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396A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396A
KR20190124396A KR1020180048310A KR20180048310A KR20190124396A KR 20190124396 A KR20190124396 A KR 20190124396A KR 1020180048310 A KR1020180048310 A KR 1020180048310A KR 20180048310 A KR20180048310 A KR 20180048310A KR 20190124396 A KR20190124396 A KR 20190124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contact
current collecto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8787B1 (en
Inventor
신교민
김동희
박상진
임성훈
조정영
안승호
이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787B1/en
Publication of KR2019012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7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event damage of an electrode tab.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first structure coming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o protrude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membrane.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Lithium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한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n electrode assembly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 뿐만이 아니라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widely used not only as energy sources of mobile devices but also as energy source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리튬 이차전지(이하, '전지'라 함)는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지들 중에서 파우치형 전지는 복수개를 적층하여 이용이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변형도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다.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cylindrical, square, pouch,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ir shape. Among these batteries, a pouch-type battery is easily stack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has a high energy density per weight. In addition,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of its low cost and easy deformation.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와 연결된 전극탭, 전극 조립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한다. The pouch-type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an electrode tab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and a pouch packaging material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 sealed state.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에 음극에 실리콘(Si)을 적용하는 경우 음극의 부피 팽창하고 탭부가 절단 또는 파손이 되어 용량이 줄어들거나 저항이 증가하여 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When silicon (Si) is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ouch-type batt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put of the negative electrode decreases in volume due to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breakage or breakage of the tab part, thereby decreasing capacity or increasing resistance.

개시된 실시예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disclosed embodiment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양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 상기 양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구조체를 포함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he And a first structure provided in contact with on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separator.

또한, 상기 제1구조체의 길이는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의 길이 차이보다 클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tructure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separator and the anode.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조체가 위치한 일측면과 다른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2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uctur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anode and positioned on one side different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structure is located.

또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thode.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1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의 제2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anode, the second structure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may be opposed to each other. have.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서 상기 음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may exten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athode at the anode.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1측면에서 상기 음극의 제1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2측면에서 상기 음극의 제2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may exten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cathode on the first side of the anode, and the second structure may extend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on the second side of the anode. have.

또한, 상기 제1구조체의 두께는 상기 양극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e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node.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과, 상기 음극 집전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에 포함되는 실리콘은 3중량%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ed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silicon includ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3% by weight or more.

또한, 충전 시에 상기 음극의 두께 변화율은 25%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of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during charging may be 25% or more.

또한, 충전 시에 상기 음극의 면적 변화율은 1.5%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ea change 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during charging may be 1.5% or more.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anode.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또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thode.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음극과,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양극과,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적어도 2개 이상 병렬 적층되며, 상기 양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바디부와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formed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ositive electrode formed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parator form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a first structu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The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또한, 상기 제1구조체와 다른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2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ucture provided at a side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structure,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tructure is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또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서 상기 음극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극이 제1측면과 상기 음극의 제1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may extend from the anode toward the cathode so that the anode may contact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cathode.

또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에서 상기 양극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극의 제2측면에서 상기 양극의 제2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e may extend from the cathode toward the anode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anode at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음극의 부피 팽창이 있는 경우에도 구조체로 인해 전극탭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de tab from being damaged by the structure even when there is a volume expansion of the cath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overlaps between general contents or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맥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들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n exce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defined as one Used only to distinguish a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s "front", "rear", "upper" and "lower" and the like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vehicle refers to various devices for moving a vehicle, such as a human, an object, or an animal,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The vehicle may include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or a track, a vessel moving over the sea or a river, and an airplane flying through the sky using the action of air.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vehicle traveling on a road or track may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t least one wheel, for example, a three-wheeled or four-wheeled vehicle, a construction machine, a two-wheeled vehicle, a prime mover, a bicycle, and a train traveling on a track. It may inclu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 이차전지(1)는 전극 조립체(100)와, 전극 조립체(10)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20), 전극 조립체(10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파우치 외장재(20) 외측으로 연장되는 양극(101)과 음극(104)의 각각의 전극탭(11a, 13a)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pouches from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pouch sheath 2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at receive the electrode assembly 10 in a sealed state. Each of the electrode tabs 11a and 13a of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04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material 20 is included.

전극 조립체(100)는 양극(101)과 음극(104), 그리고 분리막(103)을 포함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n anode 101, a cathode 104, and a separator 103.

전극 조립체(100)는 분리막(103)을 사이에 둔 양극(101)과 음극(104)이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는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을 포함한 상태로 권취된 권취형 전극 조립체, 소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포함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적층형 전극 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포함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일 수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by stacking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04 with the separator 103 there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00 includes a woun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long sheet-shaped anode and a cathode are wound with a separator, and a plurality of stacked electrode assemblies sequentially stacked with a plurality of anodes and cathodes cut in small size units in a state including a separator. The bi-cell or the full cell may be a stack / foldabl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cathode and an anode of a predetermined unit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양극(101)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102)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활물질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101)은 양 면에 양극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 즉 양극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집전체(102)의 일측단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의 양극탭(11a)이 접합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101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Al) foil,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positive electrode 101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on which both surfac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re not formed. A positive electrode tab 11a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may be bonded to one end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음극(104)은 구리(Cu) 호일(foil)과 같은 전도성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105)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은 양측부에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 즉 음극무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104)은 일 측단에 니켈(Ni)와 같은 금속재질로 된 음극탭(13a)이 접합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에는 실리콘(Si), 주석(Sn)이 포함될 수 있다. 실리콘(Si)은 음극 전체 중량대비 3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분리막(103)은 양극(101)과 음극(104)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101)과 음극(104)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양극(101)과 음극(104) 사이에서 리튬 이온 등이 서로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103)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라프탈레이트(PET) 또는 이들의 복합필름을 사용한 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막(103)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극(101)과 음극(10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104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5 made of a conductive metal sheet such as copper (Cu)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both sid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re not formed. The negative electrode 104 may have a negative electrode tab 13a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nickel (Ni) at one side end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silicon (Si) and tin (Sn). Silicon (Si) may be included in more than 3%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Preferably at least 4.5% by weight may be included. The separator 103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04, and electrically insulates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04 from each other, and lithium ions or the like are separa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the negative electrode 104.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porous membrane to pass through each other. The separator 103 may be made of a porous membrane using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 composite film thereof.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4 may be sequentially stacked in a state where the separator 103 is positioned.

전극 조립체(100)를 밀봉하는 파우치 외장재(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와 같은 연질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20)는 두께를 가진 사각 패널 형태로,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한 상태에서 둘레가 압착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The pouch sheath 20 fo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with a soft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laminate sheet. The pouch sheath 20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nel having a thickness, and may be sealed by pressing the circumferenc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00 is accommodated.

또한, 각각의 양극탭(11a)과 음극탭(13a)은 전극 조립체(100)의 양측으로부터 파우치 외장채(20)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양극탭(11a)과 음극탭(13a)은 파우치 외장재(20)의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고 양극 리드(110)와 음극 리드(120)와 같은 다른 요소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1)는 용량이나 출력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듈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a may extend outwardly of the pouch sheath 20 from both sid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3a may be connected through other elements such as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20 without being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 sheath 20.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module by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 order to increase capacity or output.

복수개의 전극 조립체(100)는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서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100 may be provid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t least two electrode assemblies 10 may be provided stacked on each other.

복수개의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탭(11a)은 서로 용접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양극탭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극 조립체(10)의 음극탭(13a)은 서로 용접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음극탭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탭 용접부와 음극탭 용접부는 각각 양극 리드(110)와 음극 리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tabs 11a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100 may include positive electrode tab welds formed by welding to each other. The negative electrode tabs 13a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10 may include negative electrode tab welds formed by welding to each other. The positive electrode tab welding part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lding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2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음극 활물질로 실리콘, 주석이 이용되면, 리튬 이차전지(1)의 충전 시 전극 팽창이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충전 시에 음극의 두께 변화율이 2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면적 변화율은 1.5 %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시 음극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양극탭 용접부와 음극탭 용접부와 각각의 양극 리드(110)와 음극 리드(120) 사이에 텐션(tension)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음극탭 용접부 및 양극 탭 용접부가 끊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106, 도 2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When silicon and tin ar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expansion during the charging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s large. 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change 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during charging may be 25% or more. In addition, the area change rate may be 1.5% or more. As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increases during charging, tension is genera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weld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ld, and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20. Accordingly,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ld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weld may be broken. In order to prevent th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 structure 106 (see FI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101)의 두께가 음극(104)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리튬 이차전지(1)의 충전으로 인해 음극(104) 팽창하는 경우에는 음극(104)의 두께가 양극(101)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node 10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104. However, when the negative electrode 104 expands due to the charging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104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101.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의 일 측면과 접촉하며 양극 집전체(10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구조체(106)는 분리막(103)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In addition,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103.

제1구조체(106)의 길이(d1)는 분리막(103)과 양극(101)의 길이 차이(d2)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조체(106)의 길이는 전극 조립체(100)의 양극(101), 음극(104), 분리막(103)의 적층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101)은 분리막(103)보다 짧게 마련되고,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이 위치하지 않는 분리막(103)의 하부에 위치하며, 분리막(103)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구조체(106)의 길이는 음극(104)이 팽창으로 인해 팽창한 길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음극(104)의 팽창 길이는 조립시의 음극 길이 * 팽창량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length d1 of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difference d2 between the separator 103 and the anode 101. Herein, the length of the first structure 106 mean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anode 101, the cathode 104, and the separator 103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101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separator 103, and the first structure 106 is positioned below the separator 103 in which the anode 101 is not located.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103).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cathode 104 is expanded due to expansion. The expansion length of the cathode 104 may be defined as the cathode length at the time of assembly * the amount of expan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양극(101)에서 음극(104)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anode 10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anode 101, and may be provid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cathode 104 from the anode 101.

제1구조체(106)의 두께는 양극(10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구조체(106)의 두께는 음극(104)이 팽창한 후의 두께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음극 팽창 후의 두께는 아래의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node 101.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after the cathode 104 is expanded. The thickness after cathodic expansion can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음극 팽창후 두께 = 조립 시의 음극 두께 * 음극 팽창량 * 적층수Thickness after Cathode Expansion = Cathode Thickness at Assembly * Cathode Expansion * Stacked

제1구조체(106)는 전해액과 친화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101), 음극(104)에 전해액이 흡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전극 조립체(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ffinity with the electroly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electrode assembly 100 without preven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from being absorbed by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4.

양극 집전체(102)는 양극(101) 내에 위치한다. 양극 집전체(102)는 바디부(102a)와, 바디부(102a)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절곡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에 대해 돌출된 양극 집전체(102)의 바디부(102a)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양극 집전체(102)는 제1구조체(106)를 따라 유동성 있게 움직일 수 있다. 제1구조체(106)는 리튬 이차전지(1)의 충전으로 인해 음극(104)이 팽창하는 경우에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양극 집전체(102)도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극(104)이 팽창하는 경우에도 제1구조체(106)로 인해 양극 집전체(10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is located in the positive electrode 101.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2a and a bent portion 10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102a.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body portion 102a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electrode 101.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may fluidly move along the first structure 106.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bent or bent when the negative electrode 104 expands due to the charging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may also move together. Accordingly, even when the cathode 104 is expanded,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102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first structure 106.

제1구조체(106)는 양극(101)의 일 측면에 열 또는 광중합을 이용한 고분자를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106 may be formed by coating a polymer using heat or photopolymerization on one side of the anode 101.

제1구조체(106)가 양극 집전체(102)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충전 시 음극(104)의 부피 팽창이 있는 경우에도 제1구조체(106)로 인해 양극 집전체(10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structure 106 is provid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2 is caused by the first structure 106 even when there is a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104 during charging. It can prevent damage.

또한, 실리콘(Si)이 음극 전체 중량대비 4.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경우, 음극(104)의 팽창이 커져 분리막의 크기보다 커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화재, 폭발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106)로 인해 음극(104)이 팽창하여도 화재나 폭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ilicon (Si) is included in more than 4.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104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parator, in this case, a fire, explosion may occur. 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athode 104 is expanded due to the first structure 106, a fire or an explosion may be prevente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 설명된 제2구조체의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제1구조체와 동일한 소재, 두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structu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have the same material, thickness, and length as the first structure unless otherwis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조체(206)가 위치한 양극(101)의 일 측면과 다른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2구조체(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구조체(206)가 위치하는 양극(201)의 일 측면을 제1측면으로 정의하면, 제2구조체(207)는 제2측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구조체(207)는 양극(201)의 제2측면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ructure 207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anode 101 on which the first structure 206 is located. have.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anode 201 where the first structure 206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surface, the second structure 207 may be said to be locat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In this case, the second structure 207 may be formed by coating a second side surface of the anode 201.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조체(306)는 양극(101)에서 음극(104)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구조체(306)가 형성된 측면을 제1측면으로 정의하면, 제1구조체(306)는 양극(101)의 제1측면에서 음극(104)의 제1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structure 3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tend to contact one side of the cathode 104 at the anode 101. That is, when the side in which the first structure 306 is formed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the first structure 306 may exten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cathode 104 at the first side of the anode 101. .

제1구조체(306)는 양극(101)과 접촉하는 양극 접촉부(306a)와, 음극(104)과 접촉하는 음극 접촉부(306b)를 포함한다. The first structure 306 includes an anode contact portion 306a in contact with the anode 101 and a cathode contact portion 306b in contact with the cathode 104.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구조체(406)가 위치한 양극(101)의 일 측면과 다른 일 측면에 위치하는 제2구조체(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구조체(406)가 위치하는 양극(101)의 일 측면을 제1측면으로 정의하면, 제2구조체(407)는 제2측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furth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node 101 on which the first structure 406 is locat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one side of the anode 101 on which the first structure 406 is located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surface,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said to be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의 제2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양극(101)의 제2측면에는 제2구조체(407)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의 제2측면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provided to contact one side of the cathode 104. That is,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cathode 104. In this case,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not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anode 101. In this case,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104.

제1구조체(406)는 양극(101)의 제1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의 제2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측면과 제2측면은 서로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structure 406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anode 101, and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104.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may b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제2구조체(407)는 분리막(103)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구조체(407)의 길이는 분리막(103)과 음극(104)의 길이 차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구조체(407)의 길이는 전극 조립체(400)의 양극(101), 음극(104), 분리막(103)의 적층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104)은 분리막(103)보다 짧게 마련되고,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이 위치하지 않는 분리막(103)의 하부에 위치하며, 분리막(103)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103. The length of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separator 103 and the cathode 104. Herein, the length of the second structure 407 means a length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anode 101, the cathode 104, and the separator 103 of the electrode assembly 400. 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104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separator 103, and the second structure 407 is positioned below the separator 103 in which the cathode 104 is not located.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103).

음극 집전체(405)는 음극(104)내에 위치한다. 음극 집전체(405)는 바디부(405a)와, 바디부(405a)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40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조체(407)는 음극(104)에 대해 돌출된 음극 집전체(405)의 바디부(405a)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is loc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104.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may include a body portion 405a and a bent portion 405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405a and bent downward.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body portion 405a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protru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104.

제2구조체(407)는 음극 집전체(405)의 바디부(405a)의 일부분과 절곡부(405b)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극(104) 팽창 시, 제2구조체(407)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극 집전체(405) 또한 함께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음극 집전체(40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formed to contac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405a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and a portion of the bent portion 405b. Accordingly, when the cathode 104 is expanded, the second structure 407 may be bent or bent, and thus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05 may also be bent or bent togeth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node current collector 405. can do.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조체(507)는 양극(101)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구조체(507)는 양극(101)의 제2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구조체(507)는 양극(101)의 제2측면에서 음극(104)의 제2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구조체(506)는 양극(101)과 접촉하는 제1양극접촉부(506a)와, 음극(104)과 접촉하는 제1음극접촉부(50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구조체(507)는 양극(101)과 접촉하는 제2양극접촉부(507a)와, 음극(104)와 접촉하는 제2음극접촉부(507b)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provided to contact one side of the anode 101. That is,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anode 101.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extend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cathode 104 at the second side of the anode 101. That is, the first structure 506 may include a first positive electrode contact portion 506a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a first negative electrode contact portion 506b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104. 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include a second positive electrode contact portion 507a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101 and a second negative electrode contact portion 507b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104.

또한,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에 따르면, 제1구조체(506)는 양극(101)의 제1측면에서 음극(104)의 제1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first structure 506 may exten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cathode 104 at the first side of the anode 101.

제2구조체(507)는 분리막(103)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구조체(507)의 길이는 분리막(103)과 음극(104)의 길이 차이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구조체(507)의 길이는 전극 조립체(500)의 양극(101), 음극(104), 분리막(103)의 적층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극(104)은 분리막(103)보다 짧게 마련되고, 제2구조체(507)는 음극(104)이 위치하지 않는 분리막(103)의 하부에 위치하며, 분리막(103)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103. The length of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separator 103 and the cathode 104. Herein, the length of the second structure 507 means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anode 101, the cathode 104, and the separator 103 of the electrode assembly 500. That i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hode 104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separator 103, and the second structure 507 is positioned below the separator 103 in which the cathode 104 is not located.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103).

음극 집전체(405)는 음극(104)내에 위치한다. 음극 집전체(405)는 바디부(405a)와, 바디부(405a)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405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is loc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104.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may include a body portion 405a and a bent portion 405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405a and bent downward.

제2구조체(507)는 음극 집전체(405)의 바디부(405a)와 절곡부(405b)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극(104) 팽창 시, 제2구조체(507)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극 집전체(405) 또한 함께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음극 집전체(40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body portion 405a and the bent portion 405b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Accordingly, when the cathode 104 is expanded, the second structure 507 may be bent or curved, and thus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may also be bent or bent togeth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405. can do.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표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ab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리튬 이차전지 20: 파우치 외장재
11a: 양극탭 13a: 음극탭
100, 200, 300, 400, 500: 전극 조립체
101: 양극 103: 분리막
104: 음극 105: 양극 집전체
106, 206, 306, 406, 506: 제1구조체
207, 407, 507: 제2구조체
110: 양극 리드 120: 음극 리드
1: lithium secondary battery 20: pouch packaging material
11a: positive electrode tab 13a: negative electrode tab
100, 200, 300, 400, 500: electrode assembly
101: anode 103: separator
104: negative electrode 105: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106, 206, 306, 406, 506: first structure
207, 407, 507: second structure
110: anode lead 120: cathode lead

Claims (19)

양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양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
상기 양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구조체;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 first structu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protruded outwardly from the separat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의 길이는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의 길이 차이보다 큰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structure is larg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of the separat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조체가 위치한 일측면과 다른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2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ructur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urther comprises a second structur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structure is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tructure is loc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tructur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vided 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1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의 제2측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은 서로 대향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tructure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second structure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opposed to each other lithium secondary batter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서 상기 음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ructure extend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in the positive electr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1측면에서 상기 음극의 제1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양극의 제2측면에서 상기 음극의 제2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tructure extends to contact the first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at the first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econd structure extends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at the second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의 두께는 상기 양극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structur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에 도포된 양극 활물질과, 상기 음극 집전체에 도포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 활물질에 포함되는 실리콘은 3중량% 이상인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Silicon contained 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t least 3% by weight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9항에 있어서,
충전 시에 상기 음극의 두께 변화율은 25% 이상인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9,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thickness change rate of 25% or more during charging.
제9항에 있어서,
충전 시에 상기 음극의 면적 변화율은 1.5% 이상인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9,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n area change rate of the negative electrode at the time of charging 1.5%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structur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ody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bent downwar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에 대해 돌출된 상기 바디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structur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negative electrode.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음극과,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되는 양극과,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형성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가 적어도 2개 이상 병렬 적층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일 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바디부와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리튬 이차전지.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 positive electrode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separator form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is laminated in parallel,
A first structu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The first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와 다른 일 측면에 마련되는 제2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극 집전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절곡부와 접촉하며, 상기 분리막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ructure provided on one side different from the first structure,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The second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with respect to the separato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조체는 상기 양극에서 상기 음극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양극이 제1측면과 상기 음극의 제1측면과 접촉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6,
The first structure extends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oward the negative electrode such that the positive electrode contacts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조체는 상기 음극에서 상기 양극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음극의 제2측면에서 상기 양극의 제2측면과 접촉하는 리튬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cond structure extends from the negative electrode toward the positive electrode to contact the second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at the second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KR1020180048310A 2018-04-26 2018-04-26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58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10A KR102558787B1 (en) 2018-04-26 2018-04-26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310A KR102558787B1 (en) 2018-04-26 2018-04-26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96A true KR20190124396A (en) 2019-11-05
KR102558787B1 KR102558787B1 (en) 2023-07-25

Family

ID=6857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10A KR102558787B1 (en) 2018-04-26 2018-04-26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7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96A1 (en)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ode with extension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637A (en) * 2001-12-28 2003-07-18 Sanyo Electric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40018136A (en) * 2012-08-01 2014-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637A (en) * 2001-12-28 2003-07-18 Sanyo Electric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40018136A (en) * 2012-08-01 2014-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chemical cell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96A1 (en)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node with extension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787B1 (en)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527B1 (en) Pouch cas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10535847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ouch type exterior member with folded sealing part
US10847850B2 (en) Cooling plat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508416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KR102051109B1 (en) Battery Module
KR102618844B1 (en) Lead tabs for battery terminals
KR102058194B1 (en) battery module
KR1014994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and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Thereby
US11437653B2 (en) Laminated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device
KR101590259B1 (en)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80106408A (en) Electrode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20180126534A (en) Multi-joint battery module
KR20190067312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160134331A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486623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408652B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oling structure
KR102558787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02540A (en) cell battery
KR101662640B1 (en)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tab-lead coupling structure
KR102069512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wo-typed Separators
KR102053987B1 (en) Battery Cell
US20230411807A1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JPWO2018131377A1 (en) Secondary battery
KR101616502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lid and electrode tab connected by slit
CN110350135B (en) Battery pack with battery cells having asymmetric packaging and symmetric current pa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