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471A -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 Google Patents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471A
KR20190121471A KR1020180044817A KR20180044817A KR20190121471A KR 20190121471 A KR20190121471 A KR 20190121471A KR 1020180044817 A KR1020180044817 A KR 1020180044817A KR 20180044817 A KR20180044817 A KR 20180044817A KR 20190121471 A KR20190121471 A KR 2019012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rotatably connected
support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2136B1 (en
Inventor
전광호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주)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세 filed Critical (주)메세
Priority to KR102018004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136B1/en
Publication of KR2019012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ng equipment, which comprises: a support unit; a human body wearing unit provided at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unit, and formed to be worn on a human body part; and a photographing equipment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unit so as to face the human body wearing unit and mounting the photographing equipment.

Description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Wearable Camera Cradle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본 발명은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기기가 장착된 거치대를 팔과 같이 인체 부위에 착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흔들림 없이 인체의 손에 씌워진 인형 등의 피사물을 촬영할 수 있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photographic devic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by wearing a holder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on a human body part such as an arm,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a subject such as a doll covered in the human hand without shaking the photographing device. It relates to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최근 스마트폰이 생활 필수품이 되면서 자기 자신의 모습을 찍거나 자신의 생활사진 등을 언제 어디서나 촬영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물의 움직임과 음성을 함께 촬영할 수 있는 동영상 촬영도 할 수 있다. Recently, as smartphones become a necessity of life, they take pictures of themselves or take pictures of their lives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hoot a video that can shoot the movement of the object and the voice using a smartphone.

그러나,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모습을 찍게 되면 촬영자의 머리나 상반신만이 크게 나오고 뒷 배경은 거의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명의 모습을 함께 찍을 경우에도 사람들이 가까이 붙어서 촬영해야 촬영기기의 프레임에 겨우 담기기 때문에 촬영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aking a picture of yourself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nly the head or upper body of the photographer comes out large, and the background of the back almost does not come out. In addition, even when taking a picture of a number of people, the people are stuck close to the shooting, because the barely contained in the frame of the recording device has a problem inconvenient to shoo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장착하여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셀카봉(selfi-stick)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recent years, a selfie stick (selfi-stick) has been developed and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hich makes it convenient to take a picture or a video.

셀카봉은 일단부에 스마트폰 등과 같은 촬영기기를 장착하고 타단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다음, 타단부에 마련된 촬영 버튼을 이용하여 촬영한다. 또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물의 크기나 구도, 배경 등에 따라 셀카봉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서 사용하기도 한다. The selfie stick is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t one end, the other end is held by the user, and then photographed using a photographing button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lfie stick may be increased or shortened according to the size, composition, background, etc.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셀카봉을 사용하여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촬영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에 따라 배경 등을 추가하여 촬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멀리 떨어져 있는 촬영 대상물도 손쉽게 촬영할 수 이다. As described above, by taking a picture or a video using the selfie stick, the user can conveniently take a picture of himself or herself by adding a background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user, and far from the user Shooting objects can be taken easily.

한편, 셀카봉에는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를 장착하는 부분 이외에 별도로 인형 등의 액세서리(accessory)를 거치하기 위한 부분 또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셀카봉을 이용하여 인형이나 다른 제품 등과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형 등의 액세서리를 직접 들고 촬영하거나 다른 사람이 들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인형 등의 제품을 움직여야 할 경우에도 사용자는 셀카봉을 들고 인형을 들고 촬영까지 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인형 등의 제품을 움직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elfie stick is not provided with a portion or means for mounting an accessory (accessory), such as a doll in addition to the portion for mounting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ccordingly, when a user wants to take a picture or a video with a doll or another product using a selfie stick, the user has to take a picture of an accessory such as a doll or have another person listen. Moreover, even when a product, such as a doll, needs to be moved as needed, the user needs to hold a selfie stick and hold a doll, and thus it is almost impossible to move a product such as a doll.

또한, 최근에는 셀카봉 보다 고급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액션캠(또는 액션카메라)이나 액션캠이 장착된 거치대가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션캠이 장착된 거치대의 경우에는 셀카봉과 같이 유사한 형태 및 기능을 가지지만,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프레임 사이는 힌지(hinge) 구조가 적용되어 절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액션캠 거치대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stand equipped with an action cam (or action camera) or an action cam, which is a higher quality product than a selfie stick, has been gradually commercialized. In the case of a cradle equipped with a general action cam, it has a similar shape and function as a selfie stick, bu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a hinge structure is applied between the plurality of frames and has a shape that can be folded. Also used a lot.

하지만, 종래 절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액션캠 거치대의 경우에도 액션캠 즉, 카메라만 장착할 수 있을 뿐 카메라의 촬영 앵글에 들어가는 인형 등과 같은 제품은 장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n action cam holder having a conventional collapsible structure, only an action cam, that is, a camera, may be mounted, but a product such as a doll entering a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may be difficult to moun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션캠 거치대나 일반적인 셀카봉의 일단부를 잡고 촬영을 해야 한다. 만약, 액션캠 거치대나 셀카봉에 인형 등의 제품을 장착하게 되면 장착된 인형 등의 제품의 무게로 인하여 셀카봉에 큰 힘이 인가되고, 결국 셀카봉의 손잡이 부분에 요동이 발생되어 셀카봉의 일단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도 크게 흔들리게 되어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스마트폰 등의 촬영기기가 액션캠 거치대나 셀카봉으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should hold the end of the action cam cradle or the general selfie stick to shoot. If a product such as a doll is mounted on an action cam holder or a selfie stick,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selfie stick due to the weight of the mounted doll product, and eventually, a swing occurs in the handle portion of the selfie stick. The shoo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ounted on the shaker may also be greatly shaken, which may reduce the quality of the taken picture or video. Furthermore, the shoo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may be detached from the action cam holder or selfie stick and be damaged. hav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9-0037313호 (고안의 명칭: 캠코더의 촬영 보조 장치, 공개일: 1999. 10. 05.)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related prior art documents,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37313 (designated name: shooting aid of the camcorder , Published date: Oct. 05, 1999).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기기가 장착된 촬영기기 거치대를 인체의 팔에 착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기기를 통해 인체의 손에 씌워진 인형 등을 촬영할 수 있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that allows a user to take a doll, etc. covered in the hand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recording device by wearing a recording device holder equipped with a recording device on the arm of the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기기 거치대를 사용자의 팔 부분에 착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무게에 의해 거치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촬영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device holder that can be fixed so as not to shake the cradle by the weight of the recording device by wearing the recording device holder on the arm of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other task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체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체 착용유닛; 및 상기 인체 착용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 을 포함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unit; A human body wear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and formed to be worn on a human body part; And an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so as to face the human wearing unit and to which the imaging device is mounted. It can be achieved by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including a.

상기 인체 착용유닛은, 상기 인체 부위 외주면 둘레와 접촉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체 부위에 대한 상기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uman body wearing unit,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ix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to fix the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human body part.

상기 몸체는, 상기 인체 부위에 장착되거나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may be provided as a pair mounted on the body part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air of bodies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pport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상기 지지유닛은, 폴딩 가능한 복수개의 링크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이 장착되는 제1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may be provided in a form of a plurality of foldable links, the first frame to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is mounted; One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second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는 각각 제1 잠금부재 및 제2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1 잠금부재 및 상기 제2 잠금부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by a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by a second joint part, and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second second part are rotatable. The joint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member and a second locking member, respectively, and the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in a direction of rotating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Can be enabled or fixed.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상기 제3 프레임은 제3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관절부에는 제3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3 잠금부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 또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hir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by a third joint portion, and the third joi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rd lock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frame or the second frame is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locking member is rotated. The movement of the third frame may be enabled or fixed.

상기 제3 프레임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부 및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프레임의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thir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and the body located above the pair of bodies, and the other end of the third frame is located below the pair of bodies. The second body can be rotatably connected.

상기 제2 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와 연결되는 제2-2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rame may include: a 2-1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first body located above the pair of bodies; And a 2-2 frame connected to a second body positioned below the pair of bodies.

상기 제2-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2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2 프레임 중에서 장공이 형성되지 않는 어느 하나는 상기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A lo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2-1 frame or the 2-2 frame, and any one of the 2-1 frame or the 2-2 frame in which the long hole is not formed rotates in the long hole. It is possible to be connected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 hole.

상기 지지유닛은,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의 부재가 복수개 연결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formed of a plurality of flexible materials or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원통형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un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semi-cylindrical body.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은, 상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1 관절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착 브라켓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브라켓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includes a mounting bracket to whic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mounted; And a bracket pivot member connecting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first joint part to rotate or move the mount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상기 장착 브라켓은, 일면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기기를 잡아주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racket pivoting member is coupled to one surface; And a grip part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to hold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grip part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part.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무게를 상쇄하도록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웨이트 밸런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balancer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so as to offset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인체의 팔 부분에 착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흔들림 없이 손에 씌워진 인형을 촬영할 수 있어서 촬영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the arm portion of the human body can shoot the doll covered in the hand without shaking the imaging device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photographing resul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촬영기기와 손에 씌워진 인형이 마주보는 위치에 놓여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형을 움직이면서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인형을 촬영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arable photograph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doll cove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faces the user, it may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photograph the doll using the photographing device while moving the do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촬영기기와 인형 사이의 거리 및 촬영기기의 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인형의 다양한 촬영 구도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photograph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doll and the com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to implement various photographing compositions of the doll as desir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의 제1 관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의 제2 관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관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에 웨이트 밸런서가 추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joint part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of FIG. 1.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joint part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joint part illustrated in FIG. 3.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weight balancer add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shown in FIG. 1.
6 to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noted that the figure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have bee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exemplary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part shown in more than one fig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region, but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100, 이하 '촬영기기 거치대'라 함)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의 제1 관절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의 제2 관절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2 관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시한 촬영기기 거치대에 웨이트 밸런서가 추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joint portion of the recording device hold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recording device holder shown in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joint part illustrated in FIG. 1,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weight balancer add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and FIGS. 6 to 15.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100)는 지지유닛(110), 지지유닛(1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팔(20) 등 인체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체 착용유닛(120) 및 인체 착용유닛(120)과 마주보도록 지지유닛(11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10)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mounting device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110, one end of the support unit 110, worn on the human body, such as the arm 20 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110 to face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and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is formed possible and may include a recording device mounting unit 130 on which the recording device 10 is mounted. have.

우선, 지지유닛(110)은 인체 착용유닛(120)과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유닛(110)은 폴딩(folding), 즉 접을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유닛(110)은 복수개의 관절을 갖는 다관절(multi-joint)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First, the support unit 110 is a member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The support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s provided in a folding, ie foldable form. That is, the support unit 110 may be provided in a multi-joint form having a plurality of joints.

이러한 지지유닛(110)은 제1 프레임(112) 및 제1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2)의 일단부에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4)의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인체 착용유닛(120)의 몸체(12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frame 112 and a second frame 114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One end of the first frame 1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ording device mounting unit 130.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frame 114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122 of the human wearing unit 120.

한편, 제1 프레임(112)은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과 제1 관절부(111)를 통해 서로 움직임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은 제2 관절부(115)에 의해서 서로 움직임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14)과 인체 착용유닛(120)은 제3 관절부(117)에 의해서 서로 움직임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프레임(112)의 일단부와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힌지(hinge) 결합되어 제1 관절부(111)가 형성되는데, 제1 관절부(111)를 중심으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과 제1 프레임(112)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rame 112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joint portion 111 so as to be able to move or rotate,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is made of a first The second joint part 115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ovement or rotation, and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human wearing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joint part 117 to be capable of moving or rotating. .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are hinged to form a first joint part 111, wherein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is formed around the first joint part 111. The 130 and the first frame 112 may rotate or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또한, 제1 프레임(112)의 타단부와 제2 프레임(114)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제2 관절부(115)가 형성되는데, 제2 관절부(115)를 중심으로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절부(115)를 중심으로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수용하여 2개의 프레임이 완전히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을 완전히 접었을 때 거치대(100)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2 and one end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14 is hinged to form a second joint portion 115.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115 The second frame 114 may rotate or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Here, wh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rotat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joint portion 115, one of the two to accommodate the other is formed so that the two frames completely overlap May be To this end, an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in one frame to accommodate the other frame. In this manner, wh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are completely folded, the size of the holder 100 may be minimized to increase portability.

또한, 제2 프레임(114)의 타단부와 인체 착용유닛(120)이 힌지 결합되어 제3 관절부(117)가 형성되는데, 제3 관절부(117)를 중심으로 제2 프레임(114)과 인체 착용유닛(120)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is hinged to form a third joint portion 117,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human body around the third joint portion 117 is worn The unit 120 may rotate or mov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관절부(111) 및 제2 관절부(115)에는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이 각각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움직인 상태 또는 자세가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2 and 3, a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a second locking member 116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joint part 111 and the second joint part 115.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may enable or move the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130,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respectively. It is a member to be fixed.

여기서,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 관절부(111) 및 제2 관절부(115)가 움직일 수 있거나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를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의 자세 또는 위치가 고정되고,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를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의 자세 또는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Here, as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the first joint part 111 and the second joint part 115 may be movable or fixed. hav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are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e posture or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is fixed.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are rotated in a release direction, the posture or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is fixed. Can move freely.

구체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제1 프레임(112)을 원하는 자세 또는 위치로 조정한 후에 제1 잠금부재(11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게 되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제1 프레임(112)을 조정된 위치 또는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잠금부재(11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게 되면,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제1 프레임(112)의 위치 또는 자세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잠금부재(11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기 전까지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제1 프레임(112)을 어떠한 방향으로든 회전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after adjus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112 to a desired posture or position,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en locke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112 may be fixed in an adjusted position or posture. On the contrary, as shown in (b) of FIG. 2, when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is rotated and releas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112 is fixed. It may not be. Here, until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is rotated by locking in one direc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112 may be rotated or moved in any direction.

또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을 원하는 자세 또는 위치로 조정한 후에, 제2 잠금부재(11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게 되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을 조정된 위치 또는 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잠금부재(116)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게 되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의 위치 또는 자세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잠금부재(11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게 전 까지는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을 어떠한 방향으로든 회전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after adjusting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to a desired posture or position,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be locked. If so,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can be fixed in an adjusted position or posture. On the contrary, as shown in (b) of FIG. 3, when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is rotated and releas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may not be fixed. You may not. Here,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may be rotated or moved in any direction until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lock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잠금부재(116)는 잠금핀(116a)과 잠금나사(1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핀(116a)은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의 일측에서 삽입 관통되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에 결합되고, 잠금나사(116b)는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을 관통한 잠금핀(116a)의 일단부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잠금핀(116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잠금나사(116b)의 내측면에는 잠금핀(116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may include a locking pin 116a and a locking screw 116b.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pin 116a is insert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to be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The locking screw 116b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locking pin 116a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At this tim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pin 116a, and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pin 116a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 screw 116b.

여기서, 도 4에는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4)의 제2 관절부(115)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재(116)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1 잠금부재(113)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과 제1 프레임(112) 사이에 형성되는 것만 다를 뿐 제2 잠금부재(116)와 동일한 형태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although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formed on the second joint part 115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FIG. 4,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locking member 113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r size as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except that the locking member 113 is formed only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first frame 112.

인체 착용유닛(120)은 인체에 착용하는 부분이다. 인체 착용유닛(120)은 인체의 팔(20)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팔(20)에 착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손에 착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인체 착용유닛(120)이 팔(20)에 착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is a part worn on the human body. The human wearing unit 120 is preferably worn on the arm 20 of the human body, but is not necessarily worn on the arm 20 and may be worn on the hand.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is worn on the arm 20 will be described.

인체 착용유닛(120)은 팔(20)의 팔꿈치를 기준으로 아래 부분, 즉 손목에서부터 팔꿈치에 해당하는 아래팔 내지 전완(前腕) 부위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체 착용유닛(120)은 촬영기기(10)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과 지지유닛(110)을 팔(20)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팔(20)을 움직임에 따라 촬영기기(10)도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움직이게 된다.The human wearing unit 120 may be worn on the lower arm or forearm corresponding to the elbow from the lower part, ie, the elbow of the arm 20. Accordingly,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may stably fix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and the support unit 110 on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10 is mounted with respect to the arm 20. In addition, as the arm 20 moves, the imaging device 10 move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여기서, 인체 착용유닛(120)을 팔(20)의 팔꿈치 위쪽 부분에 착용할 수도 있지만, 촬영 대상에 포함되는 피사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된 촬영기기(10)를 이용하여 피사체 또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팔꿈치의 위쪽 부분 보다는 아래쪽 부분, 손목에서 가까운 팔뚝 부분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lthough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may be worn on the upper part of the elbow of the arm 20,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subject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target. In order to photograph the subject or the movement of the subject u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lbow, it is preferable to wear on the forearm close to the wrist.

상기와 같은 인체 착용유닛(120)은 몸체(122)와 고정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body 122 and a fixing member 124.

몸체(122)는 팔(20)의 둘레를 감싸는 부분이다. 몸체(122)는 인체의 팔(20)의 둘레에 맞게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되며,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몸체(122)는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122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arm 20. The body 122 is formed in a shape close to a circle to fit around the arm 20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Furthermore, since the body 122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human body, the body 12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122)의 내측면에 스펀지(sponge),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이 쿠션(cusion)이 있는 소재가 덧대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 착용유닛(120)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팔(20)과 접촉하는 몸체(122)가 팔(20)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material having a cushion such as sponge, silicon, or the like may be pad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22. Accordingly, the wearing feeling of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may be improved and the body 122 in contact with the arm 20 may be more stably positioned in the arm 20.

고정부재(124)는 팔(20)의 외주면에 위치된 몸체(122)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고정부재(124)는 몸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122)를 팔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124 is a part for fixing the body 122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m 20. In other words, the fixing member 12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to fix the body 122 to the arm.

여기서, 몸체(12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부분이 절단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몸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부재(124)가 마련됨에 따라 고정부재(124)를 이용하여 팔(20)의 둘레에 따라 몸체(12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124)는 인체의 팔 또는 손의 둘레에 맞게 늘어나도록 탄성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ody 12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is cut. As the fixing member 124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the size of the body 12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arm 20 using the fixing member 124. To this end, the fixing member 124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extend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arm or hand of the human body.

참고로, 고정부재(124)를 이용하여 팔(20)에 몸체(122)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부재(124)가 몸체(122)의 외주면 일측에 마련되어 몸체(122)의 일부분만을 감싸는 것 보다는 몸체(122)의 외주면 둘레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reference, in order to stably fix the body 122 to the arm 20 using the fixing member 124, the fixing member 1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to surround only a part of the body 122. Rather,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22.

한편, 고정부재(124)의 끝단부에는 몸체(122)의 외주면에 대해 몸체(122)의 외주면 둘레를 감싼 고정부재(12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접착부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인체 장착유닛(120)을 팔(20)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접착부가 갈고리 및 걸림고리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벨크로(velcro) 형태 또는 똑딱이 단추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122)의 외주면에 일측에 벨크로의 갈고리가 형성되고 고정부재(124)의 끝단부 내측면에는 벨크로의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고정부재(124)가 몸체(122)에 대해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4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portion (not shown) to fix the fixing member 124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The adhesive part may be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to facilitate detachment or coupling of the human body mounting unit 120 from the arm 20. For example, the adhesi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velcro shape or a snap button provided with a pair of hooks and hooks. That is, a hook of the velcro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2, and a hook of the velcro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124, so that the fixing member 124 is easily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22. You can do that.

한편,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기기(1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피사체는 촬영기기(10)에 의해서 촬영되는 대상의 일부분으로서, 손과 같이 인체의 일부분이 되거나 손에 끼워지는 인형(22)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피사체가 손에 끼워지는 인형(22)인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is a portion on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10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is mounted. Here, the subject may be a part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may be a doll 22 that becomes a part of the human body or is fitted into the hand such as a hand.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subject is a doll 22 to be fitted to the han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인체의 팔(20) 또는 손에 끼워지는 인형(22)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기기(1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즉, 인체 착용유닛(120)과 마주보도록 지지유닛(110)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촬영기기(10)가 장착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is a part in whic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for photographing the doll 20 fitted to the arm 20 or the hand of the human body is mounted. That is, the imaging device 1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110 so as to face the human wearing unit 120.

이때,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지지유닛(110)의 제1 프레임(112)에 연결된 촬영기기(10)가 제1 프레임(112)에 대해서 회전 또는 움직이도록 제1 프레임(112)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so tha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of the support unit 110 rotates or moves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112. Can be.

이러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은 장착 브라켓(133)과 장착 브라켓(133)을 제1 프레임(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브라켓 회동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may include a bracket rotating member 136 rotatably connecting the mounting bracket 133 and the mounting bracket 133 to the first frame 112.

장착 브라켓(133)은 스마트폰,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촬영기기(10)를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mounting bracket 133 is a part to which various photographing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and a camera, are mounted. For reference, as shown in FIG. 1,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is limited to a smartpho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한편, 장착 브라켓(133)은 촬영기기(10)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132) 및 지지부(132)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장착되는 촬영기기(10)를 잡아주는 그립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bracket 133 may include a support part 132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a grip part 134 for hold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32.

지지부(132)는 플레이트(plate)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에 브라켓 회동부재(136)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3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bracket rotating member 136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thereof.

한편, 브라켓 회동부재(136)는 장착 브라켓(133)을 제1 프레임(112)에 대해 회전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브라켓 회동부재(136)의 일단부는 장착 브라켓(133)의 지지부(13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관절부(111) 또는 제1 프레임(112)에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rotating member 136 is a portion to allow the mounting bracket 133 to rotate or mov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112). One end of the bracket rotating member 136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32 of the mounting bracket 133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part 111 or the first frame 112.

여기서, 브라켓 회동부재(136)가 제1 관절부(111)에 의해서 제1 프레임(112)과 연결되는 경우, 제1 관절부(111)에 마련된 제1 잠금부재(113)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브라켓 회동부재(136)을 제1 프레임(112)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거나, 제1 프레임(112)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Here, when the bracket pivoting member 136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by the first joint part 111, the bracket is rota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provided in the first joint part 111 is rotated. The rotation member 136 may be rotatable or movabl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112 or may be fixed to the first frame 112.

한편, 도 1에는 지지부(132)와 브라켓 회동부재(136)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부(132)의 양단부에 형성된 그립부(134)와 브라켓 회동부재(136)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although FIG. 1 shows that the support part 132 and the bracket rotation member 136 are connected, the grip part 134 and the bracket rotation member 136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32 may be connected as necessary.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지지부(132)의 양단부에 형성된 그립부(134)는 지지부(132)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 part 134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32 may be bent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32.

여기서, 그립부(134)는 지지부(132)를 중심으로 적어도 어느 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기기(10)의 길이방향 길이 또는 폭방향 길이와 관계없이 촬영기기(10)를 장착 브라켓(133)을 이용하여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촬영기기(10)가 그립부(134)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경우에도 그립부(13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지지부(132)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을 확장한 후에 촬영기기(10)를 장착 브라켓(133)에 장착할 수 있다. Here, the grip part 134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part 132.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 lengthwise or widthwise length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be stably moun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using the mounting bracket 133. In other words, even when the imaging device 10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grip parts 134, the mounting part 10 is mounted after the grip part 134 is moved in one direction to exte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32. 133 can be attached.

참고로, 일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그립부(134)와 지지부(132)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셀카봉(selfi-stick)에 적용되는 구조와 동일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structures of the grip part 134 and the support part 132 that are formed to be stretchable in one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ose that are applied to a self-stick commonly used, but the shape thereof may be modified as necessary. May be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착 브라켓(133), 즉 지지부(132) 또는 그립부(134)의 내측면에는 댐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등과 같이 부드럽고 폭신폭신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기기(10)가 장착 브라켓(133)에 장착될 때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촬영기기(10)가 그립부(134)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지지부(132) 또는 그립부(134)의 내측면 중에서 어느 한 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고 지지부(132) 및 그립부(134)의 내측면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damp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bracket 133, that is, the support part 132 or the grip part 134. The damper may be made of a soft and fluffy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 or the like. Accordingly, wh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bracket 133,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be stably fixed without slipping,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grip part 134. The damper may be provided only at any one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132 or the grip part 134, or may be provided at bo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132 and the grip part 134,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인체 착용유닛(120)의 몸체(122)에는 웨이트 밸런서(14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balancer 14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22 of the human body wearing unit 120.

웨이트 밸런서(140)는 몸체(122)의 일측에 마련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지지 유닛(110)의 무게를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지지 유닛(110)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weight balancer 140 is for offsetting the weight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supporting unit 1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22, and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supporting unit 110. 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이러한 웨이트 밸런서(140)는 밸런서 지지부(142) 및 밸런서 조절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ight balancer 140 may include a balancer support 142 and a balancer adjuster 144.

밸런서 지지부(14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고, 밸런서 조절부(144)는 무게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밸런서 지지부(142)는 몸체(122)에 연결되어 밸런서 조절부(144)를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밸런서 지지부(1420)는 3개의 막대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ancer support part 142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and the balancer adjusting part 144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weight. The balancer support 142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22 to support the balancer adjuster 144. For reference, the balancer support 1420 is preferably formed of three rod members.

이때,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된 촬영기기(10)가 무겁거나 또는 가벼울 경우에는 촬영기기(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쏠릴 수 있는데, 이럴 경우 밸런서 조절부(144)를 밸런서 지지부(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위치를 이동시켜 촬영기기(10)가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밸런서 조절부(144)의 일단부는 나사 또는 볼트(bolt) 형태로 형성되는데, 밸런서 조절부(144)를 밸런서 지지부(142)에 대해서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촬영기기(10)의 무게가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photographing device 10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is heavy or light, the photographing device 10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this case, the balancer adjusting part 144 may be moved by the balancer support part ( The 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ay be prevented by moving the position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42. Here, one end of the balancer adjusting unit 14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or bolt, so that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is offset by tightening or releasing the balancer adjusting unit 144 with respect to the balancer support unit 142. can do.

참고로, 웨이트 밸런서(140)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되는 촬영기기(10)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또는 형태로 마련되며, 그 크기 또는 형태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200, 300, 400, 500)를 전술한 일 실시예와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For reference, the weight balancer 140 is provided in a size or shape that can offset the weight of the recording device 10 mounted on the recording device mounting unit 130, the size or shape may not be limited. . 6 to 15,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200, 300, 400, 500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200, 300, 400, 5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Recording apparatus holders 200, 300, 400,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have been given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scription thereof The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will be applied mutatis mutandis.

우선, 도 6 내지 도 9를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200)를 설명한다. First, the imaging device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1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110)과는 다르게 제3 프레임(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200)의 지지유닛(210)은 제1 프레임(112), 제2 프레임(114) 및 제3 프레임(219)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rame 219 unlike the support unit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support unit 210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rame 112, a second frame 114, and a third frame 219. .

우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프레임(219)은 일단부가 제3 관절부(117)에 의해서 제2 프레임(114)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one end of the third frame 219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114 by the third joint part 117.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힐 때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4)과 제3 프레임(219)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힐 때 어느 하나의 프레임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이 서로 포개어지거나 수용되도록 서로 회전하는 방향과, 제2 프레임(114)과 제3 프레임(219)이 서로 포개어지거나 수용되도록 서로 회전하는 방향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프레임(219)에 대해서 제2 프레임(11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포개어지는 반면에, 제2 프레임(114)에 대해서 제1 프레임(11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Wh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rotat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completely folded, one frame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other fram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rotat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fully folded, one frame may be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other frame.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are rotated with each other so as to overlap or accommodate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are rotat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superimposed or received from each other Is preferably the opposit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and 7, with respect to the third frame 219, the second frame 114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overlap each other, while the first frame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114. The 112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superimposed on one another.

이때, 도 6 및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3 관절부(117)의 일측에는 상술한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제3 잠금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잠금부재는 상술한 제1 잠금부재(113) 및 제2 잠금부재(116)와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114) 및 제3 프레임(219)의 회전 또는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FIGS. 6 and 7, one side of the third joint part 117 has a third locking member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described above. ) May be provided. The third locking member, like the first locking member 113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116 described above, may enable rotation or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or allow the movement to be fixed. Can be.

참고로, 제2 프레임(114) 및 제3 프레임(219)의 위치 또는 자세를 조정한 후에 제3 잠금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그게 되면, 제2 프레임(114) 및 제3 프레임(219)의 자세 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제3 잠금부재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풀게 되면, 제2 프레임(114) 및 제3 프레임(219)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For reference,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and locking the third locking member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are locked. Position or position may be fixed. On the contrary, when the third locking member is released by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posture or the position of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may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유닛(220)의 몸체(222)는 미리 설정된 간격 만큼 서로 떨어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몸체(222)는 팔(20)의 하부(손목과 인접한 부분), 팔(20)의 상부(팔꿈치와 인접한 부분)에 각각 체결되거나 지지하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2개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22 of the human body wear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pai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other words, two bodies 222 may be provided in pai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asten or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20 (the portion adjacent to the wris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rm 20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lbow). Can be.

한 쌍으로 마련된 몸체(222) 사이에는 지지 프레임(226)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된 제1 몸체(222a)와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222b)를 서로 연결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226)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지지 프레임(226)이 강도가 크지 않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한 쌍의 몸체(222)를 제대로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A support frame 226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bodies 222 to connect or support the first body 222a positioned above and the second body 222b positioned below. Here, the support frame 226 is preferably formed of a hard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rather than being formed of a soft material. If the support frame 226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support the pair of bodies 222.

제1 몸체(222a) 및 제2 몸체(222b)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부재(2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4)는 팔(20)을 감싸는 제1 및 제2 몸체(222a,222b)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Fixing members 224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respectively. The fixing member 224 is a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22a and 222b surrounding the arm 20, respectively.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체 착용유닛(220)의 고정부재(224)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124)와 동일한 형태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200)는 제3 프레임(219)이 제1 및 제2 몸체(222a,222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촬영기기 거치대(200)의 경우에는 제3 프레임(219)이 손목에 가까운 팔(20)에 고정되는 제1 몸체(222a)에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Here, the fixing member 224 of the human wear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r size as the fixing member 12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8 and 9, in the imaging device holder 20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rame 219 may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22a and 222b. Each can be connected. In the case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200 shown in FIG. 5, the third frame 219 is rotatably connected to only the first body 222a fixed to the arm 20 close to the wrist.

도 8 및 도 9를을 참조하면,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222a)는 제3 프레임(219)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222b)는 제3 프레임(219)의 일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8 and 9, the first body 222a positioned above the pair of bodies 22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rame 219 and includes a pair of bodies ( The second body 222b disposed below the second frame 222b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frame 219.

다시 말해서,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222b)는 제3 관절부(117)에 의해서 제3 프레임(219)의 일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제1 몸체(222a)는 제4 관절부(217)에 의해서 제3 프레임(219)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몸체(122)와 제3 관절부(117) 및 제4 관절부(217)를 통해 연결된 제3 프레임(219)은 한 쌍의 몸체(222)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body 222b located below the pair of bodies 222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frame 219 by the third joint portion 117, and the pair of bodies The first body 222a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22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rame 219 by the fourth joint part 217. That is, the third frame 219 connected through the pair of bodies 122, the third joint part 117, and the fourth joint part 217 may be rotatable or mov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bodies 222.

또한,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은 서로 접혀서 포개어질 수 있고, 제2 프레임(114)과 제3 프레임(219)도 서로 접혀서 포개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14)이 서로 접혀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3 프레임(219)과도 접혀서 포개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may be fold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114 and the third frame 219 may be folded to overlap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may be folded and overlapped with the third frame 219 in a state where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14 are folded.

한편, 제3 프레임(219)과 제2 몸체(222b)와 연결될 부분은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 프레임(219)과 제2 몸체(222b)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촬영기기(10)와 인형(22)의 거리를 멀게 할 수도 있고 가깝게 할 수 있어 다양한 촬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portions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frame 219 and the second body 222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uch, the third frame 219 and the second body 222b may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nd the doll 22 may be far or near. Shooting effect can be implemented.

참고로, 도 6 내지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관절부(117) 및 제4 관절부(217)는 상술한 브라켓 회동부재(136)와 동일한 볼 조인트(ball-joint)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제3 프레임(219)은 한 쌍의 몸체(222)에 대해 360도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FIGS. 6 to 9, the third joint part 117 and the fourth joint part 217 are the same ball-joint or universal joint as the bracket pivoting member 136 described above. ) And the like. Accordingly, if necessary, the third frame 219 may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air of bodies 222.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222)에도 웨이트 밸런서(240)가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balancer 24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body 2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웨이트 밸런서(240)는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지지유닛(210)의 무게는 물론이고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되는 촬영기기(10)의 무게를 상쇄하기 위한 것이다. The weight balancer 240 is for offsetting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support unit 210.

이러한 웨이트 밸런서(240)는 밸런서 지지부(242) 및 밸런서 조절부(244)로 마련될 수 있다. The weight balancer 240 may be provided as a balancer support 242 and a balancer adjuster 244.

여기서, 밸런서 지지부(242)는 텔레스코픽(telescopic)의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 할 수 있다. 또한, 밸런서 조절부(244)의 일단부도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밸런서 조절부(144)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밸런서 지지부(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변경하면서 웨이트 밸런서(240)의 전체 무게를 늘였다 줄였다 조정할 수 있다. Here, the balancer support portion 2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telescopic (telescopic) can be lengthened and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one end of the balancer adjusting unit 244 is also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balancer adjusting unit 144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ile changing the posi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lancer support unit 242, the weight balancer 240. The overall weight can be adjusted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it.

한편, 웨이트 밸런서(240)는 제1 몸체(222a) 및 제2 몸체(222b)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226)을 따라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eight balancer 240 may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frame 226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웨이트 밸런서(240)의 일단부, 즉 밸런서 지지부(242)의 일단부가 지지프레임(226)에 형성된 장공(227)에 삽입되어 지지프레임(2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공(227)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웨이트 밸런서(240)는 지지 프레임(226)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7 and 9, one end of the weight balancer 240, that is, one end of the balancer support part 242,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227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26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26 may be adjusted. Therefore, it can be slid upward or downward.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eight balancer 240 sliding along the long hole 227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26.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300)를 설명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0 and 11, a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 유닛(31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31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3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314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때, 제2 프레임(314)은 한 쌍 또는 적어도 2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임(314)은 제2-1 프레임(312) 및 제2-2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frame 314 may be provided as a pair or at least two. The second frame 314 may include a second-first frame 312 and a second-second frame 313.

구체적으로, 제2-1 프레임(312)의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2)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1 프레임(312)의 타단부는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상측에 위치된 제1 몸체(222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2 프레임(313)의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2)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2 프레임(313)의 타단부는 한 쌍의 몸체(222) 중에서 하측에 위치된 제2 몸체(222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first frame 3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first frame 312 is one of a pair of bodies 222.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222a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frame 2-3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2-313 is lower than the pair of bodies 222.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22b) located in.

즉, 제2-1 프레임(312) 및 제2-2 프레임(313)의 일단부는 제2 관절부(115)에 의해서 제1 프레임(112)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1 프레임(312) 및 제2-2 프레임(313)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314)과 제1 프레임(112)이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제2 프레임(314)을 구성하는 2개의 프레임(312,313)이 제1 프레임(112)에 연결될 때, 제1 프레임(112)의 동일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one ends of the second-first frame 312 and the second-second frame 31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by the second joint part 115, and thus the second-first frame 312. ) And the second frame 314 and the first frame 112 including the second-2 frame 313 may rotate or move. When the two frames 312 and 313 constituting the second frame 314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2, i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ame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2.

또한, 제2-1 프레임(312)의 타단부는 제3 관절부(117)에 의해서 제1 몸체(222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2 프레임(313)의 타단부는 제5 관절부(317)에 의해서 제2 몸체(222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2-1 프레임(312) 및 제2-2 프레임(313)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214)이 한 쌍의 몸체(222)에 대해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first frame 3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222a by the third joint part 117,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second frame 313 is the fifth joint part. The second frame 214 including the 2-1 frame 312 and the 2-2 frame 3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22b by a pair of bodies (317). Or rotate about 222.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몸체(222) 즉, 제1 몸체(222a)와 제2 몸체(222b)는 지지 프레임(22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거나 지지되기 때문에 제1 몸체(222a)와 제2 몸체(222b)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pair of bodies 222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are connected or supported by each other by the supporting frame 226,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 The spacing between 222b) may be maintained.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프레임(112,314)은 완전히 접혔을 때 서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또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400)를 설명한다.10 and 11,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314 may b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fully folded. Referring to FIGS. 12 and 13,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scribes the imaging device holder 400.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400)의 지지유닛(410)은 제1 프레임(412) 및 제2 프레임(314)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support unit 410 of the imaging device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rame 412 and a second frame 314.

이때, 제1 프레임(412)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플렉시블(flexible) 한 재질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412)은 복수개의 연결부재(412a)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연결부재(412a)는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프레임(412)의 휘어지는 각도 또는 자세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또는 자세 등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서 제1 프레임(412)의 일단부에 연결된 촬영기기(10)의 촬영 각도 또는 촬영 자세 등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하거나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41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r shape so as to move fre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first frame 412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412a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412a may be separated or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frame 412 may be adjusted to be at an angle or posture desir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adjust or vary the shooting angle or the shooting posture of the recording device 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또한, 제2 프레임(314)은 전술한 제3 실시예와 같이 제2-1 프레임(312) 및 제2-2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프레임(312)과 제2-2 프레임(313)이 서로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프레임(312)의 일단부에는 장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공(311)에는 제2-2 프레임(31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2 프레임(313)이 장공(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1 프레임(312)에 장공(311)이 형성되고, 장공(311)을 따라 제2-2 프레임(313)가 움직임에 따라 촬영기기 거치대(4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팔(20) 길이에 맞게 한 쌍의 몸체(2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314 may include the 2-1-1st frame 312 and the 2-2th frame 313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The 2-1 th frame 312 and the 2-2 th frame 313 may mov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 detail, a long hole 31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first frame 312. One end of the second-second frame 31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ng hole 311 so that the second-second frame 313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311. As described above, the long hole 311 is formed in the 2-1st frame 312, and the arm of the user who uses the imaging device holder 400 as the 2-2 frame 313 moves along the long hole 311. (20) It may be easy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bodies 222 to fit the length.

참고로, 제2-1 프레임(312)과 제2-2 프레임(313)은 완전히 접혔을 때 서로 포개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2-1 th frame 312 and the 2-2 th frame 313 may b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fully folded.

또한, 도 12 및 도 1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공(311)을 따라 이동하는 제2-2 프레임(313)의 위치 또는 자세가 제2-1 프레임(312)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몸체(222a)와 제2 몸체(222b)를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226, 도 7 참조)이 마련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S. 12 and 13,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second-second frame 313 moving along the long hole 311 may be fixed to the second-first frame 312. A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Although not shown in FIG. 8, a support frame 226 (see FIG. 7) connecting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400)에도 웨이트 밸런서(440)가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balancer 44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hold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웨이트 밸런서(440)는 제1 밸런서 지지부(442), 제2 밸런서 지지부(443) 및 밸런서 조절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ight balancer 440 may include a first balancer support 442, a second balancer support 443, and a balancer adjuster 444.

제1 밸런서 지지부(442)는 2개로 마련되어 각각 제1 몸체(222a) 및 제2 몸체(222b)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밸런서 지지부(442)는 2개의 부재가 분기되어 형성되어 제1 몸체(222a) 및 제2 몸체(222b)게 각각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balancer support part 442 may be provided in two and may be fixed to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balancer support part 442 may be formed by branching two members to be fixed to the first body 222a and the second body 222b, respectively.

제2 밸런서 지지부(443)는 제1 밸런서 지지부(442)와 밸런서 조절부(44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때, 제2 밸런서 지지부(443)는 제1 프레임(412)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밸런서 지지부(443)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미도시)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밸런서 지지부(44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들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웨이트 밸런서(440)의 원하는 각도 또는 자세 등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어서 촬영기기(10)의 무게에 따라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및 지지유닛(140)의 무게를 상쇄하기 위한 웨이트 밸런서(440)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second balancer support part 443 is a member for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alancer support part 442 and the balancer adjusting part 444. In this case, the second balancer support part 443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frame 412. That is, the second balancer support part 443 may be formed by rotatab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not shown). Here,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stituting the second balancer support portion 443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weight balancer 440 can be adjusted to be at a desired angle or posture, so that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the weight balancer 440 for offsetting the weight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130 and the support unit 140 may be more precisely adjusted.

한편,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500)를 설명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4 and 15, a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500)의 지지유닛(510)은 일단부가 촬영기기 장착유닛(130)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체 착용유닛(520)과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upport unit 510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human body wearing unit ( 520 may be connected.

여기서, 지지유닛(510)은 제1 프레임(512) 및 연결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unit 510 may include a first frame 512 and a connection member 511.

제1 프레임(512)은 일단부에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연결부재(51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프레임(512)은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제1 프레임(412)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의 부재가 복수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5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at one end thereof, and the connecting member 511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512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member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like the first frame 412 of the fourth embodiment.

한편, 연결부재(511)는 제1 프레임(512)의 타단부와 인체 착용유닛(5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511)는 제1 프레임(512)과는 다르게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 프레임(512)과 인체 착용유닛(5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체 착용유닛(520)은 연결부재(511)에 대해서 회전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member 511 may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512 and the human wearing unit 520.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511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frame 512 so that the first frame 512 and the human wearing unit 520 may be stably coupled. Here, the human wearing unit 520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rotate relative to the connection member 511.

참고로, 도 9에는 연결부재(511)가 양쪽으로 분기된 형태로 형성되어 인체 착용유닛(520)의 하단부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in FIG. 9, the connection member 511 is formed in a bifurcated form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human wearing unit 5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other form. .

한편, 인체 착용유닛(520)은 몸체(522)가 일측이 개구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인체 착용유닛(520)은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와는 다르게 한 쌍의 몸체(222)와 한 쌍의 몸체(222)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6)이 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몸체(522)가 지지 프레임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522)는 인체의 팔(2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지지하기 위해서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uman body wearing unit 520 may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body 522 one side is opened. In other words, unlike the above-described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human body wearing unit 520 is separately formed with a support frame 226 supporting the pair of bodies 222 and the pair of bodies 222. Rather than being coupled, one body 522 may also serve as a support frame. Such a body 522 is preferably formed of a rigid material in order to stably mount and support the arm 20 of the human body.

만약, 몸체(522)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팔(20)에 착용하는 것은 편리하더라도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된 촬영기기(10)를 제대로 잡아주는 것이 불가능 할 수 있다. If the body 522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ven if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wear it on the arm 20, it may be impossible to properly hol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한편,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522)의 일단부에는 고정부재(52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524)는 팔(20)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522)를 팔(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Meanwhile, a fixing member 524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522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Fixing member 524 is formed to surround the arm 20 is a portion for fixing the body 522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o the arm 20.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524)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부재(124, 224)와 동일한 형태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xing member 524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or size as the fixing members 124 and 224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촬영기기 거치대(500)는 웨이트 밸런서(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ing device hold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balancer 540.

웨이트 밸런서(54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 지지유닛(510) 및 촬영기기(10)의 무게를 상쇄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weight balancer 540 is a member for canceling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the support unit 510,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때, 웨이트 밸런서(540)는 밸런서 지지부(542) 및 밸런서 조절부(544)로 형성될 수 있다. 밸런서 지지부(542)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 지지부(242)와 마찬가지로 텔레스코픽 형태로 형성되어 그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ight balancer 540 may be formed of a balancer support 542 and a balancer adjuster 544. The balancer support part 542 may be formed in a telescopic form like the balancer support part 24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o increase or decrease its length.

또한, 밸런서 조절부(544)도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 조절부(244)와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나사 또는 볼트(blot) 형태로 마련되어 밸런서 지지부(5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웨이트 밸런서(540) 자체의 무게 중심이 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lancer adjusting part 544 is also provided with a screw or bolt in one end portion like the balancer adjusting part 244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lancer support part 542. By moving, the weight center of the weight balancer 540 itself may change.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밸런서(540)는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522)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웨이트 밸런서(540)의 일단부가 반원통형의 몸체(522)의 일면에 형성된 장공(523)에 결합되고, 장공(523)을 따라 웨이트 밸런서(54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Here, the weight balancer 54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body 522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weight balancer 540 is coupled to the long hole 52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mi-cylindrical body 522, and may move the weight balancer 540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long hole 523. .

즉, 웨이트 밸런서(540)는 장공(523)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밸런서1 지지부(542) 및 밸런서 조절부(544)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웨이트 밸런서(54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기기 장착유닛(130)에 장착되는 촬영기기(10)의 무게에 따라 웨이트 밸런서(540)의 무게 중심을 변경할 수 있어서 촬영기기 거치대(5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팔이나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weight balancer 540 is moved upwards or downwards along the long hole 523, and the length of the weight balancer 540 is adjusted by the balancer 1 support 542 and the balancer adjuster 544, and thus the weight of the weight balancer 540. You can change the center. Therefo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ight balancer 54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 mounted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130, so that the arm or hand of the user who wear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holder 500 is unreasonable. You can avoid going.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인체의 팔 등 신체의 일 부분에 착용함으로써 촬영기기의 흔들림 없이 손에 씌워진 인형 등 피사물을 촬영할 수 있어서 촬영 결과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a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arm of the human body can shoot a subject, such as a doll covered in the hand without shaking the recording device, Can improve the qua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촬영기기와 손에 씌워진 인형 등의 피사물이 마주보는 위치에 놓여지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촬영자가 직접 피사물을 움직이면서 동시에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피사물을 촬영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arable photograph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a photographing device and a subject such as a doll are placed on the hand, the user or the photographer directly moves the subject and simultaneously photographs the subject using the photographing device. It can be convenient to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는 촬영기기와 피사물 사이의 거리 및 촬영기기의 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피사물의 다양한 촬영 구도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arable photographing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subject and the composi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thereby realizing various photographing compositions of the subject as desired by the us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is is mere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400, 500: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110, 210, 310, 410, 510: 지지유닛
112, 412, 512: 제1 프레임 114, 314: 제2 프레임
119: 제3 프레임 111: 제1 관절부
115: 제2 관절부 117: 제3 관절부
217: 제4 관절부 317: 제5 관절부
120, 220, 520: 인체 착용유닛
122, 222: 몸체
222a: 제1 몸체 222b: 제2 몸체
124, 224, 524: 고정부재 226: 지지 프레임
130: 촬영기기 장착유닛 132: 지지부
133: 장착 브라켓 134: 그립부
136: 브라켓 회동부재 511: 연결부재
140, 240, 440, 540: 웨이트 밸런서
142, 242, 542: 밸런서 지지부
442: 제1 밸런서 지지부 443: 제2 밸런서 지지부
144, 244, 444, 544: 밸런서 조절부
100, 200, 300, 400, 500: wearable camera holder
110, 210, 310, 410, 510: support unit
112, 412, 512: First frame 114, 314: Second frame
119: third frame 111: first joint portion
115: second joint portion 117: third joint portion
217: fourth joint part 317: fifth joint part
120, 220, 520: wearable unit
122, 222: body
222a: first body 222b: second body
124, 224, 524: fixing member 226: support frame
130: recording device mounting unit 132: support
133: mounting bracket 134: grip
136: bracket rotating member 511: connecting member
140, 240, 440, 540: weight balancer
142, 242, 542: balancer support
442: first balancer support 443: second balancer support
144, 244, 444, 544: balancer adjustment

Claims (16)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체 부위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인체 착용유닛; 및
상기 인체 착용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촬영기기 장착유닛;
을 포함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Support unit;
A human body wear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unit and formed to be worn on a human body part; And
An imaging device mount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unit so as to face the human wearing unit and to which the imaging device is mounted;
Wearable camera device holder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착용유닛은,
상기 인체 부위 외주면 둘레와 접촉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체 부위에 대한 상기 몸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an body wearing unit,
A body contacting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art; And
Wearable photographing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ody relative to the body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인체 부위에 장착되거나 지지하도록 서로 이격 형성된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It is provided in a pair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mounted or supported on the body part
The pair of bodies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pport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fram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폴딩 가능한 복수개의 링크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프레임;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foldable links,
A first frame to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is rotatably connected; An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is a wearable imaging device cradle comprising a second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제1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는 각각 제1 잠금부재 및 제2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1 잠금부재 및 상기 제2 잠금부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by a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by a second joint portion.
The first joint member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are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member and a second locking member, respectively,
Wearable imaging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 enabling 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recording device mounting unit, the first frame or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ng the first locking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6,
The support unit,
And a third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제3 관절부에 의해서 상기 제2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관절부에는 제3 잠금부재가 마련되되,
상기 제3 잠금부재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 또는 상기 제3 프레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by a third joint portion,
The third joint part is provided with a third locking member,
Wearable imaging devic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for enabling 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frame or the third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to rotate the third lock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부 및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프레임의 타단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One end of the third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and the first body located above the pair of bodies,
The other end of the third frame is a wearable imaging devic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1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몸체 중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몸체와 연결되는 제2-2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frame,
A 2-1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first body located above the pair of bodies; And
Wearable imaging devic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second frame 2-2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bodi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2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프레임 또는 상기 제2-2 프레임 중에서 장공이 형성되지 않는 어느 하나는 상기 장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0,
Long hol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2-1 frame or the 2-2 frame.
Any one of the 2-1 frame or the 2-2 frame in which the long hole is not forme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ng hole to be movable along the lo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부재가 복수개 연결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unit is a wearable photographic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lexible members are connected or rotatably forme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form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반원통형 몸체와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2,
The support unit is a wearable recording devic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device mounting uni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mi-cylindrical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은,
상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및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1 관절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상기 장착 브라켓을 회전시키거나 움직이게 하는 브라켓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6,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ounting unit,
A mounting bracket on which the photographing device is mounted; And
And a bracket rotating member connecting the mounting bracket to the first joint and rotating or moving the mounting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은,
일면에 상기 브라켓 회동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촬영기기를 잡아주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unting bracket,
A support part to which the bracket pivoting member is coupled to one surface; And
A grip part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to hold the photographing device;
The grip unit is a wearable imaging devic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stretch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무게를 상쇄하도록 상기 촬영기기 장착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웨이트 밸런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촬영기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eight balancer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so as to offset the weights of the photographing device mounting unit and the support unit.
KR1020180044817A 2018-04-18 2018-04-18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KR102042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17A KR102042136B1 (en) 2018-04-18 2018-04-18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17A KR102042136B1 (en) 2018-04-18 2018-04-18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71A true KR20190121471A (en) 2019-10-28
KR102042136B1 KR102042136B1 (en) 2019-11-07

Family

ID=6842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17A KR102042136B1 (en) 2018-04-18 2018-04-18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1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121A (en) * 2021-06-22 2021-09-21 苏州睿东科技开发有限公司 Vlog shooting equipment and assembling and using method
KR102347121B1 (en) * 2020-09-17 2022-01-05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Door cam having fixing bracket supported on the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947B1 (en) * 2020-07-10 2023-01-04 강성만 Trekking Pole With Selfie Stick Function
KR102308163B1 (en) 2021-02-18 2021-10-05 정인기 Holder
KR20220141034A (en) 2021-04-12 2022-10-19 정인기 Holder for wearable
KR20230053308A (en) 2021-10-14 2023-04-21 정인기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638A (en) * 2010-01-04 2012-10-11 더 티펜 컴파니, 엘엘씨 Balanced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8328359B2 (en) * 2010-03-01 2012-12-11 Gavry & Monroe Productions, LLC Camera stabilizer
US9612507B2 (en) * 2013-10-15 2017-04-04 Gopro, Inc. Camera mountable arm
US9612506B1 (en) * 2014-02-08 2017-04-04 Michael Webb Camera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638A (en) * 2010-01-04 2012-10-11 더 티펜 컴파니, 엘엘씨 Balanced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steadily supporting a motion-sensitive, image capture device
US8328359B2 (en) * 2010-03-01 2012-12-11 Gavry & Monroe Productions, LLC Camera stabilizer
US9612507B2 (en) * 2013-10-15 2017-04-04 Gopro, Inc. Camera mountable arm
US9612506B1 (en) * 2014-02-08 2017-04-04 Michael Webb Camera suppor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21B1 (en) * 2020-09-17 2022-01-05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Door cam having fixing bracket supported on the door
CN113418121A (en) * 2021-06-22 2021-09-21 苏州睿东科技开发有限公司 Vlog shooting equipment and assembling and using method
CN113418121B (en) * 2021-06-22 2023-10-13 苏州睿东科技开发有限公司 Volg shooting equipment and assembling and u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136B1 (en)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136B1 (en) Wearable holder for photographic equipment
US6764231B1 (en) Body mounted camera support
JP4204436B2 (en) Shoulder-mounted camera support device for fixing camera or video camera
US4327986A (en) Mobile camera support
US8328359B2 (en) Camera stabilizer
JP6656542B1 (en) Anti-shake selfie stick
WO2007047828A1 (en) Camera holder and methods
US20180321573A1 (en) Support Apparatus
JP2009033217A (en) Holding device for imaging device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899104B1 (en) Selfie Stick
WO2019056555A1 (en) Connecting clamp
JP4778110B2 (en) Tools and systems for fixing mobile devices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s such as video cameras or smartphones to the shoulders and flat surfaces
JP2004520619A6 (en) Camera tools
US20190231056A1 (en) Hands-free active use photographic mounting apparatus
JP3175556U (en) Camera fitting
JP2004320695A (en) Camera shake preventing strap
WO2019095607A1 (en) Multifunctional photography bracket
US20180152215A1 (en) Adjustable mobile device mount and method thereof
WO2008013503A1 (en) Dual-function body support for a tripod
US20140105588A1 (en) Camera support and focusing aid
KR20080050658A (en) Chest strap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camera from shaking
JPS60202432A (en) Holder of photographing appliance
JP3928157B2 (en) Auxiliary equipment for video shooting and auxiliary equipment with apron
JP3158797U (en) Shoulder monopod support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