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77A -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77A
KR20190120577A KR1020180043932A KR20180043932A KR20190120577A KR 20190120577 A KR20190120577 A KR 20190120577A KR 1020180043932 A KR1020180043932 A KR 1020180043932A KR 20180043932 A KR20180043932 A KR 20180043932A KR 20190120577 A KR20190120577 A KR 20190120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habilitation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cognitiv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교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주) 나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인원 filed Critical (주) 나인원
Priority to KR102018004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577A/ko
Publication of KR2019012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33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재 재활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정보, 훈련 내용, 훈련 결과, 및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에 필요한 과정을 지시하고, 지시된 내용에 따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결과를 나타내는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내용을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전달하고,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인지 재활 훈련 과정에 훈련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인식을 위한 기기로서,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하여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식용 태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 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자 없이도 일상생활 환경에서 활동량 증가를 통한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USER ACTIVITY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본 발명은 인재 재활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은 인간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제공함으로써, 치매 등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인지 기능의 저하를 예방 또는 재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인지 기능은 적절한 정보를 구별하여 선택, 수용, 이해, 및 보유하며, 그 정보가 필요로 되는 상황과 만났을 때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여 적절하게 적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인지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정보 처리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인지 기능의 속도 및 지속성이 떨어져 일상생활을 위한 기능이 저하됨은 물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어렵게 된다.
특히, 치매의 경우, 의식이 청명한 상태에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뇌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며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현재,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수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의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 및 기기들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 환자 모니터링 수준이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단순한 훈련 과정이 다수일 뿐이다.
이들 제품들은 태블릿 PC, 혹은 컴퓨터를 활용한 인지기능 향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방식으로 환자 스스로 매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그 활용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서적 변화를 격고 있는 초기 치매환자를 단편적으로 훈련하는 것을 넘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러운 활동량 증가를 통하여 인지력을 높이는 제품의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35328호(발명의 명칭: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 및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와 공개특허 제10-2011-0104820호(발명의 명칭: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자 없이도 일상생활 환경에서 활동량 증가를 통한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은,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정보, 훈련 내용, 훈련 결과, 및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에 필요한 과정을 지시하고, 지시된 내용에 따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결과를 나타내는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내용을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전달하고,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인지 재활 훈련 과정에 훈련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인식을 위한 기기로서,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하여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식용 태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 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물 인식용 태그부는,
훈련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원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터치 모듈과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스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자 없이도 일상생활 환경에서 활동량 증가를 통한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 인식용 태그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의 단어로 인지 재활 훈련을 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 인식용 태그부에 결합되는 스티커 PANEL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10)은,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 및 사물 인식용 태그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는, 클라우드 웹서비스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훈련 내용, 훈련 결과, 및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10)에서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는,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에 필요한 과정을 지시하고, 지시된 내용에 따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내용을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에 전달하고,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에서 인지 재활 훈련 과정에 훈련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10)에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는, 가정용 AI 스피커 또는 사용자가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각종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지 재할 훈련 서버부(100)에서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를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는, 전원 모듈(210), 마이크 모듈(220), 스피커 모듈(230), 가속도 센서 모듈(240), 배터리 모듈(250), 및 자석 탈부착 모듈(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모듈(210)은,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에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전원 모듈(210)을 눌러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마이크 모듈(22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마이크 모듈(220)을 통해, 사용자가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를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230)은,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에서 인지 재활 훈련의 과정에서 훈련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스피커 모듈(230)을 통해,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가 사용자를 호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모듈(240)은,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가속도 센서 모듈(240)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함으로써,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가 사용자의 활동량을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250)은,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배터리 모듈(250)은, 충전 또는 교체형 배터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석 탈부착 모듈(260)은,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에 자석이 붙을 있게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의 자석 탈부착 모듈(260)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티커 PANEL을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에 부착할 수 있다.
사물 인식용 태그(300)는, 사용자의 행동 및 인식을 위한 기기로서,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하여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 인식용 태그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식용 태그(300)는, 훈련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원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터치 모듈(310)과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스처 센서 모듈(320)로 구성될 수 있다.
사물 인식용 태그(300)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의 단어로 인지 재활 훈련을 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의 단어를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물 인식용 태그부(300)를 사용하여 인지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100)에서는, 사용자의 기억력과 행동 결과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서 사물 인식용 태그부에 결합되는 스티커 PANEL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 PANEL은 사물 인식용 태그부(300)에 결합될 수 있고, 인지 재활 훈련이 종료된 후, 지연회상과제를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보호자 없이도 일상생활 환경에서 활동량 증가를 통한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100: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
200: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
210: 전원모듈
220: 마이크 모듈
230: 스피커 모듈
240: 가속도 센서 모듈
250: 배터리 모듈
260: 자석 탈부착 모듈
300: 사물 인식용 태그부
310: 터치 모듈
320: 제스처 센서 모듈

Claims (2)

  1.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정보, 훈련 내용, 훈련 결과, 및 관리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인지 재활 훈련에 필요한 과정을 지시하고, 지시된 내용에 따른 사용자 행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 결과를 나타내는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내용을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전달하고,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인지 재활 훈련 과정에 훈련 내용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 및 사용자의 행동 및 인식을 위한 기기로서, 무선 통신 기능을 통하여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물 인식용 태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대화형 음성 기기부를 통하여 사용자를 호출 및 인지 훈련을 위한 명령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훈련의 내용을 이해하고 행동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인식용 태그부를 조작하게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서 데이터화 하여 훈련의 결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식용 태그부는,
    훈련 결과를 상기 인지 재활 훈련 서버부에 원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터치 모듈과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스처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1020180043932A 2018-04-16 2018-04-16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KR20190120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32A KR20190120577A (ko) 2018-04-16 2018-04-16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32A KR20190120577A (ko) 2018-04-16 2018-04-16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77A true KR20190120577A (ko) 2019-10-24

Family

ID=6842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932A KR20190120577A (ko) 2018-04-16 2018-04-16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910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뉴로공간 안내 데이터를 사용한 인지력 증강 장치 및 인지력 증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910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뉴로공간 안내 데이터를 사용한 인지력 증강 장치 및 인지력 증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onstra et al. Using mobile phone sensor technology for mental health research: integrated analysis to identify hidden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US99908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larms in a wearable medical device
Lathia et al. Smartphones for large-scale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US20210098110A1 (en) Digital Health Wellbeing
Pejovic et al. InterruptMe: designing intelligent prompting mechanisms for pervasive applications
Pejovic et al. Mobile-based experience sampling for behaviour research
EP3918816A1 (en) Detection of physical abuse or neglect using data from ear-wearable devices
Matuska et al. A smart system for sitting posture detection based on force sensors and mobile application
Pejovic et al. Anticipatory mobile computing for behaviour change interventions
JP2019145067A (ja) 生産性及び業務品質の最適化のために人物の感情集中の状態を検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生理学的検出のシステム並びに方法、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06779614A (zh) 用于可穿戴设备的学习监测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Selvarajah et al. Native apps versus web apps: Which is best for healthcare applications?
KR20190120577A (ko) 사용자 활동 기반 인지 재활 훈련 시스템
US9295414B1 (en) Adaptive interruptions personalized for a user
US202103228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rgeted Exercise Programs and Content
US20160140857A1 (en) Personalized and targeted training
CN105989218A (zh) 一种信息化处理方法和装置
Kotz Amulet: an open-source wrist-worn platform for mHealth research and education
Gimpel et al. Life-integrated stress assessment
Sethia et al. Automated NFC enabled rural healthcare for reliable patient record maintainance
Luxton Behavioral and mental health apps.
KR20220037630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보청기 적합 시스템
Charness et al. Mobile monitoring and intervention (MMI) technology for adaptive aging
Lanerolle et al. Measuring psychological stress rate using social media posts engagement
Nunes et al. Human-in-the-loop Connectivity Management in Smart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