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550A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9550A KR20190119550A KR1020190122463A KR20190122463A KR20190119550A KR 20190119550 A KR20190119550 A KR 20190119550A KR 1020190122463 A KR1020190122463 A KR 1020190122463A KR 20190122463 A KR20190122463 A KR 20190122463A KR 20190119550 A KR20190119550 A KR 201901195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neural network
- artificial neural
- metadata
- resolu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0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38000003062 neural network model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8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527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225 synaps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06 support-vector machin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RILYTVJVMAKLC-UHFFFAOYSA-N Adamantane Natural products C1C(C2)CC3CC1CC2C3 ORILYTVJVMAK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66 decision tre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53844 APP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189105 Homo sapiens PABPC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9424 Polyadenylate-binding protein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9 biologic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24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78 gradient desc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0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34 memory perform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11 regress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46—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usin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06T3/4076—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using the original low-resolution images to iteratively correct the high-resolution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68—Image quality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의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그룹 중에서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은 기계학습을 통해 생성된 심층 신경망일 수 있고, 동영상의 입력 및 출력은 5G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영상(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슈퍼 레졸루션 이미징(super resolution imaging)을 위해, 이미지에 메타데이터(metadata) 기반의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이용함으로써 처리 속도와 품질을 향상시키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처리 기술(image processing technology)은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거나 이미지로부터 특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이미지에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미지 처리 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자율주행 차량, 보안 모니터링 시스템, 화상 통신, 고화질 영상 전송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 5G 통신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미지 처리 기술도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저해상도 정지영상 이미지 및 저해상도 동영상의 각 프레임(frame) 이미지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변환시키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저해상도 이미지를 처리하여 고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슈퍼 레졸루션 기술에는 주로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에 기반한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 개발에 의해 수퍼 레졸루션에 사용되는 다양한 인공 신경망의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딥 러닝을 SISR(Single Image Single Resolution) 분야에 처음으로 도입한 연구에서는 3 개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를 이용했으나, 최근 20개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를 이용하거나 인공 신경망 프레임워크의 관점에서 업 샘플링 모듈(up sampling module)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구조의 딥러닝 슈퍼 레졸루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에 대한 선택은 학습된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저해상에 대한 이미지의 고해상도 이미지의 변환 품질이 다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1은 동영상에 대하여 슈퍼 레졸루션(super resolution)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동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입력 프레임에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및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 1은 복수의 프레임 간의 불연속적 아티팩트(artifact)를 해결하고자 연속된 프레임을 동시에 신경망에 입력하지 않고 입력 프레임에 RNN 및 CNN을 순차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동일한 방식의 CNN을 적용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 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서 동일한 고해상도 이미지 변환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 2는 움직임 보상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전후 인접 프레임의 시공간적 정보를 활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동일한 방식의 CNN을 적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방식으로 훈련된 신경망 모델을 서로 다른 정지영상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영상의 다양한 프레임 이미지들에 대해 적합한 방식으로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개시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개시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개시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종래의 기술에서 정해진 하나의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모든 이미지에 동일한 고해상도 이미지 변환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지의 내용을 고려하지 않고 서로 다른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동일한 인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슈퍼 레졸루션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영상 재생 장치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서로 다른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높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동일한 인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영상 재생 장치가 효율적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변환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영상 데이터의 저해상도 영상마다 각 영상에 적합한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하여 해상도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해상도 향상의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킨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는 영상의 내용(context)을 반영하여 각 영상에 적합한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하여 해상도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해상도 향상의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킨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는 동영상 데이터의 각 영상 프레임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 및 가중 계수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 메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의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metadata)를 분석하는 단계,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그룹 중에서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저해상도 영상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저해상도 영상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생성된 고해상도 영상을 버퍼에 미리 설정된 기준 동안 저장하는 단계 및 버퍼로부터 순차적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상 그룹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메타 데이터는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과 각각 관련된 제1 가중 계수(weighting factor) 및 제2 가중 계수를 포함하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저해상도 영상에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각각 적용하여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제1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제2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합성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이전에, 영상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 생성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영상 데이터의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고해상도 영상들의 품질을 비교하여,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에서,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황(context) 판단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저해상도 영상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에서,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선택된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의 파라미터 또는 영상 데이터의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로딩하고,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 그룹 중에서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code)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 데이터는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과 각각 관련된 제1 가중 계수 및 제2 가중 계수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저해상도 영상에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각각 적용하여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고,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제1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제2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합성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는,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저해상도 영상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메모리는,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저해상도 영상에 각각 적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영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s)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따라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모리는,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기반하여 복수의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하고,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 중 어느 한 인스턴스에 저해상도 영상을 전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모리는,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 중 어느 한 인공 신경망 모델에 기반한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를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에 저해상도 영상을 전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타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해시 값(hash value)을 더 포함하고, 메모리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해시 값과 로딩된 영상 데이터의 해시 값을 비교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생성한 고해상도 영상들을 비교하여,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그룹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메모리는, 영상 그룹의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에 해당하는 저해상도 영상을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고,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를 메타 데이터에 영상 그룹 별로 저장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에서, 메모리는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미리 설정된 태그(tag)로 구별하여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에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프레임 이미지 마다 서로 다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미지의 고해상도 변환 시 해상도 향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이미지의 내용에 기반해 이미지마다 적합한 인공 신경망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이미지의 고해상도 변환 시 해상도 향상의 성능과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영상 재생 장치의 성능을 고려하여 슈퍼 레졸루션 처리를 수행할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선택하여 해상도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영상 재생 장치의 성능과 무관하게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 및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매니페스트 파일의 메타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 및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재생 장치의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매니페스트 파일의 메타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서버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은 전자 장치(100), 컨텐츠 제공 장치(200),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 및 이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물 지능 통신(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 IoST(internet of small things) 등)을 지원할 수 있으며, M2M(machine to machine) 통신, D2D(device to device)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물 인터넷을 위해 연결된 5G 환경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알고리즘 및/또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 콘솔, 프로젝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어,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셋톱박스(STB),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사이니지, 스마트 TV,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 어떤 종류의 연산 디바이스든 될 수 있고, 고정형 기기 및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가정에서 이용하는 다양한 가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한 로봇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물 인터넷을 위해 연결된 5G 환경에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5G 통신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이동 전자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전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0)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예를 들어 MCU, GPU, AI 가속기(AI accelerator chi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분석 및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지능적 에뮬레이션(즉, 지식 기반 시스템, 추론 시스템 및 지식 획득 시스템)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이는 적응 시스템, 기계 학습 시스템, 인공 신경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시스템(예컨대, 퍼지 논리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에서 수행한 결과를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 모듈, 햅틱 모듈, 광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 ROM, EEPROM, EPRO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디스크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122) 및 프로세서들(110)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전자 장치(100)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124)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해 사용자로부터 명령들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스크린, 마이크, 카메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과 모니터,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해상도가 향상되기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또한 인공 지능 기술이 적용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을 저장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지능 기술이 적용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심층 신경망 또는 다른 타입의 머신 러닝 모델들과 같은 다양한 학습 모델들이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파라미터가 결정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 또는 학습된 모델(a trained model)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공지능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에는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명시적인 프로그램 없이 배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연구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머신 러닝은,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하고 예측을 수행하고 스스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구축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머신 러닝의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정해진 정적인 프로그램 명령들을 수행하는 것이라기보다,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이나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특정한 모델을 구축하는 방식을 취한다.
용어 '머신 러닝'은 용어 '기계 학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계 학습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가를 놓고, 많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나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 서포트벡터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그리고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등이 대표적이다.
의사결정나무는 의사결정규칙(Decision Rule)을 나무구조로 도표화하여 분류와 예측을 수행하는 분석방법이다.
베이지안 망은 다수의 변수들 사이의 확률적 관계(조건부독립성: conditional independence)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하는 모델이다. 베이지안 망은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한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에 적합하다.
서포트벡터머신은 패턴인식과 자료분석을 위한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의 모델이며, 주로 분류와 회귀분석을 위해 사용한다.
인공신경망은 생물학적 뉴런의 동작원리와 뉴런간의 연결 관계를 모델링한 것으로 노드(node) 또는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라고 하는 다수의 뉴런들이 레이어(layer) 구조의 형태로 연결된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인공 신경망은 기계 학습에서 사용되는 모델로써, 기계학습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의 신경망(동물의 중추신경계 중 특히 뇌)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이다.
구체적으로 인공신경망은 시냅스(synapse)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이 학습을 통해 시냅스의 결합 세기를 변화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인공신경망은 용어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뉴런(neur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은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가지 인자, 즉 (1) 다른 레이어의 뉴런들 사이의 연결 패턴 (2) 연결의 가중치를 갱신하는 학습 과정 (3) 이전 레이어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대한 가중 합으로부터 출력값을 생성하는 활성화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MLP(Multilayer Perceptron),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같은 방식의 네트워크 모델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레이어'는 용어 '계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신경망은 계층 수에 따라 단층 신경망(Single-Layer Neural Networks)과 다층 신경망(Multi-Layer Neural Networks)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단층 신경망은, 입력층과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다층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과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 출력층(Output Layer)으로 구성된다.
입력층은 외부의 자료들을 받아들이는 층으로서, 입력층의 뉴런 수는 입력되는 변수의 수와 동일하며, 은닉층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위치하며 입력층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특성을 추출하여 출력층으로 전달한다. 출력층은 은닉층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수신한 신호에 기반한 출력 값을 출력한다. 뉴런간의 입력신호는 각각의 연결강도(가중치)와 곱해진 후 합산되며 이 합이 뉴런의 임계치보다 크면 뉴런이 활성화되어 활성화 함수를 통하여 획득한 출력값을 출력한다.
한편 입력층과 출력 층 사이에 복수의 은닉층을 포함하는 심층 신경망은, 기계 학습 기술의 한 종류인 딥 러닝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한편 용어 '딥 러닝'은 용어 '심층 학습'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를 이용하여 학습(training)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이란, 입력 데이터를 분류(classification)하거나 회귀분석(regression)하거나 군집화(clustering)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parameter)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의 대표적인 예시로써, 시냅스에 부여되는 가중치(weight)나 뉴런에 적용되는 편향(bias)을 들 수 있다.
훈련 데이터에 의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가 가지는 패턴에 따라 분류하거나 군집화 할 수 있다.
한편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본 명세서에서는 학습 모델(a trained model)이라 명칭 할 수 있다.
다음은 인공 신경망의 학습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 방식은 크게, 지도 학습, 비 지도 학습, 준 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훈련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기계 학습의 한 방법이다.
그리고 이렇게 유추되는 함수 중, 연속적인 값을 출력하는 것을 회귀분석(Regression)이라 하고, 입력 벡터의 클래스(class)를 예측하여 출력하는 것을 분류(Classification)라고 할 수 있다.
지도 학습에서는, 훈련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label)이 주어진 상태에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킨다.
여기서 레이블이란, 훈련 데이터가 인공 신경망에 입력되는 경우 인공 신경망이 추론해 내야 하는 정답(또는 결과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훈련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인공 신경망이 추론해 내야 하는 정답(또는 결과값)을 레이블 또는 레이블링 데이터(labeling data)이라 명칭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을 위하여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을 설정하는 것을,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링 데이터를 레이블링(labeling) 한다고 명칭 한다.
이 경우 훈련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블)은 하나의 트레이닝 셋(training set)을 구성하고, 인공 신경망에는 트레이닝 셋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훈련 데이터는 복수의 특징(feature)을 나타내고, 훈련 데이터에 레이블이 레이블링 된다는 것은 훈련 데이터가 나타내는 특징에 레이블이 달린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훈련 데이터는 입력 객체의 특징을 벡터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링 데이터의 연관 관계에 대한 함수를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 신경망에서 유추된 함수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가 결정(최적화)될 수 있다.
비 지도 학습은 기계 학습의 일종으로, 훈련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비 지도 학습은, 훈련 데이터 및 훈련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블의 연관 관계 보다는, 훈련 데이터 자체에서 패턴을 찾아 분류하도록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학습 방법일 수 있다.
비 지도 학습의 예로는, 군집화 또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군집화'는 용어 '클러스터링'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을 이용하는 인공 신경망의 일례로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오토 인코더(AE: Autoencoder)를 들 수 있다.
생성적 적대 신경망이란, 생성기(generator)와 판별기(discriminator), 두 개의 서로 다른 인공지능이 경쟁하며 성능을 개선하는 머신 러닝 방법이다.
이 경우 생성기는 새로운 데이터를 창조하는 모형으로,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판별기는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형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원본 데이터인지 또는 생성기에서 생성한 새로운 데이터인지 여부를 감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기는 판별기를 속이지 못한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학습하며, 판별기는 생성기로부터 속은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학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기는 판별기를 최대한 잘 속이도록 진화할 수 있고, 판별기는 원본 데이터와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잘 구분하도록 진화할 수 있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 자체를 출력으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신경망이다.
오토 인코더는 입력층, 적어도 하나의 은닉층 및 출력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은닉 계층의 노드 수가 입력 계층의 노드 수보다 적으므로 데이터의 차원이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 또는 인코딩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은닉 계층에서 출력한 데이터는 출력 계층으로 들어간다. 이 경우 출력 계층의 노드 수는 은닉 계층의 노드 수보다 많으므로, 데이터의 차원이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 해제 또는 디코딩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오토 인코더는 학습을 통해 뉴런의 연결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입력 데이터가 은닉층 데이터로 표현된다. 은닉층에서는 입력층보다 적은 수의 뉴런으로 정보를 표현하는데 입력 데이터를 출력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은닉층이 입력 데이터로부터 숨은 패턴을 발견하여 표현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준 지도 학습은 기계 학습의 일종으로, 레이블이 주어진 훈련 데이터와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은 훈련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는 학습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준 지도 학습의 기법 중 하나로,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은 훈련 데이터의 레이블을 추론한 후 추론된 라벨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기법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은 레이블링에 소요되는 비용이 큰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강화 학습은, 에이전트(Agent)가 매 순간 어떤 행동을 해야 좋을지 판단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진다면, 데이터 없이 경험으로 가장 좋을 길을 찾을 수 있다는 이론이다.
강화 학습은 주로 마르코프 결정 과정(MDP: Markov Decision Process)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마르코프 결정 과정을 설명하면, 첫 번째로 에이전트가 다음 행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구성된 환경이 주어지며, 두 번째로 그 환경에서 에이전트가 어떻게 행동할지 정의하고, 세 번째로 에이전트가 무엇을 잘하면 보상(reward)를 주고 무엇을 못하면 벌점(penalty)을 줄지 정의하며, 네 번째로 미래의 보상이 최고점에 이를 때까지 반복 경험하여 최적의 정책(policy)을 도출하게 된다.
인공 신경망은 모델의 구성, 활성 함수(Activation Function), 손실 함수(Loss Function) 또는 비용 함수(Cost Function), 학습 알고리즘, 최적화 알고리즘 등에 의해 그 구조가 특정되며, 학습 전에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가 미리 설정되고, 이후에 학습을 통해 모델 파라미터(Model Parameter)가 설정되어 내용이 특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공 신경망의 구조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은닉층의 개수, 각 은닉층에 포함된 은닉 노드의 개수, 입력 특징 벡터(Input Feature Vector), 대상 특징 벡터(Target Feature Vec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이퍼파라미터는 모델 파라미터의 초기값 등과 같이 학습을 위하여 초기에 설정하여야 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델 파라미터는 학습을 통하여 결정하고자 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이퍼파라미터에는 노드 간 가중치 초기값, 노드 간 편향 초기값, 미니 배치(Mini-batch) 크기, 학습 반복 횟수, 학습률(Learning Ra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델 파라미터에는 노드 간 가중치, 노드 간 편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 과정에서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기준)로 이용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에서 학습은 손실 함수를 줄이기 위하여 모델 파라미터들을 조작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학습의 목적은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주로 평균 제곱 오차(MSE: Mean Squared Error) 또는 교차 엔트로피 오차(CEE, Cross Entropy Erro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교차 엔트로피 오차는 정답 레이블이 원 핫 인코딩(one-hot encoding)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원 핫 인코딩은 정답에 해당하는 뉴런에 대하여만 정답 레이블 값을 1로, 정답이 아닌 뉴런은 정답 레이블 값이 0으로 설정하는 인코딩 방법이다.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에서는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에는 경사 하강법(GD: Gradient Descent), 확률적 경사 하강법(SGD: Stochastic Gradient Descent), 모멘텀(Momentum), NAG(Nesterov Accelerate Gradient), Adagrad, AdaDelta, RMSProp, Adam, Nadam 등이 있다.
경사 하강법은 현재 상태에서 손실 함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손실 함수값을 줄이는 방향으로 모델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기법이다.
모델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방향은 스텝(step) 방향, 조정하는 크기는 스텝 사이즈(size)라고 칭한다.
이때, 스텝 사이즈는 학습률을 의미할 수 있다.
경사 하강법은 손실 함수를 각 모델 파라미터들로 편미분하여 기울기를 획득하고, 모델 파라미터들을 획득한 기울기 방향으로 학습률만큼 변경하여 갱신할 수 있다.
확률적 경사 하강법은 학습 데이터를 미니 배치로 나누고, 각 미니 배치마다 경사 하강법을 수행하여 경사 하강의 빈도를 높인 기법이다.
Adagrad, AdaDelta 및 RMSProp는 SGD에서 스텝 사이즈를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SGD에서 모멘텀 및 NAG는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Adam은 모멘텀과 RMSProp를 조합하여 스텝 사이즈와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Nadam은 NAG와 RMSProp를 조합하여 스텝 사이즈와 스텝 방향을 조절하여 최적화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이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 속도와 정확도는 인공 신경망의 구조와 학습 최적화 알고리즘의 종류뿐만 아니라, 하이퍼파라미터에 크게 좌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좋은 학습 모델을 획득하기 위하여는 적당한 인공 신경망의 구조와 학습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당한 하이퍼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하이퍼파라미터는 실험적으로 다양한 값으로 설정해가며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켜보고, 학습 결과 안정적인 학습 속도와 정확도를 제공하는 최적의 값으로 설정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인공 지능 기술이 적용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먼저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 의해 트레이닝 단계를 거쳐 생성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저장되었다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혹은 요청에 의하여 전자 장치(100)에 기계 학습 또는 딥 러닝에 의하여 학습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으로서, 저해상도 동영상이 입력되면 고해상도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정지영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frame image)를 처리하도록 훈련된 학습 모델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서 트레이닝 단계를 마치고 저해상도 동영상에 적용할 수 있는 상태로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100)에 전송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일부 실시 예에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전자 장치(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의 요청에 의해 추가적으로 트레이닝을 거쳐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서 생성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 중 일부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이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서 생성되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는 대신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저장되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형태로 전자 장치(100)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프로세서들(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보다 큰 프로세싱 능력 및 큰 메모리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구현에 따라, 적용에 보다 많은 프로세싱 능력을 필요로 하는 무거운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230)은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저장되고, 적용에 보다 적은 프로세싱 능력을 필요로 하는 경량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정지영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프레임 이미지(이하에서 동일하게 이미지로 기술한다.)에 대하여 저장하고 있는 여러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 중 처리 대상이 되는 이미지에 따라 메타 데이터(metadata)에 기반하여 해당 이미지에 적용하도록 설정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동영상의 일부 이미지에는 특정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고 동일한 동영상의 다른 이미지에는 이와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동일한 동영상의 다른 이미지들에 대해서 메타 데이터에 경량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과 중량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서로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도록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경량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130)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130)을 사용하고, 중량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230)이 필요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저장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230)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메타 데이터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마다 해당 컨텐츠와 관련되어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서 수신한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이거나 해당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필드에 저장되어 전송될 수 있고,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가 포함하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30, 230)은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310)과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이미지에 적용 가능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330) 및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이미지에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330)을 적용한 결과에 기반하여 선택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기계 학습 모델들을 트레이닝하기 위한 모델 트레이너(350) 및 트레이닝 데이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단일한 서버뿐만 아니라 복수의 서버 세트,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복수로 구성되어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 세트(혹은 클라우드 서버)를 구성할 수 있고,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 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분산 처리를 통하여 데이터를 분석 또는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모델 트레이너(350)를 통해 서로 복잡도 또는 구조가 다른 다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미지는 은닉층(hidden layer)이 2계층으로 형성된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이 선택될 수 있지만, 다른 이미지는 은닉층이 4계층으로 형성된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동일한 학습 방식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서로 종류가 다른 이미지들로 학습하여 신경망의 구조 또는 파라미터 등이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학습 모델을 이용해 생성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의 경우에도, 풍경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해상도를 향상 시키도록 훈련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 및 인물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해상도를 향상 시키도록 훈련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학습 이미지에 기반하여 훈련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훈련된 학습 이미지의 종류에 기반하여 동일한 종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동일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학습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을 생성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사람의 고해상도 이미지로 레이블된 해당 사람의 저해상도 이미지를 트레이닝 데이터(360)를 이용하여, 사람의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의 특정 장면의 이미지 또는 CCTV 동영상의 슈퍼 레졸루션 처리는 사람 얼굴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이 높으므로, 사람의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서로 다른 구조 및 복잡도를 가지면서 성능이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사람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도록 훈련된 동영상 프레임 처리용 신경망들로서,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신경망과 다른 개수의 은닉층을 가지는 신경망을 포함하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는 최초 신경망의 구성에 따라 처리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복잡도가 높은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생성할 수도 있고, 보다 낮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처리 시간이 단축되는 복잡도가 낮은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이미지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또는 복잡도를 가진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포함하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의 구조 또는 복잡도는 입력 노드의 개수, 피쳐의 개수, 채널의 개수와 은닉층의 개수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피쳐의 개수가 많을수록, 채널의 개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은닉층의 개수가 많을수록 특히 복잡도가 높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은닉층의 수가 많을수록 신경망이 무거운 것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신경망의 복잡도는 신경망의 차원수(dimensionality)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의 복잡도가 높을수록 프레임 해상도 향상 성능은 더 우수할 수 있지만, 프레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신경망이 가벼울수록 프레임 해상도 향상 성능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프레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더 짧아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은 입력층과, 은닉층, 그리고 출력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처(feature)의 개수에 따라 입력 노드의 개수가 정해지게 되고, 노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신경망의 복잡도 또는 차원수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은닉층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신경망의 복잡도 또는 차원수가 증가하게 된다.
피처의 개수, 입력 노드의 개수, 은닉층의 개수, 각 층들의 노드의 개수는 신경망 설계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처리 시간은 더 많이 소요되지만 더 좋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
초기 신경망 구조가 설계되면, 훈련 데이터를 이용해 신경망을 훈련시킬 수 있다. 프레임 해상도 향상을 위한 신경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 원본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저해상도 버전이 필요하다. 고해상도 원본 이미지들을 수집한 후 해당 이미지에 블러(blur) 등의 디스토션(distortion) 처리, 바이큐빅 다운 샘플링(bicubic down sampling) 등의 다운 샘플링 또는 노이즈 주입을 수행함으로써, 고해상도 원본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저해상도 이미지들을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해상도 이미지들에 대해 대응하는 고해상도 원본 이미지들을 레이블로 연결시키면 이미지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신경망을 트레이닝 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데이터가 준비된다.
많은 양의 트레이닝 데이터를 통해 신경망을 지도학습 방식으로 훈련시키면 저해상도 이미지가 입력되었을 때 고해상도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닝 데이터로 특정 종류의 객체의 이미지들을 포함한 트레이닝 데이터를 사용하면 해당 객체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는데 최적화된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처리용 신경망의 처리 속도와 처리 성능은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설계자는 신경망의 초기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처리 속도 및 처리 성능이 서로 다른 다양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용 신경망을 생성할 수 있고, 서로 성능이 다른 전자 장치(100)에서 적용 가능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슈퍼 레졸루션 모델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파라미터는 메모리(120, 220, 32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이미지 해상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향상 방법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영상 데이터(610)를 로딩(loading)할 수 있다(S410).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가 장착된 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는 단일한 이미지로 구성된 정지영상 데이터이거나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로딩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수신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슈퍼 레졸루션 모델 적용을 위해 메모리에 일시적 또는 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일반 사용자 단말기일 수도 있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아 각 이미지의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고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니터,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장치, TV 등)에 그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 역할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로딩된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가 해상 영상 데이터의 필드 또는 관련된 매니페스트 파일로 존재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S420). 매니페스트 파일은 영상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인 경우 함께 또는 별도의 채널로 수신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로딩된 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로 해당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메타 데이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421).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타 데이터 생성 요청을 위하여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해당 영상 데이터의 고유 식별자(unique identifier)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식별자는 컨텐츠 생성자가 컨텐츠를 생성할 때 부여한 식별자일 수 있다. 따라서,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등의 컨텐츠 공급 업체로부터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배포되는 영상 데이터의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없이 메타 데이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지영상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각 이미지들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판단할 수 있다(S430).
메타 데이터는 특정 이미지에 적용될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에 포함되거나 해당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일 실시 예로서 도 5와 같은 구성의 매니페스트 파일에 포함될 수 있고, 동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들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가 이미지 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설명하면, 2 장의 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첫 번째 이미지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510) 및 두 번째 이미지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520)가 메타 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이미지에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이 적용되는 경우 해당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들과 각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처리 결과에 대한 가중 계수(weighting factor) 가 메타 데이터에 저장(510)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복수의 이미지 그룹(GOP: 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 경우, 동일한 이미지 그룹에는 동일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도록 메타 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이미지 그룹에는 서로 다른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도록 메타 데이터에 저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미지 그룹(711, 713)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710)의 첫 번째 이미지 그룹(721)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2가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첫 번째 이미지 그룹(721)의 모든 이미지들에 동일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 #2를 적용하여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그룹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이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동일한 이미지 그룹(723)의 모든 이미지들에 동일한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가중 계수를 반영하여 적용(723)하여 고해상도 이미지(73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610)의 첫 번째 이미지(611)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2를 선택하고 처리할 이미지(611)에 적용할 수 있다.
이미지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이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처리할 이미지에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합성하고(S453)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630)로 생성할 수 있다(S460).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610)의 세 번째 이미지(613)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1 및 슈퍼 레졸루션 모델 #4를 선택하고 처리할 이미지(611)에 적용한 결과를 각각 가중 계수에 기반하여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와 같은 형식의 메타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의 일부로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FRAME>
<FRAME_ID> 3 </FRAME_ID>
<SRNET net_id=1, net_weight=0.7 />
<SRNET net_id=4, net_weight=0.3 />
</FRAME>
이 경우, 프레임의 ID가 3인 동영상 데이터(610)의 세 번째 이미지(613)에 슈퍼 레졸루션 모델 #1을 적용하여 생성된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과 슈퍼 레졸루션 모델 #4를 적용하여 생성된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각각 가중 계수 0.7 및 0.3을 적용한 결과 영상들을 합성하여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630)로 생성할 수 있다.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일 실시 예로서 영상 데이터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될 수 있고,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들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가 이미지 별로 또는 이미지 그룹(GOP) 별로 동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헤더 영역 또는 각 이미지 그룹(GOP) 헤더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P4 파일 시스템의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메타데이터 영역인 moov로 구분된 영역의 sample table(stbl)이나 각 이미지에 대한 picture header 영역에 이미지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 정보 및 가중 계수가 저장될 수 있다. 정지영상인 경우 예를 들어, JPEG 형식의 정지 영상인 경우 Exif(Exchangable Image File format)으로서 APP1의 0th IFD의 영역에 이미지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 정보 및 가중 계수가 소정의 태그(tag)와 함께 특정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JPEG의 형식의 정지 영상의 Exif 데이터의 0th IFD의 영역의 UserComment 필드에 'Net#2/W0.3, Net#3/W0.7'으로 메타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처리할 이미지에 대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 #2의 결과와 슈퍼 레졸루션 모델 #3의 결과를 각각 가중 계수 0.3 및 0.7을 적용하여 합성한 이미지를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가 기반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의 해시 값(hash value)(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로딩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할 때(S420), 메타 데이터의 해시 값과 로딩된 영상 데이터의 해시 값을 비교하여 로딩된 영상 데이터에 적합한(관련된) 메타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메타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처리할 이미지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선택(S440)한 후, 선택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에 따라 이미지를 처리하여(S451, S453), 고해상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460).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로부터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미리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함께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분석된 메타 데이터에 설정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에 기반하여 메타 데이터에 처리할 이미지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610)의 첫 번째 이미지(611)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2를 선택하고 처리할 이미지(611)에 적용할 수 있다.
이미지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이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경우,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처리할 이미지에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한 결과를 메타 데이터에 저장된 가중 계수를 이용하여 합성하고(S453)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630)로 생성할 수 있다(S460).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610)의 세 번째 이미지(613)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로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1 및 슈퍼 레졸루션 모델 #4를 선택하고 처리할 이미지(611)에 적용한 결과를 각각 가중 계수에 기반하여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630)로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동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을 소정의 기준, 예를 들어 3 초에 해당하는 이미지들 또는 90 프레임 이미지들에 해당하는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들을 버퍼(buffer)에 저장하고(S470), 기준 구간이 도과한 후 또는 버퍼가 일정 용량 채워진 후 순차적으로 최종 고해상도 이미지를 버퍼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는 버퍼에서 출력한 이미지들을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와 연결된 장치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메치는 영상 데이터(910)를 입력받을 수 있다(S810).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 또는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거나,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에서 메타 데이터 생성 요청과 함께 전송한 영상 데이터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가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는 단일한 이미지로 구성된 정지영상 데이터이거나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910)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고(S820),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을 비교(S830)한 결과에 기반하여 처리된 이미지에 가장 적합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결정(S840)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 중에서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성능 정보(performance information)에 기반하여 고해상도 변환 품질을 비교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성능 정보는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CPU 또는 GPU 등의 프로세서 성능 정보, 메모리 성능 및 용량 정보 또는 AI 연산 가속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 생성을 요청한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성능이 낮은 경우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가 보유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 중에서 복잡도가 일정 이상인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제외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을 이미지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입력받은 동영상 데이터(910)의 처리할 이미지(911)에 대해서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의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 각각을 적용(920)하여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930)의 품질을 비교할 수 있다. 고해상도 이미지의 품질 비교는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 등의 디스토션(distortion) 기반 품질 비교 방법 뿐만 아니라, MOS(Mean Opinion Score) 등의 인지 기반 방식을 사용하여 품질을 비교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복수의 이미지 그룹(GOP: 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그룹 별로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의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 각각을 적용하여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의 품질을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이미지 그룹의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에 복수의 슈퍼 레졸루션 모델 각각을 적용하여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930)의 품질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인트라 프레임이 포함된 이미지 그룹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면 변화(scene change)에 기반하여 인트라 프레임 및 인터 프레임(inter frame)으로 구성된 이미지 그룹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의 경우 동일한 이미지 그룹은 유사한 장면일 수 있으므로, 동영상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미지 해상도 향상 장치의 슈퍼 레졸루션 처리 시에도 슈퍼 레졸루션 모델에 대한 인스턴스 생성에 필요한 감소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어 연산에 유리하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결정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 정보 및 가중 계수를 메타 데이터에 이미지 별로 또는 이미지 그룹 별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할 것을 의미하는 식별자(identifier)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별로 도 5와 같은 XML 형식의 매니페스트 파일에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 정보 및 가중 계수를 저장하는 경우, 이미지 별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라는 의미로서 '<FRAME>' 식별자를 사용하고, 이미지 그룹 별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적용하라는 의미로서 '<GOP>'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정지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일 실시 예로서 영상 데이터의 헤더(header) 영역에 포함될 수 있고,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들에 적용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자가 이미지 별로 또는 이미지 그룹(GOP) 별로 동영상 데이터의 각 이미지 헤더 영역 또는 각 이미지 그룹(GOP) 헤더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의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이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한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30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의 처리할 이미지에 대해 상황(context)을 판단하고(S1020), 판단된 상황에 기반하여 고해상도 변환 품질을 비교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선택하여 처리할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S1030). 상황 판단을 위해서는 슈퍼 레졸루션 모델과 다른 별도의 이미지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사람이 포함된 이미지의 고해상도 이미지 변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미리 분류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 1(1120)과 자연풍경이 포함된 이미지의 고해상도 이미지 변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미리 분류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 2(1130)를 저장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생성 장치는 처리할 이미지가 사람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처리할 이미지(1111)에 슈퍼 레졸루션 모델 그룹 1에 속한 슈퍼 레졸루션 모델들(#1 ~ #3)만 적용하여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들(1140)의 품질을 비교하여(S1040), 처리할 이미지에 적용할 슈퍼 레졸루션 모델을 결정하고(S1050), 결정된 슈퍼 레졸루션 모델의 식별 정보 및 가중 계수를 메타 데이터에 저장할 수 있다(S1060).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폼 팩터(form 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610, 710, 910, 1110: 동영상 데이터
630, 730, 930, 1140: 고해상도 이미지
630, 730, 930, 1140: 고해상도 이미지
Claims (19)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metadata)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그룹 중에서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저해상도 영상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저해상도 영상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생성된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버퍼에 미리 설정된 기준 동안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상 그룹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과 각각 관련된 제1 가중 계수(weighting factor) 및 제2 가중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상기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각각 적용하여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1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 및 상기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2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 생성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 방법.
-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청구항 제 1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사용자 단말로부터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의 품질을 비교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황(context) 판단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위한 메타 데이터 생성 방법.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의 파라미터 또는 영상 데이터의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metadata)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저해상도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로딩(loading)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 그룹 중에서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code)들을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과 각각 관련된 제1 가중 계수(weighting factor) 및 제2 가중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1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각각 적용하여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 및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1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 및 상기 제2 중간 고해상도 영상에 상기 제2 가중 계수를 적용한 결과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저해상도 영상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저해상도 영상에 각각 적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영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s)에 각각 적용할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따라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상기 고해상도 영상을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에 기반하여 복수의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들(instances)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들 중 어느 한 인스턴스에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전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 모델 중 어느 한 인공 신경망 모델에 기반한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를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반하여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공 신경망 인스턴스에 상기 저해상도 영상을 전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해시 값(hash valu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해시 값과 로딩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해시 값을 비교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영상 해상도 향상 장치.
-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파라미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저해상도 영상을 처리하여 생성한 고해상도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저해상도 영상에 적용할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metadata)를 생성하도록 야기하는 코드(code)들을 저장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 서버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영상 그룹(GOP: Group of Pictures)으로 구성된 동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영상 그룹의 인트라 프레임(intra frame)에 해당하는 저해상도 영상을 상기 복수의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에 따라 처리하여 고해상도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결정된 영상 처리용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타 데이터에 상기 영상 그룹 별로 저장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 서버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인공 신경망의 식별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미리 설정된 태그(tag)로 구별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와 관련된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에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들을 더 저장하는,
메타 데이터 생성 서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463A KR20190119550A (ko) | 2019-10-02 | 2019-10-02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US16/710,600 US20210104018A1 (en) | 2019-10-02 | 2019-12-11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lution of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2463A KR20190119550A (ko) | 2019-10-02 | 2019-10-02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550A true KR20190119550A (ko) | 2019-10-22 |
Family
ID=6842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2463A KR20190119550A (ko) | 2019-10-02 | 2019-10-02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104018A1 (ko) |
KR (1) | KR20190119550A (ko)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8035B1 (ko) * | 2020-06-04 | 2020-12-07 | 국방과학연구소 | 위성영상의 해상도 복원을 위한 학습 방법 및 장치 |
WO2021096159A1 (ko) * | 2019-11-15 | 2021-05-20 | 한국과학기술원 | 라이브 비디오 수집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59600A (ko) * | 2019-11-15 | 2021-05-25 | 한국과학기술원 | 라이브 비디오 수집 시스템 및 방법 |
CN112887788A (zh) * | 2019-11-29 | 2021-06-01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KR102270818B1 (ko) * | 2020-12-24 | 2021-06-29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모바일 엣지 컴퓨팅 기반 슈퍼-레졸루션 스트리밍 영상 전송 시스템 |
WO2021162273A1 (ko) * | 2020-02-11 | 2021-08-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CN113438451A (zh) * | 2021-06-21 | 2021-09-24 | 易成功(厦门)信息科技有限公司 | 用于多终端多源数据的统一标准化处理平台与方法 |
CN113936308A (zh) * | 2020-07-08 | 2022-01-14 | 清华大学 | 人脸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
KR20220027436A (ko) * | 2020-08-27 | 2022-03-08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송신, 수신 장치 및 방법 |
WO2022060088A1 (en) | 2020-09-15 | 2022-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rtifacts/degradations in media |
KR20220071056A (ko) * | 2020-11-23 | 2022-05-3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CN114629515A (zh) * | 2020-12-14 | 2022-06-14 |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 使用神经网络的高分辨率无线电 |
KR102414299B1 (ko) | 2021-10-13 | 2022-06-29 | 주식회사 웨이센 | 인공지능을 이용한 ct 스캔의 품질 향상 시스템 및 방법 |
WO2023055013A1 (ko) * | 2021-09-30 | 2023-04-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에 기초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KR20230086591A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딥엑스 | 영상 융합을 위한 신경 프로세싱 유닛 및 인공신경망 시스템 |
WO2023153726A1 (ko) * | 2022-02-09 | 2023-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27200B (zh) * | 2019-11-04 | 2023-04-07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图像超分重建方法、图像超分重建装置及移动终端 |
CN113327219B (zh) * | 2021-06-21 | 2022-01-28 | 易成功(厦门)信息科技有限公司 | 基于多源数据融合的图像处理方法与系统 |
CN114219808B (zh) * | 2021-11-30 | 2024-08-23 | 建信金融科技有限责任公司 |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
US11956441B2 (en) * | 2021-12-23 | 2024-04-09 | Ati Technologies Ulc | Identifying long term reference frame using scene detection and perceptual hash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6362A (ko) | 2017-05-17 | 2018-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영상의 초해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
KR20190059157A (ko) | 2017-11-22 | 2019-05-3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영상 화질 개선방법 및 그 장치 |
-
2019
- 2019-10-02 KR KR1020190122463A patent/KR20190119550A/ko unknown
- 2019-12-11 US US16/710,600 patent/US20210104018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26362A (ko) | 2017-05-17 | 2018-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영상의 초해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
KR20190059157A (ko) | 2017-11-22 | 2019-05-30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영상 화질 개선방법 및 그 장치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96159A1 (ko) * | 2019-11-15 | 2021-05-20 | 한국과학기술원 | 라이브 비디오 수집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59600A (ko) * | 2019-11-15 | 2021-05-25 | 한국과학기술원 | 라이브 비디오 수집 시스템 및 방법 |
CN112887788A (zh) * | 2019-11-29 | 2021-06-01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2887788B (zh) * | 2019-11-29 | 2024-04-09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WO2021162273A1 (ko) * | 2020-02-11 | 2021-08-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KR102188035B1 (ko) * | 2020-06-04 | 2020-12-07 | 국방과학연구소 | 위성영상의 해상도 복원을 위한 학습 방법 및 장치 |
CN113936308A (zh) * | 2020-07-08 | 2022-01-14 | 清华大学 | 人脸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
KR20220027436A (ko) * | 2020-08-27 | 2022-03-08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송신, 수신 장치 및 방법 |
EP4186223A4 (en) * | 2020-09-15 | 2024-01-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RTIFACTS/DAMAGE IN MEDIA |
WO2022060088A1 (en) | 2020-09-15 | 2022-03-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and removing artifacts/degradations in media |
KR20220071056A (ko) * | 2020-11-23 | 2022-05-31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CN114629515A (zh) * | 2020-12-14 | 2022-06-14 |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 使用神经网络的高分辨率无线电 |
KR102270818B1 (ko) * | 2020-12-24 | 2021-06-29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모바일 엣지 컴퓨팅 기반 슈퍼-레졸루션 스트리밍 영상 전송 시스템 |
CN113438451B (zh) * | 2021-06-21 | 2022-04-19 | 易成功(厦门)信息科技有限公司 | 用于多终端多源数据的统一标准化处理平台与方法 |
CN113438451A (zh) * | 2021-06-21 | 2021-09-24 | 易成功(厦门)信息科技有限公司 | 用于多终端多源数据的统一标准化处理平台与方法 |
WO2023055013A1 (ko) * | 2021-09-30 | 2023-04-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에 기초한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장치 |
KR102414299B1 (ko) | 2021-10-13 | 2022-06-29 | 주식회사 웨이센 | 인공지능을 이용한 ct 스캔의 품질 향상 시스템 및 방법 |
KR20230086591A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딥엑스 | 영상 융합을 위한 신경 프로세싱 유닛 및 인공신경망 시스템 |
WO2023153726A1 (ko) * | 2022-02-09 | 2023-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104018A1 (en) | 2021-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19550A (ko) |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102688688B1 (ko) | 영상을 압축 또는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120524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video frame resolution | |
US2021007394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image resolution | |
KR102137151B1 (ko) | 노이즈 캔슬링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658688B1 (ko) | 이미지 조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20200013371A1 (en) | Method, controller, and system for adjusting screen through inference of image quality or screen content on display | |
KR20190094133A (ko) |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90119548A (ko) | 이미지 노이즈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
US11321820B2 (en) | Video data quality improving method and apparatus | |
US11776092B2 (en) | Color restor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190106865A (ko) | 동영상 검색방법 및 동영상 검색 단말기 | |
US20190297381A1 (en) |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90094314A (ko) | 콘텐츠 기반의 스타일을 갖는 텍스트 또는 음성을 생성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90109337A (ko) | 증강현실 기반의 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200122981A (ko) | 음성으로 상호작용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90088406A (ko) | 영상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10058404A (ko) | 이미지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
KR20190124171A (ko) | 안마의자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 |
KR102093899B1 (ko) | 서버와의 연계를 통해 기계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이를 포함한 기계학습 시스템 | |
TW202223762A (zh) | 特徵圖資訊的指示 | |
US20210192792A1 (en) | Method of providing image storage service, recording medium and computing device | |
US11321866B2 (en) | Approach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21011015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location in a store based on recognition of product in image | |
Sun et al. | Semantic knowledge base-enabled zero-shot multi-level feature transmission optimization |