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74A -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 Google Patents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74A
KR20190129174A KR1020180053435A KR20180053435A KR20190129174A KR 20190129174 A KR20190129174 A KR 20190129174A KR 1020180053435 A KR1020180053435 A KR 1020180053435A KR 20180053435 A KR20180053435 A KR 20180053435A KR 20190129174 A KR20190129174 A KR 2019012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reinforcing
rebar
main body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도근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174A/en
Publication of KR2019012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7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spacer capable of being easily manufactured with less probability of damage or separation even when applied to a rebar placed in a mold to form a wall installed near a retaining wall. The spacer comprises: a body (1) having a plate shape; an outer rebar holder (2) holding an outer rebar outside the inner center of a mold (100); an inner rebar holder (3)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rebar holder (2) to hold an inner rebar inside the inner center of the mold (100); a separation member (4) installed in the body (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er rebar holder (2) or inner rebar holder (3) to make a gap between the mold (100) and the outermost rebar; and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5) preventing the spac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bar on the outer rebar holder (2) due to a shock or the like. The outer rebar hold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on both sides, and a distance between the parts is more than the width of the inner rebar holder, so a synthetic resin spacer can be injected through a mold to enable vertical division.

Description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Spacer for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wall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본 발명은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 특히 옹벽에 가까이 설치하는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에 배치하는 철근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제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pacers that can be used for reinforcing bars arranged in formwork for forming walls, in particular formwork for forming walls close to retaining walls, and more particularly to spacers made of synthetic resin.

벽체나 기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의 내부에 수직의 철근과 수평의 철근을 교차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철근은 실용신안등록 제20-0282342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 외향의 철근과 거푸집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철근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게 된다.Concrete structures such as walls and columns are installed in the formwork by cross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bars. And the reinforcing bar is to install a spacer on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reinforcing bar and the formwork of the outermost outward as shown in the spacing maintenance zon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2342.

즉, 첨부된 도면 도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철근을 설치한 후 수직철근의 외측에 수평철근을 설치하며 수평철근에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그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부어 형성시키게 된다. 그러나, 벽체나 기둥의 일측에 옹벽과 같은 방해물이 있어, 작업자가 수직철근과 옹벽 사이에 들어가 수직철근에 수평철근을 배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철근(나1, 나2)을 설치한 후, 옹벽쪽 수직철근(나1)에 수평철근(나3)을 설치함에 있어서 옹벽쪽 수직철근(나1)의 내측(작업자 쪽)에 접하도록 수평철근(나3)을 설치한 후 대향 수직철근(나2)에 수평철근(나4)을 설치하여 왔다. 이와 같은 경우 수평철근(나4)에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거푸집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는 일에는 도1(가)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여 아무 문제가 없다. 그러나 내향으로 옮겨진 수평철근(나3)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면 최 외단 위치 철근인 수직철근(나1)과 거푸집과의 거리가 짧아지는 결점이 있다. 그리하여, 흔히, 첨부된 도면 도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도면상 요구되는 거푸집과의 거리를 내기위해서 수직철근(나1)에 도넛 스페이서(A)를 설치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직철근(나1)에 수평 방향으로 도넛형의 스페이서(A)를 설치하게 되면, 스페이서가 위에서 내려붓는 콘크리트를 전면으로 받아 하락하는 콘크리트의 압력으로 스페이서가 파손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는 큰 결점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a)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fter install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horizontal bars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ars, spacers a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s, and formwork is installed outside the concrete bars. Pour is formed. However, if there is an obstacle such as a retaining wall on one side of the wall or column, and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enter between the vertical and retaining walls, and to distribut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s shown in FIG. As shown, after install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B1, B2), and install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B3) in the retaining wall side vertical bars (B1), the inner side of the retaining wall side vertical bars (B1) (worker side) 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rebar (B3) so as to contact the horizontal bar, the horizontal rebar (B4) has been installed in the opposite vertical rebar (B2). In such a case, there is no problem in installing a spacer on the horizontal rebar 4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formwork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spacer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3) moved inwardly,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B1) and the formwork is shortened. Thu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b), a donut spacer A has been provided o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1 to obtain a distance from the formwork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drawing. However, when the donut-shaped spacer A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rebar (B1), the spacer may be damaged or fall out of position due to the falling concrete pressure. There is a big drawback.

그리고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26907호(2005. 05. 19)는 철사로 된 길이재인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 철사인 본체의 일단을 절곡하여 되는 외측철근파지구와, 본체의 타단에 상기 외측철근파지구와 동일 방향으로 상기 철사인 본체를 절곡하여되는 내측철근파지구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나 내측철근파지구와 대향되는 쪽으로 본체에 설치되어 거푸집과 최외측 철근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재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재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철사부에 골무와 같은 보충이격재를 결합하여 구성된 스페이서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는 철근에 비교적 견고히 설치되며 일단 설치된 스페이서는 정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는 훌륭한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철사로 된 스페이서는 제조가 곤란한데다가, 특히, 제조된 스페이서에 골무로 되는 보충이격재를 추가로 사출 성형시켜야하는 이중의 불편이 있으며, 여러 개를 모아서 보관 수송하게 되면 스페이서들이 서로 엉켜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결점이 있다.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26907 (2005.05.19) discloses a main body which is a wire length member, an outer reinforcing wave strip which bends one end of a main body of wire to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The inner reinforcing bar district which bends the main body which is the wir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reinforcing bar district, an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outer reinforcing bar or inner reinforcing bar district, so as to space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outermost reinforcing bar. The spacer is disclosed, and the spacer discloses a spacer configured by coupling a supplemental spacer such as a thimble to the wire portion formed by bending. Such spacers are relatively firmly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bars and once installed, the spacers do a good job of being out of position. However, the wire spacers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double inconvenience of additionally injection molding a supplemental spacer made of thimble to the manufactured spacers, and the spacer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collected and transported together. There is a drawback to inconvenience.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2342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공고일자 2002.07.22.)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2342 Gap maintenance area of formwork (announcement date 2002.07.22.)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26907호(2005. 05. 19)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26907 (2005.05.19)

이에 본 발명은,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 특히 옹벽에 가까이 설치하는 벽체를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에 배치하는 철근에 사용하더라도 하락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제자리를 이탈할 염려가 없으며, 나아가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이 편리한 합성수지제 스페이서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used in the reinforcing bar disposed in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wall, in particular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wall close to the retaining wall, there is no fear of being damaged by the falling concrete or leave the place, and further facilitate the manufacture And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synthetic resin spacer that is easy to u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재인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는 외측철근파지구와, 본체의 타단에 상기 외측철근파지구와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측철근파지구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나 내측철근파지구와 대향되는 쪽으로 본체에 설치되어 거푸집과 최외측 철근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재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에 설치되는 철근으로부터 스페이서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철근파지구는 양측의 2개로 분할 이격 구성되고, 그 이격거리(d)는 내측철근파지구의 폭을 초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the length of the outer reinforcing steel strip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main body, the inner reinforcing steel strip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reinforcing steel strip; Spacer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facing the outer reinforcing bar or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ement zone, the spacer spaced apart from the formwork and the outermost reinforcement, and the spacer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ement zone due to impact The outer reinforcing wave strip is divided into two parts on both side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provides a spacer which is configured to exceed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wave strip.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평철근이 최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 첨부된 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철근파지구와 내측철근파지구 사이의 공간부에 수평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내측철근파지구를 수직철근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수직철근에 결합시킨 후, 본체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이번에는 외측철근파지구와 수평철근이 결합되어 외측철근파지구가 수평철근을 파지하여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as shown in FIG. 7, in the state wher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are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 and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 After moving the inner reinforcing bar to the vertical rebar while moving horizontally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nd moving the main body down, this time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installation is completed.

그리고, 수직철근이 최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 내측철근파지구와 외측철근파지구 사이의 공간부에 수직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내측철근파지구를 수평철근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수평철근에 결합시킨 후, 본체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번에는 외측철근파지구와 수직철근이 결합되어 외측철근파지구가 수직철근을 파지하여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When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while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is positioned at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bars. After the main body is moved to the left side, this time,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coupled to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gripping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to complete the spacer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은 최외측 철근과 거푸집이 이격재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밖에 없어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스페이서로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의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reinforcing bar and the formwork can be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of the spacer, and thus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pacer.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a function as a spacer.

특히 본 발명은, 외측철근파지구가 양측의 2개로 분할 이격 구성되고, 그 이격거리(d)는 내측철근파지구의 폭을 초과하게 구성되어, 상하로 분할되는 금형에 의해 스페이서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스페이서에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스페이서의 외측철근파지부 저부에 설치된 이탈방지구로 인하여 철근에 결합된 외측철근파지부가 철근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정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einforcing ribs are divided into two spaces on both sides, the separation distance (d) is configured to exceed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ribs, injection molding the spacer into a synthetic resin by a mold divided up and down It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and in particular,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pacer, the out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is not fixed from the reinforcing bar due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of the spacer. It is effective to stick to.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철근의 설치 상태와 그에 따른 스페이서 설치 상태 설명도로서
(가)는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나)는 옹벽쪽에 설치되는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구가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내측철근파지구가 다른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가) 및 거푸집이 옹벽쪽에 설치되어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사용 방법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설치 과정 설명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bar and the spacer installation state thereof accordingly;
(A) is a state diagram in which horizontal rebars are installed outside of vertical rebars;
(B) is a state explanatory drawing in which the horizontal rebar provided in the retaining wall side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reba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scape prevention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reinforcing bar ea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orizontal rebar is installed outside the vertical rebar and the formwork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side so that the horizontal rebar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rebar. It is a state figure which installed the spacer.
7 and 8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spacer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planatory view of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록 그 형상이 다르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parts having the same func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even though their shapes are different.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판체 형상의 본체(1)와, 본체(1)의 폭이 넓은 부위인 상단에 설치되며, 거푸집(100)의 내측 중심부로부터 밖 쪽인 외측의 철근을 파지하는, 외측철근파지구(2)와, 본체(1)의 타단 좁은 쪽에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와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며, 거푸집(100)의 내측 중심부로부터 안쪽인 내측의 철근을 파지하는 내측철근파지구(3)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나 내측철근파지구(3)와 대향되는 쪽으로 본체(1)에 설치되어 거푸집(100)과 최외측 철근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재(4)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에 설치되는 철근으로부터 스페이서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5)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철근파지구는 양측의 2개로 분할 이격 구성되고, 그 이격거리(d)는 내측철근파지구의 폭을 초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외측철근파지구(2)가 내측철근파지구가 통과할 수 있는 이격거리(d)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 외측철근파지구(2) 사이에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ide plate of the main body 1 having a wide plate shap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id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outsid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formwork 100 The outer reinforcing bar 2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reinforcing bar 2, the inner side to hold the inner reinforcement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formwork 100 inward Spacer tha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 to face the reinforcing strip 3 and the outer reinforcing strip 2 or the inner reinforcing strip 3 to space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100 and the outermost reinforcing bars (4)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5) which prevents the spacer from being separated upward due to the impact from the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Divided into two pieces, the separation distance (d) exceeds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wave district It provides a spac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grooves 21 ar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s 2 so as to realize the separation distance d through which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zones can pass. .

또한, 외측철근파지부(2)의 하단과 내측철근파지부(3)의 상면은 상기 철근의 직경에 대응하는 거리 정도의 이격거리(a)를 가진다. 이러한 이격거리(a)는 철근의 직경에 대응하는 거리 이상이어야 한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out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3 have a separation distance a of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This separation distance (a) should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ebar.

상기 이탈방지구(5)는 외측철근파지부(2)의 하측 입구에 설치되어 철근이 외측철근파지부(2)로의 진입은 자유로우나 이탈은 방지되도록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3은 내측철근파지부(3)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설치되며 상단에 받침대(51)가 형성된 상향 이탈방지구(5)를 제시한다. 도 4 의 실시예는 내측철근파지부(3)와 본체(1)에 걸치는 수직벽체(52)와 수직벽체(52) 위에 형성되는 받침대(53)로 구성되어 이탈방지구(5)가 철근으로부터 스페이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본체(1)를 보강하는 보강벽의 기능을 가지게 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The release prevention device 5 is installed at the lower inlet of the out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free to enter the out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2, but the departure is prevented. 2 and 3 show an upward departure preventing device 5 installed upward from the top of the inn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3 and having a pedestal 51 formed thereon. The embodiment of FIG. 4 consists of an inner reinforcing gripping portion 3, a vertical wall 52 extending over the main body 1, and a pedestal 53 formed on the vertical wall 52 so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5 is removed from the reinforcing bar. An embodiment is provided that not only prevents the spacer from being detached but also has the function of a reinforcing wall reinforcing the main body 1.

이격재(4)는 위로부터 쏟아져 내려오는 콘크리트로부터의 저항을 감내하고 또 거푸집이 조여 오는 힘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려오는 콘크리트를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이격재(4)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er 4 should be able to withstand the resistance from the concrete pouring down from above and withstand the force of the formwork tighten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r 4 is formed to have a small diameter so as to receive less concrete.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나 내측철근파지구(3)는 그 둘 중 하나만 철근을 강하게 파지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가 제자리에 위치되게 할 수 있으므로 첨부된 도면에는 내측철근파지구(3)는 그 결합구조가 완강한 결합구조로 도시되어 있고 외측철근파지구(3)는 제조의 편의상 단순한 걸고리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임의로 선택 가능한 것으로 파지구의 형상과 구조에 어떤 제한을 가하였다 하여 이 발명과의 차이를 말할 수 없다.The outer reinforcing steel strip (2) or the inner reinforcing steel strip (3) is only one of them if the strong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in place, so the inner reinforcing steel strip (3) The coupling structure is shown as a rigid coupling structure and the outer reinforcing wave strip 3 is shown as a simple hook type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However, such a coupling structure is arbitrarily selectable, and no difference can be made from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any limitation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gripper.

또한 첨부된 도면 도5는 내측철근파지구(3)가 내부에 작은 직경 철근 수납용의 소형파지구(31)가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ner reinforcing steel strip (3) is provided with a small gripping hole 31 for storing a small diameter reinforcing bar inside.

도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가) 및 거푸집(100)이 옹벽쪽에 설치되어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한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은 최외측 철근과 거푸집이 이격재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밖에 없어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스페이서로 수평철근이 수직철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ig. 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horizontal rebar is installed outside the vertical rebar and a formwork 100 is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side so that the horizontal rebar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rebar. It is a state figure which provided the spacer of this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reinforcing bar and the formwork can be spaced apart by the distance of the spacer,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pacer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a function as a spacer.

또한, 본 발명은, 외측철근파지구가 양측의 2개로 분할 이격 구성되고, 그 이격거리는 내측철근파지구의 폭을 초과하게 구성되어, 상하로 분할되는 금형에 의해 스페이서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einforcing ribs are divided into two spaces on both sides, the separation distance is configured to exceed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ribs, so that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pacer to the synthetic resin by the mold divided up and down.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manufacturing.

본 발명의 철근용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Method for installing the spacer for the re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수평철근이 최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철근파지구(2)와 내측철근파지구(3) 사이의 공간부에 수평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가)에서, 외측철근파지구(2)를 수평철근에 걸어 결합한 후(나), 내측철근파지구(3)를 수직철근쪽으로 밀어 수직철근에 결합시켜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으며(다), 또는, 외측철근파지구(2)와 내측철근파지구(3) 사이의 공간부에 수평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가)에서, 내측철근파지구(3)를 수직철근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수직철근에 결합시킨 후(나), 본체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이번에는 외측철근파지구(2)와 수평철근이 결합되어 외측철근파지구(2)가 수평철근을 파지하게 되어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다).W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as shown in Fig. 7, in the state wher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outer reinforcing bar 2 and the inner reinforcing bar 3, After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s (b),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3 can be pushed towar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to be coupl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to install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c), or In the state where the horizontal rebar is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2 and the inner reinforcing bar 3, the inner reinforcing bar 3 is coupled to the vertical bar while horizontally moving toward the vertical bar. Afterwards (B), when the main body is moved downward, this time the outer reinforcing bar 2 an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coupled to the outer reinforcing bar 2 to hold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can be installed the spacer of the present invention ( All).

그리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철근이 최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내측철근파지구(3)와 외측철근파지구(2) 사이의 공간부에 수직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가)에서, 외측철근파지구(2)를 수직철근에 걸어 결합시킨 후, 내측철근파지구(3)를 수평철근쪽으로 밀어 수평철근에 결합시켜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으며(나), 내측철근파지구(3)와 외측철근파지구(2) 사이의 공간부에 수직철근이 위치되게 한 상태(가)에서, 수평철근이 최외측으로 위치하는 경우와는 반대로 내측철근파지구(3)를 수평철근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수평철근에 결합시킨 후(나), 본체를 수평철근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번에는 외측철근파지구(2)와 수직철근이 결합되어 외측철근파지구(2)가 수직철근을 파지하여 본 발명의 스페이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vertical reba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the state where the vertical rebar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3 and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is ),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is coupled to the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then push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3) toward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to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B), the inner reinforcing bar In the state where the vertical rebar is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gripper 3 and the out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2,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3 is opened as opposed to the case where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After moving horizontally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join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B), and moving the main body to the left alo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this time, the outer reinforcing bar earth (2)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are combined so that the outer reinforcing steel earth (2) is vertical Gripping the rebar to complete the spacer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merely one example of various embodiments includ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change, substitution, substitution, etc.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cluded. In additio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onfiguration, and it is clear that the exaggerated or reduced siz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for ease of understanding.

1, 본체
2. 외측철근파지구
3. 내측철근파지구
31. 소형파지구
4. 이격재
5. 이탈방지구
51. 받침대
52. 수직벽체
53. 받침대
1, the body
2. Outside reinforcement district
3. Medial reinforcing strip district
31. Small wave district
4. Spacer
5. Breakaway Protection
51. Pedestal
52. Vertical wall
53. Pedestal

Claims (4)

판체 형상의 본체(1)와, 본체(1)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푸집(100)의 내측 중심부로부터 밖 쪽인 외측의 철근을 파지하는, 외측철근파지구(2)와, 본체(1)의 타단에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와 동일 방향으로 설치되어, 거푸집(100)의 내측 중심부로부터 안쪽인 내측의 철근을 파지하는 내측철근파지구(3)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나 내측철근파지구(3)와 대향되는 쪽으로 본체(1)에 설치되어 거푸집(100)과 최외측 철근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이격재(4)와, 상기 외측철근파지구(2)에 설치되는 철근으로부터 스페이서가 충격 등으로 인하여 상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The outer reinforcing ribs 2 and the main body 1, which are provided on the plate-shaped main body 1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 and grip the outer reinforcing bars outside from the inner central part of the formwork 100. On the other end, the inner reinforcing steel strips (3) and the outer reinforcing steel strips (2) which ar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uter reinforcing steel strips (2) and grip the inner reinforcing bars inward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formwork (100). B) a spacer 4 installed on the main body 1 to face the inner reinforcing reinforcing strip 3 and spaced apart from the formwork 100 and the outermost reinforcing bar; Spacer for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paration prevention (5) to prevent the spacer from being separated upward from the rebar from the impact.
제1항에 있어서,
외측철근파지구가 양측의 2개로 분할 이격 구성되고, 그 이격거리(d)는 내측철근파지구의 폭을 초과하게 구성되어, 상하로 분할되는 금형에 의해 스페이서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reinforcing strip is divided into two parts on both side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 is configured to exceed the width of the inner reinforcing strip so that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spacer is made of synthetic resin. A spacer for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the wa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5)는 내측철근파지부(3)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설치되며 상단에 받침대(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5 is install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einforcing grip portion (3), the spacer for installing inside the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51 is formed on the to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5)는 내측철근파지부(3)와 본체(1)에 걸치는 수직벽체(52)와 수직벽체(52) 위에 형성되는 받침대(53)로 구성되어 이탈방지구(5)가 철근으로부터 스페이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본체(1)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5 is composed of a vertical reinforcement gripping portion 3 and a vertical wall 52 that extends over the main body 1 and a pedestal 53 formed on the vertical wall 52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5 is reinforced. A spacer for reinforcing bars installed inside a wall, which prevents the spac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and reinforces the main body 1.

KR1020180053435A 2018-05-10 2018-05-10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KR201901291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35A KR20190129174A (en) 2018-05-10 2018-05-10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35A KR20190129174A (en) 2018-05-10 2018-05-10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74A true KR20190129174A (en) 2019-11-20

Family

ID=6872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35A KR20190129174A (en) 2018-05-10 2018-05-10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1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67B1 (en) * 2021-03-12 2021-11-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Reinforcing bar Pedest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42Y1 (en) 2002-04-17 2002-07-22 송유섭 Reinforcing steel separator for concrete mold
JP2005126907A (en) 2003-10-21 2005-05-19 East Japan Railway Co Spacer for reinforc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42Y1 (en) 2002-04-17 2002-07-22 송유섭 Reinforcing steel separator for concrete mold
JP2005126907A (en) 2003-10-21 2005-05-19 East Japan Railway Co Spacer for reinforc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167B1 (en) * 2021-03-12 2021-11-0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Reinforcing bar Pedes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337B2 (en) 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KR101439488B1 (en) Removable deck assembly for forming sla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lab by using there
JP6395465B2 (en) Box culvert
KR101758493B1 (en) Precast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01919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KR101783034B1 (en) Spacer for Stripping Deck Plate And Stripping Deck, Wall Form, Girder Form, Column Form
KR20190129174A (en) Spacer for reinforcing bar in a wall
KR100511462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crete form panels
KR20130059010A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1696070B1 (en) Deak plate spacer
KR102133376B1 (en) Cross joint for fixing formwork
KR101648698B1 (en) Plumbing supporters and its construction methods
EP3006639B1 (en) Module for slabs and metho to make said module
KR101308055B1 (en)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Low Bending Moment Zone
KR101859398B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
KR100962298B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light weight materials assembly from rising on constucting hollow core slab
KR20160000005A (en) reinforcing expansion joint for wide concrete slab by using steel plate and reinforcing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same for wide concrete slab
KR101831427B1 (en) Rebar-inserted Cap for Removing Form
KR200386804Y1 (en) A form
KR101128038B1 (en) Combined upper and lower rebar spacer
KR0127910Y1 (en) Form panel
KR20200001199U (en) Blocking board
KR20110102769A (en) Construction mold panel
KR102261341B1 (en) Assembly type block
KR200303782Y1 (en) Snap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