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05A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05A
KR20190120505A KR1020180043781A KR20180043781A KR20190120505A KR 20190120505 A KR20190120505 A KR 20190120505A KR 1020180043781 A KR1020180043781 A KR 1020180043781A KR 20180043781 A KR20180043781 A KR 20180043781A KR 20190120505 A KR20190120505 A KR 2019012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shortcut icon
icon
mobil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우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우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우터
Priority to KR102018004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505A/en
Publication of KR2019012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hereof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pplication information for an application generating an event and object information for an object generated by the event when the event related to a predesignated shortcut icon occurs in the mobile device; setting an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to be display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obtained application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shortcut icon including the object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to execut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the user.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How to provide a mobile device and its shortcut ico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상황에 따라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a user's mobile device usage situation.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다양한 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통상 200여개 수준의 다수의 앱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고 있다.Recently, a mobile device that detects a user's touch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such as a smart phone,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ways. The mobile device may be installed with a variety of apps,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ed app. Recently, as the usability of mobile devices increases, a large number of apps of about 200 levels are generally installed o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는 일반적으로 앱이 설치되면,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홈화면에 생성하며, 생성된 아이콘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대응하는 앱을 실행한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의 유형이 다양해 짐에 따라 아이콘의 터치에 따라 앱의 실행 패턴도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an app is installed,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installed app on the home screen, and when a user's touch is detected on the generated icon, the mobile device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 However, as the types of apps that run on mobile devices are diversified, the execution patterns of the app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icons.

일예로 게임 앱이나 날씨 앱과 같은 일부 앱은 아이콘 터치로 앱이 구동되면 필요로 하는 기능이 곧바로 실행된다. 반면, 메신저나 메시지, 주소록과 같은 앱은 앱 구동되면, 다시 대화 상대나 통화 상대 또는 대화 그룹별 리스트에 대한 선택 아이콘 리스트가 다시 표시된다. 그리고 선택 아이콘 리스트 중 하나를 다시 터치하면 필요로 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즉 앱 실행 초기 화면이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선택 아이콘 이내에 또 다른 선택 아이콘 리스트가 표시되는 경우도 발생한다.For example, some apps, such as game apps or weather apps, will run as soon as the app is launched by touching the icon. On the other hand, when an app such as a messenger, a message, or an address book is driven, a list of selection icons for a contact list, a contact list, or a list per conversation group is displayed again. Touch one of the list of selection icons again to execute the required function. That is, the initial screen of app execution may exist separately. In some cases, another selection icon list is displayed within the selection icon.

이에 앱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이 실행하기까지 다수 횟수로 아이콘을 선택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app, the user needs to select an icon a number of times before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뿐만 아니라, 카메라 앱과 같은 일부 앱은 사진 촬영을 위해 이용되지만, 이에 연관되어 갤러리 앱이나 이미지 편집 앱과 같은 별도의 앱을 연속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연관 앱 내에서 다시 선택 아이콘 리스트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번 연관 앱을 찾아 다시 실행해야 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some apps, such as the camera app, are used for taking pictures, but in connection with this, a separate app such as a gallery app or an image editing app is frequently used. Also, the list of select icons is often displayed again in the related app. This is a hassle for the user to find and relaunch the associated app each time.

비록 일부 카메라 앱의 경우에는 이미지 촬영 이후 즉시 갤러리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사용자가 최근 이미지를 여러 번 반복하여 확인하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실행되는 앱의 내부에 연관 앱에 대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불편을 크게 줄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Although some camera apps provide a selection icon that allows you to launch the Gallery app immediately after taking an image, considering that many users repeatedly check the latest image several times, There is a limit that simply providing an icon for the related app does not greatly reduce user inconvenience.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5-0065141호 (2015.06.1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5141 (2015.06.12 publ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for generating a shortcut icon for enabling a user to immediately execute a function requi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상황에 따른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hortcut icon by creating and provid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user's mobile device usage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hereof that can provide a screen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 미리 지정된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 대한 앱 정보와 상기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앱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a predetermined shortcut icon-related event occurs in the mobile device, the app information for the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and generated by the event Obtaining object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Setting an image structure of a shortcut icon to be display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obtained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shortcut icon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an app to execut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a user. It may include.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앱 정보에 따라, 상기 앱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may include monitoring an app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occurs; Obtaining the app information when the event occurs; Acquiring the object information from the app according to the app information; It may include.

상기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of the image structure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object and determining an app to ru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object; Determining an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the app to be executed; It may include.

상기 이미지 구조는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중첩되지 않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오버레이 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배치되는 구조,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일부 중첩하는 구조 중 하나일 수 있다.The imag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a text image of the object ar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the image of the icon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is adjusted and overlaid; It may be one of a structure in which a text image of the object is disposed in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 to be executed, and a structur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an image of the object.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홈화면 상에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에 상기 단축 아이콘을 배치하여 상기 홈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홈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to the user may include generating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Determ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on a home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Configuring the home screen by placing the shortcut icon at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And displaying the configured home screen to the user. It may include.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상기 홈화면에 기지정된 최우선권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placement position may include placing the most recently generated shortcut icon at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predetermined on the home screen.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홈화면에 이전 배치된 아이콘이 또는 단축 아이콘이 위치하면, 이전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및 단축 아이콘을 기지정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arrangement position may include sequentially placing at least one previously arranged icon and a shortcut ic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the previously arranged icon or the shortcut icon is located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Changing;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앱 이외의 추가 앱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추가 앱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단축 아이콘에 인접하여 함께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placement position may include: arranging an icon for the additional app adjacent to the shortcut ic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dditional app other than an app for executing the object should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object;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에서 미리 지정된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 대한 앱 정보와 상기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앱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generated a predetermined shortcut icon-related event in the mobile device, the app information about the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and the object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generated by the event Acquire an image, set an image structure of a shortcut icon to be display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acquired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and include a shortcut icon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an app to execut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a user. It may include.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및 이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상황에 따른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단축 아이콘을 홈화면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thereof may generate and provide a shortcut icon for immediately executing a function required by a user, and in particular, generate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a user's mobile device usage situation.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created shortcut icon may be placed on the home screen to greatly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device.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 는 단축 아이콘이 배치된 홈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5 는 단축 아이콘이 배치되는 홈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on which shortcut icons are arranged.
5 show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on which shortcut icons are arrang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0)는 표시 모듈(110), 제어 모듈(120) 및 메모리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표시 모듈(1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사용자에게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표시 모듈(110)은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단축 아이콘은 제어 모듈(120)에서 구성된 홈 화면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10, a control module 120, and a memory module 130. First, the display module 110 displays a screen to the user as part of the user interfac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110 may display a shortcut icon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shortcut icon may be disposed and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configured in the control module 120.

기본적으로 표시 모듈(110)은 제어 모듈(12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지만,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일예로 표시 모듈(110)은 터치를 감지하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모듈(110)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표시 모듈(110)은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120)로 전송하여 제어 모듈(120)이 표시 모듈(110)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Basically, the display module 110 is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provided by the control module 120 to the user. However,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implemented to detect a user's touch and receive a user's command.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a touch and displaying a screen.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module 11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10 transmits a touch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 touch is detected to the control module 120 so that the control module 120 displays the display module 110. ) To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touch occurred.

제어 모듈(120)은 모바일 기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운영체제(이하 OS) 및 앱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0)은 사용자에게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 모듈(110)로 전송하고, 표시 모듈(110)에서 전송된 터치 감지 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표시 모듈(110)에 표시된 화면과 판별된 터치 위치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제어 모듈(120)는 판별된 터치 위치가 표시 모듈(110)에 표시된 다수개의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위치에 대응하는지 판별하고, 대응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120 i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100 and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an app. The control module 120 configures a screen to be displayed to the user, transmits the screen to the display module 110, and determines the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module 110.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0 and the determined touch position is analyz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120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touch position corresponds to at least one icon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0, and if so, performs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100)에서 표시 모듈(110)에 표시된 화면에 배치되는 아이콘은 앱을 구동하기 위한 앱 아이콘이다. 이에 제어 모듈(120)은 앱 아이콘 중 하나의 위치에 터치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앱을 구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모듈(110)에 표시되는 화면에 앱 아이콘 이외에 단축 아이콘이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단축 아이콘은 모바일 기기의 홈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터치가 발생된 위치가 단축 아이콘에 대응하는 위치이면, 단축 아이콘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an icon dispos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0 in the mobile device 100 is an app icon for driving an app. When the control module 120 determines that a touch is generated at one of the app icons,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riving the corresponding app. Howe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cut icon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the app icon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0. For example, the shortcut icon may be disposed on the hom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f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is generated corresponds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icon, the control module 120 may perform an operation set to the shortcut icon.

또한 제어 모듈(120)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상황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설정되는 다양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단축 아이콘이 포함되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 모듈(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축 아이콘에 설정된 동작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various shortcut icons in which various operations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mobile device usage situation, configures a screen to include the generated shortcut icon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hortcut icons to the display module 110. Here, the operation set in the shortcut icon may be variously designated.

제어 모듈(120)이 다양한 동작이 설정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상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method of generating, by the control module 120, a shortcut icon in which various operations are set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메모리 모듈(130)은 제어 모듈(120)이 실행할 각종 앱 및 앱 실행시에 생성되거나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모듈(120)은 메모리 모듈(130)에 저장된 OS 또는 앱을 읽어와서 실행하고,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다시 메모리 모듈(130)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mory module 130 stores various apps to be executed by the control module 120 and various data generated or required when the apps are executed. The control module 120 may read and execute an OS or an app stored in the memory module 130, and may store various data generated in the execution process in the memory module 130 again.

한편, 모바일 기기(100)는 사용 용도나 기능에 따라 통신 모듈(140) 및 센서 모듈(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40 and a sensor module 150 according to a use purpose or a function.

통신 모듈(140)은 모바일 기기(1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다른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 등의 외부의 다른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신 모듈(140)이 다른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제어 모듈(120)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40 enables the mobile device 100 to communicate with other mobile devices or other external devices such as a computer by wire or wirelessly.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perform various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may transmi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module 120 to the outside, or transmit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 module 120.

그리고 센서 모듈(150)은 모바일 기기(100) 또는 모바일 기기(100)의 주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센싱 정보를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GPS 센서, 전원 감지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50 may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120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surround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mobile device 100. The sensor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PS sensor, a power sen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200)은 별도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의 저장장치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되어 메모리 모듈(130)등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including a storage device such as a separate processor and a memory and a computer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or may perform a unique func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and stored in the memory module 130 or the like. If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it may be executed by the control module 120.

본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200)은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될 수 있는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200)은 모바일 기기(100)에 설치된 다양한 앱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배치되는 홈화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런처(launcher) 앱 일 수 있다. 런처 앱은 앱 리스트 표시, 폴더 생성 및 검색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중 앱 리스트 표시 기능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모든 앱의 아이콘을 설치 시간 또는 이름 등과 같은 지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앱 모음 기능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갖는 런처 홈 화면에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앱의 아이콘 배치하여 이용하는 팔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app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100. For example, the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200 may be a launcher app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such as a home screen on which icons for executing various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100 are arranged. The launcher app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app list display, folder creation and search, etc. The dual app list display function displays the icons of all the app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sort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sort order such as installation time or name. In addition to the app collection function, a palette function used by arranging an icon of an app mainly used by a user may be provided on a launcher home screen having at least one page.

도2 를 참조하면,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200)은 모니터링부(210),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 이미지 생성부(230) 및 홈화면 구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200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210, a shortcut icon configuration unit 220, an image generator 230, and a home screen configuration unit 240.

먼저 모니터링부(210)는 제어 모듈(120)에서 구동되는 OS 또는 다른 앱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모니터링부(210)는 OS 또는 다른 앱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모듈(120)에서 구동되는 모든 앱은 OS에 의해 실행되고, 실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또한 OS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모니터링부(210)는 OS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부(210)는 제어 모듈(120)에서 구동되는 개별 앱 각각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직접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메신저 앱 등은 메시지 수신 및 송신에 대한 푸쉬 알람 이벤트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모니터링부(210)는 앱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직접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First, the monitoring unit 210 monitors an OS or another app running on the control module 120. In particular, the monitoring unit 21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OS or another app. In general, all the apps run in the control module 120 is executed by the OS, and event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are also controlled by the OS. Therefore, the monitoring unit 210 may monitor whether an event occurs through the OS. However, the monitor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monitor the events generated in each of the individual apps running in the control module 120. For example, since a messenger app provides a push alarm event for message reception and transmission, the monitoring unit 210 may directly monitor an event generated in the app.

한편, 모니터링부(210)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가 단축 아이콘과 관련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인 것으로 판별되면, 모니터링부(210)는 이벤트를 발생한 앱 정보와 함께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한다.Meanwhile, when an event occurs, the monitoring unit 210 determines whether the generated event is an event related to a shortcut ic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is a shortcut icon, the monitoring unit 210 obtains objec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app information that generated the event.

이때 모니터링부(210)는 앱 정보와 오브젝트 정보를 이벤트를 발생한 앱으로부터 함께 획득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니터링부(210)는 앱 정보는 OS로부터 획득하고 오브젝트 정보는 해당 앱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부(210)는 획득된 앱 정보와 오브젝트 정보를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monitoring unit 210 may acquire the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together from the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but may obtain them separately.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 210 may obtain app information from the OS and object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app. The monitoring unit 210 transmits the obtained app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to the shortcut icon constructing unit 220.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는 모니터링부(210)에서 전송되는 앱 정보와 오브젝트 정보를 분석하여 단축 아이콘 정보를 구성한다.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는 앱 정보와 오브젝트 정보로부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판별한다.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는 앱 정보와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이후 생성되는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 모듈(120)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앱 및 오브젝트를 획득한다. 또한 단축 아이콘 생성을 위해 필요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이미지 생성부(230)로 전송한다.The shortcut icon configuring unit 220 configures shortcut icon information by analyzing app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unit 210. The shortcut icon configuring unit 220 determines information required to generate the shortcut icon from the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The shortcut icon configuring unit 220 acquires an app and an object that should be executed in the control module 120 when a shortcut icon to be created lat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shortcut icon is obtained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generator 230.

이미지 생성부(230)는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단축 아이콘을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생성부(230)는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로부터 이미지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단축 아이콘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단축 아이콘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단축 아이콘 구성부(220)는 실행될 앱 및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때, 실행될 앱의 유형 또는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른 단축 아이콘 구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mage generator 230 generates a shortcut icon by using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hortcut icon configuring unit 220. In this case, the image generator 230 generates a shortcut icon using the shortcut ico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shortcut icon configuring unit 220. To this end, when obtaining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pp and object information to be executed, the shortcut icon configuration unit 220 may generate shortcut icon configu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pp or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executed.

홈화면 구성부(240)는 단축 아이콘 제공 모듈(200)이 런처 앱으로 구현되는 경우 포함되는 구성으로, 모바일 기기(100)의 표시부(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여 표시되던 기존의 홈 화면에 이미지 생성부(230)에서 생성된 단축 아이콘을 추가로 배치하여 홈화면을 구성한다. 이때 홈화면 구성부(240)는 홈화면 상에서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home screen configuration unit 240 is a configuration included when the shortcut icon providing module 200 is implemented as a launcher app. The home screen unit 240 includes at least one icon on the display unit 110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home screen is configured by further placing a shortcut icon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or 230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home screen configuration unit 240 may adjust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on the home screen.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4 및 도5 는 단축 아이콘이 배치된 홈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of a home screen on which a shortcut icon is disposed.

도1 및 도2 를 참조하여, 도3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앱에 대한 앱 실행 정보를 모니터링한다(S110). 그리고 실행 중인 앱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0).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되는 앱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벤트 중에는 단축 아이콘의 생성과 무관하게 발생되는 이벤트들도 다수가 있다. 이에 발생된 이벤트 중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FIG. 3 will be described. First, app execution information on an app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100 is monitored (S110). In operation S120,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vent occurs in the running app. In the app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100, various types of events may occur. However, among these events, there are a number of events that occur regardless of the creation of the shortcut icon.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vent related to a shortcut icon has occurred among the events generated therein.

여기서 단축 아이콘 관련 앱과 이벤트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전화 통화 앱, 문자 앱, 메신저 앱과 같이 상대 사용자가 지정되는 앱이나, 카메라 앱, 지도 앱 또는 네비게이션 앱과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앱, 메모 앱과 같이 텍스트가 저장되는 앱 및 배터리 관리 앱과 같이 모바일 기기(100)의 상태를 관리하는 앱 등이 단축 아이콘과 관련된 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shortcut icon-related apps and events may be preset. For example, apps where the other user is specified, such as phone call apps, text apps, and messenger apps, apps that display images, such as camera apps, map apps, or navigation apps, and apps that store text, such as notes apps, and battery management apps. As described above, an app for managing a state of the mobile device 100 may be set as an app related to a shortcut ic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로는 사진 촬영, 위치 확인, 장소 검색, 메시지 수신 또는 송신, 전화 통화, 메모 작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이벤트가 설정될 수 있다.The shortcut icon-related event may include taking a picture, checking a location, searching a place, receiving or sending a message, making a phone call, and writing a memo. In addition, various events may be set.

그리고 설정된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별되면,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 대한 앱 정보를 획득한다(S120). 여기서 앱 정보는 모바일 기기(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OS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행중인 개별 앱으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shortcut icon-related event has occurred, app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 that generated the shortcut icon-related event is acquired (S120). Here, the app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n OS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100, but in some cases, may be obtained from an individual app running.

한편, 앱 정보가 획득되면,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한다(S130).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서 생성된 결과물인 오브젝트의 데이터 또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사진 촬영, 위치 확인, 검색, 메시지 수신 또는 송신, 전화 통화, 메모 작성과 같은 이벤트 각각은 이벤트 결과로, 사진 이미지, 위치 정보 이미지, 검색어, 메시지 송수신 또는 전화 통화 대상, 메모 내용과 같은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송수신 또는 전화 통화 대상, 메모 내용 등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오브젝트 정보로 획득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진 이미지, 위치 정보 이미지, 검색 결과와 같은 오브젝트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용량이 크다. 이에 오브젝트를 직접 획득하지 않고, 오브젝트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로 획득하고, 이후 단축 아이콘 생성 시에 해당 주소에서 오브젝트를 호출하여 이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app information is obtained,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vent is obtained (S130). Here,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n object's data or an object which is a result generated by the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For example, each of the above events such as taking a picture, checking a location, searching, receiving or sending a message, making a phone call, or taking a memo may be a result of an event, such as a picture image, a location information image, a search word, a message send or receive target, a memo You can create objects like content. In addition, object data such as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phone call target, memo contents, etc. may be obtained as object information. However, objects such as photographic images, geolocation images, and search results have a relatively large data capacity. Accordingly,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acquiring the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object is stored as object information without directly acquiring the object, and then calling and using the object at the corresponding address when generating the shortcut icon.

오브젝트의 데이터 용량에 무관하게 모든 오브젝트 정보가 오브젝트의 주소 정보로 획득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저장된 오브젝트에 대해 호출 및 저장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제어 모듈(120) 및 메모리 모듈(130)의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오브젝트의 데이터 용량이 기설정된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가 저장된 주소 정보를 선택적으로 오브젝트 정보로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 바람직하다.Regardless of the data capacity of the object, all object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object, but in this case, since the call and store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on the stored object, the load of the control module 120 and the memory module 130 may be increased.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use an object or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object is stored as object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ata capacity of the object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capacity.

한편 오브젝트 정보가 획득되면,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 및 단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실행될 앱 및 오브젝트를 맵핑하여, 단축 아이콘 구성을 설정한다(S150).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nformation is obtained, the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and the app and the object to be executed when the shortcut icon is selected, the shortcut icon configuration is set (S150).

단축 아이콘에 설정되는 오브젝트들은 각각 이에 대응하는 앱이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앱은 오브젝트를 이용할 앱을 의미한다.Each of the objects set in the shortcut icon may have an app corresponding thereto. Here, the app corresponding to the object means an app to use the object.

대부분의 경우, 전화 앱, 문자 앱, 메모 앱, 지도 앱 등과 같이 오브젝트를 생성한 앱이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앱이 된다. 즉 오브젝트를 생성한 앱과 오브젝트를 이용하는 앱이 동일하다. 그러나 카메라 앱과 같은 일부 앱의 경우에는 이미지를 오브젝트로 생성하지만,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은 갤러리 또는 별도의 이미지 편집 앱이다. 즉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앱과 생성된 오브젝트를 이용하는 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은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앱을 설정한다.In most cases, an app that creates an object, such as a phone app, a text app, a memo app, or a map app, becomes an app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n other words, the app that created the object is the same as the app that uses the object. However, some apps, such as camera apps, create images as objects, but using the created images is a gallery or a separate image editing app. That is, an app that creates an object and an app that uses the generated objec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ts a corresponding app according to the type of object.

그리고 설정된 오브젝트의 유형과 대응하는 앱에 따라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지정한다. 그리고 지정된 이미지 구조에 따라 단축 아이콘을 생성한다(S160).The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t object and the corresponding app. The shortcut ic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image structure (S160).

여기서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는 사용자가 단축 아이콘의 의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지정될 수 있다.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도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may be specified in various forms in which the user may easily recognize the meaning of the shortcut icon. The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4 에는 4개의 단축 아이콘(SCI1 ~ SCI4)가 도시되어 있다. 이중 제1 단축 아이콘(SCI1)은 카메라 앱에서 생성된 이미지 오브젝트와 이를 이용하는 갤러리 앱의 아이콘이 오버레이(overlay)되는 구조로 생성되었다. 이때 오버레이되는 아이콘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오브젝트와 아이콘 이미지의 투명도를 조절하지 않고, 두 이미지 중 하나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른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4, four shortcut icons SCI1 to SCI4 are shown. The first shortcut icon SCI1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mage object generated by a camera app and an icon of a gallery app using the overlay are overlay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overlayed icon may be set in various ways. In some cases, without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object and the icon image, one of the two images may be adjusted to be plac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other image.

그리고 제2 단축 아이콘(SCI2)은 메모 앱에서 생성된 메모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단축 아이콘으로 메모 앱에 대한 아이콘이지만, 메모 오브젝트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가 그대로 포함되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홈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축 아이콘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메모의 텍스트 정보 중 일부만이 포함되도록 단축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The second shortcut icon SCI2 is a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the memo object generated by the memo app, but it is an icon for the memo app, but it can be seen that the tex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 object is included as it is. However, the icon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re generally sized. Therefore, the shortcut icon may be generated such that only a part of the text information of the memo is included so that the size of the shortcut icon does not exceed the designated size.

한편 제3 단축 아이콘(SCI3)은 지도 앱을 통해 특정 장소를 검색한 결과인 지도 이미지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지도 앱의 아이콘에 검색어인 "송도호텔"이 하단에 별도의 텍스트 이미지로 결합된 단축 아이콘으로 생성되었다.Meanwhile, the third shortcut icon SCI3 is a shortcut icon in which the search word "Songdo Hotel" is combined with a separate text image at the bottom of the icon of the map app in response to the map image object that is a result of searching for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map app. Generated.

또한 제4 단축 아이콘(SCI4)의 경우에는 메신저를 통한 메시지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메시지 앱의 아이콘과 대화 상대가 하단에 텍스트 이미지로 결합된 단축 아이콘이 생성되었다. 제3 및 제4 단축 아이콘(SCI3)에서는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 하단에 텍스트 이미지가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urth shortcut icon SCI4, a shortcut icon in which an icon of a message app and a contact are combined with a text image at the bottom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message object via a messenger. In the third and fourth shortcut icons SCI3, the text image is combined with the bottom of the icon of the executed ap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 이미지와 오브젝트의 이미지는 미리 지정된 배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앱 아이콘 상의 일정 영역에 오브젝트 이미지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오브젝트 이미지 상의 일정 영역에 앱 아이콘이 중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at is, the icon image and the image of the object of the executed app may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ayout structure. In some cases, an object image may be overlapped and dispos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app icon, and conversely, an app icon may be overlapped and disposed in a certain area on the object image.

즉 단축 아이콘은 오브젝트의 유형과 오브젝트를 이용하는 앱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생성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축 아이콘 생성 시에 필요한 아이콘 이미지나 이미지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해당 이미지가 저장된 주소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축 아이콘으로 표시되어야 하는 이미지의 데이터 용량이 큰 경우, 썸네일(Thumbnail)과 같이 저용량 이미지로 변환한 후, 단축 아이콘을 생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hortcut icon may be designated to be generated in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the type of the app using the object. Information about an icon image or an image object necessary for generating a shortcut icon may be obtained from address inform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image is stored. In addition, when the data capacity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s a shortcut icon is large, a shortcut icon may be generated after converting the image into a low-capacity image such as a thumbnail.

그리고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은 단축 아이콘이 생성되면, 생성된 단축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를 설정한다(S170). 생성된 단축 아이콘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홈화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배치될 위치는 미리 지정될 수도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when a shortcut icon is generated, a position at which the generated shortcut icon is to be arranged is set (S170). The generated shortcut icon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home screen to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e location to be arranged may be previously designated.

일예로 단축 아이콘은 홈화면에서 아이콘이 배치되지 않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홈화면에서 단축 아이콘이 배치될 별도의 영역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이 생성된 단축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가 설정되고, 이에 따라 이전 생성된 단축 아이콘이나 다른 아이콘의 위치가 지정된 순서로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hortcut icon may be set to be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where the icon is not disposed on the home screen, and a separate area in which the shortcut icon is to be arranged may be set on the home screen. In some cases, the position at which the newly generated shortcut icon is to be arranged may be set,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reviously generated shortcut icon or another icon may be changed in a specified order.

단축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가 설정되면, 설정된 위치에 단축 아이콘이 배치되도록 홈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홈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180). 여기서 홈화면은 표시 모듈(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at which the shortcut icon is to be placed is set, the home screen is configured to place the shortcut icon at the set position, and the configured home screen is displayed to the user (S180). Here, the home screen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또한 경우에 따라서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은 모바일 기기(100)에서 앱의 실행 상태에 따라 앱 아이콘과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may chang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app icon and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state of the app in the mobile device 100.

도5 는 단축 아이콘이 배치되는 홈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5 show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on which shortcut icons are arranged.

도5 에서는 다음의 가상 시나리오에 따라 홈화면에 단축 아이콘이 생성되어 배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5 illustrates a process of creating and arranging shortcut icons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following virtual scenario.

1) 아내와 전화를 한다.1) Call your wife.

2) 통화중 대전 어머님께 송금을 요청받아, 계좌정보와 입금액 등을 메모하고2) Receive a remittance request from the mother during the call, and write down the account information and deposit amount.

3) 주거래 은행인 국민은행앱으로 이체를 한다. 3) Transfer to Kookmin Bank App, the main bank.

4) 점심시간에 강남역 부근에서 식사를 한다. 4) Have lunch near Gangnam station at lunch time.

5) 식사 후 사무실로 돌아오는 길에, 대전 어머님으로부터 고맙다는 전화를 받는다. 5) On the way back to the office after a meal, I receive a thank you call from my mother.

6) 메신저 앱을 통해 김경자 대표로부터 메시지를 받는다.6) Receive a message from Kim Kyung-ja through the messenger app.

7) 연말정산을 위해 관심사로 추가한다.7) Add as a concern for year-end settlement.

8) 테크크런치에서 특허 관련 페이지를 북마크한다.8) Bookmark the patent page on TechCrunch.

9) 문득, 창밖 풍경이 마음에 들어 사진을 찍는다.9) Suddenly, I like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and take a picture.

이하 단축 아이콘의 생성 및 위치를 상기의 가상 시나리오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한 가상 시나리오에 따르면, The generation and location of the shortcut icons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virtual scenario order. According to the above hypothetical scenario,

1) 아내에게 전화를 하므로, 전화 통화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전화 앱의 아이콘과 연락처에 저장된 통화 상대 이름인 와이프가 결합된 단축 아이콘(1)이 생성되어 배치된다. 이때 생성된 단축 아이콘(1)은 홈화면에서 최우선 배치 위치로 지정된 좌측 상단에 배치된다.1) Since the wife is calling, a phone call event has occurred, and a shortcut icon 1 combining the icon of the phone app and the wipe name stored in the contact is created and arranged. In this case, the generated shortcut icon 1 is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designated as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on the home screen.

2) 메모 앱이 실행되어 메모가 저장되면, 저장된 메모 내용이 포함된 단축 아이콘(2)이 생성되고, 다시 홈화면에서 최우선 배치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홈화면 상의 이전 단축 아이콘(1)을 포함한 모든 아이콘은 지정된 배치 위치 순서로 이동하여 배치된다. 여기서는 일예로 아이콘이 우측 및 하단 순서로 이동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2) When the memo app is executed and the memo is stored, a shortcut icon 2 including the stored memo contents is generated, and the memo app is placed at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on the home screen. At this time, all the icons including the previous shortcut icon 1 on the home screen are moved and arranged in the specified arrangement position order. Here,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cons are arranged in a right and bottom order.

3) 뱅킹 앱(3)이 실행됨에 따라 뱅킹 앱(3)에 대한 아이콘이, 단축 아이콘(2)에 연속하여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축 아이콘(2)이 배치되면서 메모의 내용에 따라 뱅킹 앱(3)이 자동으로 함께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3) As the banking app 3 is executed, an icon for the banking app 3 is arranged in succession to the shortcut icon 2. In some cases, while the shortcut icon 2 is disposed, the banking app 3 may be automatically arranged togeth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memo.

4) 위치 정보에 따라 최근 방문 장소에 대한 단축 아이콘(4)이 생성되어 최우선 배치 위치에 배치된다.4)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 shortcut icon 4 for a recent visit place is generated and placed at the highest priority arrangement position.

5) 통화 종료 후, 전화 앱의 아이콘과 대전 어머님이 결합된 단축 아이콘(5)이 생성되어 배치된다.5) After the call is terminated, a shortcut icon 5 in which the icon of the phone app and the mother of the mother are combined is generated and arranged.

6) 메신저 앱을 통한 메시지 수신에 따라 메신저 앱의 아이콘과 대화 상대의 명칭이 결합된 단축 아이콘(6)이 생성되어 배치된다.6) In response to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messenger app, a shortcut icon 6 combining the icon of the messenger app and the name of the contact is created and arranged.

7) 관심사 저장 후, 관심사 내용이 결합된 관심사 단축 아이콘(7)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7) After storing the interest, the interest shortening icon 7 combined with the interest content is moved to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8) 북마크 저장 후, 북마크 명칭이 결합된 단축 아이콘(8)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8) After the bookmark is stored, the shortcut icon 8 combined with the bookmark name is moved to the highest position.

9) 사진 촬영 후, 이미지와 갤러리 아이콘이 결합된 단축 아이콘(9)을 생성하여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9) After taking a picture, a shortcut icon 9 combined with an image and a gallery icon is generated and moved to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100)을 이용하는 상황에 따라 새로운 단축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단축 아이콘이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인지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100)의 사용자는 반복적인 터치나 앱을 검색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최근 작업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As a result, a new shortcut icon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ses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generated shortcut icon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convenient for the user to recognize on the home screen. Therefore,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100 can easily execute the recent work again without the need for repetitive touch or searching for the app.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The computer readable media herein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can also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and includes ROM (readable) Dedicate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 -ROM, DVD (digital video disk)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모바일 기기
110: 표시 모듈
120: 제어 모듈
130: 메모리 모듈
SCI1 ~ SCI4: 단축 아이콘
100: mobile device
110: display module
120: control module
130: memory module
SCI1 to SCI4: Shortcut Icons

Claims (14)

모바일 기기에서 미리 지정된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 대한 앱 정보와 상기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앱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When an event related to a predetermined shortcut icon is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acquiring app information on an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and object information on an object generated by the event;
Setting an image structure of a shortcut icon to be display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obtained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And
Creating a shortcut icon including the object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 to execut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a user;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앱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앱 정보에 따라, 상기 앱으로부터 상기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btaining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comprises:
Monitoring an app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occurs;
Obtaining the app information when the event occurs; And
Acquiring the object information from the app according to the app information;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및 상기 앱 정보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되는 운영체제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vent occurrence and the app information are obtained from an operating system running on the mobil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image structure
Determining the type of the object and determining an app to ru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object; And
Determining an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the app to be executed;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구조는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중첩되지 않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오버레이 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배치되는 구조,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일부 중첩하는 구조 중 하나인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a text image of the object are disposed at a designated position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the image of the object are controlled and overlaid
A structure in which a text image of the object is disposed insid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the mobile device which is one of the structure of partially overlapping the icon of the icon and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execu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홈화면 상에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에 상기 단축 아이콘을 배치하여 상기 홈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상기 홈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o the user
Generating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Determ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on a home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Configuring the home screen by placing the shortcut icon at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And
Displaying the configured home screen to the user;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가장 최근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상기 홈화면에 기지정된 최우선권 위치에 배치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determining the placement posi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a mobile device, which places the most recently generated shortcut icon at a predetermined priority position on the home scree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홈화면에 이전 배치된 아이콘이 또는 단축 아이콘이 위치하면, 이전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및 단축 아이콘을 기지정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termining the placement position
Sequentially arranging at least one previously arranged icon and a shortcut ic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an icon previously arranged or a shortcut icon is located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앱 이외의 추가 앱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추가 앱에 대한 아이콘을 상기 단축 아이콘에 인접하여 함께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단축 아이콘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etermining the placemen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dditional app other than an app that executes the object is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object, placing an icon for the additional app adjacent to the shortcut icon; Method of providing a shortcut icon of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ing.
모바일 기기에서 미리 지정된 단축 아이콘 관련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를 발생한 앱에 대한 앱 정보와 상기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앱 정보와 상기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포함된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는 제어 모듈; 및
생성된 상기 단축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When an event related to a predetermined shortcut icon is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app information about an app that generated the event and object information about an object generated by the event are obtained.
Setting an image structure of a shortcut icon to be display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obtained app information and the object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 shortcut icon includ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and an app to execut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And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shortcut icon to a user;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운영 체제 및 앱을 구동하고, 구동되는 상기 운영 체제 또는 앱의 동작 상태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 및 상기 앱 정보를 획득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module
And a mobile device for driving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app of the mobile device and obtaining the event occurrence and the app information from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ng system or the app.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실행할 앱을 판별하며,
상기 오브젝트의 유형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의 이미지 구조를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module
Determine the type of the object, determine an app to run th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the object,
And determine an image structure of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bject and the app to be executed.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미지 구조를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중첩되지 않게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의 투명도가 조절되어 오버레이 되는 구조,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 내부에 상기 오브젝트의 텍스트 이미지가 배치되는 구조, 및
상기 실행할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과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일부 중첩하는 구조 중 하나로 결정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module
The image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a text image of the object are disposed at a designated position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 structure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the image of the object are controlled and overlaid,
A structure in which a text image of the object is disposed insid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The mobile device determines tha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 to be executed and the image of the object is partially overlapped.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미지 구조에 따라 상기 단축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홈화면 상에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단축 아이콘의 배치 위치에 상기 단축 아이콘을 배치하여 상기 홈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 모듈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module
Generate the shortcut icon according to the image structure;
Determine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on a home screen displayed to the user,
The mobile device arranges the shortcut icon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hortcut icon to form the home screen and transmits the shortcut icon to the display module.
KR1020180043781A 2018-04-16 2018-04-1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KR201901205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81A KR20190120505A (en) 2018-04-16 2018-04-1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81A KR20190120505A (en) 2018-04-16 2018-04-1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05A true KR20190120505A (en) 2019-10-24

Family

ID=6842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81A KR20190120505A (en) 2018-04-16 2018-04-16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ico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50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141A (en)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con ther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141A (en)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con th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78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5683894B (e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8727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10386992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93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4452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module for projecting images on a projection surface exter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64952B1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pplication using received data
US9219812B2 (en) Mobile terminal
US201500400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stomized menus for accessing application functionality
KR102607560B1 (en)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EP263175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ctive application
US201400753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data management
US20140137020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KR20060092989A (en) User interfaces for data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KR20120134765A (en) Method for displyaing home-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US9891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2423799A1 (en) Terminal device to store object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CN1054530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11397597B2 (en)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P3757739A1 (en) Method for display when exiting an application, and terminal
CN111602381A (en) Icon switching method, method for displaying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2613248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360062A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835569A (en) Terminal device, quick start method for internal function of application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