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556A -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556A
KR20190126556A KR1020180050604A KR20180050604A KR20190126556A KR 20190126556 A KR20190126556 A KR 20190126556A KR 1020180050604 A KR1020180050604 A KR 1020180050604A KR 20180050604 A KR20180050604 A KR 20180050604A KR 20190126556 A KR20190126556 A KR 2019012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base plate
protrusions
air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0053B1 (en
Inventor
신남규
배성원
이건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53B1/en
Publication of KR2019012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comprises: a charge part charging particles in the air; and a dust collection part collecting the particles charged through the charge part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include base plat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and a second direction (B)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respectively,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third direction (C)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move oil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plate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washing the dust collection plate.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state most suitable for use and purpose.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ion cycle for performing the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processes of the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variously propose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 home or an offic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n indoor space of a house or a building.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the cool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performs an evaporator fun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performs an evaporator function.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에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까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팬이 제공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uction part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cked and a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rt is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and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an air conditioner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for generating an air flow from the suction part to the discharge part.

또한, 공기조화기에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집진장치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을 출원하여 공개한 바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in the air. In connection with suc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published the following prior document.

<선행문헌 1><Previous Document 1>

1. 공개번호 : 제10-2017-0051145호(공개일자 : 2017년 05월 11일)1.Publication No. 10-2017-0051145 (Publication date: May 11, 2017)

2. 발명의 명칭 :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2. Name of inven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상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장치에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 및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부는 공기 중 먼지입자가 전기력으로 집진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집진판을 포함한다.As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1,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cludes a charged portion for charging the dust particles in the air and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dust particles charged in the charged portion.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low direction of air so that dust particles in the air are collected by electric force.

이때, 유입되는 공기 중에 오일입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전기집진장치에 의해 공기 중 오일입자가 집진될 수 있다. 즉, 상기 집진판에 오일입자가 집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집진판의 표면이 코팅되어 집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il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incoming air, the oil particles in the air may be collect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at is, oil particles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us,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coa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collecting power is reduced.

또한, 상기 집진판은 일반적으로 PET필름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세척이 어려우며, 장착된 후 교체 및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집진판에 오일입자가 집진된 경우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이 매우 떨어지며, 세척 및 교체 등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gene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ET film is difficult to wash,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and change after being mounted. Therefore, when oil particles ar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very low,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cost and time are consumed for cleaning and replacement.

본 실시 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일입자의 착상이 어려운집진판을 구비한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pos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a dust collecting plate having difficulty of oil particles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또한, 상기 집진판을 성형이 자유로운 재질로 제조하고, 표면에 미세한 형상을 형성하여 오일입자의 착상을 방지하는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made of a material free of molding and forming a fine shape on the surface to prevent the implantation of oil particles.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는,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 및 상기 하전부를 통해 하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집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부에는 복수의 집진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집진판에는, 제 1 방향(A) 및 상기 제 1 방향(A)과 수직한 상기 제 2 방향(B)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각각 포함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A) 및 상기 제 2 방향(B)과 수직한 제 3 방향(C)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포함된다.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d part for charging particles in air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the charged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may include a base plat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respectively. In this cas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third direction C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FIG. Included.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 및 상기 하전부를 통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가 포함된다. 상기 집진부에는, 흡입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집진판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집진판에는, 상기 흡입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각각 포함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면에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suction port,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particl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charged particles through the charging unit.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spaced apar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uction air, and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respectively include base plates extending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suction air. At this tim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 concave-convex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중 오일입자가 집진판에 착상되지 않아, 오염을 방지하고 집진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oil particles in the air are not implanted on the dust collecting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to prevent the dust collection rate from falling.

또한, 상기 집진판을 가공이 쉬운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집진판의 일면에 오일입자의 착상이 어려운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formed of a conductive plastic material, which is easy to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uneven structure which is difficult to form oil particles on on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집진판에 포집된 오일입자의 제거가 쉬우며, 상기 집진판을 세척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oil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y washing the dust collecting plate.

또한, 그에 따라,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율을 일정 수준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a certain level or more to obtain the user's trust.

또한, 교체없이 오랜 시간 동안 전기집진장치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placement time and cost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단면을 다양한 실시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의해 소정의 입자가 포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II-II ′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pl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pl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predetermined particles are collected b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disturbs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II-II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 및 상기 케이스(11)의 전방에 결합되며 공기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2)이 포함된다.1 and 2,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ase 11 and the case 11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10 A front panel 12 is included that forms a front appearance.

상기 케이스(11)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 케이스일 수 있으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조화기 자체의 케이스일 수 있다. 그리고, 넓은 의미에서, 상기 전면 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case 11 may be an indoor unit case disposed indoors in the case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or may be a case of the air conditioner itself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And, in a broad sense, the front panel 12 can be understood as one configuration of the case 11.

상기 케이스(11)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0) 및 상기 흡입구(2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30)가 포함된다.The case 11 includes a suction port 20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flows and a discharge port 30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20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상기 흡입구(20)는 상기 케이스(11)의 상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20)에는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22)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20 is formed by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1.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2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grill 22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상기 토출구(30)는 상기 케이스(11)의 하부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30)에는 토출그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30 may be formed by ope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1.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3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grill (not shown).

상기 토출구(30)의 일 측에는, 상기 토출구(3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32)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 베인(32)이 개방되면, 상기 케이스(11) 내에서 조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 베인(32)은, 상기 토출 베인(32)의 하부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30)를 개방시킬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 30, the discharge vane 32 is provided to be movable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30. When the discharge vane 32 is opened, the air that is harmonized in the case 11 may be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For example, in the discharge vane 32,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vane 32 may rotate upward to open the discharge port 30.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60) 및 열교환기(40)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blowing fan 60 and a heat exchanger 40 installed inside the case 11.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흡입구(20)에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4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튜브 및 상기 냉매튜브와 결합되어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는 열교환 핀이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40)에는, 절곡된 다수의 열교환부가 포함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40 is installed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sucked in the inlet 20.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r 40 includes a refrigerant tub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a heat exchange fin coupled with the refrigerant tube to increase a heat exchange area. The heat exchanger 4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suction side of the blower fan 60. For example, the heat exchanger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nt heat exchangers.

상기 송풍팬(60)에는, 원주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원주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횡류팬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60)에는, 고정부재로서의 팬 본체(61) 및 상기 팬 본체(61)의 일 측에 고정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65)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65)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를 갖는다.The blowing fan 60 includes a cross flow fan for discharging air suck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blower fan 60 includes a fan body 61 as a fix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blades 65 fixed to one side of the fan body 61 and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blades 65 have a form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송풍팬(60)의 외주면 근처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51, 52)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 가이드(51, 52)에는, 상기 송풍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리어 가이드(51) 및 스테빌라이저(52)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is provided with flow path guides 51 and 52 disposed nea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er fan 60 to guide the flow of air. The flow path guides 51 and 52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wing fan 60, and include a rear guide 51 and a stabilizer 52.

상기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케이스(11)의 후측에서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송풍팬(60)이 회전될 때 상기 송풍팬(60) 측으로 흡입 공기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리어 가이드(51)는, 상기 송풍팬(6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송풍팬(60)에서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ar guide 51 extends from the rear side of the case 11 to the suction side of the blowing fan 60. The rear guide 51 allows the intake air to be smoothly guided to the blowing fan 60 when the blowing fan 60 is rotated. In addition, the rear guide 51 may prevent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fan 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ower fan 60.

상기 스테빌라이저(52)는, 상기 송풍팬(60)의 토출측에 배치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52)는, 상기 송풍팬(60)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6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4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tabilizer 52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fan 60. The stabilizer 52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er fan 60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fan 60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heat exchanger 40.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열교환기(40)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부(53)가 포함된다. 상기 드레인부(53)에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drain portion 53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40. The drain 53 may store condensed water generated during a heat exchange process between air and a refrigerant.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70)는 흡입되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구(2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10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in the air.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20 to remove dust particles from the air sucked.

상기 전기집진장치(70)에는, 공기 중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72) 및 상기 하전부(72)를 통해 하전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80)가 포함된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includes a charging unit 72 for charging dust particles in air and a dust collecting unit 80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unit 72.

상기 하전부(72)는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카본 브러시(carbon brush)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전부(72)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7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bon brush to discharge a high voltage. In addition, the charged portion 72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집진부(80)에는 상기 하전부(7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80)는 상기 하전부(72)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8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charged portion 72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80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as the charged portion 7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전부(72) 및 상기 집진부(80)는 상기 흡입구(20)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상기 하전부(72) 및 상기 집진부(80)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charged portions 72 and dust collectors 80 are provided along the suction port 20. In detail, the plurality of charged portions 72 and the dust collector 8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이때, 각각의 집진부(80)를 집진판(100, 도 3)이라 한다. 즉, 상기 집진부(80)에는 복수의 집진판(10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집진판(100)은 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형상의 자유도가 높으며 가공성이 좋을 수 있다.At this time, each dust collecting unit 80 is called a dust collecting plate (100, Fig. 3). That is, the dust collecting part 80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00.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plastic. Accordingly, the degree of freedom of shape and the processability can be good.

상기 집진판(100)은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집진판(100)은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상기 집진판(100)의 개수 및 간격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is formed extending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o be sucked. Referring to FIG. 2,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extends in a flow direction of ai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However,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shown in FIG. 2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집진판(100)의 표면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이하,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IV-IV'단면을 다양한 실시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pl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IV-IV 'of Figure 3 in various embodiments.

도 3에서는 하나의 집진판(100)의 적어도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집진판(100)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요철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입자의 포집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3 illustrates at least a part of one dust collecting plate 100.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plain the fine concavo-convex structu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ortion is enlarged. This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the collection of particles in FIG. 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판(100)에는, 전체적으로 제 1 방향(A) 및 제 2 방향(B)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and a second direction B as a whole.

상기 제 1 방향(A)은 도면상에서 세로방향이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의미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이 제 1 방향(A)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유동방향은 도 3에서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 i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drawing, and means a flow direction of air. 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2 may be understood as the first direction A. FIG. In addition, the flow direction of air may be any one of the upward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in FIG.

상기 제 2 방향(B)은 상기 제 1 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 2 방향(B)은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 또는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second direction B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direction B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entering or exiting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제 1 방향(A) 및 제 2 방향(B)과 수직한 방향, 즉, 도 3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 또는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복수의 집진판(100)이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를 제 3 방향(C)이라 한다. 이때, 각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that is, a direction entering the ground or a direction exiting from the ground in FIG. 3.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s is referred to as a third direction C. FIG. At this time, each base plate 11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 1 방향(A)과 평행한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2um의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 the base plate 110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 For example, the base plate 110 may be provided as a flat plate having a thickness of 2um.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제 1 방향(A)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부러져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측이 볼록하게 구부러져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may b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FIG. The base plate 110 may be ben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C, the center side may be provided convexly bent.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집진판(10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20)가 포함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서 제 1 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제 3 방향(C)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Referring to FIG. 4, the protrusion 120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In detail, the protrusion 120 protrudes in the third direction C from the base plate 110.

이때, 상기 돌출부(120)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면을 요철면(112)이라 한다. 특히, 상기 요철면(112)은 먼지 등 공기 중 입자들이 포집되는 포집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20)는 복수의 진집판(100) 중 입자들이 포집되는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on which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is referred to as an uneven surface 112. In particular, the uneven surface 112 may correspond to a collecting surface for collecting particles in the air, such as dust. That is, the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collecting plate 100 is collected particles.

각 돌출부(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0)는 원형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2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0)는 직경이 5um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protrusion 120 may protrude from the base plate 110 in a circular shape. That is, the protrusion 12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the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5um.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출부(120)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제 1 방향(A)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In particular, the protrusions 1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in the flow direction of air,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돌출부(120)는 제 1 방향(A)으로 나란하게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제 2 방향(B)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rotrus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 Referring to FIG. In addition, the protrusion 12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in the second direction (B).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 왼쪽부터 차례로 1열, 2열, 3열 및 4열로 구분한다. 또한, 각 열의 돌출부(120)는 상부에서 하부로 1번째, 2번째 등으로 구분한다. 즉, 1열 및 3열에는 각각 1번째 내지 5번째 돌출부(120)가 구비되며, 2열 및 4열에는 각각 1번째 내지 4번째 돌출부(120)가 구비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lumn is divided into one column, two columns, three columns, and four columns from the left in FIG. 4. In addition, the protrusions 120 in each row are classified into first, second, and the lik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at is, the first to fifth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third rows, respectively, and the first to fourth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in the second and fourth rows, respectively.

예를 들어, 각 열의 돌출부(120)는 서로 4um씩 이격되어 제 1 방향(A)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자세하게는, 1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과 1열의 2번째 돌출부(120)의 중심은 제 1 방향(A)으로 9um 이격되어 배치된다.For example, the protrusions 120 in each row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4 μm. In detail, the centers of the first protrusions 120 in the first row and the centers of the second protrusions 120 in the first column are spaced apart by 9 μm in the first direction A. FIG.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상기 돌출부(120)가 형성된 부분은 볼록하고, 상기 돌출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면은 오목하게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기 요철면(112), 즉,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portions of the base plate 110 in which the protrusions 120 are formed are convex, and surfaces on which the protrusions 120 are not formed are concave. Accordingly, the uneven surface 112, that is, the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또한, 서로 다른 열의 돌출부(120)도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1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과 2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은 서로 9um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1열의 2번째 돌출부(120)의 중심과 2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도 9um 이격되어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120 of different row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In detail, the center of the first protrusion 120 in the first row and the center of the first protrusion 120 in the second row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9 um.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of the first row and the center of the first protrusion 120 of the second row are also spaced apart 9um.

즉, 1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 1열의 2번째 돌출부(120)의 중심 및 2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은 서로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이와 동일하게, 2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 3열의 1번째 돌출부(120)의 중심 및 3열의 2번째 돌출부(120)의 중심도 서로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That is, the centers of the first protrusions 120 in a row, the centers of the second protrusions 120 in a row and the centers of the first protrusions 120 in a second row are arranged to form an equilateral triangle with each other. Similarly, the centers of the first protrusions 120 in the second row, the centers of the first protrusions 120 in the third row and the centers of the second protrusions 120 in the third row are also arranged to form an equilateral triangle.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서로 다른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20)는 제 3 방향(C)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의 2번째 돌출부(120)는 1열의 1번째 돌출부(1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120 may protrude to different sizes. That is, the protrusions 120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third direction (C). As shown in (b) of FIG. 4, the second protrusion 120 in one row may protrude more than the first protrusion 120 in one row.

예를 들어, 1열의 1번째 돌출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2um만큼 돌출되고, 1열의 2번째 돌출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4um만큼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20 in a row may protrude 2um from the base plate 110, and the second protrusion 120 in a row may protrude 4um from the base plate 110.

또한, 상기 돌출부(12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12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plat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돌출부(120, 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돌출부(120, 130)를 도시하였고, 설명의 편의상 제 1 돌출부(120) 및 제 2 돌출부(130)로 구분한다.As shown in FIG. 5, protrusions 120 and 130 having different shapes may be formed on the base plate 110. In FIG. 5, two different protrusions 120 and 130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otrusions 120 and 130 are divided into a first protrusion 120 and a second protrusion 130.

상기 제 1 돌출부(120)는 원형으로 돌출되고, 제 1 방향(A)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제 1 돌출부(120)는 직경이 5um인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2um만큼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s 120 protrude in a circular shape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1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5um, and may protrude by 2um from the base plate 110.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제 1 방향(A)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제 2 돌출부(130)가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만큼 그와 대응하여 제 1 방향(A)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have a rib shape that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 to protrude. In FIG. 5, the second protrusion 130 is illus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In FIG. As the base plate 110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 corresponding thereto.

이때,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제 2 방향(B)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제 2 방향(B)으로 4um의 두께를 갖고, 제 1 방향(A)으로 연장된 리브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4um만큼 돌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second direction (B).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30 has a thickness of 4 μm in the second direction B and is provided in a rib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 FIG.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protrude as much as 4 μm from the base plate 110.

즉, 상기 제 1 돌출부(120) 및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서로 다른 형상, 서로 다른 돌출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different protrusion sizes.

또한, 상기 제 1 돌출부(120)와 상기 제 2 돌출부(130)는 제 2 방향(B)으로 번갈아가며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부터 제 1 돌출부(120)-제 2 돌출부(130)-제 1 돌출부(120)-제 2 돌출부(130)가 차례로 배열된다.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20 and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B).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rotrusion 120-the second protrusion 130-the first protrusion 120-the second protrusion 130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eft side.

이와 같은 돌출부(120, 130)의 형상, 크기 및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size and number of the protrusions 120 and 130 are exemplary, and may be formed in any shape that can form an uneven structure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110.

또한, 이와 같은 요철구조가 형성된 집진판(100)은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판(100)은 가공이 쉬운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having such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plastic material that is easy to process.

예를 들어, 상기 집진판(100)에는 나노 임프린트 방식에 의해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표면에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 시키고, 형성하려는 요철구조와 대응되는 금형을 맞대고 가압한다. 가압한 상태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을 굳히고, 금형을 제거한다. 그리고, 반응성 에칭 및 후처리 작업을 하여 소정의 요철구조가 형성된 집진판(100)을 제조할 수 있다.For example, an uneven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by a nano imprint method. In detail, contaminants are removed and planarized on the surface and pressed against the mold corresponding to the uneven structure to be formed. The laser is irradiated in a pressurized state to harden the pattern and to remove the mold.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100 having a predetermined uneven structure may be manufactured by performing reactive etching and post-treatment operations.

또한, 상기 집진판은 3D프린트 방식, roll to roll 방식 및 화학적 식각 방식 등에 의해 요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요철구조에 의한 전기집진장치의 포집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form a concave-convex structure by a 3D printing method, a roll to roll method and a chemical etching method. Hereinafter, the collection process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such an uneve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 의해 소정의 입자가 포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predetermined particles are collected b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이 따른 집진판은 공기의 유동방향(A)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공기의 유동방향(A)과 수직하게 이격된 복수 개로 구비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집진판을 도시하였으며, 제 1 집진판(100a) 및 제 2 집진판(100b)으로 구분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extending in the flow direction (A) of air,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low direction (A) of air. 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wo dust collecting plates are illustrated, and are divided into a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0a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상기 제 1 집진판(100a) 및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는, 각각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는 각각 제 1 방향(A)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00b are provided with a first base plate 110a and a second base plate 110b, respectively.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respectivel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이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는 제 1 방향(A)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As such, air may flow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that are disposed in parallel. In other words, air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A and may pass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 이물질이 포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집진판(100a)에는 고전압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는 집진극이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전부(72)에서 대전된 공기 중 이물질들이 전기력에 의해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 포집된다.In this process,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collected. In this case, foreign matter may be collected 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That is, a high voltag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0a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Accordingly, foreign matters in the air charged by the charged portion 72 are collected by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by the electric force.

공기 중 이물질에는 먼지입자뿐만 아니라 오일입자(O)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실내공간에서 요리 등을 하는 경우 공기 중 많은 오일입자(O)가 분포되고,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 오일입자(O)가 집진된다.Foreign matter in the air may include oil particles (O) as well as dust particles. In particular, when the user cooks in an indoor space, many oil particles O are distributed in the air, and as the air conditioner 10 is operated, the oil particles O are collected o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do.

이때,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는 요철면(112)이 구비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일 면은 요철면(112)으로 마련된다. 즉,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일 면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is provided with an uneven surface 112. In detail,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facing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provided as an uneven surface 112. That is, the protrusion 1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in which foreign matter is collected.

따라서, 상기 제 2 집진판(100b)에 집진된 오일입자(O)는 상기 요철면(112)에 집진된다. 이때, 상기 오일입자(O)는 상기 요철면(112)에 퍼진 상태로 집진되지 않고, 공기 중 원형의 입자 형상을 유지하며 집진된다. 이는, 상기 돌출부(120)로 인해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와 상기 오일입자(O)와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oil particles O collected o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are collected on the uneven surface 112. At this time, the oil particles (O) is not collected in the state spread on the uneven surface 112, is collected while maintaining a circular particle shape in the air. This is becau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base plate 110b and the oil particles O is small due to the protrusion 120.

그에 따라, 상기 오일입자(O)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표면에 착상되지 않고 제거가 쉬운 형태로 포집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장치(70)에 전원이 OFF되거나,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에 형성된 구배를 통해 상기 오일입자(O)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입자(O)의 이동이 예상되는 곳에 오일수집부를 구비하여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il particles O are collected in a form that is easy to be removed without being implan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In addition, the power may be turned off to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70 or the oil particles O may be moved through a gradient formed in the second base plate 110b. In addition, it can be removed by having an oil collecting unit where the movement of the oil particles (O) is expected.

이와 같이, 공기 중 오일입자(O)를 포집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일 면에만 상기 요철면(11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양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110a)에도 상기 요철면(112)이 형성될 수 있다.As such, the oil particles (O) in the air can be collected and easily removed. 6, the uneven surface 112 is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but may b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In addition, the uneven surface 112 may be form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a.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 1 방향(A) 길이에 비해 매우 작은 크기로 돌출된다. 그에 따라, 상기 돌출부(120)의 형상은 상기 제 1 집진판(100a)과 상기 제 2 집진판(100b)의 사이 거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집진판(100a)과 상기 제 2 집진판(100b)의 사이에는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되고, 최대의 집진 성능이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protrusion 120 protrudes in a very small size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first direction A of the base plate 110.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0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0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Therefore, a uniform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100a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100b, and the maximum dust collecting performance can be derived.

10 : 공기조화기 70 : 전기집진장치
72: 하전부 80 : 집진부
100 : 집진판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요철면 120, 130 : 돌출부
A : 제 1 방향 B : 제 2 방향
C : 제 3 방향
10: air conditioner 70: electrostatic precipitator
72: charged portion 80: dust collector
100: dust collecting plate 110: base plate
112: uneven surface 120, 130: protrusion
A: first direction B: second direction
C: third direction

Claims (15)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 및
상기 하전부를 통해 하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집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부에는 복수의 집진판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집진판에는,
제 1 방향(A) 및 상기 제 1 방향(A)과 수직한 제 2 방향(B)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각각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집진판 중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A) 및 상기 제 2 방향(B)과 수직한 제 3 방향(C)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particles in the air; And
And a dust collecting part collecting charged particles through the charged part.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 base plat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 and a second direction B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respectively;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 a third direction (C)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second direction (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zigzag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원형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to different lengths in the thir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돌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First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n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나노 임프린트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nanoimprin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에는,
고전압 전극과 연결되고, 제 1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제 1 집진판; 및
집진극과 연결되고,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를 갖는 제 2 집진판;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게 상기 제 3 방향(C)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A first dust coll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electrode and having a first base plate; And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pole and having a second base plate;
And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ird direction (C) in parallel to each oth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late facing the first bas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방향(A)에 대하여 구부러져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plate is b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A)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집진판은, 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nductive plastic (plastic).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 및
상기 하전부를 통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집진부에는, 흡입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집진판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집진판에는, 상기 흡입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가 각각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 면에는,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요철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A case in which a suction port is forme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particles in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And
Includes; a dust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charged particles through the charged portion,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sp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includes a base plate extending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intake air,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neven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KR1020180050604A 2018-05-02 2018-05-02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KR1020700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4A KR102070053B1 (en) 2018-05-02 2018-05-02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604A KR102070053B1 (en) 2018-05-02 2018-05-02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56A true KR20190126556A (en) 2019-11-12
KR102070053B1 KR102070053B1 (en) 2020-01-28

Family

ID=6857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04A KR102070053B1 (en) 2018-05-02 2018-05-02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0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943B1 (en) * 2021-09-30 2023-09-06 (주)코넵 Charging structure for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618Y1 (en) * 1986-04-03 1990-05-25 주식회사 금성사 Head lifter in hard disk driver
JPH02174951A (en) * 1988-12-27 1990-07-06 Daikin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0148892Y1 (en) * 1993-04-22 1999-06-15 윤홍구 Collecting plate of air cleaner
EP2246117A1 (en) * 2008-02-20 2010-11-03 Daikin Industries, Ltd. Dust collector
CN203577998U (en) * 2013-11-01 2014-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Range hood and fume trapping device thereof
KR101643223B1 (en) * 2009-10-14 2016-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70028094A1 (en) * 2015-07-31 2017-02-02 Alexandr Vladimirovich Nagolkin Air disinfection method and a device for implement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618Y1 (en) * 1986-04-03 1990-05-25 주식회사 금성사 Head lifter in hard disk driver
JPH02174951A (en) * 1988-12-27 1990-07-06 Daikin Ind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0148892Y1 (en) * 1993-04-22 1999-06-15 윤홍구 Collecting plate of air cleaner
EP2246117A1 (en) * 2008-02-20 2010-11-03 Daikin Industries, Ltd. Dust collector
KR101643223B1 (en) * 2009-10-14 2016-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3577998U (en) * 2013-11-01 2014-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Range hood and fume trapping device thereof
US20170028094A1 (en) * 2015-07-31 2017-02-02 Alexandr Vladimirovich Nagolkin Air disinfection method and a device for implement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053B1 (en)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1395B2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including same
US20220023881A1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including same
US10518270B2 (en)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US20100095848A1 (en) Air purifi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11781451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070053B1 (en) Electric dust collection di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ng the same
KR102584609B1 (en) air conditioner
KR101956632B1 (en) Filter of airconditioner
KR10202619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05091104A (en) Air conditioner
JP2005074389A (en) Electric dust collector for air conditioner
US20210252950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97128B1 (en) Air exchange unit with heat exchanger for dust removing
WO2015056465A1 (en) Air conditioner
RU2686883C1 (en)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equipped with it
CN219677376U (en) Sediment outflow air conditioner and energy storage cabinet
KR101667574B1 (en) Refrigerator
CN211011820U (en) Heat exchange device
KR10226644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216976922U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deflector thereof
KR102336692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of air circulation type
CN218763721U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323964Y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air conditioner
KR20210004719A (en) Air conditioner
JP2017009135A (en)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