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988A - 난방 겸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난방 겸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988A
KR20190123988A KR1020180047983A KR20180047983A KR20190123988A KR 20190123988 A KR20190123988 A KR 20190123988A KR 1020180047983 A KR1020180047983 A KR 1020180047983A KR 20180047983 A KR20180047983 A KR 20180047983A KR 20190123988 A KR20190123988 A KR 2019012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ing
ceiling
lighting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택
김서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들
Priority to KR102018004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3988A/ko
Publication of KR2019012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겸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난방 장치를 조명 장치에 일체화하여 실내 난방과 조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天障)이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에 마련되는 발열체와, 상기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는 난방부; 및 상기 천장이나 벽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제1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개구된 제1개구부에는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 겸용 조명 장치{HEATING AN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 겸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저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난방 장치를 조명 장치에 일체화하여 실내 난방과 조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난방 설비를 구비하고, 석유나 가스 등의 화석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서 난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한 가스를 옥외로 방출해야 하기 때문에 대기오염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며, 실내 공기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난방을 해야 하므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난방장치는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냉온풍기에 의한 온도 이동에 따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동반되어 실내공기가 쾌적하지 못하고, 유해 전자파가 작용하여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난방 설비시 배관설치와 바닥난방설치의 비용이 부담되고, 에너지가 비효율적이어서 사후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실내의 온도유지 및 에너지 손실을 막기 위해 복사열 방사층 전기가열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사열 방사층 전기가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의 복사열 방사층 전기가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발열층, 복사열 방사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복사열을 방사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기가열장치는 실내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시 조명장치를 피하여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부담되고, 상기 조명장치와 전기가열장치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에너지관리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KR 10-1443594 B1(2014.09.24.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난방 장치를 조명 장치에 일체화하여 실내 난방과 조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天障)이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에 마련되는 발열체와, 상기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는 난방부; 및 상기 천장이나 벽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제1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개구된 제1개구부에는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열체는 탄소 발열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열체는 복수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되 개구된 제2개구부에는 조명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은 광투과성 재질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제1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난방부와 조명부를 일체화하여 저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난방장치와 조명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사열 방사층 전기가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 겸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겸용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방 겸용 조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겸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겸용 조명 장치는, 난방부와 조명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저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난방장치와 조명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난방부는 제1프레임, 발열체 및 송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프레임은 천장(天障)이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프레임의 제1수용공간은 후술할 발열체와 송풍기가 설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제1수용공간에 마련되는데, 이때, 발열체는 탄소 발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복수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봉이 여러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탄소 발열체는 탄소 섬유를 연사, 합사, 표면처리 등의 제조 공정을 거쳐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든 가열체를 말한다.
주로 흑연을 사용하며, 탄소와 탄소 복합체를 사용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러한 탄소 발열체는 금속처럼 용융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금속 발열체에서 볼 수 없는 1500℃ 이상의 고열을 만들 수 있고, 실용적인 면에서 3000℃ 까지 발열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된다.
송풍기는 DC 블로워 팬으로서 하나 이상 마련되고,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어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제1프레임이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발열체는 제1수용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프레임에서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부분에는 제1개구부가 형성이 되는데, 이러한 제1개구부에는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된다.
제1수용공간의 내부에서 공기정화필터와 송풍기 및 발열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발열체로부터 가열된 열기가 송풍기에 의해 원활하게 유동하면서 공기정회필터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는 제2프레임과 조명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프레임은 천장이나 벽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하게 제1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데,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의 측면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2프레임에서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부분에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다.
조명부는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모듈은 제2프레임의 제2개구부에 설치되는데, 광투과성 재질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천장(天障)이나 벽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에 마련되는 발열체와, 상기 제1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체로부터 발생된 열기를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송풍기를 포함하는 난방부; 및
    상기 천장이나 벽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과 나란하게 상기 제1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제2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조명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개구된 제1개구부에는 공기정화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탄소 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복수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된 면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되 개구된 제2개구부에는 조명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은 광투과성 재질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프레임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프레임의 측면 둘레를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겸용 조명 장치.
KR1020180047983A 2018-04-25 2018-04-25 난방 겸용 조명 장치 KR20190123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83A KR20190123988A (ko) 2018-04-25 2018-04-25 난방 겸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983A KR20190123988A (ko) 2018-04-25 2018-04-25 난방 겸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988A true KR20190123988A (ko) 2019-11-04

Family

ID=6857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983A KR20190123988A (ko) 2018-04-25 2018-04-25 난방 겸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39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94B1 (ko) 2014-02-10 2014-09-24 이병학 조명 겸용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842B2 (en) Thermal detonator with multiple light sources and reflective enclosure
CN101936467B (zh) 照明装置
CN106102189B (zh) 加热器单元和热处理装置
CN106953548B (zh) 一种基于塞贝克效应和相变储热的热电燃气炉
CN102954365A (zh) 具广角漫射效果的灯具及其光罩
CN104315476A (zh) 舞台灯具散热系统及应用该系统的舞台灯及其散热方法
US2688685A (en) Sheath-resistance heater and panel supporting structures therefor which are built into heating devices
KR101336725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난방기
JP2017059416A (ja) Led照明装置
KR20120036393A (ko) 엘이디 조명기구
KR20190123988A (ko) 난방 겸용 조명 장치
US20150117025A1 (en) Light Fixture
CN103375764A (zh) 灯罩及使用该灯罩的照明装置
CN106016369A (zh) 温差自发电驱动供风的炉灶
KR20130091108A (ko) 모듈형 엘이디 조명기구의 케이싱 장치
JP5789565B2 (ja) 照明装置
CN203099558U (zh) 具多个高强度气体放电灯的舞台灯具结构
KR20100053042A (ko) 전등 기구의 복사열을 이용한 발전 장치
RU175439U1 (ru) Устройство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CN201396610Y (zh) 氙灯冷却系统改进的日光模拟试验箱
US9127821B2 (en) Partially recessed luminaire
CN107154752B (zh) 温差发电机的鼓风结构以及温差发电机
KR200386552Y1 (ko) 열전도 효율을 극대화한 방열판
KR200391217Y1 (ko) 전기방열판히터
CN205782143U (zh) 一种配光学透镜高照度的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