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589A -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589A
KR20190123589A KR1020180047466A KR20180047466A KR20190123589A KR 20190123589 A KR20190123589 A KR 20190123589A KR 1020180047466 A KR1020180047466 A KR 1020180047466A KR 20180047466 A KR20180047466 A KR 20180047466A KR 20190123589 A KR20190123589 A KR 20190123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elf
support
droplet discharg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43B1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김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우 filed Critical 김상우
Priority to KR102018004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8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arrangements fo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ing the merchand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 케이스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진열된 상품이 자중에 의해 차례로 하강하도록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반용 프레임의 내부에 다 열로 설치되는 롤러어세이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받침대에 직접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롤러어세이(10)의 저면에 결합홈(12)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개의 롤러어세이(10)를 받침판(20)에 얹어 측면부재(1)에 체결부재(2)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20)에는 결합홈(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물방울 배출구멍(21)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지지구(30)의 탄성편(31)을 결합홈(12)에 끼워 롤러어세이(10)가 받침대(20)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rollerass'y Support device for shelf of showcase}
본 발명은 쇼 케이스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진열된 상품이 자중에 의해 차례로 하강하도록 하는 쇼 케이스 선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선반용 프레임의 내부에 다 열로 설치되는 롤러어세이(rollerass'y)를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받침대에 직접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에는 각종 상품의 진열을 위해 쇼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냉장고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내부에는 상, 하로 선반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반의 상면에는 각종 캔음료나 병 음료 등의 상품이 차례로 얹혀진 상태로 진열되어 있다.
즉, 상기 쇼 케이스 냉장고는 그 전면에 냉장고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의 공간을 다층으로 분할하는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반의 상면에는 각종 캔음료나 병 음료 등의 진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 층의 선반은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매개로 회전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소비자가 선반의 전단부 측에 진열된 상품을 꺼내면 그와 인접한 후측의 상품이 자중에 의해 상기 선반 상면을 따라 구르면서 다시 선반의 전단부 측으로 내려와 자동으로 빈공간을 채우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로써, 종래의 선반은 복수 개의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와, 상기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가 사각틀형태로 조립되는 선반부재(50)의 전·후면에 고정되는 전면부재(60) 및 후면부재(70)와, 상기 선반부재(50)의 최외측에 고정되는 측면부재(80)와, 상기 전·후면부재(60)(70) 및 측면부재(80)에 형성된 걸쇠 삽입공(도시는 생략함)에 양단이 끼워져 롤러선반(100)이 사각틀형태로 유지시키는 4개의 걸쇠(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롤러 어세이(41)가 안착되는 안착홈(42)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암 더브테일(43) 및 숫 더브테일(44)이 형성되어 있어 롤러선반(100)의 크기에 따라 암·숫 더브테일(43)(44)을 이용하여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 개의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를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부재(60)는 중심부에 간격조절부재(62)가 끼워지는 간격조절부재 삽입홈(6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 측으로는 걸쇠(90)의 일단이 고정되는 걸쇠 삽입공(61) 및 이탈방지편(64)이 삽입되는 이탈방지편 삽입홈(69) 그리고 안내판(65)이 삽입되는 안내판 삽입홈(66)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편 삽입홈(69)에는 이탈방지편(64)이 억지끼움되도록 상·하에 대향된 후크(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부재(70)는 전면부재(60)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간격조절부재(72)가 끼워지는 간격조절부재 삽입홈(7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으로는 걸쇠(90)의 일단이 고정되는 걸쇠 삽입공(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면부재(60)(70)의 일단에는 상면(68a)(74a)보다 하면(68b)(74b)의 길이가 긴 어댑터 삽입홈(68)(7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어댑터삽입홈(68)(74)에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의 양단에 고정된 어댑터(45)를 결합하여 스크류(46)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재(80)는 걸쇠(90)의 다른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걸쇠 삽입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롤러 어세이(41)가 안착되는 안착홈(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 어세이 안착부재(40)와 더브테일 이음할 수 있도록 숫 더브테일(44) 또는 암 더브테일(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선반(100)의 저면에서 횡 방향을 따라 롤러선반을 더욱 견고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복수 개의 지지대(51)가 전폭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32443(2017.04.26.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78730(2012.08.27.등록)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0713(2006.06.28.등록)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롤러선반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암, 숫 더브테일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어세이 안착부재의 결합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지대를 사용하더라도 롤러선반을 견고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많은 양의 물품(캔 음료, 맥주 등)을 얹어 진열하게 되므로 중간부위가 처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지지대의 양단을 측면부재에 스크류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암, 숫 더브테일에 의해 연결되는 롤러어세이 안착부재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은 방지하나, 상방으로 들리는 현상은 방지하지 못해 롤러선반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롤러어세이 안착부재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셋째, 롤러어세이를 롤러어세이 안착부재에 안착 고정하였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롤러어세이 안착부재를 압출 성형하기 때문에 롤러선반의 생산원가가 상승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고가의 롤러어세이 안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롤러어세이를 받침판에 견고한 상태로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판에 형성되는 물방울 배출구멍을 통해 지지구로 롤러어세이를 받침판에 견고하게 지지하여 롤러어세이가 들뜨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롤러어세이의 저면에 결합홈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개의 롤러어세이를 받침판에 얹어 측면부재에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결합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물방울 배출구멍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물방울 배출구멍을 통해 지지구의 탄성편을 결합홈에 끼워 롤러어세이가 받침대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쇼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을 하부로 배출하기 위해 받침대에 형성되는 물방울 배출구멍을 이용하여 고가의 롤러어세이 안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롤러어세이를 받침판에 견고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롤러선반의 경량화 실현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생산공정을 대폭 줄이게 되므로 인해 롤러선반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롤러어세이 안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롤러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저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상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구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롤러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저면을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으로써,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롤러(11)가 일렬로 배열된 롤러어세이(10)의 저면에 결합홈(12)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 개의 롤러어세이(10)가 얹혀져 측면부재(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로 체결 고정되는 받침판(20)에는 결합홈(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물방울 배출구멍(21)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지지구(30)의 탄성편(31)을 결합홈(12)에 끼워 롤러어세이(10)가 받침대(2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 어세이(10)의 조립부위인 양 측면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싸이드 펜스(3)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3개의 삽입돌기(3a)가 끼워지는 삽입홈(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14)에 싸이드 펜스(3)의 삽입돌기(3a)를 끼우면 진열되는 상품이 롤러 선반의 바깥측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0)에 형성된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고정되어 롤러어세이(10)를 받침판(20)에 지지하는 지지구(3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홈(12)에 억지 끼움되는 탄성편(31)과, 받침판(20)에 지지되는 반달형상의 플랜지(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32)가 물방울 배출구멍(21)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31)은 "U" 자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31a)와, 상기 절곡부(31a)의 양측으로 외향되게 형성되어 결합홈(12)에 억지 끼워져 걸리는 걸림부(3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0)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홈(22)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22)의 내부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대(25)가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요입홈(22) 및 보강대(25)의 형상 및 간격은 당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므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받침대(20)는 내부식성이 양호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아연의 장점인 희생방식성과 내알카리성, 알루미늄의 장점인 내구성과 내열성, 내산성을 가장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알루미늄(Al)-아연(Zn) 고내식 합금용융도금강판인 갈바륨(Galvalume)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어세이(10)의 전, 후방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도시는 생략함)이 끼워지는 칸막이 삽입홈(13a(13b)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롤러선반의 규격에 따라 받침판(20)의 크기를 절단하여 요입홈(22)을 소정의 간격으로 프레싱할 때, 상기 롤러어세이(10)의 배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복수 개의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받침판(20)이 성형되고 나면 상기 받침판(20)의 가로방향을 따라 에 형성된 요입홈(22)에 보강대(25)를 넣은 다음 받침대(20)의 상면에 롤러어세이(10)를 얹고, 롤러어세이(10)의 양측면에 측면부재(1)를 각각 대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로 받침판(20)의 요입홈(22)에 위치하는 보강대(25)에 고정함과 동시에 전면부재(3) 및 후면부재(4)를 측면부재(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로 고정함으로써, 롤러어세이(10)의 가장자리가 지지된다.
상기 측면부재(1)가 보강대(25)에 나사 고정됨에 따라 측면부재(1)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롤러어세이(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나면 롤러선반을 도 7과 같이 뒤집어 받침판(20)의 물방울 배출구멍(21)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받침판(20)의 외부로 노출된 각 결합홈(12)에 지지구(30)의 탄성편(31)을 강하게 압압하여 받침판(20)에 롤러어세이(10)가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지지구(30)의 탄성편(3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구(30)의 플랜지(32)을 강하게 압압하면 절곡부(31a)의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의 걸림부(31b)가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홈(12)에 삽입되었다가 탄성편(31)의 삽입이 완료되고 나면 걸림부(31b)가 복원력을 갖으면서 결합홈(12)의 내주면에 강하게 지지하므로 지지구(30)가 결합홈(12)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받침판(20)에 지지구(30)를 이용하여 롤러 어세이(10)를 고정시키고 나면 롤러 선반을 도 8과 같이 다시 뒤집은 다음 측면부재(1)의 내측으로 사이드 펜스(3)를 조립함과 동시에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도시는 생략함)의 폭(지름)에 따라 롤러 어세이(10)를 구획하도록 칸막이를 칸막이 삽입홈(13a)(13b)에 끼우고 싸이드 펜스(3)의 삽입돌기(3a)를 삽입홈(14)에 끼워 롤러 선반의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으로 롤러 선반의 조립을 완료하고 나면 지지구(30)의 플랜지(32)가 물방울 배출구멍(21)의 1/2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쇼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물방울을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판(20)에 형성된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지지구(30)가 끼워지지 않은 나머지 물방울 배출구멍(21)이 있어 쇼 케이스의 내부에 상품이 얹혀져 최선단에 위치하는 상품을 꺼냄에 따라 나머지 상품이 자유낙하되어 하강할 때, 롤러의 회전에 따른 마찰 소음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측면부재 3 : 싸이드 펜스
10 : 롤러어세이 12 : 결합홈
20 : 받침판 21 : 물방울 배출구멍
22 : 요입홈 25 : 보강대
30 : 지지구 31 : 탄성편
31a : 절곡부 31b : 걸림부
32 : 플랜지부

Claims (4)

  1. 롤러어세이(10)의 저면에 결합홈(12)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복수 개의 롤러어세이(10)를 받침판(20)에 얹어 측면부재(1)에 체결부재(2)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받침판(20)에는 결합홈(1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물방울 배출구멍(21)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하여 상기 물방울 배출구멍(21)을 통해 지지구(30)의 탄성편(31)을 결합홈(12)에 끼워 롤러어세이(10)가 받침대(20)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30)의 탄성편(31)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32)가 물방울 배출구멍(21)보다 큰 반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요입홈(22)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22) 내에 보강대(25)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 에세이(10)의 양측에 3개의 삽입홈(14)을 형성하고 싸이드 펜스(3)의 저부에는 상기 삽입홈(14)에 끼워지는 3개의 삽입돌기(3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KR1020180047466A 2018-04-24 2018-04-24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KR10208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66A KR102089143B1 (ko) 2018-04-24 2018-04-24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466A KR102089143B1 (ko) 2018-04-24 2018-04-24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589A true KR20190123589A (ko) 2019-11-01
KR102089143B1 KR102089143B1 (ko) 2020-04-23

Family

ID=6853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466A KR102089143B1 (ko) 2018-04-24 2018-04-24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38A (ko) 2021-04-27 2022-11-03 김상우 쇼케이스용 선반의 가격표 부착기구
KR102613171B1 (ko) 2021-08-05 2023-12-12 김상우 쇼케이스용 선반의 가격표 부착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12Y1 (ko) * 2003-02-04 2003-05-01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101156839B1 (ko) * 2012-03-05 2012-06-18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쇼케이스용 롤링 선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612Y1 (ko) * 2003-02-04 2003-05-01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101156839B1 (ko) * 2012-03-05 2012-06-18 주식회사금원하이텍 쇼케이스용 롤링 선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143B1 (ko)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336B1 (ko) 음료수 진열형 인출서랍
US6837384B2 (en) Storage track
US20220071390A1 (en) Method of installing mounting system with insertable brackets and support brackets
US9016484B2 (en) Display tray and bar, and mounting bracket therefor
US5101989A (en) Display system
US5509541A (en) Bracket construction
US20170007038A1 (en) Merchandise pusher tray with adjustable side barriers
US20130075352A1 (en) Display shelf with adjustable divider walls
US20180110345A1 (en) Discrete gravity feed merchandise advancement seats and assembly combinations
TWI477251B (zh) 展示台的旋轉型架子結構
KR20190123589A (ko) 쇼 케이스 선반용 롤러어세이 지지장치
CA2868584C (en) Merchandise display system
EP4142542A1 (en) Hang standard and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hang standard
EP3915438A1 (en) Retail merchandise shelving system and deck panels for same
EP3241465B1 (en) Metal shelving with reduced thickness for displaying merchandise
US4221443A (en) Fully exposed shelf standard
TW201605386A (zh) 重力裝貨式貨架展示系統
US5943828A (en) Display assembly
US20070029327A1 (en) Locking display tray
KR200426349Y1 (ko) 상품 진열대용 보조선반
US10791850B1 (en) Retail display unit for multiple shaped products
US6311855B1 (en) Display rack for supporting packages of abrasive sheets on a display stand
KR101092475B1 (ko) 냉장고의 쇼케이스용 롤링선반 구조
KR20170023630A (ko) 쇼케이스 냉장고의 롤러선반 및 장착장치
KR200438352Y1 (ko) 진열대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