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646A -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646A
KR20190120646A KR1020180044081A KR20180044081A KR20190120646A KR 20190120646 A KR20190120646 A KR 20190120646A KR 1020180044081 A KR1020180044081 A KR 1020180044081A KR 20180044081 A KR20180044081 A KR 20180044081A KR 20190120646 A KR20190120646 A KR 2019012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torage means
pattern
character array
ord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덕회
Original Assignee
구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덕회 filed Critical 구덕회
Priority to KR102018004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646A/ko
Publication of KR2019012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의 설정 및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복잡한 비밀번호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문자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배열을 이루는 문자와 문자를 연결하는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패턴에 포함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이 수단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Means for generating and memorizing password and method for generating the means}
본 발명은 비밀번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밀번호의 설정 및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면서도 복잡한 비밀번호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특정 웹사이트에 로그인을 할 때, 비밀번호로 숫자나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로그인 시에도 비밀번호로 숫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는 그 경우의 수가 다양하지 않고, 특별히 기억하기 쉬운 번호는 주변의 친한 사람들이 생각해 내기 용이하거나 개인 정보를 통해 쉽게 유추가 가능하여 보안성이 낮기 때문에, 최근 영문 대소문자와 숫자 및 특수문자를 혼용하여 보완성을 높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령인구가 증가하는 인구특성과 어린이들도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자장치를 접할 기회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과 어린이들도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기억하여 입력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설정의 곤란성 보다는 기억의 어려움으로 인해 여전히 학번, 전화번호 또는 연속된 숫자나 문자, 사전에 포함된 단어 등 불순한 의도를 가진 타인이 비교적 쉽게 알아낼 수 있는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보완성을 높이기 위해서 특수문자까지 혼용된 비밀번호를 사용해야만 하는 이러한 상황은, 타 사이트와 동일한 비밀번호나 이전에 사용했던 비밀번호는 안전하지 않다거나, 비밀번호를 3-6개월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안전하다는 현실 앞에서, 비단 노인 및 어린이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사람들을 특수문자까지 혼용된 비밀번호를 여러 개 기억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복잡한 비밀번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수첩이나 스마트폰 또는 PC등에 문서나 앱(Application)으로 기록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리는 추가된 관리부담의 증가로 이어지고, 분실 시 더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공존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각종 전자장치에서 유의미한 숫자나 문자의 나열이 아닌 숫자나 문자의 행렬에서 행렬을 이루는 요소들을 선으로 이은 패턴식 비밀번호 설정 및 입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366120호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방법"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패턴을 비밀번호로 이용하는 비밀번호 설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비밀번호 설정 모드에서 패턴 비밀번호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패턴 비밀번호 모드가 선택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고유한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해 각각 다른 값들이 할당된 복수의 객체들로 구성된 패턴 입력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계, 패턴 입력 이미지의 복수의 객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고유한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밀번호 설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비밀번호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을지라도, 패턴 비밀번호 모드를 제공하지 않는 대다수의 전자기기나 사이트에서는 같은 방식으로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 및 입력을 할 수 없고, 패턴만을 기억할 뿐 패턴에서 비밀번호를 도출해 낼 수 없기 때문에 호환성이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66120 B1 (2014.02.17.등록) KR 10-2010-0011084 A (2010.02.03.공개) KR 10-2012-0092779 A (2012.08.22.공개) KR 10-2012-0130971 A (2012.12.04.공개) KR 10-2014-0053616 A (2014.05.08.공개) KR 10-1404025 B1 (2014.05.29.등록) KR 10-2014-0097802 A (2014.08.07.공개) KR 10-2015-0135612 A (2015.12.03.공개)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패턴식 비밀번호의 설정 및 관리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개인화된 패턴 방식의 비밀번호를 설정함으로써 강력한 보안성을 가지면서도 기억을 위한 노력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비밀번호 설정 및 관리방법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강력한 보안성을 갖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누출 위험 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노인 및 어린이를 비롯하여 기억력이 미약한 사람들도 복잡한 비밀번호를 쉽게 기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실 시에도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문자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배열을 이루는 문자와 문자를 연결하는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패턴에 포함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상기 행과 열은 서로 다른 색상과 기호로 표시되는 것이 사용자가 패턴을 기억하는 것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상기 문자배열이 기록된 카드, 스티커, 볼펜, 반지, 목걸이, 팔찌, 휴대용 전자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식별번호를 더 갖도록 하여 분실 시 재생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은,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문자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배열을 이루는 문자와 문자를 연결하는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패턴에 포함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간편주문모드와 상세주문모드 중에서 주문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주문모드가 상기 간편주문모드로 선택되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이루어진 기본패턴베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패턴베이스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문모드가 상기 상세주문모드로 선택되면, 패턴베이스를 형성하는 행과 열의 개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패턴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패턴베이스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주문완료 및 배송요청이 있으면, 상기 문자배열을 타입이 결정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세주문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형성된 패턴베이스에 배열할 문자들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만으로 구성된 문자배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세주문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형성된 패턴베이스에 문자배열을 직접 입력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배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턴으로 스마트폰의 비밀번호 패턴를 입력하는 것과 같이 쉽게 개인화된 패턴 방식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도 복잡한 비밀번호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도 기억이 용이하여 기억을 위한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억이 용이함에 따라 더욱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으로 관리함으로써 타인에게 공개되어도 타인은 그로부터 비밀번호를 유추할 수 없어, 강력한 보안성과 함께 설정된 비밀번호를 누출 위험 없이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인 및 어린이를 비롯하여 기억력이 미약한 사람들도 복잡한 비밀번호를 쉽게 생성하고 기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실 시에도 타인이게 비밀번호가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패턴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서 패턴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 및 기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패턴베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3X3, 4X4, 5X5 등의 문자배열과 같은 형태의 패턴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패턴베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3X4, 4X3, 4X5, 5X4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서 패턴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설정 및 기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4X4의 패턴베이스에 알파벳 대소문자와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형태를 실시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서 혼용되는 알파벳 소문자는 abcdefghijklmnopqrstuvwxyz가 될 수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는 ABCDEFGHIJKLMNOPQRSTUVWXYZ가 될 수 있다. 또한, 숫자는 0123456789이고, 특수문자는 `~!@#$%^&*-_=+\|[{}];:’”,<.>/? 등이 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4X4 문자배열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력한 보안성을 갖는 복잡한 문자열로 이루어진 다양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문과 숫자 및 특수문자로 구성된 비밀번호를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생성된 문자배열에서 자신이 정한 패턴만을 기억하고, 비밀번호 입력 시 패턴을 이루는 비밀번호 문자열을 보고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으로부터 패턴을 기억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가로줄(행)과 세로줄(열)에 각기 다른 색상과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색상과 기호를 기억함으로써 비밀번호가 형성하는 패턴을 좀 더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패턴을 설정할 시 패턴의 방향을 왼쪽에서 오른쪽뿐만 아니라 오른쪽에서 왼쪽, 위에서 아래 또는 대각선으로도 설정할 수 있고, 비밀번호의 길이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101단계에서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타입을 결정하고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타입은 휴대하기 간편한 아주 작은 크기의 카드형태가 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신용카드와 같은 크기의 카드나 스티커, 볼펜, 반지, 목걸이, 팔찌 등에 기록되는 타입일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앱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101단계에서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타입이 선택된 후, 103단계에서 주문모드가 선택된다. 주문모드는 간편주문모드와 상세주문모드가 될 수 있으며, 103단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05단계의 간편주문모드 또는 109단계의 상세주문모드가 수행된다.
먼저, 105단계의 간편주문모드는 신속하게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모드로서, 사용자가 패턴베이스를 선택하지 않아도 107단계에서 4X4와 같이 기본패턴베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기본패턴베이스에 설정되는 문자배열도 난수발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설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반면에, 109단계의 상세주문모드는 패턴베이스의 어레이 형태부터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서, 111단계에서 패턴베이스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행과 열의 개수를 입력 받는다.
111단계에서 설정된 패턴베이스에 대하여, 113단계에서는 문자배열을 자동으로 난수발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설정할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영문자와 숫자 및 특수문자에 대하여 문자배열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115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영문자와 숫자 및 특수문자를 선택할 뿐만 아니라 직접 패턴베이스 하나하나에 문자를 직접 입력하여 문자배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117단계에서 영문자와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문자배열이 생성되고, 119단계에서 주문완료 및 배송요청에 따라 101단계에서 선택된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 기록된 후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 과정이 종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이 카드 타입으로 구현되도록 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많은 문자들이 혼용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모든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강력한 보안성을 갖는 비밀번호를 선택하고 기억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분실한 경우에도 패턴은 사용자의 기억 속에만 존재하므로 비밀번호 자체가 분실되는 위험은 전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분실한 경우에는 발급받은 카드의 고유번호와 같은 식별번호가 존재하므로, 식별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잃어버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재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은 쉽게 개인화된 패턴 방식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도 복잡한 비밀번호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면서도 기억이 용이하며, 기억이 용이함에 따라 더욱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문자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배열을 이루는 문자와 문자를 연결하는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패턴에 포함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과 열은 서로 다른 색상과 기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상기 문자배열이 기록된 카드, 스티커, 볼펜, 반지, 목걸이, 팔찌, 휴대용 전자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은,
    식별번호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
  5.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되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을 포함하는 문자배열을 형성하고, 상기 문자배열을 이루는 문자와 문자를 연결하는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패턴에 포함된 문자열을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간편주문모드와 상세주문모드 중에서 주문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주문모드가 상기 간편주문모드로 선택되면,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이루어진 기본패턴베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기본패턴베이스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문모드가 상기 상세주문모드로 선택되면, 패턴베이스를 형성하는 행과 열의 개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패턴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패턴베이스에 영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가 혼용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주문완료 및 배송요청이 있으면, 상기 문자배열을 타입이 결정된 상기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에 기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주문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형성된 패턴베이스에 배열할 문자들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만으로 구성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주문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형성된 패턴베이스에 문자배열을 직접 입력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의 생성방법.
KR1020180044081A 2018-04-16 2018-04-16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KR20190120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81A KR20190120646A (ko) 2018-04-16 2018-04-16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81A KR20190120646A (ko) 2018-04-16 2018-04-16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646A true KR20190120646A (ko) 2019-10-24

Family

ID=6842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81A KR20190120646A (ko) 2018-04-16 2018-04-16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646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084A (ko)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감지 장치의 비밀번호 보안 방법 및 그 터치 감지장치
KR20120092779A (ko) 2011-02-13 2012-08-22 이재민 터치스크린에서 제스처 로그인의 암호화
KR20120130971A (ko)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힘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의 암호 처리 방법
KR101366120B1 (ko) 2012-08-20 2014-02-27 김현재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20140053616A (ko) 2012-10-26 2014-05-08 주식회사 코아리버 3차원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보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4025B1 (ko) 2012-11-02 2014-06-10 한국과학기술원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KR20140097802A (ko) 2013-01-30 2014-08-07 (주) 앙클 숫자 패턴 기반의 패스워드 설정 방법
KR20150135612A (ko) 2014-05-22 2015-1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 압력 기반 보안 센서 장치와 기체 압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084A (ko)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감지 장치의 비밀번호 보안 방법 및 그 터치 감지장치
KR20120092779A (ko) 2011-02-13 2012-08-22 이재민 터치스크린에서 제스처 로그인의 암호화
KR20120130971A (ko) 2011-05-24 2012-12-04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힘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통신 단말기의 암호 처리 방법
KR101366120B1 (ko) 2012-08-20 2014-02-27 김현재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KR20140053616A (ko) 2012-10-26 2014-05-08 주식회사 코아리버 3차원 입력 시스템을 구비한 보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4025B1 (ko) 2012-11-02 2014-06-10 한국과학기술원 단말기의 잠금 해제 방법
KR20140097802A (ko) 2013-01-30 2014-08-07 (주) 앙클 숫자 패턴 기반의 패스워드 설정 방법
KR20150135612A (ko) 2014-05-22 2015-1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 압력 기반 보안 센서 장치와 기체 압력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isual password scheme
JP200829351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操作方法
RU2656685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аро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5224858A (zh) 一种密码输入界面显示方法及系统
US20150281215A1 (en) Method of Dynamically Adapting a Graphical Password Sequence by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1523373A (zh) 基于字符位置的口令恢复
US9122852B2 (en) Password input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assword
CN104965834B (zh) 字体显示方法和装置
EP29665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n input data
KR20190120646A (ko) 비밀번호 생성 및 기억수단과 그 수단의 생성방법
US9613019B2 (e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est data
Zujevs Authentication by Graphical Passwords Method ‘Hope’
US10032015B2 (en) Password input method based on a two-stage conversion and a system using thereof
US20180046797A1 (en) Method for inputting a secure password, sheet, set of sheets, input unit, and uses thereof
US10353486B1 (en) Password help using color keys
US20170083699A1 (en) Dynamic inline assistance messaging
CN112380810A (zh) 一种兑换码生成方法及系统
Foda et al. A Qur'anic Code for Representing the Holy Qur'an (Rasm Al-'Uthmani)
US10552599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586037B1 (en) Disambiguation of an alphanumeric security code to a user
KR101366120B1 (ko) 패턴을 이용한 비밀번호 설정 방법
JP2017194816A (ja) セキュリティ情報管理図
KR101262913B1 (ko) 한글초성을 이용한 패스워드 시스템 및 훔쳐보기 방지 입력 방법
JP2022061444A (ja) パスワード変換表
Meenakshi et al. Digital locker for storing sensitiv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