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942A -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942A
KR20190128942A KR1020180053330A KR20180053330A KR20190128942A KR 20190128942 A KR20190128942 A KR 20190128942A KR 1020180053330 A KR1020180053330 A KR 1020180053330A KR 20180053330 A KR20180053330 A KR 20180053330A KR 20190128942 A KR20190128942 A KR 2019012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type
bulletin board
posts
tim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874B1 (ko
Inventor
안정호
김성민
오태겸
박병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8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7/2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변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METHOD FOR DISPLAYING WEB POST AS A DUAL TYPE VIEW}
본 발명은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웹 사이트의 게시물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타임라인 타입 뷰 또는 게시판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는, 사용자가 작성한 게시물들을 열람하는 뷰 형태를 타임라인(Timeline) 타입으로 제공한다.
이는 전통적인 게시물들을 열람하는 뷰 형태인 게시판(Bulletin) 타입의 뷰 형태가 변형 된 것으로,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 표시방법은, 최근 빠른 컨텐츠의 업데이트와 소비가 이루어지는 사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전문지식 관련 서비스 등과 같이 정보전달이 주목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여전히 게시물의 제목과 작성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원하고자 하는 게시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게시판 뷰 형태의 정적인 게시물 표시방법이 적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성향, 사용자의 웹 사이트 접속목적에 따라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들을 열람하고 싶을 수 있고,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들을 열람하고 싶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모든 웹 사이트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둘 중 하나의 뷰 형태로 게시물을 확인하도록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할 수 있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세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 또는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임라인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시판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변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는, 작성할 게시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창과, 게시물 제목을 작성하는 창과, 영상 및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창과,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창을 포함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게시물들의 제목들을 작성일 순서로 나열한 제 1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에서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여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작성정보를 작성정보 표시공간에 배치시키고, 영상 컨텐츠들을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에 배치시킨 후 제목, 게시글 또는 헤시태그를 모아 텍스트 표시공간에 배치시켜 상기 게시물 정보를 하나의 레이어의 공간에 구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정보에 헤시태그가 없으면, 상기 제목과 게시글로부터 헤시태그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변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는, 게시글 또는/및 헤시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란과, 영상과 같은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란을 포함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최신 업데이트 순에 따라 나열하여 복수의 게시물을 원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에서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여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게시물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게시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정보의 텍스트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게시물의 제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제목 옆에 상기 게시물 내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추가로 선택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목과 픽토그램을 포함하는 게시판 타이틀들을 작성일 순으로 나열한 게시판을 포함하는 제 1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게시물 정보의 영상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으로 구성된 본문을 포함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한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 또는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게시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은, 하나의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을 다른 타입으로 자동으로 변환하여 주어, 사용자의 별도 작업이 없더라도 듀얼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할 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뷰 웹 사이트 제공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한 웹 화면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한 제 1 레이어의 웹 화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 1 레이어 웹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으로 표시한 웹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들을 게시판 타입에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에서 게시판 타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플록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뷰 웹 사이트 제공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 뷰 웹 사이트 제공시스템은, 웹 브라우저를 표시하는 단말기(100)와,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서 듀얼 타입의 뷰 형태의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웹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 단말기(100)
먼저, 단말기(100)는, 웹 서버(200)에 접속하여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들로 구성된 게시물을 작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신/타인으로부터 작성된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게시판 타입으로 표시하는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단말기(100)는, 웹 브라우저인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웹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웹 서버(200)와 게시물을 작성하거나 열람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하면서,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와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게시물의 컨텐츠 전체를 하나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공간에 표시하며, 이와 같이 표시되는 복수의 게시물들을 업데이트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게시물들의 제목이 나열된 제 1 레이어 화면과,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의 컨텐츠로 구성된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타임라인 타입과 게시판 타입 중 하나의 선택된 하나의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서 원하는 타입의 뷰 형태를 선택하여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100),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설치된 고정형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 웹 서버(200)
그리고 웹 서버(20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통해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로부터 작성된 게시물들을 등록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된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 또는 게시판 타입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웹 서버(200)는,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 또는 게시판 타입으로 작성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200)는, 하나의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을 다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웹 서버(200)에서, 게시물의 타입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단말기(100)에서 전환작업이 수행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웹 서버(200)는, 작성된 게시물들을 뷰 타입을 달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웹 서버(200)는, 하나의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을 저장한 이후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 타입을 전환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게시물 등록시 게시물을 듀얼 타입으로 모두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웹 서버(200)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뷰 타입으로 게시물들에 관한 데이터들을 전송함으로서, 단말기(100)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서로 다른 뷰 타입으로 게시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웹 서버(20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웹 사이트의 컴포넌트 파일들을 저장하는 컴퓨터일 수 있고, 이러한 파일들을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00)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어떻게 호스트 파일들에 접근하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URL(Web addresses)과 HTTP(당신의 브라우자거 웹 페이지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듀얼 뷰 타입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과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한 웹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웹 브라우저 표시한 웹 사이트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뷰 타입 변경 버튼(10), 게시물 카테고리 선택창(20) 또는 게시물 작성 버튼(30)이 포함될 수 있으며, 타임라인 타입으로 표시된 게시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뷰 타입 변경 버튼(10)은 게시물들의 뷰 타입을 타임라인 타입에서 게시판 타입으로 변경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으며, 게시물 카테고리 선택창(20)은 서로다른 성격의 게시물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후 카테고리 선택시 해당 카테고리의 게시물만 표시하는 선택창일 수 있으며, 게시물 작성 버튼(30)은 게시물을 작성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다음으로,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은, 복수의 게시물들을 최신으로 업데이트된 순서에 따라 나열하여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최신으로 업데이트되었다는 의미는, 게시물 작성일 또는 게시물에 대한 댓글 작성일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장 빠른 일자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게시물이 가장 먼저 작성된 게시물이 가장 상단에 게시될 수 있으며, 작성된 순서가 느리더라도 게시물의 댓글이 작성된 경우 최신으로 업데이트 된 것으로 보아 가장 상단에 게시될 수 있다.
그리고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은, 게시물의 컨텐츠 전체를 원 레이어로 모두 표시하는 형태로, 원 레이어로 표시된 다수의 게시물들이 업데이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방식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만약,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은,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화면에는 각각의 컨텐츠 표시공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제한된 표시공간에 컨텐츠를 모두 표시할 수 없을 경우 컨텐츠 중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의 상단은 작성정보가 표시되는 공간(310)으로, 중단에는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320)으로, 하단에는 텍스트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공간은 제한된 표시공간일 수 있으며 컨텐츠가 표시공간을 넘어서면, 컨텐츠가 생략됨을 나타내는 생략기호가 추가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생략기호 클릭시 생략된 컨텐츠가 화면의 제한을 해제하고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들을 끌어 내리며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게시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른측면에서,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은, 영상(예컨대, 동영상, 이미지)(320), 문장으로 이루어진 게시글 또는/및 헤시태그(335)을 포함하는 텍스트 컨텐츠 또는 댓글과 같은 컨텐츠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시물에는, 작성자와 작성일, 게시물 타입과 같은 작성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은, 작성정보가 표시되는 공간,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 텍스트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표시공간은 제한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타임라인 타입으로 작성된 게시물은, 작성자, 작성일, 게시물 카테고리와 같은 작성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와, 영상 컨텐츠 주변에 작성된 글 또는 헤시태그들을 포함하여, 상기 컨텐츠들 전체가 하나의 공간 내에 모두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컨텐츠 중 일부가 제한된 공간 내에 구성되기 어려우면, 말줄임표와 같은 생략기호로 변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생략기호 선택시 생략된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새롭게 업데이트된 게시물들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게시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한 제 1 레이어의 웹 화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제 1 레이어 웹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으로 표시한 웹 화면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웹 브라우저 표시한 웹 사이트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뷰 타입 변경 버튼(10), 게시물 카테고리 선택창(20)(예컨대, 게시판 선택창) 또는 게시물 작성 버튼(3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의 웹 화면에는,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은, 복수의 게시물들을 2 레이어로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자세히,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 표시방법은, 복수의 게시물들의 제목들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제 1 레이어 화면과,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 내 컨텐츠들을 상세히 표시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게시판을 선택하는 게시판 선택창이 추가 레이어로 제공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레이어 화면에는, 게시물의 주제를 나타내는 제목(410)과 게시물 내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픽토그램(435)과 작성정보들(413, 415)로 구성된 게시물 타이틀이 게시물 작성일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나열된 게시판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도 3a의 게시판에서 게시물 타이틀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게시물의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레이어 화면에는, 게시물 제목(410), 작성정보(413, 415), 영상 컨텐츠(430), 텍스트 컨텐츠(440, 450) 또는 게시물의 댓글(461)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특정 게시물을 빠르게 선택하고, 특정 게시물을 세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게시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와,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르며,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특정 뷰 형태로 게시물을 확인하고 싶을 수 있다.
- 게시판 타입 -> 타임라인 타입
이하, 게시물 타입으로 게시물이 표시된 상태에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들을 게시판 타입에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시판 타입에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뷰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은,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S101)와,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S102)와, 타임라인 타입 뷰형태로 변경 요청을 받는 단계(S103)와,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04)와, 게시물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전환하는 단계(S105)와, 타임라인 타입 뷰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S10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기(100)는, 게시판 타입 모드에서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게시판 타입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는, 게시물 카테고리 선택창(20), 게시물 제목을 작성하는 창과, 영상 또는/및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창과, 영상과 같은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제목, 텍스트, 영상 등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게시물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자, 작성일, 선택된 게시물 카테고리 등을 작성 정보로 추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웹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웹 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게시물들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로 게시물을 표시할 수 있다. (S102)
자세히, 단말기(100)는, 복수의 게시물들의 제목들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제 1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고,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 내 컨텐츠들을 상세히 표시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게시판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표시할 것을 변경하는 요청을 받을 수 있다. (S103)
자세히,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타임라인 뷰 타입변경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타임라인 뷰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타임라인 뷰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100)와 웹 서버(200)는,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S104, S105)
자세히, 단말기(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미리 타임라인 타입으로 전환되어 구성된 게시물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뷰 형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게시판 타입으로 수신한 게시물들을 직접 분석하여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로 전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웹 서버(200)가 뷰 형태를 직접 전환하는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나, 단말기(100)가 웹 서버(200)와 연동하며 뷰 형태를 변경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자세히, 웹 서버(200)는,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게시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 정보는, 게시물들의 정보들을 종류에 따라 서로 분리하여 추출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게시물 정보는, 게시물 제목, 작성정보, 영상 컨텐츠, 게시글, 헤시태그로 구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200)는, 상기 게시물 정보에 따라서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웹 서버(200)는, 게시물 제목(410), 작성정보(413, 415), 영상 컨텐츠(430), 게시글(440) 및 헤시태그(450) 등의 컨텐츠들을 각각의 컨텐츠 표시공간으로 배치시켜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작성정보들(413, 415)를 작성정보 표시공간(310)에 배치시키고, 영상 컨텐츠들(430)을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320)에 배치시킨 후 제목(410), 게시글(440) 및 헤시태그(450)를 모아 텍스트 표시공간(33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텍스트 표시공간에서, 제목, 게시글, 헤시태그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웹 서버(200)는, 제한된 컨텐츠 표시공간에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배치시키기 어려운 경우, 일부는 생략기호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복수의 영상이 포함되어 제한된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에 영상 모두를 배치시키기 어려운 경우, 복수의 영상 중 소정의 영상만을 추출하여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에 배치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200)는, 드래그 입력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략된 영상 컨텐츠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으로 영상 콘텐츠 표시공간을 대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에 나머지 영상 컨텐츠들도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00)는, 제목, 게시글, 헤시태그들을 합쳐 텍스트 컨텐츠 표시공간에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느데, 만약, 합쳐진 텍스트들이 텍스트 컨텐츠 공간을 초과한다면, 제목, 게시글, 헤시태그 순으로 중요도를 달리하여 먼저 표시하고 나머지는 생략기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00)는, 제목과 게시글만 있고 헤시태그가 없다면, 제목과 게시글로부터 헤시태그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제목에서 단어들을 주어, 동사, 목적어도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주어와 목적어, 동사를 대표하는 주제어를 선택한 후 상기 주제어를 헤시태그로 설정할 수 있다.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 전환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타임라인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 (S106)
이때, 단말기(100)는, 최신 업데이트 순서에 따라 상측부터 하측으로 타임라인 타입으로 전환된 게시물들을 나열할 수 있다.
즉, 게시판 타입의 뷰 형태에서는 게시물 표시순서가 작성일에 고정되었으나, 타임라인 타입으로 변경되면, 게시물이 최신 업데이트되었을 때를 기초로 게시물의 순서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빠르게 최신 업데이트된 게시물을 전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타임라인 타입으로 뷰 형태를 전환하여 게시물을 표시할 수 있다.
- 타임라인 타입 -> 게시판 타입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에서 게시판 타입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타임라인 타입에서 게시판 타입으로 뷰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은,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S201)와,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S202)와, 게시판 타입 뷰형태로 변경 요청을 받는 단계(S203)와,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04)와, 게시물 정보에 기초하여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전환하는 단계(S205)와, 게시판 타입 뷰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S20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말기(100)는, 타임라인 모드에서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201)
자세히,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는, 게시글 또는/및 헤시태그와 같은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란과, 영상과 같은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텍스트, 영상 등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게시물 작성이 완료되면, 작성자, 작성일, 선택된 게시물 카테고리 등을 작성 정보로 추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웹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웹 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게시물들을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로 게시물을 표시할 수 있다. (S202)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은, 작성정보가 표시되는 공간, 영상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 텍스트 컨텐츠가 표시되는 공간으로 구성된 게시물로, 단말기(100)는 이러한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을 최신 업데이트 순에 따라 나열하여 원 레이어에 다수의 게시물들 전체의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변경 요청을 받을 수 있다. (S203)
자세히,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타임라인 뷰 타입변경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타임라인 뷰 변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타임라인 뷰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기(100)와 웹 서버(200)는,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게시물 정보에 기초하여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S204, S205)
자세히, 단말기(100)는, 웹 서버(200)로부터 미리 게시판 타입으로 전환되어 구성된 게시물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뷰 형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기(100)는, 타임라인 타입으로 수신한 게시물들을 직접 분석하여 게시판 타입 게시물로 전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웹 서버(200)가 뷰 형태를 직접 전환하는 것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자세히, 웹 서버(200)는,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분석하여 게시물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게시물 정보는, 게시물들의 정보들을 종류에 따라 서로 분리하여 정보를 추출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게시물 정보는, 영상 컨텐츠, 게시글 또는 헤시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컨텐츠와, 작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200)는, 각각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표시공간에 표시된 컨텐츠들을 분리하여 게시물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200)는, 상기 게시물 정보에 따라서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변환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웹 서버(200)는, 추출한 게시물 정보에 성격에 따라서 게시판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자세히, 웹 사이트에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복수의 게시판이 존재하는 경우, 웹 서버(200)는, 게시물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카테고리 게시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320) 또는/및 텍스트 컨텐츠(330)를 분석하여, 게시물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웹 서버(200)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얻는 키워드의 상/하위, 유사어 개념을 통해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웹 서버(200)는, 햄버거라는 키워드를 추출하면, 이와 유사어에 속하는 음식(또는, 맛집) 카테고리 키워드에 속한다고 보아 음식 게시판에 게시물을 등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영상을 이미지 처리하여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가 음식 이미지인 경우, 음식과 관련된 카테고리로 판단하고, 해당 카테고리 게시판에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서버(200)는, 타임라인 타입 게시물에 제목이 없는 경우, 게시물 제목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자세히, 웹 서버(200)는, 게시물 정보의 텍스트 컨텐츠(330)에 기초하여 게시물 제목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웹 서버(200)는, 최 상단에 기재된 게시글의 일부를 추출하여 게시물 제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웹 서버(200)는, 헤시태그의 단어를 주어, 동사, 목적어로 구분한 후 조사를 추가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한 후 게시물 제목으로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웹 서버(200)는, 게시물 제목 옆에 게시물 내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픽토그램(417)을 추가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게시물이 텍스트 컨텐츠로만 이루어진 경우 txt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하여 게시물 제목 옆에 표시할 수 있으며, 게시물이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img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하여 게시물 제목 옆에 표시할 수 있으며, 게시물이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avi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선택하여 게시물 제목 옆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제목과 작성정보으로, 웹 서버(200)는, 게시물 타이틀을 구성한 후 선택된 카테고리의 게시판에 작성일에 따라 등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서버(200)는, 해당 게시물 타이틀 선택시,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영상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들이 전부 표시된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서버(200)는, 게시물 정보의 영상 컨텐츠들(430)과, 게시글 및 헤시테크와 같은 텍스트 컨텐츠들(440, 450)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게시물 본문으로 구성하여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 전환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타임라인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할 수 있다. (S206)
자세히, 단말기(100)는,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들을 2 레이어로 표시할 수 잇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복수의 게시물들의 제목들을 나열하여 표시하는 제 1 레이어 화면과,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 내 컨텐츠들을 상세히 표시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게시물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제 1 레이어 화면으로 게시물의 주제를 나타내는 제목과 게시물 내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작성정보들로 구성된 게시물 타이틀이 게시물 작성일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나열된 게시판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게시판에서 게시물 타이틀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게시물의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제 2 레이어 화면으로, 게시물 제목, 작성정보, 영상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또는 게시물의 댓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고자 하는 게시물을 쉽게 찾아 선택할 수 있는, 게시판 타입으로 뷰 형태를 전환하여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내부 플록도의 일례이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웹 서버(200)와 연결되어 듀얼 타입 뷰로 게시물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하기 통신방식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등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망 상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RFID, NFC 등의 근거리 통신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부(120)는, 웹 브라우저를 온(on)/오프(off)시키는 실행 입력이나, 웹 브라우저의 각종 기능에 대한 설정, 실행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에 배치된 각종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부 또는 디스플레이(130) 장치와 함께 결합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입력부(12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140)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및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듀얼 타입 뷰로 웹 사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5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변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라인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는,
    작성할 게시물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창과, 게시물 제목을 작성하는 창과, 영상 및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창과,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창을 포함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게시물들의 제목들을 작성일 순서로 나열한 제 1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레이어 화면에서 선택된 게시물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에서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여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는 단계는,
    작성정보를 작성정보 표시공간에 배치시키고, 영상 컨텐츠들을 영상 컨텐츠 표시공간에 배치시킨 후 제목, 게시글 또는 헤시태그를 모아 텍스트 표시공간에 배치시켜 상기 게시물 정보를 하나의 레이어의 공간에 구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정보에 헤시태그가 없으면, 상기 제목과 게시글로부터 헤시태그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7.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변환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타입으로 게시물을 작성하는 단계는,
    게시글 또는/및 헤시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컨텐츠를 작성하는 란과, 영상과 같은 첨부파일을 등록하는 란을 포함하는 게시물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뷰 형태로 게시물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최신 업데이트 순에 따라 나열하여 복수의 게시물을 원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인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에서 게시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게시물 정보를 재구성하여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을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라인 타입의 게시물의 컨텐츠를 분석하여 게시물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게시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정보의 텍스트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게시물의 제목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 타입의 게시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제목 옆에 상기 게시물 내 컨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픽토그램을 추가로 선택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판 타입 뷰 형태로 상기 전환된 게시물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목과 픽토그램을 포함하는 게시판 타이틀들을 작성일 순으로 나열한 게시판을 포함하는 제 1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게시물 정보의 영상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으로 구성된 본문을 포함하는 제 2 레이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KR1020180053330A 2018-05-09 2018-05-09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KR102113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0A KR102113874B1 (ko) 2018-05-09 2018-05-09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30A KR102113874B1 (ko) 2018-05-09 2018-05-09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42A true KR20190128942A (ko) 2019-11-19
KR102113874B1 KR102113874B1 (ko) 2020-05-21

Family

ID=6877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30A KR102113874B1 (ko) 2018-05-09 2018-05-09 웹 게시물을 듀얼 타입 뷰로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8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866A (ko)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866A (ko) * 2009-06-10 2010-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874B1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952B2 (en) Search engine
US20170308251A1 (en) User Interface with Media Wheel Facilitating Viewing of Media Objects
US20130061160A1 (en) Domain-Specific Browser Tab Creation and Management
US20100095198A1 (en) Shared comments for online document collaboration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US9600258B2 (en) Suggestions to install and/or open a native application
US20130061159A1 (en) Overlaid User Interface for Browser Tab Switching
US8775165B1 (en) Personalized transliteration interface
US10346523B1 (en) Content synchronization across devices
TW201447618A (zh) 內容收集的自動化產生
JP2015507779A (ja) スプレッドシート・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用高速分析ツール
US20170060966A1 (en) Action Recommendation System For Focused Objects
US20120303695A1 (en) Device specific web services
US9448985B2 (en) Browser appli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browser application
US8782538B1 (en) Displaying a suggested query completion within a web browser window
US11360640B2 (en) Method, device and browser for presenting recommended news,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337648A1 (en) Hierarchical panel presentation responsive to incremental search interface
US20160379117A1 (en) Location-based delivery of structured content
US20180121439A1 (en) Proposing a copy area in a document
US10628498B2 (en) Interest-based message-aggregation alteration
US20160239156A1 (en) Browser applic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browser application
US20130282716A1 (en) Delivering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content profile
RU2640635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сервер для передачи персонализированного сообщения н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60203114A1 (en) Control of Access and Management of Browser Annotations
US20140164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