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941A -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941A
KR20190120941A KR1020180044335A KR20180044335A KR20190120941A KR 20190120941 A KR20190120941 A KR 20190120941A KR 1020180044335 A KR1020180044335 A KR 1020180044335A KR 20180044335 A KR20180044335 A KR 20180044335A KR 20190120941 A KR20190120941 A KR 2019012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raph
patient
leg
eeg
control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1970B1 (en
Inventor
유승현
윤지호
차영주
황종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970B1/en
Publication of KR2019012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9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61B5/048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graph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a muscle is intentionally moved when evaluating a disability grade. Specifically, the polygraph device for detecting that a patient does not intentionally move a body when evaluating the disability grade comprises: a sensor unit attached to a part of a body of a patient; and a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a patient intends to move an arm or a leg based on a sensing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Description

장애 심사 평가를 위한 거짓말 탐지 기기 및 이것의 제어 방법{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거짓말 탐지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애 심사 시 의도적으로 장애 정도를 속이는 것을 감지해 낼 수 있는 거짓말 탐지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e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intentionally deceiving a degree of failure when examining a failure.

국가에서는 장애에 대한 등급을 정하고, 신체의 움직임이 의지대로 되지 않은 정도에 기초하여 등급에 대한 심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국가의 심사에 의해서 결정되는 장애의 등급에 따라서, 국가에서 제공되는 혜택에 큰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서 부정한 방법으로 장애 심사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다수 존재한다. In countries, disability is rated and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the body's movements are not at will.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ability as determined by the screening of these countrie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perform disability screening in an improper way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nefits offered in the country.

예를 들어, 심사 대상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무릎 아래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통하여 장애 등급 평가를 수행할 때, 높은 장애 등급을 받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다리를 올리 않는 방법을 사용한다.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 disability grading by lifting a knee below the examinee while sitting in a chair, a method of deliberately raising a leg to obtain a high disability grading is used.

올바른 장애 등급의 부여가 불가능해 질 경우, 장애 등급 시스템 자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당한 방식으로 장애 등급을 부여 받은 다른 장애인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If the correct level of disability is not possible, there are serious problems that can affect the disability rating system itself, as well as damage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assigned in a legitimate manner.

이에 따라서, 심사 대장사가 고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지 혹은 정말 장애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인지를 분간할 수 있는, 이른바 장애 심사에 있어서의 거짓말 탐지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so-called lie detectors in disability screening, which can distinguish whether the screening inspector does not move intentionally or is not really moved by disabilit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 있는 장애 등급 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보조해줄 수 있는 거짓말 탐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aim is to provide a polygraph that can assist in the operation of a reliable disability grading syste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another object, provides.

본 발명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li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애 심사 평가 시 의도적으로 장애 정도를 속이는 것을 감지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ntentional deception of the degree of failure when evaluating the failure exam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장애 정도를 파악하여 신뢰성 있는 장애 등급 제도를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degree of failure to operate a reliable disability rating system.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짓말 탐지 기기(1)가 환자의 신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의 분석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EEG 측정 장치(즉 뇌파 감지 센서)의 전극 부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를 이용한 장애 심사 평가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e detection device 1 is applied to a patient'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analysis control flowchart of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de attachment position of an EEG measuring apparatus (ie, an EEG sens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failure examination evaluation using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and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국가에서는 장애에 대한 등급을 정하고, 신체의 움직임이 의지대로 되지 않은 정도에 기초하여 등급에 대한 심사를 수행한다. 이러한 국가의 심사에 의해서 결정되는 장애의 등급에 따라서, 국가에서 제공되는 혜택에 큰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서 부정한 방법으로 장애 심사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다수 존재한다.As mentioned above, the State sets a rating for the disability and conducts a review of the rating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body's movements are not at will. Depending on the level of disability as determined by the screening of these countrie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perform disability screening in an improper way a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enefits offered in the country.

예를 들어, 심사 대상자(장애 등급 평가를 받는 사람)가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무릎 아래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통하여 장애 등급 평가를 수행할 때, 높은 장애 등급을 받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다리를 올리 않는 방법을 사용한다. For example, when a reviewer (a person with a disability rating) performs a disability rating by lifting a knee down while sitting in a chair, the legs are not intentionally raised to obtain a higher disability rating. Use

올바른 장애 등급의 부여가 불가능해 질 경우, 장애 등급 시스템 자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정당한 방식으로 장애 등급을 부여 받은 다른 장애인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If the correct level of disability is not possible, there are serious problems that can affect the disability rating system itself, as well as damage othe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assigned in a legitimate manner.

이에 따라서, 심사 대장사가 고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지 혹은 정말 장애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는 것인지를 분간할 수 있는, 이른바 장애 심사에 있어서의 거짓말 탐지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so-called lie detectors in disability screening, which can distinguish whether the screening inspector does not move intentionally or is not really moved by dis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거짓말 탐지 기기(1)가 환자의 신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e detection device 1 is applied to a patient's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거짓말 탐지 기기(1)는 심사 대상자에 위치될 수 있는 센서부(3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센서부(30)이 심사 대상자의 다리의 피부 일부(허벅지)에 위치(접촉)된다. 그러나 센서부(30)은 신체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서 팔의 장애 심사 시에는 팔의 일부)에도 위치될 수 있고 특정 신체 부위의 형태에 적응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lie detection device 1 shown in Figs. 1 to 3 includes a sensor unit 30 which can be located at the examination subject. In FIG. 2, the sensor unit 30 is positioned (contacted) on a part of the skin (thigh) of the leg of the subject to be examined. However, the sensor unit 30 may be located in other parts of the body (for example, the part of the arm when examining the disorder of the arm) and may have a form adapted to the shape of a specific body part.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짓말 탐지 기기(1)은 연결부(18)을 통해 센서부(30)과 연결되는 작동 유닛(50)을 더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연결부(18)는 전선 연결이다.As shown in FIG. 1, the lie detection device 1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50 connected with the sensor unit 30 via a connection 18. In the example of FIG. 1, the connection 18 is a wire connection.

예를 들어, 작동 유닛(50)은 하우징(housing)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내부에, 선택적 사용자 인터페이스(56)에 연결되고, 연결부(18)를 통해 센서부(30)과 연결되는 제어 유닛(53)이 제공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6)는 예를 들어, 거짓말 탐지 기기(1)의 심사 대상자에게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제어 버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심사 대상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6)을 통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을 위한 의도된 세팅(setting)들과 같은 입력을 제어 유닛(53)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50 comprises a housing. Inside the housing, a control unit 53 is provided which is connected to the optional user interface 56 and to the sensor unit 30 via a connection 18. The user interface 56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that forms an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to the examinee of the lie detection device 1 and control buttons that form an input interface. For example, the person to be audited may provide input to the control unit 53, such as intended settings for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device, via the user interface 56.

이 예에서, 출력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허용하나, 데이터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오디오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출력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utput interface allows for visual output of the data, but the data ma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be output by audio or other suitable method.

제어부(536)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기술될 응답 신호들과 관련된 데이터 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33)에 연결되고/되거나 메모리를 구비한다.The controller 536 is connected to and / or has a memory 533 for storing data related to the response signals, a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제어부(536)는 상기 센서부(30)를 통하여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가 팔 또는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환자의 장애 심사 능동 참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The controller 536 may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intends to move an arm or a leg based on the sensing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0. In other words, the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in disability screening is confirmed.

출력부(538)는 판단된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538)는 음향 출력부이고,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기설정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출력부(538)는 광출력부이고,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빛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output unit 538 outputs whether or not there was a determined intention.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538 may be a sound output unit, and may output preset sound data when there is a desire to move the leg. Alternatively, the output unit 538 may be an optical output unit, and may output light when there is a desire to move the leg.

센서부(30)들은 예를 들어, 장방형의 스트립들(strips)을 형성하는 전극 패드로 구성되는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전극(30-1)이다.The sensor units 30 are, for example, bipolar EMG sensor electrodes 30-1 composed of electrode pads that form rectangular strips.

이러한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전극(30-1)는 근육 조직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 특성은 상기 근육 조직의 활동을 위한 척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전극(30-1)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심사 대상자인 환자가 실제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왜냐하면, 뇌에서 실제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라는 신호를 보낼 경우(움직이려는 의사가 있을 경우), 근육에서 해당 EMG 신호가 측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애 심사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근육을 움직이지 않는다면, EMG 신호가 측정되지 않을 것이다.The bipolar electromyography (EMG) sensor electrode 30-1 can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muscle tissue, and this characteristic forms a measure for the activity of the muscle tissue.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bipolar electromyography (EMG) sensor electrode 3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tient who is the subject of examination is actually willing to move his or her arm or leg. This is because when the brain sends a signal to move an actual arm or leg (if the doctor wants to move it), the EMG signal is measured in the muscle. However, the EMG signal will not be measured unless the muscles are intentionally moved in the disorder screening.

센서부(30)은 제어 유닛(53)에서 신호 처리 유닛(537)의 입력에 연결된, 센서 출력을 가진다. 센서 출력을 통해, 센서는 센서 신호를 신호 처리 유닛(537)에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유닛(537)은 센서 신호로부터 활동을 위한 기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측정하고 프로세서 출력을 통해 값을 제어부(536)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 has a sensor output,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at the control unit 53. Through the sensor output, the sensor may provide a sensor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The signal processing unit 537 may determine a reference value for the activity from the sensor signal, that is, measure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and output the value to the controller 536 through the processor output.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30-1)의 다른 예시로는 단일 센서 전극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nother example of the bipolar EMG sensor 30-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sensor electr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센서부(30)는, 뇌파(혹은 뇌전도, EEG, Electroencephalogram) 감지 센서(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encephalogram (or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encephalogram) sensor 30-2.

EEG(electroencephalogram)는 대뇌피질내의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기록한 것으로, 뇌파는 1∼50 Hz의 주파수와 약 10∼200μμV의 진폭을 가지며 1929년 독일의 생리학자 한스 베르거(Hans Berger)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이 전기적 활동성은 후에 EEG라 명명하였고, EEG가 실험자의 정신적 상태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보였다.Electroencephalogram (EEG) records the electrical activity of nerve cells in the cerebral cortex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calp. EEG has a frequency of 1-50 Hz and an amplitude of about 10-200 μμV. In 1929, German physiologist Hans Berger ( It was first tried by Hans Berger. This electrical activity was later named EEG and showed that the EEG changes depending on the mental state of the experimenter.

이하에서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이하에서는 BCI라고 호칭함)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ain-Comput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CI) will be described.

인간이 어떤 일에 대해 생각을 하거나 행동을 할 때, 뇌 속에 있는 시냅스(synapse)에서는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이때 뉴런 간에 생기는 전위차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전류를 두피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측정한 것이 뇌파(brainwaves) 또는 상술한 EEG 신호이다. BCI 기술은 이런 뇌파를 이용해서 인간의 생각이나 의지를 언어나 신체의 다른 동작을 거치지 않고 시스템에 직접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When humans think or act about something, synapses in the brain use neurotransmitters to convey information. At this time, a current is generated by a potenti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neurons, and the electric current is measured through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calp, which is brainwaves or the above-described EEG signal. BCI technology uses these brain waves to deliver human thoughts and will directly to the system without language or other movements of the body.

BCI 기술은 신체적 결함이나 장애로 인해, 자신의 의사를 표현, 전달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이점을 이용해서 신체 장애인을 위한 의료용 보조 기구부터 뇌파를 이용한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게임, 가정 자동화를 위한 전자제품 그리고, 학습 보조기구에 이르기까지 많은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BCI technolog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providing new means of communication to people who are unable to express and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due to physical defects or disabilities. It can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from instruments to games with new interfaces using brain waves, electronics for home automation, and learning aid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BCI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심사 대상자)가 거짓으로 심사에 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CI techniqu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tient (the subject to be examined) is falsely assessed.

시각적 자극으로 왼손이나 오른손 움직임을 상상하는 동안 피험자의 μμ 리듬 영역에서는 활동이 쇠약해지거나 차단되는 현상 혹은 억제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을 ERD(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라고 한다. 주로 μμ 리듬과 β 리듬 영역 중 국소적으로 β 에서 발생하게 된다. ERS는 ERD와 상반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EEG의 진폭이 증가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While visually stimulating imagination of left or right hand movements, the subject's μμ rhythm region is characterized by weakened, blocked or inhibited activity, which is called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ERD). It occurs mainly at β locally in the μμ and β rhythm regions. ERS has a characteristic opposite to that of ERD and increases the amplitude of the EEG.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은 시간-주파수 해석을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짧게 쪼개진 시간 영역에서 원하는 부분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고 시간 축을 기준 삼아 주파수 분포를 도시해 나가는 방법이다. STFT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해석과 시간 영역의 해석을 표현할 수 있다.Short-Time Fourier Transform (STFT) is the simplest method for time-frequency analysis. It performs Fourier transform on the desired part in the short time domain and shows the frequency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time axis. STFT can express the interpretation of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time domain.

본 발명에서는 뇌파 감지 센서(30-2)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뇌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뇌파에 기초하여 환자가 능동적으로 장애 심사에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이하 능동참여인지)를 분석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 sensor 30-2 additionally detects the EEG in real time, and based on the detected EEG suggests to analyze whether the patient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disability examination (hereinafter active participation) will b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의 분석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analysis control flowchart of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심사에 능동참여인지 분석 방법은 뇌파 획득 단계(S401), 필터링 적용 단계(S402), STFT 적용 단계(S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능동참여인지 분석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사용자 능동참여인지 분석 장치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analyzing whether an active participant is in a disability exam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EG acquisition step S401, a filtering application step S402, and an STFT application step S403. In the user active participation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active participation analysis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뇌파 획득 단계(S40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536)는 뇌파 감지 센서, 구체적으로 EEG 측정 장치(예컨대, Emotiv사의 EPOC 장치)로부터 실제 측정된 로우 EEG 신호(raw EEG signal)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536)는 획득한 뇌파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미약한 뇌파 데이터를 증폭함으로써 뇌파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in the brain wave acquisition step S401, the microprocessor 536 may acquire a raw EEG signal that is actually measured from an EEG sensor, specifically, an EEG measurement device (eg, an EPOC device of Emotiv). The microprocessor 536 may then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EEG data by removing noise from the acquired EEG data or amplifying the weak EEG data.

본 실시예에서는 128SPS(2048㎐)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를 가지는 14채널의 전극을 10-20 전극 위치법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착하여 사용자의 실제 뇌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 이상의 샘플링 레이트는 처리할 데이터의 비대화를 초래하여 처리 속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며 실시간 구동에 있어서 많은 제약 사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뇌파 분석에 필요한 최소 필요 샘플링 수인 128SPS가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뇌파계에서 정의하기에 따라서 일정 범위(128±±ααSPS)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14-channel electrodes having a sampling rate of 128 SPS (2048 kHz) may be attached to a user according to a 10-20 electrode positioning method to obtain actual brain wave data of the user. More than necessary sampling rate may lead to oversizing of data to be processed,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lowering processing speed and may cause a lot of restrictions in real time opera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128SPS, which is the minimum required sampling number for EEG analysis, is preferab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128 ±± ααSPS) as defined by the EE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EEG 측정 장치(즉 뇌파 감지 센서)의 전극 부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두뇌에 전극을 부착하여 뇌파 데이터를 측정하게 되며, 이때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 부착 위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제 표준법인 10-20 전극 시스템에 의거하여 두피의 19개 전극 (Fp1, Fp2, F7, F8, F3, F4, Fz, T3, T4, C3, C4, Cz, T5, T6, P3, P4, Pz, O1, O2) 및 추가적으로 Fpz, Oz 2개의 전극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ctrode attachment position of the EEG measurement device (that is, EEG sens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user's brain to measure the EEG data, and the electrode attachment position for measuring the EEG is as shown in Figure 4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10-20 electrode system of the 19 electrodes of the scalp (Fp1 , Fp2, F7, F8, F3, F4, Fz, T3, T4, C3, C4, Cz, T5, T6, P3, P4, Pz, O1, O2) and additionally two Fpz, Oz electrodes can be determined hav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는, 운동과 관련되는 뇌파만을 측정하여 간편하면서도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되는 뇌파는 전두엽에 의해서 생성된다. 즉 운동을 담당하는 뇌의 부분이 전두엽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 심사와 관련되는, 즉 신체 일부를 움직이고자 하는 신호는, 뇌의 전두엽으로부터 나올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measure the brain waves associated with the exercise to keep the accuracy simple. In general, brain waves associated with movement of the body are produced by the frontal lobe. In other words, the part of the brain responsible for the movement is the frontal lobe. As such, signals related to disability screening, i.e., to move part of the body, may come from the frontal lobe of the brai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두엽과 관련되는 F3 및 F4 채널만을 측정하도록 제안한다.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measure only the F3 and F4 channels associated with the frontal lobe.

상술한 10-20 전극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되는 모든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부피의 장치가 필요할뿐만 아니라, 환자의 머리에 다수의 채널 센서를 연결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F3, F4 채널으로부터 측정되는 EEG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가 거짓말을 하는지 하지 않는지 여부(즉, 능동적으로 심사에 참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다.Not only does a large volume of devices need to be measured to measure all the EEGs measured from the 10-20 electrode system described above,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onnect multiple channel sensors to the patient's hea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lies or not (ie,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examination) based on the EEG signals measured from the F3 and F4 channels.

다시 도 4에서, 필터링 적용 단계(S402)에서 제어부(536)는 획득한 뇌파 데이터에서 뮤리듬(μ) 영역인 8-30㎐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능동참여인지 분석하기 위하여 제어부(536)은 DNF(digital notch filter) 또는 BPF(band pass filter)를 이용하여 필요한 영역을 분류할 수 있다. 뇌파에서의 운동 감각에 따른 특징은 주로 8-30㎐의 주파수 영역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Referring back to FIG. 4, in the filtering application step S402, the controller 536 may classify an 8-30 μs region, which is a mu rhythm region, from the acquired EEG dat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36 may classify a required area by using a digital notch filter (DNF) or a band pass filter (BPF) to analyze whether the user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sensation in EEG mainly occur in the frequency range of 8-30 Hz.

STFT 적용 단계(S403)에서 제어부(536)는 8-30㎐ 영역의 뇌파 데이터를 짧게 쪼개진 시간 영역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TFT application step S403, the controller 536 may perform a Fourier transform on the time domain in which the EEG data of the 8-30 kHz region is shortly divided.

즉, 제어부(536)는 훈련자의 능동참여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처리된 뇌파 데이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주파수 영역에 따라 원하는 부분의 뇌파를 분류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536 may input pre-processed EEG data into a predetermined algorithm to analyze whether the trainee is actively participating, and convert the EEG data into a frequency signal, and classify the EEG of the desired part according to the converted frequency reg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36)는 상기 S401 단계 ~ S403 단계의 뇌파에 기초하여 심사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S404 단계)The control unit 53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he screening is valid based on the brain waves in steps S401 to S403 (step S404).

즉, 환자는 심사를 위하여 팔이나 다리 등을 움직이기 위하여 집중을 하게 되면, 그에 맞는 뇌파가 더 강하게 발생되고, 발생되는 뇌파를 측정하여 심사의 정당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patient concentrates to move his or her arms or legs for the examination, the EEG will be generated more strongly, and the EEG will be measur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xamination.

환자가 실제로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려고 노력하기 위하여 집중(상상)을 하는 경우, 뇌파 활성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뇌파 활성도의 지표는 소정 주기 동안 발생된 뇌파의 평균으로 구해질 수도 있지만, 아래 수학식 1에 의해서 계산된 ERS(event-related synchronization)에 기초하여 구해질 수도 있을 것이다.If the patient concentrates (imagines) to actually try to move his or her arms or legs, the EEG activity increases. In this case, the index of EEG activity may be obtained as an average of EEG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but may be obtained based on an event-related synchronization (ERS)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여기서, P는 파워를 나타내고, j는 시간을 나타내고, fk 는 주파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1
는 fk 주파수에서의 r0에서 r0+m 시간의 평균 파워를 나타낸다.Where P represents power, j represents time, f k represents frequency,
Figure pat00001
Represents the average power of r 0 to r 0 + m time at the frequency f k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를 이용한 장애 심사 평가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failure examination evaluation using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와 같이, 환자(심사 대상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로 장애 심사를 진행하게 된다. 장애 심사 진행 시, 상술한대로 이극성 근전계(EMG) 센서전극(30-1) 및 뇌파 감지 센서(30-2)을 환자에게 부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atient (the subject to be examined) proceeds with the disability examination while sitting in a chair. During the failure examination, the bipolar EMG sensor electrode 30-1 and the EEG sensor 30-2 may be attached to the patient as described above.

다리의 장애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자는 환자에게 다리를 뻗어보라고 지시해 볼 수 있다.To assess leg failure, the evaluator may instruct the patient to stretch the leg.

도 7에서와 같이, 환자가 다리를 뻗게 되면, 장애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환자가 다리를 못뻗은 상태라면, 뻗으려는 의사가 있는데도 다리가 움직이지 않는 것인지 혹은 의도적으로 다리를 뻗지 않아서 심사 결과를 조작하고자 하는 것인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를 통하면, 환자의 다리로부터 측정되는 EMG 신호와 뇌로부터 측정되는 EEG 신호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환자의 능동 참여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patient stretches the le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sorder. However, if the patient can not stretch the leg as shown in Figure 6, even if there is a doctor to extend the leg will not move or deliberately do not extend the leg to check whether you want to manipulate the examination results. Through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G signal measured from the leg of the patient and the EEG signal measured from the brain can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output will b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짓말 탐지 기기(1)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lie dete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 restricted by the drawings or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cept a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to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quivalent structure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to be boun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0)

장애 등급 심사 시 환자가 의도적으로 신체를 움직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짓말 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가 팔 또는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In the polygraph to detect that the patient does not intentionally move the body during the disability grading,
A sensor unit attached to a body part of the patient;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patient intends to move an arm or a leg based on a sensing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Polygraph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일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part of the body is the head of the patient,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2 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서 감지되는 EEG(electroencephalogram)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In the second,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EEG (electroencephalogram) signal detected in the head of the patient,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EEG 신호 중에서,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되는 EEG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selectively detects only the EEG signal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body among the EEG signal,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일부는,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art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or leg of the patient,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로부터 EMG(electromyograph)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EMG (electromyograph) signal from the arm or leg of the patient,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EMG 및 EEG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by combining the measured EMG and EEG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the intention,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whether there was the determined intention,
Polygraph detect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이고,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기설정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unit is a sound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data when the intention to move the leg,
Polygraph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광출력부이고,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빛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unit is an optical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light when there is a will to move the leg,
Polygraph detection device.
장애 등급 심사 시 환자가 의도적으로 신체를 움직이지 않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거짓말 탐지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센서부를 통하여 환자 신체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환자가 팔 또는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lie detector for detecting that the patient does not intentionally move the body during the assessment of the disability rating,
Sensing a signal from the patient's body through a sensor unit attached to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atient intends to move an arm or a leg based on a sensing signal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일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part of the body is the head of the patien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2 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환자의 머리에서 감지되는 EEG(electroencephalogram)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EEG (electroencephalogram) signal detected in the head of the patien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EEG 신호 중에서,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되는 EEG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tecting may include selectively detecting only EEG signals related to movement of the body among the EEG signals.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의 일부는,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 part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 or leg of the patien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로부터 EMG(electromyograph)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nsing step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an electromyograph (EMG) signal from the arm or leg of the patien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EMG 및 EEG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The determin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doctor is present by combining the measured EMG and EEG signals.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1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outputting whether the intention was made through an output unit.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음향 출력부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기설정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output unit is a sound output unit,
The outputting may include outputting predetermined sound data when there is a desire to move the leg.
Control method of polygraph.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광출력부이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다리를 움직이려는 의사가 있는 경우에 빛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 기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output unit is an optical output unit,
The outputt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light when there is a willingness to move the leg,
Control method of polygraph.
KR1020180044335A 2018-04-17 2018-04-17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11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35A KR102111970B1 (en) 2018-04-17 2018-04-17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335A KR102111970B1 (en) 2018-04-17 2018-04-17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941A true KR20190120941A (en) 2019-10-25
KR102111970B1 KR102111970B1 (en) 2020-05-18

Family

ID=6842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335A KR102111970B1 (en) 2018-04-17 2018-04-17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970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829A (en) * 2002-12-20 2006-11-16 ヒューマン バイオニクス エルエルシー Intelligent deception verification system
KR20130051922A (en) * 2010-03-04 2013-05-21 뉴미트라 엘엘씨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psychological disorders
KR20140091381A (en) * 2013-01-11 2014-07-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ombining Brain Signals and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Self-Directed Rehabilitation Method
KR20140124381A (en) * 2012-01-24 2014-10-24 네우로비길, 아이엔씨 Correlating brain signal 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hanges in brain state
KR20150028661A (en) * 2013-09-06 2015-03-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nalysis method of user intention recognition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JP2017519557A (en) * 2014-06-03 2017-07-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JP2017143896A (en) * 2016-02-15 2017-08-24 オムロン株式会社 Determination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70113957A (en) * 2016-03-30 2017-10-1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thod of determining motion intent of user and motion recognition syste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5829A (en) * 2002-12-20 2006-11-16 ヒューマン バイオニクス エルエルシー Intelligent deception verification system
KR20130051922A (en) * 2010-03-04 2013-05-21 뉴미트라 엘엘씨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psychological disorders
KR20140124381A (en) * 2012-01-24 2014-10-24 네우로비길, 아이엔씨 Correlating brain signal to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hanges in brain state
KR20140091381A (en) * 2013-01-11 2014-07-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Combining Brain Signals and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Self-Directed Rehabilitation Method
KR20150028661A (en) * 2013-09-06 2015-03-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nalysis method of user intention recognition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JP2017519557A (en) * 2014-06-03 2017-07-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JP2017143896A (en) * 2016-02-15 2017-08-24 オムロン株式会社 Determination devic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70113957A (en) * 2016-03-30 2017-10-1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Method of determining motion intent of user and motion recognition system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970B1 (en)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üller-Putz Electroencephalography
Kujala et al. The mismatch negativity as an index of temporal processing in audition
Harris et al. Age-related differences in gap detection: Effects of task difficulty and cognitive ability
Sheehan et al. Is discrimination training necessary to cause changes in the P2 auditory event-related brain potential to speech sounds?
Scheerer et al. Detecting our own vocal errors: An event-related study of the thresholds for perceiving and compensating for vocal pitch errors
Dakin et al. Rectification is required to extract oscillatory envelope modulation from surface electromyographic signals
KR200200488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degree of neuronal impairment in brain cortex
Bharadwaj et al. An exploratory study of visual sequential processing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Kanoh et al. A brain-computer interface (BCI) system based on auditory stream segregation
Salisbury et al. Complex mismatch negativity to tone pair deviants in long-term schizophrenia and in the first-episode schizophrenia spectrum
Labruna et al. Modulation of the motor system during visual and auditory language processing
Bayazıt et al. Dichotic listening revisited: Trial-by-trial ERP analyses reveal intra-and interhemispheric differences
Ramírez et al. Assessment of emotional states through physiological signals and its application in music therapy for disabled people
Matsushita et al. Inhibitory effect of tDCS on auditory evoked response: simultaneous MEG-tDCS reveals causal role of right auditory cortex in pitch learning
Richter et al. Hemispheric specialization during discrimination of sound sources reflected by MMN
Schulz et al. Cardiac modulation of startle: Effects on eye blink and higher cognitive processing
Scherer et al. Kinect-based detection of self-paced hand movements: enhancing functional brain mapping paradigms
Anusha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ors on electrodermal activity
Kotani et al. The effect of stimulus discriminability on stimulus-preceding negativities prior to instructive and feedback stimuli
Souza et al. Lateralized asymmetries in distribution of muscular evoked responses: An evidence of specialized motor control over an intrinsic hand muscle
Fan et al. Acoustic change complex evoked by horizontal sound location change in young adults with normal hearing
Elden et al. The relationship of automatic and controlled processing to prepulse inhibition.
Dzulkarnain et al. Auditory sensory gating in Huffaz using a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with a psychological task: A preliminary investigation
KR102111970B1 (en) Polygraph apparatus for evaluate a degree of disabi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45348A (en) Method and system of biofeedback based on the detection of electro-encephal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