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25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25A
KR20190119825A KR1020180043267A KR20180043267A KR20190119825A KR 20190119825 A KR20190119825 A KR 20190119825A KR 1020180043267 A KR1020180043267 A KR 1020180043267A KR 20180043267 A KR20180043267 A KR 20180043267A KR 20190119825 A KR20190119825 A KR 2019011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washing tank
washing
housing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3570B1 (en
Inventor
전호일
김혜원
김미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570B1/en
Priority to US16/962,366 priority patent/US11608582B2/en
Priority to AU2019207224A priority patent/AU2019207224B2/en
Priority to PCT/KR2019/000599 priority patent/WO2019139454A1/en
Priority to CN201980018644.4A priority patent/CN111836924B/en
Publication of KR2019011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machine includes: a first washing tub rotated around a vertical shaft; and a second washing tub removably combined with the first washing tub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washing tub. The second washing tub includes: a container storing laundry; a lower cover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including an inlet for taking a water current rising in the container when the first washing tub is rotat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taken through the inle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shing tub; an upper cover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over to limit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etween itself and the lower cover; a storage housing including an inlet and combined with the lower cover; an additive storage part storing additives, and installed in the storage housing to be able to be withdrawn through the inlet; and a slider installed on the storage housing to be able to be moved between a combination position and a release combination. The upper cover includes a combination tap combined with the slider when the slider is located on the combination position.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having two washing tanks.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processing laundry through various ac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on and / or drying.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removes dirt on laundry (also called “foam”) using water and detergent.

최근에는 두 개의 세탁조가 구비되는 세탁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세탁조와 작은 용량의 세탁조를 구비하는데, 각각의 세탁조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세탁조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세탁조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wo washing tanks has been released.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large washing tank and a small washing tank, each washing tank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convenient to use the washing tanks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furthermore,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only a small capacity washing tank can be used when a small amount of washing is required.

한국 공개특허 10-2015-0089344는 회전조의 상단에 보조 세탁조가 결합된 형태의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 세탁조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되 바닥은 막히고, 상면은 개구된 형태이며, 원통형의 원주면에 배수를 위한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89344 discloses a washing machine in which an auxiliary washing tank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otating tank. The auxiliary washing tank is generally cylindrical, but the bottom is clogged, the upper surface is an open shape, the through hole for drainage is formed on the cylindrical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보조 세탁기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상승된 물이 상기 통공들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공들이 배수되는 유량을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물이 상기 보조 세탁조를 넘쳐 흐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auxiliary washing machine is rotated, the water raised by the centrifugal force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s. However, in such a case, when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flow rate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s are dr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flows over the auxiliary washing tank.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커버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 내에 배수를 위한 유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버를 상/하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유로를 구성하는 방안을 강구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유로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두 개의 부품은 서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하면서도, 세탁기의 작동 중에는 이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devise a method of installing a cover in the auxiliary washing tank and configuring a flow path for drainage in the cover. In particular, the cover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up and down to form the flow path, and a method of constituting the flow path between them may be devised. In this case, the two parts may be used to maintain and repair the flow path. The two parts need to be a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y need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캐비닛 내에 설치된 제 1 세탁조에 제 2 세탁조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기에서, 상기 제 2 세탁조가 세탁물과 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덮는 세탁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탁조 커버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결합된 구조인 경우, 유지 수선을 위해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면서도, 세탁기의 작동시나, 상기 제 2 세탁조를 옮기는 과정에서는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공고하게 결합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the washing machin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rst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cabinet, the second washing tank comprises a container for receiving laundry and water and a washing tank cover covering the container. In the case where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an be easily separated for maintenance, and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or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second washing tank. It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is firmly coupl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세탁기는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에 제 2 세탁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상기 제 2 세탁조가 일체로 회전된다.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washing tank is detachably coupled to a first washing tank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nd the first washing tank and the second washing tank are integrally rotated.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는 세탁조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조 커버는,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가 상호 결합된 형태이다.The second washing tank includes a container for storing laundry and a washing tank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The washing tank cover is a form in which the lower cover and the upper cover are mutually coupled.

상기 하부 커버에는 수용부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 하우징에는 슬라이더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결속위치와 결속해제위치 사이를 이동가능하다.An accommodation housing is coupled to the lower cover. The receiv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slider. The slider is movable between a binding position and a disengaging position.

상부 커버는 결속탭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결속탭과 상기 슬라이더가 결속된다.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결속탭 간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하부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top cover has a binding tab. When the slider is in the binding position, the binding tab and the slider are engage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lider and the binding tab prevents the upper cov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제 2 세탁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The lower cover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up in the container when the first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shing tank.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한다.The upper cover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to define a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etween the lower cover.

상기 수용부 하우징에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첨가제를 수용하는 첨가제 수용부가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하우징 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accommodation housing, and an additive accommodation portion for accommodating an additive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housing through the entrance.

상기 수용부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속위치와 상기 결속해제위치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속탭은, 상기 가이드 슬롯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기 슬라이더와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guide slot for guiding to move between the binding position and the disengagement position in the state that the slider is fitted, the binding tab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A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to engage the slider.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있을시 상기 결속탭과 분리될 수 있다.The slider may be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when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서 이동되는 연결섹션과, 상기 수용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섹션과 연결되는 내측섹션과, 상기 수용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섹션과 연결되는 외측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may include a connection section moved within the guide slot, an inner section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section inside the accommodating housing, and an outer section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section outside the accommodating housing. Can be.

상기 연결섹션은, 상기 수용부 하우징과 상기 외측섹션 사이에서 상기 결속탭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binding tab between the housing portion and the outer section.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외측섹션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변위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섹션의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홈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탭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홈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In the lower cover, the outer section may be inserted, and a movement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inner section may be formed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of the slider.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guide groove may be opened so as to exit from the movement guide groove in a state where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세탁기는, 첫째, 제 2 세탁조의 세탁조 커버를 구성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constituting the washing tank cover of the second washing tank can be easily separate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둘째, 상기 세탁조 커버의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세탁조 커버의 유지와 수선이 쉽다.Second, since the disassembly of the washing tank cover is made simpl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washing tank cover are easy.

셋째, 사용자가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를 직접 결속하지 않더라도, 첨가제 수용부가 정위치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결속되는 효과가 있다.Third,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bind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cover are automatically bound in the process of adding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커버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수용부 하우징과 슬라이더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이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더와 결속탭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슬라이더가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는 슬라이더가 결속탭과 결속된 상태, (b)는 슬라이더가 결속탭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수용부 하우징이 하부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16은 상부 커버가 하부 커버로부터 분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첨가제 수용부가 수용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ashing tank.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ank.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shing tub cover.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washing tank is installed in a balancer.
FIG. 6 is a top down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ower cover.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receptacle housing and the slid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 9 viewed from another angle.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ider.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and the binding tab are boun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in the disengaged position.
(A) of FIG. 14 shows a state where the slider is engaged with the binding tab, and (b) shows a state where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15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ptacl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1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1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dditive containing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containing housin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제 2 세탁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2 세탁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탁조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세탁조가 밸런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부 커버의 저면이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washing tank.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ashing tank.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shing tub cover.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washing tank is installed in a balancer. FIG. 6 is a top down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ower cover.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FIGS. 1 to 8.

캐비닛(2)은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며, 내측으로 저수조(4)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캐비닛(2)은 평평한 캐비닛 베이스(5)에 의해 지지되며, 전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을 포함하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The cabinet 2 forms th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reservoir 4 is accommodated. The cabinet 2 is supported by a flat cabinet base 5 and includes a front side, a left side, a right side, and a rear side, and the top side is open.

캐비닛(2)의 개방된 상면에는 탑 커버(3)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3)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top cover 3 may be coupled to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2. The top cover 3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for inputting and withdrawing laundry (or "foam").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cover 3.

저수조(4)는 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지지로드(15)에 의해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지지로드(15)는 캐비닛(2)의 네 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로드(15)의 일단은 탑 커버(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을 완충시키는 서스펜션(27)에 의해 저수조(4)와 연결된다.The reservoir 4 is for holding water,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by the support rod 15. Support rods 15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cabinet 2, respectively, one end of each support rod 15 pivotal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3, and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cushions vibration. It is connected with the reservoir 4 by the 27.

저수조(4)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저수조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 커버(14)는 중앙부에 대략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된다.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4 may be opened, and a reservoir cover 14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reservoir cover 14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substantially circular opening is formed at the center, and laundry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저수조(4)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상기 수직축은 지면과 수직한 선상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수직한 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제 1 세탁조(6)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6h)이 형성되고, 통공(6h)을 통해 제 1 세탁조(6)와 저수조(4) 간에 물이 교류된다.In the reservoir 4, a first washing tank 6 may be arranged that accommodates laundry and is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The vertical axi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vertical axis may be precisely align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6h through which water passes are formed in the first washing tank 6, and water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washing tank 6 and the water storage tank 4 through the through holes 6h.

제 1 세탁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통공(6h)이 형성된 드럼(6a)과, 드럼(6a)의 상부에 결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6a)의 저면은 허브(7)에 의해 구동부(8)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ashing tank 6 may include a drum 6a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 through hole 6h formed therein, and a ring balancer 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6a. The bottom of the drum 6a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unit 8 by the hub 7.

제 1 세탁조(6)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9)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9)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9)가 회전될 시, 상기 날개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된다.The pulsator 9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washing tub 6. The pulsator 9 may comprise a plurality of radial wings protruding upwards. When the pulsator 9 is rotated, water flow is created by the vanes.

밸런서(20)는 드럼(6a)의 회전시 유발되는 편심을 보상하는 것이다. 밸런서(20)는 드럼(6a)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밸런서(20)는, 링형의 공동(20h1, 20h2)을 형성하는 밸런서 본체 (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동(20h1, 20h2) 내에는 유체(예를 들어, 소금물) 또는 복수의 중량체(예를 들어, 금속구)가 삽입될 수 있다. 환형의 공동(20h1, 20h2)은, 동심을 가지나 서로 다른 직경으로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lancer 20 is to compensate for the eccentricity caused when the drum 6a rotates. The balancer 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drum 6a. 5 to 7, the balancer 20 may include a balancer body 21 that forms ring-shaped cavities 20h1 and 20h2. A fluid (eg, brine) or a plurality of weights (eg, metal balls) may be inserted into the cavities 20h1, 20h2. The annular cavities 20h1 and 20h2 may be concentric but have a plurality of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드럼(6a)이 회전되는 중에 한쪽으로 치우치면, 드럼(6a)이 치우친 방향과 반대로 유체 또는 중량체들이 이동됨으로써 편심이 보정된다. 세탁기에 적용되는 링형의 밸런서(20)는 이미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f the drum 6a is biased to one side while the drum 6a is being rotated, the eccentricity is corrected by moving the fluid or the weigh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um 6a is biased. Ring-type balancer 20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is already known in various form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세탁조(10)는, 링형태의 밸런서(20)에 의해 규정된 공간(또는, 대략 원형의 개구부)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렇게 삽입된 상태에서 밸런서(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이 담기는 컨테이너(30)와, 컨테이너(30)를 덮는 세탁조 커버(6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30)는 세탁물과 물을 담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세탁조 커버(60)가 덮는다. 컨테이너(30)는, 내측에 수용된 세탁물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tank 1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or an approximately circular opening) defined by the ring-shaped balancer 20, and supported by the balancer 20 in this inserted stat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cludes a container 30 in which laundry is stored and a washing tank cover 60 covering the container 30. The container 30 holds laundry and water,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the washing tub cover 60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ed upper surface. The container 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aundry accommodated insid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밸런서 본체(21)의 내경부(위에서 내려다 볼 때 링형을 구성하는 두 개의 원 중에서 안쪽 원을 이루는 부분)에는 컨테이너(30)를 지지하는 링형의 지지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치합홈(22c)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 각 치합홈(22c)들은 나선 형태일 수 있다.A ring-shaped support part 22 supporting the container 30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part of the balancer body 21 (the part forming the inner circle among two circles constituting the ring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support portion 22,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22c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ach engagement groove 22c may be in the form of a spiral.

컨테이너(30)의 외측면에는 지지부(22)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리는 돌기 형태의 스레드(thread, 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스레드(33)는 치합홈(22c)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하로 연장된다. 즉, 치합홈(22c)이 나선 형태인 경우, 스레드(33) 역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스레드(33)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may be formed with a thread (33) of the projection shape engaging with the engaging grooves (22c)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2. The thread 33 extends up and down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22c. That is, when the engaging groove 22c is in the form of a spiral, the thread 33 is also a protrusion extending helically. The threads 33 are arranged in plu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스레드(33)들은 일종의 헬리컬 기어를 구성하여, 밸런서(20)의 안착부(33)에 형성된 치합홈(22c)들과 맞물린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1 세탁조(6)가 회전될 시, 제 2 세탁조(10)가 헛돌지 않고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밸런서(20)와 컨테이너(30) 간의 이러한 방식의 결합은 일종의 나사 결합이기도 하기 때문에, 제 2 세탁조(10)와 제 1 세탁조(6) 간의 결합이 견실하게 유지된다. 특히, 스레드(33)와 치합홈(22c)간의 결합이 갖는 구속력(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면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하강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The threads 33 constitute a kind of helical gear and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s 22c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3 of the balancer 20. 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washing tank 6 is rotated, the second washing tank 10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ank 6 without turning. In addition, since this type of coupling between the balancer 20 and the container 30 is also a kind of scre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and the first washing tank 6 is maintained firmly. In particular, the second washing tank 10 may be fixed without being lowered by the restraining force (for example,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surfaces engaged with each other) of the coupling between the thread 33 and the engaging groove 22c.

제 2 세탁조(10)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제 1 세탁조(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가 회전되면, 제 2 세탁조(10)도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된다.The second washing tank 10 accommodates laundry and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first washing tank 6. That is,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When the 1st washing tank 6 is rot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2nd washing tank 10 was installed, the 2nd washing tank 10 will also rotate integrally with the 1st washing tank 6.

사용자는 제 2 세탁조(10)가 미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에 제 1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제 2 세탁조(10)를 설치하여 제 2 세탁조(10)에 제 2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The user may inject the first laundry into the first washing tank 6 whil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not installed, or install the second washing tank 10 to inject the second laundry into the second washing tank 10. have.

캐비닛(2) 내에는 제 1 세탁조(6)와 펄세이터(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8)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8)는 저수조(4)의 하측에 배치되고, 저수조(4)의 저면에 결합된 상태로 캐비닛(2) 내에 매달릴 수 있다.In the cabinet 2, a driving unit 8 may be arranged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first washing tub 6 and the pulsator 9. The drive unit 8 is disposed below the reservoir 4 and can be suspended in the cabinet 2 in a stat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eservoir 4.

구동부(8)의 회전축은 펄세이터(9)와는 항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세탁조(6)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8)의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된 상태로 구동부(8)가 운전될 시에는, 펄세이터(9)와 제 1 세탁조(6)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제 1 세탁조(6)와 연결해제(또는, 분리)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제 1 세탁조(6)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9)만 회전된다.The rotary shaft of the drive unit 8 is always connected to the pulsator 9, and may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ashing tank 6 according to a switching operation of a clutch (not shown).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8 is operated while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unit 8 is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the pulsator 9 and the first washing tank 6 are integrally rotated, and the rotating shaft is When operating in a state of being dis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first washing tub 6, only the pulsator 9 is rotated while the first washing tub 6 is stopped.

구동부(8)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세탁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직접 구동 방식의 인버터 모터(Inverter Direct Drive Motor)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세탁 모터의 출력값(예를 들어, 출력 전류)을 입력으로 받아, 이를 바탕으로 세탁 모터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 회전수(또는, 목표 회전속도)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 unit 8 may include a washing motor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washing motor may be an inverter direct drive motor.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include a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PI controller), a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PID controller), and the like. The controller receives an output value (eg, output current) of the washing motor as an input, and based on this, the rotation speed (or rotation speed) of the washing motor follows the preset target rotation speed (or target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 구성들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하도록 하자.The control unit may control not only the washing motor, but als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control of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is made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한편,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관(1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관(미도시)과,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such as a faucet. The at least one water supply pipe 11 may include a cold water pipe (not shown) receiving cold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hot water pipe (not shown) receiving hot water.

급수관(11)을 단속하는 급수밸브(1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관(11)이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 급수밸브(13)도 복수가 구비되어, 급수관(11)들이 각각 급수밸브(13)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13)가 개방되면, 개방된 급수밸브(13)와 대응하는 급수관(11)을 통해 메인 디스펜서(16)로 급수가 이루어진다.A water supply valve 13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pipe 11 may be provided. When a plurality of water supply pipes 11 are provided, a plurality of water supply valves 13 may also be provided, and the water supply pipes 11 may be interrupted by the water supply valves 13, respectively. When at least one water supply valve 13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dispenser 16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corresponding to the open water supply valve 13.

메인 디스펜서(16)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급수관(11)을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저수조(4)로 공급한다. 메인 디스펜서(16)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이 있다.The main dispenser 16 supplies the additives acting on the laundry to the water storage tank 4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Additives supplied by the main dispenser 16 include laundry detergents, fabric softeners, bleaches and the like.

한편, 세탁기는, 저수조(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9a)와, 배수 밸로우즈(19a)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9a)는 펌프(18)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17)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19a)를 통해 펌프(18)로 물이 공급된다. 이렇게 펌프(18)로 유입된 물은, 펌프(18)가 작동될 시 배수관(19b)을 통해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bellows 19a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reservoir 4 and a drain valve 17 for controlling the drainage bellows 19a. The drainage bellows 19a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18. When the drain valve 17 is opened, water is supplied to the pump 18 through the drain bellows 19a.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ump 1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rain pipe 19b when the pump 18 is operated.

세탁조 커버(60)의 대략 중앙에는, 컨테이너(30)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60h)가 형성된다. 세탁조 커버(60)는 하부 커버(40)와,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50)를 포함한다.In the center of the washing tub cover 60, an inlet 60h is formed so that laundry can be put into the container 30. The washing tub cover 60 includes a lower cover 40 and an upper cover 5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40.

하부 커버(40)는 컨테이너(3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와 컨테이너(30)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바람직하게는 용착, 더 바람직하게는 열 용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lower cover 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30. The lower cover 40 and the container 30 are each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e preferably bonded to each other by welding, more preferably by thermal welding,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하부 커버(40)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시 컨테이너(30)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452h)와,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제 2 세탁조(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31)가 형성된다.The lower cover 40 includes an inlet 452h through which water flows up in the container 30 when the first washing tank 6 is rotated, an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52h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An outlet 431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is formed.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의 상측에 결합되며, 하부 커버(40)와의 사이에 유입구(452h)로부터 배출구(431)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한다. 상기 유로 상에는 유입구(452h)를 여닫는 체크밸브(91)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밸브(91)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원심력에 의해 개폐되거나, 유입구(452h)를 통해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5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40, and defines a flow path from the inlet 452h to the outlet 431 between the lower cover 40. A check valve 9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452h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The check valve 9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or may be opened or closed by hydraulic pressure acting through the inlet 452h.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50)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지된 락킹부재(8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밸런서(20)에 형성된 락킹 홈(22r)과 맞물린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변형된 상태이다. 제 2 세탁조(10)가 정지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락킹부재(81)가 락킹 홈(22r)으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된다.Between the lower cover 40 and the upper cover 50, a locking member 81 held by a sp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the locking member 81 protrudes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to engage the locking groove 22r formed in the balancer 20. At this time, the spring is in a deformed state.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stopped, the locking member 81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groove 22r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부 커버(50)는 하부 커버(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필요시, 사용자는 상부 커버(50)를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한 후 체크밸브(91)를 유지 또는 수선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를 청소할 수도 있다.The upper cover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cover 40. If necessary, the user may maintain or repair the check valve 91 after removing the upper cover 50 from the lower cover 40, and may clean the flow path.

하부 커버(40)에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50)에는 제 1 개구부(40h)와 연통되며, 투입구(60h)를 이루는 제 2 개구부(50h)가 형성된다. A first opening 40h is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and a second opening 50h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5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40h and form an injection hole 60h.

세탁조 커버(60)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51h)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세제, 표백제 또는 섬유 유연제 등의 첨가제를 담는 서브 디스펜서(70)가 구비되며, 급수구(51h)로 공급된 물이 서브 디스펜서(70)를 경유하면서 첨가제와 함께 컨테이너(30)로 공급된다. 상기 첨가제는,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tank cover 6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51h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flows. The washing tub cover 60 is provided with a sub dispenser 70 containing additives such as detergents, bleaches or fabric softeners,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let 51h passes through the sub dispenser 70 with the additives together with the container ( 30). The additive is preferably in a liquid state so as to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724 to be described later.

급수구(51h)를 통한 급수는 복수회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첨가제는 첫 번째 급수 시 후술하는 사이폰 관(724)을 통해 모두 배출되기 때문에, 이후에 실시되는 급수시에는, 서브 디스펜서(70)를 통해 첨가제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의 물(또는, 원수)이 급수된다.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inlet 51h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In this case, since the additives are all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7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irst water supply, the water in which the additive is not dissolved through the sub dispenser 70 during the subsequent water supply. , Raw water).

한편, 제 2 세탁조(10)가 충분한 속도로 회전되면, 컨테이너(30)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발달된 수류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즉, 컨테이너 본체(31)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후술하는 유입구(452h)를 통해 세탁조 커버(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에는 유입구(452h)를 통해 유입된 수류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t a sufficient speed, the water flow developed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container 30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that is, the container main body 31). Asc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ank cover 60 through the inlet 452h to be described later. The washing tub cover 60 is formed with a flow path for guiding the water flow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52h.

세탁조 커버(60)는 상기 유로를 따라 안내된 수류를, 세탁조 커버(60)의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6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62)은 하부 커버(40)에 형성된 배출구(431)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노즐(62)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릿 형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washing tub cover 60 may include a nozzle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flow guided along the flow path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tub cover 60. The nozzle 62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utlet 431 formed in the lower cover 40. The nozzle 62 may have a slit-shaped outle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출구는 저수조 커버(14) 보다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 2 세탁조(10)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노즐(62)을 통해 배출된 물이 저수조 커버(14)의 저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The outlet is open downward rather than the reservoir cover 14. As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t a high speed,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62 may be guid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cover 1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세탁조(10)가 밸런서(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노즐(62)은 밸런서(20) 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며(즉, 밸런서(20) 보다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노즐(62)을 통해 분사된 물이 밸런서(20)와 간섭되지 않고, 저수조(4) 내에 이를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installed in the balancer 20, the nozzle 62 is located above the balancer 20 (that is, exposed upward above the balancer 20). Thus,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62 can reach the reservoir 4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balancer 20.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30)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인(35)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인(35)은 컨테이너(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이며, 컨테이너(30)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컨테이너(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가 베인(35)과의 충돌에 의해 상승한 후, 컨테이너(30)의 중심부로 낙하된다. 베인(35)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베인(35)이 구비되나, 베인(35)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may include a vane 3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anes 35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and are manufactured as separate parts from the container 3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30.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rises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vanes 35 and then falls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30. The vanes 35 may be provided in plural. Preferably, the vanes 35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 an embodiment, a pair of vanes 35 is provided, but the number of vanes 35 is not limited thereto.

세탁조 커버(60)는 투입구(60h) 둘레에 형성된 손잡이(61)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 커버(60)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봤을 때, 손잡이(61)를 기준으로 일측에 투입구(60h)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급수구(51h)가 위치한다. 손잡이(61)는 투입구(60h)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급수구(51h) 역시 각 손잡이(61)의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tub cover 60 may include a handle 61 formed around the inlet 60h. When looking down the washing tank cover 60 from the top, the inlet opening (60h) is located on one side based on the handle 61, the water supply port (51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The handle 61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60h, and the water inlet 51h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each handle 61, respectively.

서브 디스펜서(70)는 세탁조 커버(6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는 세탁용 세제 또는 표백제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해서는 섬유 유연제를 공급할 수 있다.The sub dispenser 70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washing tank cover 60. In this case, the laundry detergent or the bleach may be supplied through any one of the pair of sub dispensers 70, and the fabric soften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other.

서브 디스펜서(70)는 하부 커버(40)에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펜서(70)는, 한 쌍의 급수구(51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서브 디스펜서(70)를 각각 제 1 서브 디스펜서(70(1))와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구분한다.The sub dispenser 7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over 40. The sub dispenser 7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water inlets 51h, respectively. Hereinafter, the pair of sub dispensers 70 are divided into a first sub dispenser 70 (1) and a second sub dispenser 70 (2), respectively.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에 따라,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 1 서브 디스펜서(70(1)) 또는 제 2 디스펜서(70(2))로 선택적으로 급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시에는 제 1 서브 디스펜서(70(1))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헹굼 행정시에는 제 2 서브 디스펜서(70(2))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위치(또는, 회전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r rotational angle)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is selectively selected to the first sub dispenser 70 (1) or the second dispenser 70 (2). Can be watered. For example, the second washing tank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sub dispenser 70 (1) during the washing stroke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 dispenser 70 (2) during the rinsing stroke. The rotation position (or rotation angle) of 10 can be controlled.

각각의 서브 디스펜서(70)는 수용부 하우징(71)과, 수용부 하우징(71) 내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된 첨가제 수용부(72)와, 첨가제 수용부(72)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수용부 커버(7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 커버(73)는 첨가제 수용부(7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 커버(73)에는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부(73h)가 형성되어, 개구부(73h)를 통과한 물이 첨가제 수용부(72) 내로 공급된다. Each sub dispenser 70 is retractably housed in the receptacle housing 71, the receptacle housing 71, and has an open top surface of the additive receptacle 72 and an opening of the additive receptacle 72. It may include a receptacle cover 73 covering the upper surface. The receptacle cover 73 may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additive receptacle 72. The receiving portion cover 73 is formed with an opening 73h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passes,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73h is supplied into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를 통해 유입된 물을 서브 디스펜서(70)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52)는 물이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물이 수용부 커버(73)의 개구부(73h)로 안내된다.The upper cover 50 may include a flow guide 52 for guid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51h to the sub dispenser 70. The flow guide 52 form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the water is guided downward, and the water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is guided to the opening 73h of the accommodation cover 73.

첨가제 수용부(72)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써, 첨가제 수용부(72) 내에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첨가제 수용부(72)는 수용부 하우징(71)과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은 첨가제 수용부(72)를 수용부 하우징(71) 내로 삽입하거나, 수용부 하우징(71)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The additive receiving unit 72 is a container having an open top surface, and the additive may be accommodated in the additive receiving unit 72. The additive receptacle 72 is coupled with the receptacle housing 71, and this coupling is to allow the additive receptacle 72 to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receptacle housing 71. .

첨가제 수용부(72)는 수용부 하우징(7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첨가제 수용부(72)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722, 도 17 참조.)와, 용기(722)로부터 돌출된 연결링크(721, 도 3, 도 17 참조.)가 세탁조 커버(60, 바람직하게는, 하부 커버(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링크(721)는 선단이 첨가제 수용부(72)와 연결되고, 후단은 세탁조 커버(60)와 회전 결합될 수 있다.The additive receiving part 72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art housing 71. The additive receiving unit 72 includes a container 722 (see FIG. 17) having an open top surface containing an additive, and a connecting link 721 (see FIGS. 3 and 17.) Protruding from the container 722. 60, preferably,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ver 40. That is, the connecting link 721 is th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the rear e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washing tank cover 60.

연결링크(721)의 회전 동작에 따라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부 하우징(71)을 출입한다. 따라서, 연결링크(721)을 적절한 길이와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부 하우징(7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첨가제 수용부(72)를 수용부 하우징(71)의 외측으로 더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고,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여, 첨가제를 투입할 시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link 721,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enters and exits the receiving portion housing 71. Therefore, by designing the connecting link 721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shap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housing 71 in a sliding manner,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to the receiving housing ( It is easy to take out more to the outside of 71), Preferably it can also take out completely, and the ease of use at the time of adding an additive improves.

수용부 하우징(71)의 제 2 측면부(714)에는 연결링크(721)가 통과하는 개구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부 하우징(71)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링크(721)의 후단이 개구부(715)를 통과하여 수용부 하우징(7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서 연결링크(721)는 세탁조 커버(6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n opening 715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link 72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ide portion 714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71. With the additive receptacle 72 positioned in the receptacle housing 71,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link 721 passes through the opening 715 and protrudes out of the receptacle housing 71. In this protruding portion, the connection link 721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washing tub cover 60.

예를들어, 연결링크(721)의 후단이 하부 커버(40)와 회전 결합(또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40)의 내측에는 연결링크(721)의 후단이 회전 결합되는 마운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링크(721)의 후단에는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또는,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함몰된 돌기 삽입홈)가 형성되고, 하부 커버(40)의 상기 마운트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돌기 삽입홈(또는, 돌기)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또는, 돌기 삽입홈)가 상기 돌기 삽입홈(또는, 돌기) 내에서 회전됨으로써 연결링크(721)가 상기 후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 하우징(71)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link 721 may be rotationally coupled (or hinged) with the lower cover 40. A mount (not shown)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cover 40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link 721 is rotatably coupled. 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link 72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or, protrusion insertion groove recessed upward and / or downward) protruding upward and / or downward, the mount of the lower cover 40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or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is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 (or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s rotated in the projection insertion groove (or projection) so that the connection link 721 is rotated about the rear en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installed in a linearly slidable manner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도 7을 참조하면, 첨가제 수용부(72)는,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사이폰 관(724)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부 커버(73)는 사이폰 관(724)을 덮는 사이폰 캡(73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may include a siphon tube 724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and the receiving portion cover 73 covers the siphon cap covering the siphon tube 724. 732 may be included.

사이폰 관(724)의 출구는 첨가제 수용부(72)의 바닥에 형성되고, 사이폰 캡(73)은 사이폰 관(7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액상의 첨가제를 공급하는데 적합하다.An outlet of the siphon tube 72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and the siphon cap 73 forms an annular flow passage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between the siphon tube 724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phon tube 724. Such a structure is suitable for supplying a liquid additive.

서브 디스펜서(70)로 물이 공급되어, 첨가제 수용부(72) 내의 수위가 점점 상승되면, 물이 상기 횡단면이 환형인 유로를 따라 상승하여 사이폰 관(724) 상단의 입구를 통해 사이폰 관(724) 내로 유입된 후, 사이폰 관(724) 하단의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배출된다.As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ub dispenser 70 and the water level in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gradually rises, the water rises along the annular flow path with the cross section through the inlet on the top of the siphon tube 724. After being introduced into 724, it is discharged into the container 30 through an outlet at the bottom of the siphon tube 724.

한편, 제 1 세탁조(6) 내의 세탁물과 제 2 세탁조(10) 내의 세탁물이 동시에 세탁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급수가 가능하여야 한다. 이하, 제 2 세탁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세탁조(6)로 어떻게 급수가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laundry in the first washing tank 6 and the laundry in the second washing tank 10 to be washed at the same time, water supply to the first washing tank 6 should be possible with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stalled. Hereinafter, how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washing tank 6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위에서 내려다 볼 시, 제 2 세탁조(10)의 외형은, 밸런서(20)의 지지부(22)와 접촉되는 제 1 구간(S1)과, 지지부(22)와 이격되는 제 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viewed from above, an appearance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may include a first section S1 contacting the support 22 of the balancer 20, and a seco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22. It may include a section (S2).

제 1 구간(S1)은 수직축(O)을 지나는 제 1 축(VII-VII로 표시된 선) 상에 위치하고, 제 2 구간(S2)은 수직축(O)을 지나고 상기 제 1 축과 직교하는 제 2 축(Y)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구간(S1)은 제 2 축(Y)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 2 구간(S2)은 상기 제 1 축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ction S1 is located on a first axis (line VII-VII)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axis O, and the second section S2 is a second cross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t can be located on the axis (Y). The first section S1 may be formed at both side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Y, and the second section S2 may be formed at both side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회전되어 제 1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제 2 구간(S2)과 밸런서(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컨테이너(30) 내로 급수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8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and aligned to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section S2 and the balancer 20. Water may be supplied into the container 30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어부의 구동부(8) 제어에 의해, 제 2 세탁조(10)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된 제 2 회전 위치로 정렬될 시, 메인 디스펜서(16)로부터 배출된 물은 급수구(51h)를 통해 서브 디스펜서(70)로 공급된다. 즉, 제 2 세탁조(10)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서, 급수구(51h)가 메인 디스펜서(16)의 출구와 정렬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급수구(51h)로 유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90도 회전된 위치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급수구(51h)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2 회전 위치와 상기 제 1 회전 위치 사이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제어부는 상기 세탁 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제 1 세탁조(6)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세탁조(10)는 제 1 세탁조(6)와 일체로 회전되므로, 제 1 세탁조(6)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은 제 2 세탁조(10)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기도 하다.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 unit 8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aligned with the second rotating position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rotating positio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main dispenser 16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ort 51h. Is supplied to the sub dispenser 70. That is, in the second washing tank 10, in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the water inlet 51h is aligned with the outlet of the main dispenser 16 so tha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flows into the water inlet 51h. . In the embodiment,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is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washing tub 6 i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However, when the position of the water inlet 51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and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may be chang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hing motor is capable of speed contro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ashing tank 6 or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ank 6 based on the speed of the washing motor. It is possible. Sinc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washing tank 6,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or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first washing tank 6 controls the rotation angle or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It is also.

구체적으로, 저수조 커버(14)에 제 1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가 구비되고, 제 2 세탁조(10)에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세탁조(10)의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 1 홀 센서가 상기 제 1 자석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제 2 세탁조(10)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또는, 제 1 자석의 위치), 회전 각도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제 1 세탁조(6)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 또는 상기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hall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reservoir cover 14, and a first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washing tank 10. While the second washing tank 10 is rotated, the first hall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first magnet and send a signal to the controller based on the first hall senso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the rotation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 the rotation angle, etc. of the second washing tub 1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based on this, the first washing tub 6 may The laundry motor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in a first rotational position or in a second rotational position.

한편, 세탁 모터의 로터에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가 상기 제 2 자석 인근의 고정된 구조(예를 들어, 저수조(4)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석은 상기 로터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 2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전술한 제 1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제 2 세탁조(10)가 제 1 회전 위치 또는 제 2 회전 위치에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magnet, the second Hall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second magnet is fixed structure (for example, the water tank 4 near the second magnet) )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o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ashing motor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hall sensor. In this case, the second washing tank 10 may be configured by consider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hall sensor. It can be controlled to be aligned in one rotational position or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상기 로터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세탁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상기 세탁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may be detected without a separate sensor. That is,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or in a sensorless manner. For example, after allowing a constant frequency phase current to flow through the washing motor,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washing motor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output current detected while the constant frequency current flows through the washing motor. Since the sensorless method corresponds to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컨테이너(30) 내로 급수가 완료된 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구동부(8)를 제어하여, 세탁을 실시한다. 이후, 세탁에 사용된 물이 제 2 세탁조(10)로부터 배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수는 제 2 세탁조(10)의 고속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in the container 3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8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lgorithm to perform the washing. Then, the water used for washing should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10, this drainage is made using the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second washing tank (10).

하부 커버(40)는 유입구(452h)가 형성된 바닥부(452)와, 바닥부(45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배출구(431)가 형성된 측벽부(4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40)는 제 1 개구부(40h)가 형성된 제 1 상면부(41)와, 제 1 개구부(40h)의 둘레에서 제 1 상면부(4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내벽부(42)와, 제 1 상면부(4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외벽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over 4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452 formed with an inlet 452h and a sidewall portion 43a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452 and having an outlet 431 formed therein. The lower cover 40 includes a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having a first opening portion 40h and a first inner wall portion 4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around the first opening portion 40h. ) And an outer wall portion 43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upper surface portion 41.

하부 커버(40)는 내측 손잡이(4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손잡이(410)의 일측면은 제 1 내벽부(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일측면은 제 1 개구부(40h)를 한정한다. 서브 디스펜서(70) 설치를 위한 개구부(42h)는, 상기 일측면에 형성되며, 개구부(42h)는 서브 디스펜서(70) 보다 더 높이까지 형성되어, 서브 디스펜서(70)와 내측 손잡이(410) 사이에, 손잡이(61)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lower cover 40 may include an inner handle 410. One side of the inner handle 410 may be formed by the first inner wall portion 42, in which case the one side defines the first opening 40h. An opening 42h for installing the sub dispenser 7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the opening 42h is formed at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sub dispenser 70, so as to be formed between the sub dispenser 70 and the inner handle 410. On holding the handle 61, a space through which a user's finger passes is formed.

상부 커버(50)는 제 2 개구부(50h)와 급수구(51h)가 형성된 제 2 상면부(5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내벽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51h)는 제 2 개구부(50h) 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The upper cover 50 includes a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50h and a water supply port 51h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rou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50h. 2 may include an inner wall portion 53. The water inlet 51h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opening 50h in the radial direction.

제 2 상면부(51)는, 급수구(51h)와 제 2 개구부(50h) 사이에 형성된 외측 손잡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는 제 2 상면부(51)에 속하는 손잡이 상면부(511)와, 제 2 개구부(50h)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써 제 2 내벽부(53)에 속하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와, 급수구(51h)의 둘레에서 손잡이 상면부(5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잡이 상면부(511), 제 1 손잡이 측면부(512) 및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에 의해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surface part 51 may include an outer handle 510 formed between the water inlet 51h and the second opening 50h. The outer handle 510 is a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belonging to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nd a second inner wall portion 53 as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around the second opening 50h. ) May include a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and a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around the water inlet 51h. That is, a groove having a “c” shape having a lower side formed by the handle upper surface portion 511,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and the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is formed.

상기 "ㄷ"자 형태의 홈 내에 내측 손잡이(410)가 삽입된다. 사용자가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함께 파지할 수 있어, 제 2 세탁조(10)를 들어 올릴 시, 상부 커버(50)와 하부 커버(4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The inner handle 4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etter "C". When the user grips the inner handle 410 and the outer handle 510 together, the upper cover 50 and the lower cover 4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lifting the second washing tank 10.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가 보다 공고하게 결합되도록, 내측 손잡이(410)와 외측 손잡이(510) 중 어느 하나에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hook (not shown) is formed on one of the inner handle 410 and the outer handle 510 so that the inner handle 410 and the outer handle 510 are mo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hook is caught by the hook. Grooves (not shown) may be formed.

한편, 상부 커버(50)의 제 2 내벽부(53)에는, 하부 커버(40)의 개구부(42h)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53h)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손잡이(510)의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내벽부(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손잡이 측면부(512)는 제 2 개구부(50h)를 한정한다.Meanwhile, the opening 53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ner wall portion 53 of the upper cover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42h of the lower cover 40.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of the outer handle 510 may be formed by the second inner wall portion 53, in which case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defines the second opening 50h.

개구부(53h)의 높이는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에 의해 정해진다. 제 1 손잡이 측면부(512)의 하단은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의 하단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opening 53h is defined by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The lower end of the first handle side portion 512 may be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한편, 상부 커버(50)는, 급수구(51h) 둘레에서, 특히, 제 2 손잡이 측면부(513)와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구간으로부터 유동 가이드(52)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손잡이 측면부(513)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상면부(51)로부터 연장된다. 유동 가이드(52)는 제 2 상면부(51)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하향하며 연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ver 50, the flow guide 52 may extend from the section located around the water inlet 51h, in particular,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That is, the flow guide 52 extends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51 at a position spaced out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handle side portion 513. The flow guide 52 extends gradually downward from the second upper surface 51 toward the inside in the radial direction.

도 9는 수용부 하우징과 슬라이더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이 조립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슬라이더와 결속탭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도 12에는 수용부 하우징은 생략되어 있음.) 도 13은 슬라이더가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는 슬라이더가 결속탭과 결속된 상태, (b)는 슬라이더가 결속탭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도 14에서 수용부 하우징은 생략되어 있음.) 도 15는 수용부 하우징이 하부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도 16은 상부 커버가 하부 커버로부터 분리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첨가제 수용부가 수용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receptacle housing and the slid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FIG. 9 viewed from another angle.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lider.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and the binding tab are engaged. (The housing part is omitted in Fig. 12.) Fig. 13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Fig. 14 (a) shows the state where the slider is engaged with the binding tab, and (b) shows the state where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The housing of the accommodating part is omitted in Fig. 14).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ary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is shown. 1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over. 1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dditive containing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containing housing.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수용부 하우징(71)은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 커버(40)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 하우징(71)은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부 커버(40)에 고정될 수 있다.9 to 17,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over 40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accommodated. The accommodating part housing 71 may be fixed to the lower cover 4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or bolts.

수용부 하우징(71)의 외측면으로부터 통공이 형성된 체결탭(71m1, 71m2)이 돌출될 수 있고, 하부 커버(40)에는 체결탭(47)과 대응하는 형태의 마운트 홈(40m1, 40m2, 40m3)이 형성될수 있다(도 15 참조.). 소정의 볼트가 상기 통공을 통과한 후 마운트 홈(40m1, 40m2, 40m3)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탭(47)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마운트 홈(40m1, 40m2, 40m3) 역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Fastening tabs 71m1 and 71m2 having a through hole may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housing 71, and the lower cover 40 may have mounting grooves 40m1, 40m2, and 40m3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tab 47. ) May be formed (see FIG. 15). A predetermined bolt may be fastened to a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mount grooves 40m1, 40m2, and 40m3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 plurality of fastening tabs 47 may be formed,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40m1, 40m2, and 40m3 may be formed.

수용부 하우징(71)은 전체적으로는 첨가제 수용부(72)를 감싸는 형태이고, 첨가제 수용부(72)가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어 출입구를 형성한다. 수용부 하우징(71)의 상면부(71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급수시 유동 가이드(52)를 따라 흘러 내린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첨가제 수용부(72)로 공급된다.Receiving portion housing 71 is a form surrounding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as a whole, the front surface is opened so that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can enter and exit to form an entranc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711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housing 71 so that wa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52 during water supply passes through the opening and is supplied to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수용부 하우징(71)은 상면부(711)로부터 이격된 하측에 하면부(712)가 형성되고, 첨가제 수용부(72)의 사이폰 관(724)을 통해 배출된 물이 하면부(712)를 따라 이동하여 컨테이너(30) 내로 공급된다.Receiving portion housing 71 has a lower surface portion 71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711,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tube 724 of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is the lower surface portion 712 It moves along and is supplied into the container 30.

수용부 하우징(71)에는 슬라이더(110)가 구비된다. 슬라이더(110)는 결속위치(도 14의 (a)에 도시된 위치)와 결속해제위치(도 14의 (b)에 도시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슬라이더(110)는, 수용부 하우징(71)의 상면부(711)와 하면부(712)를 연결하는 양쪽의 측면부들(713, 714) 중 어느 하나(이하, 제 1 측면부(713)라고 함.)에 설치될 수 있다.The receiver housing 71 is provided with a slider 110. The slider 110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binding position (a position shown in (a) of FIG. 14) and a release position (a position shown in (b) of FIG. 14). The slider 110 is referred to as any one of the side portions 713 and 714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portion 711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712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housing 7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ide portion 713). Can be installed in.)

상부 커버(50)에는 결속탭(57)이 구비되어, 슬라이더(110)가 상기 결속위치에 있을 시 결속탭(57)과 결속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속탭(57)은 유동 가이드(5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하단부에 슬라이더(110)와 맞물리는 걸림홈(57h)이 형성된다.The upper cover 50 is provided with a binding tab 57, and is engaged with the binding tab 57 when the slider 110 is in the binding position. Referring to FIG. 12, the binding tab 57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ow guide 52, and a locking groove 57h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to engage the slider 110.

수용부 하우징(71)은 슬라이더(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속위치와 상기 결속해제위치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71s)이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71s)은 제 1 측면부(713)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71s)은 직선형태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Receiving portion housing 71 is formed with a guide slot (71s) for guiding to move between the binding position and the disengagement position, the slider 110 is fitted. The guide slot 71s may be formed in the first side portion 713. The guide slot 71s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shape.

걸림홈(57h)은 가이드 슬롯(71s)과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110)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1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속위치에 이르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슬라이더(110)의 연결섹션(113)이 걸림홈(57h)내로 삽입되고, 슬라이더(110)가 제 2 방향(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시에는 연결섹션(113)이 걸림홈(57h)으로부터 이탈된다.The locking groove 57h may b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71s and may be opened toward the slider 110. Tha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lider 110 in the first direction to reach the binding position, the connecting section 113 of the slid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57h, and the slider 110 is secondly positioned.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connecting section 113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57h).

수용부 하우징(71)이 하부 커버(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10)를 상기 결속위치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110)와 결속탭(57)이 서로 결속되기 때문에, 상부 커버(50)가 하부 커버(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slider 110 and the binding tab 5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slider 110 is moved to the binding position while the housing portion 71 is coupled to the lower cover 40, the upper cover 50 is closed. Separation from the lower cover 40 can be prevented.

슬라이더(110)가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부 하우징(71) 내로 인입되면, 첨가제 수용부(7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실시예에 따라, 수용부 하우징(71)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 첨가제 수용부(72)가 직선이동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110)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drawn into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while the slider 110 is in the disengagement position,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rotated (in some embodiments, the accommodating housing). 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to be slidable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71, the slider 110 may be pushed to the binding position in the process of the linear movement of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다시말해, 첨가제 수용부(72)는 수용부 하우징(71) 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110)와 간섭되도록 구성되어, 첨가제 수용부(72)가 슬라이더(110)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더(110)를 상기 결속위치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첨가제 수용부(72)를 정위치(즉, 수용부 하우징(71) 내로 삽입된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슬라이더(110)와 결속탭(57)이 결속된다.In other words,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is configured to interfere with the slider 110 in the process of being received into the receiving housing 71 so that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72 can push the slider 110 to the binding position. Can be.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operate the slider 110 in the binding position, the slider 110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into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 And the binding tab 57 are bound.

슬라이더(110)는 수용부 하우징(7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섹션(111)과, 수용부 하우징(71)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측섹션(112)과, 가이드 슬롯(71s)을 통과하여 내측섹션(111)과 외측섹션(112)을 연결하는 연결섹션(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 110 passes through an inner section 111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an outer section 112 located outside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and a guide slot 71 s. It may include a connection section 113 connecting the section 111 and the outer section 112.

연결섹션(113)은 수용부 하우징(71)과 외측섹션(112) 사이에서 결속탭(57)과 연결된다. 연결섹션(113)은 가이드 슬롯(71s) 내에서 이동되며, 슬라이더(110)가 상기 결속위치에 있을 시 결속탭(57)의 걸림홈(57h) 내로 삽입된다. The connecting section 113 is connected with the binding tab 57 between the receiving housing 71 and the outer section 112. The connecting section 113 is moved in the guide slot 71s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57h of the binding tab 57 when the slider 110 is in the binding position.

내측섹션(111)과 외측섹션(112)은 가이드 슬롯(71s)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섹션(111) 또는 외측섹션(112)은 연결섹션(113)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섹션(113)을 분리한 상태에서 가이드 슬롯(71s) 내에 삽입한 후, 내측섹션(111) 또는 외측섹션(112)을 연결섹션(113)과 결합할 수 있다.The inner section 111 and the outer section 112 may have a size or shape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guide slot 71s. In this case, the inner section 111 or the outer section 1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section 113, and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71s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section 113 is separated, and then the inner section ( 111 or the outer section 112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section 113.

내측섹션(111)은 간섭돌기(111a)를 구비할 수 있다. 간설돌기(111a)는 주변부보다 돌출된 형태로써, 첨가제 수용부(72)가 수용부 하우징(71) 내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간섭돌기(111a)와 간섭되며 슬라이더(110)를 상기 체결위치로 이동시킨다.The inner section 111 may have an interference protrusion 111a. The interstitial protrusion 111a protrudes from the periphery, and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rotrusion 111a while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72 is received into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to move the slider 110 to the fastening position. .

하부 커버(40)에는 외측섹션(1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49)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110)변위에 대응하여 내측섹션(111)이 이동안내홈(49) 내에서 이동된다. 이동안내홈(49)은 수용부 하우징(71)의 제 1 측면부(713)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40 may have a movement guide groove 49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uter section 112. The inner section 111 is moved within the movement guide groove 49 in response to the slider 110 displacement. The movement guide groove 49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portion 713 of the accommodating housing 71.

이동안내홈(49)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10)가 결속탭(57)과 분리되고, 체결탭(47)의 볼트도 제거한 상태에서, 수용부 하우징(71)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110)가 이동안내홈(49)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guide groove 49 is open, and as shown in FIG. 15, the housing 110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57 and the bolt of the fastening tab 47 is removed. When the 7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slider 110 may exit through the open lower end of the movement guide groove 49.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 1 세탁조; 및
상기 제 1 세탁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세탁조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세탁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세탁조의 회전시 상기 컨테이너 내에서 상승한 수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제 2 세탁조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커버와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한정하는 상부 커버;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되는 수용부 하우징;
첨가제를 수용하고, 상기 출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부 하우징 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첨가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 하우징 상에서 결속위치와 결속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위치에 있을 시, 상기 슬라이더와 결속되는 결속탭을 구비하는 세탁기.
A first washing tub rotated about a vertical axis; And
A second washing tank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being integrally rotated with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A container containing laundry;
A low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up in the container when the first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shing tank ;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cover and defining a flow path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etween the lower cover;
An accommodation housing formed with an entrance and coupled with the lower cover;
An additiv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n additive and being retractably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part housing through the doorway; And
A slider provided on the accommodation housing to move between a binding position and a release position;
The upper cover,
And a binding tab engaged with the slider when the slider is in the binding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결속위치와 상기 결속해제위치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탭은,
상기 가이드 슬롯과 대응하는 높이에, 상기 슬라이더와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slider is fitted, a guide slot for guiding to move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and the release position, is formed,
The binding tab,
Washing machine is formed i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t, the engaging groove is engaged with the sli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있을시 상기 결속탭과 분리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der is,
The washing machine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when in the release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서 이동되는 연결섹션;
상기 수용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연결섹션과 연결되는 내측섹션; 및
상기 수용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섹션과 연결되는 외측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섹션은,
상기 수용부 하우징과 상기 외측섹션 사이에서 상기 결속탭과 연결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der is,
A connecting section moved within the guide slot;
An inner sec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at an inside of the accommodation housing; And
An outer sec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ction at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part,
The connection section,
Washing machine connected to the binding tab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uter s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에는,
상기 외측섹션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변위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섹션의 이동이 안내되는 이동안내홈이 형성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wer cover,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outer section, the movement of the inner section is guided in response to the displacement of the slid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홈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탭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홈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개방된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end of the movement guide groove, the washing machine is opened so as to exit from the movement guide groove in a state where the slider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ta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는,
상기 하부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출입구를 출입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itive containing portion,
A washing machin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ver to access the doorw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가 상기 수용부 하우징 내로 인입되면, 상기 첨가제 수용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어 이동시키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washing machine for pushing the slider to the binding posi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additiv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additive accommodating part is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housing while the slider is in the disengaging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 하우징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itive containing portion,
Washing machine provided to be slidable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결속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첨가제 수용부가 상기 수용부 하우징 내로 인입되면, 상기 첨가제 수용부가 직선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결속위치로 밀어 이동시키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9,
A washing machine for pushing the slider to the binding position dur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additive receiving portion when the additive accommodat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part while the slider is in the disengaging position.
KR1020180043267A 2018-01-15 2018-04-13 Washing machine KR1024235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67A KR102423570B1 (en) 2018-04-13 2018-04-13 Washing machine
US16/962,366 US11608582B2 (en) 2018-01-15 2019-01-15 Washing machine
AU2019207224A AU2019207224B2 (en) 2018-01-15 2019-01-15 Washing machine
PCT/KR2019/000599 WO2019139454A1 (en) 2018-01-15 2019-01-15 Washing machine
CN201980018644.4A CN111836924B (en) 2018-01-15 2019-01-15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67A KR102423570B1 (en) 2018-04-13 2018-04-13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25A true KR20190119825A (en) 2019-10-23
KR102423570B1 KR102423570B1 (en) 2022-07-20

Family

ID=6846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67A KR102423570B1 (en) 2018-01-15 2018-04-13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5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9344A (en) * 2014-01-27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60084078A (en) *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06A (en) * 2013-09-12 2015-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9344A (en) * 2014-01-27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KR20160084078A (en) *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shing machine
WO2017217810A1 (en) * 2016-06-17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570B1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582B2 (en) Washing machine
US11718947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90119825A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5B1 (en) Washing machine
KR102509990B1 (en) Washing machine
KR102423574B1 (en) Washing machine
US11414803B2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56384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2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8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0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5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56383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0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82B1 (en) Washing machine
KR102456379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861B1 (en) Washing machine
KR102548155B1 (en) Washing machine
KR102488372B1 (en) Washing machine
KR1024627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521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2537142B1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