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428A -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428A
KR20190122428A KR1020180046190A KR20180046190A KR20190122428A KR 20190122428 A KR20190122428 A KR 20190122428A KR 1020180046190 A KR1020180046190 A KR 1020180046190A KR 20180046190 A KR20180046190 A KR 20180046190A KR 20190122428 A KR20190122428 A KR 2019012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assembly
case
ignition coil
type cor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3431B1 (en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주)이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림전자 filed Critical (주)이림전자
Priority to KR102018004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31B1/en
Publication of KR2019012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4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 H01F2038/127Ignition, e.g. for IC engines with magnetic circuit including permanent magnet

Abstract

Disclosed is an ignition coil which can minimize the loss factor through application of a closed magnetic circuit-type core for minimizing the magnetic path leakage, thereby increasing discharge efficiency and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 iron core (core) to implement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a product, thereby increasing economical efficiency. A case (20) of the ignition coil is shaped to correspond to a plug top type. An I-type core (30) is inserted into an O-type core (34) after the assembly of first and second bobbin assemblies (40, 5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obbin assembly (40). A permanent magnet (34)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I-type core (30)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O-type core (34). The first bobbin assembly (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bbin assembly (50). A secondary coil (54) is wound in winding regions divided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55)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bbin assembly (50). A connector (60) and a PCB module (70)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20). A boot (8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20). An H/V spring (90) is inserted into the boot (80).

Description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본 발명은 방전효율이 향상된 점화코일에 관한 것으로, 자로누설이 최소화되는 폐자로(閉磁路)형 코어 적용을 통해 손실률을 최소함으로써 방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철심(코어)의 단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여 경제성이 향상된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coil with improved discharge efficiency, which minimizes the loss rate through application of a closed furnace core that minimizes magnetic leakage, thereby improving discharge efficiency and minimiz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c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which is economical by implement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일반적으로, 점화코일은 엔진제어장치(ECU)의 점화신호를 받아 배터리의 낮은 전압으로부터 수십 KV의 높은 전압을 발생시켜 스파크플러그에 전기불꽃 방전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혼합가스를 불꽃방전으로 연소시키고 그 혼합가스의 폭발력으로 엔진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자동차가 구동하게 하는 엔진의 중요 구성제품이다. In general, an ignition coil generates an electric flame discharge on a spark plug by receiving an ignition signal from an engine control unit (ECU) to generate a high voltage of several tens of KV from a low voltage of a battery. I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n engine that allows an automobile to be driven by the piston movement of the engine by the explosive force of the mixed gas.

최초 점화코일은 지관(紙管)형의 보빈(Bobbin)에 권선을 하고 고압을 절연하기 위하여 오일로 충진하여 사용하였으며, 점차 기술의 향상으로 플라스틱 섹션 보빈에 권선을 하고, 에폭시로 절연하여 사용하면서 급속한 발전을 하게 되었으며, 오래전부터 자동차의 배전기(Distributer)가 필요 없이 적절한 시기에 엔진에 고전압을 전달하게 되었다. The first ignition coil was used by winding the bobbin of the branch pipe type and filling it with oil to insulate the high pressure.While gradually improving the technology, the coil was wound on the plastic section bobbin and insulated with epoxy. Rapid advances have been made, and for a long time, high voltages were delivered to the engine at the right time without the need for a distributor of cars.

최근에는 전자산업의 발전 및 소형화, 애프터 서비스 편리성 추구 등으로, 엔진 각각의 실린더에 직접 장착하여 스파크 플러그와 직접 연결됨으로, 연결 케이블 등에서 생기는 손실도 줄이고 작업성도 용이한 펜슬(Pencil) 또는 시거(Cigar)타입 점화코일이 개발되어 현재 신규 차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and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the pursuit of convenience of after-sales servic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park plug by directly attaching to each cylinder of the engine. Cigar) type ignition coil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currently being used in many new models.

자동차 산업의 점화계통의 세계적인 추세는 점점 고효율 점화코일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용되는 점화코일의 주력품인 펜슬타입의 점화코일로는 이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점화코일의 1차, 2차코일에 유도되는 자력의 세기를 크게 하여 높은 전압을 유도하는 코어(철심)의 크기와 구조적 제한 때문이다. The global trend in the ignition system of the automotive industry is increasingly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ignition coils. However, pencil type ignition coils, which are the main products of commercial ignition coils, cannot satisfy this. One of the reasons is the size and structural limitation of the core (iron core) which induces high voltage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induc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of the ignition coil.

철심은 단면적, 간극, 재질 등에 따라, L(인덕턴스)값이 변화하여 출력전압과 방전에너지(Spark Energy)에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서, 코어 시트(0.3~0.5t)를 수십장 적층하여 코어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 원하는 자력의 세기 증대시키는 목적의 부품이다. 펜슬코일의 철심 구조는 “I자형”으로 개자로(開磁路)인데, 이는 플러그 탑 타입(Plug Top Type)등 다른 타입보다 철심의 단면적이 적어서 자력의 세기가 작을 수 밖에 없고 자로누설에 의한 손실률이 크기 때문에 고효율의 방전에너지를 얻기는 매우 어렵다.  Iron co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utput voltage and spark energy by changing L (inductance) value according to cross-sectional area, gap, material, etc. It is a componen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desired magnetic force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The iron core structure of the pencil coil is “I-shaped”, which means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iron core is smaller than other types such as the plug top type, s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is small. Due to the large loss rate,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high efficiency discharge energ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1173호(등록일자: 2006년 03월 08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61173 (Registration Date: March 08, 20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1712호(등록일자: 2010년 02월 03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41712 (Registration Date: February 03,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572호(등록일자: 2007년 03월 23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01572 (Registration Date: March 23, 20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국제적인 개발 추세에 따라 점화코일의 방전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자로누설이 최소화되는 폐자로(閉磁路)형 코어 적용을 통해 손실률을 최소하여 방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철심(코어)의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된 자동차용 점화코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ischarge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loss rat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closed core to minimize the self-leakage in order to maximize the discharge energy of the ignition coil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trend The aim is to provide an automotive ignition coil with economical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core) to realiz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력의 세기를 증대시킬 수 있게 영구자석을 철심(코어)과 철심의 연결 부위에 부착시킴으로써 콤팩트화가 가능한 고효율의 점화코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y efficient ignition coil that can be compacted by attaching a permanent magnet to the core (cor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ron cor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점화코일로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gnition coil,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케이스 -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확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부내에는 부싱이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상에는 돌출부가 수직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내에는 엔진의 스파크 플러그로 고압을 전달해주기 위한 H/V 컨택(contact)이 제공됨 -;An enclosure having an upper opening-An extension part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and a bushing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art, and a protrusion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n H / V contact is formed in the protrusion to transmit high pressure to the spark plug of the engine;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아이(I)형 코어, 오(O)형 코어 및 영구자석;An eye (I) type core, an oh type (O) type core, and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 the case;

상기 아이(I)형 코어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사각형 막대 형태인 제1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본체의 일단부에는 확장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상측에는 제1 체결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제1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외면상에는 1차 코일이 권선되는 1차 보빈 어셈블리;The eye (I) core has a first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rectangular bar so that it can be inserted therein, an extension part is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protrudes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dy. A primary bobbin assembly having a primary coil woun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제2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2 본체의 일단부에는 단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체결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단자 삽입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외면상에는 2차 코일이 권선되는 2차 보빈 어셈블리;The first bobbin assembly has a hollow second body to be inserted therein, one end of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secondary bobbin assembly in which a secondary coil is woun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betwee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 배치되는 커넥터와 PCB 모듈;A connector and a PCB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공이 중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츠(Boot); 및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a boot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And

상기 부츠 내로 삽입하여 배치되는 H/V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코일을 제공한다.It provides an ignition co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H / V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oot.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한쌍의 제1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케이스의 외벽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1 공간에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 및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외벽과 상기 제1 격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2 공간에는 상기 오(O)형 코어가 배치되며,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의 측면을 통해서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물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아이(I)형 코어와 상기 오(O)형 코어의 결합 구조물 내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first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the case, and the first partition walls are disposed to be spaced radially inwardly from the outer wall of the case and are arranged in a first space defin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s. The bobbin assembly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are disposed, and the O-type core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defined by the outer wall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primary bobbin assembly is formed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The I-type core and the O-type in whic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case with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inserted into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through a side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vertically insid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re.

상기 아이(I)형 코어는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의 조립 후에 상기 오(O)형 코어 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이(I)형 코어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오(O)형 코어의 일측 내면사이에 조성된 일정 간극내에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ye type I core is inserted into the type O core after assembly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rimary bobbin assembly, and the eye I The permanent magnet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one end portion of the mold core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oh-type core.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제2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과 상기 케이스의 전방벽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3 공간에 상기 PCB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벽에는 상기 커넥터가 끼움결합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외벽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partition wall is formed in front of the case, and the PCB module is disposed in a third space defin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front wall of the case, and the connector is mounted by fitting the front wall. A fit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outer wall of the cas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커넥터는 속이빈 직육면체 형상의 제3 본체 및 상기 제3 본체의 일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의 상부면에는 제3 체결부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3 체결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거쳐서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nclude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ird main body and an insertion part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third main body, and a third coupling part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main body.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astened to a third fastening part, and the connect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part.

상기 단자들은 4핀형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여 배치할 때, 상기 단자들은 상기 단자 삽입부에 삽입하여 체결되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은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s are made of 4-pin type terminals, and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case, th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is thin so as to fit into the fitt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제2 본체의 외면상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면은 상기 돌기들에 의해서 구분되는 권선영역들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권선영역에 상기 2차 코일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has a winding region divided by the protrusions, the secondary coil is wound around each winding region It is done.

상기 권선영역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권선가능면적은 코일 총 권선수에 대한 면적대비 22%의 여유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rea in which the winding is provided by the winding regions is characterized by a margin of 22% relative to the area for the total number of windings of the coil.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화코일의 케이스를 플러그 탑(plug top) 형식에 부합하도록 형상화하였고, 아이(I)형 코어와 오(O)형 코어 및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였으며, 2차 코일의 권선 기술을 개선하였다. 또한, 각 구성부품들을 케이스에 정위치 시킨 후 에폭시 주입을 최적화하였고, 차량(엔진) 장착환경을 개선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서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점화코일 대비 방전에너지가 약 30% 이상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 증대효과 및 국내 생산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the ignition coil is shaped to conform to the plug top type,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 type core, the O type core and the permanent magnet is described. And the winding technology of the secondary coil. In addition, after placing each component in the case, the epoxy injection was optimized and the vehicle (engine) mounting environment was improved. Through this structural improvement, the discharge energy was improved by about 30% or more compared to the ignition coil of the same size as before. Therefore, the effect of increasing exports and creating jobs by domestic production can be obtained through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화코일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화코일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의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아이(I)형 코어와 오(O)형 코어의 결합 구조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1차 보빈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2차 보빈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gnition c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ignition coil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ase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n I type core and an O type core shown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shown in FIG. And
7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식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The drawings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ir accompanying detailed description are directed to mere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dvantages and other features of the mechanisms and methods disclosed herein will become mo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a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화코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ignition co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점화코일의 전체적인 구조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1 and 2 schematically show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gnition co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점화코일(1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아이(I)형 코어(30), 오(O)형 코어(34) 및 영구자석(32), 1차 보빈 어셈블리(40) 및 2차 보빈 어셈블리(50),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 결합 배치되는 커넥터(60)와 PCB 모듈(70),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츠(Boot)(80), 상기 부츠(80) 내로 삽입하여 배치되는 H/V 스프링(90)을 포함한다.1 and 2, the ignition coil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20,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shape, the eye I is inserted into the case 20 is disposed The core 30, the O-type core 34 and the permanent magnet 32,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he connector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20 60 and the PCB module 70, the boot (Boot) 8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20, and includes a H / V spring 90 is inserted into the boot (80).

본 발명에 따른 점화코일은 스파크 플러그의 상단에 결합되는 플러그 탑(plug top) 형식의 점화코일로 구상하였다. 플러그 탑 형식의 점화코일은 펜슬 타입에 비해 자력선을 구성하는 코일부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어서 점화에너지의 확보가 유리한 장점이 있다. The ignition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as a plug top type ignition coil coupled to the top of the spark plug. The plug-top type ignition coil has an advantage of securing ignition energy because it can secure the size of the coil part constituting the magnetic force line, compared to the pencil type.

이를 위해서, 먼저 상기 케이스(20)는 자동차의 엔진 위에 장착되기 때문에 내진성에 강하고 엔진과의 체결이 용이한 구조로 설계된다. 도 3에는 상기 케이스(20)의 구조가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전방 일측에는 원호형상의 확장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확장부(21)내에는 부싱(22)을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직 관통공(23)이 형성된다. 부싱(22)은 점화코일 볼트 고정시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원통 기둥 형태를 가지며 그 방사상 측벽에는 다수의 구멍(24)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케이스(20)의 하부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25)는 케이스(20)의 하부면상에서 수직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돌출부(25)는 하기에서 설명하게될 부츠(8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삽입공(82)내로 끼워지게 된다. 돌출부(25) 내에는 엔진의 스파크 플러그로 고압을 전달해주는 H/V 컨택(contact)(12)이 제공된다. To this end, first, the case 20 is designed to be strong in shock resistance and easy to fasten with the engine because it is mounted on an engine of a vehicle. 3 shows an enlarged structure of the case 20. As shown in FIG. 3, an arc-shaped expansion portion 21 is integrally formed at one front side of the case 20, and a vertical through hole may be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21 so as to insert the bushing 22. 23 is formed. The bushing 22 serves as a support when fixing the ignition coil bolt, and has a cylindrical pillar shape, and a plurality of holes 24 penetrate through the radial side wall thereof. A protrusion 25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ase 20, and the protrusion 25 is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20. The protrusion 25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82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ot 80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trusion 25 is provided with an H / V contact 12 which transmits high pressure to the spark plug of the engine.

케이스(20)의 내부에는 한쌍의 제1 격벽(26)이 형성되는데, 이 제1 격벽(26)은 케이스(20)의 외벽(27)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격벽(26)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1 공간(S1)에 1차 보빈 어셈블리(40) 및 2차 보빈 어셈블리(50)가 배치된다. 케이스(20)의 외벽(27)과 제1 격벽(26)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2 공간(S2)에는 오(O)형 코어(34)가 배치되며, 오(O)형 코어(34) 사이에는 아이(I)형 코어(30)가 배치된다. 케이스(20)의 전방에는 제2 격벽(28)이 형성되는데, 이 제2 격벽(28)과 케이스(20)의 전방벽(29)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3 공간(S3)에는 PCB 모듈(70)이 배치된다. 제3 공간(S3)에 PCB 모듈(70)을 삽입하여 배치함으로써 전기적 노이즈와 EMI를 억제하도록 하였다. 전방벽(29)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커넥터(60)가 끼움결합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홈(29a)이 형성된다. 케이스(20)의 외벽(27)은 사출시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A pair of first partitions 26 are formed inside the case 20, and the first partitions 26 ar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27 of the case 20 radially inwardl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arranged in a first manner.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ar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26. An O-type core 34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S2 defined by the outer wall 27 and the first partition 26 of the case 20, and between the O-core cores 34. An eye (I) type core 30 is disposed in the. A second partition wall 28 is formed in front of the case 20, and the PCB module 70 is formed in the third space S3 defin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28 and the front wall 29 of the case 20. ) Is placed. The PCB module 70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third space S3 to suppress electrical noise and EMI. The front wall 29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29a so that the connect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mounted by fitting. The outer wall 27 of the case 2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thickness in order to prevent shape deformation during injection.

도 4에는 아이(I)형 코어(30)와 오(O)형 코어(34)의 결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4 illustrates a coupling structure of the eye type I core 30 and the type O core 34.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1차 보빈 어셈블리(40)가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측면을 통해서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1차 보빈 어셈블리(40)와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결합구조물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삽입된 아이(I)형 코어(30)와 오(O)형 코어(34)의 결합 구조물 내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1 to 4,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n a state where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is inserted therein through the side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s adopted to the structure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 type core 30 and the (O) type core (34) inserted into the case 20.

이를 위해서, 아이(I)형 코어(30)는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1차 보빈 어셈블리(40)와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조립 후에 오(O)형 코어(34) 내에 삽입되는 방식을 취했다. 이때, 아이(I)형 코어(30)의 일측 끝단부와 오(O)형 코어(34)의 일측 내면사이에 일정 간극, 바람직하게는 1mm 정도의 간극을 두어 영구자석(34)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아이(I)형 코어(30)와 오(O)형 코어(34)의 사이에 영구자석(34)을 삽입함으로써, 자력선의 밀도를 증대시켜 점화코일의 점화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간극의 크기 결정이 중요한데, 너무 간격이 작을 경우에는 삽입이 불가능하며 반대로 간격이 너무 크면 자력선이 손실되어 자속 밀도가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영구자석(34)은 ND Type의 영구자석을 사용하였다.To this end, in the state in which the I-type core 3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fter the assembly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O (O) The method was inserted into the mold core 34. At this time, the permanent magnet 34 may be inserted with a certain gap, preferably about 1 mm, between the one end of the I-type core 30 and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O-type core 34. Designed to be able to structure. By inserting the permanent magnet 34 between the eye (I) core 30 and the oh (O) core 34, the density of the magnetic force line can be increased to ensure the ignition energy of the ignition coil.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size of the gap. If the gap is too small, it is impossible to insert it. On the contrary, if the gap is too large, the magnetic lines are lost and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reduced. Preferably, the permanent magnet 34 used a permanent magnet of the ND Type.

도 5에는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보빈 어셈블리(4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이(I)형 코어(30)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사각형 막대 형태인 제1 본체(41)를 갖는다. 제1 본체(41)의 일단부에는 확장부(42)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상측에는 2차 보빈 어셈블리(5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체결부(4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확장부(42)와 제1 체결부(43) 사이에서 제1 본체(41)의 외면상에는 1차 코일(44)이 권선된다. 1차 코일(44)의 권선은 코일이 정렬 권선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렬 권선이 안될 경우 2차 보빈 어셈블리(50)와의 조립시 코일 간섭으로 인해 조립이 불가능하며 코일 피막이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제1 본체(41) 외면에 권선된 1차 코일은 ECU 온-오프(on-off) 신호에 의해 유도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s mentioned above, has a first body 41 in the form of a hollow rectangular rod so that the eye I-shaped core 30 can be inserted therein. Has An extension part 4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main body 41, and a first fastening part 43 for engaging with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The primary coil 44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41 between the expansion portion 42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43. It is important to keep the winding of the primary coil 44 such that the coil is an alignment winding. This is because when the alignment winding is not possible, assembly is impossible due to coil interference when assembling with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and the coil coating may be damaged. The primary coil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41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serves to generate an induced voltage by the ECU on-off signal.

코일 권선 후 아이(I)형 코어(30)을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제1 본체(41) 내측 방향에 맞추어 조립하며 제1 본체(41)에 완전 밀착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구자석(32)은 아이(I)형 코어(30)의 노출면에 맞추어 부착한다. 1차 보빈 어셈블리(40)는 열가소성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계열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로 제조된다.After coil winding, the eye (I) type core 30 was assembl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ody 41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was able to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ody 41. The permanent magnet 32 is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eye (I) core 30.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is made of thermoplastic engineering plastic, and preferably made of polyester-bas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도 6에는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보빈 어셈블리(5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보빈 어셈블리(40)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제2 본체(51)를 갖는다. 제2 본체(41)의 일단부에는 단자 삽입부(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커넥터(60)와의 결합을 위한 제2 체결부(5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부(53)와 단자 삽입부(52)는 제2 본체(51)를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has a hollow second body 51 so that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can be inserted therein as mentioned above. The terminal insertion part 5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4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53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In this cas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53 and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52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1.

제2 체결부(53)와 단자 삽입부(52) 사이에서 제2 본체(51)의 외면상에는 2차 코일(54)이 권선된다. 2차 코일(54)은 1차 코일(44)과 달리 선경이 매우 가늘기 때문에 권선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권선시 코일이 보빈의 섹션을 완전히 넘어가지 않고 걸칠 경우 고압의 전위차에 의해 치명적인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장비의 흔들림이나 보빈 샤프트의 축이 맞지 않을 경우 권선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ary coil 54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53 and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52. Secondary coils 54, unlike primary coils 44, have a very thin wire diameter and require winding technology. In particular, if the coil is not completely crossed over the section of the bobbin during winding, there may be a fatal failure due to the high-voltage potential difference. In addition, a winding failure may occur if equipment shake or the shaft of the bobbin shaft is misaligned.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본체(51)의 외면상에는 다수의 돌기(55)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2 본체(51)의 외면은 돌기들(55)에 의해서 구분되는 권선영역들을 갖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A,B,C,D,E,F,G의 7개 권선영역들을 갖는다. 각 권선영역별 권선수는 A영역 400회, B영역 1300회, C영역 1300회, D영역 1600회, E영역 1600회, F영역 1600회, G영역 1500회로, 총 9,300회이다. 상기 권선영역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권선가능면적은 코일 총 권선수에 대한 면적대비 22%의 여유가 있어야 권선이 가능하다.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제2 본체(51) 외면에 권선된 2차 코일은 1차 유도 전압에 의해 2차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2차 보빈 어셈블리(50)는 내고온성을 나타내는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닐렌 에테르(Polyphenylene-Ether; PPE)로 제조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protrusions 55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has winding regions divided by the protrusions 55. Preferably, seven winding regions of A, B, C, D, E, F, and G are shown as shown in the drawing. Have The number of turns for each winding area is 400 times in the A area, 1300 times in the B area, 1300 times in the C area, 1600 times in the D area, 1600 times in the E area, 1600 times in the F area, 1500 circuits in the G area, and 9,300 times in total. The available winding area provided by the winding areas should be 22% of the total winding area in order to allow winding.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serves to generate secondar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by the primary induced voltage.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s made of an engineering thermoplastic that exhibits high temperature resistance, and is preferably made of polyphenylene ether (PPE).

도 7에는 커넥터(6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7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60.

커넥터(60)는 속이빈 직육면체 형상의 제3 본체(61) 및 상기 제3 본체(61)의 일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된 삽입부(62)를 포함한다. 제3 본체(61)의 상부면에는 제3 체결부(65)가 돌출하여 형성되는데, 제3 체결부(65)에는 위에서 언급한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제2 체결부(53)가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커넥터(60)는 본체(61)의 내부로부터 삽입부(62)를 거쳐서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단자들(63)을 포함한다. 단자들(63)은 양산 목표 차종과 호환되는 형태의 4핀형 단자로 구성하였다. 커넥터(60)를 케이스(20)에 결합하여 배치할 때, 단자들(63)은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단자 삽입부(52)에 삽입하여 체결된다. 삽입부(62)의 하부는 판형상으로 얇게 형성되며, 삽입부(62)의 외주면(64)은 전방벽(29)에 형성된 끼움홈(29a)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다. 커넥터(60)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계열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로 제조된다. The connector 60 includes a hollow body-like third body 61 and an insertion part 62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third body 61. A third fastening part 65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hird body 61, and the third fastening part 65 has a second fastening part 53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mentioned above. It is configured not to be fastened and separated. The connector 6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63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61 to the outside via the insertion portion 62. The terminals 63 were configured as 4-pin type terminals compatible with the mass production target vehicle. When the connector 60 is coupled to the case 20, the terminals 63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 52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o be fastened.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62 is formed thin in a plate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4 of the insertion portion 62 is formed thin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9a) formed in the front wall (29). The connector 60 is preferably made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which is polyester ba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아이(I)형 코어(30)과 오(O)형 코어(34), 1차 및 2차 보빈 어셈블리(40,50), 커넥터(60) 및 PCT 모듈(70)을 배치한 후에는, 보빈 어셈블리(40,50)와 코어(30,34) 내부에 에폭시를 봉입함으로써, 각 부품의 위치를 고정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각 부품을 보호하며 고전압에 의한 방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충분한 예열 과정을 통해서 부품에 대한 수분제거 및 에폭시 침투가 용이하도록 하고 에폭시 주입시 진공상태에서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입이 완료되면 경화 온도에서 에폭시를 경화하여 제품 제작을 완료하도록 하였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ye (I) type core 30 and the oh type (O) core 34, the primary and secondary bobbin assemblies 40 and 50, the connector 60 as described above And after placing the PCT module 70, epoxy is enclosed in the bobbin assemblies 40 and 50 and the cores 30 and 34,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each component and protecting each component from external shock and Discharge due to no generation was prevented. Sufficient preheating process facilitates moisture removal and epoxy infiltration into components and vacuum injection during epoxy injection. Upon completion of the injection, the epoxy was cured at the curing temperature to complete the production of the product.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빈은 1차 및 2차 보빈 어셈블리(40,50)로 구성하였고 1차 보빈 어셈블리(40)가 2차 보빈 어셈블리(50)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1차 보빈 어셈블리(40)는 내부에 아이(I)형 코어(30)가 삽입되는 구조로 설계하였고,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측면에 제1 체결부(43)를 구성하여 2차 보빈 어셈블리(50)에 삽입되는 경우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내부면에 제공된 로킹 구조(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커넥터(60)의 삽입부(62) 외주면을 케이스(20)의 전방벽(29)에 형성된 끼움홈(29a)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하고, 커넥터(60)의 제3 본체(61) 상부면에 형성된 제3 체결부(65)에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제2 체결부(53)가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보빈 길이 대비 권선수를 계산하여 권선 후 코일이 겹치지 않도록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외면상에 돌기(55)를 형성하고 권선 시작 부분을 달리하였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bbin is composed of primary and secondary bobbin assemblies 40 and 50 and design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is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an eye (I) type core 30 is inserted therein, and the first bobbin assembly 40 is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to form a secondary bobbin. When inserted into the assembly 50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locking structure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s not separated.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62 of the connector 60 is configured to fit into the fitting groove 29a formed in the front wall 29 of the case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main body 61 of the connector 60 is fitted. The second fastening part 53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s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part 65 formed on the surface, and thus is configured to not be separated.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windings relative to the bobbin length to form a protrusion 5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so that the coil does not overlap after winding and the winding start portion was differ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re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점화코일 12 : H/V 컨택
20 : 케이스 22 : 부싱
25 : 돌출부 26,28 : 격벽
27 : 외벽 29 : 전방벽
30 : 아이(I)형 코어 32 : 영구자석
34 : 오(O)형 코어 40,50 : 보빈 어셈블리
41,51,61 : 본체 43,53,65 : 체결부
44,54 : 코일 52 : 단자 삽입부
55 : 돌기 60 : 커넥터
62 : 삽입부 63 : 단자
64 : 외주면 70 : PCB 모듈
80 : 부츠(Boot) 90 : H/V 스프링
S1,S2,S3 : 공간
10: ignition coil 12: H / V contact
20 Case 22 Bushing
25: protrusion 26, 28: bulkhead
27: outer wall 29: front wall
30: I type core 32: permanent magnet
34: O type core 40,50: bobbin assembly
41, 51, 61: main body 43, 53, 65: fastening portion
44,54 coil 52 terminal insertion part
55: projection 60: connector
62: insertion portion 63: terminal
64: outer peripheral surface 70: PCB module
80: Boot 90: H / V Spring
S1, S2, S3: Space

Claims (8)

점화코일로서,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의 케이스(20) -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는 확장부(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부(21)내에는 부싱(22)이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20)의 하부면상에는 돌출부(25)가 수직 하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5) 내에는 엔진의 스파크 플러그로 고압을 전달해주기 위한 H/V 컨택(contact)(12)이 제공됨 -;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아이(I)형 코어(30), 오(O)형 코어(34) 및 영구자석(32);
상기 아이(I)형 코어(3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사각형 막대 형태인 제1 본체(41)를 가지며, 상기 제1 본체(41)의 일단부에는 확장부(42)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상측에는 제1 체결부(43)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42)와 상기 제1 체결부(43) 사이에서 상기 제1 본체(41)의 외면상에는 1차 코일(44)이 권선되는 1차 보빈 어셈블리(40);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제2 본체(51)를 가지며, 상기 제2 본체(41)의 일단부에는 단자 삽입부(5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체결부(53)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53)와 상기 단자 삽입부(52) 사이에서 상기 제2 본체(51)의 외면상에는 2차 코일(54)이 권선되는 2차 보빈 어셈블리(50);
상기 케이스(20)의 일측에 결합 배치되는 커넥터(60)와 PCB 모듈(70);
상기 돌출부(25)가 끼워지는 삽입공(82)이 중앙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츠(Boot)(80); 및
상기 부츠(80) 내로 삽입하여 배치되는 H/V 스프링(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
As an ignition coil,
Enclosure case 20 having an open top-An extension 21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20, and a bushing 22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2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20, the protrusions 25 are formed extending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 the protrusions 25, H / V contacts for transmitting high pressure to the spark plug of the engine. (12) is provided;
An eye (I) type core 30, an o type core 34, and a permanent magnet 32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20;
The eye (I) core 30 has a first body 41 in the form of a hollow rectangular bar so that the core 3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n extension portion 4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41. The first fastening part 43 protrudes and is formed above the other end, an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41 between the expansion part 42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43. Primary bobbin assembly 40 to which 44 is wound;
It has a hollow second body 51 so that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can be inserted therein,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5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41, and 2, the fastening part 53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secondary coil 54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art 53 and the terminal insertion part 52. Primary bobbin assembly 50;
A connector 60 and a PCB module 70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se 20;
An insertion hole 82 into which the protrusion 25 is fitted,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boot 8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se 20; And
High-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 / V spring 90 is inserted into the boot 8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한쌍의 제1 격벽(2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26)은 상기 케이스(20)의 외벽(27)으로부터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격벽(26)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1 공간(S1)에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 및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50)가 배치되며, 상기 외벽(27)과 상기 제1 격벽(26)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2 공간(S2)에는 상기 오(O)형 코어(34)가 배치되며,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측면을 통해서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5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결합구조물이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아이(I)형 코어(30)와 상기 오(O)형 코어(34)의 결합 구조물 내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first partition 26 is formed inside the case 20, the first partition 26 is radially inwardly spaced inward from the outer wall 27 of the case 20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ar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defin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26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uter wall 27 is disposed. And the O-type core 34 is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S2 defin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26, and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is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through the side of the inserted into the case 20 A chil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 type core 30 and the (O) type core 34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I)형 코어(30)는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보빈 어셈블리(40)와 상기 2차 보빈 어셈블리(50)의 조립 후에 상기 오(O)형 코어(34) 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이(I)형 코어(30)의 일측 끝단부와 상기 오(O)형 코어(34)의 일측 내면사이에 조성된 일정 간극내에 상기 영구자석(34)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ye (I) type core 30 of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nd the secondary bobbin assembly 5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primary bobbin assembly 40 After assembly, it is inserted into the oh-type core 34 and has a predetermined gap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eye-type core 30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oh-type core 34. High-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anent magnet 34 is inserted in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전방에는 제2 격벽(28)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8)과 상기 케이스(20)의 전방벽(29)에 의해서 한정되는 제3 공간(S3)에 상기 PCB 모듈(70)이 배치되고, 상기 전방벽(29)에는 상기 커넥터(60)가 끼움결합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도록 끼움홈(29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0)의 상기 외벽(27)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2. The third space of claim 1, wherein a second partition wall 28 is formed in front of the case 20, and is defined by the second partition wall 28 and the front wall 29 of the case 20. The PCB module 70 is disposed at S3, and a fitting groove 29a is formed at the front wall 29 so that the connector 60 may be mounted by fitting. The outer wall 27 is a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는 속이빈 직육면체 형상의 제3 본체(61) 및 상기 제3 본체(61)의 일단부에서 하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된 삽입부(62)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61)의 상부면에는 제3 체결부(65)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3 체결부(65)에는 상기 제2 체결부(53)가 체결되며, 상기 커넥터(60)는 상기 본체(61)의 내부로부터 상기 삽입부(62)를 거쳐서 외부로 노출되는 다수의 단자들(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5. The connector 60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or 60 includes a third main body 61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n insertion part 62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third main body 61. The third fastening part 65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main body 61, the second fastening part 53 is fastened to the third fastening part 65, and the connector 60. ) Is a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terminals (63) expos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61) to the outside via the insertion portion (6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들(63)은 4핀형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60)를 상기 케이스(20)에 결합하여 배치할 때, 상기 단자들(63)은 상기 단자 삽입부(52)에 삽입하여 체결되며, 상기 삽입부(62)의 외주면(64)은 상기 끼움홈(29a)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The terminal 63 of claim 5, wherein the terminals 63 are formed of four pin-type terminals, and when the connector 60 is coupled to the case 20, the terminals 63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erting portion. 52) is fastened by inser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4) of the insertion portion (62) is a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in so as to fit into the fitting groove (29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51)의 외면상에는 다수의 돌기(55)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51)의 외면은 상기 돌기들(55)에 의해서 구분되는 권선영역들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권선영역에 상기 2차 코일(54)이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The winding area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55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 is divided by the protrusions 55. High 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coil (54) is wound in each winding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영역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권선가능면적은 코일 총 권선수에 대한 면적대비 22%의 여유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고효율 점화코일.8. The high-efficiency ignition coil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llowable area provided by the winding areas has a margin of 22%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turns of the coil.
KR1020180046190A 2018-04-20 2018-04-20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KR102043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90A KR102043431B1 (en) 2018-04-20 2018-04-20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190A KR102043431B1 (en) 2018-04-20 2018-04-20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428A true KR20190122428A (en) 2019-10-30
KR102043431B1 KR102043431B1 (en) 2019-11-12

Family

ID=6846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190A KR102043431B1 (en) 2018-04-20 2018-04-20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74A (en) * 2020-08-19 2022-02-28 (주)이림전자 Ignition coil for CNG and LP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173B1 (en) 2004-01-15 2006-03-15 주식회사 세림테크 An ignition coil cartridg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701572B1 (en) 2006-01-26 2007-03-29 주식회사 세림테크 Center cover straight ignition coil module
KR100941712B1 (en) 2005-02-28 201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ignition coil for engine
KR20110062969A (en)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gnition coil of engine
JP2013118300A (en) * 2011-12-05 2013-06-13 Diamond Electric Mfg Co Ltd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207289A (en) * 2013-04-11 2014-10-30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173B1 (en) 2004-01-15 2006-03-15 주식회사 세림테크 An ignition coil cartridg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941712B1 (en) 2005-02-28 201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for installing ignition coil for engine
KR100701572B1 (en) 2006-01-26 2007-03-29 주식회사 세림테크 Center cover straight ignition coil module
KR20110062969A (en)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gnition coil of engine
JP2013118300A (en) * 2011-12-05 2013-06-13 Diamond Electric Mfg Co Ltd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207289A (en) * 2013-04-11 2014-10-30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774A (en) * 2020-08-19 2022-02-28 (주)이림전자 Ignition coil for CNG and LP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431B1 (en)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118B1 (en) Separate mount ignition coil utilizing a progressive wound secondary winding
US7710231B2 (en) Ignition coil
KR101545244B1 (en) Transformer
US9985401B2 (en) Direct current motor
US6215385B1 (en) Ignition coil with primary winding outside of secondary winding
US7212092B2 (en) Device for energy storage and energy transformation
KR102043431B1 (en) High Energy Ignition Coil for Vehicle
EP1669595A2 (en) Ignition coil with case made from impregnated mica tube
US7626481B2 (en) Ignition coil
JP2009299614A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30070665A1 (en) Pencil ignition coil having retention and tactile feel insertion features
CN113614357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4212222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8166582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57804A2 (en) Low profile ignition apparatus
JP5294209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554696B2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1230015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032692B2 (en) Ignition coil
JP4262930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21164Y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unit
JP2022143012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30128090A1 (en) Case free ignition apparatus
US20100253202A1 (en) Ignition Coil for Vehicle
KR100679228B1 (en) Shield plate for a pack-typed ignition coil assembly using pencil coil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