13)에 물은 채운 후에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게 되면, 곧바로 접촉식 개폐기(17b)의 플런저(17b-1)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므로 급수용 호스(16)를 통해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는 급수용 호스(16)에 남아 있는 잔수의 빙결에 의해 급수용 호스(16)가 막히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바이브레이터(2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20)는 박형의 원형 형태로 되어 있는 일종의 소형 진동모터로서, 컨트롤러측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20)는 급수용 호스(16)의 일측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 클램프(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 등으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통(13) 속의 물이 얼음용기(15)에 전량 채워진 후, 타이머(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에 의해 기 설정해놓은 시간, 예를 들면 1초 내지 10초 정도의 시간 동안 바이브레이터(20)가 작동되면서 급수용 호스(16)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급수용 호스(16)의 내부에 남아 있는 잔수가 호스 떨림에 의해 아래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잔수 빙결에 의해 급수용 호스(16)가 막히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의 바이브레이터 출력 제어 관련하여, 물통의 물이 다 빠져나가 얼음용기에 전량 채워지는 시점을 계산하여 타이머를 작동 개시 시점을 설정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결빙용 급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10)의 냉동실(14)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먼저, 냉동실 도어(11)에 있는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연다.
다음,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물통(13)의 뚜껑을 연 후에 물통(13) 속에 물을 일정량 채운다.
이때, 물통(13)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을 확인해가면서 얼음용기(15)의 용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을 물통(13)에 채운다.
이렇게 물통(13)에 물을 채우고 있는 동안에는 호스 개폐장치(17), 즉 접촉식 개폐기(17b)가 닫혀 있기 때문에 물이 급수용 호스(16) 쪽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물통(13)에 정량의 물을 채운 후에 뚜껑을 닫고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는다.
다음,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으면 접촉식 개폐기(17b)가 열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물통(13)의 배출구(19)를 빠져나온 물은 급수용 호스(16)를 경유하여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얼음용기(15)에 채워진다.
다음, 상기 물통(13)에 들어 있던 물이 다 빠져나와 얼음용기(15)에 꽉 채워지게 되면, 컨트롤러의 출력 제어에 의해 바이브레이터(20)가 작동하면서 급수용 호스(16)에 일정시간 동안 진동을 가하게 되고, 그 결과 급수용 호스(16)의 내부에 남아 있던 잔수가 전부 호스 하단을 통해 배출되며, 이후 바이브레이터(20)는 작동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용기(15)에 채워진 물은 냉동실(14)의 냉기에 의해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빙결되고, 결국 얼음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얼음용기(15)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기 위해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울 때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열고 물통(13)에 물을 채운 다음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기만 하면, 물이 얼음용기(15)에 자동으로 채워지면서 얼음이 만들어지게 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워서 얼음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조 냉동실 도어를 열어 물통에 물을 공급하고, 보조 냉동실 도어를 닫으면 물통의 물이 자동으로 얼음용기에 채워지도록 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얼음용기에 물을 손쉽게 채울 수 있는 등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며, 급수용 호스에 남아있는 물도 깨끗이 제거하여 호스 빙결문제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기능성 및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냉장고
11 : 냉동실 도어
12 : 보조 냉동실 도어
13 : 물통
14 : 냉동실
15 : 얼음용기
16 : 급수용 호스
16a : 메인 수직관
16b : 수평관
16c : 서브 수직관
17 : 호스 개폐장치
17a : 솔레노이드 밸브
17b : 접촉식 개폐기
18 : 스위치
19 : 배출구
20 : 바이브레이터
21 : 손잡이
22 : 힌지부
23 : 케이스
24 : 개구부

Claims (5)

  1. 냉장고(10)의 냉동실 도어(11)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 냉동실 도어(12);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통(13);
    상기 물통(13)의 하단부에 연통됨과 더불어 지지되면서 아래로 연장 설치되고 냉동실(14)에 들어 있는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워주는 급수용 호스(16);
    상기 물통(13)측에 설치됨과 더불어 급수용 호스(16)측과 연결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호스 개폐장치(17);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냉동실 도어(12)을 열고 물통(13)에 물은 채운 다음, 보조 냉동실 도어(12)를 닫으면 물통(13)의 물이 급수용 호스(16)를 통해 아래로 흐르면서 얼음용기(15)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개폐장치(17)는 보조 냉동실 도어(12)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스위치(18)의 신호에 따라 ON/OFF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7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개폐장치(17)는 물통(13)의 배출구(19) 내에 위치되어 스프링 탄력을 받아 상하 동작하면서 배출구(19)를 개폐하는 플런저(17b-1)와, 보조 냉동실 도어(12)측에 지지되는 동시에 급수용 호스(16)와 연결되면서 상단의 구면부(17b-2)를 통해 플런저(17b-1)와 접촉하면서 플런저(17b-1)를 상대적으로 위로 동작시켜주는 플런저 작동기(17b-3)를 포함하는 접촉식 개폐기(17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호스(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을 받아 동작하면서 급스용 호스(16)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급수용 호스(16)에 남아 있는 잔수를 제거하는 바이브레이터(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용 호스(16)는 물의 흐름방향을 수회 전환시키기 위해 물통(13)측으로 향하는 메인 수직관(16a)과, 상기 메인 수직관(16a)의 하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수평관(16b)과, 상기 수평관(16b)에서 분기되는 다수의 서브 수직관(16c)으로 구성되어, 얼음용기(15)에 물을 채울 때 물이 얼음용기(15) 밖으로 튀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KR1020180053448A 2018-05-10 2018-05-10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KR102127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48A KR102127173B1 (ko) 2018-05-10 2018-05-10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48A KR102127173B1 (ko) 2018-05-10 2018-05-10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83A true KR20190129183A (ko) 2019-11-20
KR102127173B1 KR102127173B1 (ko) 2020-06-26

Family

ID=6872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48A KR102127173B1 (ko) 2018-05-10 2018-05-10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17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36A (ko) * 1995-09-18 1997-04-28 배순훈 냉장고용 분사식 제빙장치
KR19980066100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냉장고의 물/얼음 디스펜서의 구조
KR19980066087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냉장고용 착탈이 가능한 물 저장탱크
JP2001081833A (ja) * 1999-09-09 2001-03-27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KR20060054939A (ko)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구조
KR20090043971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11005586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492346B1 (ko) 2013-12-23 2015-02-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436A (ko) * 1995-09-18 1997-04-28 배순훈 냉장고용 분사식 제빙장치
KR19980066100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냉장고의 물/얼음 디스펜서의 구조
KR19980066087A (ko) * 1997-01-20 1998-10-15 구자홍 냉장고용 착탈이 가능한 물 저장탱크
JP2001081833A (ja) * 1999-09-09 2001-03-27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KR20060054939A (ko)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구조
KR20090043971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KR2011005586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492346B1 (ko) 2013-12-23 2015-02-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173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219A (en) Liquid dispens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912870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KR101370250B1 (ko)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US20110030412A1 (en) Check valve for a refrigerator
KR101466659B1 (ko)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7698900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60079849A (ko) 냉장 장치용 제빙 몰드의 물공급 시스템
US20090120122A1 (en) Water supply for supplyingan ice cube maker and/or a water dispenser of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KR102127173B1 (ko)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US3368723A (en) Ice dispensing apparatus
KR102076530B1 (ko) 정수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TR201611578A2 (tr) İyi̇leşti̇ri̇lmi̇ş yeni̇leme ve i̇şleyi̇şe sahi̇p buz yapma aparati
KR100246430B1 (ko) 복합냉장고의 디스펜스기능 관련 배관시스템 구조
KR100221147B1 (ko) 외부급수가 가능한 냉장고의 워터 디스펜서
KR100566404B1 (ko) 냉장고의 절수 장치
KR200347071Y1 (ko) 냉장고의 얼음배출 구조
KR100652194B1 (ko) 냉장고용 아이스메이커 및 아이스메이커 급수장치
JP2584001Y2 (ja) 冷水機付き飲料製造機
KR0139318Y1 (ko) 냉장고용 제빙기
JP3749695B2 (ja) 冷菓供給装置
US2925204A (en)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KR100727129B1 (ko) 냉장고
RU2297499C1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46819B1 (ko) 얼음정수기의 저빙고
KR20080027647A (ko) 냉장고 제빙기의 급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