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762A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762A
KR20190119762A KR1020180043120A KR20180043120A KR20190119762A KR 20190119762 A KR20190119762 A KR 20190119762A KR 1020180043120 A KR1020180043120 A KR 1020180043120A KR 20180043120 A KR20180043120 A KR 20180043120A KR 20190119762 A KR20190119762 A KR 2019011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laundry
bars
interv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341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8004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3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고 두꺼운 빨래에 대해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걸어 말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는,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한 빨래 건조대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빨래가 걸리는 복수의 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바는, 상기 지지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바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제2 및 제3 건조바 사이의 제2 간격과 다르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Laundry drying rack}
본 발명은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 건조대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걸어 말리기 위한 골조 구조물로,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고, 좁은 면적에 많은 세탁물을 걸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천장에 매달아 사용하는 천장형 빨래 건조대와 바닥에 세워 사용하는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등으로 대별된다.
도 1은 기존의 천장형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033호에 개시된 천장형 빨래 건조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주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베란다 천장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부(20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커니즘을 가지는 승강부(300)와, 지지부(400)와, 지지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져 빨래를 너는 건조부(500)와, 승강부를 통해 지지부를 당기는 와이어(90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참고로, 여기에 사용된 도면 부호는 문헌에 사용된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후술할 본원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도면 부호와 동일하게 겹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기존의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기술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488호에 개시된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바(110)와, 중앙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날개처럼 펼쳐지거나 접히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0)과, 지지 프레임(120)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봉으로 이루어져 빨래를 너는 빨래 거치부(130)와, 중앙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한 쌍의 절첩 레그(140)와, 절첩 레그(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버팀대(150)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한다. 참고로, 여기에 사용된 도면 부호는 문헌에 사용된 것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후술할 본원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도면 부호와 동일하게 겹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대적으로 넓고 두꺼운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해, 하나의 봉만을 사용하게 되면 빨래가 겹치면서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냄새 등이 발생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천장형이나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의 경우 넓고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는 두 개의 봉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빨래 건조대는, 빨래를 거는 복수의 봉이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하나의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해 두 개의 봉을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빨래를 널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넓고 두꺼운 빨래에 대해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걸어 말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빨래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한 빨래 건조대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빨래가 걸리는 복수의 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바는, 상기 지지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바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제2 및 제3 건조바 사이의 제2 간격과 다르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4 내지 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대략 20mm일 수 있고, 상기 제2 간격은 대략 30 내지 80mm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건조바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제3 건조바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 및 제5 건조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및 제4 건조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간격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4 및 제5 건조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건조바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통기공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기공 중 일부는 상기 각각의 건조바의 제1 부분에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통기공 중 다른 일부는 상기 각각의 건조바의 제2 부분에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한 빨래 건조대로, 지지부와 복수의 건조바를 포함하고, 복수의 건조바는, 지지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건조바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건조바 사이의 제1 간격은, 제2 및 제3 건조바 사이의 제2 간격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상대적으로 넓고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및 제2 건조바 두 개를 이용하여 걸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좁고 얇은 빨래에 대해서는 간격이 상대적으로 큰 제2 및 제3 건조바 각각에 걸 수 있어, 즉 기존과 달리 넓고 두꺼운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해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및 제2의 건조바 두 개를 사용하게 되어,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걸어 말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건조바에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건조바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빨래의 부분에 대해서도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순환으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통기공 중 일부는 각각의 건조바의 제1 부분에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복수의 통기공 중 다른 일부는 각각의 건조바의 제2 부분에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상대적으로 얇은 빨래에 대해서는 건조바 중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공이 배치된 제2 부분에 걸어 말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는 건조바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공이 배치된 제1 부분에 걸어 말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도 건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천장형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빨래 건조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빨래 건조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빨래 건조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래 건조대(100)는,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한 빨래 건조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복수의 건조바(1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건조바(1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천장, 벽 또는 바닥에 별도의 걸이 구조물(미도시)이나 받침 구조물(미도시) 등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 구조물(도 1의 200 및 300 참조)은 천장이나 벽에 고정되어 지지부를 천장이나 벽에 고정시킬 수 있고, 받침 구조물(도 2의 140 참조)은 지지부를 바닥에 받칠 수 있다.
복수의 건조바(120)는, 빨래를 실질적으로 걸어 말리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복수의 건조바(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건조바(120)가 지지부(11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건조바(121)(122)(123)를 포함할 경우, 제1 및 제2 건조바(121)(122) 사이의 제1 간격(G1)은, 제2 및 제3 건조바(122)(123) 사이의 제2 간격(G2)과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G1)은 제2 간격(G2)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넓고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인 제1 간격(G1) 떨어진 제1 및 제2 건조바(121)(122) 두 개를 이용하여 걸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좁고 얇은 빨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간격인 제2 간격(G2) 떨어진 제2 및 제3 건조바(122)(123) 각각에 걸 수 있어, 즉 기존과 달리 넓고 두꺼운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해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및 제2의 건조바(121)(122) 두 개를 사용하게 되어,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걸어 말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간격(G1)은 제2 간격(G2)의 1/4 내지 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G1)은 대략 20mm일 수 있고, 제2 간격(G2)은 대략 30 내지 80mm일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빨래 건조대의 경우 건조바 사이의 간격이 일률적으로 100mm임을 감안할 경우 상술한 제1 및 제2 간격(G1)(G2)은 모두가 이에 비해 감소된 수치를 가짐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건조바(120)가 설치될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빨래를 더 많이 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너비 및 두께가 큰 빨래 들에 대해서도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 및 제2 건조바(121)(122) 두 개를 사용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도 걸어 말릴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복수의 건조바(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제3 건조바(123)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 및 제5 건조바(124)(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건조바(123)(124) 사이의 간격은 제1 간격(G1)과 동일할 수 있고, 제4 및 제5 건조바(124)(125) 사이의 간격은 제2 간격(G2)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간격(G1)(G2)이 반복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넓고 두꺼운 빨래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제1 간격(G1) 이격된 제1 및 제2 건조바(121)(122)나 제3 및 제4 건조바(123)(124) 각각에 좁고 얇은 빨래를 걸어 말리면 된다.
이와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건조바(120)에는 복수의 통기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바(120)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빨래의 부분에 대해서도 통기공(130)을 통한 공기의 순환으로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통기공(13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빨래가 건조바(120)를 기준으로 접힐 경우, 빨래의 접힌 부분 사이의 공기가 통기공(130)을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기공(130) 중 일부는 각각의 건조바(120)의 제1 부분(120a)에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통기공(130) 중 다른 일부는 각각의 건조바(120)의 제2 부분(120b)에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얇은 빨래에 대해서는 건조바(120) 중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공(130)이 배치된 제2 부분(120b))에 걸어 말릴 수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는 건조바(120) 중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공(130)이 배치된 제1 부분(120a)에 걸어 말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두꺼운 빨래에 대해서도 건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빨래 건조대 110: 지지부
120: 복수의 건조바 120a: 건조바의 제1 부분
120b: 건조바의 제2 부분 121: 제1 건조바
122: 제2 건조바 123: 제3 건조바
124: 제4 건조바 125: 제5 건조바
130: 통기공 G1: 제1 간격
G2: 제2 간격

Claims (3)

  1. 빨래를 걸어 말리기 위한 빨래 건조대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빨래가 걸리는 복수의 건조바;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바는,
    상기 지지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건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건조바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제2 및 제3 건조바 사이의 제2 간격과 다르게 이루어지는
    빨래 건조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의 1/4 내지 2/3로 이루어지는
    빨래 건조대.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건조바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제3 건조바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4 및 제5 건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건조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간격과 동일하고,
    상기 제4 및 제5 건조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간격과 동일한
    빨래 건조대.
KR1020180043120A 2018-04-13 2018-04-13 빨래 건조대 KR10204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20A KR102042341B1 (ko) 2018-04-13 2018-04-13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20A KR102042341B1 (ko) 2018-04-13 2018-04-13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62A true KR20190119762A (ko) 2019-10-23
KR102042341B1 KR102042341B1 (ko) 2019-11-07

Family

ID=6846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20A KR102042341B1 (ko) 2018-04-13 2018-04-13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3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128A (ko) * 2011-04-06 2012-10-16 이영선 적외선 빨래 건조대
KR20130020111A (ko) * 2011-08-19 2013-02-27 박진상 건조효율성을 향상시킨 빨래건조대
KR20160119980A (ko) * 2015-04-07 2016-10-17 신성현 천정 고정형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128A (ko) * 2011-04-06 2012-10-16 이영선 적외선 빨래 건조대
KR20130020111A (ko) * 2011-08-19 2013-02-27 박진상 건조효율성을 향상시킨 빨래건조대
KR20160119980A (ko) * 2015-04-07 2016-10-17 신성현 천정 고정형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341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852B2 (en) Drying rack
KR20110007533U (ko) 다단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130136894A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200457494Y1 (ko) 다단식 세탁물 건조대
KR102042341B1 (ko) 빨래 건조대
KR102024771B1 (ko) 확장형 보조 걸이대를 갖는 이단 빨래 건조대
KR100966023B1 (ko)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KR20130060395A (ko) 걸이봉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세탁물건조대
KR20080064388A (ko) 빨래건조대의 행거 거치구조
KR20050027232A (ko) 빨래 건조대
CN206256294U (zh) 晾衣架和柜体
KR20100063689A (ko) 벽면 접철식 다단 세탁물 건조대
KR102026896B1 (ko) 도어에 설치하는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2411827B1 (ko) 세탁물건조대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RU22781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белья
KR200465052Y1 (ko) 난간 거치형 건조대
KR200361295Y1 (ko) 세탁물 건조대의 행거 구조
KR101291733B1 (ko) 빨래건조대
TWM628032U (zh) 曬衣架結構
KR200473928Y1 (ko) 가구 삽입형 건조대
KR200360691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660642B1 (ko)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
KR20160130656A (ko) 빨래 건조대
KR101877762B1 (ko) 협소한 공간용 접이식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