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767A -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767A
KR20190125767A KR1020180049988A KR20180049988A KR20190125767A KR 20190125767 A KR20190125767 A KR 20190125767A KR 1020180049988 A KR1020180049988 A KR 1020180049988A KR 20180049988 A KR20180049988 A KR 20180049988A KR 20190125767 A KR20190125767 A KR 20190125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ray
shell
locking ba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8004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5767A/ko
Publication of KR2019012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드 소켓과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가 개시된다. 카드 소켓은 접촉 단자가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어 카드 트레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쉘, 및 하우징과 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 바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트레이는 수용 공간에 삽입 시 하우징의 일 측에 접촉하여 수용 공간내에서 위치가 락킹되도록 구성된 트레이 본체와 트레이 본체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 핸들은 회전에 의해 락킹 바를 푸시하여 하우징과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CAR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개시는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는 통상 가입자 식별 정보를 담고 있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가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로서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SD 카드나 SIM 카드는 통상 카드 트레이에 탑재되며, 카드 트레이를 카드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카드 트레이에 탑재된 SD 카드나 SIM 카드를 전자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카드 커넥터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설치 또는 고정되는 카드 소켓과 카드 소켓에 설치되어 카드를 지지하는 카드 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트레이는 카드 소켓에 대해서 카드의 삽입 또는 배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카드 트레이는 일단 카드 소켓에 삽입이 된 후에는 별도의 다른 작업이 없이는 카드 소켓으로부터 배출되지 않도록 카드 소켓 내부에 고정 장치가 구비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0738호에는,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카드 트레이를 탈착할 수 있는 카트 커넥터를 개시한다. 상기 문헌에서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뿐, 카드 트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이를 위하여 별도의 도구가 필요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별도의 핀을 구비하지 않고도 카드 트레이와 카드 소켓 사이의 락킹을 해제가능한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소켓과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카드 소켓은 접촉 단자가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어 카드 트레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쉘, 및 하우징과 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 바(locking bar)를 구비하고, 카드 트레이는 수용 공간에 삽입 시 하우징의 일 측에 접촉하여 수용 공간내에서 위치가 락킹되도록 구성된 트레이 본체와 트레이 본체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핸들을 구비하고, 트레이 핸들은 회전에 의해 락킹 바를 푸시하여 하우징과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핸들의 일 단부는 회전에 의해 락킹 바를 푸시하여 하우징과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고, 트레이 핸들의 타 단부는 트레이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카드 트레이를 카드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소켓은 락킹 바에 인접하도록 하우징의 일 측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락킹 바는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락킹 바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쉘을 향하여 구부러진 하우징 락을 포함하고,트레이 본체는 하우징 락의 선단에 걸리도록 구성된 트레이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락은 하우징의 높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고, 트레이 걸림턱은 트레이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킹 바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 락을 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하우징과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쉘은 락킹 바의 상면과 접촉하여 락킹 바를 쉘의 상부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누르도록 구성된 제1 쉘 텐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 걸림턱을 포함하고, 쉘은 바 걸림턱에 접촉하여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쉘 텐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 본체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탈착 시 제2 쉘 텐션부와 접촉하여 제2 쉘 텐션부를 외측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제1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쉘 텐션부는 락킹 바에 인접하게 배치된 트레이 본체의 모서리부 및 락킹 바에 걸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수용 공간을 카드 트레이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 및 락킹 바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분리벽 및 락킹 바에 인접한 측벽에 제공되어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쉘은 하우징을 향하여 구부러진 쉘 벤딩부를 포함하고,락킹 바는 쉘 벤딩부에 의해 일 면이 지지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접촉 단자에 몰딩재로부터 인서트 사출하여 접촉 단자가 일체로 결합된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 하우징의 일 측에 카드 접촉 감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하우징의 타 측에 스프링을 안착시키는 단계; 스프링 상에 락킹 바를 안착시키는 단계; 하우징에 쉘을 결합하여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 트레이 본체에 트레이 핸들을 결합하여 카드 트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카드 소켓에 카드 트레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는, 쉘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에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끼워지도록 쉘과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 스프링이 가압되도록 락킹 바를 내측으로 밀어 넣는 단계; 및 락킹 바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를 향하여 쉘에 형성된 쉘 벤딩부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트레이 핸들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카드 소켓에 설치된 락킹 바를 푸시함에 따라 카드 트레이와 카드 소켓 사이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락킹 바가 카드 소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부품 개수를 감소시키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쉘에 쉘 벤딩부를 형성하여 카드 소켓으로부터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에서 카드 소켓과 카드 트레이를 분리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a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a에서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서 카드 트레이와 하우징이 락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서 카드 트레이와 하우징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서 카드 트레이가 카드 소켓으로부터 취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서 제2 쉘 텐션부와 락킹 바의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에서 제2 쉘 텐션부와 락킹 바의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소켓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우징에 락킹 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쉘 벤딩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쉘이 하우징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쉘과 하우징은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도시된 좌표계는, X축, Y축, 및 Z축을 도시한다. X축 방향은 카드 커넥터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카드 커넥터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카드 커넥터의 높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X축, Y축, 및 Z축 각각의 (+) 방향은 외측 방향을 의미하고, X축, Y축, 및 Z축 각각의 (-) 방향은 내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1)에서 카드 소켓(10)과 카드 트레이(20)를 분리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카드 커넥터(1)는 전자 장치(미도시)와 카드(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카드 커넥터(1)는 카드 소켓(10)과 이에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소켓(10)은 전자 장치(미도시)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카드 소켓(10)의 외관은 전자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소켓(10)은 전자 회로 기판(PCB, 미도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카드 트레이(20)는 카드 소켓(10)의 개구에 삽입되어 카드 소켓(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미도시)는 카드(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를 다운로드하거나, 카드(미도시)에 새로운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폰, 생활 가전 기기, 블랙박스, CC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카드(미도시)는 USIM 카드, 메모리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의 분해된 구성을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카드 소켓(10)은, 접촉 단자(12)가 결합된 하우징(11) , 하우징(11) 상에 결합되는 쉘(14), 하우징(11)의 일 측에 설치되는 카드 접촉 감지부(13), 하우징(11)의 타 측에 설치되는 스프링(15), 및 하우징(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 바(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단자(12)는 도전성 구리 합금(conductive copper alloy)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을 가진 다른 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접촉 단자(12)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접촉 단자(12)는 하우징(11)을 관통하여 쉘(14)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카드(미도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접촉 단자(12)가 배치된 금형(미도시) 내에서 몰딩재로부터 인서트 사출되어 접촉 단자(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을 구성하는 몰딩재는 액정 고분자(LCP, liquid cristal polymer)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도전성을 가진 비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하우징(11)은 접촉 단자(12)를 보호하도록 중앙 부분(111)이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은 개구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2)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은 측벽(112)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하우징 락(115)을 포함할 수 있다.
쉘(14)은 STS304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쉘(14)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쉘(14)은 상부벽(141) 및 상부벽(14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14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42)에는 복수의 개구(143)가 형성될 수 있다. 쉘(14)은 쉘(14)의 측벽(142)에 형성된 개구(143)에 하우징(11)의 측벽(112)에 형성된 결합 돌기(113)가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쉘(14)의 상부벽(141)에는 하우징(11)을 향하여 구부러진, 제1 쉘 텐션부(144), 제2 쉘 텐션부(145), 및 쉘 벤딩부(14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락킹 바(30) 또는 트레이 본체(21)와 상호 작용하여 락킹 상태 또는 락킹 해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락킹 상태 또는 락킹 해제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쉘(14)은 하우징(11)과 결합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일 측에는 분리벽(114)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을 카드 트레이(20)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 및 락킹 바(30)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벽(114)과 측벽(112) 사이에는 스프링(15)과 락킹 바(3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15)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피아노 와이어(PWR, piano wire)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이 있는 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락킹 바(3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하우징(11)에는 먼저 스프링(15)이 설치되고, 스프링(15) 상에 락킹 바(30)가 설치될 수 있다. 락킹 바(30) 및 스프링(15)은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락킹 바(30)에는 선단에 형성된 작동부(31), 바 걸림턱(32), 및 이탈 방지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3)는 개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쉘(14)의 상부벽(141)과 상호 작용하면서, 하우징(11) 내에서의 락킹 바(30)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락킹 바(30)의 외측 선단에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접촉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락킹 바(30)의 하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35)는 스프링(15)과 접촉하여 스프링(15)을 가압하여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크부(35)에는 락킹 바(30)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스프링(15)의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카드 트레이(20)는 트레이 본체(21), 트레이 핸들(22), 및 스프링 핀(27)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21)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비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트레이 핸들(22)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품(미도시)의 외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 핸들(220)은 전자 제품(미도시)과의 매칭성을 위하여 정밀한 제조 오차를 갖도록 CNC 가공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프링 핀(27)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금속 재료로 대체 가능하다. 스프링 핀(27)의 중심축은 트레이 핸들(22)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트레이 본체(21)는, 트레이 결합부(25) 및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21a, 21b, 21c)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본체(21)는, 트레이 핸들(2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핸들 가동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가동부(26)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본체(21)는 트레이 핸들(22)이 도 3에서 보이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모서리부(21a)의 상측에는 슬라이딩 홈(28)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이딩 홈(28)의 일 측에는 제1 경사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타 측에는 제2 경사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경사부(23, 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모서리부(21a)의 하측에는 트레이 걸림턱(215)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본체(21)가 수용 공간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 걸림턱(215)은 하우징 락(115)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카트 트레이(20)가 하우징(1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트레이 핸들(22)의 내측면에는 접촉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돌기(222)는 핸들 가동부(26)를 향하도록 내측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트레이 핸들(2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접촉 돌기(222)는 락킹 바(30)의 접촉부(34)와 접촉하여 락킹 바(30)를 하우징(11)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스프링 핀(27)은 트레이 핸들(22)에 형성된 개구(221) 및 트레이 결합부(25)에 형성된 개구(25a)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핀(27)은 트레이 핸들(22) 및 트레이 결합부(25)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핀(27)은 트레이 핸들(22)에 대해 일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Z축을 기준으로 트레이 핸들(22)에 시계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는 도 3a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3a에서 B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락킹 바(30)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접촉부(34)가 외측에 배치되고, 작동부(31)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 본체부(30a)에는 외측으로부터 접촉부(34), 이탈 방지부(33), 바 걸림턱(32), 및 바 홈(36)이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31)는 바 본체부(30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 본체부(30a)로부터 높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하우징 락(115)의 폭은 락킹 바(30)와 트레이 본체(21)의 제1 모서리부(21a)에 걸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락(115)은 폭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된 제1 하우징 락(1151) 및 폭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2 하우징 락(1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락(1152)의 외측 선단면(115a)은 트레이 걸림턱(215)의 외측 선단면(215a)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락(1151)의 경사부(115b)는 락킹 바(30)의 작동부(31)과 접촉할 수 있다.
하우징 락(115)에 대하여 길이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지지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락(115)과 지지부(118)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8)는, 트레이 본체(21)가 카드 소켓(10)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트레이 본체(21)와 접촉하여, 트레이 본체(2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에서 카드 트레이(20)와 하우징(11)이 락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카드 커넥터(1)를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트레이 핸들(22)은 카드 소켓(10)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락킹 바(30)는 락킹된 상태에서 소정의 크기만큼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락킹 바(30)의 접촉부(34)는 트레이 핸들(22)의 접촉 돌기(22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는 카드 커넥터(1)를 A1-A1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의 하측에는 하우징 락(15)과 트레이 걸림턱(215)이 위치한 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나타낸다.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락킹 바(30)의 접촉부(34)가 트레이 핸들(22)의 접촉 돌기(222)를 밀어서, 자동적으로 트레이 핸들(22)의 외측면(223)은 전자 장치(500)의 하우징 면(50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드 소켓(10)의 외측에서 바라보면, 외측면(223) 및 하우징 면(501)은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스프링(15)의 일 측은 하우징(11)에 형성된 보스부(116)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15)의 타 측은 후크부(35)에 삽입될 수 있다. 후크부(35)는 스프링(15)을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락킹 바(30)가 탈착되는 방향(외측 방향)으로 스프링(15)의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하우징 락(115)은 쉘(14)을 향하는 방향(상측(z축)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락킹 상태에서 카드 트레이(20)를 외측으로 꺼내려고 시도하는 경우, 트레이 걸림턱(215)은 하우징 락(115)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즉, 걸림턱(215)의 외측 선단면(215a)이 하우징 락(115)의 외측 선단면(115a)과 접촉하게 되어, 카드 트레이(20)가 카드 소켓(10)으로부터 취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우징 락(115)은 하우징(11)의 높이 방향 중심선(M1)을 기준으로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걸림턱(215)은 트레이 본체(21)의 내측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 트레이(20)와 하우징(11)의 락킹 구조는 카드 소켓(10)의 길이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쉘 텐션부(144)는 락킹 바(30)의 상면과 접촉하여 락킹 바(30)를 하우징(11)을 향하여 아래로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 텐션부(144)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U'자 형상의 하단부는 락킹 바(30)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락킹 바(30)가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상태의 높이를 유지하지 못하고 쉘(14)을 향하여 들어올려지는 경우, 후술하는 락킹 해제의 기능을 올바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 쉘 텐션부(144)에 의하여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c는 카드 커넥터(1)를 A2-A2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다. 제2 쉘 텐션부(145)는 바 홈(36)에 안착될 수 있다. 바 홈(36)의 외측 선단면(36a)은 내측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락킹 바(30)가 외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 쉘 텐션부(145)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에서 카드 트레이(20)와 하우징(11)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사용자가 트레이 핸들(22)을 회전시켜 락킹 바(30)를 카드 소켓(10)의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 본체(21)와 하우징(11)의 사이의 락킹이 해제되고, 사용자는 카드 트레이(20)를 카트 소켓(10)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트레이 핸들(22)의 일 단부는 회전에 의해 락킹 바(30)를 푸시하여 하우징(11)과 트레이 본체(21)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고, 트레이 핸들(22)의 타 단부는 트레이 본체(21)로부터 이격되어 카드 트레이(20)를 카드 소켓(10)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지로 트레이 핸들(22)의 일 단부를 푸시한 상태에서, 엄지와 중지로 트레이 핸들(22)의 타 단부를 잡고, 카드 트레이(20)를 카트 소켓(10)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1)를 B1-B1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락킹 상태에서, 하우징 락(115)은 하우징(11)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반면, 도 6b에 도시된 락킹 해제 상태에서, 하우징 락(115)은 하우징(11)의 바닥과 더 가까워지거나 그와 접촉할 정도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락킹 바(30)가 길이 방향(x축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락킹 바(30)의 작동부(31)는 하우징 락(115)을 높이 방향(z축 방향)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하우징 락(115)은 작동부(31)의 선단과 접촉하는 경사부(115b)를 구비하므로, 작동부(31)의 선단이 걸리지 않고 락킹 바(30)가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경사부(115b)의 경사진 각도는 0° 내지 45° 이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30°가 될 수 있다. 또한, 락킹 바(30)의 상면이 제1 쉘 텐션부(144)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작동부(31)가 상측으로 들리지 않고 하우징 락(115)의 경사부(115b)와 접촉하여, 하우징 락(115)을 하측으로 구부리게 할 수 있다.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1)를 B2-B2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6c의 하측에는 는 제2 쉘 텐션부(145)와 바 걸림턱(32)이 위치한 부분의 확대된 모습을 나타낸다.
락킹 바(30)가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락킹 바(30)의 바 걸림턱(32)이 쉘(14)의 제2 쉘 텐션부(145)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5)이 후크부(35)에 복원력을 작용하더라도, 락킹 바(30)가 다시 외측으로 더 취출되지 않게 된다.
도 7a 내지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에서 카드 트레이(20)가 카드 소켓(10)으로부터 취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카드 소켓(10)으로부터 카드 트레이(20)가 취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카드 트레이(20)와 하우징(11) 사이의 락킹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트레이 핸들(22)을 잡고 외측으로 취출하는 경우, 트레이 본체의 경사부에 의해 걸리는 부분이 없이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카드 트레이(20)는 카드 소켓(10)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락킹 바(30)와 쉘(14)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은 도 7a의 카드 소켓(10)을 C1-C1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고, 7c는 도 7a의 카드 소켓(10)을 C2-C2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다. 카드 트레이(20)가 취출되면서, 도 6b에 도시된 락킹 바(30)와 쉘(14)의 락킹 상태로부터, 도 7b의 락킹 해제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카드 트레이(20)가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트레이 본체(21)는 제2 쉘 텐션부(14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 본체(21)는 제2 쉘 텐션부(145)와 락킹 바(30) 사이의 락킹을 해제시키고, 락킹 바(30)는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락킹 바(30)가 이동하더라도, 이탈 방지부(33)의 외측 선단면(33a)이 쉘 벤딩부(146)에 걸리게 되어, 락킹 바(30)가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에서 제2 쉘 텐션부(145)와 락킹 바(30)의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 쉘 텐션부(145)는 락킹 바(30)에 인접하게 배치된 트레이 본체(21)의 제1 모서리부(21a) 및 락킹 바(30)에 걸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쉘 텐션부(145)는 락킹 바(30) 상에 배치된 제2a 쉘 텐션부(145a) 및 제1 모서리부(21a) 상에 배치되는 제2b 쉘 텐션부(14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각각의 좌측 부분은 도 1에 D로 표시된 영역을 D1-D1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고, 락킹 바(30)와 제2a 쉘 텐션부(145a)의 상호 작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d)에서 각각의 우측 부분은 도 1에 D로 표시된 영역을 D2-D2 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고, 제1 모서리부(21a)와 제2b 쉘 텐션부(145b)의 상호 작용에 대해 나타낸다.
도 8(a)에서 제2 쉘 텐션부(145)와 락킹 바(30)가 락킹된 상태이다. 제2a 쉘 텐션부(145a)는 바 걸림턱(32)의 선단면(32a) 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제2b 쉘 텐션부(145b)부는 제1 모서리부(21a)의 제2 경사부(24)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트레이 본체(21)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도, 락킹 바(30)는 바 걸림턱(32)에 걸려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도 8(b)는 제2 쉘 텐션부(145)와 락킹 바(30)의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트레이 본체(21)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b 쉘 텐션부(145b)의 선단은 제1 경사부(23)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트레이 본체(21)가 외측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제2b 쉘 텐션부(145b)는 제1 경사부(23)를 따라 높이 방향 상측으로 들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2a 쉘 텐션부(145a)와 바 걸림턱(32) 사이의 락킹이 해제되고, 락킹 바(30)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b 쉘 텐션부(145b)가 상측으로 들리게 될 때, 제2a 쉘 텐션부(145a)와 바 걸림턱(32) 사이의 락킹이 해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a 쉘 텐션부(145a)와 제2b 쉘 텐션부(145b)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제2a 쉘 텐션부(145a)가 제2b 쉘 텐션부(145b)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도 8(c)는 락킹 바(30)가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a 쉘 텐션부(145a)의 간섭이 없으므로, 락킹 바(30)는 스프링(15)의 외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b 쉘 텐션부(145b)의 하면과 제1 모서리부(21a)의 상면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2 쉘 텐션부(145)는 상측으로 들려있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d)는 가이드 본체(21)가 완전히 외측으로 빠져나간 상태를 나타낸다. 제2b 쉘 텐션부(145b)는 접촉하는 부분이 없이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제2a 쉘 텐션부(145a)는 바 걸림턱(32) 보다 내측에 위치한 바 홈(36)에 안착될 수 있다.
카드 트레이(20)를 카드 소켓(10)에 다시 삽입하는 경우, 도 8(d)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8(a)에 도시된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락킹 바(30)와 쉘(14)이 락킹 해제 상태로부터 락킹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트레이 본체(21)와 하우징(11) 사이의 락킹이 진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1)에서 제2 쉘 텐션부(145)와 락킹 바(130)의 락킹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a)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b 쉘 텐션부(145b)는 슬라이딩 홈(28)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a 쉘 텐션부(145a)는 바 걸림턱(32)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b)는 도 8(c)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 트레이 제2b 쉘 텐션부(145b)는 제1 경사부(23)와 접촉하면서 높이 방향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쉘 텐션부(145)가 들어올려지고, 제2a 쉘 텐션부(145a)와 바 걸림턱(32)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락킹 바(30)는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락킹 바(30)의 이동은 벤딩부(146)에 의하여 구속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소켓(10)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드 소켓(10)은 도 10(a)로부터 도 10(f)의 순서로 제조된다.
도 10(a)를 참고하면, 금형(미도시)에 접촉 단자(12)를 배치하고, 몰딩재로부터 인서트 사출하여 접촉 단자(12)가 일체로 결합된 하우징(11)을 제조한다.
도 10(b)를 참고하면, 카드 접촉 감지부(13)를 하우징(11)에 설치한다. 카드 접촉 감지부(13)는 스프링(15)이 설치되는 코너 부분의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측 코너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c)를 참고하면, 스프링(15)이 분리벽(114)과 측벽(112) 사이에 설치된다. 스프링(15)의 길이 방향은 분리벽(11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0(d)를 참고하면, 락킹 바(30)는 스프링(15) 상에 설치된다. 락킹 바(30) 의 길이 방향은 스프링(1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0(e)를 참고하면, 쉘(14)과 하우징(11)이 조립된다. 쉘(14)의 측벽(142)은 하우징(11)의 측벽(112)을 따라 벌어지면서, 결합 돌기(113)가 개구(143)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
도 10(f)를 참고하면, 락킹 바(30)를 내측으로 밀어 넣고, 벤딩부(146)를 이탈 방지부(33)를 향하여 구부리면, 카드 소켓(10)의 제조가 완성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우징(11)에 락킹 바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하우징(11)에 스프링(15) 및 락킹 바(30)가 설치된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b)는 도 11(a)에 표시된 I 영역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락킹 바(30)는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락킹 바(30)가 스프링(15) 상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스프링(15)의 내측으로부터 보스부(116)가 끼워질 수 있고, 스프링(15)의 외측으로부터 후크부(35)가 끼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락킹 바(30)의 폭 방향 양 측면은 고정 돌기(117a, 117b)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117a)는 분리벽(114)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 돌기(117b)는 측벽(11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쉘(14)과의 조립을 위하여 락킹 바(30)가 조립된 하우징(11)을 이동하더라도, 락킹 바(30)의 하우징(11)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쉘 벤딩부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도 10(e) 및 10(f)에 도시된 과정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12(a)는 하우징(11)과 쉘(14)이 결합된 직후의 상태를 내타낸다. 락킹 바(30)는 외측으로 상당히 빠져나와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5)에 보스부(116)가 삽입되어 있으나, 후크부(35)는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b)는 락킹 바(30)를 내측으로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락킹 바(30)는 선단부(38)가 하우징(11)의 하우징 락(115)과 접촉할 정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락킹 바(30)에 가해진 외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락킹 바(30)가 탈착될 수 있다. 락킹 바(30)를 도 10(a) 도시된 상태보다 더 밀어넣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바 걸림턱(32)이 제2 쉘 텐션부(145)에 걸리게 되어, 락킹 바(30)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c)는 도 12(b)에 도시된 상태에서 벤딩부(146)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2(d)는 도 12(c)에 II로 표시된 영역을 나타낸다. 벤딩부(146)는 이탈 방지부(33)를 향하여 높이 방향 하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35)에 스프링(15)의 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이탈 방지부(33)의 외측 선단면(33a)이 벤딩부(146)에 걸리게 되어, 락킹 바(30)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10을 참고하여,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S1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S1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카드 커넥터(1)의 제조 방법은, 접촉 단자(12)에 몰딩재로부터 인서트 사출하여 접촉 단자(12)가 일체로 결합된 하우징(11)을 제조하는 단계(S1210), 하우징(11)의 일 측에 카드 접촉 감지부(13)를 설치하는 단계(S1230), 하우징(11)의 타 측에 스프링(15)을 안착시키는 단계(S1240), 스프링(15) 상에 락킹 바(30)를 안착시키는 단계(S1250), 하우징(11)에 쉘(14)을 결합하여 카드 소켓(10)을 제조하는 단계(S1250), 트레이 본체(21)에 트레이 핸들(22)을 결합하여 카드 트레이(20)를 제조하는 단계(S1260), 및 카드 소켓(10)에 카드 트레이(20)를 삽입하는 단계(S1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S1200)의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S1250)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S1250)는, 쉘(14)의 측벽(142)에 형성된 개구(143)에 하우징(11)의 측벽(112)에 형성된 결합 돌기(113)가 끼워지도록 쉘(14)과 하우징(11)을 결합하는 단계(S1251), 스프링(15)이 가압되도록 락킹 바(30)를 내측으로 밀어 넣는 단계(S1252), 및 락킹 바(30)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33)를 향하여 쉘(14)에 형성된 쉘 벤딩부(146)를 구부리는 단계(S12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카드 커넥터
10: 카드 소켓
11: 하우징
12: 접촉 단자
13: 카드 접촉 감지부
14: 쉘
15: 스프링
20: 카드 트레이
21: 트레이 본체
22: 트레이 핸들
25: 트레이 결합부
27: 스프링 핀
30: 락킹 바

Claims (15)

  1. 카드 소켓과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이며,
    카드 소켓은 접촉 단자가 결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카드 트레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쉘,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쉘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락킹 바(locking bar)를 구비하고,
    카드 트레이는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 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접촉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위치가 락킹되도록 구성된 트레이 본체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핸들은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 바를 푸시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핸들의 일 단부는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락킹 바를 푸시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고, 상기 트레이 핸들의 타단부는 상기 트레이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카드 트레이를 카드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카드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은 상기 락킹 바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킹 바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락킹 바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쉘을 향하여 구부러진 하우징 락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본체는 상기 하우징 락의 선단에 걸리도록 구성된 트레이 걸림턱을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락은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걸림턱은 상기 트레이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카드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 락을 상기 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본체 사이의 락킹을 해제하는, 카드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락킹 바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락킹 바를 상기 쉘의 상부벽으로부터 멀어지게 누르도록 구성된 제1 쉘 텐션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바는 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쉘은 상기 바 걸림턱에 접촉하여 상기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쉘 텐션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탈착 시 상기 제2 쉘 텐션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쉘 텐션부를 외측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쉘 텐션부는 상기 락킹 바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트레이 본체의 모서리부 및 상기 락킹 바에 걸치는 폭을 갖는, 카드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카드 트레이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락킹 바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벽을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리벽 및 상기 락킹 바에 인접한 측벽에 제공되어 상기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구부러진 쉘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 바는 상기 쉘 벤딩부에 의해 일 면이 지지되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상기 락킹 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
  14. 접촉 단자에 몰딩재로부터 인서트 사출하여 접촉 단자가 일체로 결합된 하우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카드 접촉 감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타 측에 스프링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스프링 상에 락킹 바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하우징에 쉘을 결합하여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
    트레이 본체에 트레이 핸들을 결합하여 카드 트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소켓에 카드 트레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쉘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에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쉘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스프링이 가압되도록 상기 락킹 바를 내측으로 밀어 넣는 단계; 및
    상기 락킹 바에 형성된 이탈 방지부를 향하여 상기 쉘에 형성된 쉘 벤딩부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80049988A 2018-04-30 2018-04-30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5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88A KR20190125767A (ko) 2018-04-30 2018-04-30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988A KR20190125767A (ko) 2018-04-30 2018-04-30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767A true KR20190125767A (ko) 2019-11-07

Family

ID=6857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988A KR20190125767A (ko) 2018-04-30 2018-04-30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57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012A1 (ko) * 2021-05-04 2022-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Ic 카드 트레이 배출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24025175A1 (ko) * 2022-07-28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를 탈거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733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드 트레이,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012A1 (ko) * 2021-05-04 2022-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Ic 카드 트레이 배출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WO2024025175A1 (ko) * 2022-07-28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를 탈거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80733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드 트레이, 트레이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8311B1 (en) USB connector with ejectable memory card
EP1860743B1 (en) Card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housing assembly
KR20190125767A (ko) 카드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US8075324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detection switch which is closed or opened by operation of a locking member
CN105305164B (zh) 卡保持构件以及卡用连接器
EP2000948A1 (en) Card connector
US20080102680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KR20160120668A (ko) 단일 피스 금속 하우징을 갖는 초박형 디바이스에서의 안테나 연결
US7341467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ejecting means
US9558380B2 (en) Card connector
KR100505788B1 (ko) 커넥터
JP6763617B2 (ja) 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097475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door
JP3996559B2 (ja) 電子カードコネクタ
US7946875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n improved retainer
KR1021203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멀티 카드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카드 커넥터
JP2001118619A (ja) コネクタ
US8419461B2 (en) Socket connector
JP6295165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6166437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CN213152110U (zh) 终端设备
JP2007329074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90040118A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n antenna unit
US8113020B2 (en) Lo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6585416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