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857A -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857A
KR20190128857A KR1020180053104A KR20180053104A KR20190128857A KR 20190128857 A KR20190128857 A KR 20190128857A KR 1020180053104 A KR1020180053104 A KR 1020180053104A KR 20180053104 A KR20180053104 A KR 20180053104A KR 20190128857 A KR20190128857 A KR 20190128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rminal
movable
support plate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787B1 (ko
Inventor
허남두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측에 복수의 지지 기둥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는 상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판; 상기 상부 받침판을 관통하는 수직 이송바에 의해 상기 하부 받침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 고정판을 향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말기 압착 덮개판; 및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단말기 고정판 상부에 거치되 휴대단말기를 가압하도록 하는 덮개판 가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양면테이프 접착 방식의 휴대단말기를 수리하기 위해 분해 수리한 후 이를 다시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점착 고정되게 가압하는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단말기들을 단말기 압착 덮개판으로 눌러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들을 재조립하기 위한 압착 과정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PRESSING DEVICE FOR REPAIRING A VARIOUS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수리 후 케이스 압착 작업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스마트폰(Smart Phone) 형태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도 기존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상용 중인 스마트폰의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 사이에 상기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 바디 프레임, 피비에이(PBA)가 수납 고정된 상태로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접착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현재 상용중인 양면테이프 접작 방식의 스마트폰의 경우 고장난 부품만을 교체 및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를 위해서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부착된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의 분해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수리 후에는 다시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의 압착 고정하는 작업이 판드시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압착 고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모델 별로 압착 패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압착 패드의 공급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스마트폰의 모델 별 다중 작업이 불가능하게 때문에 압착 과정의 대기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9272호(등록일자 2018년03월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506호(등록일자 2015년08월27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고장 수리후 압착 작업을 휴대단말기의 모델을 구분하지 않고 범용적으로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는, 하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측에 복수의 지지 기둥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는 상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판; 상기 상부 받침판을 관통하는 수직 이송바에 의해 상기 하부 받침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 고정판을 향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말기 압착 덮개판; 및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단말기 고정판 상부에 거치되 휴대단말기를 가압하도록 하는 덮개판 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고정판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올려 거치시키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부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을 관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거치판 고정대; 및 상기 거치판 고정대 상에 끼워져 상기 거치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치판을 탄성 지지하는 거치판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은 상기 덮개판 가동부에 연결되는 가동판; 및 상기 가동판 하부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 이격 설치되며 가압판 사각 프레임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끈들이 망 형태를 이루며 서로 교차하게 설치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판 사각 프레임은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끈 걸이 돌기; 및 상기 끈 걸이 돌기에 걸어 서로 교차 하며 연속되게 망 형태로 걸려 고정 끈들의 단부를 장력 조절 가능하게 감아 고정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 가동부는; 상기 상부 받침판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을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로드; 및 상기 가동 블록 상측에서 상가 가동 로드와 링크 결합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동 로드를 통한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 이동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동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따르면 양면테이프 접착 방식의 휴대단말기를 수리하기 위해 분해 수리한 후 이를 다시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점착 고정되게 가압하는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휴대단말기들을 단말기 압착 덮개판으로 눌러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들 재조립하기 위한 압착 과정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판 사각 프레임 내부에 복수의 탄성 끈들을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게 설치하여, 탄성 끈들을 이용해 좀 더 균일하게 휴대 단말기를 눌러 휴대단말기의 점착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따르면 단말기 고정판의 상기 거치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게 상기 거치판 고정대 상에 끼워져 상기 거치판을 탄성 지지하도록 거치판 지지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단말기 압착 덮개판을 통해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전달되더라도 거치판 지지 스프링을 통해 상쇄시켜 휴대단말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에 따르면, 덮개판 가동부가 상기 가동 블록을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로드를 링크 결합되는 가동 손잡이를 회동시켜 가변되는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 이동 거리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회절 링크 방식으로 가동 손잡이를 결합하여 기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으로 회절시 가압력 전달 상태가 자동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판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말기 압착 덮개판부의 가압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 수리 후 압착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1)는 하부 받침판(10), 상부 받침판(20), 단말기 고정판(30), 단말기 압착 덮개판(40), 덮개판 가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받침판(1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부에 4개의 받침 다리(11)가 고정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 고정대(32)가 수직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수직 관통하며 형성되는 하부 부싱들(34)이 끼워져 체결 고정된다.
상부 받침판(20)은 상기 하부 받침판(10) 상측에 복수의 지지 기둥(15)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하부 받침판(10)과의 사이에서 전술한 단말기 고정판(30), 단말기 압착 덮개판(40) 및 덮개판 가동부(50)의 설치 및 가동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단말기 고정판(30)은 상기 하부 받침판(10) 상부에 압착시키기 위한 휴대단말기(100)를 올려 거치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고정판(30)은 거치판(31), 거치판 고정대(32) 및 거치판 지지 스프링(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거치판(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수리 후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점착된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이 서로 포개어지게 올려 거치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거치판(31)의 크기에 따라 종류나 사이즈가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100)등을 올려 동시에 압착 과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거치판(31)의 상측에는 거치된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커버가 대면하며 올려져 거치되는 부분에 후술하는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을 이용해 압착 과정에서 강화 유리 재질의 디스플레이 커버에 스크래치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재(미도시)를 덧대어 포장되게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거치판 고정대(32)는 상기 거치판(31)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전술한 하부 부싱(34)들에 끼워져 상기 하부 받침판(10)을 관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거치판 지지 스프링(33)은 상기 거치판(31)과 하부 받침판(10) 사이에 개재되게 상기 거치판 고정대(32) 상에 끼워져 상기 거치판(31)을 탄성 지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거치판 지지 스프링(33)을 통해 상기 거치판(31)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을 통해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전달되더라도 거치판 지지 스프링(33)이 탄성 변형되며 이를 상쇄시켜 상기 거치판(31)에 거치된 휴대단말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은 상기 상부 받침판(20)을 관통하는 수직 이송바(42)에 의해 상기 하부 받침판(10)과의 사이에서 휴대단말기가 거치된 상기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을 향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은 가동판(41) 및 가압판(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판(41)은 상부 부싱(43)들을 통해 상부 받침판(20)을 관통하며 끼워지는 수직 이송바(42)들 하단부에 일체로 체결되어 상부 받침판(20)과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 사이에서 덮개판 가동부(50)에 의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압판(45)은 상기 가동판(41) 하부에서 가압판 고정바(44)에 의해 연동 가능한 상태로 이격 설치되는 가압판 사각 프레임(46)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끈(49)들이 망 형태를 이루며 서로 교차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판부를 분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말기 압착 덮개판부의 가압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가압판(45)을 이루는 가압판 사각 프레임(46)에는 끈 걸이 돌기(47)들 및 조임 나사(48)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끈 걸이 돌기(47)들은 가압판 사각 프레임(46)의 가장자리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가압판 사각 프레임(46)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끈(49)들이 망 형태를 이루며 서로 교차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조임 나사(48)들은 마치 기타 줄과 조임구과 같이 내부에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한 쌍의 베벨 기어를 사용하여 상기 끈 걸이 돌기(47)들에 걸어 서로 교차 하며 연속되게 망 형태로 걸려 고정 끈(49)들의 양쪽 단부를 장력 조절 가능하게 감아 고정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의 가압판 사각 프레임(46) 내부에 복수의 탄성 끈(49)들을 망 형태로 서로 교차하게 설치하여, 이 탄성 끈(49)들을 이용해 거치된 휴대단말기(100)를 눌러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테이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점착부를 좀 더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같거나 규격 제한 없이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 및 사이즈의 휴대단말기들의 압착 작업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덮개판 가동부(50)는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을 수직 이동시키도록 조작하여, 상기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 상부에 거치되 휴대단말기(100)를 눌러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판 가동부(50)는 가동 블록(51), 가동 로드(52) 및 가동 손잡이(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가동 블록(51)은 상기 상부 받침판(20)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고정 설치된다.
가동 로드(52)는 상기 가동 블록(51)을 수직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의 가동판(41)에 로드 체결 나사(53)를 이용해 연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가동 손잡이(55)는 상기 가동 블록(51) 상측에서 가동 블록(51)과 상가 가동 로드(52)와 이중 회절 링크(56)를 이용해 연동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동 로드(52)를 통한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40)의 가압 이동 거리를 가변시키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 수리 후 압착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덮개판 가동부(50)의 가동 손잡이(55)가 바르게 세워지도록 들어 덮개판 압착 덮개(40)의 가압판(45)이 올려,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이격된 상태를 만든다.
이때, 덮개판 가동부(50)의 회절 링크(56)에 의해 사용자가 가동 손잡이(55)를 놓더라도 덮개판 압착 덮개(40)의 가압판(45)이 들어 올려져 이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 상측에 분리 수리 후 양면테이프를 이용해 서로 포개어지게 가부착된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커버와 하부 하우징을 올려 거치시키도록 한다.
그 다음, 도 6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덮개판 가동부(50)의 가동 손잡이(55)를 눌러 회절시키게 되면 가변된 회절 각도에 따라 가동 로드(52)를 통해 덮개판 압착 덮개판(40)이 수직 이송바(42)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로 수직 하강하면서, 가압판(45) 하부에 망 형상으로 교차하게 설치되는 탄성 끈(49)들이 단말기 고정판(30)의 거치판(31) 상에 거치되 휴대단말기(100)를 눌러 가압하도록 한다.
이때, 가동 손잡이(55)가 기설정된 일정 각도 이상으로 꺽여 회절되는 경우 가압판(45)의 탄성 끈(49)들에 의해 휴대단말기(100)에 전달되는 가압력의 크기는 덮개판 가동부(50)의 회절 링크에 의해 일정하게 자동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1)는 하나 이상의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 및 사이즈의 휴대단말기(100)들을 분리 수리 후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범용적으로 압착시킬 수 있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좀더 간편하게 휴대단말기의 재조립을 위한 압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10: 하부 받침판
11: 받침 다리 15: 지지 기둥
20: 상부 받침판 30: 단말기 고정판
31: 거치판 32: 거치판 고정대
33: 거치판 지지 스프링 34: 하부 부싱
40: 단말기 압착 덮개판 41: 가동판
42: 수직 이송바 43: 상부 부싱
44: 가압판 고정바 45: 가압판
46: 가압판 사각 프레임 47: 끈 걸이 돌기
48: 조임 나사 49: 탄성 끈
50: 덮개판 가동부 51: 가동 블록
52: 가동 로드 53: 로드 체결 나사
55; 가동 손잡이 56: 회절 링크

Claims (5)

  1. 하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측에 복수의 지지 기둥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지지 고정되는 상부 받침판;
    상기 하부 받침판 상부에 설치되는 단말기 고정판;
    상기 상부 받침판을 관통하는 수직 이송바에 의해 상기 하부 받침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 고정판을 향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말기 압착 덮개판; 및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을 수직 이동시켜 상기 단말기 고정판 상부에 거치되 휴대단말기를 가압하도록 하는 덮개판 가동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단말기 고정판은,
    상기 휴대단말기를 올려 거치시키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판을 관통해 수직 이동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거치판 고정대; 및
    상기 거치판 고정대 상에 끼워져 상기 거치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거치판을 탄성 지지하는 거치판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은,
    상기 덮개판 가동부에 연결되는 가동판; 및
    상기 가동판 하부에 연동 가능한 상태로 이격 설치되며 가압판 사각 프레임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 끈들이 망 형태를 이루며 서로 교차하게 설치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가압판 사각 프레임은,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끈 걸이 돌기; 및
    상기 끈 걸이 돌기에 걸어 서로 교차 하며 연속되게 망 형태로 걸려 고정 끈들의 단부를 장력 조절 가능하게 감아 고정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덮개판 가동부는;
    상기 상부 받침판 중심부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을 관통하며 하단부가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로드; 및
    상기 가동 블록 상측에서 상가 가동 로드와 링크 결합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가동 로드를 통한 상기 단말기 압착 덮개판의 가압 이동 거리를 가변시키는 가동 손잡이: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KR1020180053104A 2018-05-09 2018-05-09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KR10207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04A KR102076787B1 (ko) 2018-05-09 2018-05-09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104A KR102076787B1 (ko) 2018-05-09 2018-05-09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857A true KR20190128857A (ko) 2019-11-19
KR102076787B1 KR102076787B1 (ko) 2020-02-12

Family

ID=6877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104A KR102076787B1 (ko) 2018-05-09 2018-05-09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87Y1 (ko) * 2006-02-22 2006-05-10 주식회사 삼광 핸드폰 케이스용 압착기
KR101549506B1 (ko)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20170073887A (ko) * 2015-12-21 2017-06-29 김우봉 위치 정렬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압착장치
KR101839272B1 (ko) 2017-10-11 2018-03-15 류인철 휴대폰 수리용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887Y1 (ko) * 2006-02-22 2006-05-10 주식회사 삼광 핸드폰 케이스용 압착기
KR101549506B1 (ko) 2014-11-10 2015-09-02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수리용 분해 조립 장치
KR20170073887A (ko) * 2015-12-21 2017-06-29 김우봉 위치 정렬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회전형 압착장치
KR101839272B1 (ko) 2017-10-11 2018-03-15 류인철 휴대폰 수리용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87B1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7568A (zh) 柔性显示装置
CN202647101U (zh) 一种带照明装置的平板电脑支架
TW200642169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8235616A (zh) 带有壳体的网络通讯设备
KR102076787B1 (ko) 휴대단말기 수리용 범용 압착 장치
CN204805862U (zh) 一种电子产品的通用支架
CN101538924B (zh) 片状装饰物墙体装饰安装结构
RU125438U1 (ru) Чехол "однокистевой" для планшетных компьютеров, электронных книг
CN205618919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CN103899889A (zh) 一种电子产品支架
CN204384903U (zh) 一种适用于净水机显示窗的按键高度补偿装置
CN204682888U (zh) 拼装式办公桌
CN104081675A (zh) 便携式终端设备支承座
CN204231795U (zh) 便携式移动终端的保护支撑结构
CN101951746A (zh) 吊饰安装结构及具该吊饰安装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209053441U (zh) 一种具有移动功能的装配式建筑预制构件
CN104118241B (zh) 一种运行集成操作板
TW200715845A (en) Size-variable screen
CN205907881U (zh) 一种快速固定的防风码结构
CN103899894A (zh) 平板电视机承载装置
CN205246192U (zh) 一种称重吊带可以环绕收纳的电子秤
CN217883464U (zh) 一种物联网路由器的智能固定设备
CN210920894U (zh) 一种固定电子设备用的多功能弹性架
CN206401842U (zh) 线盒固定装置
CN209977817U (zh) 一种方便安装的灯具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