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424A -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424A
KR20190126424A KR1020197031011A KR20197031011A KR20190126424A KR 20190126424 A KR20190126424 A KR 20190126424A KR 1020197031011 A KR1020197031011 A KR 1020197031011A KR 20197031011 A KR20197031011 A KR 20197031011A KR 20190126424 A KR20190126424 A KR 2019012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ai
degree video
information
meta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444B1 (ko
Inventor
오현묵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2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젝션된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을 적용하여 패킹된 픽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픽처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본 발명은 360도 비디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60도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전자적으로 투영된 환경 내에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제공한다. VR 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더 고화질의 이미지들과, 공간적인 음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 개선될 수 있다. VR 시스템은 사용자가 인터랙티브하게 VR 컨텐츠들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VR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VR 비디오 데이터 전송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VR 비디오 데이터 및 VR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VR 비디오 데이터 및 VR 비디오 데이터의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VR 비디오 데이터 및 VR 비디오 데이터가 맵핑된 리전의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적용하여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픽처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를 획득하는 프로젝션 처리부,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적용하여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를 획득하는 리전별 패킹 처리부,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처리부,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하는 데이터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픽처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에 대한 정보 및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에 대한 정보 및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신 처리부,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를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하는 렌더러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망을 사용하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을 지원하는 환경에서 360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360 컨텐츠 소비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경험(interactive experience)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360 컨텐츠 소비에 있어서, 360 컨텐츠 제작자가 의도하는 바가 정확히 반영되도록 시그널링 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60 컨텐츠 전달에 있어, 효율적으로 전송 캐패시티를 늘리고, 필요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프로젝션 및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전체적인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RAI 영역이 고려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c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의 타입에 따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ERP 가 적용된 패킹된 픽처의 리전들에 대한 RAI 영역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상기 RAI 영역들을 포함하는 ERP 가 적용된 패킹된 픽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상기 포스트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리전들 간 퀄리티 차이를 보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상기 VisualSampleEntry 또는 상기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에 대한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를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ctRegionPacking 클래스를 나타낸다.
도 19는 상기 VisualSampleEntry 또는 상기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에 대한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0은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를 상기 타임드 메타데이터로 정의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로 기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도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도면상의 각 구성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각 구성들이 서로 별개의 하드웨어나 별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각 구성 중 두 개 이상의 구성이 합쳐져 하나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복수의 구성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각 구성이 통합 및/또는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기 위하여, 360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VR이란 실제 또는 가상의 환경을 복제(replicates) 하기 위한 기술 내지는 그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VR은 인공적으로 사용자에게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적으로 프로젝션된 환경에 있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360 컨텐츠는 VR을 구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전반을 의미하며, 360도 비디오 및/또는 360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는 VR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동시에 모든 방향(360도)으로 캡처되거나 재생되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360도 비디오라 함은 360도 비디오를 의미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는 3D 모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D 공간 상에 나타내어지는 비디오 내지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는 구형면(Spherical surface)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360 오디오 역시 VR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로서, 음향 발생지가 3차원의 특정 공간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는, 공간적(Spatial) 오디오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360 컨텐츠는 생성, 처리되어 사용자들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360 컨텐츠를 이용하여 VR 경험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360도 비디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360도 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 비디오가 캡처될 수 있다. 캡처된 360도 비디오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전송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시 원래의 360도 비디오로 가공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60도 비디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의 과정은 캡처 과정(process), 준비 과정, 전송 과정, 프로세싱 과정, 렌더링 과정 및/또는 피드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캡처 과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복수개의 시점 각각에 대한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캡처 과정에 의해 도시된 도 1의 (110)과 같은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110)의 각 평면은 각 시점에 대한 이미지/비디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캡처된 복수개의 이미지/비디오를 로(raw) 데이터라 할 수도 있다. 캡처 과정에서 캡처와 관련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캡처를 위하여 VR 을 위한 특수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된 가상의 공간에 대한 360도 비디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실제 카메라를 통한 캡처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순히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해당 캡처 과정이 갈음될 수 있다.
준비 과정은 캡처된 이미지/비디오 및 캡처 과정에서 발생한 메타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는 이 준비 과정에서,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 및/또는 인코딩 과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이미지/비디오가 스티칭(Stitching)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은 각각의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이미지/비디오 또는 구형의 이미지/비디오를 만드는 과정일 수 있다.
이 후, 스티칭된 이미지/비디오는 프로젝션(Projection) 과정을 거칠 수 있다. 프로젝션 과정에서, 스티칭된 이미지/비디오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2D 이미지는 문맥에 따라 2D 이미지 프레임으로 불릴 수도 있다. 2D 이미지로 프로젝션하는 것을 2D 이미지로 맵핑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는 도시된 도 1의 (120)과 같은 2D 이미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딩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하여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거칠 수 있다. 리전별 패킹이란,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Region) 별로 나누어 처리를 가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리전(Region)이란,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프로젝션된 2D 이미지가 나누어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리전들은, 실시예에 따라, 2D 이미지를 균등하게 나누어 구분되거나, 임의로 나누어져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리전들은,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으로써, 준비 과정에서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비디오 코딩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각 리전을 회전한다거나 2D 이미지 상에서 재배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전들을 회전하여 리전들의 특정 변들이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코딩 시의 효율이 높아지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처리 과정은, 360도 비디오상의 영역별로 레졸루션(resolution) 을 차등화하기 위하여, 특정 리전에 대한 레졸루션을 높인다거나, 낮추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영역에 해당하는 리전들은, 다른 리전들보다 레졸루션을 높게할 수 있다.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리전별 패킹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코덱을 통한 인코딩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준비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준비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티칭/프로젝션/인코딩/에디팅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비디오 데이터들의 초기 시점, 혹은 ROI (Region of Interest) 등에 관한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전송 과정은 준비 과정을 거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전송을 위해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를 마친 데이터들은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은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수신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수신측에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과정은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Re-projection) 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2D 이미지들 상에 프로젝션되어 있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으로 리-프로젝션될 수 있다. 이 과정을 문맥에 따라 맵핑, 프로젝션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이 때 맵핑되는 3D 공간은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모델에는 구형(Sphere), 큐브(Cube), 실린더(Cylinder) 또는 피라미드(Pyramid) 가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과정은 부가적으로 에디팅(editing) 과정, 업 스케일링(up scaling)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에디팅 과정에서 리-프로젝션 전후의 이미지/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편집 등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비디오 데이터가 축소되어 있는 경우 업 스케일링 과정에서 샘플들의 업 스케일링을 통해 그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다운 스케일링을 통해 사이즈를 축소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
렌더링 과정은 3D 공간상에 리-프로젝션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표현에 따라 리-프로젝션과 렌더링을 합쳐 3D 모델 상에 렌더링한다 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3D 모델 상에 리-프로젝션된 (또는 3D 모델 상으로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는 도시된 도 1의 (130)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130)은 구형(Sphere) 의 3D 모델에 리-프로젝션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이미지/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게되는 영역은 도시된 도 1의 (140)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은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피드백 정보들을 송신측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피드백 과정을 통해 360도 비디오 소비에 있어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에서 헤드 오리엔테이션(Head Orientation) 정보,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뷰포트(Viewport) 정보 등이 송신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VR 환경 상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 상호작용과 관련된 정보가 피드백 과정에서 송신측 내지 서비스 프로바이더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과정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각도,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현재 360도 비디오 내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 즉 뷰포트 정보가 계산될 수 있다.
뷰포트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이즈 분석(Gaze Analysis) 이 수행되어,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360도 비디오를 소비하는지, 360도 비디오의 어느 영역을 얼마나 응시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게이즈 분석은 수신측에서 수행되어 송신측으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VR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방향, 장치가 지원하는 수직(vertical) 혹은 수평(horizontal) FOV(Field Of View) 정보 등에 근거하여 뷰포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 뿐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측의 디코딩, 리-프로젝션, 렌더링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및/또는 뷰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360도 비디오만 우선적으로 디코딩 및 렌더링될 수도 있다.
여기서 뷰포트(viewport) 내지 뷰포트 영역이란,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시점(viewpoint) 는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지점으로서, 뷰포트 영역의 정중앙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뷰포트는 시점을 중심으로 한 영역인데, 그 영역이 차지하는 크기 형태 등은 후술할 FOV(Field Of View)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 내에서, 캡처/프로젝션/인코딩/전송/디코딩/리-프로젝션/렌더링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을 360도 비디오 데이터라 부를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라는 용어는 또한 이러한 이미지/비디오 데이터들과 관련되는 메타데이터 내지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쓰일 수도 있다.
상술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미디어 파일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파일은 ISO BMFF (ISO base media file format)를 기반으로 한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box)는 미디어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 내지 오브젝트일 수 있다. 박스들은 서로 계층적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들이 분류되어 미디어 파일이 대용량 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전송에 적합한 형태를 띄게 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파일은,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의 특정지점으로 이동하는 등, 미디어 정보에 접근하는데 있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ftyp 박스, moov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ftyp 박스(파일 타입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대한 파일 타입 또는 호환성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typ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구성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호기는 ftyp 박스를 참조하여 해당 미디어 파일을 구분할 수 있다.
moov 박스(무비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박스일 수 있다. moov 박스는 모든 메타 데이터들을 위한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moov 박스는 메타 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moov 박스는 미디어 파일 내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 는 해당 미디어 파일의 실제 미디어 데이터들을 담는 박스일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들은 오디오 샘플 및/또는 비디오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mdat 박스는 이러한 미디어 샘플들을 담는 컨테이너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v 박스는 mvhd 박스, trak 박스 및/또는 mvex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vhd 박스(무비 헤더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포함되는 미디어 데이터의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mvhd 박스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미디어 생성시간, 변경시간, 시간규격, 기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트랙 박스)는 해당 미디어 데이터의 트랙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오디오 트랙 또는 비디오 트랙에 대한 스트림 관련 정보, 프리젠테이션 관련 정보, 액세스 관련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트랙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trak 박스는 실시예에 따라 tkhd 박스(트랙 헤더 박스)를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trak 박스가 나타내는 해당 트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khd 박스는 해당 트랙의 생성시간, 변경시간, 트랙 식별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vex 박스(무비 익스텐드 박스)는 해당 미디어 파일에 후술할 moof 박스가 있을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특정 트랙의 모든 미디어 샘플들을 알기 위해서, moof 박스들이 스캔되어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파일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질 수 있다(200). 이를 통해 미디어 파일이 분할되어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미디어 파일의 미디어 데이터들(mdat 박스)은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프래그먼트는 moof 박스와 나뉘어진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래그먼트들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의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moof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moo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의 메타데이터 관련 박스들 중 최상위 계층의 박스일 수 있다.
mdat 박스(미디어 데이터 박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mdat 박스는 각각의 해당 프래그먼트에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들의 미디어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moof 박스는 mfhd 박스 및/또는 traf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무비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분할된 복수개의 프래그먼트들 간의 연관성과 관련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mfhd 박스는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 를 포함하여, 해당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가 분할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mfhd 박스를 이용하여 분할된 데이터 중 누락된 것은 없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traf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프래그먼트에 포함되는 분할된 트랙 프래그먼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내의 미디어 샘플들이 복호화/재생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traf 박스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traf 박스는 tfhd 박스 및/또는 trun 박스 등을 하위 박스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의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fhd 박스는 전술한 traf 박스가 나타내는 트랙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샘플들에 대하여, 기본적인 샘플크기, 기간, 오프셋, 식별자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run 박스(트랙 프래그먼트 런 박스)는 해당 트랙 프래그먼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run 박스는 미디어 샘플별 기간, 크기, 재생시점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미디어 파일 내지 미디어 파일의 프래그먼트들은 세그먼트들로 처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세그먼트에는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 및/또는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 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210)의 파일은, 미디어 데이터는 제외하고 미디어 디코더의 초기화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초기화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초기화 세그먼트는 전술한 ftyp 박스 및/또는 moov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220)의 파일은, 전술한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이 파일은 예를 들어 전술한 미디어 세그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미디어 세그먼트는 전술한 moof 박스 및/또는 mdat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세그먼트는 styp 박스 및/또는 sidx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typ 박스(세그먼트 타입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의 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yp 박스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해, 전술한 ftyp 박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typ 박스는 ftyp 박스와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sidx 박스(세그먼트 인덱스 박스) 는 분할된 프래그먼트에 대한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분할된 프래그먼트가 몇번째 프래그먼트인지가 지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230) ssix 박스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ssix 박스(서브 세그먼트 인덱스 박스)는 세그먼트가 서브 세그먼트로 더 나뉘어지는 경우에 있어, 그 서브 세그먼트의 인덱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파일 내의 박스들은, 도시된 실시예(250)와 같은 박스 내지 풀 박스(FullBox) 형태를 기반으로, 더 확장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size 필드, largesize 필드는 해당 박스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version 필드는 해당 박스 포맷의 버전을 나타낼 수 있다. Type 필드는 해당 박스의 타입 내지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flags 필드는 해당 박스와 관련된 플래그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에 대한 필드(속성)들은 DASH 기반 적응형(Adaptive) 스트리밍 모델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의 전반적인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400)에 따른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은, HTTP 서버와 DASH 클라이언트 간의 동작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는, HTTP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스트리밍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V 컨텐츠 재생이 끊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먼저 DASH 클라이언트는 MPD를 획득할 수 있다. MPD 는 HTTP 서버 등의 서비스 프로바이더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MPD 에 기술된 세그먼트에의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 해당 세그먼트들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요청은 네트워크 상태를 반영하여 수행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해당 세그먼트를 획득한 후, 이를 미디어 엔진에서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는 재생 시간 및/또는 네트워크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필요한 세그먼트를 요청, 획득할 수 있다(Adaptive Streaming). 이를 통해 컨텐츠가 끊김없이 재생될 수 있다.
MP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는 DASH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세그먼트를 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XML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DASH Client Controller) 는 네트워크 상황을 반영하여 MPD 및/또는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컨트롤러는 획득된 정보를 미디어 엔진 등등의 내부 블록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MPD 파서(Parser) 는 획득한 MPD 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DASH 클라이언트 컨트롤러는 필요한 세그먼트를 획득할 수 있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세그먼트 파서(Parser) 는 획득한 세그먼트를 실시간으로 파싱할 수 있다. 세그먼트에 포함된 정보들에 따라 미디어 엔진 등의 내부 블록들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HTTP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 등을 HTTP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HTTP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획득한 MPD 및/또는 세그먼트들을 MPD 파서 또는 세그먼트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미디어 엔진(Media Engine) 은 세그먼트에 포함된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MPD 의 정보들이 활용될 수 있다.
DASH 데이터 모델은 계층적 구조(410)를 가질 수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MPD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MPD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를 만드는 복수개의 구간(Period)들의 시간적인 시퀀스를 기술할 수 있다. 피리오드는 미디어 컨텐츠의 한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한 구간에서, 데이터들은 어댑테이션 셋들에 포함될 수 있다. 어댑테이션 셋은 서로 교환될 수 있는 복수개의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어댑테이션은 레프리젠테이션들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미디어 컨텐츠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한 레프리젠테이션 내에서, 컨텐츠는 복수개의 세그먼트들로 시간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는 적절한 접근성과 전달(delivery)를 위함일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접근하기 위해서 각 세그먼트의 URL 이 제공될 수 있다.
MPD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고, 피리오드 엘레멘트, 어댑테이션 셋 엘레멘트,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각각 해당 피리오드,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서브 레프리젠테이션들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엘레멘트는 해당 서브 레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공통(Common) 속성/엘레멘트들이 정의될 수 있는데, 이 들은 어댑테이션 셋, 레프리젠테이션, 서브 레프리젠테이션 등에 적용될 수 (포함될 수) 있다. 공통 속성/엘레멘트 중에는 에센셜 프로퍼티(EssentialProperty) 및/또는 서플멘탈 프로퍼티(SupplementalProperty) 가 있을 수 있다.
에센셜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서플멘탈 프로퍼티는 해당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관련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도 있는 엘레멘트들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후술할 디스크립터들은, MPD 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에센셜 프로퍼티 및/또는 서플멘탈 프로퍼티 내에 정의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술한 준비 과정 내지 전송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입력부, 스티처(Stitcher),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메타데이터 처리부,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전송 처리부 및/또는 전송부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캡처된 각 시점별 이미지/비디오 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시점별 이미지/비디오 들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는 캡처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는 입력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을 스티처로 전달하고, 캡처 과정의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캡처된 시점별 이미지/비디오들에 대한 스티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젝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처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스티칭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스티처는 스티칭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의 메타데이터에는 스티칭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스티칭 타입 등의 정보들이 있을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다양한 스킴(scheme)에 따라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각 시점별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해당 뎁스(depth)를 고려하여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프로젝션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프로젝션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프로젝션 스킴의 종류 등이 있을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리전별 패킹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별로 나누고, 각 리전들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각 리전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전별 패킹 과정은 선택적(optional) 과정이며, 리전별 패킹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생략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리전별 패킹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리전별 패킹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리전별 패킹 과정에서 발생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리전별 패킹 처리부의 메타데이터에는 각 리전의 회전 정도, 사이즈 등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캡처 과정, 스티칭 과정, 프로젝션 과정, 리전별 패킹 과정, 인코딩 과정, 인캡슐레이션 과정 및/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이러한 메타데이터들을 이용하여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 시그널링 문맥에 따라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시그널링 정보라 불릴 수도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획득하거나 생성한 메타데이터들을 필요에 따라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에 전달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수신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리전별 패킹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다양한 포맷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등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여기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것일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들을 ISOBMFF, C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기타 DASH 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실시예에 따라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360 관련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ISOBMFF 파일 포맷 상의 다양한 레벨의 박스(box)에 포함되거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내의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 자체를 파일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파일 포맷에 따라 인캡슐레이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에는 방송망을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송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 처리부로부터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아, 이 것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전송부는 전송 처리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는 방송망을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한 전송을 위한 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기 전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형태는 ISOBMFF 등의 파일 형태일 수 있다. 실시간으로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저장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온 디맨드, NRT (Non Real Time), 브로드밴드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에는 인캡슐레이션된 360 데이터가 데이터 저장부에 일정 기간 저장되었다가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스티처, 프로젝션 처리부, 리전별 패킹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 메타데이터 처리부 및/또는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드백 정보는 메타데이터 처리부에 일단 전달된 후, 다시 각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를 전달받은 내부 엘레먼트들은 이 후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피드백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리전별 패킹 처리부는 각 리전을 회전하여 2D 이미지 상에 맵핑할 수 있다. 이 때 각 리전들은 서로 다른 방향,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되어 2D 이미지 상에 맵핑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서 프로젝션 전에 인접했던 부분, 스티칭된 부분 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리전의 회전에 관한 정보들, 즉 회전 방향, 각도 등은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 인코더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특정 리전은 높은 퀄리티로, 다른 리전은 낮은 퀄리티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하여, 데이터 인코더가 리전별 차등화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데이터 인코더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인코더는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퀄리티(UHD 등) 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송 처리부는 각 리전 별로 다르게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리전 별로 다른 전송 파라미터(모듈레이션 오더, 코드 레이트 등)를 적용하여, 각 리전 별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강건성(robustenss)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때,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하여, 전송 처리부가 리전별 차등화된 전송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수신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뷰포트 정보를 전송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송 처리부는 해당 뷰포트 정보가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리전들에 대해 다른 리전들보다 더 높은 강건성을 가지도록 전송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프로세싱 과정 및/또는 렌더링 과정에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부, 수신 처리부,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메타데이터 파서,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그널링 파서는 메타데이터 파서라고 불릴 수 있다.
수신부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가 전송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되는 채널에 따라 수신부는 방송망을 통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브로드밴드를 통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 처리부는 수신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송측에서 전송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 것에 대응되도록, 수신 처리부는 전술한 전송 처리부의 역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는 획득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하고, 획득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시그널링 테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수신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파일 형태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ISOBMFF 등에 따른 파일들을 디캡슐레이션하여, 360도 비디오 데이터 내지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데이터 디코더로, 획득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할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가 획득하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파일 포맷 내의 박스 혹은 트랙 형태일 수 있다.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는 필요한 경우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캡슐레이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디코더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디코딩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데이터 디코딩 과정에서 획득된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파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에 대한 파싱/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파서는 획득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로 전달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디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리-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 있다. 3D 공간은 사용되는 3D 모델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사용되는 3D 모델의 타입 및 그 세부 정보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 파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프로젝션 처리부는 리-프로젝션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3D 공간 상의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만을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할 수도 있다.
렌더러는 리-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는데, 이처럼 두 과정이 한번에 일어나는 경우 리-프로젝션 처리부와 렌더러는 통합되어, 렌더러에서 이 과정들이 모두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렌더러는 사용자의 시점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보고 있는 부분만을 렌더링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VR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렌더링된 360도 비디오의 일부 영역을 볼 수 있다. VR 디스플레이는 360도 비디오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tethered), 별도의 장치로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un-tethered).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내/외부 엘레멘트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및/또는 VR 디스플레이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뷰포트 정보,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게이즈(Gaz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정보는 송신측으로 전달되는 것뿐 아니라, 수신측에서 소비될 수도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획득한 피드백 정보를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부 엘레멘트들로 전달하여, 렌더링 등의 과정에 반영되게 할 수 있다.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는 피드백 정보를 렌더러, 리-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및/또는 디캡슐레이션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러는 피드백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우선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또한 디캡슐레이션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등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 내지 보게 될 영역을 우선적으로 디캡슐레이션, 디코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엘레멘트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외부 엘레멘트들은 변경, 생략되거나 다른 엘레멘트로 대체,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부가 엘레멘트들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및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를 전송/수신하는 방법은, 각각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또는 그 장치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수신 장치, 전송/수신 방법의 각각의 실시예 및 그 내/외부 엘리멘트 각각의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 처리부의 실시예들과, 데이터 인코더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그 경우의 수만큼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실시예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렇게 조합된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한편,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다양한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션 스킴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projection_schem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ojection_scheme 필드는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맵핑된 픽처의 프로젝션 스킴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션 스킴은 프로젝션 타입이라고 나타낼 수도 있고, 상기 projection_scheme 필드는 projection_type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정방형 프로젝션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등정방형 프로젝션 스킴은 ERP(Equirectangular Projection)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projection_scheme 필드가 등정방형 프로젝션 스킴을 나타내는 경우, 구형 면 상의 (r, θ0, 0) 즉, θ = θ0, φ = 0 인 점과 2D 이미지의 중앙 픽셀이 맵핑될 수 있다. 또한, 앞면 카메라(front camera)의 주점(principal point)를 구형 면의 (r, 0, 0) 지점으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φ0 = 0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XY 좌표계로 변환된 값 (x, y) 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하여 2D 이미지 상에 (X, Y) 픽셀로 변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2D 이미지의 좌상단 픽셀을 XY 좌표계의 (0,0)에 위치시키는 경우, x축에 대한 오프셋 값 및 y축에 대한 오프셋 값은 다음의 수학식을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2
이를 이용하여 상술한 수학식 3에 나타낸 XY 좌표계로의 변환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3
예를 들어 θ0 =0 인 경우, 즉 2D 이미지의 중앙 픽셀이 구형 면 상의 θ=0 인 데이터를 가리키는 경우, 구형 면은 (0,0)을 기준으로 2D 이미지 상에서 가로길이(width) = 2Kxπr 이고 세로길이(height) = Kxπr 인 영역에 매핑될 수 있다. 구형 면 상에서 φ = π/2 인 데이터는 2D 이미지 상의 윗쪽 변 전체에 매핑될 수 있다. 또한, 구형 면 상에서 (r, π/2, 0) 인 데이터는 2D 이미지 상의 (3πKxr/2, πKx r/2) 인 점에 매핑될 수 있다.
수신 측에서는, 2D 이미지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구형 면 상으로 리-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를 변환식으로 쓰면 다음의 수학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4
예를 들어 2D 이미지 상에서 XY 좌표값이 (Kxπr, 0) 인 픽셀은 구형 면 상의 θ = θ0, φ = π/2 인 점으로 리-프로젝션될 수 있다.
등정방형 프로젝션 스킴이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center_theta 필드는 θ0 값과 같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큐빅 프로젝션(Cubic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큐빅 프로젝션 스킴은 CMP(cube map projection)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큐브(Cube, 정육면체) 형태로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큐브의 각 면에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형 프로젝션(Cylindrical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고 가정할 때,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실린더(Cylinder) 형태로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실린더의 옆면(side)과 윗면(top), 바닥면(bottom) 에 각각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타일-기반(Tile-based) 프로젝션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타일-기반(Tile-based) 프로젝션 스킴이 쓰이는 경우, 전술한 프로젝션 처리부는 구형 면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으로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상기 세부 영역은 타일이라고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피라미드 프로젝션(Pyramid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구형의 면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고 가정할 때, 프로젝션 처리부는 이러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피라미드 형태로 보고, 각 면을 나누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구형의 면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피라미드의 바닥면(front), 피라미드의 4방향의 옆면(Left top, Left bottom, Right top, Right bottom) 에 각각 대응되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은 정면을 바라보는 카메라가 획득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파노라믹 프로젝션(Panoramic Projection) 스킴을 이용하여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파노라믹 프로젝션 스킴이 사용되는 경우, 전술한 프로젝션 처리부는, 구형 면 상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 중 옆면 만을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는 실린더형 프로젝션 스킴에서 윗면(top)과 바닥면(bottom)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같을 수 있다. panorama_height 필드는 프로젝션시 적용된 파노라마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젝션 스킴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상기 projection_scheme 필드가 프로젝션 스킴이 파노라믹 프로젝션 스킴임을 지시하는 경우, panorama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칭없이 프로젝션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projection_scheme 필드는 스티칭없이 프로젝션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스티칭없이 프로젝션되는 경우, 전술한 프로젝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티칭은 수행되지 않고, 카메라에서 획득된 각각의 이미지들이 그대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두 개의 이미지가 2D 이미지 상에 스티칭없이 프로젝션될 수 있다. 각 이미지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 에서 각 센서를 통해 획득한 어안(fish-eye) 이미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 카메라 센서들로부터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스티칭할 수 있고, 스티칭된 이미지 데이터를 구형 면(spherical surface) 상에 맵핑하여 구형 비디오(spherical video), 즉, 360도 비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다.
도 7은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아키텍처에 의하여 360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360 컨텐츠는 파일 형태로 제공되거나, DASH 등과 같이 세그먼트(segment) 기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360 컨텐츠는 VR 컨텐츠로 불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360 오디오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Acquisition).
360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프리-프로세싱 과정(Audio Preprocessing), 오디오 인코딩 과정(Audio encoding)을 거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오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오디오와 오디오 관련 메타데이터는 전송을 위한 처리(file/segment encapsulation)를 거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스티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스티칭을 수행할 수 있다(Visual stitching). 이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고 수신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프로젝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할 수 있다(Projection and mapping(packing)). 프로젝션 처리부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Input Images)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 경우, 스티칭 및 프로젝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 과정은 구체적으로 스티칭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 상으로 프로젝션하고,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2D 이미지 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과정을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2D 이미지 상으로 프로젝션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3D 공간은 구(sphere) 또는 큐브(cube) 등일 수 있다. 이 3D 공간은 수신측에서 리-프로젝션에 사용되는 3D 공간과 같을 수도 있다.
2D 이미지는 프로젝션된 프레임(Projected frame) 또는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라고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D 이미지에 리전별 패킹(Region-wise packing) 과정이 선택적으로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각 리전(Region)의 위치, 형태, 크기를 지시함으로써, 상기 2D 이미지 상의 리전들이 패킹된 프레임(packed frame) 상으로 매핑될 수 있다. 상기 패킹된 프레임은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된 프레임에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젝션된 프레임은 상기 패킹된 프레임과 같을 수 있다. 리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로젝션 과정 및 리전별 패킹 과정을,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각 리전들이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설계에 따라,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중간 과정 없이 패킹된 프레임(packed frame)으로 바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패킹된 프레임은 이미지 인코딩 내지 비디오 인코딩될 수 있다. 한편, 같은 360도 비디오 컨텐츠라도 시점(viewpoints)별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컨텐츠의 각 시점별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서로 다른 비트 스트림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인캡슐레이션 처리부에 의해 ISOBM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인캡슐레이션 처리부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세그먼트들로 처리할 수 있다. 세그먼트들은 DASH 에 기반한 전송을 위한 개별 트랙에 포함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와 함께, 전술한 것과 같이 360도 비디오 관련 메타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 혹은 파일 포맷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 메타데이터는 인코딩 과정이나 파일 포맷 인캡슐레이션, 전송을 위한 처리 등과 같은 과정에도 쓰일 수 있다.
360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는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을 위한 처리를 거치고, 이후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이를 방송망 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헤드폰(Loudspeakers/headphones), 디스플레이(Display),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Head/eye tracking) 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외부 장치 내지 VR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스피커/헤드폰,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 상기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는 전술한 수신측 피드백 처리부에 해당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360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에 수신을 위한 처리(File/segment decapsu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360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디코딩(Audio decoding), 오디오 렌더링(Audio rendering) 과정을 거쳐 스피커/헤드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이미지 디코딩 내지 비디오 디코딩, 렌더링(Visual rendering)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VR 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거나 일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더링 과정은 구체적으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리-프로젝션되고, 리-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헤드/아이 트랙킹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헤드 오리엔테이션 정보, 게이즈 정보, 뷰포트(Viewport) 정보 등을 획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수신측에서는 전술한 수신측 과정들과 통신하는 VR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과 같이 3차원 공간에서 연속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2D 이미지의 리전에 맵핑되는 경우, 상기 2D 이미지의 리전별로 코딩되어 수신측에 전달될 수 있고, 이에, 상기 2D 이미지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다시 3차원 공간으로 렌더링되면 각 리전의 코딩 처리의 차이로 인하여 3차원 공간에 리전들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공간에 상기 리전들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는 문제는 경계 오류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경계 오류는 사용자의 가상 현실에 대한 몰입감을 저하시키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계 오류를 해소시키기 위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및 그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다.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경계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인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들과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샘플들의 블렌딩(blending) 과정과,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들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의 샘플들로 대체되는 대체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에 인접한 리전에 대한 디코딩 과정없이 뷰포트를 확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패킹된 프레임은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프레임 내 대상 리전의 경계(boundary)에 인접한 영역으로,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오프셋 영역)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360도 비디오. 상기 RAI 영역은 오프셋 영역 또는 가드 밴드(guard band)라고 불릴 수도 있다.
상기 RAI 영역을 고려하여 획득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재구성, 전송 및 재생성하여 최종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RAI 영역이 고려된 360도 비디오 제공을 위한 전체 아키텍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고,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생성된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리전별 패킹(region-wise packing)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Region) 별로 나누는 처리 과정(region decomposition)이 수행될 수 있고, 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이 추가되는 과정(guard band inser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로 변환될 수 있는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리전별로 크기를 조정하여 리전별로 퀄리티(quality)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 수행되어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가 도출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전별 양자화 파라미터를 통하여 리전별로 퀄리티가 변경될 수 있다. 인코딩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획득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된 패킹된 픽처에 대하여 리전별 언패킹(region-wise unpacking)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코딩된 패킹된 픽처에 대하여 리전별 언패킹(region-wise unpacking)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하여 리전별 역변환 과정(region-wise inverse transform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리전의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된 패킹된 픽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스티칭(Stitching)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스티칭 과정은 각각의 캡처된 이미지/비디오들, 즉, 상기 패킹된 픽처의 리전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픽처로 만드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서 이미 스티칭 과정이 수행된 경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스티칭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리전별 역변환 과정을 통하여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로 복원(recovered)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리전별 역변환 과정 및 상기 스티칭 과정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복원된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region boundary enhancement)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은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대상 리전의 대상 샘플과 대응하는 RAI 영역 내 샘플의 샘플값과 상기 대상 샘플의 샘플값을 보간하여 새로운 샘플값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새로운 샘플값을 상기 대상 샘플의 샘플값으로 도출하는 블렌딩(blending) 과정 및 상기 대상 리전의 대상 샘플의 샘플값을 상기 대상 샘플과 대응하는 상기 RAI 영역 내 샘플의 샘플값으로 대체하는 대체(replacement)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대상 리전 내 (x, y) 위치의 샘플에 대하여, 상기 샘플의 기존의 샘플값, 상기 샘플과 대응하는 RAI 영역의 샘플의 샘플값 및 상기 RAI 영역의 샘플과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사이의 거리 d 를 적용한 단조 증가 함수 alpha(x)[0:1]를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샘플값이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조 증가 함수 alpha(x)[0:1]는 가중치 함수라고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경계에 가까울수록 상기 RAI 영역의 리전별 추가 정보(상기 RAI 영역의 샘플의 샘플값)가 사용되고,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질수록 기존의 정보, 즉, 상기 대상 리전의 정보(상기 대상 리전 내 (x, y) 위치의 샘플의 기존 샘플값)를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자연스럽게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렌딩 과정이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x, y) 위치의 샘플의 새로운 샘플값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output[x][y]는 상기 대상 리전 내 상기 (x, y) 위치의 샘플의 새로운 샘플값을 나타낼 수 있고, input[x][y]는 상기 대상 리전 내 상기 (x, y) 위치의 샘플의 기존 샘플값을 나타낼 수 있고, RAI[x][y]는 상기 (x, y) 위치의 샘플과 대응하는 상기 RAI 영역 내 샘플의 샘플값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RAI 영역에 대한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이고, 즉, 상기 RAI 영역이 영상 화질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영역이고, 상기 RAI 영역에 대한 rai_delta_QP 필드가 주어지는 경우, 상기 새로운 샘플값을 도출하기 위한 가중치 함수는 경계로부터의 거리 및 경계의 QP(quantization parameter)와의 차이에 대한 함수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 내 상기 (x, y) 위치의 샘플의 새로운 샘플값은 다음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 및 rai_delta_QP 필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Figure pct00006
한편, 상기 대체 과정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RAI 영역에 의해 주어진 정보가 일정 범위까지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과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형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을 붙여 렌더링할 때, 상기 RAI 영역과 겹치는 상기 대상 리전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RAI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과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형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 간 화질 차이가 있고, 상기 RAI 영역이 점진적으로 화질 변화가 이뤄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가 그대로 렌더링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된 프로젝션된 픽처는 상기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을 통하여 향상된 프로젝션된 픽처로 도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의 발생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향상된 프로젝션된 픽처는 3D 공간 상에 맵핑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3D 공간 상에 렌더링된다고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된 뷰포트(Viewport)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뷰포트 이미지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뷰포트 이미지는 뷰포트라고 불릴 수도 있다. 뷰포트 메타데이터는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인코딩된 영상 중 전체가 아닌 일부 영상만이 디코딩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수신부가 구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획득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코딩된 패킹된 픽처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리전별 언패킹(region-wise unpacking)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딩된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뷰포트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리전이 선택될 수 있다. 뷰포트 메타데이터는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대상 리전은 상기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RAI 영역도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에 대한 역변환(inverse transform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리전의 변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고, 상기 변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과 다른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의 변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의 변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AI 영역에 대한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에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region boundary enhancement)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은 상술한 블렌딩(blending) 과정 및 대체(replacement)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을 통하여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의 발생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을 포함한 뷰포트 이미지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복수의 서브 픽처(sub-picture)들로 나뉘어 패킹될 수 있고, 상기 패킹된 서브 픽처들 각각 인코딩되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픽처는 독립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는 영상 단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서브 픽처는 타일(tile),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 또는 리전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리전(Region) 별로 나누는 처리 과정(region decomposition)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로 변환될 수 있는바,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리전별로 크기를 조정하여 리전별로 퀄리티(quality)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 픽처는 복수의 서브 픽처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픽처들은 상기 프로젝션 픽처의 리전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서브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이 수행될 수 있고, 각 서브 픽처는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획득된 상기 각 서브 픽처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서브 픽처에 대한 역변환(inverse transform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각 서브 픽처의 변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고, 상기 변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서브 픽처에 대한 역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역변환된 상기 서브 픽처들은 복원된 프로젝션된 픽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서브 픽처 composition 과정이라고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픽처들은 하나의 픽처로 병합될 수 있고, 상기 픽처는 복원된 프로젝션된 픽처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원된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region boundary enhancement)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을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서브 픽처로 뷰포트 메타데이터에서 지정하는 영역이 커버(cover)되는 경우, 즉, 상기 뷰포트 메타데이터에서 지정하는 영역이 상기 하나의 서브 픽처에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서브 픽처 composition 과정 및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상된 프로젝션된 픽처는 3D 공간 상에 맵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뷰포트(Viewport)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뷰포트 이미지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뷰포트 메타데이터는 현재 사용자가 360도 비디오에서 보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뷰포트 메타데이터가 지정하는 뷰포트 이미지가 하나의 서브 픽처 및 상기 서브 픽처에 대한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의 조합을 기반으로 생성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rai_present_flag 의 값이 1 인 경우, 상술한 복수의 서브 픽처에 대한 리전 경계 인핸스먼트 과정없이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 영상이 생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코딩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ai_present_flag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정보, 상기 서브 픽처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이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상기 rai_present_flag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복수의 리전들로 나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다음과 같은 신텍스를 통하여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HEVC의 SEI message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비디오 레벨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고, 이 경우, VPS, SPS 또는 PPS 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PS, 상기 SPS 또는 상기 PPS 와 같은 비디오 레벨뿐 아니라 디지털 유/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레벨의 file format 등을 통해서도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동일한 정보 또는 유사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신텍스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체 영상, 즉, 상기 패킹된 픽처 전체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영상이 서브 픽처(sub-picture)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서브 픽처에 대한 RAI 영역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즉, 상기 서브 픽처에 대한 RAI 영역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서브 픽처 내 대상 리전을 기준으로 상기 RAI 영역이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경계 중 어느 경계에 인접하는지 및 상기 RAI 영역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payloadType 의 값이 특정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도 9b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9b 내지 9c를 참조하면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정보에 대한 신텍스에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별도의 신텍스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num_region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um_regions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 내 리전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num_regions 필드 대신 num_regions_minus1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um_regions_minus1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 내 리전들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target_picture_width 필드 및 target_picture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rget_picture_width 필드 및 상기 target_picture_height 필드는 최종 영상, 즉, 입력된 영상의 최종적으로 도출되는 픽처의 너비와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arget_picture_width 필드 및 상기 target_picture_height 필드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의 너비와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target_picture_width 필드 및 상기 target_picture_height 필드는 각각 proj_picture_width 필드, proj_picture_height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현재 영상, 즉, 입력된 영상의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의 너비와 높이에 대한 정보는 VPS(video parameter set), SPS(sequence parameter set) 또는 PPS(picture parameter set) 등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별도의 정보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는 rai_present_flag 필드라고 나타낼 수 있고, 또는 guard_band_flag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packing_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acking_type 필드는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에 적용된 리전별 패킹의 종류(type)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packing_type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에 적용된 리전별 패킹이 rectangular region-wise packing 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width 필드 및 rai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width 필드 및 상기 rai_height 필드는 gb_width 필드 및 gb_height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rai_width 필드 및 상기 rai_height 필드는 대상 리전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즉, 상기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_width 필드 및 상기 rai_height 필드는 전송될 수 있다. 한편, rai_width[0] 필드 및 rai_height[0]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1] 필드 및 rai_height[1]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2] 필드 및 rai_height[2]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3] 필드 및 rai_height[3]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rai_width[i][0] 필드 및 rai_height[i][0]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또는 서브 픽처)의 i 번째 리전의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i][1] 필드 및 rai_height[i][1] 필드는 상기 i 번째 리전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i][2] 필드 및 rai_height[i][2] 필드는 상기 i 번째 리전의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rai_width[i][3] 필드 및 rai_height[i][3] 필드는 상기 i 번째 리전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대상 리전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rai_width[1] 필드 및 rai_height[1] 필드가 전송될 수 있고, 상기 rai_width[1] 필드 및 rai_height[1] 필드는 상기 RAI 영역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rai_height[1]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이와 동일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대상 리전과 상기 RAI 영역에 서로 다른 변환이 수행되거나 상기 RAI 영역의 높이가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이와는 다른 범위를 갖는 경우, 상기 rai_height[1]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이와 다른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의 높이는 상기 대상 리전의 중심(center)으로부터 대칭으로 상기 rai_height[1] 필드가 나타내는 값의 높이로 정의될 수 있고, 또는, 상기 RAI 영역의 좌상측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가 별도로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좌상측 지점의 위치로부터 상기 rai_height[1] 필드가 나타내는 값의 높이가 상기 RAI 영역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는 gb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인코딩/디코딩 과정에서 예측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인코딩/디코딩 과정에서 예측에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인코딩/디코딩 과정에서 예측에 사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equal_type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들이 동일한 타입의 정보들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 즉, 상기 대상 리전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들이 모두 동일한 타입의 리전별 추가 정보들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 즉, 상기 대상 리전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들이 서로 다른 타입의 리전별 추가 정보들을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의 타입은 후술하는 rai_type 필드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고, 구체적인 타입에 따른 리전별 추가 정보는 후술한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는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에 대한 RAI 영역의 변환(transformation)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RAI 영역의 대상 리전과 동일한 변환이 수행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및 좌하단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및/또는 좌하단 주변 RAI 영역이 전송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좌상단, 상기 우상단, 상기 우하단 및 상기 좌하단 주변 RAI 영역은 코너(corner) RAI 영역이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영상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및 좌하단 주변 RAI 영역이 전송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또는 파노라마 비디오(panorama video)를 제공함에 있어서 빠른 뷰포트 대응을 위하여 상기 RAI 영역을 기반으로 대상 리전의 비디오 정보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뷰포트 대응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이유로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방향의 변화에 대응하여 뷰포트 이미지를 변경하는 대응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 경계에 인접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 auxiliary information)뿐 아니라 코너(corner) 주변 영역에도 리전별 추가 정보가 전달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의 값이 1로 결정되어, 코너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영상 정보가 전달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각 코너 주변 영역, 즉, 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및 좌하단 주변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ype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코너 주변 영역들의 리전별 추가 정보의 타입도 동일할 수 있고,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각 코너 주변 영역, 즉, 좌상단, 우상단, 우하단 및 좌하단 주변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ype 필드뿐만 아니라 상기 코너 주변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ransformation 필드도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0이고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코너 주변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ype 필드 및 rai_transformation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는 대상 리전의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의 값이 1이고,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는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는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0은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extended_coverage_information 라고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center_yaw 필드, center_pitch 필드 및 center_rol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enter_yaw 필드, 상기 center_pitch 필드 및 상기 center_roll 필드는 상기 확장 영역의 3D 공간, 예를 들어 구형면 상에서의 중점(center)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형면(spherical surface) 상의 각 점의 위치는 비행기 주축 개념(Aircraft Principal Axes)을 기반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을 이루는 축을 각각 피치(pitch) 축, 요(yaw) 축 및 롤(roll) 축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구형 면 상의 각 점의 위치는 피치(pitch), 요(yaw) 및 롤(roll)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 들을 줄여서 pitch, yaw, roll 내지 pitch 방향, yaw 방향, roll 방향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center_yaw 필드는 상기 확장 영역의 상기 구형면 상에서의 중점의 요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center_pitch 필드는 상기 확장 영역의 상기 구형면 상에서의 중점의 피치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center_roll 필드는 상기 확장 영역의 상기 구형면 상에서의 중점의 롤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hor_range 필드 및 ver_rang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or_range 필드 및 상기 ver_range 필드는 각각 상기 확장 영역의 수평 범위 및 수직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hor_range 필드 및 상기 ver_range 필드가 나타내는 상기 확장 영역의 수평 범위 및 수직 범위는 상기 확장 영역에 관한 대상 리전의 수평 범위 및 수직 범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한편,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상술한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정보로 생성되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는 guard_band_flag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와 구형면 상에서 연속된 정보이고,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와 구형면 상에서 연속된 정보이고,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에 후술하는 rai_type 이 2, 3 또는 4인 리전별 추가 정보, 즉, 상기 RAI 영역에 구형면 상 상기 대상 리전의 인접 리전의 영상(예를 들어 360도 비디오 데이터) 일부 또는 가공된 형태를 나타내는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인접 리전에 대한 정보 전체를 수신 및 디코딩하지 않고,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 내의 비디오 정보를 통하여 뷰포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상기 뷰포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는 1로 설정되어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서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잇다. 한편,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최종 출력 영상, 즉,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의 상측 경계, 하측 경계, 좌측 경계 및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RAI 영역이 상기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의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방향, 즉, 상기 상측 경계, 상기 하측 경계, 상기 좌측 경계 및 상기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presentation_flag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를 기반으로 각 방향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의 상기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서의 사용 가능 여부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는 gb_type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는 상기 rai_type 필드에 관련된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타입에 따른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의 타입에 따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타입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에 포함된 영상의 속성, 즉,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의 속성을 나타낸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하는 샘플들에 대한 정보가 반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들이 복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1a의 (a)는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의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는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경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점진적인 화질 변화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은 높은 화질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리전과 구형면 상에서 인접한 주변 리전은 낮은 화질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의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 내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에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은 화질에서 상기 주변 리전의 낮은 화질로 점진적인 화질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3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는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경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과 동일한 화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 11a의 (b)는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3인 경우의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1a의 (b)는 상술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의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코너 주변 RAI 영역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뷰포트 플레인(viewport plain) 에 projection 된 영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에 인접한 주변 리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뷰포트 플레인은 상술한 뷰포트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뷰포트 확장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1a의 (c)는 큐빅 프로젝션 스킴이 적용된 패킹된 픽처 내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큐빅 프로젝션 스킴은 CMP(cube map projection) 라고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1a의 (c)는 상술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의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코너 주변 RAI 영역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5인 경우, 상기 rai_type 필드는 3차원 공간(예를 들어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하는 주변 리전의 경계의 RAI 영역과 동일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RAI 영역에 포함됨을 가리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는 패킹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인접하는 경계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3차원 공간은 상기 패킹된 픽처에 적용된 프로젝션 스킴에 대한 3D 프로젝션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은 직접적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지만,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정보로 3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하는 상기 주변 리전의 경계의 RAI 영역에 대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11b의 (d)는 리전들의 경계들 중 3차원 공간 상에서 인접하는 경계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공간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를 맵핑하는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하는 주변 리전은 하나로 도출될 수 있어서 상기 rai_type 필드만으로 상기 주변 리전의 RAI 영역의 존재 유무만이 시그널링될 수 있으나, 보다 명확한 정보로 상기 주변 리전의 위치, 상기 주변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사이즈 및/또는 상기 주변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화질 등의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di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dir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대상 리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어떤 방향성을 갖는 정보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dir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를 기준으로 안쪽 방향의 정보 또는 바깥쪽 방향의 정보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dir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바깥쪽 방향의 정보일 수 있고, 상기 rai_dir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안쪽 방향의 정보일 수 있고, 상기 rai_dir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안쪽 방향의 정보 및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바깥쪽 방향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계 안쪽 방향의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한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경계 바깥쪽 방향의 정보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한 주변 리전 내 특정 영역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양쪽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과 상기 주변 리전 내 특정 영역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과 상기 주변 리전 내 특정 영역이 서로 다른 비율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영상 정보와 상기 주변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영상 정보의 비율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과 상기 주변 리전 내 특정 영역이 서로 다른 너비 또는 높이를 갖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들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transform_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상기 대상 리전의 정보와 다른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대한 rai_transform_type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의 변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때, 상기 rai_transform_type에서 정의된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AI 영역이 역변환될 수 있고, 역변환된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뷰포트 이미지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나타내는 변환 정보는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과정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러링은 거울에 비춘 것과 같이 중점을 지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반전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3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5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6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7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_hor_scale 필드 및 상기 rai_ver_scale 필드는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rai_hor_scale 필드 및 상기 rai_ver_scale 필드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변환 과정의 수평 스케일링 계수 및 수직 스케일링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hor_scale 필드 및 상기 rai_ver_scale 필드는 0.01 단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스케일링 계수, 및 상기 수평 스케일링 계수는 상기 rai_transform_type을 기반으로 도출된 변환 과정이 적용되기 이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을 나타내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delta_QP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delta_QP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QP)과 3차원 공간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에 인접한 주변 리전의 QP와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주변 리전이 인접하는 경계에 관련한 RAI 영역의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는 화질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질 변화의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rai_delta_QP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상 리전과 복원 후에 3차원 공간 상에서 인접하는 주변 리전이 서로 다른 QP가 사용되어 상기 대상 리전과 상기 주변 리전 간 화질 차이가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주변 리전 사이의 QP 차이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점진적으로 QP를 변화시킨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작 QP(starting QP)와 종료 QP(end QP)에 대한 정보가 각각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시작 QP(starting QP)와 종료 QP(end QP)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기 rai_delta_QP 필드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의 QP 가 상기 시작 QP, 상기 주변 리전의 QP가 종료 QP로 설정되어 상기 RAI 영역에 QP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한 샘플들부터 점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의 샘플들은 상기 시작 QP가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서 가장 먼 위치의 상기 RAI 영역의 샘플들은 상기 종료 QP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rai_delta_QP 필드가 전송된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QP에 rai_delta_QP 필드의 값을 뺀 값이 상기 종류 QP로 도출될 수 있다. 입력 영상에 대하여 상술한 이러한 경우만이 가정되는 경우, 상기 RAI 영역의 rai_type 필드의 값이 2 인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QP를 시작 QP, 상기 주변 리전의 QP를 종료 QP로 하여 상기 RAI 영역 내 정보들의 QP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킴이 명시적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QP 이외의 화질 요소의 차이에 대한 경우, 상기 rai_delta_QP 필드는 상기 QP 이외의 다른 화질 요소에 대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quality level 및 상기 주변 리전의 quality level 사이의 차이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점진적으로 quality level를 변화시킨 영상이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시작 quality level와 종료 quality level에 대한 정보가 각각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시작 quality level와 종료 quality level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상기 rai_delta_QP 필드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uality level는 상대적인 화질을 나타내는 화질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리전의 하나의 경계에 대하여 서로 다른 특성의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RAI 영역들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RAI 영역들은 서브 RAI 영역들이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대한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의 값에 1을 더한 값이 상기 경계에 대한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rai_sub_length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대하여 서브 RAI 영역들이 생성된 경우, 각 서브 RAI 영역에 대한 rai_sub_length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각 서브 RAI 영역에 대한 rai_sub_length 필드는 상기 각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상기 대상 리전의 서브 경계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경계는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 중 상기 각 서브 RAI 영역이 인접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rai_sub_length[i][j][k] 필드는 i 번째 리전의 j 번째 경계에 대한 k 번째 서브 경계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들 중 수평 방향의 경계의 경우, 좌에서 우로의 순서로 상기 rai_sub_length 필드가 적용될 수 있고, 수직 방향의 경계의 경우, 상에서 하로의 순서로 상기 rai_sub_length 필드 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서의 상기 대상 리전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의 상기 대상 리전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정보들은 다음의 표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projected_region_width 필드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고, projected_region_height 필드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rojected_region_top 필드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샘플의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projected_region_left 필드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샘플의 x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의 변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나타내는 변환 정보는 상술한 표 1과 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변환 과정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러링은 거울에 비춘 것과 같이 중점을 지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반전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3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5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6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수평적으로 미러링(mirroring)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의 값이 7인 경우,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는 상기 대상 리전에 반시계 방향으로 270도 회전되는 변환 과정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acked_region_width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고, packed_region_height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acked_region_top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샘플의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packed_region_left 필드는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샘플의 x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의 RAI 영역들이 서로 다른 타입의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의 패킹된 픽처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12는 ERP 가 적용된 패킹된 픽처의 리전들에 대한 RAI 영역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ERP를 기반으로 프로젝션된 픽처는 quality에 따라 복수의 리전들로 나누어 코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quality 가 다른 복수의 리전들로 패킹된 픽처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중심 리전(M), 상측 리전(T) 및 하측 리전(B)이 주요 부분으로 가정되어 고화질(High Quality, HQ) 로 지정될 수 있고, 상기 리전들을 제외한 나머지 좌측 리전(L) 및 우측 리전(R)은 저화질(Low Quality, LQ)로 지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된 픽처의 각 리전에 대한 정보는 MCTS 등과 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별도의 스트림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타일링(Tiling)을 기반으로 상기 각 리전이 별도의 영역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리전들 중 필요한 리전만을 선별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어, 이를 통하여 코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HQ로 지정된 리전 및 상기 LQ로 지정된 리전이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LQ로 지정된 리전과 상기 HQ로 지정된 리전이 접한 부분에서 의도하지 않은 경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상기 경계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각 리전의 특성에 따라 도출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각 리전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는 다른 리전의 리전별 추가 정보와 다를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각 리전에 대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RAI 영역들이 도출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상기 RAI 영역들의 숫자들은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들의 타입들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들을 포함하는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rai_type 필드가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숫자는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rai_type 필드에 대한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점진적인 화질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type 필드의 값이 3인 경우,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rai_type 필드에 대한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와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정보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중심 리전에 인접한 서로 다른 타입의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RAI 영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심 리전에 대한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은 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리전에 인접한 상기 RAI 영역들은 뷰포트 생성에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중심 리전에 대한 rai_present_flag 필드의 값은 1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RAI 영역 및 중심 리전을 포함하는 부분의 코너 부분(도 12의 (b)의 대각선으로 표시된 부분), 즉, 상기 중심 리전의 코너 주변 영역에 상기 중심 리전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심 리전에 대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은 1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 주변 영역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뷰포트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 리전 및 상기 좌측 리전 사이의 RAI 영역은 HQ에서 LQ로 화질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이 어느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인지를 기반으로 상기 RAI 영역의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어떤 방향성을 갖는 정보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RAI 영역이 속하는 리전에 따라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의 방향성은 안쪽 방향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이 중심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인 경우, 상기 중심 리전의 좌측 경계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나가는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된다고 도출될 수 있다. 즉, 상기 RAI 영역의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바깥쪽 방향의 방향성을 갖는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에 대한 rai_dir 필드의 값이 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RAI 영역이 좌측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인 경우, 상기 좌측 리전의 우측 경계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들어오는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된다고 도출될 수 있다. 즉, 상기 RAI 영역의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는 안쪽 방향의 방향성을 갖는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에 대한 rai_dir 필드는 1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상측 리전과 상기 좌측 리전이 인접한 RAI 영역, 상기 상측 리전과 상기 중심 리전이 인접한 RAI 영역, 상기 상측 리전과 상기 우측 리전이 인접한 RAI 영역이 상기 상측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측 리전의 하측 경계 대하여 서로 다른 타입의 3개의 리전별 추가 정보들이 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측 리전의 상기 하측 경계에 대한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rai_type 필드를 기반으로 서브 경계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하측 경계에 대한 서브 경계들은 5개로 도출될 수 있고, 각 서브 경계에 대한 RAI 영역의 rai_type 필드는 좌에서 우의 순서로 2, 0, 3, 0, 2의 값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의 RAI 영역들을 포함하는 ERP 가 적용된 패킹된 픽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도출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RAI 영역들을 포함하는 ERP 가 적용된 패킹된 픽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a)는 상기 ERP가 360도 비디오에 대한 프로젝션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ERP를 통하여 프로젝션된 픽처를 상기 패킹된 픽처로 도출하는 방법에서 각 단계에서의 픽처를 나타낸다.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ERP를 통하여 프로젝션될 수 있고, 프로젝션된 이후,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대한 RAI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은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좌측 영역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RAI 영역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된 픽처에 대한 리전별 배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을 통하여 상측 리전(Top), 하측 리전(Bottom), 및 옆면 리전(Side)이 패킹된 픽처의 위치로 재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내에서 수평적으로(horizontally) 다운-샘플링된(down-sampled) 상기 상측 리전 및 하측 리전은 상기 패킹된 픽처내에서는 상기 옆면 리전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에서, 상기 패킹된 픽처 내 각각의 리전의 RAI 영역은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리전의 변환(transformation)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는 상기 ERP를 통하여 프로젝션된 픽처를 상기 패킹된 픽처로 도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을 포함하는 프로젝션된 픽처에 대한 리전별 배킹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리전들은 재배열될 수 있고,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대한 패킹된 픽처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c)는 상기 ERP를 통하여 프로젝션된 픽처를 상기 패킹된 픽처로 도출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상측 리전, 하측 리전, 및 옆면 리전의 좌측 경계들 및 우측 경계들에 인접한 RAI 영역들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을 통하여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리전들 및 상기 RAI 영역들이 재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RAI 영역들의 변환은 RAI 영역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측 리전 및 상기 하측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의 변환은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이 대응하는 리전의 변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들은 1/2의 수평 다운 스케일링(horizontal down-scaling)이 적용되지 않고, 1/4의 수평 다운 스케일링(horizontal down-scaling)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1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RAI 영역들은 상기 패킹된 픽처에서 더 큰 사이즈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옆면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 중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은 리전들 간의 화질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점진적인 화질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옆면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 중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에 대한 rai_type 필드의 값은 상기 옆면 리전 내 특정 영역의 정보를 그대로 포함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옆면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 중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에 대한 rai_type 필드의 값은 점진적인 화질 변화를 가짐을 나타내기 위하여 2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옆면 리전의 경계들에 대응하는 RAI 영역들은 서로 다른 타입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옆면 리전에 대한 서로 다른 타입의 RAI 영역들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상기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을 통하여 리전들 사이의 경계가 나타나는 것을 사라지게 할 수 있고, 상기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상기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을 통하여 높은 화질의 리전에서 낮은 화질의 리전으로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된 픽처 내 i번째 리전에 대한 서로 다른 타입의 RAI 영역들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되는 이미지 컨텐츠, 즉,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프로젝션된 픽처 내 i번째 리전에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내 상기 i번째 리전에 인접한 상기 영역은 대응 영역이라고 나타낼 수 있고,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소스 픽처(source picture)라고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 영역들의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텍스 요소는 다음의 표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gb_source_width[i] 는 패킹된 픽처 내 i 번째 리전의 RAI 영역과 대응하는 소스 픽처의 대응 영역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heigh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소스 픽처의 상기 대응 영역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top[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좌상단 샘플의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lef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상기 좌상단 샘플의 x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들의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텍스 요소는 다음의 표와 같이 도출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0
여기서, gb_source_type[i] 는 상기 RAI 영역의 소스 픽처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RAI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내 대응 영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나,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대응 영역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b_source_type[i] 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gb_source_type[i] 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가 상기 소스 픽처임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gb_source_type[i] 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gb_source_type[i] 는 상기 패킹된 픽처가 상기 소스 픽처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guard_band_src_flag[i]는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uard_band_src_flag[i]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gb_source_width[i], gb_source_height[i], gb_source_top[i] 및 gb_source_left[i] 가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guard_band_src_flag[i]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는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내 상기 i번째 리전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번째 리전과 같은 변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gb_source_width[i] 는 패킹된 픽처 내 i 번째 리전의 RAI 영역과 대응하는 소스 픽처의 대응 영역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heigh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소스 픽처의 상기 대응 영역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top[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좌상단 샘플의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lef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상기 좌상단 샘플의 x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gb_transform_type[i] 은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RAI 영역의 변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들의 상기 대응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텍스 요소는 다음의 표와 같이 도출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gb_src_proj_pic_flag[i] 는 상기 RAI 영역의 소스 픽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b_source_type[i] 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gb_source_type[i] 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가 상기 소스 픽처임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gb_source_type[i] 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gb_source_type[i] 는 상기 패킹된 픽처가 상기 소스 픽처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gb_types_different_flag[i] 는 상기 i번째 리전에 대한 상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하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좌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 및 우측 경계에 인접한 RAI 영역이 서로 다른 RAI 영역 타입을 가짐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b_types_different_flag[i] 값이 1인 경우, 상기 i번째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은 서로 다른 RAI 영역 타입의 RAI 영역들일 수 있고, 상기 gb_types_different_flag[i] 값이 0인 경우, 상기 i번째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들은 동일한 RAI 영역 타입의 RAI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gb_independent_transform_flag[i] 는 상기 i번째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들이 상기 i번째 리전의 변환(transformation)과 다른 변환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b_independent_transform_flag[i]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i번째 리전의 변환(transformation)과 다른 변환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고, 상기 gb_independent_transform_flag[i]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i번째 리전의 변환(transformation)과 동일한 변환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gb_transform_type[i] 은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RAI 영역의 변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gb_source_width[i] 는 패킹된 픽처 내 i 번째 리전의 RAI 영역과 대응하는 소스 픽처의 대응 영역의 너비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heigh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소스 픽처의 상기 대응 영역의 높이를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top[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좌상단 샘플의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고, gb_source_left[i] 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상기 i 번째 리전의 상기 RAI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대응 영역의 상기 좌상단 샘플의 x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리전별 패킹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사용자의 최종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내용과 같이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리전들은 서로 다른 퀄리티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불편감을 느낄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내용과 같이 포스트 프로세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포스트 프로세싱을 통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리전들 간 퀄리티 차이를 보정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리전들은 서로 다른 퀄리티의 데이터가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상기 리전들 간 퀄리티 차이를 보정하는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이 필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상기 리전들에 대하여 Spatial enhancement filter 가 적용될 수 있다. 종래 360도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리전들 각각의 상대적인 퀄리티 레벨(quality leve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정보만으로는 상기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기 포스트 프로세싱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정보에 대한 신텍스를 포함하는 박스(box)는 다음의 표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박스는 2DRegionQualityRankingBox 라고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12
여기서, quality_ranking 및 view_idc는 SphereRegionQualityRankingBox에서의 quality_ranking 및 view_idc 신텍스 요소와 동일하게 지정될 수 있다. 또한, num_regions는 2DRegionQualityRankingBox 에 포함된 퀄리티 랭킹 정보(quality ranking information)가 주어 품질 순위 정보에 대한 퀄리티 랭킹 2D 리전들(quality ranking 2D regions)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디코딩된 픽처의 샘플이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들 중 둘 이상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remaining_area_flag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들은 left_offset, top_offset, region_width 및 region_height를 기반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remaining_area_flag의 값이 1인 경우, 첫번째 퀄리티 랭킹 2D 리전 내지 num_regions - 1 번째 퀄리티 랭킹 2D 리전은 left_offset, top_offset, region_width 및 region_height로 정의되고, 마지막으로 남은 퀄리티 랭킹 2D 리전은 상기 첫번째 퀄리티 랭킹 2D 리전 내지 상기 num_regions - 1 번째 퀄리티 랭킹 2D 리전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 중 너비 및 높이가 VisualSampleEntry의 너비 및 높이와 동일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left_offset, top_offset, region_width 및 region_height는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의 위치 및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eft_offset 및 상기 top_offset은 비주얼 프리젠테이션(visual presentation) 사이즈 내 픽처 상에서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의 좌상단 샘플의 x 성분 및 y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_width 및 상기 region_height는 상기 비주얼 프리젠테이션 사이즈 내 상기 픽처 상에서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의 너비 및 높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left_offset에 상기 region_width를 더한 값은 TrackHeaderBox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top_offset에 상기 region_height를 더한 값은 상기 TrackHeaderBox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_width의 값은 0보다 크고, 상기 region_height의 값은 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num_quality_description_types는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에 대한 퀄리티 디스크립션(quality description) 유형 및 세부 사항(detail)을 나타내는 quality_description_type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um_quality_description_types의 값이 0보다 큰 경우, 퀄리티 랭킹에 대한 세부 정보(detailed information)는 quality_description_type 및 quality_description_param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 및 상기 quality_description_param 는 뷰포트 내 리전들 간 퀄리티 차이로 발생하는 아티팩트(artefact) 또는 불편감을 줄이기 위하여 렌더링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 는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을 생성 할 때 적용된 퀄리티 요소(quality factor)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은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에 spatial scaling 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에 양자화(quantization) 과정이 적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num_param은 quality_description_type과 관련된 퀄리티 차이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parameters)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num_param 의 값은 2로 도출될 수 있고,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num_param의 값은 1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quality_description_param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1인 경우, quality_description_param[i][j][0] 는 수평 스케일링 팩터(horizontal scaling factor)를 나타낼 수 있고, quality_description_param[i][j][1] 은 수직 스케일링 팩터(vertical scaling factor)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평 스케일링 팩터 및 상기 수직 스케일링 팩터는 (quality_description_param[i][j][k] + 1) / 64 로 계산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스케일링 팩터 및 상기 수직 스케일링 팩터의 범위는 1/64 내지 4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quality_description_type의 값이 2인 경우, quality_description_param[i][j][0]는 인코딩 과정에서 적용된 상기 퀄리티 랭킹 2D 리전의 양자화 파라미터(qualtization parameter, QP)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360도 비디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가 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상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SEI NAL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EI NAL 유닛은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SEI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VisualSampleEntry, AVCSampleEntry, MVCSampleEntry, SVCSampleEntry,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15는 상기 VisualSampleEntry 또는 상기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에 대한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 필드는 전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SEI NAL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 필드는 rai_sei 필드라고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VisualSampleEntry, AVCSampleEntry, MVCSampleEntry, SVCSampleEntry,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상기 VisualSampleEntry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VisualSampleEntry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rai_sei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sei 필드가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가 상기 VisualSampleEntry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VisualSampleEntry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상기 HEVCSampleEntry의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HEVCSampleEntry의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rai_sei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sei 필드가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가 상기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의 (d)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상기 HEVCSampleEntry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HEVCSampleEntry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rai_sei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_sei 필드가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가 상기 HEVCSampleEntry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HEVCSampleEntry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EIBox는 앞서 제안한 상술한 대상 리전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혹은 VUI(Video Usability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파일 포맷(file format)을 통하여 전달되는 비디오 프레임의 각 리전마다 다른 리전별 추가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OBMFF(ISO Base Media File Format) 등을 기반으로 비디오가 저장될 수 있고, 비디오 트랙(또는 비트스트림), 샘플, 혹은 샘플 그룹 등과 연관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저장 및 시그널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isual sample entry 등의 file format 상에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파일 포맷, 예를 들어 Common file format 등에도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파일 내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트랙 혹은 샘플 등과 연관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박스(box) 형태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를 나타낸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num_regions_minus1 필드, target_picture_width 필드 및 target_picture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패킹된 픽처의 리전에 대한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 및 packing_typ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패킹된 픽처의 리전에 대한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리전의 RAI 영역에 대한 rai_width 필드 및 rai_h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리전에 대한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 rai_equal_type_flag 필드,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 및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리전의 RAI 영역들에 대한 rai_type 필드 및 rai_di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리전의 상기 RAI 영역들에 대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전의 RAI 영역들에 대한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RAI 영역들에 대한 rai_delta_QP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rai_equal_type_flag 필드의 값이 1이 아닌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리전의 경계에 대한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경계에 인접한 서브 RAI 영역들에 대한 rai_sub_length 필드, rai_type 필드 및 rai_di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서브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type 필드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서브 RAI 영역들 각각에 대한 rai_delta_QP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리전의 코너 주변 RAI 영역에 대한 rai_type 필드 및 rai_di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코너 주변 RAI 영역에 대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리전 및 상기 리전에 대한 RAI 영역들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xtendedCoverageInformation 클래스는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center_yaw 필드, center_pitch 필드, center_roll 필드, hor_range 필드 및 ver_range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하나의 파일 내 비디오에 대한 비디오 트랙 혹은 샘플 등과 연관된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박스(box) 형태 등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ectRegionPacking 클래스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RectRegionPacking 클래스는 상기 패킹된 픽처 내 리전의 리전별 패킹 과정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ctRegionPacking 클래스는 상기 리전에 대한 proj_reg_width 필드, proj_reg_height 필드, proj_reg_top 필드, proj_reg_left 필드, transform_type 필드, packed_reg_width 필드, packed_reg_height 필드, packed_reg_top 필드, 및 packed_reg_lef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rwai) 클래스는 VisualSampleEntry, AVCSampleEntry, MVCSampleEntry, SVCSampleEntry 또는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VisualSampleEntry 또는 상기 HEVCSampleEntry 등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에 대한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VisualSampleEntry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OMVInformationSEIBox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VisualSampleEntry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HEVCSampleEntry의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HEVCDecoderConfigurationRecord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9의 (c)를 참조하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는 상기 HEVCSampleEntry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에 포함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상기 HEVCSampleEntry에 그대로 카피(copy)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rwai) 클래스는 타임드 메타데이터(timed metadata)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타임드 메타데이터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메타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를 상기 타임드 메타데이터로 정의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샘플들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임드 메타데이터 트랙(timed metadata track)의 MetadataSampleEntry 또는 헤더(예를 들어, moov 또는 moof 등)에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필드들에 대한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을 수 있고, 상기 필드들은 mdat 내의 모든 메타데이터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샘플들에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 도 20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ample 박스에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파일 포멧(file format) 내의 비디오 시퀀스(video sequence) 전체에 대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20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타임드 메타데이터 트랙의 상기 MetadataSampleEntry 에 상기 비디오 시퀀스 전체에 대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필드들이 상기 비디오 시퀀스 전체에 대한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를 나타내도록 의미가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 rai_equal_type_flag 필드,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 및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는 상기 비디오 시퀀스 내에 각 기능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의미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rai_width 필드, rai_height 필드, rai_hor_scale 필드, rai_ver_scale 필드에 대한 최대, 최소 값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비디오 시퀀스 내에 각 값에 대한 범위를 나타내도록 의미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num_regions_minus1 필드 및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는 상기 비디오 시퀀스 내에 각 픽처 및 각 리전에 대해 서브 경계의 수의 최대, 최소 값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를 추가적으로 시그널링함으로써 의미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packing_type 필드, rai_type 필드, rai_dir 필드, rai_transform_type 필드 및 rai_delta_QP 필드에 대해서는 상기 비디오 시퀀스 내에서 사용되는 RAI 영역들의 종류, 방향, 변환 정보가 모두 나열되도록 시그널링함으로써 의미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egionWiseAuxiliaryInformationStruct 클래스의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 rai_type 필드, rai_dir 필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delta_QP 필드에 대해서는 각 면에 대한 범위 혹은 사용된 것을 나열하도록 세분화하여 알려주도록 의미가 확장될 수 있다.
한편,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 등을 통하여 360도 비디오에 대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또는 DASH 기반 적응형 스트리밍 모델 등을 통하여 360도 비디오가 스트리밍되는 경우, 상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필드들은 DASH MPD 등에 포함된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각각의 실시예들은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로 다시 쓸 수 있다. 상기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는 에센셜 프로퍼티(EssentialProperty) 디스크립터 및 서플멘탈 프로퍼티(SupplementalProperty)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들의 필드들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는 MPD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Set),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또는 서브 레프리젠테이션(SubRepresent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클라이언트(client) 또는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등은 리전별 패킹 과정 및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필드들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필드들을 기반으로 360도 비디오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DASH 기반 디스크립터 형태로 기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a의 (21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DASH 기반 디스크립터는 @schemeIdUri 필드, @value 필드 및/또는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chemeIdUri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스킴(scheme)을 식별하기 위한 URI 를 제공할 수 있다. @value 필드는 @schemeIdUri 필드가 지시하는 스킴에 의해 그 의미가 정의되는 값(value) 들을 가질 수 있다. 즉, @value 필드는 해당 스킴에 따른 디스크립터 엘레멘트들의 값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들은 파라미터라고 불릴 수 있다. 이 들은 서로 ',' 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id 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동일한 식별자를 가지는 경우, 동일한 스킴 ID, 값(value),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의 (21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하는 디스크립터의 경우, @schemeIdURI 필드가 urn:mpeg:dash:vr:201x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해당 디스크립터가 상기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하는 디스크립터임을 식별하는 값일 수 있다.
각각의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를 전달하는 디스크립터의 @value 필드는 도시된 도 21c 내지 21f의 (2120)과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value 의 ',' 에 의해 구분되는 각각의 파라미터들은, 전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의 각각의 필드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시된 도 21c 내지 21f의 (2120)는 전술한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의 실시예를 @value 의 파라미터로 기술한 것이지만, 각 시그널링 필드들을 파라미터로 치환하여 전술한 모든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의 실시예들이 @value 의 파라미터로 기술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따른 리전별 추가 정보 관련 메타데이터는 DASH 기반의 디스크립터 형태로도 기술될 수 있다.
도시된 도 21c 내지 21f의 (2120)에서 각 파라미터들은 전술한 동명의 시그널링 필드와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M 은 해당 파라미터가 필수 파라미터(Mandatory)임을, O 는 해당 파라미터가 옵셔널 파라미터(Optional)임을, OD 는 해당 파라미터가 디폴트 값을 가지는 옵셔널 파라미터(Optional with Default)임을 의미할 수 있다. OD 인 파라미터 값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 기 정의된 디폴트 값이 해당 파라미터 값으로 쓰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OD 파라미터들의 디폴트 값이 괄호 내에 주어져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2에서 개시된 방법은 도 5에서 개시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2의 S220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데이터 입력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21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프로젝션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22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리전별 패킹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23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메타데이터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24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데이터 인코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25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전송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처리부는 전송부에 포함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S2200).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일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를 획득한다(S2210).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여러 프로젝션 스킴(projection scheme)들 중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프로젝션 스킴에 따라 2D 이미지에 프로젝션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젝션된 픽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여러 프로젝션 스킴들은 등정방형 프로젝션(Equirectangular Projection) 스킴, 큐빅 프로젝션 스킴, 실린더형 프로젝션 스킴, 타일-베이스드(Tile-based) 프로젝션 스킴, 피라미드 프로젝션 스킴, 파노라믹 프로젝션 스킴 및 스티칭 없이 바로 2D 이미지 상에 프로젝션되는 상기 특정 스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션 스킴들은 팔면체 프로젝션 스킴 및 이십면체 프로젝션 스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젝션 스킴 정보가 특정 스킴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피쉬아이(Fish-eye) 카메라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각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는 원형 이미지(circular image)일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프로젝션 스킴의 3D 프로젝션 구조의 면들을 나타내는 리전들을 포함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적용하여 패킹된 픽처를 획득한다(S2220).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리전들 각각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각 리전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 과정은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라고 불릴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을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리전별 패킹 과정이 적용된 리전을 포함하는 상기 패킹된 픽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패킹된 픽처는 패킹된 프레임(packed frame)이라고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 상에 프로젝션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리전(region) 별로 나누는 처리 과정(region decomposition)이 수행될 수 있고, 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이 추가되는 과정(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inser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AI 영역은 대상 리전에 대한 추가적인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 상에서 대상 리전의 경계(boundary)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은 가드 밴드(guard band)라고 불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는 복수의 서브 픽처(sub-picture)들로 나눠질 수 있고, 상기 서브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RAI 영역이 추가되는 과정(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insertion)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픽처는 타일(tile),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 또는 리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을 회전, 재배열하거나, 레졸루션을 변경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S2230).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술한 num_regions 필드, num_regions_minus1 필드, target_picture_width 필드, target_picture_height 필드,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 packing_type 필드, rai_width 필드, rai_height 필드,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 rai_equal_type_flag 필드,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 rai_presentation_flag 필드, rai_type 필드, rai_dir 필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hor_scale 필드, rai_ver_scale 필드, rai_delta_QP 필드,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 rai_sub_length 필드, center_yaw 필드, center_pitch 필드, center_roll 필드, hor_range 필드, ver_range 필드, projected_region_width 필드, projected_region_height 필드, projected_region_top 필드, projected_region_left 필드, packed_region_width 필드, packed_region_height 필드, packed_region_top 필드 및/또는 packed_region_lef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이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하는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하는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복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영상 정보)이되, 상기 RAI 영역의 화질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에서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화질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RAI 영역의 화질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에서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화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상기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과 동일한 화질의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영상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3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과 동일한 화질의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영상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영상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영상 정보로 사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5인 경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 리전은 상기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상기 참조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에 대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된 픽처의 프로젝션 타입이 ERP(Equirectangular Projection)이고,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복수개의 RAI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들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dir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dir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가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됨을 나타내는 경우, 즉,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적용된 변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RAI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수평 스케일링 계수 및 수직 스케일링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에 적용된 변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상기 수평 스케일링 계수 및 상기 수직 스케일링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패킹된 픽처에 상기 대상 리전의 코너(corner) RAI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또는 우하단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RAI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너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을 포함하는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 및 상기 RAI 영역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리전의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가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됨을 나타내는 경우, 즉,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중점에 대응하는 구형 면상의 위치의 요(yaw) 값, 피치(pitch) 값, 및 롤(roll)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형 면상의 상기 위치의 요(yaw) 값, 피치(pitch) 값, 및 롤(roll) 값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center_yaw 필드, 상기 center_pitch 필드, 상기 center_roll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수평 범위(horizontal range) 및 수직 범위(vertical range)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영역의 상기 수평 범위 및 상기 수직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 상기 hor_range 필드, 상기 ver_rang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의 특정 경계에 인접한 서브(sub) RAI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서브 경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상기 서브 경계는 상기 특정 경계 중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이 인접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는 SEI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Set),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또는 서브 레프리젠테이션(SubRepresentation)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EI 메시지는 2D 이미지의 디코딩 또는 2D 이미지의 3D 공간으로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보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한다(S2240).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서브 픽처들 중 선택된 서브 픽처만을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픽처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S2250).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등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인코딩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하여 ISOBMFF, CFF 등의 파일 포맷으로 인캡슐레이션하거나, 기타 DASH 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포맷 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데이터는 ISOBMFF 파일 포맷 상의 다양한 레벨의 박스(box)에 포함되거나 파일 내에서 별도의 트랙내의 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 자체를 파일로 인캡슐레이션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파일 포맷에 따라 인캡슐레이션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임의의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전송을 위한 처리에는 방송망을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 또는 브로드밴드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달을 위한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전송을 위한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송 처리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방송망 및/또는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3에서 개시된 방법은 도 6에서 개시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23의 S230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수신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31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수신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32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데이터 디코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S2330은 상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의 렌더러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2300).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방송망을 통하여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로부터 시그널링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패킹된 픽처의 서브 픽처들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패킹된 픽처의 서브 픽처들 중 하나의 서브 픽처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브로드밴드 등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저장매체를 통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된 픽처는 패킹된 프레임(packed frame)이라고 불릴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획득한다(S2310).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된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해 전송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의 전송을 위한 처리의 역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술한 num_regions 필드, num_regions_minus1 필드, target_picture_width 필드, target_picture_height 필드, region_wise_auxiliary_information_present_flag 필드, packing_type 필드, rai_width 필드, rai_height 필드, rai_not_used_for_pred_flag 필드, rai_equal_type_flag 필드,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 rai_presentation_flag 필드, rai_type 필드, rai_dir 필드, rai_transform_type 필드, rai_hor_scale 필드, rai_ver_scale 필드, rai_delta_QP 필드,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 rai_sub_length 필드, center_yaw 필드, center_pitch 필드, center_roll 필드, hor_range 필드, ver_range 필드, projected_region_width 필드, projected_region_height 필드, projected_region_top 필드, projected_region_left 필드, packed_region_width 필드, packed_region_height 필드, packed_region_top 필드 및/또는 packed_region_lef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들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의 타입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지정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이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하는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포함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하는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RAI 영역과 인접한 상기 대상 리전의 경계에 위치한 샘플들에 맵핑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복사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영상 정보)이되, 상기 RAI 영역의 화질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에서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화질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2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RAI 영역의 화질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에서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되는 화질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경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상기 리전의 화질로 점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과 동일한 화질의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영상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3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화질과 동일한 화질의 상기 대상 리전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영상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영상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영상 정보로 사용됨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5인 경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 리전은 상기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하는 리전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은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상기 참조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에 대한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된 픽처의 프로젝션 타입이 ERP(Equirectangular Projection)이고,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복수개의 RAI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equal_type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들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dir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들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dir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transform information)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transformation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가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시그널링된다고 나타내는 경우, 즉,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적용된 변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RAI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수평 스케일링 계수 및 수직 스케일링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I 영역에 적용된 변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RAI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 상기 수평 스케일링 계수 및 상기 수직 스케일링 계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rai_hor_scale 필드 및 rai_ver_scal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패킹된 픽처에 상기 대상 리전의 코너(corner) RAI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corner_present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너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또는 우하단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RAI 영역일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너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을 포함하는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 및 상기 RAI 영역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리전의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extended_coverage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가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됨을 나타내는 경우, 즉,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중점에 대응하는 구형 면상의 위치의 요(yaw) 값, 피치(pitch) 값, 및 롤(roll)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형 면상의 상기 위치의 요(yaw) 값, 피치(pitch) 값, 및 롤(roll) 값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center_yaw 필드, 상기 center_pitch 필드, 상기 center_roll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수평 범위(horizontal range) 및 수직 범위(vertical range)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영역의 상기 수평 범위 및 상기 수직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 상기 hor_range 필드, 상기 ver_range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 영역이 뷰포트 생성에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확장 영역의 렌더링 과정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장 영역이 맵핑되는 구형면 상에서의 영역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그는 상기 rai_presentation_flag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래그가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구형면 상에 영역으로 렌더링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의 특정 경계에 인접한 서브(sub) RAI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num_sub_boundaries_minus1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서브 경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상기 서브 경계는 상기 특정 경계 중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이 인접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는 SEI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의 어댑테이션 셋(AdaptationSet),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또는 서브 레프리젠테이션(SubRepresentation)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EI 메시지는 2D 이미지의 디코딩 또는 2D 이미지의 3D 공간으로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보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픽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처를 디코딩한다(S2320).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픽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처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을 통하여 뷰포트 메타 데이터가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뷰포트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택된 리전(또는 서브 픽처)만을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RAI 영역이 포함된 상기 확장 영역과 상기 RAI 영역이 포함되지 않은 대상 리전(또는 서브 픽처) 중 상기 뷰포트 메타데이터가 지정하는 뷰포트를 생성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영역을 상기 선택하여, 선택된 영역을 디코딩할 수 있다.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한다(S2330).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3D 공간으로 맵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리전별 패킹 과정 관련 메타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리전 구분에 따른 역변환(region-wise inverse)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상기 대상 리전과 다른 변환 과정이 적용된 경우, 즉,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transform information)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예를 들어, 상기 RAI 영역에 대한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 상기 rai_hor_scale 필드, 상기 rai_ver_scale 필드)를 기반으로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리전 구분에 따른 역변환(region-wise inverse)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된 픽처에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코너 RAI 영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너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 (상기 코너 RAI 영역에 대한 상기 rai_transform_type 필드, 상기 rai_hor_scale 필드, 상기 rai_ver_scale 필드)를 기반으로 상기 코너 RAI 영역에 대한 리전 구분에 따른 역변환(region-wise inverse)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로부터 프로젝션된 픽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를 상기 3D 공간으로 리-프로젝션(re-projection)할 수 있다. 이 경우,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상기 대상 리전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리전 경계 오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오류는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리전들이 인접한 경계가 뚜렷한 선으로 나타나거나, 경계를 중심으로 리전들간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 연속되는 픽처로 보이지 않고 구분된 영역이 나타나는 오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리전 경계 오류를 줄이는 방법으로 상술한 상기 RAI 영역의 샘플 및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샘플 간 블렌딩(blending)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샘플을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맵핑하는 방법 및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의 샘플을 상기 RAI 영역의 샘플로 대체하는 대체(replacement)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3D 공간으로 맵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RAI 영역 및 상기 대상 리전이 포함된 상기 확장 영역은 3D 공간 상에서 상기 뷰포트로 맵핑될 수 있다. 상기 뷰포트는 상기 3D 공간 상에서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단계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유사/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단계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는 전술한 데이터 입력부, 스티처, 시그널링 처리부, 프로젝션 처리부, 데이터 인코더, 전송 처리부 및/또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및 그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는 전술한 수신부, 수신 처리부, 데이터 디코더, 시그널링 파서, 리-프로젝션 처리부 및/또는 렌더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및 그 내부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본 발명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장치의 내부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이거나, 그 외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이 들은 장치 내/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듈들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유사/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모듈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파트, 모듈 또는 유닛은 메모리(또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거나 하드웨어 파트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 또는 하드웨어 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모듈/블록/유닛들은 하드웨어/프로세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들은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쓰여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apparatus)가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내어진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방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쳐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젝션된 픽처(projected pictur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젝션된 픽처에 리전별 패킹 과정(region-wise packing)을 적용하여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패킹된 픽처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픽처 및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저장 또는 전송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정보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영상 정보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는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영상 정보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영상 정보로 사용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된 픽처의 프로젝션 타입이 ERP(Equirectangular Projection)이고,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복수개의 RAI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transform information)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대한 변환 정보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패킹된 픽처에 상기 대상 리전의 코너(corner) RAI 영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 RAI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의 좌상단, 우상단, 좌하단 또는 우하단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RAI 영역이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코너 RAI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 및 상기 RAI 영역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코너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리전의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영역은 상기 대상 리전 및 상기 RAI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중점에 대응하는 구형 면상의 위치의 요(yaw) 값, 피치(pitch) 값, 및 롤(roll) 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확장 영역에 대한 정보가 시그널링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확장 영역의 수평 범위(horizontal range) 및 수직 범위(vertical range)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의 특정 경계에 인접한 서브(sub) RAI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서브 RAI 영역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서브 경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에 대한 상기 서브 경계는 상기 특정 경계 중 상기 각각의 서브 RAI 영역이 인접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5.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패킹된 픽처(packed picture)에 대한 정보 및 상기 360도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패킹된 픽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패킹된 픽처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디코딩된 픽처를 처리하여 3D 공간으로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패킹된 픽처의 대상 리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리전별 추가 정보(Region-wise Auxiliary Information, RAI)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4인 경우, 상기 RAI 영역은 구형면 상에서 상기 대상 리전과 인접한 리전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AI 영역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의 값이 5인 경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의 360도 비디오 데이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된 픽처의 프로젝션 타입이 ERP(Equirectangular Projection)이고, 상기 대상 리전의 상기 RAI 영역이 상기 패킹된 픽처의 좌측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참조 리전의 RAI 영역은 상기 패킹된 픽처의 우측 경계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된 픽처는 상기 대상 리전에 대한 복수개의 RAI 영역들이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이 동일한 타입을 갖는 상기 RAI 영역들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들 각각의 타입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가 뷰포트(viewport) 생성에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RAI 영역에 포함된 360도 비디오 데이터는 상기 뷰포트 생성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97031011A 2017-07-09 2017-08-08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KR102271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0284P 2017-07-09 2017-07-09
US62/530,284 2017-07-09
PCT/KR2017/008547 WO2019013384A1 (ko) 2017-07-09 2017-08-08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424A true KR20190126424A (ko) 2019-11-11
KR102271444B1 KR102271444B1 (ko) 2021-07-01

Family

ID=6500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11A KR102271444B1 (ko) 2017-07-09 2017-08-08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82758A1 (ko)
EP (1) EP3609187A4 (ko)
JP (1) JP6993430B2 (ko)
KR (1) KR102271444B1 (ko)
CN (1) CN110637463B (ko)
WO (1) WO2019013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191B1 (ko) * 2019-03-18 202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60 비디오 환경에서 포인트 클라우드 콘텐트 액세스 및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13870B2 (en) 2019-03-18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transferring point cloud content in 360-degree video environment
US20220217314A1 (en) * 2019-05-24 2022-07-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360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 video, 360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360 video receiving device
GB2617359A (en) * 2022-04-05 2023-10-11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describing subsamples in a media f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922A (ko) * 2007-12-10 2009-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을 포함하는 영상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027021A (ja) * 2011-07-26 2013-02-04 Canon Inc 全方位撮像装置及び全方位撮像方法
KR20150059534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WO2016076680A1 (en) * 2014-11-14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ing of 360 degree videos using region adaptive smooth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5112B2 (en) * 2012-12-06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 transcoding of video data
RU2630388C1 (ru) * 2014-04-25 2017-09-07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и способ приема
US20180176650A1 (en) * 2015-06-12 2018-06-2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922A (ko) * 2007-12-10 2009-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영상과 3d 입체영상을 포함하는 영상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027021A (ja) * 2011-07-26 2013-02-04 Canon Inc 全方位撮像装置及び全方位撮像方法
KR20150059534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파노라마 영상 생성 장치.
WO2016076680A1 (en) * 2014-11-14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ing of 360 degree videos using region adaptive smooth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MAF PACK-VE Report",117. MPEG MEETING; GENEVA; (MOTION PICTURE EXPERT GROUP OR ISO/IEC JTC1/SC29/WG11), no. m39862, 2017.01.* *
"Requirements and Use Cases for Omni-directional Media Format", 113. MPEG MEETING; GENEVA; (MOTION PICTURE EXPERT GROUP OR ISO/IEC JTC1/SC29/WG11), no. N15731, 2016.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0161A (ja) 2020-07-02
KR102271444B1 (ko) 2021-07-01
JP6993430B2 (ja) 2022-01-13
CN110637463A (zh) 2019-12-31
EP3609187A4 (en) 2020-03-18
CN110637463B (zh) 2022-07-01
US20200382758A1 (en) 2020-12-03
EP3609187A1 (en) 2020-02-12
WO2019013384A1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01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of receiving 360-degree video, device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nd device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KR102208129B1 (ko) 360 비디오 시스템에서 오버레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02338B1 (ko) 피쉬아이 비디오 정보를 포함한 360도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05633B1 (ko) 퀄리티 기반 360도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14037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nd apparatus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KR102258448B1 (ko) 핫스팟 및 roi 관련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360도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1301B1 (ko) 카메라 렌즈 정보를 포함한 360도 비디오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2063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360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 video,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 video, and apparatus for receiving 360 video
KR20190039669A (ko) 360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360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360 비디오 전송 장치, 360 비디오 수신 장치
US20210176509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media content
KR20190095430A (ko) 360 비디오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1727605B (zh) 用于发送和接收关于多个视点的元数据的方法及设备
KR102271444B1 (ko)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를 수신하는 방법,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전송 장치, 영역 기반 360도 비디오 수신 장치
US2019019992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360-degree 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360-degree video receiving device
US2019031307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method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degree video, and apparatus for receiving 360-degree vid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