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126A -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126A
KR20190129126A KR1020197032288A KR20197032288A KR20190129126A KR 20190129126 A KR20190129126 A KR 20190129126A KR 1020197032288 A KR1020197032288 A KR 1020197032288A KR 20197032288 A KR20197032288 A KR 20197032288A KR 20190129126 A KR20190129126 A KR 2019012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control
control channel
physical uplink
wireless device
numer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발데마이르
다니엘 첸 라르손
에릭 달만
소로우어 팔라하티
스테판 파크발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9012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28Variabl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이동 통신에서의 제어 정보 시그널링, 무선 통신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기술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따라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들을 적응, 선택 또는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대응하는 디바이스들 및 제안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송신하는 단계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에서의 업링크 제어 정보 시그널링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된 기술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방법,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따라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들을 적응, 선택 또는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대응하는 디바이스들 및 제안된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제5세대 이동 통신 및 무선 기술은 아직 완전히 정의되지 않고, 3GPP 내에서 고급 초안 단계에 있다. 5G 무선 액세스는 주로 새로운 스펙트럼을 타겟으로 하는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과 결합하여 기존 스펙트럼을 위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의 진화에 의해 실현될 것이다. 가용 스펙트럼의 부족으로 인해, 10GHz 이상과 같이 (현재까지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된 주파수들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주파수 범위들에 위치한 스펙트럼은 향후 이동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활용될 계획이다. 따라서, 5G로의 진화는 5G 또는 차세대(next generation)(NX)로 알려진 뉴 라디오(New Radio)(NR) 외에도 뉴 라디오(NR) 액세스 기술(RAT)(New Radio (NR) Access Technology (RAT))에 대한 작업도 포함한다. NR 에어 인터페이스는 LTE에 의해 활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들에서 주로 예상되는 초기 배치들에서 서브-1GHz(1GHz 미만)에서 100GHz까지의 범위의 스펙트럼을 타겟으로 한다. 상이한 용어가 5G에서 특정될 수 있지만, 일부 LTE 용어가 등가의 5G 엔티티들 또는 기능들을 포함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서 미래 지향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지금까지의 5G 뉴 라디오(NR) 액세스 기술에 대한 합의들의 일반적인 설명은 3GPP TR 38.802 V14.0.0 (2017-03)에 포함되어 있다. 최종 사양들은 특히 향후 3GPP TS 38.2** 시리즈에 게시될 수 있다.
LTE 및 NR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RAT들에 대한 물리적 자원들은 시간 및 주파수 그리드로서 보여질 수 있는 것으로 시간 및 주파수적으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T LTE의 기본 다운링크 물리적 자원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그리드로서 보여질 수 있다. LTE는 다운링크(downlink)(DL)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을, 업링크(uplink)(UL)에서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라고 하는 프리-코딩된 버전의 OFDM을 사용한다. LTE는, 하나의 신호를 완전한 5MHz 캐리어 대역폭을 통해 확산하는 대신, 대개 각각 180KHz인 많은 협대역 캐리어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OFDM을 사용하며, 즉, OFDM은 데이터를 운반하기 위해 멀티-캐리어 송신에 많은 수의 좁은 서브캐리어들을 사용한다. 따라서, OFDM은 소위 말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이다. 멀티 캐리어 시스템들은 사전 정의된 주파수들의 다수의 정현파들을 다수의 서브캐리어들로서 사용하는 시스템들이다. 멀티캐리어 시스템들에서, 데이터는 하나의 송신기의 상이한 서브캐리어들로 분할된다. 2개의 인접한 서브캐리어의 주파수들 간의 차이는 줄여서 주파수 도메인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한다. OFDM 심볼들은 소위 말하는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PRB) 또는 그냥 자원 블록(resource block)(RB)으로 그룹화된다. LTE의 기본 송신 단위는 RB이며, 그 가장 일반적인 구성에서는 12개의 서브캐리어와 7개의 OFDM 심볼(1 슬롯)로 구성된다. LTE에서, 자원 블록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180kHz, 시간 도메인에서는 0.5ms(1 슬롯)의 총 사이즈를 갖는다. 하나의 심볼 및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시간-주파수 그리드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RE)로 지칭된다. 각각의 1ms 송신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TTI)은 대개 14개의 OFDM 심볼로 표현되는 2개의 슬롯(Tslot)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다운링크 송신들은 10ms의 라디오 프레임들로 조직되며,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길이가 Tsubframe=1ms인 10개의 동일한 사이즈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프레임(10ms)에서의 샘플들의 수는 307200(307.200K)개의 샘플이다. 이것은 초 당 샘플들의 수가 307200x100=30.72M개의 샘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LTE에서의 자원 할당은 통상적으로 자원 블록들의 측면에서 설명되며, 자원 블록은 시간 도메인에서는 하나의 슬롯(0.5ms)에,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12개의 인접한 서브캐리어에 대응한다. 자원 블록들은 시스템 대역폭의 한쪽 끝에서 0으로 시작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번호가 매겨진다.
새로운 RAT NR은 물리적 자원 블록들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정의하는 주파수 도메인의 다수의 캐리어들 및 시간 도메인의 심볼들을 사용하여 LTE와 유사한 물리적 자원들에 대한 구조를 사용할 것이다. NR에서 물리적 자원 파라미터들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들은 가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있을 수 있고, 캐리어들 간의 주파수 간격 또는 밀도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CP)도 변할 수 있다. 서브캐리어들 간의 주파수 간격은 서브캐리어의 중심과 인접 서브캐리어 간의 주파수 대역폭으로서, 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의해 점유되는 대역폭으로서 보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캐리어와 하나의 심볼로 정의된 자원을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RE)라고 한다. 샘플링 시간은 서브캐리어 간격(뉴머롤로지)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두 가지 타입의 타이밍 단위 Tc와 Ts가 사용되며, Tc=0.509ns이고 Ts=32.552ns이다.
뉴머롤로지는 서브프레임 구조와 같은 기본 물리적 계층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며, 송신 대역폭, 서브프레임 지속기간, 프레임 지속기간, 슬롯 지속기간, 심볼 지속기간, 서브캐리어 간격, 샘플링 주파수, 서브캐리어의 수, 서브프레임 당 RB, 서브프레임 당 심볼들, CP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LTE에서, 뉴머롤로지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다음의 엘리먼트들: 프레임 지속기간, 서브프레임 또는 TTI 지속기간, 슬롯 지속기간,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RB 당 서브캐리어들의 수, 대역폭 내의 RB들의 수(상이한 뉴머롤로지들로 인해 동일한 대역폭 내에서 상이한 수의 RB들로 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상이한 RAT들에서의 뉴머롤로지 엘리먼트들에 대한 정확한 값들은 통상적으로 성능 타겟들에 의해 도출된다. 예를 들어, 성능 요구 사항들은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 사이즈들에 제약 조건들을 부과하는데, 예를 들어, 최대 허용 가능한 위상 잡음은 최소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설정하는 반면, 스펙트럼의 느린 감쇠(필터링 복잡성과 가드대역 사이즈들에 영향을 미침)는 주어진 캐리어 주파수에 대해 더 작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선호하며, 필요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는 오버헤드가 낮게 유지되도록 주어진 캐리어 주파수에 대한 최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설정한다. 그러나, 기존의 RAT들에서 지금까지 사용된 뉴머롤로지는 다소 정적이며,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예를 들어, RAT, 주파수 대역, 서비스 타입(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MBMS)) 등에 대한 일-대-일 매핑에 의해 간단하게 도출될 수 있다. OFDM 기반의 LTE 다운링크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정규 CP의 경우에는 15kHz이고 확장 CP의 경우에는 15kHz 및 7.5kHz(즉, 감소된 캐리어 간격)이며, 후자는 MBMS-전용 캐리어들에게만 허용된다.
NR에 대해, 다수의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지원은 합의되었으며, 이 뉴머롤로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UE들에 대한 주파수 및/또는 시간 도메인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서브캐리어에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이 공존할 수 있다. NR의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CP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들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으로 스케일링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사용된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지만, 매우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는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된다. 유연한 네트워크 및 UE 채널 대역폭이 지원된다. NR에 대해 제안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보여주는 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OFDM에 기초한 NR에서, 다수의 뉴머롤로지들이 일반적인 동작을 위해 지원될 것이다. NR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 후보들을 도출하기 위해 스케일링 접근법(스케일링 팩터
Figure pct00001
에 기초함)이 고려된다. 현재 논의된 서브캐리어 대역폭들에 대한 값들은 특히 3.75kHz, 15kHz, 30kHz, 60kHz를 포함한다. 그러면, 뉴머롤로지-특정 슬롯 지속기간들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ms로 결정될 수 있으며,
Figure pct00002
의 서브캐리어 간격(m은 정수)은 15kHz 뉴머롤로지에서 0.5ms인 슬롯에 대해 정확히 1/2m 0.5ms를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뉴머롤로지는 n 값과 관련되며, n이 음이 아닌 정수인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은 뉴머롤로지 n에 대해
Figure pct00003
으로서 정의된다.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각각의 심볼 길이(CP 포함)는 스케일링된 서브캐리어 간격의 대응하는 2n개의 심볼의 합과 동일하다.
NR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의 지속기간은 항상 1ms의 지속기간을 가져야 하고, 송신은 슬롯들을 사용하여 유연하게 정의될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었고, 슬롯들은 OFDM(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A) 또는 SC-FDMA(타입 A 스케줄링이라고도 지칭됨)와 같은 14개의 시간 심볼(정의된 시간 지속기간의 심볼들)을 포함하도록 제안되었다. 가변 길이(심볼들의 임의의 지속기간) 및 시작 포지션을 가질 수 있는 소위 말하는 "미니-슬롯들"(또는 타입 B 스케줄링)의 사용이 또한 제안되어, 슬롯들의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고, 하나의 심볼 길이만큼 짧을 수 있다. 타입 A 송신에서, 복조 기준 신호들(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DM-RS)은 슬롯 경계들에 대해 정의된다. 타입 A 송신은 슬롯의 처음 또는 처음 몇 개의 심볼에서 시작하고, 반드시 슬롯의 끝까지 확장되지는 않는다. 타입 B의 경우, DM-RS는 물리적 공유 채널들의 시작과 관련된다. 이것은 슬롯에 유연하게 배치될 수 있다. NR에서, 네트워크 노드(gNB로도 알려짐)에 의해 송신된 단일 캐리어의 송신 대역폭은 UE 대역폭 능력, 또는 연결된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구성된 수신기 대역폭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gNB는 또한 시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ed)(TDM)된 또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FDM)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최대 480kHz의 서브캐리어 간격들이 현재 NR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가장 높은 논의된 값들은 밀리미터-파 기반 기술들에 대응한다). 동일한 NR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이 지원되고, FDM 및/또는 TDM 멀티플렉싱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 또한 합의되었다.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사용하는 다수의 주파수/시간 부분들은 동기화 신호를 공유하며, 동기화 신호는 신호 자체 및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지칭한다는 것이 추가로 합의되었다. 또 다른 합의는 사용된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지만,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매우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가정된다.
NR에서, 네트워크 노드(gNB로도 알려짐)에 의해 송신된 단일 캐리어의 송신 대역폭은 UE 대역폭 능력, 또는 (UE와 같은) 연결된 디바이스의 구성된 수신기 대역폭보다 클 수 있다. 각각의 gNB는 또한 시분할 멀티플렉싱(TDM)된 또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6GHz 미만에서 몇 가지 뉴머롤로지들이 사용되어, 모든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등가의 커버리지를 달성하는 데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상기 식별된 결함들 및 단점들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획득되며,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를 제안하며,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 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를 제안하며, 네트워크노드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는,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아래 및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아래 및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제안하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도 1은 시간/주파수 그리드로서 보여진 LTE 다운링크 물리적 자원을 예시한다.
도 2는 LTE 시간-도메인 구조의 예시이다.
도 3은 NR에 대해 제안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4는 일부 LTE PUCCH 포맷들 및 그들이 운반할 수 있는 UCI 정보의 개요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5는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들) 및 상이한 Long PUCCH 구성들, "긴 Long PUCCH" 및 "짧은 Long PUCCH" 구성들(Conf 1/Conf 2)에 대한 심볼들의 수의 PUCCH 길이들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6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를 예시하는 대안적인 블록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장치 및 방법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실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태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면들에서의 유사한 번호들은 전반에 걸쳐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들만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들("a", "an" 및 "the")은,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들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 "UE"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의 UE는 라디오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는 또한 라디오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UE, 머신 타입 UE 또는 머신 대 머신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M2M)이 가능한 UE, UE 장착형 센서, iPad,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들, 스마트폰, 랩탑 임베드형 장비(laptop embedded equipped)(LEE), 랩탑 마운트형 장비(laptop mounted equipment)(LME), USB 동글들,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CPE)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기지국, 라디오 기지국,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gNB, NR BS,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 노드 B,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MCE),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라디오 액세스 포인트, 원격 라디오 유닛(Remote Radio Unit)(RRU) 원격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RRH),멀티-표준 BS(MSR BS라고도 함),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 SON 노드, 조정 노드, 위치 결정 노드, MDT 노드 등), 또는 심지어 외부 노드(예를 들어, 타사 노드, 현재 네트워크 외부 노드) 등과 같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심볼" 또는 "시간 심볼"이라는 용어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지속기간을 정의한다. 심볼 또는 시간 심볼은 OFDM, DFTS-OFDM 또는 SC-FDMA 심볼일 수 있다.
무선 RAT들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는 상이한 물리 채널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에서는, 다운링크와 업링크 상에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제어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및 제어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과 같은 여러 물리적 채널들이 존재한다. NR에는 유사한 채널들이 존재하지만, 그 구조와 아마도 이름이 LTE에서 사용된 것과 상이할 수도 있다. LTE에서의 PUCCH는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UCI)를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 PUSCH 송신이 스케줄링되는 경우, 즉, UE에 데이터 송신을 위한 업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UE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을 가짐), UCI가 PUSCH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LTE UE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서브프레임 동안 PUCCH와 PUSCH를 모두 송신하지는 않는다. Rel-10은 PUSCH와 PUCCH의 동시 송신을 정의하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LTE PUCCH는 독립형 업링크 물리적 채널이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NAK)(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CQI-채널 품질 지시자들,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피드백-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업링크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들, PUCCH 변조를 위해 사용되는 BPSK 또는 QPSK를 포함한다. PUCCH는 PUSCH에 사용 가능한 RB들의 프래그먼트화를 피하기 위해 채널 BW의 에지에서 RB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은 UE/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기지국으로의 물리적 계층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 PUSCH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네트워크에 UL 승인을 요청한다. UL 승인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메시지, 예를 들어, DCI 0-0 또는 0-1로 전송될 수 있다. UE는 PUCCH 또는 PUSCH 상에서, 예를 들어, UCI로 또는 버퍼 상태 레포트로서 SR을 송신할 수 있다. 모든 PUCCH 포맷이 SR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UE는 상황에 따라 특정 PUCCH 포맷을 사용하고 있다. LTE에서, eNB는 UE가 PUCCH 상에서 SR을 송신할 수 있도록 RRC 시그널링을 통해 SR 구성으로 UE를 구성해야 한다. SR이 트리거되면, UE는 SR 주기성 및 오프셋을 계산한다. PUCCH 상에서 제1 SR을 송신한 후, UE가 eNB로부터 업링크 자원들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UE는 나중에 PUCCH 상에서 SR을 재전송할 수 있다. LTE에서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은 SR 주기성을 또한 지시하는 3GPP TS 36.213의 표 10.1.5-1에 특정되어 있다. NR SR 구성에서, 주기성들은 매우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2개의 심볼, 7개의 심볼, 1, 2, 5 및 10ms를 포함한다. SR의 주기성은 "저 대역들"(6GHz 미만)에서의 15 또는 30kHz 및 "고대역들"(6GHz 이상)에서의 60 또는 120kHz와 같이 사용된 뉴머롤로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표준은 상이한 상황들을 위해 사용되는 몇 가지 LTE PUCCH 포맷들을 특정한다. 도 4는 3GPP 사양 36.213의 테이블이며, 일부 LTE PUCCH 포맷들과 형식과 이들이 운반할 수 있는 UCI 정보의 개요를 도시한다. 타이밍 외에도, UE는 정확한 PUCCH 자원을 알아야 한다. LTE에서는, - PUCCH 포맷에 따라 - 암시적 및 명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된다. PUCCH 포맷 1a/1b 및 2/2a/2b의 경우, 암시적 시그널링이 사용되며, 여기서 PUCCH 자원은 (RRC 구성된 파라미터들에 더하여) 스케줄링 PDCCH CCE의 포지션으로부터 도출된다. 다른 PUCCH 포맷들의 경우, PUCCH 자원들의 풀이 구성되고, 구성된 자원들 중 하나를 동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ACK/NACK 자원 지시자(ACK/NACK Resource Indicator)(ARI)가 사용된다.
LTE는 다수의 상이한 PUCCH 포맷들을 정의하여, 많은 범위의 페이로드들을 커버한다.
PUCCH 포맷 1/1a /1b
요청 및 1 또는 2-비트 HARQ 피드백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된다. 이 포맷은 낮은-PAPR 기본 시퀀스가 하나의 OFDM 심볼의 12개의 서브캐리어 및 시간-도메인 블록-확산에 매핑되는 시퀀스 변조를 사용한다.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기본 시퀀스의 상이한 사이클릭 시프트들을 할당하고/하거나 상이한 블록-확산 시퀀스들을 할당함으로써, 상이한 사용자들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할당된 12개의 서브캐리어는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홉핑하여 주파수-다이버시티를 획득한다. 7개의 심볼 중 3개가 기준 신호를 위해 사용된다(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
PUCCH 포맷 2/2a /2b
최대 13 비트의 CQI를 위해 사용되며, HARQ 피드백과 함께 CQI에도 사용된다. 페이로드는 리드 뮬러(Reed Muller) 코딩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고, 비트 쌍들은 QPSK 심볼들에 매핑된다. 각각의 QPSK 심볼은 하나의 OFDM 심볼의 12개의 서브캐리어에 매핑되는 낮은-PAPR 기본 시퀀스와 곱해진다. 주파수-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해 슬롯 경계에서 상이한 OFDM 심볼들 및 할당된 12개의 서브캐리어 주파수-홉을 사용하여 상이한 코딩된 비트들이 송신된다. 총 20개의 코딩된 비트가 20개의 OFDM 심볼에 걸쳐 매핑된다. CQI 외에 HARQ 피드백을 운반하는 포맷 2a/2b는 1-비트 또는 2-비트 HARQ 피드백으로 제2 기준 신호를 변조한다.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기본-시퀀스의 상이한 사이클릭 시프트들을 할당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7개의 심볼 중 2개가 기준 신호를 위해 사용된다(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
PUCCH 포맷 3
PUCCH 포맷 3은 최대 11 또는 22비트의 페이로드들을 위한 것이다. 페이로드는 리드 뮬러 코딩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어(최대 11비트: 단일 리드 뮬러 코드, 최대 22비트: 듀얼 리드 뮬러 코드), 두 경우 모두 48개의 코딩된 비트를 생성한다(단일 리드 뮬러 코드의 경우, 비트들이 반복된다). 48개의 코딩된 비트는 24개의 QPSK 심볼에 매핑되며, 12개의 QPSK 심볼은 제1 슬롯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통해 송신되고 다른 12개의 QPSK 심볼은 제2 슬롯에서 다른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통해 송신된다(주파수-홉핑되어 주파수-다이버시티를 획득한다). 각각의 슬롯에서, 12개의 QPSK 심볼은 낮은 PAPR을 획득하기 위해 DFT-프리코딩되고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통해 송신되며, OFDM 심볼들에 걸쳐 (블록-확산과 함께) 반복된다. 상이한 사용자들에게 상이한 블록-확산 시퀀스들을 할당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7개의 심볼 중 2개가 기준 신호(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위해 사용된다.
PUCCH 포맷 4
PUCCH 포맷 4는 최대 768비트의 페이로드들을 위한 것이다(8개의 할당된 PRB 및 코드 레이트 1/3을 가정). 페이로드는 테일-바이팅(tail-biting) 컨볼루션 코드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고, QPSK 변조 심볼들에 매핑된다. 변조 심볼들은 그룹들로 분할되고, 각각의 그룹은 DFT-프리코딩되어, 별도의 OFDM 심볼로 송신된다. 할당된 PRB의 수는 페이로드 사이즈로 조정될 수 있다. 할당된 PRB들은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홉핑하여 주파수-다이버시티를 획득한다. 슬롯 당 하나의 DM-RS 심볼이 삽입된다, 즉, 7개의 심볼 중 하나가 기준 신호(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위해 사용된다. 이 포맷은 상이한 사용자들을 동일한 자원에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는다.
PUCCH 포맷 5
이 포맷은 PUCCH 포맷 4와 매우 유사하며, 최대 48비트의 페이로드 사이즈들을 지원한다(코드 레이트 1/3). PUCCH 포맷 4와 달리, 이 포맷은 하나의 PRB의 고정된 PRB 할당만 지원하며, 두 사용자의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멀티플렉싱을 허용한다. 이 멀티플렉싱은 DFT 프리코더에 입력되는 길이-2의 시퀀스를 갖는 6개의 QPSK 심볼(결과적으로는, 12개의 변조 심볼)을 블록 확산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비록 상이한 명칭도 가능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에서 때때로 PUCCH로 표시되는 NR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은 또한 여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포맷들 또는 소위 말하는 PUCCH 포맷들을 사용할 것이다. LTE는 때때로 오히려 유사한 페이로드 사이즈들을 갖는 다수의 PUCCH 포맷들을 정의한다. NR에서는 PUCCH 포맷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범위한 페이로드들을 커버하고 또한 사용자들을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PUCCH 방식들이 제안되었다. 작은 페이로드 사이즈들을 위한 다른 포맷과 함께 이 포맷은 NR의 모든 필요한 UCI 페이로드 사이즈들을 커버하여, 결과적으로 PUCCH 포맷들이 LTE보다 훨씬 더 적어질 수 있다.
NR은 상이한 슬롯 포맷들 또는 슬롯 구성들을 정의하며, 슬롯은, 예를 들어, 슬롯 인터벌이라고도 하는 14개의 심볼일 수 있고, 슬롯 지속기간은 순수한 UL 슬롯일 수도 있고 또는 DL 제어 영역을 가질 수도 있고, 슬롯 지속기간은 이중 방향들 사이에서 상이하게 긴 가드 주기들을 수용할 수 있고, 다수의 슬롯들은 집성될 수 있으며,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뉴머롤로지들은 슬롯 당 심볼들의 수가 더 적어진다. 예를 들어,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슬롯 구성은 슬롯 내에 12개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지만,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슬롯은 14개의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상이한 슬롯 구성들을 가질 수 있는데, 매 제7(15kHz) 또는 제14(30kHz) 심볼은 "특수 심볼"로 지칭될 수 있는 약간 더 큰 CP를 가지며, 15kHz의 SCS에서는, 14개의 심볼의 슬롯 구성이 1개의 특수 심볼 뒤에 6개의 정규 심볼 뒤에 1개의 특수 심볼 뒤에 6개의 정규 심볼을 포함할 수 있고, 30kHz의 SCS에서는, 14개의 심볼의 슬롯 구성이 하나의 특수 심볼 뒤의 13개의 정규 심볼일 수 있다. 이 약간 더 긴 CP는 확장 CP와 상이하다. 슬롯 구성은 정규 및 특수 심볼들의 수를 정의할 수 있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예를 들어, 길이)는 또한 특수 심볼을 포함한다.
"슬롯"은 또한 송신의 심볼들로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모든 이러한 팩터들은 PUCCH 송신에 사용 가능한 OFDM 심볼들의 수에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길이에 대해 PUCCH 포맷들을 정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안된 설계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OFDM 심볼들에 걸친 블록-확산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페이로드 사이즈가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단일 PUCCH 포맷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은 주파수-도메인에서 상이한 QAM 변조 차수들(단일 변조 차수의 QPSK가 선호되긴 함) 또는 더 많은 할당된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다.
NR에서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BWP)이라고 하는 구성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캐리어 대역폭의 일부분들만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합의되었다.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러한 대역폭 부분들은 UE에 대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하나만이 활성화되고, UE는 이들 대역폭 부분들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데, 즉, 어느 것이 활성화된 것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캐리어의 전체 대역폭을 핸들링할 수 없는 디바이스들(제한된 능력 디바이스들)의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초기 및/또는 디폴트 BWP가 있을 수 있고, 활성화가 시간 기반일 수 있으며, 시간이 타임 아웃되었을 때, 초기 또는 디폴트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UE의 경우, 구성된 DL(또는 UL) BWP는 서빙 셀에서 다른 구성된 DL(또는 UL) BWP와 주파수 도메인에서 중첩될 수 있다. 각각의 서빙 셀의 경우, 최대 개수의 DL/UL BWP 구성들은 페어링된 스펙트럼에 대한 것이고: 페어링되지 않은 스펙트럼의 경우에는, 4개의 DL BWP 및 4개의 UL BWP: 4개의 DL/UL BWP 쌍들, 보완 업링크의 경우에는, SUL: 4개의 UL BWP이다. 페어링된 스펙트럼의 경우, 타이머-기반 활성 DL BWP의 디폴트 DL BWP로의 전환을 위한 전용 타이머를 지원한다. UE는 그 활성 DL BWP를 디폴트 DL BWP 이외의 DL BWP로 전환할 때 타이머를 시작한다. UE는 자신의 활성 DL BWP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들)(PDSCH)(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DCI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때, 타이머를 초기 값으로 재시작한다. 타이머가 만료될 때, UE는 활성 DL BWP를 디폴트 DL BWP로 전환한다. 각각의 대역폭 부분은 특정 뉴머롤로지(서브캐리어 간격, CP 타입)와 연관된다. UE는 주어진 시간 순간 동안 구성된 대역폭 부분들의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DL 대역폭 부분 및 하나의 UL 대역폭 부분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UE는 적어도 DL에 대한 PDSCH 및/또는 PDCCH에 대해, 그리고 UL에 대한 PUCCH(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및/또는 PUSCH(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에 대해, 연관된 뉴머롤로지를 사용하여 활성 DL/UL 대역폭 부분(들) 내에서만 수신/송신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갖는 다수의 대역폭 부분들이 UE에 대해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논의 중이지만, 3GPP에서는 NR의 릴리스 15에서 한 번에 하나만 활성화될 것이라는 점이 합의되었다. 이것은 UE가 동일한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활성 DL/UL 대역폭 부분은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UE의 DL/UL 대역폭 능력보다 큰 주파수 범위에 걸쳐있는 것으로 가정되지 않는다. 대역폭 부분 전환을 위한 UE RF 리튜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메커니즘을 특정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주어진 시간 순간 동안 하나의 활성 DL BWP의 경우, DL 대역폭 부분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CORESET(Control-resource set),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자원 블록들(즉, 12개의 RE의 배수들)로 구성된 CORESET, 및 시간 도메인에서의 '1 또는 2 또는 3'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PDSCH 송신이 PDCCH 송신의 종료 후 늦어도 K개의 심볼까지 시작하는 경우, UE는 PDSCH 및 대응하는 PDCCH(PDSCH에 대한 스케줄링 할당을 운반하는 PDCCH)가 동일한 BWP 내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대응하는 PDCCH의 종료 후 K개보다 많은 심볼 후에 PDSCH 송신이 시작하는 경우, PDCCH 및 PDSCH는 상이한 BWP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활성 DL/UL 대역폭 부분(들)을 UE에 지시하기 위해, 다음 옵션들이 고려된다(그 조합 포함): 옵션 #1: DCI(명시적으로 및/또는 암시적으로), 옵션 #2: MAC CE, 옵션 #3: 시간 패턴(예를 들어, DRX 유사). BWP의 구성에서, UE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측면에서 BWP로 구성된다. BWP와 기준점 사이의 오프셋은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UE에 지시된다. 공통 PRB 인덱싱은 적어도 RRC 연결 상태에서 DL BWP 구성을 위해 사용되고, 기준점은 UE들이 NB, CA 또는 WB UE들인지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관점에서 광대역 CC를 공유하는 모든 UE들에 공통인 PRB 0이다. PRB 0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일반적인 PRB 인덱싱은 38.211의 테이블 4.3.2-1에 정의된 주어진 뉴머롤로지에 대한 최대 PRB들의 수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6GHz 미만의 NR에서는 몇 개의 뉴머롤로지들이 사용되므로, 모든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등가의 커버리지를 달성하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을 결정하는 복잡성이 증가한다. NR은 상이한 길이들의 PUCCH 구성들을 사용한다. NR에서는, Short PUCCH 및 Long PUCCH가 제안되었다. Short PUCCH는 통상적으로 1개 또는 2개의 심볼 길이이며, 종종 끝에서 두 번째 또는 마지막 심볼에서 슬롯 인터벌의 끝에 배치되지만, 슬롯 인터벌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고, Long PUCCH는 4개 이상의 길이의 심볼(4-14개의 심볼)이고, 확장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슬롯들에 걸쳐 확장되도록 반복될 수도 있다. 상이한 PUCCH 포맷들에 대한 상이한 PUCCH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PUCCH 포맷 0 및 2는 심볼 0-13에서 시작하는 짧은 송신 포맷(1개 또는 2개의 심볼)을 사용하고, PUCCH 포맷 1, 3 및 4는 심볼 1-10에서 시작하는 긴 송신 포맷(4-14개의 심볼)을 사용한다. 모든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등가의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ms의 PUCCH 구성들이 뉴머롤로지와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적어도 서브-6GHz의 경우). 그러나, 대규모 배치들의 경우에는 1ms가 필요하지만, 15kHz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15kHz에서는, 가장 긴 PUCCH가 약 14개의 심볼 길이이어야 하고,
Figure pct00004
kHz에서는,
Figure pct00005
개의 심볼이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사용된 뉴머롤로지에 따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또는 포맷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 및 단점들에 대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NR은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서브프레임들보다 많은 슬롯들을 사용할 수 있고, NR에서 정의된 슬롯들은 LTE의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보다 짧은 지속기간의 것일 수 있으므로, 다수의 슬롯들에 걸쳐 신장되지 않는 긴 PUCCH는 단일 슬롯의 길이에 대해 지속기간이 제한적일 것이다(슬롯이 심지어 1ms보다 길 수도 있다 - <15kHz 서브캐리어 간격(SCS)을 갖는 뉴머롤로지들의 경우). NR 배치들을 위해 LTE 사이트 그리드를 재사용하려면, LTE와 유사한 PUCCH 지속기간(1ms)이 필요하다 - 적어도 LTE 사이트 그리드를 재사용하는 배치들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일부 뉴머롤로지들의 경우. 다수의 슬롯들에 걸쳐 PUCCH 반복을 지원하기로 합의되었다. 따라서, PUCCH 뉴머롤로지의 함수로서의 PUCCH의 슬롯들의 수, 가장 일반적으로는
Figure pct00006
또는 (PUCCH 뉴머롤로지의 함수로서의 슬롯들의 수) 또는 대안 적으로 PUCCH의 PUCCH 심볼들의 수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또는 (PUCCH 뉴머롤로지의 함수로서의 PUCCH의 PUCCH 심볼들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개시내용은, 무선 디바이스(UE 등)로부터 라디오 노드(기지국 등)로 PUCCH 상에서, 예를 들어,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송신하기 위해, 그리고 PUCCH 구조로도 지칭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PUCCH로도 지칭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결정하고 송신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포함한다. 라디오 노드에서 PUCCH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또한 개시된다. 제1 실시예에서, PUCCH 구조(PUCCH 길이)는 결정될 수도 있고 구성될 수도 있다. (1개 또는 2개의 심볼의) Short PUCCH의 경우, Short PUCCH1(1개의 심볼 길이) 또는 Short PUCCH2(2개의 심볼 길이)를 구성할 수 있고, Long PUCCH의 경우, Long PUCCH는 4-14개의 심볼을 갖기 때문에 더 많은 옵션들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서, Long PUCCH 길이는 반-정적으로 구성된다. 상이한 페이로드 범위들에 대해 2개 또는 3개와 같은 여러 상이한 긴 PUCCH 포맷들이 있을 수 있으며, 각각 4-14개의 심볼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Long PUCCH 1, 2 또는 3(PUCCH 포맷)을 구성한 다음, PUCCH의 길이, 예를 들어, 12개의 심볼을 구성할 수 있으며, 길이는 PUCCH 구조의 일부이다. RRC 사양은, 예를 들어, 뉴머롤로지를,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와 같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예를 들어, 긴 PUCCH의 경우)에 링크시킬 수 있는 테이블을 정의할 수 있다. PUCCH(또는 특정 뉴머롤로지와 관련된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특정 뉴머롤로지를 사용하거나 특정 뉴머롤로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정보를 사용하여,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되거나 구성된 뉴머롤로지(서브캐리어 간격)를 특정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예를 들어, PUCCH 길이)에 매핑함으로써, PUCCH 길이와 같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의 파라미터들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사양은 뉴머롤로지 또는 뉴머롤로지에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PUCCH 길이들과 같은) 상이한 PUCCH 구조들에 링크시키는 테이블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긴 PUCCH의 하나 이상의 구성에 의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의 상이한 서브캐리어 간격들이 긴 PUCCH("긴" Long PUCCH(Conf 1) 및 "짧은" Long PUCCH(Conf 2))에 대한 2개의 구성과 관련되며, 여기서 상이한 구성들은 각각의 뉴머롤로지에 대한 PUCCH의 상이한 지속기간들에 매핑되며, PUCCH 길이는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이다. 각각의 뉴머롤로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PUCCH 길이가 정의되고, 각각의 PUCCH 구성에 대해(예를 들어, Conf 1, 2 또는 3), 하나 이상의 길이가 각각의 뉴머롤로지에 대해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의 테이블의 Conf 1은 15 및 30kHz의 경우에는 1ms, 60kHz의 경우에는 0.5 또는 1ms(0.5ms이어야 하는지 또는 1ms이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이며,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상이한 PUCCH 길이들을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Long PUCCH(도 5의 테이블에서 Conf 1로 표시됨)와 관련된 제1 구성, 및 제2 Long PUCCH(도 5의 테이블에서 Conf 2로 표시됨)와 관련된 제2 구성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증가하는 경우,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지속기간 또는 길이가 증가하였다. Long PUCCH 구성 3에 대한 제3 구성(Conf3) 또한 테이블(도시 생략)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15kHz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뉴머롤로지(때로는 기준 또는 디폴트(0) 뉴머롤로지로 지칭됨)는 14개의 심볼의 제1 Long PUCCH 구성(Conf 1)을 가질 수 있고,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갖는 뉴머롤로지를 사용하면 이 경우에 28개의 심볼의 제1 Long PUCCH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장래의 NR 사양(NR과 관련된 통신 표준의 3GPP 기술 사양)에서와 같은 테이블형 표준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PUCCH 길이 또는 각각의 뉴머롤로지에 대한 각각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예를 들어, Conf 1, Conf 2 및 Conf3)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PUCCH 길이를 (예를 들어, 테이블에서) 정의할 수 있다. 테이블에서 행을 명시적으로 선택하는 대신, 어떤 식으로든 시그널링된 뉴머롤로지가 추가 시그널링 비트에 대한 필요없이(왜냐하면 뉴머롤로지는 이미 시그널링되었기 때문) 구성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의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RRC 구성의 일부로서 비트 스트링이 전송되며, 이는 PUCCH 반복 구성/구조를 위해 1비트가 예약될 수 있다. PUCCH 뉴머롤로지에 따라, 비트는 상이한 것들, 예를 들어, 15kHz: 0:14개의 심볼, 1:28개의 심볼, 60kHz: 0:56개의 심볼, 1: 112개의 심볼을 의미한다. 두 경우 모두, "0"은 1ms를 의미하고, "1"은 2ms를 의미하지만, 이것은 상이한 뉴머롤로지들에서 상이한 수의 심볼들을 필요로 한다. 다른 가능성은 15kHz: 0: 1회의 반복, 1: 2회의 반복, 60kHz: 0: 4회의 반복, 1: 8회의 반복(반복도 원본을 카운트함)일 것이다. 즉, 구성에서 동일한 비트 필드가 뉴머롤로지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상이하게 해석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상이한 BWP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UL BWP는 PUSCH/PUCCH에 의해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와 연관된다. 컴포넌트 캐리어 당 각각의 UL BWP 구성에 대해, 연관된 뉴머롤로지가 PUCCH 송신에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된 UL 뉴머롤로지 구성, 즉, UL BWP 구성의 뉴머롤로지는 PUCCH에, 즉,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상이한 길이의 상이한 PUCCH 구성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PUCCH를 위해 사용되는 UL BWP의 뉴머롤로지는 테이블을 사용하여 PUCCH 길이와 같은 PUCCH 구조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PUCCH 상에서 UCI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UL BWP 뉴머롤로지에 대한 지식은 PUCCH 길이와 같은 PUCCH 구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NR은 슬롯 구성들, 즉, 예를 들어, 뉴머롤로지에 따라 0개, 1개 또는 2개의 특수 심볼(15kHz의 경우에는 2개, 30kHz의 경우에는 1개, 30kHz 이상의 경우에는 1개 또는 0개)을 갖는 14개의 심볼 지속기간의 슬롯 인터벌들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NR 사양은 각각의 뉴머롤로지 및 각각의 슬롯 구성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길이를 정의한다. 따라서, 각각의 PUCCH 뉴머롤로지에 대해, PUCCH 슬롯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된/수신된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슬롯 구성과 함께 뉴머롤로지는 PUCCH 구조를 지시할 것이다. PUCCH 구조는 (테이블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PUCCH 심볼들의 수, 또는 슬롯들의 수(테이블 5에 대한 매트랩(Matlab) 표기법에서 [1 1; 2 2; (2 또는 4) (2 또는 4)]) 중 어느 것을 전달할 수 있다. 뉴머롤로지에 대해 정의된 경우, 심볼들의 수가 리턴되면(심볼들의 수로 PUCCH 길이를 결정하면),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CP)를 고려할 필요도 있다. 확장 CP를 사용하면, 슬롯은 14개의 심볼 대신 12개를 포함한다. PUCCH Conf 1 및 2는 슬롯 구성과 독립적일 수 있으며, 즉, 크로스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UE는 실제 뉴머롤로지(뉴머롤로지의 n 값)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예를 들어, 구성 1 또는 2(Conf 1 또는 Conf 2)로 구성되며, 이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길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PUCCH 기준(또는 디폴트) 뉴머롤로지, 예를 들어, 15kHz(n_Ref=0)의 경우, RRC는 Conf 1=14개의 심볼(1ms) 및 Conf 2=7개의 심볼(0.5ms)을 정의한다. 따라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도메인에서의 지속기간)는
Figure pct00009
과 같이 컴퓨팅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10
는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n 값이다(또한, n 0 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공식이 7개의 심볼 또는 심볼 대신 슬롯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 있다. 기준 뉴머롤로지, 예를 들어,
Figure pct00011
(통상적으로, n 0 =0)의 경우, 기준 PUCCH 구성이 정의되며, 예를 들어, 14개의 심볼(1ms)에 걸쳐 있다. 뉴머롤로지
Figure pct00012
의 경우, 심볼들의 수는
Figure pct00013
또는 통상적으로는
Figure pct00014
에 따라 컴퓨팅될 수 있다. 이 대신 또는 이에 더하여, 기준 구성은 7개의 심볼에 기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이 적용된다. 상기와 동일한 확장 CP에 대한 코멘트가 적용되며, 확장 CP의 경우, 슬롯은 7개 또는 14개의 심볼 대신 6개 또는 12개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심볼들의 수를 결정하는 대신, 뉴머롤로지 n에서 슬롯들의 수를 결정하는 데 공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igure pct00017
와 같고,
Figure pct00018
은 기준 뉴머롤로지 n 0 에서의 PUCCH 슬롯의 수이다.
제3 실시예에서, PUCCH 구조, 보다 구체적으로 PUCCH의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는, 밀리초와 같은 초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의 지속기간과 관련하여, 수신된 등과 같은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컴퓨팅(결정)될 수 있다. 수신된 또는 획득된 정보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길이는 심볼들/슬롯들의 수 대신 밀리초(msec 또는 ms)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RRC는 PUCCH 길이를 msec(예를 들어, Conf 1=1ms, Conf 2=0.5ms)로 정의하고, 뉴머롤로지와 함께 무선 디바이스는 PUCCH의 슬롯들 또는 심볼들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PUCCH 지속기간(예를 들어, 밀리초)은 뉴머롤로지와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뉴머롤로지와 함께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PUCCH 구성(예를 들어, Conf 1 또는 2)에 따라, 뉴머롤로지(또는 뉴머롤로지와 관련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와 함께, PUCCH 지속기간(밀리초)은 PUCCH의 슬롯들 또는 심볼들의 수를 결정(예를 들어, 계산)하기 위해 결합된다. 예를 들어, PUCCH 슬롯들의 수는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와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T0는 정의된 PUCCH 지속기간(예를 들어, 1ms)이고,
Figure pct00021
는 뉴머롤로지 n의 슬롯 지속기간이다. 따라서, PUCCH 지속기간 T0는 물리적 업링크 채널 구성, 예를 들어, 구성 1 또는 2(Conf 1 또는 2)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 대신 밀리초로 시간 지속기간을 정의한다. 심볼들의 수는
Figure pct00022
에 따라 계산될 수 있으며, L은 슬롯 당 심볼들의 수, 예를 들어, 7개 또는 14f개(정규 CP) 또는 6개 또는 12개(확장 CP)이다. 따라서, 슬롯들 또는 심볼들의 계산(결정)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동작들
제안된 방법들은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실선 경계로 예시된 일부 동작들 및 모듈들, 및 파선 경계로 예시된 일부 동작들 및 모듈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선 경계로 예시된 동작들 및 모듈들은 가장 넓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포함된 동작들이다. 파선 경계로 예시된 동작들 및 모듈들은 더 넓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동작들 및 모듈들에 포함되거나 그 일부일 수도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기도 하고, 또는 이에 더하여 취해질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들이기도 하다. 동작들이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6은 (PUCCH 상에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PUCCH로도 지칭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방법을 예시하며,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특히,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송신하는 단계(S12) - 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송신은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어 있고(무선 디바이스가 구성되어 있고)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뉴머롤로지 n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같이 어떤 뉴머롤로지(PUCCH 뉴머롤로지)에 기초하고 있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이루어지며,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특정 뉴머롤로지(상기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는 뉴머롤로지)에 링크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채널 구조는,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 즉, 시간의 지속기간, 또는 주파수 범위, 또는 채널의 구조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를 정의할 수 있다. 길이 또는 시간 지속기간은 심볼들의 수(시간 심볼들), 슬롯들의 수 또는 (수)밀리초일 수 있다. PUCCH 구조는 또한 PUCCH 포맷과 관련될 수 있고(또는 심지어 이를 참조할 수도 있음), 적절한 페이로드들과 같은 PUCCH 포맷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PUCCH가 송신되는 라디오 노드들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클라우드 노드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특정 양태에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클라우드 노드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예를 들어, RRC 메시지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뉴머롤로지는 무선 디바이스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링크되거나 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PUCCH 구조는 뉴머롤로지(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및 하나 이상의 PUCCH 구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UL BWP 구성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양태에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 또는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 중 어느 것에 매핑되며, 방법은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에 매핑함으로써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a), 또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에 매핑함으로써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b)를 추가로 포함한다. 매핑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테이블은,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정의한다. 매핑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RRC 메시지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는(이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는 테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테이블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RRC 메시지는 PUCCH 길이와 같은 PUCCH 구조의 매핑 및 리트리브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도록 PUCCH 구성 및/또는 뉴머롤로지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뉴머롤로지 및 PUCCH 구성에 대해 PUCCH 길이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PUCCH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매핑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테이블은, 2개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 및 Conf 2)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각각에 대해, 그리고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심볼들, 슬롯들, 샘플들 또는 밀리초의 수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로서 정의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구성된/사용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된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 또는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에 기초하여, 심볼들, 슬롯들 또는 샘플들의 수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규 및 특수 심볼들의 수는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UCCH 구성(Conf 1)은 더 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될 수 있고, 제2 PUCCH 구성(Conf 2)은 더 짧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슬롯 당 심볼들의 수)과 함께 획득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양태에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을 획득하는 단계(S10a)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뉴머롤로지(뉴머롤로지의 n 값) 및 PUCCH 구성으로 구성되고, PUCCH 길이와 같은 PUCCH 구조의 엘리먼트들을 결정 또는 계산/컴퓨팅하기 위해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길이는 PUCCH 구성 및 구성된 뉴머롤로지의 n 값과 기준(디폴트/0) 뉴머롤로지의 n 값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14개의 심볼이고,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7개의 심볼이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길이 L은,
14개의 심볼의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이 구성된 경우에는,
Figure pct00023
, 또는 7개의 심볼의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이 구성된 경우에는,
Figure pct00024
- n은 구성된/사용된 뉴머롤로지에 대한 n 값이고, n_0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n 값이고, 길이 L은 심볼들의 수임 -; 또는
Figure pct00025
- L은 슬롯들의 수이고,
Figure pct00026
은 뉴머롤로지 n에 대한 슬롯들의 수의 길이이고,
Figure pct00027
은 기준 뉴머롤로지
Figure pct00028
의 슬롯들의 수임 - 에 따라 결정된다. 확장 CP를 사용할 때, Conf 1 및 2는 각각 12개 및 6개의 심볼일 수 있고, 그러면 공식들은 각각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로 읽힐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PUCCH 구성 및/또는 PUCCH 지속기간은 슬롯들 또는 심볼들 대신에 밀리초로 수신된다. 일 양태에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뉴머롤로지와 연관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S10b)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들의 일 양태에서, 심볼들은 OFDM 심볼들 또는 SC-FDMA 심볼들이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NR에 대한 PUCCH 구조이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송신을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대응하는 방법이 이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1);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를 추가로 포함하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송신된(S1) 정보는 슬롯 구성 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송신된 메시지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송신된 메시지는 테이블을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의 매핑을 지시한다. 상기 언급된 방법들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를 정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gNB이다.
예시적인 노드 구성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하거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부 모듈들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의 모든 양태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네트워크 노드와의 통신을 위해 구성된 라디오 통신 인터페이스(i/f)(11)를 포함한다. 라디오 통신 인터페이스(11)는 하나 또는 여러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여러 기술들이 지원되는 경우, 노드는 통상적으로 여러 통신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LTE 또는 NR을 포함하여 하나의 WLAN 또는 Bluetooth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의 셀룰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0)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제어기(CTL) 또는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MEM)(13)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는 판독 및 기입 메모리(Read And write Memory)(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ROM)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3)는 또한 영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기 메모리, 광학 메모리, 또는 고상 메모리 또는 심지어 원격으로 마운팅된 메모리 중 임의의 단일의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위 및 아래에 설명된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3) 및 프로세서(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네트워크 노드(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10)를 포함하며, 무선 디바이스(10)는 통신 인터페이스(11); 및 프로세싱 회로(12)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 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10)로 하여금, PUCCH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PUCCH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뉴머롤로지에 적어도 기초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게 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게 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또는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중 어느 것에 매핑되며, 프로세싱 회로(12)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함으로써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거나, 또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함으로써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 및 그 내부의 활동들에 관한 실시예들도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다.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그 대신에 운영되는 호스트 컴퓨터(또는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RAN(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일 양태에서,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무선 디바이스가 포함되며, UE는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프로세싱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포함되며,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비(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으로부터 발생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UE는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고, UE의 프로세싱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통신 시스템은 UE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을 추가로 포함하고, 기지국은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에 의해 운반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포워딩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호스트 컴퓨터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UE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호스트 컴퓨터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요청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UE의 프로세싱 회로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이 정의되며,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UE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UE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방법은, UE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기지국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송신될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호스트 컴퓨터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UE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입력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에서 제공됨 - 를 추가로 포함하며, 송신될 사용자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싱 회로(12) 또는 무선 디바이스(10)는 상술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들(41-43)을 포함한다. 모듈들은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모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모듈들은 프로세싱 회로(12) 상에서 실행되는 메모리(13)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0) 또는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같이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기 모듈(41)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0) 또는 프로세싱 회로(12)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기 모듈(42)을 포함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수신된 정보, 즉,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고/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10) 또는 프로세싱 회로(12)는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모듈(43)을 포함한다.
도 9는 위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일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20)의 예를 예시한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로부터 PUCCH(PUCCH 상에서의 UCI의 송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를 개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20)는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형태의 통신 또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라디오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라디오 회로(21)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라디오 회로)(21)는 임의의 수의 송수신, 수신 및/또는 송신 유닛들 또는 회로들이 포함된 일부 양태들에 따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라디오 회로(21)는, 예를 들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입력/출력 통신 포트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라디오 회로(21)는, 예를 들어, RF 회로 및 기저 대역 프로세싱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20)는 라디오 회로(21)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유닛 또는 회로(23)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23)는 수신된 또는 송신된 데이터 및/또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3)는, 예를 들어, 임의의 형태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23)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타입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20)는, 네트워크 노드(20)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되는 프로세싱 회로(22)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22)는,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컴퓨팅 유닛,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회로이다. 프로세싱 회로는 단일 유닛으로서 제공될 필요 없이, 임의의 수의 유닛들 또는 회로로서 제공되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싱 회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3) 및 프로세서(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CTL)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메모리(MEM)(23)에 저장된다. 메모리(23)는 판독 및 기입 메모리(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의 메모리(23)는 또한 영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기 메모리, 광학 메모리, 또는 고상 메모리 또는 심지어 원격으로 마운팅된 메모리 중 임의의 단일의 것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는 단일 유닛으로서 제공될 필요 없이, 임의의 수의 유닛들 또는 회로로서 제공되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은,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위 및 아래에 설명된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0)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20)가 포함되며, 네트워크 노드(20)는 통신 인터페이스(21); 및 프로세싱 회로(22)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22)는, 네트워크 노드(20)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싱 회로(22)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에 매핑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모듈(41)) -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스케줄링된 공간 멀티플렉싱된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에 적어도 기초함 -, 적어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의 시퀀스를 결정하고(모듈(42)),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기준 신호 운반 심볼의 자원 엘리먼트들에서 네트워크 노드에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모듈(44)) 동작하는 모듈들(41-44)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PUCCH를 수신하고(모듈(51)),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고(모듈(52),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고(모듈(53)),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모듈(54)) 동작하는 모듈들(51-54)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0)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들을 포함한다. 모듈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모듈들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모듈들은 프로세싱 회로(22) 상에서 실행되는 메모리(23)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0)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기 모듈(51)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0)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기 모듈(52)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0)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기 모듈(53)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20) 또는 프로세싱 회로(22)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모듈(54)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기초하여 PUCCH 길이와 같은 PUCCH 구조를 적응시킴으로써(결정함으로써) 모든 뉴머롤로지들에 대해 양호한 커버리지를 갖는 PUCCH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도면들, 예를 들어,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들의 여러 엔티티들, 예를 들어, 블록도들의 블록들, 및 도면들의 엔티티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및/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및/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도록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면들 및 명세서에,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태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양태들에 대한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위에서 논의된 특정 양태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특정 용어들이 채택되더라도, 이들은 포괄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며, 제한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은 예시의 목적들로 제시되었다. 본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으며, 수정들 및 변형들은 상기 교시들에 비추어 가능하거나, 또는 제공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대안들의 실시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한 방식들로 고려되는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들을 가지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원리들 및 본질 및 그 실시 응용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방법들, 장치들, 모듈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임의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열거된 것들 이외의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반드시 배제할 필요는 없으며, 엘리먼트 앞의 "a" 또는 "an"이라는 단어가 복수의 이러한 엘리먼트들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한다. 또한, 임의의 기준 부호들은 청구항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둘 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러 "수단들", "단위들" 또는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는 것에 추가로 유의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방법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되며, 이들은 일 양태에서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CD)들,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DVD)들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이동식 및 비이동식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행 가능 명령어들 또는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 시퀀스는 이러한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 동작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술한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전술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컴퓨터 프로그램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캐리어가 제공되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실시예들
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12) - 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실시예 1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실시예 1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실시예 3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에 있어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실시예 5에 있어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 또는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 중 어느 것에 매핑되며,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에 매핑함으로써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a), 또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에 매핑함으로써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b)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실시예 5 또는 실시예 6에 있어서, 매핑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테이블은,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
8. 실시예 6 또는 실시예 7에 있어서, 매핑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테이블은, 2개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 및 Conf 2)의 각각에 대해, 그리고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심볼들, 슬롯들 또는 밀리초의 수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로서 정의하는 방법.
9. 실시예 7 또는 실시예 8에 있어서, 테이블은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예를 들어, RRC 메시지로 수신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법.
10. 실시예 9에 있어서, 테이블은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예를 들어, RRC 메시지로 수신되는 방법.
11.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클라우드 노드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방법.
1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 지속기간(길이)을 정의하며, 시간 지속기간은 슬롯들의 수 또는 심볼들의 수로서 정의되는 방법.
13.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구성된/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기초하여,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3에 있어서,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구성(Conf 1)은 더 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되고, 제2 구성(Conf 2)은 더 짧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과 관련되는 방법.
15.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슬롯 당 심볼들의 수)과 함께 획득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6.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5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을 획득하는 단계(S10a)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4에 있어서,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14개의 심볼이고,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7개의 심볼이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길이 L은,
14개의 심볼의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1)이 구성된 경우에는,
Figure pct00031
, 또는
7개의 심볼의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Conf 2)이 구성된 경우에는,
Figure pct00032
- n은 구성된/사용된 뉴머롤로지에 대한 n 값이고, n0은 기준 뉴머롤로지에 대한 n 값이고, 길이 L은 심볼들의 수임 -; 또는
Figure pct00033
- L은 슬롯들의 수이고,
Figure pct00034
은 뉴머롤로지 n에 대한 슬롯들의 수의 길이이고,
Figure pct00035
은 기준 뉴머롤로지 n0의 슬롯들의 수임 -
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8.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6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시간 지속기간을 밀리초로 획득하는 단계(S10b)를 추가로 포함하며, 시간 지속기간은 사용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예를 들어, Conf 1 또는 Conf 2)에 의해 정의되고,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는,
Figure pct00036
-
Figure pct00037
은 뉴머롤로지 n(n값 n을 가짐)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슬롯들의 수의 길이이고,
Figure pct00038
는 (Conf 1 또는 Conf 2에 의해 정의되는) 밀리초 단위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지속기간의 획득된 지속기간(밀리초)이고,
Figure pct00039
는 뉴머롤로지 n의 슬롯 지속기간임 -, 및
Figure pct00040
-
Figure pct00041
은 뉴머롤로지 n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심볼들의 수의 길이이고, L은 슬롯 인터벌(슬롯 구성)의 심볼들의 수임 -
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19.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18에 있어서, 심볼들은 OFDM 심볼들 또는 SC-FDMA 심볼들인 방법.
20.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NR에 대한 PUCCH 구성인 방법.
2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1);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있거나,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결정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3에 있어서, 송신된(S1) 정보는 슬롯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4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2)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실시예 25에 있어서, 송신된 메시지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모두에 기초하는 방법.
27. 실시예 25 또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송신된 메시지는 테이블을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의 매핑을 지시하는 방법.
28.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7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시간 지속기간)를 정의하는 방법.
29. 실시예 19 내지 실시예 28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gNB인 방법.
30.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네트워크 노드(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10)로서,
통신 인터페이스(11); 및
프로세싱 회로(12)
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 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함 -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1. 실시예 30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12)는,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2. 실시예 30 또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또는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중 어느 것에 매핑되고, 프로세싱 회로(12)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함으로써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거나, 또는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함으로써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3. 무선 디바이스(10)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20)로서,
통신 인터페이스(21); 및
프로세싱 회로(22)
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22)는, 네트워크 노드(20)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4. 실시예 33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22)는,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에 매핑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5. 무선 디바이스(10)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6. 실시예 35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7. 네트워크 노드(20)로서,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8. 실시예 37에 있어서,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9. 무선 디바이스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됨 -,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모듈들(41-43)
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0. 네트워크 노드로서,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과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의 구조는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동작하는 모듈들(51-54)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41. 무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2.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9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3. 실시예 41 또는 실시예 42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인 캐리어.

Claims (40)

  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UCI)를 송신하는 단계(S12)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에 기초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상기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테이블은,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대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대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UCI를 송신하기 위해 각각 구성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대해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샘플들의 수의 길이로서 정의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및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는 무선 디바이스, 네트워크 노드, 클라우드 노드 또는 gNB와 같은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 지속기간을 정의하고, 상기 시간 지속기간은 정의된 슬롯들의 수 또는 심볼들 또는 샘플들의 수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들의 수는 정규 심볼들 및 특수 심볼들의 수로서 특정되는 방법.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S11)는 상기 구성된/사용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를 위해 구성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심볼들 또는 슬롯들의 수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PUCCH 포맷과 관련되는 방법.
  15. 제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과 함께 상기 획득되거나 사용되는 뉴머롤로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6.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슬롯 구성 또는 슬롯 인터벌을 획득하는 단계(S10a)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는 뉴머롤로지와 연관된 업링크 대역폭 부분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S10b)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들은 OFDM 심볼들 또는 SC-FDMA 심볼들인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NR에 대한 PUCCH 구성인 방법.
  20.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뉴머롤로지 구성을 지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UCI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은 상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한 구조를 가짐 -
    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0)는 하나 이상의 무선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결정하거나,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S1) 정보는 슬롯 구성 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뉴머롤로지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S2)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정보 또는 송신된 메시지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뉴머롤로지 및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 모두에 기초하는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정보 또는 메시지는 테이블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서의 매핑을 지시하는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정의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슬롯들, 심볼들 및/또는 샘플들의 수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길이를 정의하는 방법.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gNB인 방법.
  30.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네트워크 노드(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10)로서,
    통신 인터페이스(11); 및
    프로세싱 회로(12)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로 하여금,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갖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송신하게 하도록 - 사용된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에 기초함 -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도록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10)를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에 기초하여 결정됨 -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2. 무선 디바이스(10)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20)로서,
    통신 인터페이스(21); 및
    프로세싱 회로(22)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20)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UCI)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도록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는 상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2)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뉴머롤로지 또는 주파수 서브캐리어 간격을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에 매핑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4. 무선 디바이스(10)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결정하고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에 기초하여 결정됨 -,
    상기 결정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를 사용하여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하나 이상의 라디오 노드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5. 제34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10).
  36. 네트워크 노드(20)로서,
    무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10)가 사용해야 하는 뉴머롤로지들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뉴머롤로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뉴머롤로지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간의 매핑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10)에 송신하고,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업링크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는 상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함 -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7. 제36항에 있어서,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20).
  38.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9.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하여금,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40. 제38항 또는 제39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인 캐리어.
KR1020197032288A 2017-05-05 2018-05-04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KR201901291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799P 2017-05-05 2017-05-05
US62/501,799 2017-05-05
PCT/SE2018/050469 WO2018203823A1 (en) 2017-05-05 2018-05-04 Numerology-depend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126A true KR20190129126A (ko) 2019-11-19

Family

ID=6401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288A KR20190129126A (ko) 2017-05-05 2018-05-04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11343A1 (ko)
EP (1) EP3620004A4 (ko)
JP (1) JP2020520590A (ko)
KR (1) KR20190129126A (ko)
CN (1) CN110603878A (ko)
MX (1) MX2019012651A (ko)
WO (1) WO2018203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6181B (zh) * 2017-05-26 2021-07-23 株式会社Kt 为新无线电配置关于分量载波的频率资源的方法及其装置
CN109150379B (zh) * 2017-06-16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CN109150456B (zh) * 2017-06-16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设备
EP3661258A4 (en) * 2017-07-28 2021-03-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ROCESS, DEVICE, AND SYSTEM FOR OBTAINING ORDER INFORMATION
CN112187435B (zh) * 2017-09-14 2022-07-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带宽部分bwp的激活方法及相关产品
EP3673692B1 (en) * 2017-09-29 2023-07-12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device
US10887903B2 (en) * 2017-10-26 2021-01-05 Ofinno, Llc Wireless device processes with bandwidth part switching
CN109803394B (zh) * 2017-11-17 2022-07-1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时隙传输的方法和设备
CN111602444B (zh) * 2018-01-12 2024-0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调度请求资源配置
KR20190133974A (ko) * 2018-05-24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US11272507B2 (en) * 2018-07-23 2022-03-08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switching for multiple transceiver nodes
US11902963B2 (en) * 2020-04-17 2024-02-13 Intel Corporation Coverage enhancement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s in new radio
WO2021208981A1 (zh) * 2020-04-17 2021-10-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目标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CN116326047A (zh) * 2020-10-12 2023-06-23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基站及通信方法
WO2022213804A1 (en) * 2021-04-07 2022-10-13 Mediatek Singapore Pte. Ltd. Enhancements for wideband operation of reduced-capability new radio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1690A1 (en) * 2007-10-01 2009-06-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signaling
CN102404854B (zh) * 2011-11-04 2018-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解调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及系统
US10085255B2 (en) * 2015-09-02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for low latency downlink communications
US11102775B2 (en) * 2015-11-26 2021-08-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source block channelization for OFDM-based numerologies
CN108886776B (zh) * 2016-03-25 2023-05-02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EP3537796A4 (en) * 2016-11-01 2020-10-2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0590A (ja) 2020-07-09
MX2019012651A (es) 2020-01-20
EP3620004A1 (en) 2020-03-11
WO2018203823A1 (en) 2018-11-08
EP3620004A4 (en) 2021-01-13
CN110603878A (zh) 2019-12-20
US20210211343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9126A (ko) 무선 통신을 위한 뉴머롤로지-종속적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구조
US20240064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signaling with massive carrier aggregation
CN11043190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在终端和基站之间发送和接收调度请求的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装置
KR1020707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106628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无线信号的方法和设备
KR1024620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23121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3371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和设备
CN108781446B (zh) 单载波上行控制与多载波上行数据
US1142488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18870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885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8262750B2 (en) Partitioning of frequency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control signals and data signals in SC-FDMA communication systems
EP25555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periodic feedback under carrier aggregation scene
EP3451732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s
EP3018933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801084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034539A (ko)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과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CN110832802B (zh) 用于上行链路通信的波形的选择
WO2013169088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4112835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OA19901A (en) Numerology-depend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