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854A -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854A
KR20190120854A KR1020180044174A KR20180044174A KR20190120854A KR 20190120854 A KR20190120854 A KR 20190120854A KR 1020180044174 A KR1020180044174 A KR 1020180044174A KR 20180044174 A KR20180044174 A KR 20180044174A KR 20190120854 A KR20190120854 A KR 2019012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charging
rail
voltage
pow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813B1 (ko
Inventor
황광일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8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V-rail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킨 후 충전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충전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될 때 전력 수신기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에서 규정하는 규격에 합치하는 범위 내에서 전력 송신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전력 송신기 시스템에 일관적으로 적용되어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Wireless Charging Shock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내의 잔류 전류에 의해 무선 충전 전력 수신기에 가해지는 고전압 충격을 방지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시스템의 대중화로 이동식 단말 사용자들은 충전기, 케이블 등 별도의 부속품 없이 단말을 자유롭게 충전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도 1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의 기본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자기유도방식은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무선 충전 기술로서, 그 기본 원리는 전기 에너지를 코일의 자기 에너지로 전환한 후 자기 에너지를 다른 코일로 전달하여 다시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원리로서, 하기 수학식 1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ε: 유도 기전력, Φ: 자기력 선속, B: 자기력 선속 밀도, A: 단면적, t: 시간)
도 2는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회로를 간단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원을 포함하는 전력 송신기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력 송신기로부터 유도된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는 전력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다 보면, 충전 중에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의 예로, 전력 수신기(예를 들면, 이동식 단말)가 무선 충전을 위한 정상 정렬 상태를 벗어 났다가 다시 정상 정렬 상태로 돌아오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충전 중인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화하는 상황의 일 예로, 일상 속에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충전 중인 전력 수신기를 살짝 들었다 놓는 상황이 있을 수 있고, 충전 중인 전력 수신기의 상태확인을 위하여 전력 수신기의 각도를 바꾸는 상황이 있을 수도 있다. 충전 중인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화하는 상황의 또 다른 일 예로, 주행중인 차량 내부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차량 내부에 장착된 무선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전력 수신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 주행 중에 발생하는 차량의 가속도 변화 또는 요철 구간 운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관성에 의해 전력 수신기의 위치 변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차량에 장착된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이동식 단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A)를 참조하면, 경사진 각도에 단말을 거치하는 형태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의 급작스런 가속에 의하여 충전중인 단말이 전력 송신부와 일시적으로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좌우 핸들링에 의하여 단말의 정렬 상태가 전력 송신부의 좌, 우로 변화할 수 있다.
도 3 (B)를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송신부가 평평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단말이 전력 송신부 위에 놓여진 상태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의 가속, 감속 및 좌우 핸들링에 의하여 전력 송신부 위에 위치하는 단말의 정렬 상태가 변화할 수 있고, 요철 구간 주행에 의하여 단말의 튐 현상에 의해 단말이 전력 송신부와 일시적으로 거리가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 변화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운행 중인 경우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중 전력 수신기(단말)의 정렬 상태 변화의 2가지 경우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A)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로부터 전력 수신기(단말)가 일시적으로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B)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위에 위치하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A) 의 경우에는,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 코일 간 커플링이 열악하기 때문에 전력 수신기는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전력 수신기는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CEP(Control Error Packet) 메시지를 통해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 상승으로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에 높은 전류가 흘러 강한 자기장이 발생한다. 그 후,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기와 전력 전송 코일의 커플링이 양호한 위치로 갑작스럽게 이동하게 되면 전력 수신기는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의 출력 전압이 수 십 볼트까지 증가한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력 수신기에 의도치 않은 높은 전력이 송신될 수 있다.
도 4 (B) 의 경우에는, 전력 수신기의 위치 이동으로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 코일의 정렬 상태가 나빠졌다가 다시 갑작스런 전력 수신기의 위치 이동으로 양 측 코일의 정렬 상태가 양호해진다면 상기 도 4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도 5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력 송신부에서 전력 송신부의 동작은 PWM(Pulse Width Modulator)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전압 출력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DAC 출력은 DC-DC 벅 부스트 컨버터(DC-DC Buck Boost Converter)에 입력되고, DC-DC 벅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은 전력 송신 코일을 통하여 전력 수신부로 전력이 송신된다. 이 때, DC-DC 벅 부스트 컨버터와 전력 송신 코일 간에 흐르는 전압을 V-Rail 전압이라고 한다.
도 5 (A)는 정상적인 전력 전송 중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기로부터 멀어질 때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의 출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이다. 전력 수신기의 위치 변화 없이 충전을 진행한다면 안정적인 충전 상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기로부터 멀어져 커플링이 열악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전력 수신기는 CEP(Control Error Packet) 메시지를 통해 V-Rail 전압을 상승시킨다. 도 5 (A)에서 A 지점 이후의 그래프가 CEP(Control Error Packet) 메시지로 인해 상승하는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출력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출력이 상승한 상태에서 전력 수신기가 전력 송신기와 전력 전송 코일의 커플링이 양호한 위치로 갑작스럽게 이동하게 되면 전력 수신기는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의 출력 전압이 수 십 볼트까지 증가한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력 수신기에 의도치 않은 높은 전력이 송신될 수 있다. 높은 유도 전류로 인해 전력 수신기의 정류 전압 출력은 순간적으로 20V를 초과하게 된다.
도 5 (B)는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 코일 간 정렬 상태가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이루어져 커플링이 열악하지만 통신이 가능해 충전이 진행되는 경우의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출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의 출력이 강하지만 양 측 코일 간 커플링이 열악하기 때문에 전력 수신기 측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의 양은 배터리 충전에 적합한 수준의 전류이다. 전력 수신기의 위치 변화가 없다면 정상적인 충전이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전력 수신기 위치 변화가 발생하여 양 측 코일의 정렬 상태가 양호해진다면 상기 도 5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수신기는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의 출력 전압이 수 십 볼트까지 증가한 상태에서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어, 전력 수신기에 의도치 않은 높은 전력이 송신될 수 있고, 높은 유도 전류로 인해 전력 수신기의 정류 전압 출력은 순간적으로 20V를 초과하게 된다.
도 6은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이 순간적으로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정류 전압의 크기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가 제안하는 정류 전압의 한계인 20 V를 넘어선다(약 22 V). 이러한 과도한 정류 전압의 공급으로 전력 수신기 측 회로는 전기적 충격으로 인하여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수신기의 위치 변화에 의해 전력 수신기의 배터리에 높은 정류 전압이 인가되고 이로 인해 전력 수신기에 강한 전기적 충격이 가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수신기에 여러 차례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거나 순간적으로 강하게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면 전력 수신기 측 회로의 고장 원인이 될 수 있다.
전력 송신기는 전력 수신기 요청에 의해 무선 충전 전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수동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력 송신기가 전력 수신기로 강한 유도 전류를 전송하는 상황에서 전력 수신기는 전력 송신기가 전송한 전력의 크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표준 규격 중 하나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는 전력 송신기는 전력 송신기가 발생시키는 무선 전력으로부터 전력 수신기를 보호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고, 그 보호 기준으로 수신기의 정류회로 출력 전압이 20V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력 수신기를 보호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는 전력 수신기에 전기 충격이 발생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전력 수신기 회로 보호를 위해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전력 전송을 중단해야 한다고 규격 문서에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전력 전송 중단 후 전력 전송 재개 시 전력 송신기 측 코일에 저장된 과도한 전력이 전력 수신기로 공급되어 전력 수신기 측 회로에 전기 충격이 발생하는데,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는 이러한 전력 수신기 측 회로의 전기 충격을 방지하는 해결법을 제안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는 모든 전력 송신기 시스템에 일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명확한 송신 전력 제한 방법에 대해서도 명시하고 있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무선 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모든 전력 송신기에 일관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송신 전력을 제한하여 무선 충전 시 충격을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V-rail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킨 후 충전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V-rail 의 잔류 전류는 더미 로드(Dummy Load)를 통하여 방전될 수 있다.
또, 전력 송신부의 V-rail 전압이 임계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는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전압(under limit voltage) 이하인 경우에 잔류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 이후에, 무선 충전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준비 단계는, V-rail의 잔류 전류 방전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준비 단계는, DC-DC 벅 부스트 컨버터(BUCK BOOST CONVERTER) 를 OFF 하는 단계; V-rail 전압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지연 안정화 시간(Delay Stabilization time)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더미 로드(Dummy Load)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더미 로드 회로는 V-rail 및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로드 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전압(under limit voltage) 이하인 경우에 ON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가 ON 이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무선 충전이 재개되기 전에 OFF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충전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될 때 전력 수신기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에서 규정하는 규격에 합치하는 범위 내에서 전력 송신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전력 송신기 시스템에 일관적으로 적용되어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의 기본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회로를 간단하게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차량에 장착된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및 전력 수신기(이동식 단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 변화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구현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구현된 무선 충전 충격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Psedo code; 슈도 코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을 구현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 전압 및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 전압 및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구현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수신기에 전력이 전달 된다(S710). 전력의 전달은 전력 송신기 측에서 PWM(Pulse Width Modulator)과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제어하여 전압을 출력하고, DAC의 출력은 DC-DC 벅 부스트 컨버터(DC-DC Buck Boost Converter)에 입력되며, DC-DC 벅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은 전력 송신 코일로 전달된다. 전력 송신부의 전력 송신 코일을 통하여 전력 수신부로 전력이 송신된다. 이 때, 전력 송신부 측의 DC-DC 벅 부스트 컨버터와 전력 송신 코일 간에 흐르는 전압을 V-Rail 전압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V-Rail 전압은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에 공급되는 전압을 의미 한다.
V-Rail 전압이 높으면 전력 송신부가 높은 전력을 송신하게 되고, V-Rail 전압이 낮으면 전력 송신부가 낮은 전력을 송신하게 된다.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제어부는 V-Rail 전압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V-Rail 전압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수신부가 전력 송신부로부터 멀어지거나, 전력 수신부 및 전력 송신부의 코일 정렬 상태가 나빠져서 전력 수신부에 전력 전달량이 감소하게 되면, 전력 수신부는 CEP(Control Error Packet) 메시지를 송신하여 전력 송신부가 더 많은 전력을 송신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CEP(Control Error Packet) 메시지를 수신한 전력 송신부는 전력 송신량을 높이게 되고, V-Rail 전압도 역시 올라가게 된다.
전력 송신부가 높은 V-Rail 전압으로 많은 전력을 송신하고 있는 중에 전력 수신부가 다시 전력 송신부와 가까워지거나, 전력 수신부 및 전력 송신부의 코일 정렬 상태가 바르게 놓이게 되면 전력 수신부에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전력이 공급되게 되고, 전력 수신부의 회로에 큰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 송신부의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 이상의 값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전력 송신부에서 무선 충전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S720, S730).
상기 임계 전압은 전력 수신부에서 전력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할 때, 전력 수신부의 회로가 안정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한계 전력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제어부는 V-Rail 전압을 강하시킬 수 있다(S740). V-Rail에 잔류하고 있는 전류를 더미 로드를 통하여 접지(ground)시켜야 하는데, V-Rail 전압이 너무 높은 상태에서 V-Rail 을 접지(ground)시키게 되면 더미 로드 회로에도 충격이 가해질 수 있어, 더미 로드 회로의 손상 위험이 있기 때문에, V-Rail 전압을 접지시키기 이전에 우선 V-Rail 전압을 기 설정된 안전한 전압인 하한 전압 레벨까지 낮출 필요가 있다. 기 설정된 하한 전압 레벨은 더미 로드 회로의 특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의 제어부가 V-Rail 전압을 센싱하여, V-Rail 전압이 하한 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S750),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의 제어부는 더미 로드 스위치를 ON 하여 V-Rail 에 저장되어있는 전압 및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S760). 전력 송신부의 전력 공급 중단에 의해 V-Rail 에 고립된 전압 및 전류는 더미 로드를 통하여 안전하게 방전될 수 있다. V-Rail 의 전압 및 전류가 방전된 후 전력 송신부에 의하여 전력 수신부로 다시 전력 송신이 이루어지면, 전력 수신부에 전기 충격 없이 안전하게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더미 로드 스위치에 의하여 V-Rail 의 잔류 전압 및 전류가 방전되면 전력 송신부는 전력 재 송신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S770). 전력 재 송신을 위한 준비는 V-rail의 잔류 전류 방전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재 송신을 위한 준비는 DC-DC 벅 부스트(DC-DC BUCK BOOST)를 OFF 시키는 단계, AP(Analog Ping) Voltage Set To V-rail Voltage 단계 및 안정화 시간 지연(Delay Stabilization Time)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시간 지연 단계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하여 특정 시간 동안 전력 공급이 지연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정화 시간 지연은 10 ms 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구현된 무선 충전 충격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Psedo code; 슈도 코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에 전력 송신기의 시스템 파워(System Power)가 입력되고(Psedo code 01), 전력 송신부에서 전력 수신부로 전력이 전송되면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시스템 파워가 기 설정된 시스템 파워 한계(System Power Limit) 이상이 되는지 확인한다(Psedo code 03). 기 설정된 시스템 파워 한계(System Power Limit) 값은 전력 수신부 측 정류 전압이 20 V 가 넘지 않도록 실험에 의해 기 결정된 한계 파워 값일 수 있다. 시스템 파워(System Power)가 기 설정된 시스템 파워 한계(System Power Limit) 이상이 되면, PWM Driver IC 를 OFF 하여,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Psedo code 05), V-rail 전압을 낮춘다(Psedo code 06). V-rail 전압을 더미 로드(Dummy Load)를 통하여 곧 바로 방전시키지 않고, V-rail 전압을 낮추는 것은 높은 V-rail 전압에 의하여 더미 로드(Dummy Load) 회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 전압(V-rail Voltage Under Limit) 이하로 떨어지면(Psedo code 09), 더미 로드(Dummy Load)의 스위치를 켠다(Psedo code 11). V-rail 에 저장된 높은 전압 및 전류는 더미 로드(Dummy Load)를 통하여 안전하게 방전될 수 있다. V-rail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수신기로 전력 공급을 재개할 때, 전력 수신기 측에 과도한 전압이 인가되어 전력 수신기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V-rail 전압이 안전한 레벨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더미 로드 스위치를 OFF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무선 충전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데,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출력을 입력 받아 V-Rail에 전압을 공급하는 DC-DC 벅 부스트(DC-DC BUCK BOOST)를 정지시켜 안정적으로 무선 충전을 중단하는 단계(Psedo code 12), 다시 충전을 시도하기 위해 V-rail 전압을 AP(Analog Ping) 단계의 V-Rail 전압으로 복귀 시키는 단계(Psedo code 13) 및 안정화 시간 지연(Delay Stabilization Time) 단계(Psedo code 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알고리즘은 종료될 수 있다(Psedo code 1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V-Rail 전압이 한계 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전력 송신기 측에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중단(PWM Driver IC Off)은 A 구간 시작점에 나타난다. 그 후, V-Rail 전압 레벨을 낮추는 과정이 도 9의 A 구간에 도시되어 있다.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 전압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 더미 로드 스위치가 ON 되면서 V-Rail 에 저장된 전압 및 전류가 방전될 수 있다. V-Rail 에 저장된 전압 및 전류의 방전은 도 9의 A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시작되는데, 도 9에서 V-Rail 전압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V-Rail 의 전압 및 전류가 방전되면 충전이 다시 시작되는 시점에서 송신 코일에 저장된 과전력이 전송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전력 수신기 측으로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1000)은 V-rail 전압 센싱부(1010), 더미 로드 스위치(1020) 및 제어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V-rail 전압 센싱부(1010)는 V-rail 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1030)로 V-rail 전압 값을 송신할 수 있다. 더미 로드 스위치(1020)는 제어부(1030)에 의해 더미로드 ON/OFF 동작을 수행하여, V-rail을 접지시켜 V-rail 의 전압 및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1030)는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임계 전압 이상이 되면, 무선 충전 전력 송신부에서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고, 무선 충전 전력 송신부에서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V-rail 전압을 강하하여,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 전압 이하의 레벨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 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어부는 더미 로드 스위치(1020)를 ON 하여 V-rail 에 잔류하고 있는 전압 및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30)는 V-rail 전압 및 전류가 방전되면, 전력 송신부에서 전력 송신을 준비할 수 있도록 더미 로드 스위치(1020)를 다시 OFF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을 구현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충격 방지 회로는 V-rail 전압을 센싱하는 V-rail 전압 센싱부 및 더미 로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충격 방지 회로의 제어부는 도 11에는 생략되어 있다. 더미 회로 스위치는 V-rail 및 접지(ground)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V-rail 전압 및 전류를 접지로 방전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충격 방지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회로의 일 예이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 전압 및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B에 도시된 그래프는 A에 도시된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 그래프에서 전력 송신부의 송신 전력이 차단된 직후에 해당하는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 그래프 부분인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그래프 이다.
도 12의 B 를 참조하면, 전력 송신기 측 V-rail 전압이 한계 전압 이상으로 높아진 후 전력 송신기 측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V-rail 전압이 감소하고 있고, 그 후 전력 송신이 재개되는 시점에서 전력 송신부의 송신 코일에 잔류하고 있던 전류에 의하여 전력 송신 코일의 전압이 급격하게 증가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 송신부의 송신 코일 전압이 급격하게 증가한 부분은 빨간색 동그라미로 표기되어 있고, 그 때의 전압은 123 V 로 기록되고 있다. 상황에 따라 송신 코일에 123 V 이상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인 충격으로 전력 수신기 측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 전압 및 V-Rail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B에 도시된 그래프는 A에 도시된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 그래프에서 전력 송신부의 송신 전력이 차단되고 V-rail 전압이 임계 전압 이상에서 하한 전압 이하로 떨어진 후에 해당하는 V-rail 전압 및 송신 코일 전압 그래프 부분인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그래프 이다.
도 13의 B 를 참조하면, 임계 전압 이상의 V-rail 전압이 강하되어 하한 전압 이하의 레벨로 떨어지면,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하여 더미 로드 스위치가 ON 되고, V-rail 이 더미 로드를 통하여 접지(ground)에 연결되어 V-rail 에 잔류되어 있던 전류가 방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V-rail 전압은 안정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 후, 전력 송신기에서 다시 무선 충전을 재개할 때,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은 안정적인 88 V의 전압을 유지하면서 전력 수신기 측에 전기적인 충격을 가함 없이, 안전하게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서 전력 송신기 측 코일 전압은 빨간 네모 상자 안에 88 V 로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전력 수신기의 정렬 상태가 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종래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에 의한 전력 수신기 측 정류 전압 그래프와 비교하면, 도 6에 도시된 무선 충전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의 잔류 전류에 의한 전기 충격(약 22 V)이, 도 14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이 적용된 전력 송신기는 전력 수신기로 전력 공급이 중단된 후 다시 전력 공급이 재개되기 전에, 전력 송신기 측 송신 코일에 잔류 전류가 더미 로드에 의해 방전되기 때문에, 전력 수신기로 전기적 충격을 가함이 없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송신 재개 시, 전력 수신기 측 정류 전압은 안정적인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약 8 V).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충전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될 때 전력 수신기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에서 규정하는 규격에 합치하는 범위 내에서 전력 송신기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든 전력 송신기 시스템에 일관적으로 적용되어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0: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1010: V-rail 전압 센싱부
1020: 더미 로드 스위치
1030: 제어부

Claims (12)

  1. 무선 충전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송신기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 및
    V-rail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킨 후 충전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V-rail 의 잔류 전류는 더미 로드(Dummy Load)를 통하여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송신부의 V-rail 전압이 임계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는
    전력 송신기의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전압(under limit voltage) 이하인 경우에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단계 이후에,
    무선 충전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준비 단계는,
    V-rail의 잔류 전류 방전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준비 단계는,
    DC-DC 벅 부스트 컨버터(BUCK BOOST CONVERTER) 를 OFF 하는 단계;
    V-rail 전압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지연 안정화 시간(Delay Stabilization time)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방법.
  8. 무선 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V-rail 의 잔류 전류를 방전시키는 더미 로드(Dummy Load)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로드 회로는 V-rail 및 접지(ground)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로드 회로는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V-rail 전압이 기 설정된 하한전압(under limit voltage) 이하인 경우에 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가 ON 이 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는 무선 충전이 재개되기 전에 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KR1020180044174A 2018-04-17 2018-04-17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7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74A KR102174813B1 (ko) 2018-04-17 2018-04-17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74A KR102174813B1 (ko) 2018-04-17 2018-04-17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854A true KR20190120854A (ko) 2019-10-25
KR102174813B1 KR102174813B1 (ko) 2020-11-06

Family

ID=6842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74A KR102174813B1 (ko) 2018-04-17 2018-04-17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2969A (zh) * 2021-02-06 2021-06-11 深圳维普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模块的开关管控制的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213A (ko) * 2011-10-24 201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213A (ko) * 2011-10-24 201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2969A (zh) * 2021-02-06 2021-06-11 深圳维普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模块的开关管控制的方法及相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813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180B2 (en)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modulating power of a wireless power receiver
KR10205168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US8674552B2 (en) Contactless power reception circuit and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90123582A1 (en) Control circuit for wireless power receiver and control method
KR100836634B1 (ko) 무선 데이타 통신과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접점 충전장치,충전용 배터리팩 및 무접점 충전장치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US9847666B2 (en) Power management for inductive charging systems
US98432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operational range of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EP2696468A1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transmitting method of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power receiving method of power receiving device
US20040201361A1 (en) Charging system for robot
US20140347010A1 (en) Inductive Charging Method for Vehicles
JP2014135890A (ja) 電池を誘導充電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764764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受電制御回路、電子機器
EP391376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wireless charging receivers
JP7289955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40375275A1 (en) Pulse battery charger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charging of batteries
EP3518370B1 (en) Dual-battery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thereof
JP7289939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システム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225962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KR102198935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WO2013042293A1 (ja) 充電式電気機器
US10069328B2 (en) Intelligent multi-mode wireless power system
KR102174813B1 (ko) 무선 충전 충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7887984B (zh) 用于无线电力传送系统的过电压保护
CN114362342B (zh) 电动工具系统及其电池包
KR101968601B1 (ko) 무선 전력 전송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