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694A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694A
KR20190124694A KR1020190135746A KR20190135746A KR20190124694A KR 20190124694 A KR20190124694 A KR 20190124694A KR 1020190135746 A KR1020190135746 A KR 1020190135746A KR 20190135746 A KR20190135746 A KR 20190135746A KR 20190124694 A KR20190124694 A KR 2019012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object sid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000B1 (ko
Inventor
손주화
이종기
조용주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64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1700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0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694A/ko
Priority to KR1020220000310A priority patent/KR102410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00B1/ko
Priority to KR1020220072064A priority patent/KR102508830B1/ko
Priority to KR1020230029400A priority patent/KR10265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조건식 TTL/f < 1.0을 만족한다. 여기서,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6매 렌즈로 구성된 망원용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소형 카메라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카메라는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이 박형화된 장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카메라는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카메라의 촬상 광학계는 4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촬상 광학계는 망원특성과 고해상도특성을 구현하기 어렵다.
US 2016-0033744 A1 US 2017-0299846 A1 US 2014-0293453 A1
본 발명은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조건식 TTL/f < 1.0을 만족한다. 여기서,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본 발명은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에 적합한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수차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도 1에 제4렌즈와 제5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 IMG 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TL은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산출된 거리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제6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공기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웃한 렌즈들의 상 측면 및 물체 측면은 접촉하지 않는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1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1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렌즈는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65 이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물체 측면에는 4개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양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3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3렌즈는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물체 측면은 구면이고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4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4렌즈는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일 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변곡점을 갖는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물체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5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5렌즈는 제4렌즈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굴절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6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렌즈는 변곡점을 갖는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6렌즈는 광 투과율이 높고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6렌즈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6렌즈는 유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6렌즈는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6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일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6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촬상 광학계는 필터, 이미지 센서, 조리개를 더 포함한다.
필터는 제6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는 일부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상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표면은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리개는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정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광학계는 아래의 조건식들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 No. < 2.5
[조건식 2] 50 < FOV
[조건식 3] TTL/f < 1.0
[조건식 4] 0.52 < f1/f < 0.57
[조건식 5] D34/D45 <1.0
[조건식 6] 1.6 < Nd2
[조건식 7] 1.6 < Nd3
[조건식 8] 1.6 < Nd4
[조건식 9] 0.5 < DT4/D45 < 1.0
[조건식 10] 0.1 < DP45 < 0.3
[조건식 11] 1.0 < (Nd2*2)/(Nd3+Nd4)
상기 조건식에서 FOV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화각이고,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D34는 제3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제4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고, D45는 제4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제5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고, Nd2는 제2렌즈의 굴절률이고, Nd3은 제3렌즈의 굴절률이고, Nd4는 제4렌즈의 굴절률이고, DT4는 제4렌즈의 두께이고, DP45는 제4렌즈의 상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제5렌즈의 물체 측면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이다(도 7 참조).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100)는 제1렌즈(110),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 제6렌즈(16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130)의 물체 측면에는 6개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4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의 물체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1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160)의 양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촬상 광학계(100)는 필터(170), 이미지 센서(18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170)는 제6렌즈(160)와 이미지 센서(18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100)에서 제2렌즈(120) 내지 제4렌즈(140)는 다른 렌즈들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120) 내지 제4렌즈(140)의 굴절률은 모두 1.6 이상이다. 제2렌즈(120)는 가장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120)의 굴절률은 1.65 이상이다. 제6렌즈(160)는 가장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160)의 굴절률은 1.54 미만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 및 비구면 값은 표 1 및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도 3을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200)는 제1렌즈(210), 제2렌즈(220),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 제6렌즈(26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230)의 물체 측면에는 4개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4렌즈(2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의 물체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2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260)의 양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촬상 광학계(200)는 필터(270), 이미지 센서(28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270)는 제6렌즈(260)와 이미지 센서(28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210)와 제2렌즈(2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200)에서 제2렌즈(220) 내지 제4렌즈(240)는 다른 렌즈들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220) 내지 제4렌즈(240)의 굴절률은 모두 1.6 이상이다. 제2렌즈(220)는 가장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220)의 굴절률은 1.65 이상이다. 제6렌즈(260)는 가장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260)의 굴절률은 1.54 미만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 및 비구면 값은 표 3 및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도 5을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300)는 제1렌즈(310), 제2렌즈(320), 제3렌즈(330), 제4렌즈(340), 제5렌즈(350), 제6렌즈(360)를 포함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3렌즈(330)의 물체 측면에는 6개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4렌즈(3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의 물체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제6렌즈(36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6렌즈(360)의 양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된다.
촬상 광학계(300)는 필터(370), 이미지 센서(380), 조리개(ST)를 더 포함한다. 필터(370)는 제6렌즈(360)와 이미지 센서(380) 사이에 배치되고, 조리개(ST)는 제1렌즈(310)와 제2렌즈(320) 사이에 배치된다.
촬상 광학계(300)에서 제2렌즈(320) 내지 제4렌즈(340)는 다른 렌즈들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320) 내지 제4렌즈(340)의 굴절률은 모두 1.6 이상이다. 제2렌즈(320)는 가장 높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320)의 굴절률은 1.65 이상이다. 제6렌즈(360)는 가장 낮은 굴절률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360)의 굴절률은 1.54 미만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촬상 광학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차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렌즈 특성 및 비구면 값은 표 5 및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표 7은 제1실시 예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의 조건식 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촬상 광학계
110, 210, 310 제1렌즈
120, 220, 320 제2렌즈
130, 230, 330 제3렌즈
140, 240, 340 제4렌즈
150, 250, 350 제5렌즈
160, 260, 360 제6렌즈
170, 270, 370 (적외선 차단) 필터
180, 280, 380 이미지 센서 또는 상면

Claims (16)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고,
    전체 화각이 50도 이상이며,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TTL/f < 1.0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의 물체 측면에는 복수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D34/D45 < 1.0
    (상기 조건식에서 D34는 상기 제3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4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고, D45는 상기 제4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5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0.52 < f1/f < 0.57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1.6 < Nd2
    (상기 조건식에서 Nd2는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1.6 < Nd3
    (상기 조건식에서 Nd3은 상기 제3렌즈의 굴절률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1.6 < Nd4
    (상기 조건식에서 Nd4는 상기 제4렌즈의 굴절률이다)
  8.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TTL/f < 1.0
    (상기 조건식에서 TTL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광학계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조건식] 0.5 < DT4/D45 < 1.0
    (상기 조건식에서 DT4는 상기 제4렌즈의 두께이고, D45는 상기 제4렌즈의 상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5렌즈의 물체 측면까지의 거리이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촬상 광학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의 물체 측면에는 4개의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6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에는 변곡점이 형성되는 촬상 광학계.
KR1020190135746A 2018-02-09 2019-10-29 촬상 광학계 KR10234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46A KR102348000B1 (ko) 2018-02-09 2019-10-29 촬상 광학계
KR1020220000310A KR102410847B1 (ko) 2019-10-29 2022-01-03 촬상 광학계
KR1020220072064A KR102508830B1 (ko) 2019-10-29 2022-06-14 촬상 광학계
KR1020230029400A KR102653208B1 (ko) 2019-10-29 2023-03-06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07A KR102041700B1 (ko) 2018-02-09 2018-02-09 촬상 광학계
KR1020190135746A KR102348000B1 (ko) 2018-02-09 2019-10-29 촬상 광학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07A Division KR102041700B1 (ko) 2018-02-09 2018-02-09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310A Division KR102410847B1 (ko) 2019-10-29 2022-01-03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694A true KR20190124694A (ko) 2019-11-05
KR102348000B1 KR102348000B1 (ko) 2022-01-06

Family

ID=7934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746A KR102348000B1 (ko) 2018-02-09 2019-10-29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3453A1 (en) 2013-03-29 2014-10-02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US20160004047A1 (en) * 2013-03-25 2016-01-07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maging lens
US20160033744A1 (en) 2014-07-30 2016-02-04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optical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5572848A (zh) * 2016-03-02 2016-05-1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远镜头
US20160187622A1 (en) * 2014-12-30 2016-06-30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313539A1 (en) * 2013-05-31 2016-10-27 Kantatsu Co., Ltd. Imaging lens
KR101670130B1 (ko) * 2014-09-22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20170299846A1 (en) 2016-04-15 2017-10-19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04047A1 (en) * 2013-03-25 2016-01-07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maging lens
US20140293453A1 (en) 2013-03-29 2014-10-02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US20160313539A1 (en) * 2013-05-31 2016-10-27 Kantatsu Co., Ltd. Imaging lens
US20160033744A1 (en) 2014-07-30 2016-02-04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optical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70130B1 (ko) * 2014-09-22 201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20160187622A1 (en) * 2014-12-30 2016-06-30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5572848A (zh) * 2016-03-02 2016-05-11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远镜头
US20180335549A1 (en) * 2016-03-02 2018-11-22 Zhejiang Sunny Optics Co., Ltd. Telephoto camera lens
US20170299846A1 (en) 2016-04-15 2017-10-19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000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756B1 (ko) 촬상 광학계
KR102080657B1 (ko) 촬상 광학계
KR101946262B1 (ko) 촬상 광학계
KR102041700B1 (ko) 촬상 광학계
KR102071922B1 (ko) 촬상 광학계
KR101862451B1 (ko) 컨버터 광학계
KR102067455B1 (ko) 촬상 광학계
KR20190057664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24359A (ko) 촬상 광학계
KR102642916B1 (ko) 촬상 광학계
KR20190137484A (ko) 촬상 광학계
KR101973455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698B1 (ko) 촬상 광학계
KR1024108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348000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11042A (ko) 촬상 광학계
KR102504063B1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14B1 (ko) 촬상 광학계
KR1025971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620530B1 (ko) 촬상 광학계
KR102609162B1 (ko) 촬상 광학계
KR20210098423A (ko) 촬상 광학계
KR20200010543A (ko) 촬상 광학계
KR20210108924A (ko) 촬상 광학계
KR20210008909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