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447A -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447A
KR20190121447A KR1020180044755A KR20180044755A KR20190121447A KR 20190121447 A KR20190121447 A KR 20190121447A KR 1020180044755 A KR1020180044755 A KR 1020180044755A KR 20180044755 A KR20180044755 A KR 20180044755A KR 20190121447 A KR20190121447 A KR 2019012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hape
finger
node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694B1 (ko
Inventor
김남
권기철
임영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6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06K9/003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마디 정보를 숫자로 인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은 사물을 촬영하여 깊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깊이 카메라로부터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하고,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고,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하고,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표현하므로, 비교적 좁은 범위의 관심 영역을 통해 빠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igit or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using finger joints gesture}
본 발명은 손가락 마디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인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와 AR/VR 분야에 사용되는 제스쳐 기반의(gesture-based) 숫자 인식 혹은 보안키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맨손, 3차원 비전 기반, 정적자세 기반, 손가락 마디 추적 기반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입력기는 유무선으로 본체에 연결되거나 컴퓨터나 기타 전자기기의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기기를 작동하는 방식으로 입력되고 제어되는 방식이었다.
컴퓨터 키보드는 별도의 키판에 약 100개의 버튼을 달아 그 버튼을 조작하게 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고,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에 키보드를 띄워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게 함으로써 입력되는 방식이다. 마찬가지로 일반 전자제품이나 전기부품도 본체에 일체형으로 제어장치를 달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를 하고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입력장치는 별도의 부피나 모양을 한 입력장치를 마련하거나 본체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야만 제어를 하고 입력을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전자기기 등의 사용에 제한이 따르고 많은 불편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그래핀 소재의 출현으로 유연한 모니터 유연한 컴퓨터, 유연한 전자기기가 출현했음에도 입력장치가 그 수준을 따르지 못해 발전 속도를 더디게 하거나 발전에 한계가 있다.
종래 보안시스템 (ATM PIN, Home Security), 가상현실 기기, 게임 컨트롤러 등에 사용되는 제스쳐 기반의 숫자, 알파벳 인식, 또는 장치 제어 방법의 경우, 손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 혹은 형태를 이용한다. 이때, 손 또는 손가락의 형태를 인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움직임과 영상시스템의 주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지속적인 주시 또는 손의 이동범위 때문에 영상처리 부분에 있어서 넓은 영역을 주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75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숫자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은 사물을 촬영하여 깊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깊이 카메라로부터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하고,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고,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하고,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 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문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깊이 카메라는 IR(infrared ray) 조명 기반의 깊이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깊이 카메라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에서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에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생성된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는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 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문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상기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표현하므로, 비교적 좁은 범위의 관심 영역을 통해 빠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숫자 또는 문자 표현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손 형태를 주시해야 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에서는 즉각 손가락 마디를 인식하여 숫자 또는 문자로 신속하게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마디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보안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IR(infrared ray) 조명을 사용하는 깊이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 야간에도 손가락 마디 형태를 통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기능은 시각 장애인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가 지정된 숫자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한 손이 촬영된 영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영역 및 손 영역을 표시한 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켈레톤으로 표현한 손가락 마디 및 손의 형태를 인식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및 손의 형태 정보를 이용한 숫자 인식 프로그램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형태에 따른 숫자 표현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은 깊이 카메라(depth camera)(100) 및 컴퓨터(200)를 포함한다.
깊이 카메라(100)는 사물을 촬영하여 깊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깊이 카메라(100)는 IR(infrared ray) 조명 기반의 깊이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200)는 깊이 카메라(100)로부터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고,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한다. 그리고,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200)는 연산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200)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 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문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컴퓨터(200)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손가락 마디 정보를 이용하여 숫자를 인식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가 지정된 숫자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서 (a)는 왼손에 대한 숫자 테이블이고, (b)는 오른손에 대한 숫자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컴퓨터(200)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때, 컴퓨터(200)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컴퓨터(200)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200)가 도 3의 숫자 테이블에서 위에서 세번째 형태의 손가락 마디 형태를 인식하면, 이 형태를 숫자 '2'로 인식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200)는 깊이 카메라(100)에서 생성된 깊이 영상 데이터(10)를 획득한다(S20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한 손이 촬영된 영상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깊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손에 대한 깊이 영상에서, 상대적으로 손은 깊이 카메라(100)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가장 밝은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깊이 영상에서 손을 구분하여 관심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200)는 깊이 영상 데이터(10)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으로 정의한다(S203).
그리고, 컴퓨터(200)는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한다(S205).
그리고, 컴퓨터(200)는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한다(S20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 영역 및 손 영역을 표시한 영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깊이 영상에서 관심 영역(510)과 손 영역(520)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200)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한다(S209).
그리고, 컴퓨터(200)는 손가락 마디 형태를, 손가락 마디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가 지정된 숫자 테이블(20) 또는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형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11).
인식된 손가락 마디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가 숫자 테이블 또는 문자 테이블에 존재하면, 이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한다(S213).
그리고, 별도의 종료 명령이 있을 때까지, 깊이 카메라를 통해 손가락을 촬영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S215).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이때, 컴퓨터(200)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켈레톤으로 표현한 손가락 마디 및 손의 형태를 인식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깊이 영상에서 관심 영역인 손에 대한 형태를 통해 손가락 마디를 구분하며, 손의 형태를 스켈레톤으로 표현함으로써, 손가락 마디의 순서 및 손가락 관절의 위치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및 손의 형태 정보를 이용한 숫자 인식 프로그램을 예시한 화면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엄지 손가락이 지정하고 있는 손가락의 마디를 인식하여, 도 3의 숫자 테이블에서 동일한 형태를 찾아서, 이에 대응하는 숫자로 표시한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마디 형태에 따른 숫자 표현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손가락의 스켈레톤 영상에서 손가락을 구성하는 각 마디에 번호를 매긴 실시예이다.
도 8에서, 각 손가락 마디에 지정된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손목 관절은 0번, 손바닥은 1번, 엄지 손가락 말단은 5번, 검지 손가락 말단은 9번, 중지 손가락 말단은 13번, 약지 손가락 말단은 17번, 소지 손가락 말단은 21번 등으로 각 마디에 번호를 지정한 실시예이다.
도 9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검지 손가락 말단인 9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1'에 대응시킨다.
도 10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중지 손가락 말단인 13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2'에 대응시킨다.
도 11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약지 손가락 말단인 17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3'에 대응시킨다.
도 12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소지 손가락 말단인 21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4'에 대응시킨다.
도 13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검지 손가락 말단인 9번 및 중지 손가락 말단인 12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5'에 대응시킨다.
도 14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검지 손가락의 세번째 마디인 6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6'에 대응시킨다.
도 15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중지 손가락의 세번째 마디인 10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7'에 대응시킨다.
도 16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약지 손가락의 세번째 마디인 14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8'에 대응시킨다.
도 17에서, 엄지 손가락 말단인 5번과 소지 손가락의 세번째 마디인 18번이 인접한 형태를 숫자 '9'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도 3의 숫자 테이블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먹을 쥔 형태를 숫자 '0'에 대응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을 구성하는 각 마디에 번호를 지정하여 각 숫자에 대응시킨 숫자 테이블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깊이 카메라(100)를 통해 인식된 손가락의 형태와 숫자 테이블을 비교하여 숫자를 인식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깊이 카메라(100)를 통해 5번과 9번이 인접한 형태를 인식하면, 숫자 '1'을 인식하여 표시하고, 5번과 17번이 인접한 형태를 인식하면, 숫자 '3'을 인식하여 표시하는 식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깊이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손가락 형태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깊이 카메라
200 컴퓨터

Claims (5)

  1. 사물을 촬영하여 깊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깊이 카메라; 및
    상기 깊이 카메라로부터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하고,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고,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하고,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 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문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깊이 카메라는 IR(infrared ray) 조명 기반의 깊이 카메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
  4. 깊이 카메라 및 컴퓨터를 포함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시스템에서의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에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깊이 카메라에서 생성된 깊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깊이 영상 데이터에서 손 부분을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정의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관심 영역을 통해 손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손 부분에서 손가락 마디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는 인식된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숫자가 대응되어 있는 숫자 테이블 또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에 따라 지정된 문자가 대응되어 있는 문자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손가락 마디의 형태를 인식하면, 이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문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숫자 테이블은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에 따라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엄지 손가락의 말단과 나머지 손가락 마디가 연결된 형태를 상기 숫자 테이블과 비교하여 대응하는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KR1020180044755A 2018-04-18 2018-04-18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205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55A KR102058694B1 (ko) 2018-04-18 2018-04-18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55A KR102058694B1 (ko) 2018-04-18 2018-04-18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47A true KR20190121447A (ko) 2019-10-28
KR102058694B1 KR102058694B1 (ko) 2019-12-23

Family

ID=6842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55A KR102058694B1 (ko) 2018-04-18 2018-04-18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663A (zh) * 2020-05-08 2021-05-1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字识别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26B1 (ko) 2007-09-19 2009-05-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26B1 (ko) 2007-09-19 2009-05-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4663A (zh) * 2020-05-08 2021-05-11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字识别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694B1 (ko)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dha et al. Approaches and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and gesture recognition: A review
Wang et al. Palmgesture: Using palms as gesture interfaces for eyes-free input
Hinckley et al. Input/Output Devices and Interaction Techniques.
Prätorius et al. DigiTap: an eyes-free VR/AR symbolic input device
US100487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rsive system interfacing
US20190004694A1 (en) Electroni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 input in a virtual environment
Bergström et al. Human--Computer interaction on the skin
US11054896B1 (en) Displaying virtual interaction objects to a user on a reference plane
Siddhpuria et al. Exploring at-your-side gestural interaction for ubiquitous environments
Matlani et al. Virtual mouse using hand gestures
EP4307096A1 (en) Key function execu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Prätorius et al. Sensing thumb-to-finger taps for symbolic input in vr/ar environments
Xiao et al. A hand gesture-based interface for design review using leap motion controller
Ismair et al. Mime: Teaching mid-air pose-command mappings
KR102058694B1 (ko)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Lang et al. A multimodal smartwatch-based interaction concept for immersive environments
US20210333882A1 (en) Wink Gesture Based Control System
Rustagi et al. Virtual Control Using Hand-Tracking
Annachhatre et al. Virtual Mouse Using Hand Gesture Recognition-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napoorna et al. Hand Gesture Recognition and Conversion to Speech for Speech Impaired
JP7279442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Meshram et al.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Lu et al. Classification, application, challenge, and future of midair gestures in augmented reality
US20190377423A1 (en) User interface controlled by hand gestures above a desktop or a keyboard
Ehtesham-Ul-Haque et al. Abacus Gestures: A Large Set of Math-Based Usable Finger-Counting Gestures for Mid-Air Inter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