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043A - Variable billboard - Google Patents

Variable bill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043A
KR20190121043A KR1020180044526A KR20180044526A KR20190121043A KR 20190121043 A KR20190121043 A KR 20190121043A KR 1020180044526 A KR1020180044526 A KR 1020180044526A KR 20180044526 A KR20180044526 A KR 20180044526A KR 20190121043 A KR20190121043 A KR 20190121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board
unit
shape
signa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양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우 filed Critical 양민우
Priority to KR1020180044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043A/en
Publication of KR2019012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0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75Pill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module for a billboard supports a billboard unit providing an area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The support module for a billboard can comprise: a floor unit supporting the billboard unit; and a movement prevention unit arrang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billboard unit when the billboard unit is supported by the floor unit and connected to the floor unit and the billboard unit to prevent the billboard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loor unit.

Description

가변형 입간판 {VARIABLE BILLBOARD}Variable signboard {VARIABLE BILLBOARD}

본 발명은 가변형 입간판에 관한 것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가변형 입간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board, and to a variable board having a shape deformed.

예전부터 서비스업이나 상품 등을 광고하기 위하여 간판이 사용되었다. 간판은 크게 벽면 이용 간판, 돌출 간판, 공연 간판, 옥상 간판, 지주 이용 간판, 입간판, 현수막 및 애드벌룬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the past, signboards have been used to advertise services and goods. Signag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wall use signage, protruding signage, performance signage, rooftop signage, props use signage, signboards, banners and ad balloon.

벽면 이용 간판은 문자, 도형 등을 이용하여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 설치하여 벽면, 유리 벽의 바깥쪽, 옥상 난간 등에 길게 붙이거나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돌출 간판은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한 목제, 아크릴, 금속 등의 판이나 이용업소, 미용업소의 표지 등을 건물의 건물의 벽면에 튀어나오게 붙이는 광고물을 말한다. 공연 간판은 공연, 영화를 알리기 위한 문자, 그림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디지털디스플레이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실물의 모형 등을 제작하여 해당 공연 건물의 벽면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옥상 간판은 건물의 옥상에 따로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게시시설을 설치하여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하거나 승강기탑, 계단탑, 망루 등 건물의 옥상 구조물에 문자, 도형등을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지주 이용 간판은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한 목재, 아크릴, 금속재, 디지털 디스플레이 등의 판을 지면에 따로 설치한 지주를 붙이는 광고물을 말한다. 입간판은 건물의 벽에 기대어 놓거나 지면에 세워두는 등 고정되지 아니한 목재, 아크릴 또는 조례로 정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게시시설에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현수막은 천, 종이, 비닐 등에 문자, 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 등의 벽면, 지주, 게시시설 또는 그 밖의 시설물 등에 매들아 표시하는 광고물을 말한다. 애드벌룬은 비닐 등을 사용한 기구에 문자, 그림 등을 표시하여 건물의 옥상 또는 지면에 설치하거나 공중에 띄우는 광고물을 말한다.Signboard using wall refers to advertisements that are produced by installing letters or figures in a plate or three-dimensional form and are long attached to or displayed on walls, outside of glass walls, or roof railings. A protruding signboard is an advertisement that sticks wooden, acrylic and metal plates displaying letters, figures, etc., and signs of user and beauty shops to protrude from the wall of a building. The performance signboard displays letters, pictures, etc. to announce performances and movies on a board made of wood, acrylic, metal, digital display, etc.  It is an advertisement made on the wall of the building. The rooftop signage displays letters, figures, etc. by installing posting facilities such as triangles, rectangles, or circles on the roof of the building separately, or directly displays letters, figures, etc. on the rooftop structures of buildings such as elevator towers, stair towers, and watchtowers. Say Signage use signage refers to advertisements that are attached to the struts on which the boards, such as wood, acrylic, metal, and digital displays, which display letters and figures, are separately placed on the ground. A signboard is an advertisement that displays text, figures, etc. on a posting facility made of unfixed wood, acrylic, or bylaw materials, such as leaning against a building wall or standing on the ground. Banners are advertisements that display letters, figures, etc. on cloth, paper, vinyl, etc., and display them on walls, buildings, posts, or other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Ad balloon refers to advertisements that are displayed on the roof or ground of a building or floated in the air by displaying letters, pictures, etc. on a device made of vinyl.

여기에서, 최근에 카페나 휴대폰 가게의 급증으로 인해 입간판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입간판을 사용할 경우 입간판을 길거리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입간판을 보관할 경우 입간판을 가게 내부에 보관을 하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입간판을 보관할 경우, 가게 내부에 큰 부피를 차지하는 입간판을 보관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입간판을 사용할 때와 보관할 때의 상황마다 무거운 입간판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Here, the demand for the signboard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cafes and mobile phone stores. Conventionally, when a user uses the signboard, the signboard is installed on the street, and when the user stores the signboard, the signboard is stored inside the shop. However, when the user keeps the signboard,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storing the signboard occupying a large volume inside the store. 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he heavy plate to each situation when using the plate and storag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입간판을 사용할 때와 입간판을 보관할 때의 입간판의 크기가 변화되는 가변형 입간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type plate in which the size of the plate is changed when using the plate and when storing the plat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용 지지모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를 지지하는 입간판용 지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pport module for th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pport board for a signboard supporting a signboard portion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the floor supporting the signboard part part; And a movement preventing part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signage part when the signage par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age part, and preventing the signag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복수의 간판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gnboards.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제2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be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gnboard part, and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part to facilitate stor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간판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in the signboard that can deliver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people, an information delivery unit capable of delive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A signage unit providing an area; A bottom part supporting the signage part; And a movement preventing part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signage part when the signage par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age part, and preventing the signag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adjusted.

또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의 복수의 상기 측면과 상기 간판부의 상면에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간판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gnag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providing an area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and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may include the signage unit on the bottom portion. When supported, it may be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signboard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gnboard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gnboard unit.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이동방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be connected to a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to be connected to the signboard part, and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part to facilitate storage, and the bottom part may includ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In order to be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제공하는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어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include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board part and a moving light emitting body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the main body part to emit a predetermined light, and the main body part may be adjusted in length. It may be characterized by what can be.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발광체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빛을 발광할지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include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board part and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a moving light emitting body capable of emitting a predetermined light, and the main body part may be adjusted in length. The mobile light emitt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간판부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될 수 없어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와 연결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ottom part may form a connection area to which the signboard part may be connected, and the signboard part may be deformed from a first shape to a second shape or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In the case of having a shape, it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and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shape, can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g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또한,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간판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may be deformed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ignboard part, and may be deform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eve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ignboard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상기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may be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in the case of the first shape, and stored by the bottom part in the case of the second shape.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따르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입간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move the signboard.

또한,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도 입간판을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tore the signboard even in a narrow space.

또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간판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ignboar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또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간판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adjust the number of signboard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에서 보관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간판부 및 바닥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복 수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구비하는 입간판용 지지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Y-Y'에 대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state of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se state to the storage state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a structure in which a signboard part and a bottom part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6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upport module for a base plate provided in a variable sig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Y-Y 'of FIG.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io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read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with the same func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르면,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signboard, in the variable signboard that can move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can pass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people, information transmission that can deliver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Signage unit providing an area that can be connected additionally; And a bottom part supporting the signage part.

또한,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signboard may be deformed from a first shape to a second shape or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and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part in the first shape.

또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접촉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portion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in the first shap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간판부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결합될 수 없을 수 있다.The bottom part may form a connection area to which the signboard part having the first shape may be connected, and the signboard part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area when the signboard part has the first shap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when the signboard part has the second shape. May not be combined.

또한, 상기 바닥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바닥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bottom part may include a bottom coupling part having magnetic properties, and the signboard part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part by a magnetic force of the bottom coupling part.

또한, 상기 간판부는, 자성 성질을 가지는 간판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간판결합부와 상기 바닥결합부의 자성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signboard unit may include a signboard coupling unit having magnetic properties, and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uni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signboard coupling unit and the bottom coupling unit.

또한, 상기 간판부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간판부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may be supported by the bottom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and the signboard part may be stored by the bottom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storage.

또한,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2 형상으로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may be deformed from a first shape to a second shape or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and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the signboard part is the first shape. The signboard part may be stored by the bottom part in the second shap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storage state.

또한, 상기 간판부는 일체로서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e signboard unit may be integrally deformed from a first shape to a second shape or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또한,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may be deformed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ignboard part, and the signboard part may be chang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eve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ignboard part. Shape can be deformed.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may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signboard portion having the first shap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 및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중량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발광공간부에 배치된 상기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수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를 인접하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and a weigh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is disposed and the weight space portion is arranged to emit light so as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signboard portion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use state may be provided The bottom portion may provide 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and the weight space portion adjacently to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body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발광체 및 상기 간판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공간부가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보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 상기 중량공간부 및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may further provid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ignboard portion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stored, the bottom portion cushions the impact 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ttom portion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stored. In order to prevent the light emitting body and the signage from being damaged,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the weight space part, and the storage space part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weight space part is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and the storage space part.

또한, 상기 바닥부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중량공간부 및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를 제공하며, 상기 바닥부는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량공간부를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is provided with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the weight space portion and the variable signboard when the storage state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ignboard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variable signboard is overturned. The weight space part may be provided below the bottom part to prevent the material from being.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중량공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의 유출로 인한 상기 발광체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와 상기 중량공간부 사이에 상기 보관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may further provide a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body for emitting light is disposed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signboard portion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use state, and the bottom portion is the weight disposed in the weight space portion. The storage space por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and the weight space portion to prevent discharge of the light emitting body due to the outflow of the sie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간판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about the board | substrat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변형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100) 및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하는 바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variable signboard capable of moving a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and delive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people, a signboard providing an area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capable of delive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It may include a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200 for supporting the signboard portion (100).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2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and may be stored by the bottom part 2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storage.

간판부(100)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shape-deformed from a first shape to a second shape or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간판부(100)는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200)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part 200 in a first shape.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접촉 결합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art 200 in the first shap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art 200.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어, 상기 간판부(100)에 의해 커버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바닥부의 구성요소(일례로, 후술하는 발광체 등)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signage unit 100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the bottom existing in the space covered by the signage portion 100. Negative components (e.g., a light emitter described later) can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제1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가 간판의 기능을 구현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shape may be a shape in which the signboard unit 100 implements the function of the signboard.

또한, 제1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ape may be a shape of the signboard part 100 illustrated in FIG. 1.

또한, 제1 형상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에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ape may be a shape of the signboard unit 1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또한, 제1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에 작용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의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hape may be a shape of the signboard unit 100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ignboard unit 100 is removed.

제2 형상은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보관될 때의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shape may be a shape when the signboard part 100 is stored in the bottom part 200.

또한, 제2 형상은 도 4(d)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ape may be a shape of the signboard part 100 illustrated in FIG. 4 (d).

또한, 제2 형상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 상태일 경우에 상기 간판부(100)의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ape may be a shape of the signboard part 1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a storage state.

또한, 제2 형상은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에 외력이 작용되어 크기가 축소된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hape may be a shape of which the size is reduc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ignboard unit 100 that is the first shape.

상측방향(W1)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위쪽 방향일 수 있다.The upper direction W1 may be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하측방향(W2)은 상기 가변형 입간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지면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일 수 있다.The lower direction W2 may be in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the variable intercalation is in use.

간판부(100)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간판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부(121,122,123,1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include a frame part and outer shape parts 121, 122, 123, and 124 that ar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form an outer shape of the signage part 100.

또한, 간판부(100)는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판결합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signboard coupling unit 130 connected to the frame unit and allowing the signboard unit 100 and the bottom 20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프레임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rame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프레임부는 신장, 수축 가능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may be stretchable or retractable.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부(100)의 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간판부(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frame unit may form a frame of the signboard unit 100 and may support a load of the signboard unit 100.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결합부(130)에 의해 상기 바닥부(200)와 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portion may be detachable from the bottom portion 200 by the sign coupling portion 130.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간판결합부(130)를 구비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닥결합부(280a)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rame unit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signboard coupling unit 130 and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ottom coupling unit 280a to be described later.

외형부(121,122,123,124)는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될 수 있는 정보전달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는 정보전달영역(R10)을 제공할 수 있다.The external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provide an information transfer area R10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fer unit (not shown) which may transfer information capable of transfer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여기서, 정보전달부는 사용자에 혹은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일 수 있다.Here,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may be a means for provi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or to the people.

일례로, 정보전달부는 광고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간판부 자체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delivery unit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n advertisement, or may provide information of the signage unit itself.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정보전달부는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may include all means capable of transfer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은 복수의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적어도 하나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fer area R1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plurality of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상기 정보전달부는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와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arts 121, 122, 123, and 124 via the information transfer area R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정보전달부는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may be detached from the external parts 121, 122, 123, and 124 via the information transfer area R10.

일례로, 상기 정보전달부와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transfer part and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be detached by Velcro t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정보전달영역(R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모든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fer area R10 is not limited as illustrated in FIG. 1,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some of all areas of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외형부(121,122,123,124)는 상기 프레임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surround the frame part.

상기 외형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may be detachable from the frame portion.

상기 외형부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는 신장 수축 가능한 소재일 수 있다.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b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materials.

또한,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는 직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ortion 121, 122, 123, 124 may be a fabric.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형부(121,122,123,124)의 소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the material of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be variously changed at a level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간판부(100)는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1 간판부(100a)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연결되는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3 간판부(100c)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연결되는 제4 간판부(100d)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gnboard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signboard unit 100a, a second signboard unit 100b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gnboard unit 100a, the first signboard unit 100a, and the second signboard unit ( A fourth signboard part 100c connected to the third signboard part 100c connected to the second signboard part 100c and connected to the first signboard part 100a and the second signboard part 100b; 100d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ignboard portion 100a, the second signboard portion 100b, the third signboard portion 100c, and the fourth signboard portion 100d may be connected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 manner obvious.

일례로,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탄성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ignboard unit 100a, the second signboard unit 100b, the third signboard unit 100c, and the fourth signboard unit 100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n elastic material.

상기 제1 간판부(100a)는 제1 프레임부 및 제1 외형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gnboard part 100a may include a first frame part and a first outer part 121.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1 프레임부(111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2 프레임부(111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3 프레임부(111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4 프레임부(111d)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rame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first frame portion 111a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w1, the second frame portion 111b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w2, and formed in the right direction. 1-3 frame portions 111c and the 1-4th frame portions 111d formed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2 간판부(100b)는 제2 프레임부 및 제2 외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ignboard part 100b may include a second frame part and a second outer part 122.

상기 제2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1 프레임부(112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2 프레임부(112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3 프레임부(112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4 프레임부(112d)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frame part is formed in the 2-1 frame part 112a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w1, the second frame part 112b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w2, and formed in the right direction. 2-3 frame portions 112c and 2-4 frame portions 112d formed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3 간판부(100c)는 제3 프레임부 및 제3 외형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signboard portion 100c may include a third frame portion and a third outer portion 123.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1 프레임부(113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2 프레임부(113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3 프레임부(113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4 프레임부(113d)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frame portion is formed in the 3-1 frame portion 113a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w1, the third frame portion 113b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w2, and form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3-3 frame portion 113c and the 3-4 frame portion 113d formed in the left direction may be provided.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제4 프레임부 및 제4 외형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The fourth sign part 100d may include a fourth frame part and a fourth outer part 124.

상기 제4 프레임부는 상측방향(w1)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1 프레임부(114a), 하측방향(w2)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2 프레임부(114b), 우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3 프레임부(114c) 및 좌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4 프레임부(114d)를 구비할 수 있다.The fourth frame part 4-1-1 frame part 114a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w1, the 4-2 frame part 114b formed in the lower direction w2, and the fourth part form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4-3 frame part 114c and the 4-4 frame part 114d formed in the left direction can be provided.

간판결합부(130)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The signboard coupling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일례로,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board coupling unit 130 may include the first-second frame part 111b, the second-second frame part 112b, the third-second frame part 113b, and the fourth-second frame. 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frame portion of the portion (114b).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후술하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280)에 인접하는 상기 바닥결합부(280a)와 결합될 수 있다.The sign coupling portion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80 of the bottom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coupling portion 280a adjacent to the coupling groove 280.

여기서, 상기 간판결합부(130)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ign coupling portion 13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하부에서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The bottom part 200 may support the signboard part 100 at the bottom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00 may support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first shap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use state.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보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200 may store the signboard portion 100 having the second shap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storage stat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보관되는 보관공간부(S210) 및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보관공간부(S210)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중량공간부(S220)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a storage state, the bottom part 200 includes a storage space S210 in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is stored and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it may provide a weight space (S22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space (S210).

또한,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상기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100)의 가시성을 높이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231)가 배치되는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00 may provide a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in which the light emitter 231 which emits light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signboard part 1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the use state is disposed. .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형성하는 보관부(210),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형성하는 중량부(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하는 발광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200 is a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ing the storage portion 210 to form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the weight portion 220 to form the weight space portion (S220) and 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S230). The unit 23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부(210)에 연결되는 보관덮개부(260) 및 상기 발광부(230)에 연결되는 발광덮개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00 may include a storage cover part 260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210 and a light emitting cover part 270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part 230.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와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부(240) 및 배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00 may include an inlet part 240 and an outlet part 250 which allow the outside of the weight space part S220 and the bottom part 20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280) 및 상기 결합홈(280)에 인접하게 연결되며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바닥결합부(280a)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2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280 and the coupling groove 280 formed by being embedd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and the bottom coupling portion 280a made of a magnetic material. 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상기 간판부(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R10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00 may form a connection area R100 to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first shape may be connected.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region R100 when having the first shape, and may not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region R100 when having the second shape.

다시 말하면,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모든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모든 상기 연결영역(R100)에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coupled to all the connection regions R100 when the first shape has the first shape, and may not be coupled to all the connection regions R100 when the second shape has the second shape. .

여기서, 연결영역(R100)은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제1 형상인 상태에서 상기 바닥부(100)와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접촉되는 상기 바닥부(100)의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area (R100) is when the signboard portion 1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100 in the state of the first shape, the signboard portion 1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100 It may be an area of the bottom part 100.

다시 말하면, 상기 연결영역(R100)은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100)에 접촉되는 상기 바닥부(100)의 영역일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area R100 may be an area of the bottom part 100 in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art 1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제1 형상으로 결합되었는지는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whether the signboard unit 100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00 in a first shape.

상기 결합홈(280)은 상측방향(w1)으로의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coupling groove 28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in the upper direction w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280)은 상기 바닥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28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ttom portion 200.

상기 결합홈(280)에는 상기 바닥결합부(280a)가 배치될 수 있다.The bottom coupling part 280a may be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280.

상기 결합홈(280)에는 상기 간판결합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The sign coupling portion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80.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바닥결합부(28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par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ottom coupling part 280.

또한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외력을 수용하는 손잡이부(290)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2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290 that accommodates the user's external forc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variable signboard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stored.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서로 격리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S210 may be isolated from the weight space S220 and the light emitting space S230.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는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삽입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S210.

상기 보관덮개부(26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storage cover portion 260 may seal the storage space (S210) through the position movement.

또한, 상기 보관덮개부(26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cover portion 260 may connect (communicate)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portion 200 by moving the position.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중량체가 배치 및/또는 채워질 수 있다.The weight space S220 may be disposed and / or filled the weight.

여기서, 중량체는 고체일 수도 있고 유체일 수도 있다.Here, the weight may be a solid or a fluid.

일례로, 상기 중량체는 모래 또는 물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weight may be sand or water.

상기 중량체는 상기 유입부(240)를 통해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에서부터 상기 중량공간부(S2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weight body may be introduced into the weight space part S220 from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200 through the inlet part 240.

또한, 상기 중량체는 상기 배출부(250)를 통해 상기 중량공간부(S220)로부터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body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ortion 200 from the weight space portion (S220)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250.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유입덮개(241) 및/또는 상기 배출덮개(251)의 위치 이동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고,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될 수도 있다.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sealed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inlet cover 241 and / or the discharge cover 251, or may be connected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200.

상기 발광공간부(S230)에는 상기 발광체(231)가 안착될 수 있다.The light emitter 231 may be seated in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여기서, 발광체(231)는 발광하는 구성요소(일례로, 백열전등, 엘이디) 및 발광하는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구성(PCB회로, 전원부, 전선 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the light emitter 231 may be a component including a light emitting component (for example, an incandescent lamp, an LED) and all component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component (PCB circuit, power supply, wire, etc.).

발광덮개부(27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밀폐시킬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cover part 270 may seal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by moving a position.

또한, 상기 발광덮개부(270)는 위치 이동을 통해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와 연결(연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cover part 270 may connect (communicate)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part 200 by moving a position.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산되는 빛이 효과적으로 상기 제1 형상인 간판부(100)에 전달되도록 상기 바닥부(200)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may have one side direction of the bottom part 20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r 231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sign part 100 having the first shap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It can be formed as.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발광공간부(S230)에 배치된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to effectively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er 231 disposed in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즉,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인 경우 상기 발광공간부(S2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이로써, 상기 발광체(231)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발광체(231)의 과열에 의한 발광체(231) 또는 바닥부(20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damage of the light emitter 231 or the bottom 200 due to overheating of the light emitter 231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due to the hea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r 231.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바닥부(200)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발광체(231) 및 상기 간판부(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공간부(S220)가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상기 보관공간부(S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S210)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unit 231 and the sign unit 100 by mitigating the impact 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ttom portion 200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storage state. 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and the storage space part S210.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는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관상태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지면과의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될 경우, 상기 발광체(231)와 상기 간판부(100)의 무게가 서로 평형을 이루어 상기 보관상태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기울지 않고 지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낙하에 따른 충격은 중량공간부(S220)에 의해 완화되는 동시에 작용되는 충격은 상기 발광체(231) 및 상기 간판부(100)로 분산될 수 있다.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a storage state, the signage uni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may b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S210. In this state,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n the storage state falls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ground, the weights of the light emitter 231 and the signboard unit 100 are in equilibrium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ariable signboard in the storage state does not tilt. Can fall to the ground without The impact due to the fall may be alleviated by the weight space part S220, and the impact acting at the same time may be distributed to the light emitter 231 and the sign part 100.

상기 바닥부(2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 상기 중량공간부(S220) 및 상기 발광공간부(S230)를 형성하도록 사출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bottom 200 may b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process to form the storage space S210, the weight space S220, and the light emitting space S230.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바닥부(200)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The bottom portion 2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유입부(240)는 상기 발광부(23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art 2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art 2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230.

즉, 상기 유입부(24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That is, the space provided by the inlet part 240 and the light emitting space part S230 may be spatially isolated from each other.

상기 유입부(24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art 240 may be formed upward based on the weight space part S220.

또한, 상기 유입부(240)는 상측방향(w1)의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low portion 24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in the upper direction w1.

배출부(250)는 상기 보관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25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art 2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part 210.

즉, 상기 배출부(25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That is, the space provided by the discharge part 250 and the storage space S210 may be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배출부(25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250 may be formed downward based on the weight space part S220.

또한, 상기 배출부(250)는 하측방향(w2)의 상기 바닥부(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art 25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art 200 in the lower direction (w2).

이로써,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중량체를 채우거나 비우는 과정에서 중량체가 상기 보관부(210) 및 상기 발광부(2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filling or emptying the weight body in the weight space part S220, the weight body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orage part 210 and the light emitting part 230.

가변형 입간판의 사용상태는 상기 바닥부(200) 상측에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The use state of the variable signboard may be a state in which the signboard portion 100 having the first shape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00.

가변형 입간판의 보관상태는 상기 제2 형상인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의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The storage state of the variable signboard may be a state in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art S210 of the bottom part 20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에서 보관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hanging the state of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se state to the storage state.

도 3(a)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3 (a)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에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signage part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200.

도 3(c)를 참조하면, 분리된 상기 간판부(100)는 제1 간판부(100a)와 상기 제4 간판부(100d)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간판부(100b)와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서로 접촉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c), in the separated signboard part 100, the first signboard part 100a and the fourth signboard part 100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signboard part 100b and the third signboard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ignboard portion 100c may be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는, 상기 제1 외형부(121)와 상기 제4 외형부(124)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외형부(122)와 상기 제3 외형부(1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gnboard part 100 such that the first outer portion 121 and the fourth outer portion 124 contact each other, and the second outer portion 122 and the third outer portion 123 contact each other. Can be deformed shape.

또는,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4 프레임부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와 상기 제3 프레임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deformed so that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fourth frame part contact each other and the second frame part and the third frame part contact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제1-3 프레임부(111c) 및/또는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간판부(100a) 및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signage part 100a and the third signage part 100c move their positions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1-3th frame part 111c and / or the 3-4th frame part 113d. You can do that.

도 3(d)를 참조하면, 도 3(c)에 도시된 상기 간판부(100)의 상태에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간판부(100a)와 상기 제3 간판부(100c)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d), in the state of the signboard unit 100 shown in FIG. 3 (c), the signboard unit 100 is the first signboard unit 100a and the third signboard unit 100c. 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deformed in shape such that the contact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는, 상기 제1 외형부(121)와 상기 제3 외형부(123)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shape-deformed such that the first outer portion 121 and the third outer portion 123 contact each other.

또는, 상기 제1-1 프레임부(111a)와 상기 제3-1 프레임부(113a)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와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3프레임부와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와 상기 제3-3 프레임부(113c)가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간판부(100)는 형상 변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first frame part 111a and the third-first frame part 113a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second frame part 111b and the third-second frame part 113b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1-3 frame portion and the 3-4 frame portion 113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1-4 frame portion 111d and the third-3 frame portion 113c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 및/또는 상기 제3-3 프레임부(113c)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가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fourth frame part 111d and / or the third-three frame part 113c so that the first signboard part 100a, the second signboard part 100b, and the The third signboard unit 100c and the fourth signboard unit 100d may be moved in position.

도 4(a)를 참조하면, 도 3(d)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프레임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1-4 프레임부(111d), 상기 제4-3 프레임부(114c), 상기 제3-3프레임부 및 상기 제2-4 프레임부(112d)와 상기 제1-3 프레임부(111c), 상기 제4-4 프레임부(114d), 상기 제3-4 프레임부(113d) 및 상기 제2-3 프레임부(112c)가 교차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the signboard unit 100 having a shape of FIG. 3 (d) is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to the frame unit, and thus the first-fourth frame unit 111d and the fourth-three frame unit. 114c, the third-3rd frame portion and the second-4th frame portion 112d, the 1-3th frame portion 111c, the fourth-4th frame portion 114d, and the third-4th frame portion 114d. The frame part 113d and the second frame part 112c may be deformed to cross each other.

이때,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도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also be integrally deformed with the frame part.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1 프레임부(111a), 상기 제2-1 프레임부(112a), 상기 제3-1 프레임부(113a) 및 상기 제4-1 프레임부(114a)와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가 서로 접촉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the signboard unit 100 having the shape of FIG. 4A may include the first-first frame unit 111a, the second-first frame unit 112a, and the third-throw unit. One frame portion 113a, the fourth-first frame portion 114a, the first-second frame portion 111b, the second-second frame portion 112b, and the third-second frame portion 113b. And the 4-2 frame portion 114b may be de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외형부(121,122,123,124)도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parts 121, 122, 123, and 124 may also be integrally deformed with the frame part.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shape of FIG. 4B may be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S210.

이때, 상기 보관덮개부(260)의 위치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와 상기 바닥부(200)의 외부가 서로 연결(연통)되는 위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ver 260 may be a position where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S210) and the bottom 200 is connecte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도 4(b)의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가 배치된 후, 상기 보관덮개부(260)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밀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d), after the signboard portion 100 having the shape of FIG. 4 (b)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the storage lid portion 260 is moved to position the storage space. The space S210 may be sealed.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보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변화되기 위해서,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서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이탈시키면, 상기 간판부(100)는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를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시키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사용상태가 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variable signboard to be changed from a storage state to a use state, when the signboard par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part S210, the signage part 100 is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force. The shape may be modifi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When the signboard portion 100 having the first shape is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00, the variable signboard may be in use.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deform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by using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second shape.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간판부 및 바닥부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복 수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a structure in which a signboard part and a bottom part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5를 참조하면, 간판부(100)와 바닥부(200)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착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ignage unit 100 and the bottom 20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이하, 착탈 방법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서술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concerns on the attachment or detachment method is described,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1,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1 결합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2 and 5 (a), the variable signboar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member 300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ignboard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200.

바닥부(200)의 측면에는 결합홈(2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결합부재(300)에 의해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는 착탈될 수 있다.A coupling groove 280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and the signage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200 may be detachable by the first coupling member 300.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양 방향의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300 may have a hook shape in both directions.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상기 프레임부에 외삽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1-2 frame portion 111b, the second-2 frame portion 112b, the third-2 frame portion 113b, and the fourth-2 frame portion 114b is the firs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300, the first coupling member 300 is extrapolated to the fram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80, the signboard portion 100 to the bottom portion 200 Can be combined.

상기 제1 결합부재(300)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결합홈(280)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member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frame portion and the coupling groove 280 so that the signboard portion 1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200.

도 1,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2 결합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2 and 5 (b), the variable signboar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member 400 to detach the signboard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200 to each other. .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400 may include the first-second frame part 111b, the second-second frame part 112b, the third-second frame part 113b, and the fourth-second frame part ( At least one of 114b) may be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일례로,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upling member 400 may have a hook shape.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삽입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member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80 of the bottom portion 200 to allow the signage portion 100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00.

상기 제2 결합부재(400)는 상기 바닥부(200)의 결합홈(280)에 이탈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member 4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280 of the bottom part 200 so that the signboard part 1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200.

도 1,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3-1 결합부재(510) 및 제3-2 결합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and 5 (c), the variable signboard includes a third coupling member 510 and a third coupling member 510 and a third that detach the signboard part 100 and the bottom part 200 from each o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520.

상기 제3-1 결합부재(51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The 3-1 coupling member 510 includes the 1-2 frame portion 111b, the 2-2 frame portion 112b, the 3-2 frame portion 113b, and the 4-2 frame. 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114b.

제3-2 결합부재(52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upler 52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상기 제3-2 결합부재(5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200)의 연결영역(R1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2 coupling member 520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region R100 of the bottom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례로, 상기 제3-1 결합부재(510)와 상기 제3-2 결합부재(520)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3-1 coupling member 510 and the 3-2 coupling member 520 may be Velcro tapes.

상기 제3-1 결합부재(510)와 상기 제3-2 결합부재(520)의 결합 및/또는 분리 과정을 통해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00)에 착탈될 수 있다.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bottom part 200 through the coupling and / or separating process of the 3-1 coupling member 510 and the 3-2 coupling member 520.

도 1,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은 상기 간판부(100)와 상기 바닥부(200)를 서로 착탈되도록 하는 제4 결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2 and 5 (d), the variable signboard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upling member 600 to detach the signboard portion 100 and the bottom portion 200 to each other. .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200 of 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may extend in one direction.

일례로,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may have a hook shape.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기 결합홈(280)의 일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될 수 있다.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may be rotated based on a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280 of the bottom portion 200.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과 일치(균일한 면을 이룸)되거나 상기 바닥부(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may be aligned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to form a uniform surface) or may be moved to protrud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00.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에 외삽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may include the first-second frame part 111b, the second-second frame part 112b, the third-second frame part 113b, and the fourth-second frame part ( Extrapolated to at least one of 114b), the signboard portion 1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00.

또한, 상기 제4 결합부재(60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11b), 상기 제2-2 프레임부(112b), 상기 제3-2 프레임부(113b) 및 상기 제4-2 프레임부(114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coupling member 600 includes the 1-2 frame portion 111b, the 2-2 frame portion 112b, the 3-2 frame portion 113b, and the 4-2 frame.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sepa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portions 114b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20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에 제공되는 바닥부(1200)는 보관공간부(S210), 중량공간부(S220) 및 발광공간부(S230)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ottom portion 1200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torage space portion S210, a weight space portion S220, and a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S230. .

상기 발광공간부(S230)는 상기 바닥부(1200)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S230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1200.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에 외력이 작용되어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닥부(12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1200 to prevent an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variable signboard when the variable signboard is in use.

이로 인해,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상기 중량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가변형 입간판의 무게 중심이 지면과 가까워져, 상기 가변형 입간판이 외력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eight body is introduced into the weight space part S22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ariable signboard becomes close to the groun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variable signboard from being overturned by external force.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배치되는 상기 중량체의 유출로 인한 상기 발광체(231)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발광공간부(S230)와 상기 중량공간부(S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S210) is the light emitting space (S230) and the weight space (S220) to prevent the discharge of the light emitting body 231 due to the outflow of the weight body disposed in the weight space (S220). It can be formed between.

즉, 상기 발광공간부(S230) 하측에 상기 보관공간부(S2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관공간부(S210) 하측에 상기 중량공간부(S220)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may be formed under the light emitting space portion S230, and the weight space portion S220 may be formed under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유입부(240)는 발광부(230) 및 보관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12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art 24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art 120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230 and the storage part 210.

즉, 상기 유입부(240)가 제공하는 공간과 상기 발광공간부(S230) 및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공간적으로 서로 격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space provided by the inlet 240 and the light emitting space S230 and the storage space S210 may be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it can be omitted from the limit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6에서 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에 대해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s illustrated in FIG. 6 may refer to cont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o the exten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verlaps,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2000)은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100) 및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하는 입간판용 지지모듈(2100, 2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signboard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signboard unit 100 for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and a signboard for supporting the signboard unit 100. It may include a support module (2100, 2200).

여기서, 입간판용 지지모듈(2100, 2200)은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하는 바닥부(2100) 및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2100) 및 상기 간판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pporting boards 2100 and 2200 for the signboard may include the signboard unit 100 when the bottom part 2100 and the signboard part 100 supporting the signboard part 100 are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2100. ) Is disposed in the space provided, is connected to the bottom 2100 and the signboard 100,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to prevent the signboard portion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2100 ) May be included.

간판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형부와 프레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ge unit 10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n outer portion and a frame portion.

또한, 상기 간판부(100)는 측면을 이루는 제1 간판부(100a), 제2 간판부(100b), 제3 간판부(100c) 및 제4 간판부(100d)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signboard unit 100a, a second signboard unit 100b, a third signboard unit 100c, and a fourth signboard unit 100d constituting side surfaces.

여기서, 상기 제1 간판부(100a), 상기 제2 간판부(100b), 상기 제3 간판부(100c) 및 상기 제4 간판부(100d)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signage part 100a, the second signage part 100b, the third signage part 100c, and the fourth signage part 100d may be connected to an information transfer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t can provide an area that can be.

또한, 상기 간판부(100)는 상면을 이루는 제5 간판부(100e)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fifth signboard unit 100e forming an upper surface.

상기 제5 간판부(100e)는 상기 간판부(100)의 측면을 이루는 제1 간판부(100a), 제2 간판부(100b), 제3 간판부(100c) 및 제4 간판부(100d)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fth signage part 100e includes a first signage part 100a, a second signage part 100b, a third signage part 100c, and a fourth signage part 100d which form side surfaces of the signage part 100. It can be connected with.

마찬가지로 상기 제5 간판부(100e)는 제5 외형부 및/또는 제5 프레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Similarly, the fifth signboard portion 100e may include a fifth outer portion and / or a fifth frame portion.

또한, 상기 제5 간판부(100e)의 제5 외형부에는 실링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ing part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fth outer portion of the fifth signage part 100e.

상기 실링부(110)는 내측 방향으로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1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inserted in an inward direction.

일례로, 다양한 두께의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부(110)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ling part 1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of various thicknesses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제5 간판부(100e)를 구비한다는 특징은 상술한 예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feature that the signboard unit 100 includes the fifth signboard unit 100e may also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에는 이동방지부(2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간판부(100)가 상기 이동방지부(2200)에 연결될 수 있다.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2100 may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and thus, a plurality of signage portion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는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ny one signage part 10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00, and the other signage part 100 is an upper end portion of any one signage part 100. It can be stacked and connected to.

다시 말하면,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에 접촉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의 일단부는 임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의 타단부에 접촉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one end of any one signage unit 100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00, one end of the other signage unit 100 of any one signage unit 100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일례로,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의 일단부는 상술한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바닥부(2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의 타단부에는 프레임부로부터 함입되는 함입부(14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의 일단부에는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판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판결합부(130)가 상기 함입부(140)에 삽입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는 상기 임의의 어느 하나의 간판부(100) 상측에 적층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one end of any one signage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ortion 2100 by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thod, and the other end of any one signage unit 100 may have a frame portion. The recessed portion 140 may be formed therein, and a sign coupling portion 130 protruding from the frame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ther signage portion 100. The signboard coupling unit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 140, and the other signboard unit 100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signboard unit 100.

도 7에서는 두 개의 간판부(100)에 대해서만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적층되는 간판부(100)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In FIG. 7, only examples of two signage units 100 are give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ignage units 100 stacked from the bottom 210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in

일례로, 세 개의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적층될 수 있다.For example, three signage units 100 may be stacked from the bottom portion 2100.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that is a spac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ignage part 100, and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ge part 100.

이로 인해, 복수의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100)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plurality of signboard part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bottom part 2100.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의 간판부(100)를 상기 바닥부(2100)에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간판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may install the signboard unit 100 having various sizes on the bottom 2100, thereby forming the signboard unit 100 having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2000)의 구조, 기능 및 조립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function and assembly process of the variable signboard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구비하는 입간판용 지지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X-X’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Y-Y’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upport board for a signboard included in a variable sig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8, and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Y'.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2000, 도 7 참조)은 입간판용 지지모듈(2100, 2200)을 구비하며, 상기 입간판(2000)용 지지모듈은 상기 바닥부(2100) 및 상기 이동방지부(22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variable signboard 2000 (see FIG.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pport boards 2100 and 2200 for the sign board, and the support module for the sign board 2000 is the bottom. The part 2100 and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provided.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2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2100)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2100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connected to the signboard part 100 and to facilitate storage.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2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21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Technical features of the bottom portion 2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the overlap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가변형 입간판(2000)이 보관상태일 경우 상기 제2 형상인 상기 간판부(100, 도 4 참조)가 보관되는 공간인 보관공간부(S210) 및 상기 중량체가 배치되며, 상기 보관공간부(S210)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공간인 중량공간부(S220)가 제공될 수 있다.8 and 9, the bottom part 2100 is a storage space part in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see FIG. 4) having the second shape is stored when the variable signboard 2000 is stored. (S210) and the weight is disposed, the weight space portion (S220) which is a spac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may be provided.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를 형성하는 보관부(210) 및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형성하는 중량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ttom part 2100 may include a storage part 210 that forms the storage space part S210 and a weight part 220 that forms the weight space part S220.

또한,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바닥부(2100)의 일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280) 및 상기 결합홈(280)에 인접하게 연결되며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바닥결합부(280a)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ortion 21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groove 280 and the coupling groove 280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00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The bottom coupling part 280a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와 상기 바닥부(2100)의 외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유입부(240) 및 배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100 may include an inlet part 240 and an outlet part 250 that allow the outside of the weight space part S220 and the bottom part 210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유입덮개(241) 및/또는 상기 배출덮개(251)의 위치 이동에 의해 밀폐될 수도 있고, 상기 유입덮개(241) 및/또는 상기 배출덮개(251)의 위치 이동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space (S220) may be sealed by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inlet cover 241 and / or the discharge cover 251, the inlet cover 241 and / or the discharge cover 251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by moving the position of.

또한,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보관부(210)에 연결되는 보관덮개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100 may include a storage cover part 260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210.

또한,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1 연결부(2190a) 및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부(2190b)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1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2190a to which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connecte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to which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connected.

상기 제1 연결부(2190a)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합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90a may be formed by jo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00.

상기 제1 연결부(2190a)에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90a.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219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90a.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연결부(2190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90a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상기 제1 연결부(2190a)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90a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00.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상기 바닥부(2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된다는 것은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상기 제1 연결부(2190a)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2100 may mean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90a.

상기 제2 연결부(2190b)는 상기 바닥부(2100)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0b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2100 to the other side.

상기 제2 연결부(2190b)에는 최소 크기의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삽입될 수 있다.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having a minimum size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상기 바닥부(2100)의 제2 위치에 연결된다는 것은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상기 제2 연결부(2190b)에 삽입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2100 may mean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0b.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제2 연결부(2190b)를 기준으로 양 측으로 대칭되게 상기 바닥부(21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art 2100 symmetrically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이로 인해,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중량체가 유입되었을 경우, 상기 바닥부(2100)의 무게 중심이 상기 제2 연결부(2190b)가 제공하는 영역(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weight is introduced into the weight space part S22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ttom part 2100 may be located in an area (space) provid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상기 중량공간부(S220)는 상기 제2 연결부(2190b)를 에워싸도록(포위하도록) 상기 바닥부(210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eight space part S22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art 2100 to surround (enclose)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상기 보관공간부(S210)는 상기 중량공간부(S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2190a)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torage space S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90a based on the weight space S220.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복수의 간판부(100, 도 7 참조)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있다.8 and 10,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ignage parts 100 (see FIG. 7).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바닥부(2100)와 상기 간판부(100)에 연결될 수 있는 본체부(2210) 및 상기 본체부(2210)에 연결되며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2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a main body part 221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2100 and the signboard part 100 and a moving light emitting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2210 and can emit a predetermined light. 2220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본체부(22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본체부(2210)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빛을 발광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Herein, the main body part 2210 may be adjusted in length, and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art 2210.

본체부(2210)(특히, 후술하는 상부본체부(2211))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2210 (particularly, the upper body portion 221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본체부(2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portion 2210.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2210)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part 2210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상기 본체부(2210)는 불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본체부(22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part 221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and thus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210.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본체부(22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부본체부(2211) 및 상기 상부본체부(2211)와 연결되는 하부본체부(2212)를 구비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main body part 2210 may include an upper main body part 2211 and a lower main body part 2212 connected to the upper main body part 2211.

상기 상부본체부(2211)는 제1 상부본체부(2211a), 제2 상부본체부(2211b) 및 제3 상부본체부(2211c)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body portion 2211 may include a first upper body portion 2211a, a second upper body portion 2211b, and a third upper body portion 2211c.

일례로, 상기 제1 상부본체부(2211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 방향으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상부연장부(2211a-1) 및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상부제한부(2211a-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upper body part 2211a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ward from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and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which provide a spac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first upper limiting part 2211a-2 may extend in a direction.

일례로,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의 수평 방향 단면적은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may be a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에는 상기 이동발광체(22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는 상기 제2 상부본체부(2211b)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may define a limit of posi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upper body part 2211b.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에는 제1 접점부(C10)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ontact portion C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upper limit portion 2211a-2.

상기 제2 상부본체부(2211b)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 방향으로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상부연장부(2211b-1),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일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1 상부제한부(2211b-2) 및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타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2 상부제한부(2211b-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upper body part 2211b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outer side from one end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and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which provides a space in the inward direction. 2-1 upper limiting part 2211b-2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extending inwardly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3)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수평 방향 단면적은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be a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에는 이동발광체(2220)가 배치될 수 있다.A moving light emitting member 222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는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와 접촉되어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위치 이동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2 may contact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to define a rang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에는 제2 접점부(C20)가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contact portion C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first upper limit portion 2211b-2.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에는 제3 접점부(C30)가 형성될 수 있다.A third contact portion C30 may be formed in the second-2 upper limit portion 2211b-3.

상기 제3 상부본체부(2211c)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상부연장부(2211c-1) 및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의 일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상부제한부(2211c-2)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upper body part 2211c extends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and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limit part 2211c-2 may be provided.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에는 이동발광체(2220)가 배치될 수 있다.A moving light emitting member 222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는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와 접촉되어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의 위치 이동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may contact the second-2 upper limit part 2211b-3 to define a rang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에는 제4 접점부(C40)가 형성될 수 있다.A fourth contact portion C40 may be formed in the third upper limit portion 2211c-2.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의 공간에는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의 내면과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and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일례로,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second-first upper limit part 2211b-2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는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2-1 upper limit part 2211b-2 may slide on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and thus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 May be moved.

만일, 상기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가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에서 상측방향(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면,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가 제공하는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f the second-first upper limit part 2211b-2 is formed on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the upper direction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Direction, the at least part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be mov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pace provided by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는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와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가 서로 접촉될 때까지 상기 상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be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and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상기 제2 상부제한부가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점부(C10)와 상기 제2 접점부(C20)도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upper limit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the first contact part C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C20 may als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의 공간에는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내면과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and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일례로,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는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는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may slide on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and thus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may be slid. Position can be moved.

만일,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상가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 상에서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면,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가 제공하는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f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upper limiting portion 2211c-2 slides upward on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ortion 2211b-1, the third upper extension portion 2211c-1.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be moved away from the space provided by the position.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는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와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가 서로 접촉될 때까지 상기 상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may be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until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and the second-2 upper limit part 2211b-3 contact each other. Can be.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와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3 접점부(C30)와 상기 제4 접점부(C40)도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second-second upper limit part 2211b-3 and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contact each other, the third contact part C30 and the fourth contact part C40 also contact each oth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본체부(2210)에 배치된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본체부(221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이동발광체(2220)가 발광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disposed in the main body part 221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art 2210.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접점부(C10)와 상기 제2 접점부(C20)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3 접점부(C30)와 상기 제4 접점부(C40)가 서로 이격되는 경우,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만이 발광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contact portion C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C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hird contact portion C30 and the fourth contact portion C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ly the moving light emitting member 2220 disposed in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may emit light.

이와 다르게,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가 상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3 접점부(C30)와 상기 제4 접점부(C4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 및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가 발광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is moved upward, the third contact part C30 and the fourth contact part C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disposed on the upper extension part 2211c-1 and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disposed on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may emit light.

또한,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가 상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접점부(C10)와 상기 제2 접점부(C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접점부(C30)와 상기 제4 접점부(C4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 상기 제2 상부연장부(2211b-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 및 상기 제1 상부연장부(2211a-1)에 배치된 이동발광체(2220)가 발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is moved upward, and the first contact part C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C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hird contact part When the C30 and the fourth contact part C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oving light emitting member 2220 disposed in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and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2211b-1.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2220 disposed in 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2211a-1 may emit light.

상기 이동방지부(2200)의 길이에 따라 발광되는 본체부(2210)의 부분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the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210 that emits light is adjusted differently,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하부본체부(2212)는 상기 제1 상부본체부(221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portion 22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upper body portion 2211a.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부본체부(2212)는 상기 제1 상부본체부(2211a)와 접착제 혹은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wer body portion 221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portion 2211a by a method such as adhesive or welding.

상기 하부본체부(2212)는 상기 제1 연결부(2190a)에 삽입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portion 2212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90a.

일례로, 상기 하부본체부(2212)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부본체부(221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For example,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portion 2212, but the shape of the lower body portion 2212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체부(2210)가 길이 조절할 수 있는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고, 상술한 구조는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2210 is adjustable in length is various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그리고,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와 외부의 전원을 연결하는 도선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ductor connecting the third upper extension part 2211c-1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ot illustrated, this may be variously connect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동발광체(2220)는 발광하는 구성요소(일례로, 백열전등, 엘이디) 및 발광하는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구성(PCB회로, 전원부, 전선 등)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emits light (for example, an incandescent lamp and an LED) and all components (PCB circuit, power supply, wire, etc.) for driving the component that emits light.

일례로, 상기 이동발광체(2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본체부(22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light emitter 222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body portion 2211.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동발광체(2220)가 상기 상부본체부(2211)에 배치되는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is disposed on the upper body portion 2211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상부본체부(2211)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light emitting body 2220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and / or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2211.

도 10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상기 이동발광체는 상기 본체부(2210)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2210)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Unlike the illustrated in FIG. 10, the mobile light emitter may not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part 2210, but may be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provided by the main body part 2210 to emit predetermined light.

일례로, 상기 이동발광체는 상기 제1 상부본체부(2211a), 상기 제2 상부본체부(2211b) 및 상기 제3 상부본체부(2211c)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ing light emitting body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upper body portion 2211a, the second upper body portion 2211b, and the third upper body portion 2211c. .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가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가 상기 하부본체부(2212)에 접촉되며,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와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가 상기 하부본체부(2212)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이동발광체는 상기 제3 상부연장부(2211c-1)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2-1 upper limit part 2211b-2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and the 2-1 upper limit part 2211b-2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part 2211b-2.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3 and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do not contact each other, and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is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part 2212. )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body portion 2212, the moving light emitting body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inner direction provided by the third upper extension (2211c-1).

또한,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가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와 접촉되고,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와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가 서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이동발광체는 제1 상부본체부(2211a), 상기 제2 상부본체부(2211b) 및 상기 제3 상부본체부(2211c)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upper limit part 2211b-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and the 2-2 upper limit part 2211b-3 and the third upper limit part. When the parts 2211c-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oving light emitting body is provided in an inward direction provided by the first upper body part 2211a, the second upper body part 2211b, and the third upper body part 2211c. May be placed in the space.

여기서, 상기 이동발광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Here, the moving light emitting body may be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일례로, 상기 이동발광체는 형광등 또는 백열등 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light emitting body may be a fluorescent lamp or an incandescent lamp.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동발광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bile light emitter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variable sign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2000, 도 7 참조)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입간판(2000)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100); 및 상기 간판부(100)를 지지하는 바닥부(2100); 및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100)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2100) 및 상기 간판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the variable signboard 2000 (see FIG. 7)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a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and signboards capable of deliver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people. The apparatus of claim 2000, further comprising: a signboard unit 100 providing an area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And a bottom part 2100 supporting the signage part 100. And when the signboard portion 100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2100 is dispos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signboard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100 and the signboard portion 100, It may include; and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2200 to prevent the signage unit 1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ortion 2100.

여기서,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adjusted in length.

또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100)의 복수의 상기 측면과 상기 간판부(100)의 상면에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간판부(10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ge unit 100,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that can transfer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the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When the signboard unit 100 is supported by the bottom 2100, the signboard unit 100 is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signboard unit 100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ignboard unit 1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100).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2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2100)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부(2190b)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2100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signboard part 100, and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easily stored. It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2100, the bottom portion 2100 i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190b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바닥부(2100)와 상기 간판부(100)에 연결되는 본체부(2210) 및 상기 본체부(2210)에 연결되며,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22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210)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발광체(2220)는 상기 본체부(2210)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빛을 발광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2210 and the body part 2210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2100 and the signboard part 100, and may emit a predetermined light. 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is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art 2210 can be adjusted, and the mobile light emitter 2220 determines whether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emitter 2220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art 2210.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바닥부(2100)는 상기 간판부(10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간판부(100)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2100 forms a connection area to which the signboard part 100 can be connected, and the signboard part 100 has a first shape in a second shape or a second shape in the first shape. The shape may be deformed.

여기서,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2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2200)와 연결될 수 있다.Here, when the signboard unit 100 has the first shape,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and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unit 2100.

또한,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될 수 없어 상기 바닥부(2100)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2200)와 연결되지 못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gnboard unit 100 has the second shape, the signboard unit 100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and thus may not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unit 2100.

또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간판부(100)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간판부(1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deformed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ignboard unit 100, and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the signboard unit 100.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hape may be deform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또한,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2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2100)에 의해 보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2100 in the case of the first shape, and the signboard part 100 is stored by the bottom part 2100 in the case of the second shape. Can be.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간판부(100)를 적층하기 위하여, 상기 보관부(210)의 제2 연결부(2190b)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를 이용할 수 있다. 7 to 11, a user may us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disposed 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of the storage part 210 to stack a plurality of signage parts 100. have.

사용자는 가변형 입간판(2000)을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연결부(2190b)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를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may separat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from the bottom part 2100 in order to install the variable signboard 2000.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2190b)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최소 길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dispos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may have a minimum length.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최소 길이일 경우는,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 도 10 참조)가 상기 하부본체부(2212, 도 10 참조)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 도 10 참조)가 상기 하부본체부(2212)에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has a minimum length, the 2-1 upper limit part 2211b-2 (see FIG. 10) may contact the lower body part 2212 (see FIG. 10).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see FIG. 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body part 2212.

다음으로,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구비하는 상기 하부본체부(2212)를 상기 제1 연결부(2190a)에 연결시킬 수 있다. Next, the lower body portion 2212 included in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190a.

또한, 사용자는 상기 보관공간부(S210, 도 9 참조)에 보관되어 있는 제2 형상의 상기 간판부(100)를 상기 보관공간부(S2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separate the signboard unit 100 having the second shap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210, see FIG. 9) from the storage space (S210).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관공간부(S210)에 보관되어 있는 제2 형상의 상기 간판부(100)에 인가하고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제2 형상의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Here, when the user applies to the signboard portion 100 of the second shap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210) and removes the external force, the signboard portion 100 of the second shape is the first The shape may be deformed into a shape.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에 적층될 상기 간판부(100)의 개수에 따라 혹은, 상기 바닥부(2100)의 상면에 적층될 상기 간판부(100)의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방지부(2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12, the user may depend on the number of the signboards 100 to be stacked on the top of the bottom 2100 or the signboard 100 to be stacked on the top of the bottom 2100.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can be adjusted the length of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도 12에서는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 도 10 참조)가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 도 10 참조)에 접촉되고,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 도 10 참조)가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 도 10 참조)에 접촉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이동방지부(2200)의 길이 연장 정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In FIG. 12,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see FIG. 10) contacts the second-2 upper limit part 2211b-3 (see FIG. 10), and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 -2, see FIG. 10), but the cas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limiting portion (2211a-2, see FIG. 10), but not limited to this, the length of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2200 is a conventional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t a level obvious to the skilled person.

일례로, 상기 제3 상부제한부(2211c-2, 도 10 참조)가 상기 제2-2 상부제한부(2211b-3, 도 10 참조)에 접촉되고, 상기 제2-1 상부제한부(2211b-2, 도 10 참조)가 상기 제1 상부제한부(2211a-2, 도 10 참조)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길이 연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rd upper limit part 2211c-2 (see FIG. 10) contacts the second-2 upper limit part 2211b-3 (see FIG. 10), and the second upper limit part 2211b. 2 and 10,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extended so that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see FIG. 1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upper limit part 2211a-2.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간판부(100)를 상기 바닥부(2100)에 적층할 수 있다.Next, the user may stack the signboard unit 100 on the bottom portion 2100.

구체적인 일례로서, 사용자는 임의의 간판부(100)가 구비하는 간판결합부와 상기 바닥부(2100)가 구비하는 바닥결합부(280a)를 결합시킬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may combine the signboard coupling portion provided in any signage portion 100 and the bottom coupling portion 280a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2100.

이때, 상기 간판부(100)는 상기 바닥부(2100)의 상기 연결영역에서 상기 바닥부(21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gnboard par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2100 in the connection area of the bottom part 2100.

또한,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의 연결영역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가 구비하는 제5 간판부(100e)의 실링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gnboard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of the bottom 2100,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is a sealing unit of the fifth signboard unit 100e provided in the signboard unit 100. May be inserted into 110.

사용자는 임의의 간판부(100) 위해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를 적층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방지부(2200)의 길이를 상기 임의의 간판부(100)의 높이보다 길게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arbitrary signage part 100 in order to stack another signage part 100 for an arbitrary signage part 100.

사용자는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간판결합부(130, 도 1 참조)를 임의의 간판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함입부(140, 도 1 참조)와 연결시켜, 임의의 간판부(100) 위에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를 적층할 수 있다.The user connects the signboard coupling part 130 (refer to FIG. 1) formed in the other signboard part 100 with the recessed part 140 (refer to FIG. 1) formed in any signage part 100. Another signboard portion 100 may be stacked on the signboard portion 100.

이 때,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다른 하나의 간판부(100)가 구비하는 제5 간판부(100e)의 실링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2200 may be inserted into the sealing part 110 of the fifth signage part 100e provided by the other signage part 100.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가 제공하는 내측 방향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the sign unit 100.

이로써, 상기 이동방지부(2200)는 상기 간판부(100)가 상기 바닥부(2100)로부터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may effectively prevent the signboard unit 100 from overturning from the bottom portion 2100.

사용자는 상기 이동방지부(2200)가 구비하는 이동발광체(22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The user may supply power to the moving light emitting unit 2220 provided in the movement preventing unit 2200,

이로써, 타인은 가변형 입간판(2000)이 전달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As a result, others can effectively learn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variable signboard 2000.

도 12에서는 두 개의 간판부(100)만이 적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바닥부(2100)에 적층되는 간판부(100)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12 illustrates that only two signboard units 100 are stack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ignboard units 100 stacked on the bottom 21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o.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입간판(2000)이 구비하는 보관부(210)에 형성되어 있는 중량공간부(S220)와 보관공간부(S21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space portion (S220) and the storage space portion (S210) formed in the storage portion 210 provided in the variable signboard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Can be arranged.

이 때, 상기 제2 연결부(2190b)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중량공간부(S220)에 의해 포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90b may be surrounded by the weight space part S220 as shown in FIG. 9.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with the above description.

간판부(100)는 상기 정보 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서술하였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signage unit 1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can be connec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상기 간판부(100) 자체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도록 외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gn portion 100 itself may be formed in the outer shape so as to transmit information.

상술한 예시와 다르게,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exampl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art.

일례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방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와 균일한 면을 이룰 수 있거나, 상기 이동방지부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혹은 함입되는 면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part, and one end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may form a uniform surface with the bottom part, or one end of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protrudes or recess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Can be achieved.

상기 이동방지부가 상기 바닥부와 일체를 이룰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상기 이동방지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방지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When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is integral with the bottom portion, the operato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o extend the length of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briefly expressed or omitted for the components that are not relevant or inferior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briefly expressed or omitted for the components that are not relevant or inferior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간판부 200 : 바닥부
210 : 보관부 220: 중량부
2210 : 본체부 2211 : 상부본체부
2212 : 하부본체부 2220 : 이동발광체
C10 : 제1 접점부 C20 : 제2 접점부
C30 : 제3 접점부 C40 : 제4 접점부
100: signboard 200: bottom
210: storage portion 220: parts by weight
2210: main body portion 2211: upper body portion
2212: lower body portion 2220: mobile light emitting body
C10: first contact portion C20: second contact portion
C30: third contact portion C40: fourth contact portion

Claims (12)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를 지지하는 입간판용 지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입간판용 지지 모듈.
In the support module for a signboard for supporting a signboard unit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A bottom portion supporting the signage portion; And
And a movement preventing part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signage part when the signage par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age part, and preventing the signag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doing,
Support module for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복수의 간판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입간판용 지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The length can be adjusted to be 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signage,
Support module for 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는,
입간판용 지지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signboard por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for easy storage,
Support module for board.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들에게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입간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간판부; 및
상기 간판부를 지지하는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가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입간판.
In the signboard that can move the loca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can deliver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people,
A signboard unit providing an area to which an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connected; And
A bottom portion supporting the signage portion; And
And a movement preventing part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signage part when the signage par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age part, and preventing the signag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part. doing,
Public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Length can be adjusted,
Public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전달부가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측면 및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가 상기 바닥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간판부의 복수의 상기 측면과 상기 간판부의 상면에 제공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간판부의 상면에 연결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gnboard unit,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providing an area to which the information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ferring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connected, and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When the signboard uni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art, the signboard unit is disposed in a space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signboard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gnboard unit,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gnboard unit.
Public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간판부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제2 위치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이동방지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signboard por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bottom portion for easy storage,
The bottom portion,
With a second connection portion penetrat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Publ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제공하는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어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board part and a moving light emitting body disposed in an inner space provided by the main body part to emit predetermined light,
The main body portion,
Length can be adjusted,
Publ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간판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소정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이동발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발광체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빛을 발광할지 여부가 결정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vement prevention unit,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signboard part and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capable of emitting a predetermined light;
The main body portion,
Length can be adjusted,
The mobile light emitting body,
It is determined whether at least a par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Publ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간판부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간판부는,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 또는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1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연결영역에 연결될 수 없어 상기 바닥부의 제1 위치에 연결된 상기 이동방지부와 연결되지 못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5,
The bottom portion,
Form a connection area to which the signboard can be connected,
The signboard unit,
The shape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or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In the case of having the first shape,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and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art.
When having the second shape, it can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can not be connected to the movement preve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bottom,
Public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간판부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고,
상기 간판부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아도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10,
The signboard unit,
Shape deformation from the first shape to the second shape by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ignboard portion,
Although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ignboard portion, the shape is deformed from the second shape to the first shape,
Public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판부는,
상기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바닥부에 의해 보관되는,
입간판.

The method of claim 11,
The signboard unit,
In the case of the first shape, it is supported by the bottom por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shape, stored by the bottom portion,
Publication.

KR1020180044526A 2018-04-17 2018-04-17 Variable billboard KR201901210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6A KR20190121043A (en) 2018-04-17 2018-04-17 Variable bill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526A KR20190121043A (en) 2018-04-17 2018-04-17 Variable bill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043A true KR20190121043A (en) 2019-10-25

Family

ID=6842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526A KR20190121043A (en) 2018-04-17 2018-04-17 Variable bill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043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220A (en) 2020-04-23 2021-11-02 김재현 Cubic type adballo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78220B1 (en) 2021-02-16 2022-03-25 김재현 Up and down type advertisement apparatus for sky and advertisement method
KR20220117023A (en) 2021-02-16 2022-08-23 김재현 Absorbing type advertisement apparatus for sky
US11509799B2 (en) * 2020-09-17 2022-1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30015065A (en) 2021-07-22 2023-01-31 김재현 Image display type cubic adballo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220A (en) 2020-04-23 2021-11-02 김재현 Cubic type adballo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10130954A (en) 2020-04-23 2021-11-02 김재현 Cubic type adballo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509799B2 (en) * 2020-09-17 2022-11-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378220B1 (en) 2021-02-16 2022-03-25 김재현 Up and down type advertisement apparatus for sky and advertisement method
KR20220117023A (en) 2021-02-16 2022-08-23 김재현 Absorbing type advertisement apparatus for sky
KR20230015065A (en) 2021-07-22 2023-01-31 김재현 Image display type cubic adballoon and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043A (en) Variable billboard
CN110119031B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aerial 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6920750B2 (en) Display device and pixel unit
TW200600919A (en) Optical film,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2130273A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ing structure
KR101970991B1 (en) A framed advertising device using transparent led film
CN105889813A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810507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US20160202395A1 (en) Display apparatus with improved viewing angle
KR102053948B1 (en) Variable sign
KR101186454B1 (en) Structure for 3d display pannel
KR200467313Y1 (en) Knapsack style movable type sign
CN114648923B (en) Spliced screen and display device
JPH06167934A (en) Illuminated display panel device for advertisement or for sign
KR101704958B1 (en) Portable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beam projector
JP2012517713A (en) LED assembly with improved visibility and form,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and banner using the same
CN208351843U (en) Display device, display screen and its flexible LED display module
WO2016113444A1 (en) Image display panel
KR102613174B1 (en) Floor display board
EP2084697B1 (en)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a screen
KR100877294B1 (en) Led display board
KR101126558B1 (en) Fence type led advertising apparatus
CN208368063U (en) A kind of LED display for court
CN208954601U (en) It is a kind of for indoor advertising device easy to remove
KR200251058Y1 (en) A multi display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