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7641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641A
KR20190127641A KR1020190140647A KR20190140647A KR20190127641A KR 20190127641 A KR20190127641 A KR 20190127641A KR 1020190140647 A KR1020190140647 A KR 1020190140647A KR 20190140647 A KR20190140647 A KR 20190140647A KR 20190127641 A KR20190127641 A KR 20190127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nel
application
display
split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6053B1 (en
Inventor
김영리
한봉희
윤성진
이유진
박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053B1/en
Publication of KR2019012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641A/en
Priority to KR1020210040945A priority patent/KR102383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cessing a spli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es the processe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a split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split display areas of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n application display area in which the input panel is not called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and processing data inputted through the input panel in an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 screen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할화면의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t scree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panel of a split screen.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통신 및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두개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방법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이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백그라운드 레이어(background layer)로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백그라운드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복잡한 키 또는 터치 인터렉션을 수행하여야 한다.In general, a mobile terminal can process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in a complex manner, and can also process two or more applications. In this case, a display method of the application is based on a background layer. ). However, in such a case, a complex key or touch interaction must be performed to execute an application processed in the background.

또한 현재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이런 경우 표시부는 표시부에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을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portable terminal performs various functions, and the display unit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in order to efficiently display multimedia data.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divide and display two or more application screens on the display unit.

이때 분할화면의 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활성화시켜야 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과 다른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어야한다. 이때 입력패널은 분할화면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화면을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경우, 인접하는 분할화면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nput panel needs to be activated in any application of the split screen, the input panel should be display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display area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is case, it may be desirable to display the input panel at a fixed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In addition, when activating an input panel of an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the split screen may be extended to another application display area of the adjacent split screen.

본 발명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화면에서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로 분할화면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을 활성화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panel while guaranteeing an application display area of a split screen in a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a split scree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input panel while ensuring a display area of an application activating the input panel in a vertical split screen display mode.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an input panel while ensuring a display area of an application for activating the input panel in a horizontal split screen display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이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plit screen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a spli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of an application in which the input panel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And a process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region and processing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panel in an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방법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세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패널이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상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입력패널을 하단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하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로 상기 하단 분할화면을 밀어올리고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lit screen process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a split screen of the vertical display mode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input panel calls the input panel Analyzing the split screen position of the called application; i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an application of the upper split screen; overlaying the input panel on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lower split screen; and displaying the input panel. If the called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of a bottom split screen, pushing up the bottom split screen to the size of the input panel and displaying the input panel; and processing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panel in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s mad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의 분할된 표시영역에 대응시켜 분할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입력패널을 호출하기 위한 입력을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패널 호출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lit screen processing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a spli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for calling the input panel; And a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n input panel on an application display area in which the input panel is not called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and controls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panel to be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which called the input panel.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멀티 윈도우(Multi window) 환경에서 분할화면의 각 어플리케이션(1/N Split App)들의 표시 영역을 보장하면서, 효율적인 화면 구성 내에서 입력패널을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1/N Split App 영역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이 입력패널 표시로 인한 방해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화면에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display the input panel within an efficient screen configuration while ensuring the display area of each application (1 / N Split App) of the split screen in a multi window environment. have. The input panel can be provided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1 / N Split App area, and thus, the application display area can effectively display the input panel on the screen by minimiz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display of the input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 도 4f는 도 3에서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 도 5b는 도 3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세로 표시모드시의 입력패널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4F illustrate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portrait mode in FIG. 3.
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landscape mode in FIG. 3.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panel processing procedure in a vertical display mod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figure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분할 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분할 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이 활성화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영역을 보장하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할 화면은 2개 이상의 화면이 일부 겹치게 오버레이(overlay)되거나 동일 레이어(layer)상에 존재하며, 상기 분할 화면은 연관된 실행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할 화면이 가능한 단말에서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화면분할 상태를 유지하며 입력패널을 배치한다. 이때 입력패널의 배치는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또는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영역에 입력패널이 표시되도록 분할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은 최소 화면 크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널을 표시 방법은 표시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켜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교체하여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할 수 있다.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t least two or more applications configured as a split screen, and when the input panel is activated in an arbitrary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guarantees a display area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split screen may be overlaid or partially overlapped with two or more screens, and the split screen may have an associated execu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to any application displayed as the split screen in the terminal capable of split screen, the input panel is maintained while the screen split state is not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displayed area. Place the panel.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panel configures the split screen so that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n an area displaying another application while maintaining (or not reducing)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At this time,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maintains the minimum screen size.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n inpu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input panel may be configured by moving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and the layout of the input panel may be changed by replacing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Can be configured.

이하의 설명에서 분할화면(split view)은 하나의 레이어에 복수(적어도 2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분할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터치 인터렉션이라는 용어는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손(가락) 터치 및 펜 터치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은 app와 혼용되어 사용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plit view will be used as a term for a screen in which a plurality of (at least two) applications are divided and displayed on one layer. In addition, the term touch interaction refers to a hand touch and a pen touch input generated by a user in the first input unit 140 or the second input unit 150.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application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ap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terminal, a tablet, and a computer including a smart phon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base station or another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frequency up converter and power amplification of a transmission signal, a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ication and a frequency down converter of a received signa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modulator and a demodulator. Here, the modulator modulate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tter, and the demodulator demodulat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In this case, th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unit may be LTE, WCDMA, GSM, etc., may also be WIFI, WIBRO, etc., may be NFC, Bluetooth, and the lik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LTE, WIFI, and bluetooh communication units.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입력패널 호출에 따라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는 화면분할 상태를 유지하며 입력패널을 배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모드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켜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하며,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교체하여 입력패널의 배치를 구성한다.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input panel according to the call of the input panel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to any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o arrange the input panel while maintaining a screen division state without changing the size of the region where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00 configures the layout of the input panel by horizontally or vertically moving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and configures the layout of the input panel by replacing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1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an operating program of the terminal and a progra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memory for storing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programs and tables for operating the terminal.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분할화면의 입력패널을 호출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 또는 명령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runn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n LCD or an OLED. The first input unit 140 may be implemented by a capacitance correction method or a resistive film method, and outputs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s tou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nger touch) to the controller 100. The second input unit 150 may include an EMR sensor pad, and detects a pen touch input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100. The first input unit 140 and / or the second input unit 150 generate a touch interaction or a command for calling the input panel of the split screen by a user's input. The display unit 130, the touch panel 140, and the ERM panel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16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부130의 분할화면 표시모드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세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로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가 가로로 놓여진 경우 상기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또는 위치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60 includes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ensor unit 16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plit screen display mode detection signal of the display unit 130. That is,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160 to detect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30 in a portrait mode when the terminal is placed vertically, and when the terminal is placed horizontally, The display mode is detected as a landscape mode. Here, the sensors may be composed of acceleration sensors, geomagnetic sensors and / or position sensing sensor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분할화면을 하나의 레이어에 구성(layout)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의 화면들은 각각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는 분할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분할화면을 구성할 때 상기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에 따라 세로 표시모드 또는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211,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split screen for displaying at least two or more applications on one layer. In this case, corresponding screens of the split screen are displayed. In this case, the split screen displayi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set in various form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0 analyzes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160 when configuring the split screen, and sets the split screen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or the horizontal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is placed.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app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app들을 모아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할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app들을 모으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app 모음 터치 인터렉션이 pinch close라 가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가 핀치 클로즈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1입력부140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복수의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앱(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음 app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app들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app들을 상기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First, a user may select desired apps among the apps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 the split screen. In this case, in order to select the apps to be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the user first collects and displays the apps. In this case, a touch interaction for collecting apps for displaying the split screen may be se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app collection touch interaction is pinch close. 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a pinch close operation, the first input unit 140 detects this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00.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apps on the display unit 130. In this case, the apps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may be a currently running app (running application), a recently executed app (recent application), or an entire app (for example, an application displayed on a hom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apps while the collection apps ar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the selected apps on the display 130 as a split screen.

두번째로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채팅 app(예를들면 chat on application)의 경우 채팅 중에 사진 등과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app(예를들면 gallery applcation)과 링크될 수 있으며, 이메일 app의 경우 하이퍼링크 정보에 의해 인터넷 app과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지는 app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대응되는 app을 호출한 후, 선택된 app과 app 전환타스크 정보에 의한 app을 표시부130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Secondly, certain apps may have app conversion task information that requires switching to another app. The app switching task information may be Insert / Attach / Link / Preview / Browse. For example, a chat app (e.g. chat on application) can be linked with a multimedia app (e.g. gallery applcation) to send information such as photos during a chat. It can be linked with the app. Therefore, when an app having app switch task informa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0 calls an app corresponding to the app switch task information, and then displays the selected app and the app based on the app switch task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as a split screen.

세 번째로 제조사 또는 사용자는 특정 app들을 설정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분할화면 표시로 설정되는 app들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pp의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 표시 app의 선택임을 감지하고, 해당 app과 대응되어 설정된 app들을 상기 화면에 분할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app들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app(예를들면 ebook applcation 등)과, 사전 app, 지도 app, web app, note app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ote app은 펜 또는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메모 또는 노트 등을 수행할 수 있는 app으로써, 텍스트, 스케듈 및/또는 멀티미디어 등의 app을 수행하는 중에 필요한 정보를 노트할 수 있다. Thirdly, the manufacturer or the user may set specific apps and display the split screen. In this case, information of the apps set to the split screen display may be stored in the controller 100. When the corresponding app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at the split screen display app is selected, and displays the apps se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pp on the screen as the split screen. The apps set by the manufacturer or the user may be an app displaying a text (for example, an ebook applcation), a dictionary app, a map app, a web app, a note app, and the like. Here, the note app is an app that can perform a memo or a note using a pen or a keypad, and can note information necessary while executing an app such as text, a schedule, and / or multimedia.

상기와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응되는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면서 다양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임의 분할화면 위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입력창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입력패널이 호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문자, 숫자, 도형 및/또는 제스쳐 등과 같이 입력부140 및/또는 150을 통해 입력할수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데이터는 문자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자 입력창은 어플리케이션에서 검색, 데이터 입력/변경/편집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할된 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창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며, 213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In the state where the split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executed application on the corresponding split screen. The user can execute various operations while checking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data input window of the application at the random split screen position,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213 and detects that the input panel is called. Herein, the data means all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0 and / or 150 such as letters, numbers, figures, and / or gestur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ata is assumed to be text. Here, the text input window may be an input window for searching, data input / change / edit, etc. in an application. 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an input window of a specific applic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screens displayed on the divided screens,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40 or the second input unit 150, and in step 213,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panel is called.

여기서 상기 입력패널은 3*4 키패드(또는 키보드) 또는 qwerty 키패드(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고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입력패널(static SIP(soft input panel))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위치 및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분할화면의 표시모드에 따라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모드는 세로 표시모드 및 가로 표시모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을 통해 휴대단말기가 놓여진 또는 위치된 방향을 감지하여 표시부130의 표시모드(세로 표시모드 또는 가로 표시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패널을 제공할 때 세로 표시모드이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배치하고 가로 표시모드이면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반대측 어플리케이션(즉, 입력패널 호출 어플리케이션과 인접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현재 휴대단말기는 한손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의 하단 우측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고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표시부130의 하단 좌측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input panel may be a 3 * 4 keypad (or keyboard) or a qwerty keypad (or keyboard).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a static SIP (soft input panel)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or an input panel (floating SIP) whose position and size may be changed by a user's selec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may differently set the position where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of the split screen. The display mode may be a vertical display mode and a horizontal display mode, an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a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or positioned through the sensor unit 160 (vertical display mode or horizontal display mode). ) Can be determi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panel is provided, the vertical display mode is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the applica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that is, another application adjacent to the input panel call application) It is assumed that it is arranged in the displayed area).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currently provides a one-handed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input panel in the lower right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e case of the right-handed, and to display the input panel in the lower left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e case of the left-hander.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의 호출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현재의 화면 표시모드에 따라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의 화면이 상기 입력패널에 가리워지지 않도록 화면을 변경하여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세로 표시모드이고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분할화면이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하단의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을 상측의 입력패널의 크기만큼 밀어올리거나 또는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바꾼 후(변경한 후) 하단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또한 가로 표시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반대측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표시부13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패널을 우측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에 표시한다. Accordingly, when detecting the call of the input panel, the control unit 100 changes the screen so that the screen of the area where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s not hidden by the input panel in step 215.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an application in which the split screen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and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ler 100 pushes or pushes the lower application display area by the size of the upper input panel. After changing (or changing) the split scree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to be displayed,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n the lower display area. In addition,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input panel in a region where an application opposite to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an input panel is called from an application of a split screen arranged in a left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input panel at a split screen position of a right application.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거나 또는 이동된 어플리케이션(즉,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입력패널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원래의 분할화면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의 사이즈는 2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분할화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30에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 및 입력패널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130의 남은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포함하는 분할화면의 Layout 조절 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최소 조절 영역으로 고정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최소 영역보다 더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조절영역은 표시되는 App을 사용할 수 있는 최소 영역까지는 App 화면 형태를 가지는 영역을 의미하며, 최소 영역보다 더 작아질 경우에는 아이콘, Minimize 형태로 전환시켜, 작은 영역에서도 App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n application that is hidden or moved by the input panel (that is,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This is to allow other applications to be called while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That is, when selecting an area where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while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00 may display the application in the original split screen size. Therefore, the size of the input panel is preferably set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plit screen when two split screens are displayed. When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n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and an input panel on the display unit 130, and displays a part of the application that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on the remaining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 In this case, when adjusting the layout of the split screen including the input panel, the controller 100 may fix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that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to be set as the minimum control area or adjust the display area to be smaller than the minimum area. Herein, the minimum control area means an area having an App screen shape up to the minimum area where the displayed app can be used. When the size is smaller than the minimum area, the minimum control area can be converted into an icon, Minimize shape, and the app can be identified even in a small area. Make sure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이때 3개 이상의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입력패널과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사이에 할당되는 영역에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분할되어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a state where three or more divided screens are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is an area allocated between the input panel and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t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to have the same size in.

상기와 같이 분할화면에 입력패널을 표시하여 분할화면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서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종료 처리를 한다. 여기서 상기 종료처리는 종료 명령에 따라 입력패널의 표시를 종료하고 입력패널을 표시하기 전의 상기 211단계의 분할화면 표시 과정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분할화면 처리 및 표시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tion command is generated while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lit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detects this in step 219 and finishes the processing in step 221. The end process may return to the split screen display process of step 211 before ending the display of the input panel and displaying the input panel according to the end command, and may terminate the split screen process and the display 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표시 방법은 세로 표시모드(Portrait) 및 가로 표시모드(landscape)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세로 표시모드인 경우 하단 영역의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패널이 분할화면(1/N Split)을 밀어올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상단 및 하단 분할화면에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로 표시모드의 경우, 상기 우측 영역의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패널을 표시부130의 오른쪽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좌측 및 우측 분할화면에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꿔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lit screen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rtrait display mode and the landscape display mode. That is,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the split screen area of the lower area, the controller 100 may display the input panel while pushing the split screen (1 / N Split)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upper and lower split screens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the split screen area of the right area,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input panel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130 as described above, and displays the application by the input panel.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plit screens can be changed so that the area is not hidden.

이때 세로 및 가로 표시모드에서 입력패널이 표시될 영역과 다른 위치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이 호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변경없이 설정된 위치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런 경우 상기 입력패널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an application displayed in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area where the input panel is to be display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play modes,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input panel at a set position without changing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displayed by being overlaid on the display area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 도 4f는 도 3에서 세로 표시모드(portrait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a - 도 5b는 도 3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F illustrate an example of displaying an input panel in a portrait mode in FIG. 3, and FIGS. 5A to 5B illustrate an input panel in a landscape mode in FIG. 3.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to do.

도 3 -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분할화면의 표시모드를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표시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센서부160의 출력을 분석하여, 휴대단말기가 세로로 놓여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세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130에 출력하며, 휴대단말기가 가로로 놓여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분할화면이 세로 표시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즉,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의 위치)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표시부130의 고정된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로 표시모드의 경우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입력패널의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입력패널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즉, 분할화면에서 하단 분리화면 영역)에 상기 입력패널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형태가 된다. 이런 경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부130의 하단영역에 위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호출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상단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하단 표시영역에 위치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은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7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하며, 319단계에서 입력패널을 설정된 위치(여기서는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분할화면을 밀어올리는 방법과 분활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표시 위치를 바꾸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3 to 5B, the controller 100 analyzes a display mode of a split screen in step 311. The controller 100 may check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unit 130 by analyzing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160. That is,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output of the sensor unit 16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vertically, configures the split screen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and outputs the split screen to the display unit 13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placed horizontally. A split screen in a horizontal display mode is configur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If the spli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is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11 and displays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n step 313 (that is, splitting in which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Position of the screen).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e case of the vertical display mod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put panel may be set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Therefore, when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the input panel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an application (that is, a split screen area in the split screen area) displayed on the bottom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is case, when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lication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to the upper application display area. Therefore, i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located in the lower display area,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315, changes the position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n step 317, and sets the input panel in step 319. (Here,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is case, a method of changing the split scree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may include a method of pushing up the split screen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그러나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의 위치가 입력패널을 표시할 위치와 다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3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입력패널을 설정된 위치(여기서는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표시한다.However, if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on which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input panel is to be displayed, the controller detects this in step 315 and sets the input panel in step 319 (here,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130). ).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app을 표시하는 분할화면의 변경 필요시, app의 표시 영역을 밀어올리는 방법과 app들의 분할화면 표시 위치를 바꾸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lit screen is displayed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when the split screen displaying the app is required to be changed, a method of pushing up the display area of the app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split screen display position of the apps are provided. Etc. can be used.

상기 세로 표시모드에서 분할화면의 변경 필요시, 분할화면을 밀어올려 입력패널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과,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When changing the split screen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there is a method of pushing up the split screen to set the position of the input panel,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먼저 분할화면을 밀어올리는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표시부의 상단 표시영역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입력패널 호출 App이 상단의 App(들)을 밀어 올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이는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중에 다른 app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First, let's take a look at how to boost the split screen. Th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and when calling the input panel from the App located in the upper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Display the input panel while hiding the App (s) of the. However,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located at the bottom, the control unit 100 provides an input panel while the input panel call App pushes up the App (s) on the top of the input panel call App. At this time, a part of the adjacent apps among the pushed-up app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panel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is to select another app while running the application by using the input panel.

예를들면 4a의 41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는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되도록한다. 또한 4b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입력패널의 표시영역 크기만큼 밀어올리며, 표시부의 하단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밀려올라가는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A application calls the input panel while displaying the A and B applications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in 411 of 4a, the controller 100 divides the split screen area of the B application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130 as shown in 413. Overlaid on In this case, a part of the display area of the B application covered by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B calls the input panel while the applications A and B are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in 421 of 4b,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display areas of the application B and the application A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130 as shown in 433. Is pushed up by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input panel, and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i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som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pushed-up A application are visible.

두 번째로 세로 표시모드에서 분할화면의 위치를 바꾸는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표시부의 상단 표시영역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 호출 App과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app과의 분할화면 위치를 바꾸고(즉, 입력패널 호출 app을 상단영역에 위치된 분할화면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하단 영역에서 바뀌어진 다른 어플리케이션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 표시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하단 영역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이는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중에 다른 app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econd, we will look at how to change the split screen position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The control unit 100 check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and when calling the input panel from the App located in the upper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Display the input panel while hiding the App (s) of the. However,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located at the bottom, the control unit 10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between the input panel calling app and the app not calling the input panel (that is, splitting the input panel calling app located in the upper area). The input panel is overlaid on another application display area changed in the lower area. At this time, a part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in the lower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panel area. This is to select another app while running the application by using the input panel.

예를들면 4c의 43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에 의해 가리워지는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되도록한다. 그러나 4d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43과 같이 표시부130의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바꾼다. 그러면 B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130의 상단영역에 표시되며 A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130으 하단 영역에 표시되며, 입력패널은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서 A 어플리케이션과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이때 표시 영역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application A calls the input panel while displaying the applications A and B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at 431 of 4c,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split screen area of the application B located at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130 as shown in 433. Overlaid on In this case, a part of the display area of the B application covered by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However, if the application B calls the input panel while displaying the applications A and B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in 421 of 4d, the controller 100 changes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B and the application A on the display 130 as shown in 443. Then, the B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the A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input panel is overlaid with the A application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At this time, som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application whose display area is changed are displayed.

세 번째로 세로 표시모드에서 입력패널을 표시부130의 상단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도 4e의 451과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453과 같이 A 어플리케이션의 상단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그러나 도 4f의 461과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463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입력패널의 크기만틈 밀어내리고, 해당 위치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상기 도 4e 및 도 4f와 같은 경우에도 표시 영역이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Third, the input panel may be display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In this cas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lication B while the split screen as shown at 451 of FIG. 4E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overlays and displays the input panel on the upper region of the application A as shown in 453. However, when the A application calls the input panel while the split screen shown in 461 of FIG. 4F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00 pushes down the A and B applications only by the size of the input panel as shown in 463 and the input panel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displayed. 4E and 4F, som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application whose display area is changed are visible.

또한 상기 311단계에서 가로 표시모드(landscape mode)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335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 위치를 분석한 후, 333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로 표시모드시 입력패널은 분할화면(1/N Split view)의 선택된 영역(Focus area)의 반대쪽에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로 표시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영역 이외의 분할화면 영역에 입력패널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Qwerty, 3*4 키패드 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한 손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한손모드는 사용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입력패널을 조작할 수 있는 모드로써, 한손모드의 입력패널은 양손모드 사용시의 입력패널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패널은 고정된 위치에 고정된 크기로 생성할 수 있으며,(일정 영역 내 Static SIP)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 표시모드시 제어부100은 331단계 및 333단계를 수행하면서,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호출 App과 인접한 반대쪽 App 표시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되는 입력패널의 일정 영역 내 Static SIP 또는 Floating SIP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mode is a landscape mode in step 311, the controller 100 analyzes the loca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n step 335, and then the area of the application that does not call the input panel in step 333. Display the input panel.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the input panel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lected focus area of the split screen 1 / N Split view.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00 positions the input panel in a split screen area other than the selected area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a Qwerty, a 3 * 4 keypad or a keyboard, and may also support a one-handed mode. The one-hande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can operate the input panel with the right hand or the left hand. The input panel of the one-handed mod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put panel when the two-handed mode is us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panel may be generated in a fixed size at a fixed position (static SIP in a predetermined area) or in the form of an input panel (Floating SIP)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Can be provided as Therefore,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steps 331 and 333, and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the control unit 100 displays the input panel on the opposite App display area adjacent to the calling App. Optionally, static SIP or floating SIP in a certain area of the displayed input panel can be provided.

휴대단말기에서 가로 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분할화면(1/N Split의 Focus된 영역)의 반대쪽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입력패널의 형태(SIP Type)는 Full Qwerty, 3*4 키 또는 한손 모드의 입력패널을 지원한다.When the application calls the input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split screen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00 displays a split screen in which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as shown in FIGS. 5A and 5B (1 / N Split). Display the input pane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cused area). At this time, the input panel type (SIP Type) supports the input panel of Full Qwerty, 3 * 4 key or one hand mode.

예를들면 도 5a의 511과 같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위치한 A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 또는 515와 같이 A App과 인접한 반대쪽 B App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은 513과 같이 일정 영역 내 Static SIP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515와 같이 Floating SIP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 App located on the left side while displaying the split screen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as shown in 511 of FIG. 5A, the control unit 100 inputs the input panel to the opposite B App adjacent to the A App such as 513 or 515. Overlay and display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tatic SIP in a predetermined area as shown in 513 or as a Floating SIP as shown in 515.

또한 도 5b의 531과 같이 가로 표시모드의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우측 분할화면에 위치한 B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533 또는 535와 같이 B App과 인접한 반대쪽 A App 분할화면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는 533과 같이 일정 영역 내 Static SIP로 제공하거나 또는 535와 같이 Floating SIP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alling the input panel from the B App located on the right split screen while displaying the split screen in the horizontal display mode as shown at 531 of FIG. 5B, the controller 100 moves the input panel to the opposite side adjacent to the B App such as 533 or 535. It can be displayed by overlaying it on the A App split screen area.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input panel may be provided as a static SIP in a predetermined area as shown in 533 or as a floating SIP as shown in 535.

도 6은 분할화면 표시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세로 표시모드시의 입력패널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panel processing procedure in a vertical display mod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split screen display func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N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 대응되는 N개의 분할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화면은 하나의 레이어에 레이아웃된 분할화면으로써, 각 분할화면들은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화면의 수는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app들 중에서 원하는 app들을 선택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app들은 현재 실행되는 app(running application), 최근에 실행된 app(recent application) 또는 전체 앱(예를들면 home 화면에 표시되는 application)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app이 다른 app을 호출하여 분할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정 app들은 다른 app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app 전환타스크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app 전환 타스크 정보는 Insert/Attach/Link/Preview/Browse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app을 실행하는 경우 대응되는 app도 호출되어 분할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화면에 표시되는 app들은 제조사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설정모드(등록모드)에서 특정 app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611, the controller 100 displays N applications on corresponding N split screens. Here, the split screen is a split screen laid out in one layer, and each split screen display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split screens may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applications to be displayed, and the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s may be set in various way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may select desired apps from among the apps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 them in a split screen, wherein the apps are currently running app (running application) and recently executed app ( recent application) or the entire app (for example, the application that displays on the home screen). In addition, the executed app can call another app and display the split screen. Specific apps may have app switching task information that requires switching to another app, and the app switching task information may be Insert / Attach / Link / Preview / Browse. Therefore, when the corresponding app is executed, the corresponding app can also be called and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In addition, the apps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may be 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user may also determine specific apps in the setting mode (registration mode).

상기와 같은 분할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분할화면 영역에서 입력패널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입력패널이 호출되었음을 감지한다. 이때의 입력패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문자 입력창을 선택하는 경우에 호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창을 선택하거나, 메모 또는 스케쥴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선택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an input panel in the split screen area displaying a certain application while the split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613 and detects that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this case, the input panel may be called when a text input window is selected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n internet search box or a text input window for memo or schedule input.

이때 상기 분할화면의 표시모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표시모드이고, 입력패널은 어플리케이션을 밀어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상기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이 상단 분할화면의 어플리케이션인가 검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위치(즉, 분할화면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617단계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단 분할화면에서 표시되는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21단계에서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상기 도 4a의 41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A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영역에 입력패널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패널은 B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mode of the split screen is a vertical display mode as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and the input panel uses a method of pushing and displaying an application. The controller 100 checks whether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s the application of the upper split screen in step 617. That is,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display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in step 617.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17 that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displayed on the upper divided screen of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100 hides the lower panel App (s) around the input panel call App in step 621 and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For example, if the A application calls the input panel while the A and B applications are displayed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in 411 of FIG. 4A, the controller 100 divides the B application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unit 130 as shown in 413. Display the input panel by overlaying it on the screen area. The input panel may display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B application in a size that can be displayed.

그러나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입력패널 호출 App을 중심으로 입력패널 호출 App이 상단의 App(들)을 입력패널의 사이즈만큼 밀어 올리며, 621단계에서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 때, 입력패널 영역 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이도록 한다. 예를들면 도 4b의 421과 같이 A 및 B 어플리케이션을 분할화면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B 어플리케이션이 입력패널을 호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33과 같이 표시부13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는 B 어플리케이션 및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을 입력패널의 표시영역 크기만큼 밀어올리며, 표시부의 하단영역에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밀려올라가는 A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들 중 일부가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패널은 3*4 또는 qwerty 키패드(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패널의 크기는 일정 영역 내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입력패널(Static SIP)이 될 수 있으며, 또는 크기 및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입력패널(Floating SIP)이 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in the App located at the bottom,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617, and in step 619, the input panel call App centers the input App (s) on the top of the input panel calling App. Display the input panel in step 621. At this time, a part of the adjacent apps among the pushed-up app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panel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B calls the input panel while displaying the applications A and B on the split screen as shown in 421 of FIG. 4B,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application B and the application A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130 as shown in 433.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pushed up by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input panel, and the input panel is displayed on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som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pushed-up A application are visible. The input panel may be a 3 * 4 or qwerty keypad (or keyboard). 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put panel may be an input panel (Static SIP) having a fixed size in a predetermined area, or may be an input panel (Floating SIP) that can be changed in size and position.

상기와 같이 입력패널을 표시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623단계에서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되는 키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후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7단계에서 입력패널의 표시를 종료하고 분할화면의 표시는 원상 복구시킨다. 즉, 도 4a의 413 또는 도 4b의 423과 같이 표시되는 분할화면을 각각 411 또는 421과 같이 이전의 상태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After displaying the input pane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the key data detect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40 and / or the second input unit 150 in step 623. After the termination command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is in step 625, terminates the display of the input panel in step 627, and restores the display of the split screen. That is, the divided screens displayed as 413 of FIG. 4A or 423 of FIG. 4B are changed to the previous state and displayed as 411 or 421,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세로표시모드로 분할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임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패널의 호출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입력패널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 위치를 검사하여 입력패널을 표시한다. 이때 상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입력패널을 호출한 App을 중심으로 하단의 App(들)을 가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그리고 하단에 위치한 App에서 입력패널을 호출한 경우에는 입력패널을 호출한 App을 중심으로 상단의 App(들)을 밀어 올리면서 입력패널을 제공한다. 이 때, 입력패널의 크기(Size)에 따라 밀려 올라간 App 중 인접한 App 의 일부가 화면에 보여야 한다. 그리고 입력패널의 사용을 종료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분할화면은 입력패널의 제공 상태로 원상복구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all to an input panel is generated from an arbitrary application while displaying the split screen in the vertical display mode, the controller 100 checks the position of the split screen of the application calling the input panel and displays the input panel. In this case,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located at the top, the controller provides an input panel while covering the App (s) at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App calling the input panel. When the input panel is called from the app located at the bottom, the input panel is provided while pushing up the app (s) on the top of the app that called the input panel. At this time, a part of the adjacent apps among the pushed up app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panel should be shown on the screen. When the use of the input panel is finished, the split screen of the application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of the input panel.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제 1 실행 화면 및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제 2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이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아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1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입력 윈도우 상의 제 2 입력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실행 화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제 2 실행 화면을 윗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실행 화면의 아래에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 the split screen mode in which the first execution screen of the first application and the second execution screen of the second application are displayed, the display is controlled such that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below the first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detecting a first input on an input window of the first execution screen,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keyboar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n response to detecting a second input on an input window of the second execution screen, while displaying a portion of the first execution screen,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moved upwards, and a keyboard below the second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e.
KR1020190140647A 2019-11-06 2019-1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236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47A KR102236053B1 (en) 2019-11-06 2019-1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0210040945A KR102383786B1 (en) 2019-11-06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47A KR102236053B1 (en) 2019-11-06 2019-1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00A Division KR102044829B1 (en) 2012-09-25 2012-09-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45A Division KR102383786B1 (en) 2019-11-06 2021-03-3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641A true KR20190127641A (en) 2019-11-13
KR102236053B1 KR102236053B1 (en) 2021-04-05

Family

ID=6853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647A KR102236053B1 (en) 2019-11-06 2019-11-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05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2577A2 (en) * 1989-10-13 1991-04-17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KR20080084208A (en)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ode controlling method the sa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229374A1 (en) * 2011-03-11 2012-09-13 Hiroki Kobayashi Electronic device
KR102044829B1 (en) *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2577A2 (en) * 1989-10-13 1991-04-17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KR20080084208A (en) * 2007-03-15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ode controlling method the sa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229374A1 (en) * 2011-03-11 2012-09-13 Hiroki Kobayashi Electronic device
KR102044829B1 (en) *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053B1 (en)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8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0690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20996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n application displayed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US201903698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59916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ally adjusted touch area
KR102251834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KR20110041915A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KR20180120768A (en) Man-machine interaction methods, device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KR201400978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in an electronic device
JP2012174247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ontact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contact operation control program
KR1023837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2360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KR102514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EP3674867B1 (en)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64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of handheld device
KR101683076B1 (en) Op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device
KR201901345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KR201400419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