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037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037A
KR20190128037A KR1020190027870A KR20190027870A KR20190128037A KR 20190128037 A KR20190128037 A KR 20190128037A KR 1020190027870 A KR1020190027870 A KR 1020190027870A KR 20190027870 A KR20190027870 A KR 20190027870A KR 20190128037 A KR20190128037 A KR 2019012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groove
display
support film
polym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한
김명환
김상열
김우현
김효진
민경일
성태현
신세중
정호련
최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64,18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81660B2/en
Priority to CN201910364684.6A priority patent/CN110444678B/zh
Priority to TW108115446A priority patent/TW202006986A/zh
Priority to EP19172432.7A priority patent/EP3564781B1/en
Publication of KR2019012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037A/ko
Priority to US17/392,093 priority patent/US11690280B2/en
Priority to US18/201,706 priority patent/US202303011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51/0097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벤딩 가능한 제1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가 정의된 지지필름; 및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층;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상면과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휘거나 접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가요성 표시 장치는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이 있는 기판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벤딩 또는 폴딩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벤딩 또는 폴딩 가능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딩 가능한 제1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가 정의된 지지필름; 및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층;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상면과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충진되고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과 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폴리머층을 결합시키는 레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루브는 상기 레진층에 더 정의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레진층의 내측면과 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그루브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구동층; 상기 구동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탄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화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및 상기 폴리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폭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에 위치하는 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 패턴은 상기 폴리머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 패턴 및 상기 폴리머층은 동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가능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필름은,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그루브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를 통해 노출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위치하는 탄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2그루브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에 위치하는 버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유기물을 포함하는 중립면 조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비표시 영역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2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중립면 조정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벤딩 가능한 제1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폴리머층;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폴리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필름부분 및 제2필름부분을 포함하는 지지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폴리머층의 폭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할수록 감소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필름부분, 상기 제2필름부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필름부분과 상기 제2필름부분 사이에서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중 노출된 부분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이 제1폭인 부분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이 상기 제1폭과 다른 제2폭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비표시 영역, 상기 제1비표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이격되고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된 제2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1비표시 영역과 상기 제2비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벤딩 가능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름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필름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비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비표시 영역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상기 제2필름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제2비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영역과 비중첩하는 제3필름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그루브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그루브와 이격된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지지필름; 및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연결된 상기 지지필름의 일면과 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상기 폴리머층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또는 폴딩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P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X1-X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Q1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표시 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한 화소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Q3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Q3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Q5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5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a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는 도 14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d는 도 15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e는 도 14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f는 도 15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도 21은 각각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표시 장치용 모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표시 장치용 모기판의 배면도이다.
도 24, 도 25, 도 26 및 도 27은 각각 도 23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표시 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계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배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벤딩 또는 폴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P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표시 장치(1)의 구체적인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1)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방향(x)으로 연장된 양 단변과 제2방향(y)으로 연장된 양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곡면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0), 지지필름(300), 폴리머층(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진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의 표시 유무로 구분할 때,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 또는 폴딩이 가능 여부로 구분할 때, 표시 패널(100)은 벤딩 또는 폴딩이 가능한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1영역(A1)은 제1방향(x)으로 연장되고 표시 영역(DA)을 가로지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1영역(A1)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제1벤딩축(BX1)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제1영역(A1)은 표시 영역(DA)의 일부 및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잇다.
제2영역(A2)은 제1영역(A1)과 마찬가지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비표시 영역(NDA)을 가로지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영역(A2)은 비표시 영역(NDA) 중 제2방향(y)의 반대방향을 따라 표시 영역(DA)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영역(A2)은 비표시 영역(NDA) 중 연성회로기판(FPC)과 연결되는 부분과 표시 영역(D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영역(A2)은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일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과는 이격될 수 있다.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비표시 영역(NDA) 중 표시 영역(DA)의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구분하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제1비표시 영역(NDA1), 제1비표시 영역(NDA1)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영역(DA)에서 이격되고 연성회로기판(FPC)이 연결되는 제2비표시 영역(NDA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영역(A2)은 제1비표시 영역(NDA1)과 제2비표시 영역(ND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제2영역(A2)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제2벤딩층(BX2)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0)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초소형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며, 표시 패널(100)의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에서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 "상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 즉 z방향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 "하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 즉 z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는 지지필름(30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필름(3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필름(300)은 유연성을 갖는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고 표시 패널(100)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필름(300)은 후술할 폴리머층(500)보다 상대적으로 경성(rigid)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필름(300)에는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가 정의될 수 있다.
제1그루브(G1)는 표시 패널(100)의 제1영역(A1)과 중첩하도록 형성되며,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필름(300)에 제1영역(A1)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G1)가 정의됨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제1영역(A1)에서 벤딩 또는 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A1)은 표시 영역(DA)의 일부를 포함하는 바, 표시 장치(1)를 폴더블 표시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제2그루브(G2)는 표시 패널(100)의 제2영역(A2)과 중첩하도록 형성되며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필름(300)에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제2그루브(G2)가 정의됨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제2영역(A2)에서 벤딩 될 수 있다. 제2영역(A2)은 모두 비표시 영역(DA)에 포함된다. 즉,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DA) 중 일부는 표시 패널(100)의 하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시인되는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 표시 장치(1)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구현된다.
지지필름(300)은 제1그루브(G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제1필름부분(310) 및 제2필름부분(330)과, 제2그루브(G2)를 사이에 두고 제2필름부분(330)과 분리된 제3필름부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부분(310) 및 제2필름부분(330)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특히 제2필름부분(330)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 중 제1비표시 영역(NDA1)과도 중첩할 수 있다.
제3필름부분(350)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으며, 표시 영역(DA)과는 비중첩할 수 있다.
지지필름(300)과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레진층(400)이 위치할 수 있다. 레진층(400)은 표시 패널(100)과 지지필름(300)을 결합할 수 있다. 즉, 지지필름(300)은 레진층(400)을 매개로 표시 패널(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는 레진층(400)에 더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하면은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400)은 우레탄 계열 수지, 아크릴 계열 수지, 실리콘 계열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진층(400)은 아크릴 계열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는 레이저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루브(G1)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 간의 간격은 일정하기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그루브(G1)의 제1가장자리(E1)와 제2가장자리(E2) 각각은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배면 상에서 바라볼 때, 부분적으로 굴곡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그루브(G1)를 통해 노출된 표시 패널(100)의 하면은,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폭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100)의 하면은, 제1폭(W1)을 갖는 부분 및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폭이 제1폭(W1)과 다른 제2폭(W2)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그루브(G1)와 유사하게, 제2그루브(G2)의 양 가장자리 간 간격은 부분적으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필름(300) 및 레진층(400)에 정의된 제1그루브(G1) 내에는 폴리머층(500)이 위치할 수 있다. 폴리머층(500)은 지지필름(300)보다 상대적으로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0)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폴리아미드(PA), 및 아라미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필름(30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고 폴리머층(500)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이 제1영역(A1)에서 반복적으로 벤딩되거나 또는 폴딩되는 경우 지지필름(300)의 제1필름부분(310) 및 제2필름부분(330)은 표시 패널(100)에서 박리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표시 패널(100)이 제1영역(A1)에서 반복적으로 벤딩 또는 폴딩되는 경우, 표시 패널(100) 자체가 복원력이 부족하여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폴리머층(500)이 제1그루브(G1) 내에 위치함에 따라, 표시 패널(100)이 반복적으로 벤딩 또는 폴딩되는 과정에서 지지필름(300)이 표시 패널(10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층(500)은 벤딩 또는 폴딩된 표시 패널(1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FPC)은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FPC)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제2비표시 영역(NDA2)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FPC)에는 구동칩(IC)이 실장될 수 있다. 구동칩(IC)은 표시 패널(100)에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등의 구동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구조로 연성회로기판(FPC)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칩(IC)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 실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FPC)은 플렉서블 배선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메인회로기판(MP)은 연성회로기판(FPC)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칩(IC)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P)은 표시 패널(100) 또는 연성회로기판(FPC)으로 영상 데이터, 제어신호, 전원전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MP)은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여 표시 장치(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Q1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표시 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한 화소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Q3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5의 Q3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Q5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10), 구동층(120), 유기발광 소자층(130) 및 박막 봉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을 제공한다. 베이스 기판(110)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구동층(12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한다. 구동층(120)은 다양한 신호 라인들, 예를 들어, 스캔 라인(미도시), 데이터 라인(미도시), 전원 라인(미도시), 발광 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층(12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은 하나의 화소(미도시) 마다 구비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구동층(120)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을 포함한다.
활성층(211)은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막(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221)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은 게이트 전극(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게이트 전극(213)과 소스 전극(215) 사이 및 게이트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7)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막(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215)과 드레인 전극(217) 각각은 제1 절연막(221) 및 제2 절연막(223)에 구비된 콘택홀들(CH1, CH2)을 통해 활성층(21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 상에 배치된 보호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의 활성층(미도시)과 구동 트랜지스터(Qd)의 활성층(211)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층(120)은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DA)에도 위치할 수 있다. 구동층(120) 중 제1비표시 영역(NDA1), 제2영역(A2)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에 위치하는 부분은, 연성회로기판(FP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들 또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자발광소자로서 유기발광소자(L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기발광소자(LD)는 전면발광형으로 제공되어, 상부 방향(z)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LD)는 제1 전극(AE), 유기층(O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에 형성된 콘택홀(CH3)을 통해 드레인 전극(217)에 연결된다. 제1 전극(AE)은 화소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AE)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ITO, Ag 또는 금속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단일층 구조, ITO/Mg 또는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층(O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층(OL)은 유기 발광층 이외에,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 (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층(OL) 내부의 유기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유기 발광층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제2 전극(CE)은 유기층(O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공통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이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CE)은 Li, Liq, Ca, LiF/Ca, LiF/Al, Al, Mg, BaF, Ba, A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보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은 상기 물질이 발광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 및 상기 막 상에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고, Mo, Ti, A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평면상에서 화소 영역(PAA)의 경계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소자층(130)의 유기발광소자(LD)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 내에 위치하고 비표시 영역(NDA) 내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소자층(130)이 비표시 영역(NDA)에는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을 외부의 수분 및 공기들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140)은 박막봉지(Thin Film Encapsulation)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기막과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봉지층(140)은 제2 전극(CE) 상에 위치하는 제1무기막(141), 제1무기막(141) 상에 위치하는 유기막(145), 유기막(145) 상에 위치하는 제2무기막(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막(141)은 유기발광소자(LD)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LD)로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무기막(141)은 무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물의 예시로서 실리콘 옥사이드(SiOx),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막(141) 상에는 유기막(145)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막(145)은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막(145)은 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물의 예시로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145) 상에는 제2무기막(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무기막(143)은 제1무기막(1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무기막(1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무기막(143)은 유기막(145)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무기막(143)과 제1무기막(141)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서 서로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무기 접합을 형성하는 경우,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표시 장치(1)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제1무기막(141), 유기막(145) 및 제2무기막(143)이 각각 단일 층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무기막(141), 유기막(145) 및 제2무기막(143)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무기막(141) 및 제2무기막(143) 중 적어도 하나가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경우, 상기 다층 구조의 무기막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HMDSO층(Hexamethyldisiloxane layer)일 수 있다. HMDSO 층(Hexamethyldisiloxane layer)은 스트레스(stress)를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봉지층(140)은 보다 유연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막(145)이 HMDSO층(Hexamethyldisiloxane layer)층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봉지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제1비표시 영역(NDA1), 제2영역(A2)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봉지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제1비표시 영역(NDA1)에는 위치하고 제2영역(A2)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봉지층(140)이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에 위치하고 제1비표시 영역(NDA1), 제2영역(A2)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에는 위치하지 않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는 레진층(400)이 위치하며, 레진층(400) 아래에는 지지필름(300)이 위치한다. 레진층(400) 및 지지필름(300)에는 표시 패널(100)의 제1영역(A1)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G1) 및 표시 패널(100)의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제2그루브(G2)가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필름(300)은 제1필름부분(310), 제2필름부분(330) 및 제3필름부분(350)을 포함하며, 제1필름부분(310)과 제2필름부분(330)은 제1그루브(G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제2필름부분(330)과 제3필름부분(350)은 제2그루브(G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400)은 제1그루브(G1) 주변의 내측면(401) 및 제2그루브(G2)를 정의하는 내측면(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름부분(310)은 제1그루브(G1) 주변의 내측면(313), 레진층(400)을 향하는 상면(311) 및 상면(311)의 반대면인 하면(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름부분(330)은 제1그루브(G1) 주변의 내측면(333), 제2그루브(G2) 주변의 내측면(337), 레진층(400)을 향하는 상면(331) 및 상면(331)의 반대면인 하면(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필름부분(350)은 제2그루브(G2) 주변의 내측면(353), 레진층(400)을 향하는 상면(351) 및 상면(351)의 반대면인 하면(3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그루브(G1)는 레진층(400)의 내측면(401),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제2그루브(G2)는 레진층(400)의 내측면(403),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7) 및 제3필름부분(350)의 내측면(35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필름부분(310)의 상면(311)과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이 이루는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또한 제2필름부분(330)의 상면(331)과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이 이루는 각도(θ2)는 예각일 수 있다. 제1그루브(G1)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제1그루브(G1)의 폭(Wg)은, 표시 패널(10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필름부분(310)의 상면(311)과 제2필름부분(330)의 상면(331) 간의 간격은, 제1필름부분(310)의 하면(315)과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제2필름부분(330)의 상면(331)과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7)이 이루는 각도(θ3)도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제3필름부분(350)의 상면(351)과 제3필름부분(350)의 내측면(353)이 이루는 각도(θ4)도 예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그루브(G1)와 유사하게, 제2방향(y)을 따라 측정한 제2그루브(G2)의 폭은, 표시 패널(10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3필름부분(350)의 상면(351)과 제2필름부분(330)의 상면(331) 간의 간격은, 제3필름부분(350)의 하면(355)과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그루브(G1) 주변에서 제1필름부분(310)의 하면(315) 및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 상에는 버 패턴(Burr pattern)(BUR)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버 패턴(BUR)은 제2그루브(G2)의 주변에서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 및 제3필름부분(350)의 하면(355) 상에 더 위치할 수 있다. 버 패턴(BUR)은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의 형성 과정에서 레이저 광의 열 에너지에 의해 지지필름(300)의 일부가 용융(melt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버 패턴(BUR)은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버 패턴(BUR)은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의 연장 방향관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그루브(G1) 내에는 폴리머층(50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0)은 제1그루브(G1)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폴리머층(500)은 용액 형태 또는 페이스트 형태 등으로 제1그루브(G1) 내에 도포되고 이후 건조 과정을 저쳐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층(500)은 레진층(400)의 내측면(401)과 접촉할 수 있으며,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과 더 접촉할 수 있다. 제1그루브(G1)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이 노출되는 경우, 폴리머층(500)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또는 표시 패널(100)이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과 더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0)의 형성 과정에서 용액 또는 페이스트의 넘침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폴리머층(500)의 일부는 제1그루브(G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0)의 일부는 버 패턴(BUR)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제1필름부분(310)의 하면(315) 및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더 접촉할 수도 있다.
폴리머층(5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1영역(A1)이 벤딩되거나 폴딩되는 경우, 제1필름부분(310) 및 제2필름부분(330)이 표시 패널(100)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딩 또는 폴딩된 표시 패널(100)을 벤딩 또는 폴딩 전 상태로 변형시 표시 패널(1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그루브(G1)의 제2방향(y)으로의 폭(Wg)은 두께 방향(z)을 따라 표시 패널(10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그루브(G1) 내에 충진된 폴리머층(500)의 제2방향(y)으로의 폭도 두께 방향(z)을 따라 표시 패널(100)에 인접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지지필름(300) 및 폴리머층(500)은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을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은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벤딩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1영역(A1)과 중첩하는 폴리머층(500) 및 제1그루브(G1)와 제2그루브(G2)가 정의된 지지필름(300)을 포함한다. 지지필름(300)은 표시 패널(100)을 보호 및 지지할 수 있으며, 제2그루브(G2)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을 벤딩하는 데에 기여한다. 그리고 폴리머층(500)은 표시 패널(100)의 반복적 폴딩 또는 벤딩시 표시 장치(1)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한다.
즉,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은 신뢰도가 향상되고 베젤폭이 감소된 표시 장치(1)를 구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중립면 조정층(BPL)이 위치할 수 있다. 중립면 조정층(BPL)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 중 제2영역(A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립면 조정층(BPL)의 일부는 제1비표시 영역(NDA1)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에 더 위치할 수 있다.
중립면 조정층(BPL)은 벤딩되는 제2영역(A2)에서 구동층(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하여 구동층(120) 내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층(120)은 제1비표시 영역(NDA1), 제2영역(A2) 및 제2비표시 영역(NDA2)을 지나는 배선들을 포함하며, 해당 배선들을 매개로 구동층(120) 내의 소자들은 연성회로기판(FPC) 및 구동칩(IC)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립면 조정층(BPL)은 제2영역(A2) 내에 위치하는 배선들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중립면의 위치를 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중립면은 표시 패널(100)의 제2영역(A2)을 구부려서 벤딩시킬 때 압축응력이나 인장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면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2영역(A2)을 구부리면, 구부러지는 곡률의 안쪽에서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바깥 쪽에서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곡률의 안쪽에서 바깥 쪽으로 갈수록 응력의 작용 방향이 압축 방향에서 인장 방향으로 점차 바뀌게 되며, 어느 임계 지점에서는 압축응력도 인장응력도 모두 작용하지 않는 변환점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점이 바로 중립면이 된다. 이 중립면의 위치를 중립면 조정층(BPL)으로 조정하면 구동층(120) 내의 배선들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크랙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립면 조정층(BPL)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상기 유기물은 감광성 유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립면 조정층(BPL)은 아크릴계 물질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립면 조정층(BPL)은 연성회로기판(FPC)과 접촉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FPC) 중 제2비표시 영역(NDA2)에 연결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회로기판(FPC)이 제2비표시 영역(NDA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0)은 제2영역(A2)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도 1의 BX2)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100)의 하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지지필름(300)에는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제2그루브(G2)가 정의된 바, 표시 패널(100)은 보다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 중 일부가 벤딩됨에 따라 외부에서 시인되는 표시 장치(1)의 비표시 영역(NDA)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 표시 장치(1)의 베젤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구현된다. 또한 표시 패널(100) 상에는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중립면 조정층(BPL)이 위치하는 바, 제2영역(A2)에서 표시 패널(100)의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표시 패널(100)은 제1영역(A1)에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벤딩축(도 1의 BX1)을 기준으로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이 향하는 상측방향으로 폴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면의 반대방향, 즉 표시 패널(100)의 하측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즉, 표시 장치(1)는 인사이드 폴딩 방식의 폴더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아웃 사이드 폴딩 방식의 폴더블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지필름(300)에는 제1영역(A1)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G1)가 정의된 바, 표시 패널(100)은 보다 용이하게 폴딩 또는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1그루브(G1)내에는 폴리머층(500)이 위치하는 바, 표시 패널(100)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벤딩되더라도 원하는 수준의 표시 장치(1)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 도 1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5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탄화물(CM)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지지필름(300)의 제1그루브(G1) 내에는 탄화물(CM)이 위치할 수 있다. 탄화물(CM)은 제1영역(A1)과 중첩하고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과 폴리머층(5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폴리머층(500) 및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그루브(G1)는 지지필름(300)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베이스 기판(110)은 유연성을 갖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레진층(400)도 아크릴 계열 수지 등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조사 과정에서 표시 패널(100)의 베이스 기판(110)이 부분적으로 탄화되거나 또는 레진층(400)의 일부가 탄화되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는 탄화물(CM)이 잔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그루브(G2) 내에는 탄화물(CM)이 더 위치할 수 있으며, 제2그루브(G2) 내의 탄화물(CM)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화물(CM)은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의 형성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을 제외한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는 탄화물(CM)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 탄화물(CM)이 위치함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베이스 기판(110)의 광투과율은 영역별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A1) 또는 제2영역(A2)에서 베이스 기판(110)의 광투과율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베이스 기판(110)의 광투과율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탄화물(CM)은 제1그루브(G1) 내에 위치하고 제2그루브(G2) 내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탄화물(CM)은 제1그루브(G1) 내에는 위치하지 않고 제2그루브(G2) 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5a는 도 14a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도 14b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a)는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레진층(400)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즉, 제1영역(A1)에는 레진층(400) 중 제거되지 않은 부분인 제1부분(400a1)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영역(A2)에는 레진층(400) 중 제거되지 않은 부분인 제2부분(400a2)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400) 중 제거되지 않은 부분인 제1부분(400a1)의 두께(Ta1)는, 레진층(400) 중 제1영역(A1) 이외의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T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그루브(G1)내에서 폴리머층(500)은 제1부분(400a1)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레진층(400) 중 제1영역(A1) 내에 잔류하는 부분인 제1부분(400a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을 노출하지 않고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은, 제1영역(A1)에서 제1부분(400a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400) 중 제거되지 않은 부분인 제2부분(400a2) 의 두께(Ta2)는, 레진층(400) 중 제2영역(A2) 이외의 비표시영역(N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Tn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5c는 도 14a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d는 도 14b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 및 도 15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b)는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레진층(400)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영역(A1) 내에는 레진층(400)의 잔여부분인 제1부분(400b1)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부분(400b1)의 두께(Tb1)는, 레진층(400) 중 제1영역(A1) 이외의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Td)보다 얇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그루브(G1)내에서 폴리머층(500)은 레진층(400)의 측면 및 제1부분(400b1)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부분(400b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을 노출하지 않고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은, 제1부분(400b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영역(A2) 내에는 레진층(400)의 잔여부분인 제2부분(400b2)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진층(400) 중 제2영역(A2)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Tb2)는, 레진층(400) 중 제2영역(A2) 이외의 비표시영역(N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Tnd)보다 얇을 수 있다.
도 15e는 도 14a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f는 도 14b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e 및 도 15f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c)는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레진층(400)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영역(A1) 내에는 레진층(400)의 잔여물인 제1잔여패턴(400c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잔여패턴(400c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그루브(G1)내에서 폴리머층(500)은 제1잔여패턴(400c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영역(A2) 내에는 레진층(400)의 잔여물인 제2잔여패턴(400c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잔여패턴(400c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의 하면(101)을 완전히 커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1)이 도 1 내지 도 13에서 상술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1)은 지지필름(300) 및 폴리머층(501)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층(501)은 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그루브(G1)를 통해 노출된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1)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과 접촉하되, 레진층(400)의 내측면(401),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는 이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층(501)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과 접촉하되, 레진층(400)의 내측면(401),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과는 모두 이격될 수도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1)의 폴리머층(501)과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사이에 탄화물(CM)이 위치하는 점, 탄화물(CM)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및 폴리머층(501)과 접촉하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2)이 지지필름(300) 및 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폴리머층(502)을 포함하되, 폴리머층(502)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뿐만 아니라 레진층(400)의 내측면(401),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과 모두 접촉하는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3)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는 폴리머층(502)과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사이에 탄화물(CM)이 더 위치하는 점, 탄화물(CM)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및 폴리머층(502)과 접촉하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5)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3)이 지지필름(300) 및 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폴리머층(503)을 포함하되, 폴리머층(502)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레진층(400)의 내측면(401), 제1필름부분(310)의 내측면(313) 및 제2필름부분(330)의 내측면(333) 뿐만 아니라 버 패턴(BUR), 제1필름부분(310)의 하면(315) 및 제2필름부분(330)의 하면(335)과 모두 접촉하는 점에서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5)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5의 Q3부분을 기준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는 폴리머층(503)과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사이에 탄화물(CM)이 더 위치하는 점, 탄화물(CM)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및 폴리머층(503)과 접촉하는 점에서 도 20에 도시된 표시 장치(7)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편, 도 16 내지 도 21 각각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2영역(A2) 부근의 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구조, 도 14b에 도시된 구조, 도 15b에 도시된 구조, 도 15d에 도시된 구조 및 도 15f에 도시된 구조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도 22는 표시 장치용 모기판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표시 장치용 모기판의 배면도, 도 24, 도 25, 도 26 및 도 27은 각각 도 23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표시 장치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계별 단면도이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판(2000)을 형성하고 모기판(2000)의 하면에 레진층(4000)을 형성하고 레진층(4000)에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을 결합하여 모기판 구조물(MS)을 제조한다.
모기판(2000)은 복수의 표시셀(1000) 및 더미 영역(DD)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표시셀(1000)은 하나의 기판을 공유할 수 있으며, 표시셀(1000)은 추후 모기판(2000)에서 분리되어 표시 패널(100)이 될 수 있다. 즉, 표시셀(1000)의 단면 적층구조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표시 패널(10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표시셀(1000) 각각은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DD)은 각 표시셀(1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영역(DD)은 표시셀(1000)의 주변에 배치되어 표시셀(1000)을 둘러쌀 수 있다. 더미 영역(DD)은 제조 공정상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의 하측에서 레이저(L1)를 조사한다. 레이저(L1)는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 중 표시셀(1000)의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부분에 선택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이저(L1)는 UV 레이저일 수 있다.
레이저(L1)가 조사되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서 모기판(2000)과 레진층(4000)간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레진층(4000)을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제1부분(4010) 및 그 이외의 제2 부분(402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에 레이저(L1)가 조사되면 모기판(2000)의 하면에 탄화층(CMA)이 발생하거나, 또는 모기판(2000)이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이 부풀어 오르거나, 또는 레진층(4000) 중 제1부분(4010) 에 탄화층(CMA)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제1부분(4010)과 모기판(2000)간의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더미 영역(DD) 중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도 레이저(L1)가 조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 하측에서 제1영역(A1)의 경계 및 제2영역(A2)의 경계를 따라 레이저(L2)를 조사하여 레진층(4000) 및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을 커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레이저(L2)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CO2 레이저일 수 있다.
레이저(L2)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의 하면에는 버 패턴(BUR)이 형성될 수 있다. 버 패턴(BUR)은 제1영역(A1)의 경계 및 제2영역(A2)의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버 패턴(BUR)은 레이저(L2)의 열 에너지에 의해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의 일부가 용융(melting)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더미 영역(DD) 중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영역의 경계들에도 레이저(L2)가 조사될 수 있다.
이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층(4000) 및 원장 상태의 지지필름(3000) 중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탄화층(CMA)의 일부는 잔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 내에는 탄화물(CM)이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레진층(4000) 및 지지필름(3000) 중 제1영역(A1) 및 제2영역(A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더미 영역(DD)과 중첩하는 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모기판 구조물(MS)에서 더미 영역(DD)과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셀(1000)을 분리한다. 분리된 표시셀(1000)은 표시 패널(100), 레진층(400), 지지필름(300)을 포함하며, 탄화물(C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필름(300)은 제1그루브(G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된 제1필름부분(310) 및 제2필름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그루브(G2)를 사이에 두고 제2필름부분(330)과 분리된 제3필름부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지지필름(300)의 제1그루브(G1) 내에 폴리머층(500)을 형성하여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FS)을 제조할 수 있다. 폴리머층(500)은 용액 상태의 폴리머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폴리머를 충진하고, 충진된 폴리머를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접착 테이프 형태의 폴리머를 제1그루브(G1) 내에 부착하여 폴리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머층(500)은 표시셀(1000)의 분리과정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모기판 구조물(MS) 상태에서 제1그루브(G1) 내에 폴리머층(500)을 먼저 형성한 이후 표시셀(1000)을 분리할 수도 있다.
이후 연성회로기판(FPC)을 표시 패널(100)에 결합하고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중립면 조정층(BPL)을 형성하는 과정 등을 거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제2영역(A2)을 표시 패널(100)의 하측으로 벤딩하는 공정을 더 진행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모기판 구조물(MS) 상태에서 일괄적으로 제1그루브(G1) 및 제2그루브(G2)를 형성한 후 표시셀(1000)을 분리하는 바, 제조 과정이 간소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제1그루브(G1) 내에 폴리머 용액을 도포하거나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쉽게 폴리머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제조공정이 더욱 간소해지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벤딩 가능한 제1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그루브가 정의된 지지필름; 및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층;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상면과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충진되고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과 더 접촉하는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폴리머층을 결합시키는 레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루브는 상기 레진층에 더 정의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레진층의 내측면과 더 접촉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그루브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더 접촉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구동층;
    상기 구동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 내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과 상기 폴리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탄화물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물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및 상기 폴리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폭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할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루브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에 위치하는 버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 패턴은 상기 폴리머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 패턴 및 상기 폴리머층은 동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벤딩 가능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필름은,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그루브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를 통해 노출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위치하는 탄화물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의 하면에 위치하는 버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되고 유기물을 포함하는 중립면 조정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비표시 영역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비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2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중립면 조정층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벤딩 가능한 제1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폴리머층;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폴리머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필름부분 및 제2필름부분을 포함하는 지지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상기 폴리머층의 폭은,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 패널에 인접할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필름부분, 상기 제2필름부분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은, 상기 제1필름부분과 상기 제2필름부분 사이에서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중 노출된 부분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이 제1폭인 부분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측정한 폭이 상기 제1폭과 다른 제2폭인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인접한 제1비표시 영역, 상기 제1비표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표시 영역에서 이격되고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된 제2비표시 영역 및 상기 제1비표시 영역과 상기 제2비표시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벤딩 가능한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름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필름부분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비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2비표시 영역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상기 제2필름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제2비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영역과 비중첩하는 제3필름부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1그루브 및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그루브와 이격된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지지필름; 및
    상기 제1그루브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필름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폴리머층; 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제1그루브를 정의하는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층은, 상기 지지필름의 내측면과 연결된 상기 지지필름의 일면과 더 접촉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층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KR1020190027870A 2018-05-03 2019-03-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KR20190128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64,181 US11081660B2 (en) 2018-05-03 2019-03-26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CN201910364684.6A CN110444678B (zh) 2018-05-03 2019-04-30 显示装置和用于显示装置的支撑膜结构
TW108115446A TW202006986A (zh) 2018-05-03 2019-05-03 顯示裝置及用於顯示裝置的支撐薄膜結構
EP19172432.7A EP3564781B1 (en) 2018-05-03 2019-05-03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17/392,093 US11690280B2 (en) 2018-05-03 2021-08-02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18/201,706 US20230301165A1 (en) 2018-05-03 2023-05-24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059 2018-05-03
KR20180051059 2018-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037A true KR20190128037A (ko) 2019-11-14

Family

ID=6857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870A KR20190128037A (ko) 2018-05-03 2019-03-12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28037A (ko)
TW (1) TW202006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6717A (zh) * 2020-12-28 2022-09-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1015B (zh) * 2020-12-31 2022-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模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6717A (zh) * 2020-12-28 2022-09-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CN115066717B (zh) * 2020-12-28 2024-01-1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6986A (zh) 202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4781B1 (en)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KR102535554B1 (ko) 표시 장치
US1087304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13253871B (zh) 显示模块
US1109491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378332B (zh)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497156A (zh) 显示装置
US10720477B2 (en) OLED array substrat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2004001907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22947B (zh) 柔性显示装置
KR2019012803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필름 구조물
KR10263552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00186B1 (ko) 측변 구부림 구조를 갖는 곡면 표시장치
KR20220105218A (ko) 표시 장치
CN110444678B (zh) 显示装置和用于显示装置的支撑膜结构
US20240096900A1 (en) Display panel
US1183910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402246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20240108857A (ko) 표시 장치
KR20220043560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20061344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3357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