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069A -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069A
KR20190122069A KR1020180045742A KR20180045742A KR20190122069A KR 20190122069 A KR20190122069 A KR 20190122069A KR 1020180045742 A KR1020180045742 A KR 1020180045742A KR 20180045742 A KR20180045742 A KR 20180045742A KR 20190122069 A KR20190122069 A KR 20190122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rrier
transmission
reception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348B1 (ko
Inventor
지아씬 우
조병학
김태완
임정현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348B1/ko
Priority to CN201910122024.7A priority patent/CN110391827B/zh
Priority to US16/375,385 priority patent/US10742302B2/en
Publication of KR20190122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5Independent weighting, i.e. weights based on own antenna recep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에 제1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복수의 송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들을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를 복수의 수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로 분할하는 제1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을 각각 분할하는 복수의 반송파 수신부들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수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CATING DEVICE TRANCEIVING SIGNALS BY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MULTI INPUT MULTI OUTPUT SYSTEM}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 CA)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은 1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또는 1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전송에 복수의 반송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1개의 반송파에 의해서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주파수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고, 다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지원하는 반송파 집적에 기인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량은 증대될 수 있다. 반송파 집적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주파수 채널들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의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는 이러한 주파수 채널들의 다양한 배치들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MIMO 시스템은 제한된 송신전력 및 주파수 자원 내에서 높은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해 송수신 단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 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MO 시스템은 송신단과 수신단 양쪽에서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의 송신단의 각 안테나를 통해 독립된 신호들이 동시에 송신되기 때문에,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독립된 신호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이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반송파를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높일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에 제1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복수의 송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들을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송신부 및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를 복수의 수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로 분할하는 제1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을 각각 분할하는 복수의 반송파 수신부들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수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에 제1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안테나, 제1 송신 반송파 신호를 제1 채널로 업-컨버팅 시키고 출력하는 제1 송신부,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제2 채널로 업-컨버팅 시키고 출력하는 제2 송신부, 상기 제1 송신 반송파 신호 및 상기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덧셈기(Adder),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1 안테나에 출력하는 제1 수신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외부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제1 채널의 제1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제2 채널의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제1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킨 후 상기 제2 수신부에 출력하는 제1 수신 믹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의 안테나에 수신부 및 송신부가 모두 연결되고, 수신부가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수신 반송파를 추출하고, 송신부가 복수의 송신 반송파를 결합하여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같은 안테나의 개수로 큰 데이터 전송량(throughput)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f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LTE-Advance) 시스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WiFi(wireless fidelity) 시스템, 블루투스 시스템, 블루투스 저전력(BLE) 시스템, 지그비(Zigbee) 시스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시스템,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시스템, 라디오 프리퀀시(RF) 시스템,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시스템일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는 무선 통신 기기로서,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고,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무선 장치(wireless device), 휴대 장치(handheld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Node B, eNB(evolved-Node 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클라이언트(Client) 및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와이파이(WiFi) 통신에 근거하여 억세스 포인트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을 활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들(Ant1_1, Ant1_2, Ant2_1, Ant2_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가 2개의 안테나들(Ant1_1, Ant1_2, Ant2_1, Ant2_2)을 각각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가 각각 2개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 각각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가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면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수신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고, 제2 무선 통신 장치(3)가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면 제1 무선 통신 장치(2)는 수신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 사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반송파 집적(CA)을 통해 제1 신호(Sig)로서 병합된 복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반송파 집적(CA)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가 송신할 때 사용하는 반송파는 송신 반송파로서 지칭될 수 있고, 반송파 집적(CA)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가 수신할 때 사용하는 반송파는 수신 반송파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송신 반송파 또는 수신 반송파에 의해서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은 채널로서 지칭될 수 있고, 송신 반송파에 의해서 전달되는 신호는 송신 반송파 신호라고 지칭되고, 수신 반송파에 의해서 전달되는 신호는 수신 반송파 신호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는 제1 송수신기(11), 제2 송수신기(12), 제1 안테나(Ant1_1) 및 제2 안테나(Ant1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각각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수신기(11)는 제1 안테나(Ant1_1)에 연결되고, 제2 송수신기(12)는 제2 안테나(Ant1_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무선 통신 장치(2)가 송신 장치로 동작할 때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송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고, 제1 무선 통신 장치(2)가 수신 장치로 동작할 때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는 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가 수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수신 모드로 칭하고, 제1 무선 통신 장치(2)가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송신 모드로 칭한다.
제1 송수신기(11)는 송신 모드에서 제1 반송파 신호(C1) 및 제2 반송파 신호(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신호(Sig)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신호(Sig)를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는 수신 모드에서 제1 신호(Sig)로부터 제1 반송파 신호(C1) 뿐만 아니라 제2 반송파 신호(C2) 역시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제1 송수신기(11) 및 제2 송수신기(12)각각은 송신 모드에서 각각 하나의 반송파 신호 만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반송파 신호들을 병합하여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모드에서 제1 신호(Sig)로부터 하나의 반송파 신호 만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반송파 신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무선 통신 장치(2) 및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같은 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더 많은 반송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량(throughput)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12)는 제1 송수신기(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제3 송수신기(21), 제4 송수신기(22), 제3 안테나(Ant2_1) 및 제4 안테나(Ant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 장치(3)는 제1 무선 통신 장치(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송수신기(11)는 제1 수신부(100), 제1 송신부(300) 및 모드 스위치(5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안테나(Ant1_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는 제1 수신 증폭기(110), 제1 반송파 수신기(120) 및 제2 반송파 수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송신부(300)는 제1 송신 증폭기(310), 제1 반송파 송신기(320) 및 제2 반송파 송신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드에서, 모드 스위치(500)는 제1 수신 증폭기(110)와 제1 안테나(Ant1_1)를 연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제1 수신 증폭기(110)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증폭기(110)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증폭시키고, 제1 반송파 수신기(120) 및 제2 반송파 수신기(130)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반송파 수신기(120)는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추출하여 내부 회로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반송파 수신기(130)는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추출하여 내부 회로에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제1 안테나(Ant1_1)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RC1, RC2)를 추출함으로써 같은 안테나 수로 더 큰 데이터 전송량을 확보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제1 반송파 송신기(320)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수신하고, 제2 반송파 송신기(330)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반송파 송신기(320)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처리하고, 제2 반송파 송신기(330)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처리 할 수 있다. 처리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가 병합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송신 신호(TSig1)는 제1 송신 증폭기(31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모드 스위치(500)는 송신 모드에서 제1 송신 증폭기(310)를 제1 안테나(Ant1_1)와 연결시킬 수 있고, 제1 송신 증폭기(310)는 제1 안테나(Ant1_1)를 이용하여 증폭된 제1 송신 신호(TSig1)를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TC1, TC2)를 병합하여 하나의 제1 안테나(Ant1_1)를 통해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같은 안테나 수로 더 큰 데이터 전송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반송파 수신기(120, 130) 및 반송파 송신기(320, 330)가 각각 두 개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송파 수신기(120, 130) 및 반송파 송신기(320, 330)가 두 개보다 많은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100)는 제1 수신 증폭기(110), 제1 반송파 수신기(120) 및 제2 반송파 수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반송파 수신기(120)는 제1 수신 버퍼(121), 제1 수신 믹서(122) 및 제1 수신 필터(123)를 포함하고, 제2 반송파 수신기(130)는 제2 수신 버퍼(131), 제2 수신 믹서(132) 및 제2 수신 필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증폭기(110)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수신 증폭기(110)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일 수 있다. 증폭된 제1 수신 신호(RSig1)는 제1 수신 버퍼(121)에 의해 버퍼링 되고 제1 수신 믹서(122)에 입력될 수 있다. 제1 수신 믹서(122)는 제어 회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를 이용하여 제1 수신 신호(RSig1)의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가 제1 주파수(f0)에 위치하도록 제1 수신 신호(RSig1)를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신 믹서(122)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증폭기 및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필터(123)는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제거하고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수신 필터(123)는 저대역 필터(Low Pass Filter;LPF)일 수 있다.
제2 수신 버퍼(131)는 증폭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하고 버퍼링할 수 있다. 버퍼링된 제1 수신 신호(RSig1)는 제2 수신 믹서(132)에 입력되고, 제2 수신 믹서(132)는 제어 회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를 이용하여 제1 수신 신호(RSig1)의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가 제1 주파수(f0)에 위치하도록 제1 수신 신호(RSig1)를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신 믹서(132)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증폭기 및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필터(133)는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거하고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수신 필터(133)는 저대역 필터(LPF)일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a)는 제1 수신부(100a) 및 제2 수신부(200a)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수신부(100a)는 제1 안테나(Ant1a)에 연결되고, 제2 수신부(200a)는 제2 안테나(Ant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a)는 제1 수신 증폭기(110a), 제1 수신 버퍼(121a), 제1 수신 믹서(122a) 및 제1 수신 필터(123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a)는 제2 수신 증폭기(210a), 제3 수신 버퍼(221a), 먹스(Multiplexer;MUX)(222a), 제3 수신 믹서(223a) 및 제3 수신 필터(2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수신부(100a)는 도 1의 제1 송수신기(11)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a)는 도 1의 제2 송수신기(1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a)는 제1 안테나(Ant1a)를 통해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증폭기(110a)는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증폭한 후 제1 수신 믹서(122a) 및 제1 수신 버퍼(121a)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수신 믹서(122a) 및 제1 수신 필터(123a)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폭된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수신 버퍼(121a)는 증폭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먹스(222a)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00a)는 제2 안테나(Ant2a)를 통해 제2 수신 신호(RSig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수신 증폭기(210a)는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증폭한 후 제3 수신 버퍼(221a)에 출력할 수 있고, 제3 수신 버퍼(221a)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버퍼링하여 먹스(222a)에 출력할 수 있다.
먹스(222a)는 제1 수신 버퍼(121a)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및 제3 수신 버퍼(221a)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3 수신 믹서(223a)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RSig1) 및 제2 수신 신호(RSig2) 모두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테나(Ant2a)를 통해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뿐 만 아니라 제1 안테나(Ant1a)를 통해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역시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수신 믹서(223a)는 먹스(222a)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3 수신 필터(224a)는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거하고,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3 수신 필터(224a)는 저대역 필터(LPF)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수신부(100a)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신 버퍼(121a), 제2 수신 버퍼(122a) 및 제1 수신 필터(123a)로 구성되는 제1 반송파 수신부 외에 제1 수신 증폭기(110a)에 연결된 제2 반송파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a)는 반송파의 수신율에 따라서 신호 전달 루트를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수신 신호(RSig2)의 수신율이 낮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a)는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획득할 수 있도록 먹스(222a)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제2 수신 신호(RSig2)의 수신율이 낮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a)는 제2 수신 신호(RSig2)로부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획득할 수 있도록 먹스(222a)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b)는 제1 수신부(100b) 및 제2 수신부(20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수신부(100b)는 제1 안테나(Ant1b)에 연결되고, 제2 수신부(200b)는 제2 안테나(Ant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b)는 제1 수신 증폭기(110b), 제1 수신 버퍼(121b), 제1 수신 믹서(122b) 및 제1 수신 필터(123b)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b)는 제2 수신 증폭기(210b), 제3 수신 버퍼(221b), 덧셈기(Adder)(222b), 제3 수신 믹서(223b) 및 제3 수신 필터(2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버퍼(121b)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덧셈기(222b)에 출력하고, 제3 수신 버퍼(221b)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덧셈기(222b)에 출력할 수 있다. 덧셈기(222b)는 제1 수신 신호(RSig1) 및 제2 수신 신호(RSig2)를 병합함으로써 제3 수신 신호(RSig3)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수신 믹서(223b)는 덧셈기(222b)로부터 수신한 제3 수신 신호(RSig3)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3 수신 필터(224b)는 다운-컨버팅된 제3 수신 신호(RSig3)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거하고,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c)는 제1 수신부(100c) 및 제2 수신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c)는 제1 수신 증폭기(110c), 제1 수신 버퍼(121c), 제1 수신 믹서(122c), 제1 수신 필터(123c) 및 제4 수신 믹서(124c)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c)는 제2 수신 증폭기(210c), 제3 수신 버퍼(221c), 제3 수신 믹서(222c), 먹스(MUX)(223c) 및 제3 수신 필터(22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버퍼(121c)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1 수신 믹서(122c) 및 제4 수신 믹서(124c)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수신 믹서(122c) 및 제1 수신 필터(123c)는 도 4a에서 상술한 방식으로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추출할 수 있다.
제4 수신 믹서(124c)는 제1 수신 버퍼(121c)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먹스(MUX)(223c)에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믹서(222c)는 제3 수신 버퍼(221c)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먹스(MUX)(223c)에 다운-컨버팅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수신 믹서(124c)와 제1 수신 버퍼(121c) 사이의 신호 경로는 제4 수신 믹서(124c)와 먹스(223c) 사이의 신호 경로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제4 수신 믹서(124c)는 먹스(222c)에 비해 제1 수신 버퍼(121c)와 더 가까울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RSig1)가 제4 수신 믹서(124c)에 의해 다운 컨버팅 및 증폭된 후 제2 수신부(200c)에 출력됨에 따라서, 제4 수신 믹서(124c)와 먹스(223c) 간의 먼 거리에도 불구하고 제1 수신 신호(RSig1)의 정보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먹스(MUX)(223c)는 제4 수신 믹서(124c)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및 제3 수신 믹서(222c)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3 수신 필터(224c)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필터(224c)는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거하고,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d)는 제1 수신부(100d) 및 제2 수신부(2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d)는 제1 수신 증폭기(110d), 제1 수신 버퍼(121d), 제1 수신 믹서(122d), 제1 수신 필터(123d) 및 제4 수신 믹서(124d)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d)는 제2 수신 증폭기(210d), 제3 수신 버퍼(221d), 제3 수신 믹서(222d), 먹스(MUX)(223d) 및 제3 수신 필터(22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수신 믹서(124d)는 제1 수신 믹서(122d)로부터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수신 신호(RSig1)는 제1 수신 믹서(122d)에 의해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에 기초하여 다운 컨버팅이 수행되어 있을 수 있다. 제4 수신 믹서(122d)는 제1 수신 믹서(122d)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에 대해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 및 제1 수신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 컨버팅을 수행하고, 결과적으로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다운 컨버팅이 수행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먹스(223d)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믹서(222d)는 제3 수신 버퍼(221d)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 시킬 수 있고, 먹스(MUX)(223d)에 다운-컨버팅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출력할 수 있다.
먹스(MUX)(223d)는 제4 수신 믹서(124d)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및 제3 수신 믹서(222d)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3 수신 필터(224c)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필터(224c)는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거하고,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e)는 제1 수신부(100e) 및 제2 수신부(200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e)는 제1 수신 증폭기(110e), 제1 수신 버퍼(121e), 제1 수신 믹서(122e), 제1 수신 필터(123e) 및 제4 수신 믹서(124e)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e)는 제2 수신 증폭기(210e), 제3 수신 버퍼(221e), 제3 수신 믹서(222e), 먹스(MUX)(223e), 제3 수신 필터(224e), 제5 수신 믹서(225e) 및 제5 수신 필터(226e)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수신 믹서(225e)는 제3 수신 버퍼(221e)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5 수신 필터(226e)에 다운-컨버팅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는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 또는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는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 및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와 다를 수 있다. 제5 수신 필터(226e)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필터링함으로써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f)는 제1 수신부(100f) 및 제2 수신부(200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f)는 제1 수신 증폭기(110f), 제1 수신 버퍼(121f), 제1 수신 믹서(122f), 제1 수신 필터(123f), 제4 수신 믹서(124f) 및 제1 먹스(125f)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f)는 제2 수신 증폭기(210f), 제3 수신 버퍼(221f), 제3 수신 믹서(222f), 제2 먹스(223f), 제3 수신 필터(224f), 및 제5 수신 믹서(225f)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수신 믹서(225f)는 제3 수신 버퍼(221f)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1 먹스(125f)에 다운-컨버팅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먹스(125f)는 제1 수신 믹서(122f)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5 수신 믹서(225f)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1)를 선택적으로 제1 수신 필터(123f)에 출력할 수 있고, 제1 수신 필터(123f)는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 또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필터링함으로써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f)는 반송파의 수신율에 따라서 신호 전달 루트를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수신 신호(RSig1)의 수신율이 낮고, 제2 수신 신호(RSig2)의 수신율이 높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f)는 제2 수신 신호(RSig2)로부터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1 먹스(125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수신 신호(RSig1)의 수신율이 높고, 제2 수신 신호(RSig2)의 수신율이 낮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f)는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2 먹스(223f)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d에서는 무선 통신 장치(2f)가 제1 먹스(125f) 및 제2 먹스(223f)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b의 실시예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2f)가 제1 먹스(125f) 및 제2 먹스(223f) 대신 적어도 하나의 덧셈기(Adder)를 포함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e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g)는 제1 수신부(100g) 및 제2 수신부(200g)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g)는 제1 수신 증폭기(110g), 제1 수신 버퍼(121g), 제1 수신 믹서(122g), 제1 수신 필터(123g), 제4 수신 믹서(124g), 제2 수신 버퍼(125g), 제2 수신 믹서(126g) 및 제2 수신 필터(127g)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g)는 제2 수신 증폭기(210g), 제3 수신 버퍼(221g), 제3 수신 믹서(222g), 먹스(223g) 및 제3 수신 필터(224g)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신 버퍼(125g)는 제1 수신 증폭기(110g)로부터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하고,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2 수신 믹서(126g)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수신 믹서(126g)는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에 기초하여 제1 수신 신호(RSig1)를 주파수 영역에서 다운-컨버팅(Down-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2 수신 필터(127g)에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는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 또는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는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 및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와 다를 수 있다. 제2 수신 필터(127g)는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필터링함으로써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f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f는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n)는 제1 수신부(100n) 및 제2 수신부(200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00n)는 제1 수신 증폭기(110n), 제1 수신 버퍼(121n), 제2 수신 버퍼(122n), 제1 수신 믹서(123n), 제2 수신 믹서(124n), 제3 수신 믹서(125n), 제4 수신 믹서(126n), 제1 먹스(127n), 제2 먹스(128n), 제1 수신 필터(129n) 및 제2 수신 필터(130n)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수신부(200n)는 제2 수신 증폭기(210n), 제3 수신 버퍼(221n), 제4 수신 버퍼(222n), 제5 수신 믹서(223n), 제6 수신 믹서(224n), 제7 수신 믹서(225n), 제8 수신 믹서(226n), 제3 먹스(227n), 제4 먹스(228n), 제3 수신 필터(229n) 및 제4 수신 필터(230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 증폭기(110n)는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 및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포함하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증폭하여 제1 수신 버퍼(121n) 및 제2 수신 버퍼(122n)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수신 믹서(123n)는 제1 수신 버퍼(121n)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1 먹스(127n)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수신 믹서(124n)는 제1 수신 버퍼(121n)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1 수신 주파수 신호(Rf1)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제3 먹스(227n)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믹서(125n)는 제2 수신 버퍼(122n)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2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제2 먹스(128n)에 출력할 수 있다. 제4 수신 믹서(126n)는 제2 수신 버퍼(122n)로부터 수신한 제1 수신 신호(RSig1)를 제2 수신 주파수 신호(Rf2)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제4 먹스(228n)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수신 증폭기(210n)는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 및 제4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포함하는 제2 수신 신호(RSig2)를 증폭하여 제3 수신 버퍼(221n) 및 제4 수신 버퍼(222n)에 출력할 수 있다. 제5 수신 믹서(223n)는 제3 수신 버퍼(221n)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제3 먹스(227n)에 출력할 수 있다. 제6 수신 믹서(224n)는 제3 수신 버퍼(221n)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3 수신 주파수 신호(Rf3)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제1 먹스(127n)에 출력할 수 있다. 제7 수신 믹서(225n)는 제4 수신 버퍼(222n)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4 수신 주파수 신호(Rf4)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제4 먹스(228n)에 출력할 수 있다. 제8 수신 믹서(226n)는 제4 수신 버퍼(222n)로부터 수신한 제2 수신 신호(RSig2)를 제4 수신 주파수 신호(Rf4)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킴으로써 생성한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제2 먹스(128n)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먹스(127n)는 수신한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 및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1 수신 필터(129n)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수신 필터(129n)는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 또는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필터링함으로써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 또는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먹스(128n)는 수신한 제2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 및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2 수신 필터(130n)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수신 필터(130n)는 제2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 또는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필터링함으로써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 또는 제4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출력할 수 있다.
제3 먹스(227n)는 수신한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 및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3 수신 필터(229n)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수신 필터(229n)는 제1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1’) 또는 제3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필터링함으로써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 또는 제3 수신 반송파 신호(RC3)를 출력할 수 있다. 제4 먹스(228n)는 수신한 제2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 및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4 수신 필터(230n)에 출력할 수 있다. 제4 수신 필터(230n)는 제2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2’) 또는 제4 프리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필터링함으로써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 또는 제4 수신 반송파 신호(RC4)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f에는 제1 수신 믹서(123n) 및 제2 수신 믹서(124n), 제3 수신 믹서(125n) 및 제4 수신 믹서(126n)이 서로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수신 믹서(123n) 및 제2 수신 믹서(124n)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3 수신 믹서(125n) 및 제4 수신 믹서(126n)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5 수신 믹서(223n) 및 제6 수신 믹서(224n), 제7 수신 믹서(225n) 및 제8 수신 믹서(226n)이 서로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5 수신 믹서(223n) 및 제6 수신 믹서(224n)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7 수신 믹서(225n) 및 제8 수신 믹서(226n)는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부(300)는 제1 송신 증폭기(310), 제1 반송파 송신기(320), 제2 반송파 송신기(330) 및 덧셈기(3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반송파 송신기(320)는 제1 송신 버퍼(321), 제1 송신 믹서(322) 및 제1 송신 필터(323)를 포함하고, 제2 반송파 송신기(330)는 제2 송신 버퍼(331), 제2 송신 믹서(332) 및 제2 송신 필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3)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3)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송신 필터(323)는 저대역 필터(LPF)일 수 있다. 제1 송신 믹서(322)는 제어 회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를 이용하여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가 제1 채널(CH1) 에 위치하도록 제1 송신 신호(TSig1)를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송신 믹서(322)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증폭기 및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버퍼(321)는 업-컨버팅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수신하고 버퍼링한 후 덧셈기(340)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송신 필터(333)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송신 필터(333)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송신 필터(333)는 저대역 필터(LPF)일 수 있다. 제2 송신 믹서(332)는 제어 회로(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를 이용하여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가 제2 채널(CH2) 에 위치하도록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송신 믹서(332)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증폭기 및 곱셈기(Multipl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 버퍼(331)는 업-컨버팅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하고 버퍼링한 후 덧셈기(340)에 출력할 수 있다.
덧셈기(340)는 서로 다른 채널(CH1, CH2)에 존재하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덧셈기(340)는 생성한 제1 송신 신호(TSig1)를 제1 송신 증폭기(310)에 출력할 수 있고, 제1 송신 증폭기(310)는 수신한 제1 송신 신호(TSig1)를 증폭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송신 증폭기(310)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PA)일 수 있다. 증폭된 제1 송신 신호(TSig1)는 제1 안테나(도 1, Ant1_1)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송신부(300)는 제1 송신 증폭기(310)를 구동하는 송신 증폭기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과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a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h)는 제1 송신부(300h) 및 제2 송신부(400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300h)는 제1 송신 증폭기(310h), 제1 송신 버퍼(321h), 덧셈기(322h), 제1 송신 믹서(323h) 및 제1 송신 필터(324h)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송신부(400h)는 제2 송신 증폭기(410h), 제3 송신 버퍼(421h), 제3 송신 믹서(422h) 및 제3 송신 필터(423h)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송신 필터(423h)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송신 필터(423h)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를 제거하고 제3 송신 믹서(422h)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송신 믹서(422h)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키고, 제3 송신 버퍼(421h) 및 덧셈기(322h)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송신 버퍼(421h)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버퍼링시킨 후 제2 송신 증폭기(410h)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송신 증폭기(410h)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증폭시킴으로써 생성한 제2 송신 신호(TSig2)를 제2 안테나(Ant2h)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4h)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4h)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필터링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예를 들면,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송신 믹서(323h)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신 믹서(323h)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키고, 덧셈기(322h)에 출력할 수 있다.
덧셈기(322h)는 제1 송신 믹서(323h)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믹서(422h)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송신 신호(TSig1)는 제1 채널의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제2 채널의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에 대한 정보 역시 가질 수 있다. 덧셈기(322h)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제1 송신 버퍼(321h)에 출력하고, 제1 송신 버퍼(321h)가 제1 송신 신호(TSig1)를 버퍼링한 뒤 제1 송신 증폭기(310h)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신 증폭기(310h)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증폭시킨 후 제1 안테나(Ant1h)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a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i)는 제1 송신부(300i) 및 제2 송신부 (400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300i)는 제1 송신 증폭기(310i), 제1 송신 버퍼(321i), 덧셈기(322i), 제1 송신 믹서(323i), 제1 송신 필터(324i) 및 제4 송신 믹서(325i)를 포함하고, 제2 송신부(400i)는 제2 송신 증폭기(410i), 제3 송신 버퍼(421i), 제3 송신 믹서(422i) 및 제3 송신 필터(423i)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송신 필터(423i)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하고,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송신 필터(423i)는 필터링이 수행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3 송신 믹서(422i) 및 제4 송신 믹서(325i)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송신 믹서(422i)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키고, 제3 송신 버퍼(421i)에 출력할 수 있다. 제3 송신 버퍼(421i)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버퍼링시킨 후 제2 송신 증폭기(410i)에 출력할 수 있고, 제2 송신 증폭기(410i)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증폭시킴으로써 생성한 제2 송신 신호(TSig2)를 제2 안테나(Ant2i)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
제4 송신 믹서(325i)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키고, 덧셈기(322i)에 출력할 수 있다. 덧셈기(322i)는 제1 송신 믹서(323i)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4 송신 믹서(325i)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덧셈기(322i)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제1 송신 버퍼(321i)에 출력하고, 제1 송신 버퍼(321i)가 제1 송신 신호(TSig1)를 버퍼링한 뒤 제1 송신 증폭기(310i)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송신 증폭기(310i)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증폭시킨 후 제1 안테나(Ant1i)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송신 믹서(325i)와 덧셈기(322i) 사이의 신호 경로는 제4 송신 믹서(325i)와 제2 송신 필터(423i) 사이의 신호 경로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제4 송신 믹서(323i)는 덧셈기(322i)에 비해 제2 송신 필터(423i)와 신호 경로가 더 가까울 수 있다. 제4 송신 믹서(325i)가 덧셈기(322i)와 가까운데 위치하여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업-컨버팅 및 증폭한 후 덧셈기(322i)에 출력함에 따라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의 정보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j)는 제1 송신부(300j) 및 제2 송신부(400j)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300j)는 제1 송신 증폭기(310j), 제1 송신 버퍼(321j), 제1 덧셈기(322j), 제1 송신 믹서(323j), 제1 송신 필터(324j) 및 제4 송신 믹서(325j)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송신부(400j)는 제2 송신 증폭기(410j), 제3 송신 버퍼(421j), 제2 덧셈기(422j), 제3 송신 믹서(423j), 제3 송신 필터(424j), 제5 송신 믹서(425j) 및 제5 송신 필터(426j)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송신 필터(426j)는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3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제5 송신 믹서(425j)는 제5 송신 필터(426j)로부터 수신한 제3 송신 반송파(TC3)를 제3 송신 주파수 신호(Tf3)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2 덧셈기(422j)에 업-컨버팅된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송신 주파수 신호(Tf3)는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 또는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송신 주파수 신호(Tf3)는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 및 제2 송신 주파수 신호(Tf2)와 다를 수 있다. 제2 덧셈기(422j)는 제3 송신 믹서(423j)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5 송신 필터(426j)로부터 수신한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병합함으로써 제2 송신 신호(TSig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k)는 제1 송신부(300k) 및 제2 송신부(400k)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300k)는 제1 송신 증폭기(310k), 제1 송신 버퍼(321k), 제1 덧셈기(322k), 제1 송신 믹서(323k), 제1 송신 필터(324k) 및 제4 송신 믹서(325k)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송신부(400k)는 제2 송신 증폭기(410k), 제3 송신 버퍼(421k), 제2 덧셈기(422k), 제3 송신 믹서(423k), 제3 송신 필터(424k) 및 제5 송신 믹서(425k)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4k)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제1 송신 필터(324k)는 필터링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제1 송신 믹서(323k) 뿐만 아니라 제5 송신 믹서(425k)에도 출력할 수 있다. 제5 송신 믹서(425k)는 제1 송신 필터(324k)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제1 송신 주파수 신호(Tf1)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킬 수 있고, 제2 덧셈기(422k)에 업-컨버팅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덧셈기(422k)는 제3 송신 믹서(423k)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5 송신 믹서(425k)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병합함으로써 제2 송신 신호(TSig2)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2k)는 안테나(Ant1k, Ant2k)의송신 능력에 따라서 신호 전달 루트를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안테나(Ant1k)의 송신 능력이 좋고, 제2 안테나(Ant2k)의 송신 능력이 좋지 않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k)는 제4 송신 믹서(325k)를 통해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제1 안테나(Ant1k)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안테나(Ant1k)는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가 병합된 제1 송신 신호(TSig1)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안테나(Ant1k)의 송신 능력이 좋지 않고, 제2 안테나(Ant2k)의 송신 능력이 좋은 경우, 무선 통신 장치(2k)는 제5 송신 믹서(425k)를 통해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제2 안테나(Ant2k)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안테나(Ant2k)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가 병합된 제2 송신 신호(TSig2)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e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b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e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2l)는 제1 송신부(300l) 및 제2 송신부(400l)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부(300l)는 제1 송신 증폭기(310l), 제1 송신 버퍼(321l), 덧셈기(322l), 제1 송신 믹서(323l), 제1 송신 필터(324l), 제4 송신 믹서(325l), 제2 송신 믹서(326l) 및 제2 송신 필터(327l)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송신부(400l)는 제2 송신 증폭기(410l), 제3 송신 버퍼(421l), 제3 송신 믹서(422l) 및 제3 송신 필터(423l) 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 필터(327l)는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3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제3 송신 필터(327l)는 필터링한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제2 송신 믹서(426l)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송신 믹서(426l)는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제3 송신 주파수 신호(Tf3)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업-컨버팅(Up-Converting)시킬 수 있고, 덧셈기(322l)에 업-컨버팅된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출력할 수 있다. 덧셈기(322l)는 제1 송신 믹서(323l)로부터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제4 송신 믹서(325l)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2 송신 믹서(326l)로부터 수신한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병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e에서는 덧셈기(322l)가 제1 송신 버퍼(321l) 후단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이고, 덧셈기(332l)는 제1 송신 버퍼(321l) 앞단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e에서는 덧셈기(322l)가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모두 병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덧셈기를 이용하여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 및 제3 송신 반송파 신호(TC3)를 병합하는 실시예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7e에서는 덧셈기(322l)가 세 개의 송신 반송파 신호(TC1, TC2, TC3)를 병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세 개 이상의 송신 반송파 신호를 병합하는 실시예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수신기(11m)는 모드 스위치(500), 제1 수신 증폭기(110m), 복수의 반송파 수신기들(120_1~120_n), 제1 송신 증폭기(210m) 및 복수의 반송파 송신기들(220_1~220_m)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드에서, 제1 수신 증폭기(110m)는 제1 수신 신호(RSig1)를 수신하고, 제1 증폭값(AF1)에 기초하여 제1 수신 신호(RSig1)를 증폭할 수 있다. 제1 증폭값(AF1)은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RC1~RCn)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반송파 수신기들(120_1~120_n)은 증폭된 제1 수신 신호(RSig1)로부터 제1 내지 제n 수신 반송파 신호(RC1~RCn)를 추출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복수의 반송파 송신기들(220_1~220_m)은 제1 내지 제m 송신 반송파 신호(TC1~TCm)를 결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송신 증폭기(210m)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수신하고, 제2 증폭값(AF2)에 기초하여 제1 송신 신호(TSig1)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증폭값(AF2)은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TC1~TCn)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송수신기(11)는 송신 모드인지 수신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송신 모드에서, 송수신기(11)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수신하고(S121), 수신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필터링 함으로써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S122). 송수신기(11)는 필터링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를 업-컨버팅함으로써 제1 채널로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키고, 필터링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업-컨버팅함으로써 제2 채널로 주파수 영역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S123). 송수신기(11)는 업-컨버팅된 제1 송신 반송파 신호(TC1) 및 제2 송신 반송파 신호(TC2)를 병합함으로써 제1 송신 신호(TSig1)를 생성할 수 있다. 송수신기(11)는 제1 송신 신호(TSig1)를 증폭시키고 제1 안테나(Ant1_1)를 통해 외부(예를 들면, 도 1의 제2 무선 통신 장치(3))에 출력할 수 있다(S125).
수신 모드에서, 송수신기(11)는 제1 안테나(Ant1_1)를 통해 제1 수신 신호(TSig1)를 수신할 수 있다(S131). 송수신기(11)는 제1 수신 신호(TSig1)를 제1 수신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하고,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TSig1)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를 추출할 수 있다(S132). 송수신기(11)는 제1 수신 신호(TSig1)를 제2 수신 주파수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하고, 다운-컨버팅된 제1 수신 신호(TSig1)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추출할 수 있다(S133). 송수신기(11)는 추출한 제1 수신 반송파 신호(RC1) 및 제2 수신 반송파 신호(RC2)를 내부 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S134).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00)는 모뎀(MODEM)(1100) 및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1200)를 포함할 수 있고, 모뎀(1100)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1010),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1030), 메모리(1050), 메인 프로세서(1070) 및 메인 메모리(1090)를 포함할 수 있다.
RFIC(1200)은 안테나(Ant)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RFIC(1200)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송수신기(Tran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RFIC(1200)는 모뎀(110)와 복수의 반송파 신호(C)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RFIC(1200)는 모뎀(1100)의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하나의 안테나(Ant)를 통해 반송파 집적(CA)을 이용한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C)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RFIC(1200)는 모뎀(1100)의 제어 신호(Ctrl)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C)를 반송파 집적(CA)을 이용하여 하나의 신호로 병합하고, 병합된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Ant)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Ctrl)에는 주파수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ASIP(1030)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집적 회로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 있고, 명령어 세트에 포함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050)는 ASIP(103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ASIP(103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05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ASIP(103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070)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70)는 ASIC(1010) 및 ASIP(1030)를 제어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메인 메모리(1090)는 메인 프로세서(1070)와 통신할 수 있고, 비일시적인 저장장치로서 메인 프로세서(1070)에 의해서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메모리(1090)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테이프,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이, 메인 프로세서(1070)에 의해서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제1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복수의 송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송신 반송파 신호들을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송신부;및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를 복수의 수신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로 분할하는 제1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 반송파 신호들을 각각 분할하는 복수의 반송파 수신부들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수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는,
    제1 송신 반송파 신호를 제1 채널로 업-컨버팅 시킨 후 출력하는 제1 반송파 송신부;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제2 채널로 업-컨버팅 시킨 후 출력하는 제2 반송파 송신부;
    상기 제1 반송파 송신부 및 상기 제2 반송파 송신부와 연결되고, 제1 채널의 상기 제1 송신 반송파 신호 및 상기 제2 채널의 상기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덧셈기(adder);및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제1 안테나에 출력하는 제1 송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송신부는,
    상기 제1 송신 반송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송신 필터;
    필터링된 상기 제1 송신 반송파 신호를 상기 제1 채널로 업-컨버팅 시키는 제1 송신 믹서; 및
    상기 제1 송신 반송파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덧셈기에 출력하는 제1 송신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파 송신부는,
    상기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송신 필터;
    필터링된 상기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상기 제2 채널로 업-컨버팅 시키는 제2 송신 믹서; 및
    상기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덧셈기에 출력하는 제2 송신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 제3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안테나에 출력하는 제2 송신부; 및
    상기 제1 송신부 및 상기 제2 송신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제2 송신 반송파 신호를 제2 채널로 업-컨버팅 시키고 상기 제1 송신부에 출력하는 제3 송신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수신 증폭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제3 채널의 제1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반송파 수신부;및
    상기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수신 증폭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제4 채널의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반송파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수신부는,
    상기 제2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 수신 버퍼;
    상기 제2 신호를 채널에서 제1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키는 제1 수신 믹서;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수신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반송파 수신부는,
    상기 제2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수신 버퍼;
    상기 제2 신호를 채널에서 제2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키는 제2 수신 믹서;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수신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4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신호로부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를 제2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킨 후 상기 제2 수신부에 출력하는 제3 수신 믹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4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수신 증폭기;
    상기 제4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키는 제2 수신 믹서;및
    상기 제2 수신 믹서 및 상기 제3 수신 믹서와 제3 노드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4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수신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4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수신 필터에 출력하는 먹스(Multiplexer;MUX);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외부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제1 채널의 제1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2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제2 채널의 제2 수신 반송파 신호를 추출하는 제2 수신부;및
    상기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제1 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다운-컨버팅 시킨 후 상기 제2 수신부에 출력하는 제1 수신 믹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180045742A 2018-04-19 2018-04-19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63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42A KR102631348B1 (ko) 2018-04-19 2018-04-19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CN201910122024.7A CN110391827B (zh) 2018-04-19 2019-02-19 多输入多输出系统中用载波聚合收发信号的无线通信设备
US16/375,385 US10742302B2 (en) 2018-04-19 2019-04-04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ransceiving signals by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multi input multi out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742A KR102631348B1 (ko) 2018-04-19 2018-04-19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69A true KR20190122069A (ko) 2019-10-29
KR102631348B1 KR102631348B1 (ko) 2024-01-31

Family

ID=6823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42A KR102631348B1 (ko) 2018-04-19 2018-04-19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42302B2 (ko)
KR (1) KR102631348B1 (ko)
CN (1) CN1103918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3409B2 (en) * 2019-02-14 2022-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SRP measurements for a wireless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per antenna arran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3106A1 (en) * 2008-12-24 2010-07-22 Hughes Network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nonlinea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ulti-carrier transmission
US20150087245A1 (en) * 2013-09-20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Receiver for carri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8669B2 (en) 2011-05-17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architecture
US9252827B2 (en) 2011-06-27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splitting carrier aggregation receiver architecture
GB201119887D0 (en) * 2011-10-17 2011-12-28 Renesas Mobile Corp Methods of receiving and receivers
US9118439B2 (en) * 2012-04-06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 for imbalanced carriers
US9312888B2 (en)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US20140273887A1 (en) 2013-03-15 2014-09-18 Motorola Mobility Llc Tunable ila and dila matching for simultaneous high and low band operation
US9503173B2 (en) 2013-07-31 2016-11-22 Broadcom Corporation WLAN and cellular shared antennas
US9621327B2 (en) 2013-09-17 2017-04-11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carrier aggregation front-end module applications
US20150092680A1 (en) * 2013-09-30 2015-04-02 Broadcom Corporation Flexible Receiver Architecture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in Down Link
DE102014102701B3 (de) 2014-02-28 2015-08-27 Epcos Ag Frontendschaltung mit einem abstimmbaren Filter
GB2526677B (en) * 2014-04-11 2021-06-09 Skyworks Solutions Inc Circuits and methods related to switchless carrier aggregation in radio-frequency receivers
HUE037929T2 (hu) 2014-09-10 2018-09-28 Ericsson Telefon Ab L M Rádióvevõ vivõösszerakáshoz
US9825660B2 (en) 2014-10-31 2017-11-21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diversity receivers
KR102273799B1 (ko) * 2014-12-05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210775B (zh) 2015-01-21 2019-09-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功率放大模块以及通信装置
US20160380681A1 (en) * 2015-06-25 2016-12-29 Qualcomm Incorporated Simplified multi-band/carrier carrier aggregation radio frequency front-end based on frequency-shifted antennas
US9843291B2 (en) * 2015-08-07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Cascaded switch between pluralities of LNAS
US9935660B2 (en) 2016-02-22 2018-04-03 Motorola Mobility Llc Multiplex antenna matching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multiple signal ports to an antenna via cascaded diplex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3106A1 (en) * 2008-12-24 2010-07-22 Hughes Network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nonlinear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multi-carrier transmission
US20150087245A1 (en) * 2013-09-20 2015-03-26 Broadcom Corporation Receiver for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3409B2 (en) * 2019-02-14 2022-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SRP measurements for a wireless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per antenna arrangement
US20220116098A1 (en) * 2019-02-14 2022-04-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srp measurements for a wireless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per antenna arrangement
US11722200B2 (en) * 2019-02-14 2023-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SRP measurements for a wireless device with variable output power per antenna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42302B2 (en) 2020-08-11
CN110391827B (zh) 2023-07-11
CN110391827A (zh) 2019-10-29
US20190326977A1 (en) 2019-10-24
KR102631348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286B2 (en)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intra-band dual connectivity
KR102665202B1 (ko) 고조파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
JP6949914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ca)アーキテクチャ、無線周波数(rf)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周波数(rf)装置
US9225382B2 (en) Tunable filter front end architecture for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JP2016042700A (ja) モード又は周波数によって分離された入力に対応する電力増幅器インターフェース
US10230413B2 (en) Filtering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wireless applications
JP2016042700A5 (ko)
US20190379409A1 (en) Carrier aggregation using diplexers
US9419674B2 (en) Shared filter for transmit and receive paths
US20140119245A1 (en) Shared lte-ism rf front-end and antenna
US10374850B2 (en) Receiver and wireless terminal for signal processing
US9197381B2 (en) Low cost and robust receiver architecture for down link carrier aggregation
KR102631348B1 (ko)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10630262B2 (en) Filter circuit
US11228326B2 (en) Radio-frequency integrated chip configured to support carrier aggreg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223379B2 (en) Front-end architecture of multiband radio
CN111478709B (zh) 载波聚合电路及移动终端
US881785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and radio frequency equalizers
CN110224704A (zh) 射频系统和基站设备
KR20180056356A (ko) 광대역 rf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75163B1 (ko) 무선 접속 중계기의 통신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CN117749208A (zh) 一种收发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